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289A -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289A
KR20190016289A KR1020170100327A KR20170100327A KR20190016289A KR 20190016289 A KR20190016289 A KR 20190016289A KR 1020170100327 A KR1020170100327 A KR 1020170100327A KR 20170100327 A KR20170100327 A KR 20170100327A KR 20190016289 A KR20190016289 A KR 20190016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bill counter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환
김대완
고창호
고인수
박우정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6289A/ko
Publication of KR2019001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통신망에 연결된 지폐계수기, 및 제1 통신망과 물리적/논리적으로 분리된 기관 전용망에 연결된 관리자단말과 통신하여 지폐계수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에 요청하는 단계와, 관리자단말로부터 제2 통신망을 통해 접속허가권을 수신하는 단계와, 접속허가권에 의거하여 제1 통신망에 접속하여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조건에 따라 지폐계수기에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의 원격제어방법이다.

Description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방법{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BILL COUNTER}
본 발명은 보안상 공용망과 분리된 폐쇄적 전용통신망을 사용하는 기관 측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지폐계수기들에 대한 필요한 정보 갱신이나 상황별 보고 등을 위한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계수기는 은행, 우체국, 증권회사, 보험회사, 백화점, 대형 유통점, 카지노, 프렌차이즈점, 현금수송업체, 환전소 등의 다량 다종의 지폐를 취급하는 기관에서 지폐를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세고 분류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로서, 권종인식, 위폐감별, 정사분류, 일련번호인식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지폐 계수기는 내장된 각종 센서와 기계적 요소의 빈번한 사용으로 장비상태 점검 또한 자주 요구되는 기기이며, 국가별로 다양한 권종이 존재하고 최근에는 국가마다 새로운 디자인의 지폐(신권)를 발행하는 주기가 짧아져 지폐계수기에 내장되는 신권 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횟수도 증가하는 추세이고 디지털 전자 기술의 발달로 위폐의 제작이 용이해져 새로운 유형의 위폐가 자주 출현하는 등 위폐정보도 방대하고 다양해지고 있는 바, 이러한 지폐계수기의 필요한 정보 업데이트 작업을, 특히 원격지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지폐계수기들의 경우, 유지보수 엔지니어가 현장에 가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그 업데이트 작업의 횟수가 계속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도한 시간과 비용 및 인력자원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지폐계수기와 관련해서는 지폐 처리 정보나 기기 상태 정보에 대한 활용과 긴급상황에서의 신속한 유지보수 및 정보 갱신 또는 상황 보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상기와 같은 기관의 전용통신망의 보안상의 한계로 인해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지폐계수기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이나 생성 정보의 활용이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와 같은 기관에 판매되어 운용되는 지폐계수기는 해당 기관의 소유이고 해당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전용통신망은 외부에서는 접근이 불가한 폐쇄망이므로, 지폐계수기 제조업체나 유지보수업체가 다양한 지역의 원격지에서 운용되고 있는 다수의 지폐계수기들에 대한 자체적 원격 통신망 구축도 현실적으로 어렵고 지폐계수기에서 생성되는 지폐처리정보 역시 그 기관의 소유로서 무단 반출이나 활용이 어렵다.
한편, 이러한 지폐계수기에 상기와 같은 기관의 전용통신망과 접속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소정의 허가된 전용 통신모듈을 탑재시키는 방안도 있으나, 이 경우 정부의 공인된 전문기관(예: 국가정보원)을 통해 장기간(통상, 6개월)에 걸친 엄격한 보안인증시험(예: CC인증)에 합격해야 하고 그 후에도 정기적으로 보안인증시험을 받아야 하므로, 지폐계수기에 이러한 수준의 전용 통신모듈을 탑재시키는 것은 지폐계수기의 원가 대비 경제성과 효율성을 현저히 떨어뜨리게 되는 단점이 있어, 이 방안 역시 지폐계수기 업계에서는 전혀 활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지폐계수기의 지폐처리결과나 기기상태정보의 제공 및 활용에 의해 지폐계수 및 지폐판별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지폐계수기에 대한 원격 네트워크 접근은 SW 업그레이드나 권종정보, 위폐정보, 정사정보, 일련번호정보와 같은 필요한 정보의 갱신 등의 제어작업에 있어서 일괄적인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지폐계수기 기술분야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관 전용통신망의 보안을 위한 폐쇄성을 유지하면서도 제조업체나 유지보수업체가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링크를 구성하여 지폐계수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공개특허 제2013-0087140호(지폐계수기 및 그 제어방법)를 보면, 계수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지폐계수기 관련 기술이 계수 데이터 확인의 신뢰성 확보에 머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네트워크 구축 및 원격제어 관련, 공개특허 제2005-0076337호(금융자동화기기의 원격제어시스템)는, 종래의 FTP 서버, 웹서버 등을 이용하여 ATM같은 금융자동화기기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였으나, 기관의 망 폐쇄성 및 보안성 유지 등의 문제에 대한 해법이 없고 본 발명의 지폐계수기 분야에 적용될 여지가 적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통신보안상 공용통신망과 분리된 기관 전용통신망의 보안성 및 폐쇄성을 유지하면서 기관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지폐계수기들에 대한 원격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언제 어디서든 유지보수서버에서 원격 제어하고 지폐계수기의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거나 지폐계수기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 통신망에 연결된 지폐계수기, 및 상기 제1 통신망과 물리적/논리적으로 분리된 기관 전용망에 연결된 관리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지폐계수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자단말로부터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접속허가권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허가권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조건에 따라 상기 지폐계수기에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일 측면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통신망에 연결된 지폐계수기 및 제2 통신망에 연결된 유지보수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지폐계수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지보수서버로부터 요청 받는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서버로부터의 상기 접속허가권 요청에 대해 상기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허가 여부를 판정하고,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이 특정된 접속허가권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지보수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허가권에 의거하여 상기 유지보수서버에서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조건에 따라 상기 지폐계수기에 장비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측면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통신망에 연결된 지폐계수기 및 제2 통신망에 연결된 유지보수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지폐계수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폐계수기로부터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지폐계수기의 접속허가권 요청에 대해 상기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허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지폐계수기가 상기 유지보수서버에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이 특정된 접속허가권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폐계수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측면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관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지폐계수기들에 대한 위폐정보나 신권정보 및 각종 SW 등 필요한 정보의 업데이트 및 지폐계수기의 상태 파악을 일괄적으로 신속하게 원격으로 수행하거나 제어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적시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폐계수기의 처리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기관의 전용통신망의 보안성 및 폐쇄성을 보장하면서 지폐계수기의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므로 