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617A - 미용기 - Google Patents

미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617A
KR20190017617A KR1020177026091A KR20177026091A KR20190017617A KR 20190017617 A KR20190017617 A KR 20190017617A KR 1020177026091 A KR1020177026091 A KR 1020177026091A KR 20177026091 A KR20177026091 A KR 20177026091A KR 20190017617 A KR20190017617 A KR 20190017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motor
vibration motor
main body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570B1 (ko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to KR102023700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6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8Disc-shaped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n electr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63Removing cosmetic substances, e.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Brush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skin or scalp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Brush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1개의 진동 모터(4)에 의해 복잡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어, 피부의 오염물 등을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는 미용기(1)를 제공한다. 미용기(1)는, 본체부(2)와, 본체부(2)의 외측에 배치된 브러시부(3)를 가지고 있다. 또, 미용기(1)는, 편심추(41)를 구비한 회전축(42)을 가지는 진동 모터(4)와, 진동 모터(4)를 유지하는 모터 유지부(5)와, 본체부(2)에 대해서 모터 유지부(5)를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부(11)와, 모터 유지부(5)로부터 연장 마련되며, 브러시부(3)에 접속되는 브러시 장착부(6)를 가지고 있다. 브러시 장착부(6)는, 진동 모터(4)에서의 회전축(42)의 축심 방향(420)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미용기
본 발명은, 미용기에 관한 것이다.
세안시,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한 오염물 등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모(毛)끝을 미세하게 진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세안 브러시(brush)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종류의 세안 브러시에 적용되는 진동체 구동 장치로서, 본체부와, 본체부에 지지되는 진동체를 구비한 진동체 구동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이 장치의 본체부에는, 진동부로서의 진동 모터와, 진동부에서 발생시킨 진동을 진동체로서의 브러시체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축이 마련되어 있다. 진동부와 진동 전달축은, 본체부의 내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또, 세안 브러시와는 용도나 구성이 다르지만, 헤어 브러시의 분야에서, 브러시를 진동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2의 헤어 브러시는, 머리카락의 풀림 용이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브러시모(毛)를 두피와 평행한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5-21355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 제5419280호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진동체 구동 장치는, 본체 케이스의 중심축과 평행한 축 둘레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 진동 모터와, 중심축과 직교하는 축 둘레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2 진동 모터와의 2개의 진동 모터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나 코스트의 증대 등의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 특허 문헌 2의 헤어 브러시는, 사용자에 불쾌감을 주는 것을 회피하는 관점으로부터, 브러시모가 신장하고 있는 방향으로의 브러시의 진동을 적극적으로 배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을 그대로 세안 브러시에 적용한 경우, 모공의 내부의 오염물 등을 효율 좋게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1개의 진동 모터에 의해 복잡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피부의 오염물 등을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는 미용기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배치된 브러시부를 가지는 미용기로서,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며, 편심추를 구비한 회전축을 가지는 진동 모터와,
상기 진동 모터를 유지하는 모터 유지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상기 모터 유지부를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모터 유지부로부터 연장 마련되며, 상기 브러시부에 접속되는 브러시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브러시 장착부는, 상기 진동 모터에서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는 미용기이다.
상기 미용기에서의 상기 본체부 내에는, 상기 진동 모터, 상기 모터 유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모터 유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상기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모터 유지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강하게 구속되지 않고 비교적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미용기는, 상기 진동 모터의 진동을, 상기 모터 유지부 및 이것으로부터 연장 마련된 상기 브러시 장착부에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또, 상기 브러시 장착부는, 상기 진동 모터에서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부여되는 상기 브러시 장착부의 진동은, 상기 회전축의 축심 방향으로의 변위와, 이 축심 방향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의 변위를 조합시킨 복잡한 변위를 포함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진동이 상기 브러시 장착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브러시부에 효율 좋게 전해지는 것에 의해, 모공의 깊이 방향으로의 변위와, 이 방향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의 변위를 조합시킨 복잡한 변위를 수반하는 진동을 상기 브러시부의 모(毛)끝에 부여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브러시부에 의해,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등을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의 하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의 부품 전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의 헤드부에 모터 유지부를 장착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 일부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서의, 모터 베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서의, 모터 베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서의, 탄성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서의, 브러시 홀더의 하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에서의, (a) 모터 유지부의 회전 운동, (b) 이 회전 운동에 따른 브러시부의 모끝의 움직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면도(前面圖)이다.
