KR20190018860A -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860A
KR20190018860A KR1020170103504A KR20170103504A KR20190018860A KR 20190018860 A KR20190018860 A KR 20190018860A KR 1020170103504 A KR1020170103504 A KR 1020170103504A KR 20170103504 A KR20170103504 A KR 20170103504A KR 20190018860 A KR20190018860 A KR 20190018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erver platform
bus
receive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종률
Original Assignee
여종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종률 filed Critical 여종률
Priority to KR102017010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8860A/ko
Publication of KR2019001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K2209/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은, 버스에 설치되어 운전기사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이 감지되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서버 플랫폼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블랙박스 장치; 상기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 1 영상 데이터 내지 제 3 영상 데이터로부터 촬영된 차량의 불법 주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플랫폼; 상기 서버 플랫폼과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버스의 운행 정보를 상기 서버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버스 관리서버;및 상기 서버 플랫폼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번호,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 및 제 2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번호에 대하여 불법 주정차 과태료를 부과하는 과태료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플랫폼은 최초 수신된 제 1 영상 데이터로부터 위치 정보와 수신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서버 플랫폼은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으로부터 불법 주정차로 처리되는데 필요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된 상기 제 2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와 제 2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차량의 차량번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차량번호가 동일할 경우에 상기 과태료 관리서버로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 제 2 영상 데이터 및 확인된 차량번호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Parking enforcement system}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고 경유하는 버스가 많은 장소에 주정차된 차량이 있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고, 해당 주정차된 차량이 법으로 규정한 시간을 초과하는 불법 주정차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및 그러한 판단결과에 따라 자동 신고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 불법 주정차로 인한 도로의 기능 마비와 이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로 국민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 도로상에서 민원인과 단속 요원의 불법 주정차의 시비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고, 단속의 주관적인 판단이 따르는 문제로 인한 마찰과 단속 요원확보에 따르는 인건비 지출도 국가적인 손실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종래에는 불법 주정차 차량이 많은 정체구간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인 도로상황 관리기능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즉,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면서 모니터링에 의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면서 불법 주정차 지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5분에 걸쳐서 전체 지역에 걸친 영상과 개별 영상을 차례로 촬영을 하고 5분이 경과한 차량에 한해서 불법 주정차 위반 차량으로 판단한 후 불법주차 차량의 영상을 줌 인(Zoom In)하여 차량 번호를 육안으로 알아내어 몇 장의 차량영상과 함께 차적 조회된 내용대로 자동차 소유주에게 고지서를 발부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단지 단속요원이 현장에 가지 않고 통제소에 않아서 영상을 보면서 불법 주정차 차량을 단속해야 하는 편리함은 있지만, 통제소에 관찰하는 요원이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 있고, 다중채널 다중 분할 동시 감시 시스템으로 영상을 관찰함으로써 인력의 숫자도 절대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또한, 영상이 실시간으로 전송되므로 통제소에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인 DVR(Digital Video Recorder)이 많은 부하를 받게 되어 저장능력에도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본 발명은 교통 상황을 악화시키는 버스 정류장 인근에 불법 주정차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하여 별도의 무인 카메라를 설치할 필요없이 버스 내에 마련되어야 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의 판단과 신고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특정 위치, 예를 들면, 버스 정류장 인근에 별도의 무인 카메라를 설치할 필요없이 버스에 설치되어 영상을 기록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이용하고, 불법 주정차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해당 버스 정류장을 경유하는 버스들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판단함으로써, 불법 주장차 여부에 대해서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은, 버스에 설치되어 운전기사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이 감지되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서버 플랫폼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블랙박스 장치; 상기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 1 영상 데이터 내지 제 3 영상 데이터로부터 촬영된 차량의 불법 주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플랫폼; 상기 서버 플랫폼과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버스의 운행 정보를 상기 서버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버스 관리서버;및 상기 서버 플랫폼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번호,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 및 제 2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번호에 대하여 불법 주정차 과태료를 부과하는 과태료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플랫폼은 최초 수신된 제 1 영상 데이터로부터 위치 정보와 수신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서버 플랫폼은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으로부터 불법 주정차로 처리되는데 필요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된 상기 제 2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와 제 2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차량의 차량번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차량번호가 동일할 경우에 상기 과태료 관리서버로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 제 2 영상 데이터 및 확인된 차량번호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서, 버스 정류장 마다 별도의 무인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버스에 장착되는 블랙박스 장치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비용을 들이지 않더라도 교통 혼잡이 심한 버스 정류장 인근에 불법 주정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서버 플랫폼의 구성과, 차량 내 마련된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어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은 버스(10,11) 내에 장착되어 전방, 후방 또는 측면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설치된 블랙박스 장치를 이용하고, 버스 내에 설치된 각각의 블랙박스 장치는 통신망(30)을 통하여 서버 플랫폼(20)에 접속된다.
