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153A - 간세포성장인자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간세포성장인자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153A
KR20190015153A KR1020180091280A KR20180091280A KR20190015153A KR 20190015153 A KR20190015153 A KR 20190015153A KR 1020180091280 A KR1020180091280 A KR 1020180091280A KR 20180091280 A KR20180091280 A KR 20180091280A KR 20190015153 A KR20190015153 A KR 2019001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u
hgf
ala
arg
p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준
박봉우
정수현
이순민
김혜연
조동우
장진아
김석원
산스크리타 다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바이젠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바이젠,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바이젠
Publication of KR2019001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07K14/4753Hepatocyte growth factor; Scatter factor; Tumor cytotoxic factor I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12N15/86Viral v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3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BM-MS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12N2510/04Immortalis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5011Lentivirus, not HIV, e.g. FIV, SIV
    • C12N2740/150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i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세포성장인자(HGF) 단백질을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HGF 단백질을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HGF를 발현하여 혈관신생을 유도함으로써 모세혈관의 형성을 촉진시키고 심기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혈관계 질환, 특히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간세포성장인자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VASCULAR DISEASES COMPRISING MESENCHYMAL STEM CELL EXPRESSING HEPATOCYTE GROWTH FACTOR}
본 발명은 간세포성장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이하 HGF) 단백질을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관신생(angiogenesis)은 기존 혈관의 내피세포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을 분해하고, 이동, 분열 및 분화하여 새로운 모세혈관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상처 수복, 배아 발생, 종양 형성, 만성염증, 비만 등 여러 가지 생리적 및 병리적 현상에 관여한다. 혈관신생 과정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및 혈관벽으로부터 자극이 있는 방향의 주변조직으로의 이동을 포함한다. 이어서 다양한 단백질 분해효소가 활성화되어 혈관내피세포가 기저막을 침윤시키고 루프를 형성하며, 형성된 루프들이 분화되어 관을 형성하게 된다.
혈관신생은 상처 치유나 조직 재생에 필수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혈관신생이 미발달된 태반은 유산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혈관의 미형성으로 인한 괴사, 궤양 및 허혈의 경우 조직이나 기관의 기능 이상을 유발하거나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동맥경화증, 심근경색 및 협심증과 같은 질병도 원활하지 못한 혈액 공급이 원인이 되고 있다(Kim J.A., 2010). 따라서 혈관의 미형성으로 인한 저산소(hypoxia) 상태 또는 저영양(undernutrition) 상태의 유발로 인한 조직 손상을 감소시키고, 원활한 조직 재생을 위해 새로운 혈관신생을 유도하거나 촉진시키고자 하는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혈관신생을 이용한 생체 질환의 치료를 혈관신생요법이라 하는데, 이미 혈관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와 같은 혈관신생 촉진인자는 중증의 국소 빈혈을 위한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표피 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및 혈소판-유도 내피 성장인자(platelet-derived endothelial growth factor, PDEGF) 등의 혈관신생 촉진인자들도 임상 치료를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인자들은 단백질로서 분리·정제하기 어렵고, 고가이므로 임상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세포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성체줄기세포인 중간엽줄기세포(MSC)는 뼈, 연골, 근육, 지방, 섬유아세포 등으로 분화할 수 있는 다능성(multipotent) 세포이다. 상기 MSC는 골수, 제대혈, 지방 등 다양한 성체조직에서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다. MSC는 염증 또는 손상부위로 이동하는 특이성이 있어, 치료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체로서도 큰 장점이 있다. 또한, T 세포, B 세포, 수지상 세포 및 자연살해 세포와 같은 면역 세포의 기능을 억제하거나 활성화시켜, 인체의 면역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MSC는 시험관 내(in vitro)에서 비교적 쉽게 배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MSC를 세포치료제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MSC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세포 치료제로서 임상에 사용할 수 있는 등급의 MSC를 생산하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MSC의 증식에는 한계가 있어, 이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어렵다. 둘째, 수득한 MSC는 다양한 종류의 세포가 혼합되어 있어, 생산시 동일한 효과를 유지하기 어렵다. 셋째, MSC만을 이용할 경우 치료 효과가 높지 않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85032호에서는 하이드로겔에서 배양한 중간엽줄기세포를 함유하는 세포 치료제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는 세포 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한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하는 공정에서 전처리 과정을 단축하여 바로 투여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중간엽줄기세포의 문제점 및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세포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중간엽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85032호
Kim J.A. Angiogenesis and cell therapy. Korean J Med. 2010; 79(6):630-634.