도 14는 실시예 1에서의, (a) 모터 유지부의 경사, (b) 이 경사에 따른 브러시부의 모끝의 움직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1의 미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대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2에서의, 탄성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3에서의, 충전대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3에서의, 충전대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XXI-XXI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상기 미용기에서, 연결부로서는, 여러 가지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는, 본체부 또는 모터 유지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한 걸림부와, 타방에 마련한 피(被)걸림부를 가지며, 걸림부와 피걸림부를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걸리게 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로서, 본체부 또는 모터 유지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한 핀과, 타방에 마련한 링을 구비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핀과 링과의 사이에 적절한 클리어런스(clearance)를 마련하고, 핀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링에 핀을 삽입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부에 대해서 모터 유지부를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또, 연결부로서는, 본체부 또는 모터 유지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한 돌기부와, 타방에 마련한 오목부를 구비한, 이른바 스냅 피트(snap fit)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돌기부와 오목부와의 사이에 적절한 클리어런스를 마련하고, 오목부와의 사이에 여유가 있는 상태로 돌기부를 오목부에 수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상기 모터 유지부를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의 구성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체부에 대해서 모터 유지부를 상대적으로 변위시킬 수 있으면,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연결부는, 본체부와 모터 유지부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탄성 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진동 모터를 진동시켰을 때에 모터 유지부가 탄성 부재로부터 반발력을 받기 때문에, 브러시 장착부에 의해 효율 좋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브러시 장착부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탄성 부재」로서는, 진동 모터로부터 생기는 진동에 수반하여 용이하게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공지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부재 및 금속 스프링이나 수지(樹脂) 스프링 등의 공지의 스프링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탄성 부재는, 진동 모터의 진동과 공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진동 모터를 진동시켰을 때에, 그 진동을 브러시 장착부에 의해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브러시 장착부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연결부가 탄성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경우, 연결부는, 본체부 또는 모터 유지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가이드봉과, 타방에 유지된 탄성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봉은, 탄성 부재를 관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모터 유지부 및 이것에 연결되는 브러시 장착부가, 가이드봉을 따라서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봉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브러시 장착부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해당 방향으로의 브러시부의 모끝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미용기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브러시 장착부는, 진동 모터에서의 회전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브러시 장착부의 진동에서의, 상기 축심 방향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진동이 브러시부의 모끝에 전해지는 것에 의해, 브러시부의 모끝을, 모공의 깊이 방향에 의해 크게 진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등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브러시 장착부의 진동에서의, 상기 축심 방향으로의 진폭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브러시부의 모끝과 피부의 표면과의 마찰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상술한 「브러시 장착부가 진동 모터에서의 회전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는」상태에는, 브러시 장착부의 연장 방향이, 회전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서 기하학상의 직각 방향인 상태와, 회전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서 기하학상의 직각 방향으로부터 약간 경사져 있는 상태가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러시 장착부의 연장 방향과 회전축의 축심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가 75~115°이면, 상술한 작용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있다.
또, 브러시 장착부의 연장 방향과 회전축의 축심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가 90°에 가까워질수록, 모공의 깊이 방향으로의 브러시의 진폭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는, 브러시 장착부의 연장 방향과 회전축의 축심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를 80~1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5~95°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8~92°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브러시 장착부에는, 브러시부가 접속되어 있다. 브러시부는, 브러시 장착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다수의 섬유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브러시 장착부의 진동을 효율 좋게 브러시부의 모끝에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등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브러시 장착부는, 이것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브러시부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브러시부의 회전 운동에 수반하여 피부가 문질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용기의 사용중에서의 피부로의 자극을 보다 저감 할 수 있다.
미용기는, 복수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진동 모터나 모터 유지부의 자중에 의해 연결부 1개소당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연결부의 구조를 보다 간소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미용기를 보다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다.
미용기가 복수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는 경우, 복수의 연결부 중 일부의 연결부는, 진동 모터의 중심에 대해서 회전축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나머지의 연결부는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브러시 장착부의 진동에서의, 상기 축심 방향으로의 변위와, 이 축심 방향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의 변위를 밸런스 좋게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등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미용기는, 3개소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브러시 장착부의 진동에서의, 상기 축심 방향으로의 변위와, 이 축심 방향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의 변위를 밸런스 좋게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등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또, 미용기가 3개소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는 경우, 그 중의 2개소의 연결부는, 진동 모터의 중심에 대해서 회전축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남은 1개소의 연결부는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브러시 장착부의 진동에서의, 상기 축심 방향으로의 변위와, 이 축심 방향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의 변위를 밸런스 좋게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등을 더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모터 유지부에 유지되는 진동 모터로서는, 예를 들면, 실린더형이나 코인형(coin型) 등의 공지의 진동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진동 모터로서는, 실린더형 진동 모터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브러시 장착부의 진동에서의, 상기 축심 방향으로의 변위와, 이 축심 방향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으로의 변위를 밸런스 좋게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등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부는, 다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본체와, 상기 브러시 본체를 유지하는 브러시 홀더와, 상기 브러시 홀더의 외표면에 배치된 브러시 전극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수용된 전류 생성부와, 외표면에 배치된 본체 전극을 가지고 있고, 상기 브러시 전극과 상기 본체 전극이 상기 전류 생성부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와 같이 구성된 미용기에서는, 사용자가 본체 전극을 파지함과 아울러, 브러시 전극과 피부와의 사이에 도전성을 가지는 액상(液狀)이나 포상(泡狀, 거품 모양) 등의 세정제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 브러시 전극, 전류 생성부 및 본체 전극을 포함하는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폐회로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해, 전하를 가지는 오염 성분을 피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혹은, 전하를 띤 미용 성분을 피부에 침투시키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 성분 등은, 부전하(負電荷)를 가지고 있는 것이 많다. 