서버 플랫폼(20)은 각 버스에 설치된 블랙박스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동영상 또는 사진)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연결된 과태료 관리서버(40) 및 버스 관리서버(5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불법 주정차 단속이 필요한 장소에 고정된 무인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 내에 설치되는 블랙박스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불법 주정차 단속을 위하여 부가적인 카메라 설치 등의 경제적인 비용을 크게 지출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서버 플랫폼(20)은 각 버스들의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과태료 부과 대상에 해당하는 불법 주정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 플랫폼(20)은 불법 주정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버스 관리서버(50)에 접속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달한 버스의 정보, 해당 버스의 위치, 해당 버스 노선의 배차 간격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 따라 차량 핸들 주위에 마련된 스위치를 버스 운전기사가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 차량의 블랙박스 장치는 스위치가 입력된 시점의 사진 또는 스위치가 입력된 시간의 전후 소정 시간 동안의 영상을 서버 플랫폼(20)으로 전송한다. 운전기사가 버스 정류장으로 접근하는 때에 주정차 차량이 있는 경우, 이러한 스위치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 플랫폼(20)은 해당 버스의 위치 또는 해당 정류장의 위치를 전달된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GPS 정보로부터 독출해낸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관리서버(50)는 관리하는 버스 정류장의 정보와, 각 버스의 노선 정보들을 관리하고, 버스 정류장에서는 진입하는 버스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버스 관리서버(50)는 각 정류장 별로 버스 예상 도착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는 현재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서버 플랫폼(20)이 네트워크 연결된 버스 관리서버(50)에 접속함으로써, 반드시 GPS 정보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각 버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버스의 운행정보, 촬영된 영상 데이터 내의 버스 정류장 번호 등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버 플랫폼(20)이 특정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위치에서의 주정차가 법으로 정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버스 관리서버(50)에 해당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정보와, 해당 버스 정류장을 경유하는 버스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만약, 버스 정류장 인근에 주정차한 차량이 있어서 제 1 버스 운전기사가 신고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입력하여 제 1 영상 데이터가 서버 플랫폼(20)으로 전달된 경우에, 상기 서버 플랫폼(20)은 해당 주정차 차량이 주정차한 시간을 확인하여야만 한다. 즉, 주정차한 시간이 법으로 규정한 기준 시간(과태료의 부가대상이 되는 기준 시간으로서, 이하 '기준 시간'이라 함)을 초과한 경우에 불법 주정차로 신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영상 데이터가 전달 또는 수신된 시간으로부터 제 2 영상 데이터가 전달 또는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야 하고, 제 1 영상 데이터와 제 2 영상 데이터 안에 해당 주정차 차량이 모두 촬상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하에, 상기 서버 플랫폼(20)은 특정 버스 정류장 인근으로 확인되는 제 1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주정차 차량이 촬영된 제 2 영상 데이터의 예상 수신 시간을 추측하는데, 상기 서버 플랫폼(20)은 제 2 영상 데이터의 예상 수신 시간을 상기 버스 관리서버(50)로부터 확인한다.