시스템 구축비용을 절감하고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서버와 지폐계수기의 제1 통신망을 통한 연결시 기관의 관리자단말과의 접속허가권 요청, 승인 및 제공 단계를 통해 제한적으로만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 기관의 전용망과 공개네트워크를 물리적, 논리적으로 분리된 독립적인 네트워크로 구성하게 되어 통신 보안이 보다 한층 강화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계층화된 망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처리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계층화된 망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 설명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등은 본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편의상 과장되게 또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고 개념적으로 설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나 실시자의 의도 또는 설계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로서, 지폐계수기(10), 유지보수서버(20) 및 관리자단말(30)을 포함하며, 각 구성의 특징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지폐계수기(10)는 지폐 계수, 권종인식, 위폐감별, 정사분류, 지폐 일련번호 인식 등 지폐 처리에 관련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비이며, 위 기능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더라도 본 발명의 지폐계수기에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지폐계수기(10)는 단순히 투입 지폐의 매수를 계수하여 금액을 산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지폐를 다양한 권종으로 섞어서 투입하는 경우에도, 취득한 복수 종류의 지폐 이미지로부터 지폐의 국가권 및 권종을 인식하고,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며, 지폐의 일련번호를 인식하여 저장, 분류, 검색 및/또는 전송 등을 수행하고, 지폐의 신권/구권 구분, 지폐의 앞면/뒷면/위/아래 방향 구분,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투입하고 원하는 권종만을 분리 추출,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투입하고 원하는 금액에 해당하는 지폐를 추출, 낡거나 찢어지거나 오염 등의 훼손된 지폐를 정상권과 구분하여 추출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폐계수기(10)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소정 기관의 전용통신망과 물리적, 논리적으로 분리되는 별개의 통신망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지폐계수기의 원격제어를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계수기(10)는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101) 및 지폐계수기(10)에 내장되는 각종 정보 및 지폐처리 시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정보관리부(102)를 포함한다.
지폐계수기(10)는 거래되는 지폐량에 따라 또는 설치된 곳의 환경에 따라 도 1에서처럼 단일 또는 복수 대가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다수의 지폐계수기가 있을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각각의 지폐계수기(10)가 모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101)를 구비하여 각기 독립적으로 제1 통신망 및/또는 제2 통신망과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폐계수기들(10) 중 어느 하나의 마스터 지폐계수기와 그 제어를 받는 나머지 서번트 지폐계수기로 계층화된 망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상기 마스터 계수기만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통신부(101)를 구비하고 나머지 서번트 계수기들은 상기 통신부(101)보다는 간단한 구성의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마스터 계수기 및 다른 서번트 계수기들과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지폐계수기(10)는 소정 기관의 전용통신망과 물리적, 논리적으로 분리되는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과 같은 별개의 통신망을 구성하는바, 다수의 지폐계수기(10)의 경우에는 마스터 지폐계수기가 상기 별개의 통신망에 연결되고 서번트 지폐계수기는 상기 마스터 지폐계수기에 의해 데이터 링크 제어를 받는다. 이 때, 마스터 지폐계수기와 서번트 지폐계수기들 간에는 유/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모든 지폐계수기들(10)이 제1 및 제2 통신부와 가입자식별부를 포함해서 그에 필요한 원격 유지보수 소프트웨어 등을 모두 구비하면 실시 환경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 서비스료의 부담도 증가되고 시스템이 복잡하고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마스터 지폐계수기만 제1 및 제2 통신부와 가입자식별부 등을 구비하고 나머지 서번트 지폐계수기들은 통상적으로 탑재되는 기본 통신 기능만 구비하면 되므로 실시 환경에 따라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
통신부(101)는 지폐계수기(10)가 연결된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족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101)는 유지보수서버(20)와 통신하기 위해 제1 통신망에 접속시켜주는 제1 통신부와, 소정 기관의 관리자단말(30)과 통신하기 위해 제2 통신망에 접속시켜주는 제2 통신부와,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해주는 가입자식별부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필요에 따라 또는 지폐계수기가 설치된 곳의 통신 환경에 따라 지폐계수기(10)가 상기 통신부(101)를 통해 제1 통신망 및/또는 제2 통신망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통신망은 WCDMA, CDMA2000, HSDPA, 와이브로, LTE, LTE-A, 와이브로에볼루션, IMT-2020, NSA 및 5G 중 어느 하나의 접속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1통신망에 연결되는 지폐계수기(10)는 소정의 이동통신서비스에 미리 가입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통신망은 케이블, 이더넷, PNA, PLC, WiFi, IEEE1394, EnOcean, WiSun, 유/무선 LAN, 유/무선 인터넷, 블루투스, 지그비, 비콘, RF, IrDA, UWB 및 시리얼 USB 중 어느 하나의 접속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통신부(101)는 복수의 캐리어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 접속 방식에서의 기기간 통신을 지원하여 지폐계수기(10)와 유지보수서버(20)간 또는 관리자단말(30)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수 Mbps ~ 수 백 Gbps의 상향 및 하향 통신 속도를 제공하고, 단문 텍스트 서비스(예컨대, 한글, 영문, 숫자, 기호 등 30~200자) 등 지폐계수기(10)와 유지보수서버(20)간 또는 관리자단말(30)간의 다양한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있는 등 범용 통신 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01)는, 송수신된 정보를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하게 하는 기능, 전송 실패시 알람하고 재전송하는 기능, 송수신된 정보의 조회 또는 삭제 기능, GPIO, USB, UART, USIM, I2S, I2C, JTAG 등의 인터페이스 지원 기능, 보안성 높은 통신서비스 가입자식별부에 의한 기기간 인증 및 통신과 부가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 지폐계수기(10)가 TCP/IP 등을 통해 접속하는 기능, TCP로 접속되는 경우 유지보수서버(20) 및/또는 관리자단말(30)과의 IP와 포트 확인으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 및 지폐계수기(10)의 상태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다이얼링하는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의 통신식별번호를 조회하는 기능, 표준시각/SW버전/수신신호세기 등을 조회하는 기능, 내장된 모뎀(미도시)을 리셋하는 기능, 상기 가입자식별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 IP 주소나 Mac 주소를 판독하는 기능, 통신 서비스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 공장 출하 상태로 초기화하는 기능, 멀티미디어 통신을 지원하는 기능 등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지폐계수기(10)를 유지보수서버(20)와 통신하도록 제1 통신망에 접속시켜주는 통신부(101)의 제1 통신부는, 표준이동통신규격(CDMA, GSM, W-CDMA, CDMA2000, WiBro, HRPD, UMB, HSDPA, HSUPA, HSPA, LTE, LTE-A, WiMAX, IMT-2020, …)을 따르고,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서비스사에게 미리 가입하여 가입된 지폐계수기(10)의 제 1 통신부에 대한 고유 번호를 부여 받아 이동통신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이동통신서비스사와 미리 정해진 통신 서비스료를 지불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통신망은, 도 1에서는 단순화한 개념으로 개략적으로만 도시하였으나, 보다 상세하게는, 가입된 지폐계수기(10)의 소정 정보(가입자번호, 현재 설치 위치 등)를 관리하는 기능 및 다른 통신망 서비스(예: 제2 통신망)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어망과, 소정의 기지국을 거점으로 가입된 지폐계수기(10)와 직접 연결되면서 가입된 지폐계수기(10)의 번호 처리, 서비스의 연결 및 정보의 송수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액세스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통신부는 유지보수서버(20)와의 통신 연결이 없더라도 지속적으로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보내어 코어망에서 관리된다.