이에 본 발명자들은 줄기세포를 이용한 혈관신생요법으로서 생체 내에 이식된 줄기세포의 효율적인 혈관신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혈관 신생을 유도하는 HGF 단백질을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가 심기능 향상, 모세혈관 밀도 증가 등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HGF 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HGF 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HGF 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HGF 단백질을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HGF를 발현하여 혈관신생을 유도함으로써 모세혈관의 형성을 촉진시키고 심기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엽줄기세포는 불사화된 중간엽줄기세포로서 높은 세포 증식율을 가지면서, 독시사이클린 처리 유무에 의해 세포 내에서 HGF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도입 유전자의 지속적인 발현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분화 가능성이 낮아 안정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엔지니어링되지 않은 BM-MSC와의 병용 처리시에 모세혈관의 형성을 더욱 촉진시키고 이를 포함한 세포외기질 또는 세포패치가 심기능 향상에 우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한 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혈관계 질환, 특히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불사화된 MSC와 불사화되지 않은 MSC의 세포 증식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imMSC: 불사화된 MSC;
MSC: 불사화되지 않은 MSC;
X축: 배양기간; 및
Y축: 누적된 세포집단배가수(population doubling level, PDL).
도 2는 pBD-4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삽입한 유전자 컨스트럭트의 구성을 도식화한 것이다:
TRE: 테트라사이클린 반응 요소(tetracycline response elements)를 포함하는 프로모터;
HGF: 간세포성장인자;
RSVp: RSV 프로모터; 및
HygroR: 하이그로마이신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유전자.
도 3은 HGF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가 형질감염된 불사화된 MSC의 세포 증식율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X축: 배양기간; 및
Y축: 누적된 세포집단배가수.
도 4는 기탁균주인 BM-34A에 HGF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1번 레인은 마커, 2번 및 3번 레인은 BM-34A, 4번 레인은 음성대조군, 5번 레인은 양성대조군을 나타낸다.
도 5는 세 개의 다른 패시지(passage)의 BM-34A 세포주에서 HGF 단백질의 발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계대 배양하여 수득한 BM-34A 세포의 PDL 값을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BM-34A 세포주에 대하여 유전자가 이입된 세포의 핵형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심장 초음파를 통해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를 투여한 각 마우스의 심근을 촬영한 것이다. 이때, HGF-eMSC는 HGF 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의미하고, BM-MSC/HGF-eMSC는 HGF-eMSC와 BM-MSC를 1:1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또한, POD는 수술 후 일자(post operation day)의 약어이고, 대조군(CON)은 MI로,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를 의미한다.
도 8b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를 마우스의 심근에 각각 투여한 후, 심장 초음파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좌심실구축률(LVEF)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CON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고, BM-MSC 투여 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며, HGF-eMSC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다.
도 8c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를 마우스의 심근에 각각 투여한 후, 심장 초음파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구획단축률(FS)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CON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고, BM-MSC 투여 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며, HGF-eMSC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다.
도 9a는 메이슨 트리크롬 염색법(Masson's trichorme stain)을 통해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를 투여한 각 마우스 심장의 섬유증 면적(fibrosis area)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대조군은 MI로,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을 의미한다.
도 9b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를 투여한 각 마우스의 좌심실(left ventricle, LV) 면적 대비 섬유증 면적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MI는 대조군을 의미하며,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고, BM-MSC 투여 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며, HGF-eMSC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다.
도 9c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를 투여한 각 마우스의 경색된 좌심실벽 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CON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고, BM-MSC 투여 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며, HGF-eMSC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다.
도 10a는 면역 형광법(immunofluorescence stain)을 통해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투여에 따른 경계영역(border zone, BZ) 및 경색영역(infarct zone, INF)에서의 모세혈관(capillary) 형성을 촬영한 것이다.