그 때문에, 브러시 전극이 정극(正極)이 되고, 본체 전극이 부극(負極)이 되도록 하여 상기 폐회로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해, 이들 오염 성분 등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세정제 중에 전하를 띤 미용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미용 성분이 피부로 침투하는 미약 전류를 상기 폐회로에 흘리는 것에 의해, 미용 성분의 피부 내부로의 침투를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타민 C 유도체 등의 미용 성분은, 전리(電離)하는 것에 의해 부전하를 띤다. 그 때문에, 브러시 전극이 부극이 되고, 본체 전극이 정극이 되도록 하여 상기 폐회로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해, 피부 내부로의 침투를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미용기의 본체부는 막대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진동 모터 및 모터 유지부는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에 수용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체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용기의 사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브러시부는, 본체부의 측둘레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브러시부의 모끝을 용이하게 피부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용기의 사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상기 미용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용기(1)는, 본체부(2)와, 본체부(2)의 외측에 배치된 브러시부(brush部)(3)를 가지고 있다. 또, 미용기(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추(41)를 구비한 회전축(42)을 가지는 진동 모터(4)와, 진동 모터(4)를 유지하는 모터 유지부(5)와, 본체부(2)에 대해서 모터 유지부(5)를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부(11(11a, 11b))와, 모터 유지부(5)로부터 연장 마련되며, 브러시부(3)에 접속되는 브러시 장착부(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러시 장착부(6)는, 진동 모터(4)에서의 회전축(42)의 축심 방향(420)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용기(1)의 본체부(2)는 막대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모터(4) 및 모터 유지부(5)는 본체부(2)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에 수용되어 있다. 또, 도 4~도 6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나사나 전선 등의 접속 부품의 기재를 일부 생략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모터(4)의 회전축(42)은, 본체부(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러시 장착부(6)는, 진동 모터(4)에서의 회전축(42)의 축심 방향(420)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다. 브러시 장착부(6)는, 본체부(2)의 외부까지 연장 마련되어 있다. 또, 브러시 장착부(6)의 선단에는, 브러시부(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브러시부(3)는, 본체부(2)의 측둘레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예의 브러시부(3)는, 브러시 장착부(6)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다수의 섬유를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 진동 모터(4)에서의 회전축(42)의 축심 방향(420)을 「전후 방향(X)」, 전후 방향(X)에서의 진동 모터(4)가 수용되어 있는 측을 「전방(X1)」, 그 반대측을 「후방(X2)」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브러시 장착부(6)의 연장 방향을 「상하 방향(Z)」, 상하 방향(Z)에서의 브러시부(3)측을 「하방(Z2)」, 그 반대측을 「상방(Z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 양쪽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Y)」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미용기(1)의 방향에 관한 이들 기재는 모두 편의상의 것이며, 미용기(1)를 실제로 사용할 때의 방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본 예의 미용기(1)에서, 전후 방향(X)에서의 본체부(2)의 단면 형상은 대략 타원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X)에서의 본체부(2)의 중앙부(20)는, 양단부에 비해 약간 가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는, 브러시 장착부(6)가 돌출하고 있는 하측 하우징(21)과, 나사(221)(도 6 참조)를 매개로 하여 하측 하우징(21)에 체결되는 중간 하우징(22)과, 중간 하우징(22)에 걸리는 상측 하우징(23)을 가지고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21)은, 본체부(2)의 하측 절반의 외벽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측 하우징(23)은, 본체부(2)의 상측 절반의 외벽을 구성하고 있다.
본체부(2)의 외표면에서의, 하측 하우징(21)과 상측 하우징(23)과의 사이에는, 중간 하우징(22)의 외주(外周) 단부 가장자리가 노출되어 있다. 하측 하우징(21), 중간 하우징(22) 및 상측 하우징(23)은, ABS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 중간 하우징(22)의 표면에는, 도전성을 가지는 도금막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21)과 중간 하우징(22)과의 사이에는, 미용기(1)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품을 수용하는 중공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21)의 외측 둘레 단부 가장자리와 중간 하우징(22)의 외측 둘레 단부 가장자리와의 사이에는, O링(211)이 끼워 지지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하우징(22)과, 이것을 하측 하우징(21)에 체결하는 나사(221)와의 사이에도 O링(222)이 끼워 지지되어 있다. 미용기(1)는, 이들 O링(211, 222)에 의해, 하측 하우징(21)과 중간 하우징(22)과의 사이로부터 중공부(25) 내로의 수분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21)은, 브러시 장착부(6)가 돌출하고 있는 개구부(212)의 주위에, 브러시 수용벽부(214)를 가지고 있다. 브러시 수용벽부(214)는, 하측 하우징(21)으로부터 하방(Z2)을 향해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브러시 수용벽부(214)의 내측에는, 브러시부(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21)은, 전방(X1)의 단부에, 3개의 가이드봉(24)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봉(24)은, 상방(Z1)을 향해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가이드봉(24)의 상단부에는, E링(241)(도 5 및 도 7 참조)을 장착하기 위한 걸림 홈(242)(도 7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유지부(5)는, 가이드봉(24)에 장착되는 모터 베이스(51)와, 모터 베이스(51)와의 사이에 진동 모터(4)를 유지하는 모터 커버(52)를 가지고 있다.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51)는, 판 모양부(511)와, 판 모양부(511)로부터 상방(Z1)을 향해 돌출한 모터 받이부(512)를 가지고 있다. 본 예의 판 모양부(511) 및 모터 받이부(512)는, ABS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판 모양부(511)는, 3개소의 관통공(513)(도 10 참조)을 가지고 있다. 또, 도 7,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513)에는, 탄성 부재(53)가 상하 방향(Z)의 양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본 예의 탄성 부재(53)는, 스틸렌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53)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봉(24)이 삽입 통과되는 삽통공(揷通孔)(531)을 구비하며, 원반(圓盤) 모양을 나타내는 고무 베이스부(532)와, 삽통공(531)의 주위에 세워 마련된 4개소의 돌기(533)를 가지고 있다. 각 돌기(533)의 폭은, 서로 이웃하는 돌기(533) 사이의 간격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513) 내에서는, 한 쌍의 탄성 부재(53(53a, 53b)) 중 일방의 탄성 부재(53a)에서의 서로 이웃하는 돌기(533a)의 사이에 타방의 탄성 부재(53b)의 돌기(533b)가 삽입되어 있다. 또, 판 모양부(511)는, 한 쌍의 고무 베이스부(532(532a, 532b))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있다.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53)에는, 하측 하우징(21)의 가이드봉(24)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봉(24)은, 탄성 부재(53)의 상단면 보다도 상방(Z1)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돌출 부분에는, E링(241)을 장착하는 걸림 홈(242)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홈(242)에 E링(241)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하측 하우징(21)에 대해서 모터 베이스(51)를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연결부(11)는, 모터 베이스(51)의 판 모양부(511)에 유지된 탄성 부재(53)와 하측 하우징(21)에 마련된 가이드봉(24)과, 걸림 홈(242)에 장착된 E링(24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예의 미용기(1)는, 3개소의 연결부(11)를 가지고 있다. 각 연결부(11)는, 본체부(2)에 마련된 가이드봉(24)과, 모터 베이스(51)에 유지된 탄성 부재(53)를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봉(24)은, 탄성 부재(53)를 관통하고 있다.