또한, 상기 가입자식별부는, 상기 지폐계수기(10)가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을 이용하기 위해 통신서비스사가 제공하는 통신서비스에 가입되어 인증, 과금, 보안 기능 등의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당 지폐계수기(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을 통해 유지보수서버(20)나 관리자단말(30)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양호하게는 제1 통신망이 상술한 바와 같이 유료인 표준이동통신규격의 접속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유지보수서버(20)는 통신 과금 시스템과 관련하여 제1 통신망을 통해 유지보수서버(2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폐계수기(10)들의 통신 과금 관련 정보들을 관리하고 제1 통신망의 통신서비스사와 미리 규정된 소정의 과금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금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금관리부는 또한 지폐계수기(10)들에 대한 업데이트 관련 정보나 수리 정보도 관리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해 상기 지폐계수기(10)들을 사용하는 기관에 대해 유지보수 서비스에 대한 비용청구관리(예: 단문텍스트서비스 기능을 이용한 비용청구서 발행)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1)를 통해 지폐계수기(10)가 유지보수서버(20)와 통신하는 절차는 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지폐계수기(10)가 제2 통신부를 통해 제2 통신망과 연결된 관리자단말(30)에 유지보수서버(20)와 제1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요청하면 상호간에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관리자단말(30)로부터 접속허가권을 부여 받아 수신한다. 다음으로, 유지보수서버(20)와의 상기와 같은 제한적 접속허가권을 부여받은 지폐계수기(10)는 제1 통신부에 의해 유지보수서버(20)와 제1 통신망을 통한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제1 통신망에서 액세스망은 제1 통신부를 통한 통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코어망으로 전송하고, 통신 서비스 요청을 전달받은 코어망은 유지보수서버(20)의 상태를 파악하여, 유지보수서버(20)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통신 연결이 안되는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유지보수서버(20)의 관리자의 휴대전화기나 단말기에 관련 단문 메시지로 알람하고 정상적 통신 연결이 가능한 상태로 파악된 경우에는 유지보수서버(20)가 있는 소정의 기지국으로 지폐계수기(10)(즉, 제1 통신부)의 호출을 송신한다. 다음으로, 유지보수서버(20)가 있는 소정의 기지국에서는 코어망으로부터 지폐계수기(10)의 제1 통신부의 호출을 넘겨받아 이를 유지보수서버(20)로 송신하여 상호간에 통신이 연결되고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유지보수서버(20)가 제1 통신망을 통해 지폐계수기(10)와 통신 연결을 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유지보수서버(20)가 제2 통신망으로 연결된 관리자단말(30)에 지폐계수기(10)와의 제1 통신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요청하면 상호간에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유지보수서버(20)가 관리자단말(30)로부터 상기와 같은 제한적 접속허가권을 부여받아 수신한다. 다음으로, 지폐계수기(10)와의 제1 통신망에 대한 상기 제한적 접속허가권을 부여받은 유지보수서버(20)는 지폐계수기(10)의 제1 통신부를 통해 지폐계수기(10)에게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제1 통신망에서 액세스망은 유지보수서버(20)로부터의 통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코어망으로 전송하고, 통신 서비스 요청을 전달받은 코어망은 지폐계수기(10)(즉, 제 1 통신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지폐계수기(10)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통신 연결이 안되는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지폐계수기(10)의 관리자의 휴대전화기나 단말기에 관련 단문메시지로 알람하거나 통신 연결을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고 정상적 통신 연결이 가능한 상태로 파악된 경우에는 지폐계수기(10)가 있는 기지국으로 유지보수서버(20)의 호출을 송신한다. 다음으로, 지폐계수기(10)가 있는 기지국에서는 코어망으로부터 유지보수서버(20)의 호출을 넘겨받아 이를 지폐계수기(10)로 전송하여 상호간에 통신이 연결되고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지폐계수기(10)와 유지보수서버(20) 간의 통신 연결이 국가간 전화통신망이나 유선 전화통신망을 경유하는 경우에는, 지폐계수기(10)나 유지보수서버(20)의 통신 서비스 요청이 코어망에 전달되면 코어망에서 국가간 전화통신중계망이나 유선 전화통신망으로 연결되고 그에 의해 통신 요청이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허가권은 외부로부터 제1 통신망을 통한 지폐계수기(10)나 유지보수서버(20)에의 비인가된 접속을 하지 못하도록 지폐계수기(10)나 유지보수서버(20)로부터 제1 통신망에 대한 접속을 위한 서비스 요청을 식별하고 적법한 요청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기관에서 운용하는 전용망 관리 시스템(미도시)에서 관리자단말(30)을 통해 발급하는 소정의 고유한 값을 포함하는 제1 통신망 이용 관련 정보를 의미하며, 예컨대 암호화된 상태로 외부에 공개되지 않게 제공될 수도 있고 비밀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폐계수기(10)나 유지보수서버(20)나 관리자단말(30)의 관리자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등의 형태로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접속허가권의 요청 및 제공은 상기 기관과 지폐계수기(10)의 제조업체나 유지보수서버(20)의 관리업체 간에 소정의 프로세스나 프로토콜로 미리 설정해놓고 자동적으로 처리되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신속한 유지보수 대응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정보관리부(102)는 지폐계수기(10)에서 사용 및 취득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바, 상기 정보에는 위치정보, 국가권정보, 다운로드관리정보, 인식/정사(精査) 파라미터 정보, SW업데이트정보, 위폐정보 등과 같이 지폐계수기(10)의 동작을 위해 미리 설정되어야 하는 정보인 장비설정정보와, 에러정보, 센서변화정보, 고장정보, 잼(jam) 정보, 가동시간 정보 등과 같이 지폐계수기 가동중에 발생한 장비상태와 관련한 장비상태정보와, 리젝 정보(미인식, 위폐 등 리젝된 지폐의 사유 등과 같은 리젝된 지폐의 관련 정보), 인식 정보(지폐의 권종 인식 처리 후 생성된 지폐 인식 관련 정보), 투입 정보, 계수금액/양 정보, 정사처리정보(ATM/FIT/UNFIT 구분 정보 등), 위폐정보(Blacklist, 위폐 유형, 권종/양, 일련번호, 위폐 관련 센싱값 등) 등과 같이 지폐처리 시 생성 및 취득하게 되는 정보인 지폐처리정보를 포함한다.
