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704B1 -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704B1
KR101832704B1 KR1020170030491A KR20170030491A KR101832704B1 KR 101832704 B1 KR101832704 B1 KR 101832704B1 KR 1020170030491 A KR1020170030491 A KR 1020170030491A KR 20170030491 A KR20170030491 A KR 20170030491A KR 101832704 B1 KR101832704 B1 KR 101832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violation
parking
violation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03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주차위반차량을 단속하는 주차위반 단속 차량에 마련되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주차위반 단속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위반차량이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지,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인지, 견인 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한 후,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 경우 차량번호판 압수를 담당하는 차량번호판 압수 담당자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인 경우 주차위반 과태료 징수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견인 대상 차량인 경우 차량 견인 담당자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는 주차위반 단속 서버; 및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와 주차위반 단속 서버간에 이동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System for cracking down illegal car parking}
본 발명은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으로서, 차량에 탑재된 단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차위반을 단속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양쪽(또는 갓길)에는 차량이 주정차하기 쉽다. 이렇게 주정차된 차량은 주행 중인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고, 실질적으로 도로의 폭을 좁게 만든다.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도로 교통법에서는 각종 주정차 금지표시판을 세워 주정차를 금지하도록 계도하고 있다.
그러나 단속을 실시하는 경찰관의 인력이 모든 주차감시지역마다 배치될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도로의 갓길 등에는 주정차 금지표시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정차 위반차량으로 넘쳐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교통경찰이 보다 신속한 순찰을 실시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일시적이고, 단속중 민원인과의 충돌이나 마찰이 종종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에서는 카메라를 설치한 다음 도로의 아래에 루프코일을 설치하거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차량의 촬영포인트를 설정하여 촬영함으로써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중앙관제소에서 경찰관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사례가 많았고, 카메라성능의 한계로 인하여 단속을 정확히 포착할 수 없었다. 또한 모든 도로마다 카메라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단속과 감시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단속 후에 단속차량의 견인이라는 후속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것이 통합적으로 운영되지 않을 경우 단속을 위한 행정에 머무를 뿐이다. 이것은 주차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차량을 주차하려고 하는 사람에게 편의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여기에다가 불법으로 주차된 차량 외에 세금 체납차량, 도난차량, 거주자 우선 주차지역을 위반하여 주차한 차량 등 다양한 형태의 차량을 단속하고 감시해야 하는 부담마저 늘어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139669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에 탑재된 단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차위반을 효율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주차위반차량에 대해서 과태료부과, 차량번호판압수, 차량견인을 선별적으로 행정처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주차위반차량을 단속하는 주차위반 단속 차량에 마련되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주차위반 단속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위반차량이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지,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인지, 견인 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한 후,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 경우 차량번호판 압수를 담당하는 차량번호판 압수 담당자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인 경우 주차위반 과태료 징수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견인 대상 차량인 경우 차량 견인 담당자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는 주차위반 단속 서버; 및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와 주차위반 단속 서버간에 이동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는,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여, 단속요원의 요청에 의하여 주차위반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질 때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주차위반 촬영장소로서 생성하는 GPS 모듈; 상기 카메라의 촬영조작 버튼, GPS 지도 표시 필드, 주차위반 촬영영상의 저장 버튼, 주차위반 촬영영상이 표시되는 주차위반 촬영영상 표시 필드, 전송 버튼이 마련된 차량 거치용 모니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판을 판독하여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차량번호 추출모듈;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상기 주차위반 단속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처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위반 단속 서버는,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자동차세 체납 여부 판단부;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여부 판단부;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견인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 및 자동차세 체납 차량으로 결정된 경우 차량번호판 압수를 담당하는 차량번호판 압수 담당자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으로 결정된 경우 주차위반 과태료 징수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견인 대상 차량으로 결정된 경우 차량 견인 담당자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는 주차위반 행정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세 체납 여부 판단부는, 자동차세 체납 차량의 차량번호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자동차세 체납 차량 저장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상기 자동차세 체납 차량 저장 모듈에 있는 경우 자동차세 체납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여부 판단부는,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상 차량의 차량번호가 아닌 경우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으로 결정하며, 상기 주차위반 행정 처리부는, 주차위반 촬영장소별로 다르게 할당된 과태료를 부과하여 과태료의 금액을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과 함께 주차위반 과태료 징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는,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두 개의 주차위반 촬영영상을 수신하며,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시간 간격을 가지는 두 개의 주차위반 촬영영상에 동일한 주차위반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견인대상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은, 도로에 설치된 CCTV 감시기의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CCTV 관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는,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상기 CCTV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주차위반차량이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주차위반장소에 주차하고 있는 경우 견인대상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주차위반 단속 서버로 전송할 때 상기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추후 재촬영 예정 여부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는, 상기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추후 재촬영이 없을 예정이라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상기 CCTV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차위반차량에 대해서 과태료부과, 차량번호판압수, 차량견인을 선별적으로 행정처분할 수 있다. 