도 10b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투여에 따른 경색영역(infarct zone, INF)에서의 면적당 모세혈관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CON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고, BM-MSC 투여 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며, HGF-eMSC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다.
도 10c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투여에 따른 경계영역(border zone, BZ) 에서의 면적당 모세혈관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a는 BM-MSC/HGF-eMSC 투여 그룹의 INF 영역에서 형성된 모세혈관의 양상을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CON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고, BM-MSC 투여 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며, HGF-eMSC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다.
도 11b는 하기 도 12 내지 도 14를 고배율로 확인하기 위한 표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상기 도 11b에 표시된 세 부분을 DAPI, Dil, CD31, 및 전체(DAPI, Dil 및 CD31)로 나누어 고배율로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5a는 심장 초음파를 통해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를 적용한 각 마우스의 심근을 촬영한 것이다. 여기서, POD는 수술 후 일자(post operation day)의 약어이고, 대조군(CON)은 MI로,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를 의미한다.
도 15b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를 마우스의 심근에 각각 적용한 후, 심장 초음파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좌심실구축률(LVEF)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CON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고, BM-MSC 세포패치 그룹과 비교했을 때 P<0.05이며, HGF-eMSC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다.
도 15c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를 마우스의 심근에 각각 적용한 후, 심장 초음파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구획단축률(FS)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CON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고, BM-MSC 투여 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며, HGF-eMSC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다.
도 16a는 메이슨 트리크롬 염색법(Masson's trichorme stain)을 통해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를 적용한 각 마우스 심장의 섬유증 면적(fibrosis area)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대조군은 MI로,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을 의미한다.
도 16b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를 적용한 각 마우스의 좌심실(left ventricle, LV) 면적 대비 섬유증 면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c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를 적용한 각 마우스의 경색된 좌심실벽 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CON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고, BM-MSC 투여 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며, HGF-eMSC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다.
도 17a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를 BALB/C Nude 마우스의 둔부에 피하주사(Subcutaneous injection)하여 종양의 발생과 세포의 신생혈관생성을 관찰한 것이다. 기능적으로 작동중인 혈관을 확인하기 위하여 내피세포특이 결합적 적색 염료(isolectine B4 conjugated rhodamine)를 사용하여 염색 후 형광현미경 촬영 하였다.
도 17b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 적용에 따른 마우스 둔부의 피하주사에서의 면적당 모세혈관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BM-MSC는 대조군을 의미하며,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고, Irr-HGF-eMSC 투여 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다.
도 18a는 경색영역 내의 심근 보호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면역 형광법을 통해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 적용에 따른 경색영역에서의 면적당 생존한 심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b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 적용에 따른 경색영역에서의 면적당 생존한 심근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CON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낸다. 이때,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고, BM-MSC 투여 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며, HGF-eMSC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P<0.05이다.
도 19는 BM-MSC 및 HGF-eMSC간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X축은 유전자, Y축은 상대적 mRNA 수준 및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내고, 이때 ***P<0.001, *P<0.05이다.
도 20은 HGF-eMSC로 자극된 BM-MSC를 이용한 실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a는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혈관생성인자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내고, 이때 ***P<0.01, *P<0.05이다.
도 21b는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ECM 리모델링 인자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내고, 이때 ***P<0.001이다.
도 21c는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염증 인자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내고, 이때 ***P<0.001이다.
도 22는 HGF-eMSC 자극 여부에 따른 BM-MSC의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내고, 이때 ***P<0.001이다.
도 23은 HGF-eMSC 자극 여부에 따른 BM-MSC의 세포사멸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HGF-eMSC 자극 여부에 따른 BM-MSC의 사이토카인 VEGF의 분비 정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내고, 이때 ***P<0.001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HGF-eMSC 자극 여부에 따른 BM-MSC에 의한 HUVEC(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세포이동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에러 바(error bars)는 표준 오차 평균(standard errors mean, S.E.M)을 나타내고, 이때 **P<0.01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HGF-eMSC 자극 여부에 따른 BM-MSC에 의한 HUVEC 튜브 형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심장유래 세포외기질(ECM)을 결합한 세포패치를 제조한 3D 바이오프린터의 실물 사진 및 모식도이다.