지폐계수기(10)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유지보수서버(20)의 원격제어를 받아 장비설정정보를 수신하며,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는 장비상태정보 또는 지폐처리정보를 유지보수서버(20)에게 제공하고,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단말(30)에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제한적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요청하여 수신한다.
유지보수서버(20)는 지폐계수기(10)에 대하여 제1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지폐계수기(10)에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여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는 처리 모듈로서, 일반적으로 지폐계수기(10) 공급업체에서 운용하거나 지폐계수기의 공급업체 또는 기관으로부터 위탁받은 유지보수업체에서 운용하며 기능적으로 특정되는 구성이다.
유지보수서버(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통신망을 통해 지폐계수기(10)에 접속하여 통신하고 제2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단말(30)과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실제 통신을 위해서는 관리자단말(30)로부터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받아 제한적으로 네트워크 접속하여 지폐계수기(1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단말(30)은 기관내 전용망 및 제2 통신망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2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지폐계수기(10) 및 유지보수서버(20)의 제1 통신망에 대한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허가여부를 결정하고 그 접속 이력 및 업데이트 이력을 관리한다. 이 때, 관리자단말(30)은 필요에 따라 제2 통신망 엑세스 스위칭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지폐계수기(10) 및 유지보수서버(20)과의 통신을 위해 제2 통신망에 연결되는 동안에는 기관 전용망과의 연결을 차단하여 기관의 정보보안을 유지하고, 제2 통신망과의 연결이 끊어지면 다시 기관 전용망과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관리자단말(30)은 제2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지폐계수기(10)들의 운영 상태를 기관의 관리자가 원하는 때에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며, 각 지폐계수기들(10)의 권종별 금액 및 매수 등의 계수 정보와 같은 지폐처리정보도 관리할 수 있으므로 기관측에서 업무 감사에 활용할 수 있는 이점도 제공하며, 지폐의 인식 정보나 정사 정보나 위폐 정보를 관리하여 이에 근거해 현금이상거래감시를 위한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관리자단말(30)은 필요한 경우 지폐계수기(10) 및/또는 유지보수서버(20)으로부터 특정 이벤트 정보 및/또는 장비설정정보를 제2 통신망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기관이 이를 업무 및 서비스에 활용하도록 다양한 정보가공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기관의 자체적 판단에 따라 관리자로 하여금 관리자단말(30)을 통해 유지보수서버(20)에 대하여 원격제어 개시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자단말(30)은 외부로부터의 비인가된 장치로부터의 접속허가권 요청이나 관리자단말(30)이 접속할 수 있는 제2 통신망의 통신 범위를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의 유지보수서버(20)나 지폐계수기(10)로부터의 접속허가권 요청에 대해서는 접속허가권이 제공되지 않게 관리할 수 있다. 이것은 지폐계수기들(10) 및 유지보수서버(20)가 갖고 있는 가입자식별정보나 IP 주소나 Mac 주소나 장비 ID나 위치 정보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비교 확인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비인가된 상태에서 지폐계수기(10)로부터의 정보 제공이나 지폐계수기(10)의 정보 변경 등은 차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 구성 간의 연결 및 작용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지폐계수기(10)(또는 도 2의 경우에는 마스터 지폐계수기)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유지보수서버(20)와 연결되고 제2 통신망을 통해 기관의 관리자단말(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지보수서버(20)는 제2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단말(20)과 연결되어 있고, 관리자단말(30)은 제2 통신망을 통해 지폐계수기(10) 및 유지보수서버(20)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유지보수서버(20)는 제2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단말(30)에게 지폐계수기(10)의 제1 통신망에 대한 소정의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허가권을 요청하여 관리자단말(30)로부터 이를 수신하면, 허가된 제한적 접속 조건하에서 지폐계수기(10)를 접속하여 필요한 장비설정정보 등을 제공한다.
관리자단말(30)은 유지보수서버(20)로부터 지폐계수기(10)의 제1 통신망에 대한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허가권을 요청받거나, 지폐계수기(10)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시 지폐계수기(10)로부터 제1 통신망에 대한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허가권을 요청받아, 제한적 접속 허가 여부를 판정하고 지폐계수기(10)와 유지보수서버(20) 간의 제1 통신망을 통한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한다.
도 3은 유비보수서버(20)에서의 처리 흐름도로서, 제1 통신망을 통해 지폐계수기(10)와 통신하고 기관 전용망에 연결된 관리자단말(30)과 제2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지폐계수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유지보수서버(20)는 유지보수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동 혹은 사용자의 구동에 의해, 제1 통신망을 통한 지폐계수기(10)에 대한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단말(30)에 요청하는 단계(s10)를 실행한다.
관리자단말(30)로부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한적 접속허가권을 수신하는 단계(s11)를 실행하고, 그 이후에, 상기 제한적 접속허가권을 이용하여 제1 통신망을 통해 해당 제한적 접속 조건에 따라 지폐계수기(10)에 접속하여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2)가 실행된다.