모터 커버(52)는, 도 5에 나타내는 나사(521)에 의해 모터 받이부(512)에 체결되어 있다. 모터 커버(52)와 모터 받이부(512)와의 사이에는, 진동 모터(4)가 끼워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예의 모터 커버(52)는, ABS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진동 모터(4)는, 실린더형 진동 모터(4)이다. 진동 모터(4)는, 회전축(42)의 축심 방향(420)이 본체부(2)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진동 모터(4)의 편심추(41)는, 전후 방향(X)에서의 전방(X1)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소의 연결부(11(11a, 11b)) 중 2개소의 연결부(11a)는, 진동 모터(4)의 중심(重心)(40)에 대해서 회전축(42)의 축심 방향(420)에서의 전방(X1)측에 배치되어 있고, 남은 1개소의 연결부(11b)는 후방(X2)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러시 장착부(6)는, 상면에서 보아, 3개소의 관통공(513)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러시 장착부(6)는, 판 모양부(511)와 일체로 형성된 통 모양부(61)와, 통 모양부(61)를 상하 방향(Z)으로 관통하는 샤프트(62)를 가지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모양부(61)의 하방(Z2)의 단부는, 하측 하우징(21)의 개구부(212)를 매개로 하여 본체부(2)의 외측까지 연장 마련되어 있다.
또, 개구부(212)에서의 하측 하우징(21)과 통 모양부(61)와의 사이는, 씰 부재(213)에 의해 막혀져 있다. 이 씰 부재(213)에 의해, 개구부(212)로부터 중공부(25) 내로의 수분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씰 부재(213)는, 니트릴고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샤프트(62)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62)의 상방(Z1)의 단부는, 중공부(25) 내까지 연장 마련되어 있다. 또, 샤프트(62)의 상단면에는, 샤프트(62)와 전류 생성부(12)(후술)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나사 구멍(621)(도 7 및 도 10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62)의 하방(Z2)의 단부는, 통 모양부(61)보다도 하방(Z2)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돌출 부분은, 육각 기둥 모양을 나타내는 회전 규제부(622)와, 회전 규제부(622)로부터 하방(Z2)으로 돌출한 브러시 걸림부(623)를 가지고 있다. 브러시 걸림부(623)에는, 브러시부(3)를 걸리게 하기 위한 홈부(624)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러시부(3)는, 다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본체(31)와, 브러시 본체(31)를 유지하는 브러시 홀더(32)를 가지고 있다. 브러시 본체(31)의 섬유는, 상하 방향(Z), 즉, 브러시 장착부(6)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러시 홀더(32)는, 컵 모양을 나타내는 홀더 본체부(321)와, 하면에서 볼 때 홀더 본체부(321)의 중앙에 배치된 스프링 커버(322)(도 6 참조)와, 홀더 본체부(321)와 스프링 커버(322)와의 사이에 유지된 브러시 장착 스프링(323)을 가지고 있다. 도 4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부(321)의 중앙에는, 샤프트(62)에서의 회전 규제부(622)(도 8 참조)의 형상에 대응한 육각형의 관통공(3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24)에 회전 규제부(622)를 삽입함과 아울러 홈부(624) 내에 브러시 장착 스프링(323)을 걸리게 하는 것에 의해, 브러시부(3)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관통공(324)에 회전 규제부(622)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브러시부(3)가 장착된 상태에서, 브러시 장착부(6)를 회전 중심으로 하는 브러시부(3)의 회전 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본 예의 미용기(1)에서 진동 모터(4)의 편심추(41)를 회전시키면, 그 관성에 의해, 진동 모터(4)가 진동한다. 그리고, 진동 모터(4)의 진동에 수반하여, 모터 유지부(5)에 미소(微小)한 변위나 경사가 발생한다. 모터 유지부(5)의 변위나 경사의 방향은, 진동 모터(4)의 회전수나, 모터 유지부(5) 등의 구체적인 형상 등에 의해서 여러 가지의 방향으로 변화한다.
예를 들면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유지부(5)는, 편심추(41)의 관성에 의해서,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된 중심축(C1)의 둘레를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화살표 A1). 이 회전 운동이 브러시 장착부(6)를 매개로 하여 브러시부(3)로 전해지면,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러시 본체(31)의 모끝(311)이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된 중심축(C2)의 둘레를 회전한다(화살표 A2). 그 결과, 브러시 본체(31)의 모끝(311)에, 폭방향(Y)으로의 변위 및 상하 방향(Z)으로의 변위를 수반하는 진동이 부여된다.