도 28은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심장유래 세포외기질(ECM)을 결합한 세포패치 내 세포 생존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9는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심장유래 세포외기질(ECM)을 결합한 세포패치 내 세포 증식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0은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심장유래 세포외기질(ECM)을 결합한 세포패치 내 세포 사멸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1은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심장유래 세포외기질(ECM)을 결합한 세포패치가 방출하는 HGF를 시간에 따라 정량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간세포성장인자 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된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간세포성장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이하 HGF)" 단백질은 분산인자(scatter factor) 또는 헤파토포이에틴-A(hepatopoietin-A)로 알려진 헤파린 결합 당단백질이다. 이는 여러 가지 간엽계 세포에 의해 생산되며,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킨다. 또한, HGF는 내피세포(endothelial cell)의 성장 및 혈관 평활근 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의 이동을 조절하며, 혈관신생(angiogenesis)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HGF 단백질은 인간 유래의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HGF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상기 HGF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70%, 80%, 90% 또는 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HGF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의 염기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HGF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은 서열번호 2의 염기 서열과 약 70%, 80%, 90% 또는 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세포는 인간배아줄기세포(human embryonic stem cell, hES), 골수줄기세포(bone marrow stem cell, BMSC),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 인간신경줄기세포(human neural stem cell, hNSC), 윤부줄기세포(limbal stem cell) 또는 경구점막상피세포(oral mucosal epithelial cell)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는 중간엽줄기세포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중간엽줄기세포"는 골세포, 연골세포 및 지방세포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다분화능 기질세포를 말한다. 중간엽줄기세포는 뼈, 연골, 지방, 힘줄, 신경조직, 섬유아세포 및 근육세포 등 구체적인 장기의 세포로 분화될 수 있다. 이들 세포는 지방조직, 골수, 말초신경 혈액, 제대혈, 골막, 진피, 중배엽-유래 조직 등으로부터 분리 또는 정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불사화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hTERT 및 c-Myc 유전자가 도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1) 중간엽줄기세포에 hTERT 및 c-Myc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를 1차 감염시키는 단계;
2) 1차 감염된 중간엽줄기세포에 tTA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를 2차 감염시키는 단계;
3) 2차 감염된 중간엽줄기세포에 HGF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를 3차 감염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hTERT 및 c-Myc은 중간엽줄기세포를 불사화시키는 유전자로서, 상기 hTERT 및 c-Myc 이외에도 불사화 유전자로 알려진 다른 유전자도 사용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hTERT 및 c-Myc 단백질은 각각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hTERT 및 c-Myc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각각 서열번호 8 및 서열번호 6의 염기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상기 단계 2)에서 tTA는 표적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로, 테트라사이클린 트랜스액티베이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Tet-off 시스템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테트라사이클린 또는 독시사이클린의 존재 유무에 따라 표적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에 해당하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불사화된 MSC에 HGF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를 3차 감염시켜 HGF 유전자를 발현하는 세포를 제조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제조된 세포를 BM-34A로 명명하고, 이를 2017년 1월 6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번호 KCTC 13183BP로 기탁하였다.