상기 제한적 접속 조건이라 함은, 소정의 접속허용시간이나 데이터량 등의 기준을 이용하여 접속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는바, 가장 용이하게는 시간을 기준으로 구현할 수 있으나, '작업 유형', '허가된 데이터 패킷 수', '허가된 데이터량', '허가된 통신 트래픽량', '허가된 데이터 전송률', '허가된 보(baud)' 등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지역이나 국가의 통신 인프라 환경이 각기 다를 수 있으므로 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한다는 이점이 된다. 이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및 접속조건이라 말할 때는 상술한 특징을 가리키며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유지보수서버(20)가 제공하는 장비설정정보는 상술한 지폐계수기(10)에 설정된 장비설정정보와 동일한 것이며, 위폐정보 또는 SW 업데이트 정보가 가장 빈번히 갱신된다.
상기 S/W 업데이트의 경우처럼, 업데이트를 위해 제공되는 장비설정정보의 파일 크기는 제품별 성능과 스펙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컨대, 보통 정사 기능이 없는 2포켓 지폐계수기의 경우엔 약 1.5메가바이트이고, 고급 정사기능을 구비한 3포켓 정사기의 경우엔 약 250메가바이트로서 트리구조를 이루는 100개 이상의 파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러한 정도의 파일 크기의 정보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장비설정정보의 업데이트 방식은 업데이트 파일 전체를 지폐계수기(10)에 전송하고 지폐계수기(10)의 정보관리부(102)에서 파일이나 폴더들을 체크하여 업데이트된 파일이나 폴더만을 업데이트하는 방식 또는 업데이트된 파일이나 폴더만 전송하는 방식 등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며, 지폐계수기(10)는 업데이트 파일 수신 후 버전을 비교하는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유지보수서버(20)는 지폐계수기(10)의 업데이트 결과에 대해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장비설정정보를 재전송하여 업데이트를 재수행시키고, 다시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해당 관리자 및 지폐계수기(10)의 표시부(미도시_)에 알람 또는 팝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폐계수기(10)에 대한 SW 업데이트와 같은 장비설정정보의 업데이트는 실제적으로는 매우 복잡한 작업이어서 종래에는 전문 유지보수 엔지니어가 지폐계수기(10)가 설치된 기관을 방문해서 직접 해당 지폐계수기(10)를 조작하거나 PC와 같은 단말장치를 연결해 장비설정정보의 업데이트를 해왔던바,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를 원격제어를 이용해 가능하게 함으로써 얻게 되는 경제적 이익과 처리의 정확성이 기대된다.
여기서, 상기 장비설정정보는 긴급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유지보수서버(20)는 지폐계수기(10)로부터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예컨대, 위폐정보 이벤트 발생되는 경우에는, 해당 지폐계수기(10)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순서로 다른 지폐계수기들에 상기 위폐정보를 포함하는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고, 물리적으로 멀리 있는 지폐계수기들에는 유지보수서버(20)에 의해 지역별, 주기적 또는 순차적로 상기 정보 전송을 제어하면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서버(20)는 유지보수 요청 정보들에 대해 지역별, 국가별, 기관별로 소정의 순위에 따라 순차 처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통신망을 통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네트워크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위폐로 인한 피해의 규모를 줄일 수 있고 위폐 대응 조치를 신속히 할 수 있게 된다. 그 이유는, 새로운 유형의 위폐가 특정 지역에 출현하여 지폐계수기(10)에 의해 발견된 경우, 동일한 유형의 위폐들이 동일 지역 및 그 근방 지역에서부터 유통될 가능성이 크므로, 새로운 유형의 위폐인 것으로 지폐계수기(10)가 판별하면, 그 위폐 관련 정보 및 그에 대응하기 위한 업데이트된 위폐 정보를 포함하는 장비설정정보를 상기 지폐계수기에 물리적으로 가까운 순서로 다른 지폐계수기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유지보수서버(20)는 지폐계수기(10)로부터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해 대응 조치를 해야 할 작업자를 지정하여 호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이벤트 정보에 해당하는 긴급도 등급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등급별 관리자(사용자, 일반 관리자, 상급 관리자 등)를 지정하여 호출하거나, 상기 이벤트 상황에 부합하는 적합도가 높은 관리자를 지정하여 호출함으로써 효율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해진다. 일 예로, 지폐계수기(10)에서 수퍼노트 같은 고급 위폐가 발견 되는 이벤트 발생시에는 위폐 전문 감식자를 호출할 수 있고, 지폐계수기(10)내의 소모품 교체시기가 도래하면 최근 거리의 유지보수자를 호출할 수 있고, 지폐 계수기의 모델이나 성능 수준별로 그에 상응하는 유관 관리자를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상황에 따라 관련 유지보수자들에 대해 다중 호출 및 해당 이벤트 관련 정보나 유지보수 전후의 관련 정보 공유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지폐계수기(10)도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벤트 정보를 단문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 형태로 통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관리자)가 표시부(미도시)를 통한 단문메시지 발송이나 수신 기능을 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폐계수기(10)에 대한 문제나 개선 사항을 요청하거나 해당 요청 사항에 대한 응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지폐계수기(10)에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도 3의 실시예는 기관에 설치된 지폐계수기(10)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바, 지폐계수기(10)는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 접속을 위한 통신부(101) 및 지폐계수기(10)에 내장되는 각종 정보 및 지폐처리 시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정보관리부(102)를 구비하여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에 연결되고, 기관 전용망에 연결된 관리자단말(30)에 상기 지폐계수기(10)에 대한 제1 통신망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요청 및 수신하여 제한적 접속 조건하에서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폐계수기(10)를 접속하여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는 유지보수서버(20)를 포함한다.