또, 본 예에서는, 편심추(41)의 회전 중심(中心)의 위치와, 진동 모터(4)의 중심(重心)이 전후 방향(X)에서 다르다. 그 때문에, 편심추(41)의 회전에 따라서 폭방향(Y)으로 연장된 중심축 둘레의 회전 모멘트가 생기고,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유지부(5)가 전후 방향(X)으로 경사지는 경우가 있다(화살표 B1). 이 경사가 브러시 장착부(6)를 매개로 하여 브러시부(3)로 전해지면,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러시 본체(31)의 모끝(311)에 전후 방향(X)으로의 변위 및 상하 방향(Z)으로의 변위를 수반하는 진동이 부여된다(화살표 B2).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브러시 본체(31)의 모끝(311)의 움직임은 일례이며, 모터 유지부(5)가 여러 가지의 방향으로 진동하거나, 혹은 경사지는 것에 의해, 전후 방향(X), 폭방향(Y) 및 상하 방향(Z)으로의 변위를 조합시킨 복잡한 변위를 수반하는 진동을 브러시 본체(31)의 모끝(311)에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예의 미용기(1)의 그 외의 부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21)과 중간 하우징(22)과의 사이의 중공부(25)에는, 전류 생성부(12) 및 수전(受電) 코일부(13)가 수용되어 있다. 전류 생성부(12)는, 진동 모터(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121)과, 제어 기판(121) 및 진동 모터(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22)를 가지고 있다. 제어 기판(121)과 전원부(122)는 서로 걸려져 있으며, 전후 방향(X)에서의 미용기(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기판(121)은, 진동 모터(4), 전원부(122) 및 수전(受電) 코일부(13)의 각각과, 도시하지 않은 전선을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예의 전원부(122)는, 2차 전지이다. 수전 코일부(13)는, 전후 방향(X)에서의 후방(X2)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수전 코일부(13)는, 미용기(1)의 외부에 배치한 송전 코일로부터 송신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전 코일부(13)가 수신한 전력은, 제어 기판(121)을 매개로 하여 전원부(122)에 충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예의 미용기(1)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충전대(7)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다. 충전대(7)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용기(1)의 후방 단부(17), 즉 수전 코일부(13)가 내장되어 있는 측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71)를 가지고 있으며, 오목부(71) 내에 미용기(1)의 후방 단부(17)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충전대(7)의 내부에는, 송전 코일(72)이 수용되어 있다. 송전 코일(72)은, 미용기(1)의 후방 단부(17)가 오목부(71) 내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충전대(7)의 벽부(711) 및 하측 하우징(21)(도시 생략)을 매개로 하여 수전 코일부(13)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예의 미용기(1)는, 사용시에 피부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해, 전하를 가지는 오염 성분 등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브러시부(3)는, 다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본체(31)와, 브러시 본체(31)를 유지하는 브러시 홀더(32)와, 브러시 홀더(32)의 외표면에 배치된 브러시 전극(325)을 가지고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는, 내부에 수용된 전류 생성부(12)와, 외표면에 배치된 본체 전극(14)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브러시 전극(325)과 본체 전극(14)이 전류 생성부(12)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예의 브러시 전극(325)은, 도전성을 가지는 도금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러시 전극(325)은, 홀더 본체부(321)의 표면에 마련되어 있고, 브러시 장착 스프링(323)을 매개로 하여 브러시 장착부(6)의 샤프트(6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샤프트(62)의 상방(Z1)의 단부에 마련된 나사 구멍(621)에는, 제어 기판(121)으로부터 연장 마련된 전선의 단자(123)(도 5, 도 7 참조)가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 전극(325)과 전류 생성부(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본 예의 본체 전극(14)은, 도전성을 가지는 도금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전극(14)은, 중간 하우징(22)의 표면에 마련되어 있고,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의 외표면에서의 하측 하우징(21)과 상측 하우징(23)과의 사이에 노출되어 있다. 또, 본체 전극(14)은, 중공부(25)의 내부에서, 제어 기판(121)으로부터 상방(Z1)을 향해 세워 마련된 통전(通電) 스프링(124)(도 4~도 6 참조)에 맞닿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 전극(14)과 전류 생성부(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예의 미용기(1)는, 하면에서 볼 때 하측 하우징(21)의 중앙부에 배치된 스위치 플레이트(15)(도 2 및 도 3 참조)를 매개로 하여 제어 기판(121)의 전환 스위치(도시 생략)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진동 모터(4)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와의 전환, 및 브러시 전극(325)과 본체 전극(14)을 매개로 하여 피부에 흘리는 미약 전류의 발생과 정지와의 전환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21)에서의 브러시 수용벽부(214)의 내측에는, 발광 모듈(16)이 배치되어 있다. 발광 모듈(16)은, 도시하지 않은 전선을 매개로 하여 제어 기판(1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발광 모듈(16)은, 진동 모터(4)가 온 상태로 되어 있을 때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광 모듈(16)의 하방(Z2)은, 덮개부(161)에 의해 덮여져 있다. 덮개부(161)와 브러시 수용벽부(214)와의 사이에는, O링(162)이 끼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부(161)와 브러시 수용벽부(214)와의 사이로부터 발광 모듈(16)측으로 수분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용기(1)에서는, 진동 모터(4)를 유지하는 모터 유지부(5)가, 본체부(2)에 대해서, 연결부(11)를 매개로 하여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체부(2)에 대한 모터 유지부(5)의 상대적인 위치를, 본체부(2)로부터 강하게 구속되지 않고 비교적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미용기(1)는, 본체부(2)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진동 모터(4)의 진동을, 모터 유지부(5) 및 이것으부터 연장 마련된 브러시 장착부(6)에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브러시 장착부(6)는, 진동 모터(4)에서의 회전축(42)의 축심 방향(420)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진동 모터(4)에 의해 부여되는 브러시 장착부(6)의 진동은, 회전축(42)의 축심 방향(420)(전후 방향(X))으로의 변위와, 축심 방향(420)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폭방향(Y), 상하 방향(Z))으로의 변위를 조합시킨 복잡한 변위를 수반하게 된다. 그리고, 이 진동이 브러시 장착부(6)를 매개로 하여 브러시부(3)에 효율 좋게 전해지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3이나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공(H)의 깊이 방향(상하 방향(Z))으로의 변위와 이 방향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전후 방향(X), 폭방향(Y))으로의 변위를 조합시킨 복잡한 진동을 수반하는 진동을 브러시부(3)의 모끝(311)에 부여할 수 있다. 