만약, 상기 서버 플랫폼(20)이 상기 버스 관리서버(50)로부터 전달받은 버스 운행정보로부터 해당 버스 정류장을 통과하는 후속 버스가 기준 시간을 초과해서 도착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1차 신고가 접수된 해당 버스 정류장을 통과하는 후속 버스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반면에, 상기 서버 플랫폼(20)은 상기 버스 관리서버(50)로부터 특정 버스 정류장을 경유하는 버스들의 운행정보를 수신하고, 후속 버스가 기준 시간 내에 도착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다음 후속 버스 정보를 더 수신한다. 즉, 기준 시간 내에 해당 버스 정류장을 경유하는 버스로부터 신고 접수(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더라도 과태료 부가 대상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다음 후속 버스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서버 플랫폼(20)이 수많은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도중에 발생될 수 있는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불법 주정차에 대한 최초 신고 접수에 해당하는 제 1 영상 데이터가 수신된 다음에는, 해당 위치(버스 정류장)를 경유하는 버스 중에서 기준 시간을 초과해서 경유하는 버스 정보를 버스별로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상기 버스 관리서버(50)로부터 해당 위치(버스 정류장)를 경유하는 버스들의 모든 운행정보를 수신해버리면, 상기 서버 플랫폼(20)이 연산하여야 할 데이터양이 매우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 플랫폼(20)은 불법 주정차 신고 접수가 이루어진 위치(버스 정류장)를 경유하는 버스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상기 서버 플랫폼(20)은 신고 접수에 해당하는 제 1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고, 기준 시간 이내에 같은 위치에서 촬영된 제 3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제 3 영상 데이터 내에 불법 주정차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할 필요없이 해당 제 3 영상 데이터는 단순 보관처리하거나 저장이 필요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관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기준 시간을 넘긴 때에,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제 2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플랫폼(20)에 의한 제 1 영상 데이터와, 제 3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분석은 촬영된 영상/사진 내의 차량의 번호 인식 과정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여 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서버 플랫폼의 구성과, 차량 내 마련된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차량(10) 내에는 운전기사가 불법 주정차를 신고하고자 할 때 조작하는 조작부(110)와, 영상을 촬영하고 서버 플랫폼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블랙박스 장치(120)가 마련된다.
상기 조작부(110)는 버스 핸들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운전기사가 조작부를 조작/입력할 때에 상기 조작부(110)는 상기 블랙박스 장치(120)로 기록된 영상의 서버 플랫폼(20)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블랙박스 장치(120)는 버스의 전면/후면/측면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촬영부(121)와, 버스의 운행상태 및 사고를 감지하기 위한 충격 감지부(122)와, 상기 조작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주정차 신고부(123)와, 상기 영상 촬영부(1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126)와, 상기 서버 플랫폼(20)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부(125)와, 이들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주정차 신고부(123)는 상기 조작부(110)의 조작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24)는 상기 주정차 신고부(123)가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감지한 다음 상기 저장부(126)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서버 플랫폼(20)으로 전송할 영상 데이터를 선정하고, 상기 통신부(125)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24)는 상기 조작부(110)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조작부(110)가 입력된 시점에 저장된 제 1 사진과, 상기 제 1 사진이 촬영되기 이전의 제 2 사진과, 상기 제 1 사진이 촬영된 이후의 제 3 사진을 상기 서버 플랫폼(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서버 플랫폼(20)의 이미지 프로세싱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24)가 1차적으로 제 1 사진, 제 2 사진 및 제 3 사진 내의 차량(불법 주정차 차량)의 번호가 가장 선명한 사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3 사진 중에서 차량번호가 가장 선명하게 찍힌 것으로 판단되는 사진 만을 상기 서버 플랫폼(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 플랫폼(20)은 버스들에 장착된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210)과, 버스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로부터 해당 위치(해당 버스 정류장)를 경유하는 주변버스의 정보를 독출하는 주변버스 확인수단(220)과, 해당 위치(해당 버스 정류장)에 인접한 다른 버스 정류장의 위치를 상기 버스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로부터 확인하는 주변 정류장 확인수단(230)과, 제 1 버스(10) 내지 제 3 버스(12)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내의 차량에 대하여 불법 주정차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주정차 판단수단(240)과,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250)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 플랫폼(20)은 많은 수의 버스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들에 대해서 불법 주정차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버스들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1차 신고가 접수된 위치(버스 정류장)를 경유하는 버스들 중에서 기준 시간을 초과해서 경유하는 버스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한다.
상세히, 상기 주정차 판단수단(240)은 각각의 버스들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들을 상기 저장 수단(250)에 모두 저장하여 둘 수도 있으나,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의 촬영 위치를 먼저 판단하고, 해당 위치를 경유하는 버스의 운행 정보를 버스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다.