도 4는 관리자단말(30)에서의 처리 흐름도로서, 제2 통신망에 연결된 지폐계수기(10) 및 유지보수서버(20)와 통신하여 상기 지폐계수기(10)를 유지보수서버(20)로 하여금 제1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유지보수서버(20)로부터 제2 통신망을 통해 지폐계수기(10)의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 요청을 수신하면(s20a), 상기 유지보수서버(20)로부터의 접속허가권 요청에 대해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허가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의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등의 제한적 접속 조건이 특정된 접속허가권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지보수서버(20)에 제공하는 단계(s21a)를 실행하고, 다음으로, 상기 접속허가권에 의거하여 상기 유지보수서버(20)가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조건에 따라 상기 지폐계수기(10)에 필요한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2a)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지폐계수기(10)에서 소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지폐계수기(10)로부터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 요청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s20b), 상기 지폐계수기(10)의 접속허가권 요청에 대해 상기 지폐계수기(10)의 제1 통신망에 대한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허가 여부를 판정하고, 지폐계수기(10)가 유지보수서버(20)에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등의 제한적 접속 조건이 특정된 접속허가권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폐계수기(10)에 제공하는 단계(s21b)를 실행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접속허가권에 의거하여 상기 지폐계수기(10)가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조건에 따라 상기 유지보수서버(20)에 필요한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2b)를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지폐계수기(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는 지폐계수기(10)가 즉각 통신이나 보고가 필요한 상황의 발생을 의미하며 아래 표 1은 상기 이벤트 종류의 예시로서, 이벤트별 긴급도 및 에러코드가 지폐계수기(10)에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 역시 추후에 유지보수서버(20)에 의해 장비설정정보에 포함되어 해당 지폐계수기(10)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긴급성(중요도) 이벤트 종류의 예
심각(또는 긴급, 중요) 장비 Fail
신규 유형의 위폐 검출
경계 AS 필요
일반 고객요구사항 대응
신규 지폐정보 업데이트
여기서, 지폐계수기(10)의 동작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장비 Fail 이나 신규 유형의 위폐검출은 '심각'(또는 긴급, 중요) 단계의 이벤트로 분류될 수 있다. 장비 Fail은 미리 설정된 해당 에러 코드로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장비, 즉 지폐계수기(10)를 재동작할 수 없는 심각한 상황에 해당되는 경우이며,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지폐계수기(10)의 숙련된 사용자나 관리자가 상기 표시된 에러 코드를 보고 현장에서 지폐계수기(10)의 이상 상태를 치유할 수도 있다(예: 내장된 이미지센서(미도시) 에러 시 화면에 'E-02'코드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전원을 끈 후 센서 표면을 닦은 후에 재가동하게 하거나, 시스템 에러 시엔 'E-03' 에러 코드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게 하는 등). 또한, 장비설정정보 상의 위폐정보 및/또는 신규 유형의 위폐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지폐계수기(10)에서 취득된 해당 위폐 정보(앞뒷면 가시광/적외선 반사/투과 이미지, 일련번호, 지폐의 특징 영역의 UV성분값, MG성분값, 발견 일시 및 장소, 지폐계수기 ID번호, IP/MAC 주소 등)를 근방의 다른 지폐계수기나 유지보수서버(20)나 관리자단말(30)에게, 또는 미리 지정된 관리자에게 단문메시징 방식 등을 통해 신속히 보고(제공)하거나 통신하도록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 연결을 요청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지폐계수기(10)가 제공하는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 종류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며 장비설정정보, 장비상태정보, 위폐정보 또는 지폐처리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지폐계수기(10)에서 신규 유형의 위폐검출이나 장비 Fail과 같은 최상위 긴급상황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관리자단말(30)로 하여금 제한적 접속허가권 요청 - 사용자 인증(또는 허가여부 판정) - 접속허가권 전송으로 구성되는 관리자단말(30)의 허가 절차 없이 바로 지폐계수기(10)의 제1 통신망을 통한 유지보수서버(20)와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예외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 1에서 'AS 필요' 이벤트는 지폐계수기(10)내에 내장된 기본적인 자기 진단 기능에 의해 지폐계수기(10)의 이상 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거나(예: 내장된 센서의 레벨이 점점 정상범위를 넘나듬, 리젝트(Reject) 배출이 특정 수준 이상 많아짐), 노후 정보(지폐 계수 횟수가 소정 기준보다 많아짐)가 생성되거나, 부품 교체 등 유지보수가 필요한 시기가 도래하는 등의 긴급도가 중간 단계인 '경계'에 해당하는 경우에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표 1에서 '고객요구사항 대응' 이벤트와 '신규 지폐정보 업데이트' 이벤트는 긴급도가 낮은 '일반' 단계에 해당되는 경우에 발생된다. 이 때, '고객요구사항 대응' 이벤트는 사용자(예: 은행 등의 기관 직원)측에서 지폐계수기(10)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달라고 요구하거나 지폐계수기(10)의 특정 문제 발생을 개선해달라는 요구 발생 시 지폐계수기 제조업체에서 해당 개선 요구 사항에 대해 개발 완료한 후 해당 지역이나 기관에 설치된 지폐계수기(10)들을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경우에 발생되며, '신규 지폐정보 업데이트' 이벤트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국가의 중앙은행에서 새로운 디자인의 지폐를 발행하거나, 지폐계수기(10)내의 SW를 새로운 SW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지폐계수기(10)의 동작상태를 제조업체에서 분석할 수 있게 주기적/간헐적으로 지폐계수기(10)의 장비설정정보나 장비상태정보나 지폐처리정보를 전송받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 발생된다.
이하, 지폐계수기(10)의 이벤트라고 할 때 상술한 특징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허가권 제공 단계(s21a)는 지폐계수기(10)에도 제2 통신망을 통해 접속허가권을 함께 제공하여 지폐계수기(10)를 대기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접속허가권 제공 단계(s21b)는 지폐계수기(10)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서버(20)에도 제2 통신망을 통해 접속허가권을 함께 제공하여 유지보수서버(20)를 대기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되는 경우, 지폐계수기(10) 측면에서는 미리 어떤 통신을 할 것인지를 알게 되기 때문에 통신 연결을 준비할 수 있고, 또 사용자나 관리자에게 통신 연결하는 시간 동안 지폐계수기(10)의 사용을 잠정 자제하도록 알람 메시지를 지폐계수기(10)의 표시부(미도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계수기(10)는 표시부에 업데이트 또는 소정 이벤트 발생 시에 알람 및 요청 아이콘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관리자단말(30)은 액세스 스위칭부(미도시)에 의해 지폐계수기(10) 및/또는 유지보수서버(20)와의 통신시에는 상기 기관 전용망과의 연결을 차단하여 기관 전용망의 정보 보안성을 유지하고, 상기 통신 완료 시에는 다시 기관 전용망과 통신 연결된다.