따라서 지자체에 부담을 덜어 주며 주차단속 상황이 발생할 때 정확하고 편하게 단속사실을 주차위반 단속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위반을 위한 카메라가 마련된 주차위반 단속 차량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거치용 모니터의 화면 예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반 단속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위반 단속 서버의 주차위반 처리 예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CCTV 관제 서버와 연동되는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위반을 위한 카메라가 마련된 주차위반 단속 차량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거치용 모니터의 화면 예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반 단속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위반 단속 서버의 주차위반 처리 예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CCTV 관제 서버와 연동되는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100),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 및 주차위반 단속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100)은,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와 주차위반 단속 서버(300)간에 3G,4G,LTE 등의 이동통신을 제공한다.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100)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는, 주차위반차량을 단속하는 주차위반 단속 차량에 마련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위반 단속 차량은 카메라(210)를 구비하여,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되는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주차위반 단속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210), GPS 모듈(220), 차량 거치용 모니터(230), 차량번호 추출모듈(240), 메모리(250), 이동통신 처리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여, 차량에 탑승한 단속요원의 요청에 의하여 주차위반차량을 촬영한다. 카메라(210)는, 렌즈 어셈블리, 필터, 광전 변환 모듈,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GPS 모듈(220)은, 촬영이 이루어질 때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주차위반 촬영장소로서 생성한다.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차량 거치용 모니터(2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210)의 촬영조작 버튼(50), GPS 지도 표시 필드(40), 주차위반 촬영영상의 저장 버튼(20), 주차위반 촬영영상이 표시되는 주차위반 촬영영상 표시 필드(10), 전송 버튼(30)이 마련된다. 터치스크린패널로 구현되어,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할 수 있다. 차량 거치용 모니터(230)는 패드 부착형으로서 주차위반 단속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부착되어,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탑승한 단속원이 주행중에 주차위반 차량을 발견 시에 카메라(210) 촬영 등의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차량번호 추출모듈(240)은,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판을 판독하여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차량번호판의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은, 공지된 다양한 이미지 추출 및 문자 변환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25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동통신 처리모듈(260)은, 이동통신망(100)을 통해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주차위반 단속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주차위반 단속 서버(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어떠한 행정 처분을 할지 결정하고 결정된 행정 처분에 따른 조치를 취한다.
즉, 주차위반 단속 서버(300)는,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주차위반차량이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지,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인지, 견인 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 경우 차량번호판 압수를 담당하는 차량번호판 압수 담당자 단말기(410)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인 경우 주차위반 과태료 징수 단말기(420)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견인 대상 차량인 경우 차량 견인 담당자 단말기(430)에 주차위반차량의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주차위반 단속 서버(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310), 자동차세 체납 여부 판단부(320),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여부 판단부(330),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340), 및 주차위반 행정 처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이동통신망(100)과 유선 통신망을 차례로 거쳐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수신한다. 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3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자동차세 체납 여부 판단부(320)는,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1년에 한번씩 부과되는 자동차세 체납을 하게 되면, 경우에 따라서 체납된 해당 자동차의 차량번호판이 떼어져 강제로 압수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량번호판이 압수되면, 해당 운전자는 구청 등에 방문하여 체납된 자동차세를 완납한 후에 차량번호판을 돌려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행정 처분을 위하여 구청 담당 직원은 관할 지역의 주차장을 돌아다니며 차량번호를 조회하여, 자동차세 체납 차량을 파악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청 담당 직원이 일일이 돌아다니며 자동차세 체납 차량을 찾아내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주차위반 단속 서버(300)에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를 확인하여 자동차세 체납 여부를 판단하고, 행정 처분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차세 체납 여부 판단부(320)는,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지를 판단함에 있어서, 자동차세 체납 차량의 차량번호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자동차세 체납 차량 저장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자동차세 체납 차량 저장 모듈에 있는 경우 해당 주차위반 차량을 자동차세 체납 차량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세 체납 차량으로 결정되는 경우, 주차위반 행정 처리부(3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번호판 압수를 담당하는 차량번호판 압수 담당자 단말기(410)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해준다. 따라서 차량번호판 압수 담당자는 해당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즉시 방문하여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판을 떼어서 압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여부 판단부(330)는,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주차위반 행정 처리부(350)는,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으로 결정된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위반 과태료 징수 단말기(420)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한다.