그 결과, 브러시부(3)에 의해,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등을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예에서는, 브러시 장착부(6)는, 축심 방향(420)에 대해서 직각 방향(상하 방향(Z))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브러시 장착부(6)의 진동에서의, 축심 방향(420)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폭방향(Y), 상하 방향(Z))으로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축심 방향(420)(전후 방향(X))으로의 진폭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브러시부(3)의 모끝(311)을, 모공의 깊이 방향에 의해 크게 진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브러시부(3)의 모끝(311)과 피부의 표면과의 마찰을 보다 경감하면서,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등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11)는, 본체부(2)와 모터 유지부(5)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탄성 부재(53)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진동 모터(4)를 진동시켰을 때에 모터 유지부(5)가 탄성 부재(53)로부터 반발력을 받고, 브러시 장착부(6)에 의해 효율 좋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브러시 장착부(6)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연결부(11)는, 본체부(2)에 마련된 가이드봉(24)과, 모터 유지부(5)에 유지된 탄성 부재(53)를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봉(24)은, 탄성 부재(53)를 관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모터 유지부(5) 및 이것에 연결되는 브러시 장착부(6)가, 가이드봉(24)을 따라서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이드봉(24)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브러시 장착부(6)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또, 미용기(1)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행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용기(1)는, 3개소의 연결부(11)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진동 모터(4)나 모터 유지부(5)의 자중에 의해 각 연결부(11)에 가하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부(11)의 구조를 보다 간소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미용기(1)를 보다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다.
3개소의 연결부(11) 중 2개소의 연결부(11)는, 진동 모터(4)의 중심(重心)에 대해서 회전축(42)의 축심 방향(420)에서의 전방(X1)측에 배치되어 있고, 남은 1개소의 연결부(11)는 후방(X2)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브러시 장착부(6)는, 진동 모터(4)에서의 회전축(42)의 축심 방향(420)(전후 방향(X))에 대해서 직각 방향(상하 방향(Z))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진동 모터(4)로서, 실린더형 진동 모터(4)가 채용되어 있다. 이들의 결과, 브러시 장착부(6)의 진동에서의, 축심 방향(420)으로의 변위(전후 방향(X))와, 축심 방향(420)에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폭방향(Y), 상하 방향(Z))으로의 변위를 밸런스 좋게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부(3)의 모끝에 의해 복잡한 진동을 부여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등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브러시 장착부(6)는, 이것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브러시부(3)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622)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브러시부(3)의 회전 운동에 수반하여 피부가 문질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용기(1)의 사용중에서의 피부로의 자극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브러시부(3)는, 브러시 장착부(6)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다수의 섬유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브러시 장착부(6)의 진동을 효율 좋게 브러시부(3)의 모끝에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부의 표면이나 모공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 등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또, 브러시부(3)는, 다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본체(31)와, 브러시 본체(31)를 유지하는 브러시 홀더(32)와, 브러시 홀더(32)의 외표면에 배치된 브러시 전극(325)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2)는, 내부에 수용된 전류 생성부(12)와, 외표면에 배치된 본체 전극(14)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브러시 전극(325)과 본체 전극(14)이 전류 생성부(12)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본체 전극(14)을 파지함과 아울러, 브러시 전극(325)과 피부와의 사이에 도전성을 가지는 액상이나 포상 등의 세정제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 브러시 전극(325), 전류 생성부(12) 및 본체 전극(14)을 포함하는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폐회로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해, 전하를 가지는 오염 성분을 피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전하를 가지는 오염 성분 등을 보다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또, 본체부(2)는 막대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진동 모터(4) 및 모터 유지부(5)는 본체부(2)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본체부(2)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용기(1)의 사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브러시부(3)는, 본체부(2)의 측둘레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브러시부(3)의 모끝을 용이하게 피부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용기(1)의 사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본 예는, 탄성 부재의 형상을 변경한 예이다. 또, 본 실시예 이후에서 이용하는 부호 중, 기출(旣出)의 실시예에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것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기출의 실시예에서의 구성 요소등과 동일한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낸다. 본 예의 탄성 부재(54)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모양을 나타내는 고무 베이스부(541)와, 고무 베이스부(541)의 개구단(開口端)으로부터 그 중심축 방향(상하 방향(Z))으로 연장 마련된 한 쌍의 테이퍼부(542)와, 고무 베이스부(541)와 테이퍼부(542)와의 경계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한 쌍의 플랜지부(543)를 가지고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부(542)는, 고무 베이스부(541)의 개구단을 기단으로 하여, 고무 베이스부(541)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중심축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연장 마련되어 있다. 또, 테이퍼부(542)의 선단에는, 가이드봉(24)이 삽입 통과되는 개구부(544)가 마련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543)는, 고무 베이스부(541)와 테이퍼부(542)와의 경계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54)가 모터 베이스(51)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무 베이스부(541)는, 판 모양부(511)의 관통공(513)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판 모양부(511)는, 한 쌍의 플랜지부(543)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봉(24)은, 테이퍼부(542)의 개구부(544)를 매개로 하여 탄성 부재(54)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 부재(54)를 관통하고 있다. 