도 4의 실시예는 기관 전용망과 제2 통신망에 연결되어 유지보수서버(20)로 하여금 제1 통신망을 통해 지폐계수기(10)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바, 지폐계수기(10)는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 접속을 위한 통신부(101) 및 지폐계수기(10)에 내장되는 각종 정보 및 지폐 처리 시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정보관리부(102)를 포함하여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에 연결되고, 제2 통신망을 통해 유지보수서버(20)로부터 상기 지폐계수기(10)에 대한 제1 통신망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허가권을 요청받거나, 상기 지폐계수기(10)로부터 제2 통신망을 통해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허가권을 요청받아, 제한적 접속 허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지폐계수기(10)와 상기 유지보수서버(20) 간의 제1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자단말(30)을 포함한다.
도 5는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연결된 지폐계수기(10), 기관 전용망과 제2 통신망에 연결된 관리자단말(30), 및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연결된 유지보수서버(20)를 포함하여 상기 지폐계수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유지보수서버(20)는 새로운 디자인의 지폐(예: 새 디자인의 5만원권이나 100달러권 등)가 발행되어 이미 설치된 지폐계수기(10)들의 해당 권종 관련 정보를 새 디자인 지폐 권종 관련 정보로 업데이트해야 하는 등의 지폐계수기(10)에 필요한 유지보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30)에 요청하는 단계(s30)를 실행한다.
유지보수서버(20)의 상기 접속허가권 요청에 대해 관리자단말(30)은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허가 여부를 판정하고,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등의 제한적 접속 조건이 특정된 접속허가권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유지보수서버(20)에 제공하는 단계(s31)를 실행한다.
유지보수서버(20)가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한적 접속허가권을 수신하고(s32), 그 접속허가권에 의거하여 제1 통신망을 통해 지폐계수기(10)에 상기 유지보수 이벤트와 관련한 소정의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한다(s33).
또한, 지폐계수기(10)에 예컨대 상기 표 1에서와 같은 소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지폐계수기(10)는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30)에 요청하는 단계(s40)를 실행한다.
상기 지폐계수기(10)의 접속허가권 요청에 대해 관리자단말(30)은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허가 여부를 판정하고, 허용시간이나 데이터량 등의 제한적 접속 조건이 특정된 접속허가권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지폐계수기(10)에 제공한다(s41).
지폐계수기(10)는 관리자단말(30)로부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접속허가권을 수신하고(s42), 상기 접속허가권에 의거하여 제1 통신망을 통해 유지보수서버(20)에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s43).
상기 접속허가권 제공 단계(s31)는 지폐계수기(10)에도 제2 통신망을 통해 접속허가권을 함께 제공하여 지폐계수기(10)를 대기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접속허가권 제공 단계(s41)는 지폐계수기(10)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서버(20)에도 제2 통신망을 통해 접속허가권을 제공하여 유지보수서버(20)를 대기상태로 만들 수 있다.
관리자단말(30)은 상기 액세스 스위칭부(미도시)를 통해 지폐계수기(10) 또는 유지보수서버(20)와의 통신시에는 상기 기관 전용망과의 연결을 차단하여 보안성을 유지하고, 상기 통신 완료 시에는 다시 기관 전용망과 통신 연결된다.
상기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처리 프로세스에서, 지폐계수기(10)는 내부적으로는 마스터 지폐계수기에 의해 서번트 지폐계수기의 통신이 제어되는 계층화된 망구조로 연결될 수 있음은 도 2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를 보면, 상기 마스터 지폐계수기만 상기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에 연결되어 유지보수서버(20) 및/또는 관리자단말(30)과 직접 통신하고 상기 서번트 지폐계수기는 유뮤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상기 마스터 지폐계수기에 의해 데이터 링크 제어를 받게 되면, 상기 서번트 지폐계수기는 통신부(101)를 다른 서번트 지폐계수기와 공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계층화된 망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은 계층화된 망구조를 가진 지폐계수기(10)는, 도 6과 같이, 유지보수서버(20)가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마스터 지폐계수기에만 연결되고 소정 기관의 관리자가 마스터 지폐계수기를 입출력부(미도시)를 직접 조작하여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이나 데이터량 등이 특정된 제한적 접속허가권을 승인하고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한적 접속허가권에 의거하는 마스터 지폐계수기와 유지보수서버(20) 간의 제1 통신망을 통한 제한적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에는, 기관의 관리자로부터 직접 마스터 계수기에서 상기 접속허가권이 생성되어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접속허가권을 상기 마스터 지폐계수기를 경유하여 유지보수서버(20)에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관의 관리자에 의해 마스터 지폐계수기를 통한 제1 통신망에 연결된 유지보수서버(20)의 접근은 실시 환경에 따라 기관의 정보 보안 및 기관의 폐쇄성 유지에 유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지폐계수기는 상기 실시에들에서의 관리자단말(3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마스터 지폐계수기에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마스터 계수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은 상기 실시예들에서의 마스터 계수기보다 더 헤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기관의 관리자단말(30)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전체 시스템의 기능 및 구성을 최소화하여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 및 도 5의 경우에는, 유지보수서버(20)가 지폐계수기(10)에서 발생한 새로운 유형의 위폐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지폐계수기(10)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순서로 다른 지폐계수기에 상기 위폐정보를 포함하는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기관에 설치된 지폐계수기(10)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바, 지폐계수기(10)는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 접속을 위한 통신부(101) 및 지폐계수기(10)에 내장되는 각종 정보 및 지폐 처리 시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정보관리부(102)를 포함하여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에 연결되고,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기관 전용망에 연결된 관리자단말(30)에 상기 지폐계수기(10)에 대한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허가권을 요청 및 수신하여 제한적 접속 조건하에서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폐계수기(10)에 접속하여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는 유지보수서버(30)와, 제1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유지보수서버(20)로부터 상기 지폐계수기(10)에 대한 제1 통신망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허가권을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요청받거나 상기 지폐계수기(10)로부터 제1 통신망에 대한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요청받아 제한적 접속 허가 여부를 판정하고 그러한 제한적 접속허가권에 의거하여 상기 지폐계수기(10)와 상기 유지보수서버(20) 간의 제1 통신망의 접속을 제어하는 관리자단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이 실시되는 국가나 기관(예: 상업은행 등)에서 운용되고 있는 제1 및/또는 제2 통신망의 구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적어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을 유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나 구성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변경, 수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유의한다.