다만,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주차위반차량이라고 신고된다하여 무조건 과태료 처분하는 것은 비합리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신고 등록된 공무 수행 차량, 청소 차량, 경찰 차량 등과 같이 비상차량의 경우에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으로 결정하는 것은 비합리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여부 판단부(330)는,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상 차량의 차량번호가 아닌 경우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으로 결정한다.
나아가, 주차위반 행정 처리부(350)는, 주차위반 촬영장소별로 다르게 할당된 과태료를 부과하여 과태료의 금액을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과 함께 주차위반 과태료 징수 단말기(420)에 전송한다. 경우에 따라서 구청별로 과태료가 적게 부과되는 도로가 있을 수 있으며, 과태료가 많이 부과되는 도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주차위반 촬영장소별로 다르게 할당된 과태료의 금액을 과태료 징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를 수신한 과태료 징수 단말기는, 해당 과태료가 부과된 벌칙금 고지서를 발급하여 해당 주차위반차량의 운전자의 주소로 발송하게 된다.
한편,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340)는,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견인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주차위반 행정 처리부(3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 대상 차량으로 결정된 경우, 차량 견인 담당자 단말기(430)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한다. 따라서 차량 견인 담당자는 해당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방문하여 해당 차량을 견인해갈 수 있게 된다.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견인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견인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첫 번째 방식은,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두 개의 주차위반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활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가 탑재된 주차위반 단속 차량이 제1지점을 지날 때 A 주차위반차량을 촬영하여 주차위반 단속 서버(300)로 전송한 후, 30분이 지난 후 동일한 제1지점을 방문한 결과 동일한 A 주차위반차량이 있는 경우 이를 촬영하여 다시 주차위반 단속 서버(300)로 전송한다.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340)는,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두 개의 주차위반 촬영영상을 수신하며,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시간 간격을 가지는 두 개의 주차위반 촬영영상에 동일한 주차위반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견인대상 차량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견인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두 번째 방식은, 도 9에 도시된 CCTV 관제 서버(500)를 활용하는 것이다.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가 탑재된 주차위반 단속 차량이 동일한 지점을 두 번 방문하는 것은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시내 도로마다 촘촘히 설치된 CCTV 감시기를 관리하는 CCTV 관제 서버(500)를 활용하는 것이다.
상술하면,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에 설치된 CCTV 감시기의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CCTV 관제 서버(500)를 포함한다.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340)는,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CCTV 관제 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주차위반차량이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주차위반장소에 주차하고 있는 경우 견인대상 차량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 촬영지점이 제1지점인 경우, 제1지점을 비추는 CCTV 감시기의 영상을 CCTV 관제 서버(500)에 요청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모니터링 결과, 주차위반차량이 설정된 30분 동안 동일한 제1지점의 주차위반장소에 주차하고 있는 경우 견인대상 차량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CCTV의 활용은,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가 탑재된 주차위반 단속 차량이 동일 장소에 시간 간격을 두고 재차 방문하지 않을 때 유용하다. 만약, 동일 장소에 시간 간격을 두고 재차 방문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첫번째 방식으로 판단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에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는,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되는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주차위반 단속 서버(300)로 전송할 때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추후 재촬영 예정 여부를 함께 전송한다.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340)는,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추후 재촬영이 없을 예정이라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200)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CCTV 관제 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340)는,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추후 재촬영이 없을 예정이라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CCTV 관제 서버(500)를 활용함으로써 통신 부하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이동통신망
200;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
300;주차위반 단속 서버
500:CCTV 관제 서버

Claims (8)

  1. 주차위반차량을 단속하는 주차위반 단속 차량에 마련되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주차위반 단속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위반차량이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지,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인지, 견인 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한 후,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 경우 차량번호판 압수를 담당하는 차량번호판 압수 담당자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인 경우 주차위반 과태료 징수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견인 대상 차량인 경우 차량 견인 담당자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는 주차위반 단속 서버; 및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와 주차위반 단속 서버간에 이동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위반 단속 서버는,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자동차세 체납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자동차세 체납 여부 판단부;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여부 판단부;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견인대상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
    자동차세 체납 차량으로 결정된 경우 차량번호판 압수를 담당하는 차량번호판 압수 담당자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으로 결정된 경우 주차위반 과태료 징수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며, 견인 대상 차량으로 결정된 경우 차량 견인 담당자 단말기에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전송하는 주차위반 행정 처리부;및