고무 베이스부(541)의 내표면은, 가이드봉(24)의 외표면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본 예와 같이, 고무 베이스부(541)의 내표면을 가이드봉(24)의 외표면으로부터 이간시키는 것에 의해, 탄성 부재(54)가 이동할 때에 생기는 가이드봉(24)과의 마찰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예의 탄성 부재(54)는, 가이드봉(24)을 따르는 방향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54)가 해당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에 의해, 해당 방향으로의 브러시 장착부(6)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해당 방향으로의 브러시부(3)의 모끝(311)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 테이퍼부(542)는, 비교적 강성이 낮기 때문에, E링(241)이나 하측 하우징(21)과 접촉했을 때에 용이하게 변형한다. 그리고, 테이퍼부(542)가 변형하면, 고무 베이스부(541)를 E링(241) 또는 하측 하우징(21)에 더욱 접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무 베이스부(541)의 양단에 테이퍼부(54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탄성 부재(54)의 가이드봉(24)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이드봉(24)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브러시 장착부(6)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해당 방향으로의 브러시부(3)의 모끝(311)의 진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예는, 충전대의 형상을 변경한 예이다. 본 예의 충전대(703)는, 도 19~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용기(1)의 후방 단부(17)의 전체 둘레를 덮도록 구성된 오목부(713)를 가지고 있다. 충전대(703)의 내부에는, 송전 코일(72)이 수용되어 있다. 송전 코일(72)은, 미용기(1)의 후방 단부(17)가 오목부(7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충전대(703)의 벽부(711) 및 하측 하우징(21)(도시 생략)을 매개로 하여 수전 코일부(13)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와 같이, 오목부(713)의 형상을 미용기(1)의 후방 단부(17)의 전체 둘레를 덮는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오목부(713) 내에 삽입된 미용기(1)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미용기는, 상술한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진동 모터(4)에서의 회전축(42)의 축심 방향과, 브러시 장착부(6)의 연장 방향이 직교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상기 축심 방향과 상기 연장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가 90°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브러시부(3)에서의 섬유가 연장되는 방향을 브러시 장착부(6)의 연장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연결부(11)의 수나 배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연결부(11)로서, 가이드봉(24)과, 링 모양의 탄성 부재(53, 54)를 가지는 구성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 구성 대신에, 예를 들면 상술한 스냅 피트 구조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돌기부를 오목부에 걸리게 한다고 하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연결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미용기(1)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브러시 장착부(6)에 마련한 회전 규제부(622)는, 육각 기둥 모양 이외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 회전 규제부로서는, 브러시부(3)를 브러시 장착부(6)에 걸리게 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 모양부(61) 또는 샤프트(62)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킨 돌기라도 좋다. 이 돌기를 브러시 홀더(32)에 걸리게 하는 것에 의해, 브러시부(3)의 회전 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중간 하우징(22)에 마련한 본체 전극(14) 및 브러시 홀더(32)에 마련한 브러시 전극(325)은, 생략할 수도 있다.
본 예의 전원부(122)에는 2차 전지를 채용했지만, 2차 전지 대신에 1차 전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수전 코일부(13)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전원부(122)에 2차 전지를 이용하는 경우, 본체부(2)에 충전 단자를 마련하고, 유선에 의해 충전을 행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괜찮다.

Claims (14)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배치된 브러시부(brush部)를 가지는 미용기로서,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며, 편심추를 구비한 회전축을 가지는 진동 모터와,
    상기 진동 모터를 유지하는 모터 유지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상기 모터 유지부를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모터 유지부로부터 연장 마련되며, 상기 브러시부에 접속되는 브러시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브러시 장착부는, 상기 진동 모터에서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는 미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모터 유지부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탄성 부재를 가지고 있는 미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모터 유지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가이드봉과, 타방에 유지된 상기 탄성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탄성 부재를 관통하고 있는 미용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장착부는, 상기 진동 모터에서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는 미용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기는, 복수의 상기 연결부를 가지고 있는 미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결부 중 일부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진동 모터의 중심(重心)에 대해서 상기 회전축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나머지의 상기 연결부는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미용기.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미용기는, 3개소의 상기 연결부를 가지고 있는 미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3개소의 상기 연결부 중 2개소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진동 모터의 중심에 대해서 상기 회전축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남은 1개소의 상기 연결부는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미용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브러시 장착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다수의 섬유를 가지고 있는 미용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장착부는, 상기 브러시 장착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브러시부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가지고 있는 미용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는, 실린더형 진동 모터인 미용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다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본체와, 상기 브러시 본체를 유지하는 브러시 홀더와, 상기 브러시 홀더의 외표면에 배치된 브러시 전극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수용된 전류 생성부와, 외표면에 배치된 본체 전극을 가지고 있고, 상기 브러시 전극과 상기 본체 전극이 상기 전류 생성부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미용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막대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진동 모터 및 상기 모터 유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에 수용되어 있는 미용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둘레면에 배치되어 있는 미용기.