10 : 지폐계수기 20 : 유지보수서버
30 : 관리자단말

Claims (17)

  1. 제1 통신망에 연결된 지폐계수기, 및 상기 제1 통신망과 물리적/논리적으로 분리된 기관 전용망에 연결된 관리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지폐계수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자단말로부터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접속허가권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허가권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조건에 따라 상기 지폐계수기에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2. 제1 통신망에 연결된 지폐계수기 및 제2 통신망에 연결된 유지보수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지폐계수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지보수서버로부터 요청 받는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서버로부터의 상기 접속허가권 요청에 대해 상기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허가 여부를 판정하고,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이 특정된 접속허가권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지보수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허가권에 의거하여 상기 유지보수서버에서 상기 제1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조건에 따라 상기 지폐계수기에 장비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3. 제1 통신망에 연결된 지폐계수기 및 제2 통신망에 연결된 유지보수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지폐계수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통신망에 대한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 이내의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허가권을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폐계수기로부터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지폐계수기의 접속허가권 요청에 대해 상기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허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지폐계수기가 상기 유지보수서버에 상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이 특정된 접속허가권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폐계수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이 특정된 접속허가권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지보수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접속허가권을 상기 지폐계수기에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시간 또는 데이터량이 특정된 접속허가권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폐계수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접속허가권을 상기 유지보수서버에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는 서번트 지폐계수기와 마스터 지폐계수기를 포함하며, 내부적으로는 상기 마스터 지폐계수기에 의해 상기 서번트 지폐계수기의 통신이 제어되는 계층화된 망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마스터 지폐계수기만 상기 제1 통신망에 직접 연결되어 통신하고 상기 서번트 지폐계수기는 상기 마스터 지폐계수기에 의해 데이터 링크 제어를 받으며, 상기 서번트 지폐계수기는 통신부를 다른 서번트 지폐계수기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허가권은 상기 마스터 지폐계수기를 경유하여 상기 제1 통신망 또는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거나 요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지폐계수기는 상기 관리자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단말은 상기 지폐계수기 또는 유지보수서버와의 통신시에는 상기 기관 전용망과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지폐계수기 또는 상기 유지보수서버와의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기관 전용망과 다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로부터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위폐정보 이벤트 발생시, 해당 지폐계수기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순서로 다른 지폐계수기에 상기 위폐정보를 포함하는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서버가 상기 지폐계수기에서 발생한 위폐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지폐계수기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순서로 다른 지폐계수기에 상기 위폐정보를 포함하는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가 장비 FAIL 또는 신규 유형의 위폐감별 이벤트를 발생할 때에는 상기 제한적 네트워크 접속 허가 여부 판정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의 원격 제어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로부터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해 대응 조치를 해야 할 작업자를 지정하여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1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서버는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해 대응 조치를 해야 할 작업자를 지정하여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1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서버는 특정 순서의 긴급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상기 지폐계수기에 장비설정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원격 제어 방법.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접속허가권에 따라 관리자단말에 장비설정정보, 장비상태정보 또는 지폐처리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의 원격 제어 방법.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WCDMA, CDMA2000, HSDPA, 와이브로, LTE, LTE-A, 와이브로에볼루션, IMT-2020, NSA 및 5G 중 어느 하나의 접속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지폐 계수기는 소정의 이동통신서비스에 미리 가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통신망은 케이블, 이더넷, PNA, PLC, WiFi, IEEE1394, EnOcean, WiSun, 유/무선 LAN, 유/무선 인터넷, 블루투스, 지그비, 비콘, RF, IrDA, UWB 및 시리얼 USB 중 어느 하나의 접속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20170100327A 2017-08-08 2017-08-08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방법 KR20190016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27A KR20190016289A (ko) 2017-08-08 2017-08-08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27A KR20190016289A (ko) 2017-08-08 2017-08-08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289A true KR20190016289A (ko) 2019-02-18

Family

ID=6556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327A KR20190016289A (ko) 2017-08-08 2017-08-08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62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6877A (zh) * 2020-12-31 2021-08-1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信息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KR20210155555A (ko) * 2020-06-16 2021-12-23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20210157021A (ko) * 2020-06-19 2021-12-28 기산전자 주식회사 계수 장치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2131423A1 (ko) * 2020-12-18 2022-06-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가상 드라이버 기반 원격 구동 디지털 데스크, 이를 이용한 원격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555A (ko) * 2020-06-16 2021-12-23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20210157021A (ko) * 2020-06-19 2021-12-28 기산전자 주식회사 계수 장치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2131423A1 (ko) * 2020-12-18 2022-06-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가상 드라이버 기반 원격 구동 디지털 데스크, 이를 이용한 원격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256877A (zh) * 2020-12-31 2021-08-1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信息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13256877B (zh) * 2020-12-31 2024-02-02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信息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22636B (zh) 由钞票处理机构成的系统、钞票处理机及其运行方法
CN1998019B (zh) 用于安全地授权和分发储值卡数据的系统和方法
KR20190016289A (ko)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방법
US20170161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ty protection using mobile device signaling network derived location pattern recognition
CN110100429A (zh) 实时检测并防止欺诈和滥用
CN106652550A (zh) 可预约定位的车位管理系统及其方法
CN101996368A (zh) 一种跨银行批量付款方法及系统
WO2019014821A1 (zh) 金融终端的故障预警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16180185A1 (zh) 销售终端pos位置的确定方法及装置
CN112887985B (zh) 一种对电信诈骗进行预警的方法、装置及设备
CN103679449A (zh) 一种数据处理系统及方法
US79579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extended utility theft
CN102262802A (zh) 银行自助设备监控短信通知的方法及装置
CN103955999A (zh) 带报警功能的银行卡支付系统
CN102393983A (zh) 支持报警pin的方法、银行业务终端、ic卡及服务器
CN104240373B (zh) 利用智能设备的纸币鉴别器的维护装置及方法
CN103002444A (zh) 一种金融机具设备及其数据通讯方法
CN108805543A (zh) 一种输出收款信息的方法及终端
KR100785356B1 (ko) 게임매장 통합관리 시스템
JP2022034098A (ja) 不正利用検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235116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06079264A (ja) 決済端末および決済端末の設置確認方法
US20240153328A1 (en) Method for preparing for the start-up of a control unit for access devices, access system, control unit, access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21044709A1 (ja) 紙幣処理システムの遠隔保守システム、および遠隔保守方法
JP3392374B2 (ja) プリペイドカード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