버스의 블랙박스 장치의 영상 촬영부(121)가 영상 촬영시에 GPS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정차 판단수단(240)은 버스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할 필요없이 위치를 특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해당 위치를 경유하는 버스들 중에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버스의 운행정보를 수신한다. 좀 더 정확하게는, 기준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시간에 버스로부터 전달되는 해당 위치의 영상 데이터는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저장 수단(250)의 데이터양 조절과 주정차 판단수단의 연산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정차 판단수단(240)은 기준 시간이 초과된 상태에서 해당 위치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불법 주정차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최초 신고 접수된 영상 데이터와 후속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한다. 최초 영상 데이터와 후속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차량의 차량번호가 동일할 경우에는 해당 차량은 불법 주장차에 해당하므로, 최초 영상 데이터와 후속 영상 데이터 및, 해당 불법 주정차 차량의 차량번호를 과태료 관리서버(40)로 전달한다. 상기 과태료 관리서버(40)는 서버 플랫폼(20)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번호, 최초 영상 데이터(제 1 영상 데이터) 및 후속 영상 데이터( 제 2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과태료 부가를 위한 행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제 1 영상 데이터와 제 2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 분석을 수행한 결과 촬영된 영상 내의 차량번호가 상이할 경우에는, 주정차한 차량이 변경된 것이므로, 상기 제 2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차량을 기준으로 다시 기준 시간을 계산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버스 정류장 마다 별도의 무인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버스에 장착되는 블랙박스 장치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비용을 들이지 않더라도 교통 혼잡이 심한 버스 정류장 인근에 불법 주정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버스에 설치되어 운전기사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이 감지되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서버 플랫폼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블랙박스 장치;
    상기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 1 영상 데이터 내지 제 3 영상 데이터로부터 촬영된 차량의 불법 주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플랫폼;
    상기 서버 플랫폼과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버스의 운행 정보를 상기 서버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버스 관리서버;및
    상기 서버 플랫폼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번호,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 및 제 2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번호에 대하여 불법 주정차 과태료를 부과하는 과태료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플랫폼은 최초 수신된 제 1 영상 데이터로부터 위치 정보와 수신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서버 플랫폼은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으로부터 불법 주정차로 처리되는데 필요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된 상기 제 2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와 제 2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차량의 차량번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차량번호가 동일할 경우에 상기 과태료 관리서버로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 제 2 영상 데이터 및 확인된 차량번호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플랫폼은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때에 수신된 상기 제 3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차량의 차량번호 분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조작부에 의하여 운전기사의 조작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감지 순간에 기록된 제 1 사진과, 상기 제 1 사진 이전에 촬영된 제 2 사진과, 상기 제 1 사진 이후에 촬영된 제 3 사진들 중에서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차량의 차량번호가 가장 선명하게 촬영된 사진을 상기 서버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플랫폼은 상기 버스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위치의 버스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때에, 예상되는 경유시간 순서에 따라 버스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KR1020170103504A 2017-08-16 2017-08-16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KR20190018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504A KR20190018860A (ko) 2017-08-16 2017-08-16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504A KR20190018860A (ko) 2017-08-16 2017-08-16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860A true KR20190018860A (ko) 2019-02-26

Family

ID=6556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504A KR20190018860A (ko) 2017-08-16 2017-08-16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88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9334S1 (en) * 2019-08-14 2021-02-02 Minglong YANG Speaker
KR102457323B1 (ko) 2021-11-12 2022-10-21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불법 주정차 신고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9334S1 (en) * 2019-08-14 2021-02-02 Minglong YANG Speaker
KR102457323B1 (ko) 2021-11-12 2022-10-21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불법 주정차 신고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5530B2 (e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collecting program
JP7040936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情報収集装置
KR100768820B1 (ko) 차량 탑재하여 운행중 위법차량 단속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JP2020061079A (ja) 交通違反車両識別システム、サーバ、及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JP7047374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
KR20100073893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1935281B (zh) 监控违章停车的方法和装置
CN109671270B (zh) 行车事故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20110134012A (ko) 휴대용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차량 추적, 차량 정보의 데이타 통신 및 차량 범죄 및 법규위반 예방이 가능한 차적조회 및 자동통지 방법
JP4692000B2 (ja) 旅行時間算出システム、および旅行時間算出方法
CN111369708A (zh) 车辆行驶的信息记录方法及装置
KR101616994B1 (ko) 이중 카메라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20190018860A (ko)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KR101394201B1 (ko) 버스장착 무선cctv 촬영단속시스템
CN112950988B (zh) 具有存证功能的停车管理系统
CN110070725A (zh) 占用公交专用道占道抓拍一体机及抓拍方法
CN106981104B (zh) 一种收费监控方法、装置、服务器和系统
KR20170004652A (ko)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범죄 영상 제공 시스템
JP5404453B2 (ja) 車両監視装置
KR100553448B1 (ko) 무인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56290B2 (ja) 事故情報記録装置および事故情報収集システム
WO2015050413A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와 gis 연동 서비스 방법
KR101832704B1 (ko)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KR200415231Y1 (ko) 차량 탑재하여 운행중 위법차량 단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