KR1020177026091A 2016-06-07 2017-06-05 미용기 KR102503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6084A KR102656616B1 (ko) 2016-06-07 2017-06-05 미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13824 2016-06-07
JP2016113824A JP7002186B2 (ja) 2016-06-07 2016-06-07 美容器
PCT/JP2017/020819 WO2017213081A1 (ja) 2016-06-07 2017-06-05 美容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084A Division KR102656616B1 (ko) 2016-06-07 2017-06-05 미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17A true KR20190017617A (ko) 2019-02-20
KR102503570B1 KR102503570B1 (ko) 2023-02-24

Family

ID=605785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084A KR102656616B1 (ko) 2016-06-07 2017-06-05 미용기
KR1020177026091A KR102503570B1 (ko) 2016-06-07 2017-06-05 미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084A KR102656616B1 (ko) 2016-06-07 2017-06-05 미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455930B2 (ko)
EP (1) EP3466301A4 (ko)
JP (1) JP7002186B2 (ko)
KR (2) KR102656616B1 (ko)
CN (1) CN107847045A (ko)
HK (1) HK1250208A1 (ko)
SG (1) SG11201708043TA (ko)
TW (1) TWI721174B (ko)
WO (1) WO2017213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4362B1 (ja) * 2021-08-05 2022-01-21 株式会社レーベン 肌ブラシ
US11660466B2 (en) * 2021-09-03 2023-05-30 Led Technologies Inc. Skin therap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280B2 (ko) 1973-12-10 1979-07-13
JP2013013601A (ja) * 2011-07-05 2013-01-24 Lion Corp 頭皮洗浄ブラシ
WO2015168076A1 (en) * 2014-04-29 2015-11-05 Elc Management Llc Powered skin care device
JP2015213557A (ja) 2014-05-08 2015-12-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振動体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280U (ko) 1977-07-10 1979-02-07
JPS5419280A (en) 1977-07-12 1979-02-13 Ntn Toyo Bearing Co Ltd Rivet caulking device
ATE326894T1 (de) * 2002-05-21 2006-06-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Gerät zum behandeln der haut eines menschen
US7306569B2 (en) 2004-06-30 2007-12-11 Aldran H. LaJoie Systems and methods for skin care
US7384405B2 (en) * 2004-09-10 2008-06-10 Rhoades Dean L Oxygenating cosmetic instrument having various numbers of heads
JP4960384B2 (ja) * 2006-02-03 2012-06-27 グッド バイブレーションズ フィット ドュルヒ シュビングンク エー.カー.イーエヌハー.フォルカー ハルター 手動案内される器具およびそれと結合可能な工具
WO2008107241A1 (en) 2007-03-02 2008-09-12 Unilever Plc Vibrating hair brush
JP2014117496A (ja) 2012-12-18 2014-06-30 Mtg:Kk 美容器具
KR101385515B1 (ko) * 2013-05-31 2014-04-16 (주)아모레퍼시픽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재질의 화장용 슬림모 브러쉬를 갖는 세안장치
WO2014192307A1 (ja) 2013-05-31 2014-12-04 ヤーマン株式会社 超音波振動美容器
CN103919505B (zh) * 2014-05-06 2017-02-15 周鄂林 面部清洁器
CN107224232B (zh) * 2016-03-25 2020-03-27 泰金宝电通股份有限公司 洗脸机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280B2 (ko) 1973-12-10 1979-07-13
JP2013013601A (ja) * 2011-07-05 2013-01-24 Lion Corp 頭皮洗浄ブラシ
WO2015168076A1 (en) * 2014-04-29 2015-11-05 Elc Management Llc Powered skin care device
JP2015213557A (ja) 2014-05-08 2015-12-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振動体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570B1 (ko) 2023-02-24
TW201808157A (zh) 2018-03-16
US10455930B2 (en) 2019-10-29
WO2017213081A1 (ja) 2017-12-14
HK1250208A1 (zh) 2018-12-07
KR102656616B1 (ko) 2024-04-12
SG11201708043TA (en) 2018-11-29
JP7002186B2 (ja) 2022-01-20
JP2017217209A (ja) 2017-12-14
KR20230031380A (ko) 2023-03-07
US20180184794A1 (en) 2018-07-05
EP3466301A4 (en) 2019-12-25
EP3466301A1 (en) 2019-04-10
TWI721174B (zh) 2021-03-11
CN107847045A (zh)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2709B2 (ja) 動力式スキンケア装置
EP3136924B1 (en) Powered skin care device
JP5798324B2 (ja) 振動発生装置
KR20190017617A (ko) 미용기
JP2017518095A (ja) 動力式スキンケア装置
KR101643402B1 (ko) 클렌징장치
JP6998110B2 (ja) 美容器
CN107617160B (zh) 美容器
JPH0642661Y2 (ja) 電動歯ブラシ
JP2022171716A (ja) ブラシヘッド及び電動歯ブラシ
JP5958910B2 (ja) 頭皮ケア装置
KR100913359B1 (ko) 목마사지장치
KR101804425B1 (ko) 두피 및 모발 마사지용 진동 브러쉬
JP5958909B2 (ja) 頭皮ケア装置
CN214155825U (zh) 一种清洁附件及具有其的清洁设备
JP2023044530A (ja) マッサージ装置
JP2014108157A (ja) 頭皮ケア装置
KR20160002678U (ko) 전동 미용기구
EP4321052A1 (en) Electric toothbrush
JP2021037108A (ja) 電動歯ブラシ
JP2014108158A (ja) 頭皮ケア装置
JP2012135376A (ja) 電動歯間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