    도로에 설치된 CCTV 감시기의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CCTV 관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주차위반 단속 서버로 전송할 때 상기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추후 재촬영 예정 여부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는,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상기 CCTV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주차위반차량이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주차위반장소에 주차하고 있는 경우 견인대상 차량으로 결정하고, 상기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추후 재촬영이 없을 예정이라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상기 CCTV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주차위반 촬영지점의 CCTV 감시기의 영상을 모니터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는,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여, 단속요원의 요청에 의하여 주차위반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질 때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주차위반 촬영장소로서 생성하는 GPS 모듈;
    상기 카메라의 촬영조작 버튼, GPS 지도 표시 필드, 주차위반 촬영영상의 저장 버튼, 주차위반 촬영영상이 표시되는 주차위반 촬영영상 표시 필드, 전송 버튼이 마련된 차량 거치용 모니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판을 판독하여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차량번호 추출모듈;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을 상기 주차위반 단속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세 체납 여부 판단부는,
    자동차세 체납 차량의 차량번호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자동차세 체납 차량 저장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상기 자동차세 체납 차량 저장 모듈에 있는 경우 자동차세 체납 차량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여부 판단부는,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수신한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상 차량의 차량번호가 아닌 경우 주차위반 과태료 대상 차량으로 결정하며,
    상기 주차위반 행정 처리부는, 주차위반 촬영장소별로 다르게 할당된 과태료를 부과하여 과태료의 금액을 주차위반차량의 차량번호, 주차위반 촬영영상, 및 주차위반 촬영지점과 함께 주차위반 과태료 징수 단말기에 전송하는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대상 차량 여부 판단부는,
    상기 차량탑재 주차위반 단속기로부터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두 개의 주차위반 촬영영상을 수신하며,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시간 간격을 가지는 두 개의 주차위반 촬영영상에 동일한 주차위반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견인대상 차량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30491A 2017-03-10 2017-03-10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KR10183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91A KR101832704B1 (ko) 2017-03-10 2017-03-10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91A KR101832704B1 (ko) 2017-03-10 2017-03-10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704B1 true KR101832704B1 (ko) 2018-02-27

Family

ID=6139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491A KR101832704B1 (ko) 2017-03-10 2017-03-10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0893B1 (en) * 2020-06-05 2021-06-08 Samuel Messinger System for reducing speed of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980B1 (ko) 2003-04-15 2005-07-21 한국인식산업(주)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268316B1 (ko) * 2012-11-12 2013-05-28 (주)서광시스템 다목적 문제차량 지능형 검색 및 자동 인식 통합 플랫폼 및 그의 운영 방법
KR101613501B1 (ko) * 2016-02-05 2016-04-19 삼성지투비 주식회사 주행 이동식 또는 고정식 일체형 차량번호 인식기 및 이를 이용한 단속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980B1 (ko) 2003-04-15 2005-07-21 한국인식산업(주)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268316B1 (ko) * 2012-11-12 2013-05-28 (주)서광시스템 다목적 문제차량 지능형 검색 및 자동 인식 통합 플랫폼 및 그의 운영 방법
KR101613501B1 (ko) * 2016-02-05 2016-04-19 삼성지투비 주식회사 주행 이동식 또는 고정식 일체형 차량번호 인식기 및 이를 이용한 단속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0893B1 (en) * 2020-06-05 2021-06-08 Samuel Messinger System for reducing speed of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2047B2 (ja) 通信処理装置、及び通信処理方法
RU2607043C1 (ru) Управлени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дного парковоч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для нескольки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посредством применения множества камер
US66902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traffic law violators and issuing citations
CN102129728A (zh) 车辆行驶记录管理系统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CN104424802A (zh) 一种车辆违规监控系统
US7002487B1 (en) Parking violation surveillance system
KR101394201B1 (ko) 버스장착 무선cctv 촬영단속시스템
WO2016113975A1 (ja) 交通違反管理システムおよび交通違反管理方法
CN215814513U (zh) 电动自行车违章取证系统
US20220124287A1 (en) Cloud-Based Vehicle Surveillance System
KR20110134012A (ko) 휴대용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차량 추적, 차량 정보의 데이타 통신 및 차량 범죄 및 법규위반 예방이 가능한 차적조회 및 자동통지 방법
CN109272589A (zh) 基于信用体系的具有多重效益的车辆快速通行收费方法
KR101616994B1 (ko) 이중 카메라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JP6364652B2 (ja) 交通違反管理システムおよび交通違反管理方法
JP2009116480A (ja) 不正通行車両の監視装置
KR101832704B1 (ko)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CN112950988B (zh) 具有存证功能的停车管理系统
WO2017022268A1 (ja) 車両特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特定システム
KR101570485B1 (ko) 카메라 사각지역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CN106909922A (zh) 一种应急车道移动稽查系统及方法
WO2016142940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parking arena and parking enforcement
US20170053250A1 (en) Mobile method for preparing vehicle towing fees
KR100846206B1 (ko) 무인 카메라와 차량번호 인식기능을 접목시킨 차량용 무인단속장치
JP3664965B2 (ja) 道路課金システム及び路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