상기 용어 "형질감염(transfection)"은, 바이러스 감염(infection)을 통하여 재조합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적재된 유전자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형질전환된 중간엽줄기세포는 재조합 렌티바이러스로 형질감염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렌티바이러스는 재조합 렌티바이러스 벡터, 패키징 플라스미드 및 엔벨로프(envelope) 플라스미드로 숙주세포를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로부터 렌티바이러스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용어 "패키징 플라스미드(packaging plasmid)" 및 "엔벨로프 플라스미드(envelope plasmid)"는, 효율적인 형질감염을 위해, 본 발명의 렌티바이러스 벡터로부터 렌티바이러스를 생산하기 위한 헬퍼 구조물(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또는 단리된 핵산)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숙주세포에서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제조하고, 이를 패키징하는데 유용한 요소들을 함유한다. 상기 요소로는 gag 전구체와 같은 구조 단백질; pol 전구체와 같은 프로세싱 단백질; 프로테아제, 외피 단백질, 및 숙주세포에서 단백질을 제조하고 렌티바이러스 입자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발현 및 조절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재조합 렌티바이러스의 생산에는 Clontech Laboratories사의 Lenti-X Lentiviral Expression System이나, Addgene사에서 제공하는 패키징 플라스미드(예를 들어, pRSV-Rev, psPAX, pCl-VSVG, pNHP 등) 또는 엔벨로프 플라스미드(예를 들어, pMD2.G, pLTR-G, pHEF-VSVG 등)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공지된 서열을 기반으로 합성된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렌티바이러스 벡터"는 레트로바이러스의 일종이고, 단일가닥 RNA 형태의 벡터로 렌티바이러스 트랜스퍼 벡터와 혼용하여 지칭되기도 한다. 상기 렌티바이러스 벡터는 감염 대상인 세포의 게놈 DNA에 삽입되어 안정되게 유전자를 발현시키며, 분열세포 및 비분열세포에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인체의 면역반응을 유도하지 않기 때문에 발현이 지속적이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바이러스 벡터인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에 비하여 큰 사이즈의 유전자도 전달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렌티바이러스 벡터는 티미딘인산화효소(thymidine kinase, TK)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K 단백질은 ATP의 γ위치의 인산을 티미딘에 결합시켜 티미딜산 생성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이로 인해 티미딘은 삼인산 형태로 변형된다. 변형된 티미딘은 DNA 복제에 사용될 수 없고,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TK 단백질은 공지된 서열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TK 단백질은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TK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4의 염기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조합 렌티바이러스 벡터는 프로모터에 의해 이에 적재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모터는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MV),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인간 성장인자-1 알파(human elongation factor-1 alpha, EF-1α 또는 TRE(tetracycline response elements) 프로모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재조합 렌티바이러스 벡터는 1개의 프로모터에 의해서 HGF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모터는 발현시키고자 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HGF 단백질은 TRE 프로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TRE 프로모터는 tTA(tetracycline transactivator) 단백질에 의하여 프로모터와 연결된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tTA 단백질은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또는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이 존재하지 않을 때 TRE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전사를 활성화시키고, 이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TRE 프로모터에 결합하지 못하여 전사를 활성화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HGF 단백질의 발현은, 테트라사이클린 또는 독시사이클린의 첨가 여부에 따라 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작동가능하게 연결된"은 특정 폴리뉴클레오티드가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다른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즉, 특정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프로모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었다는 것은 당해 프로모터의 작용에 의해 mRNA로 전사되고 당해 단백질로 번역까지 될 수 있게 연결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HGF 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된 중간엽줄기세포(HGF-eMSC)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형질전환되지 않은 중간엽줄기세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HGF-eMSC는 상기 BM-34A와 동일한 의미의 용어로서, 본 명세서에는 두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형질전환되지 않은 중간엽줄기세포는 골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M-MSC)일 수 있다. 상기 혼합 비율은 1:10 내지 10:1일 수 있고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또는 1:2 내지 2:1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HGF-eMSC와 BM-MSC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체내 주입가능한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약학 조성물은 체내 투입에 적합하도록 세포외기질(EC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BM-MSC/HGF-eMSC를 투여한 심근경색 유도 마우스에서 BM-MSC와 HGF-eMSC만을 투여한 마우스에 비해 심기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세포패치"는 심장유래 세포외기질(ECM)에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를 혼합하여 제조한 패치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포패치는 BM-MSC, HGF-eMSC 및/또는 BM-MSC/HGF-eMSC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BM-MSC/HGF-eMSC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포패치를 적용한 심근경색 유도 마우스에서 BM-MSC와 HGF-eMSC를 각각 함유하는 세포패치를 적용한 마우스에 비해 심기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HGF-eMSC로 자극된 BM-MSC”는 HGF-eMSC가 BM-MSC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조한 것으로, 배양된 BM-MSC에 HGF-eMSC를 추가하여 HGF-eMSC로 자극시킨 BM-MSC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HGF-eMSC는 VEGF, 콜라겐 I, 콜라겐 III 및 MMP-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자가 BM-MSC에 비해 과발현될 수 있으며, 상기 HGF-eMSC로 자극된 BM-MSC는 VEGF, HGF, FGF, MMP-1, IL-6 및 IL-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자가 자극되지 않은 BM-MSC에 비해 과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혈관계 질환(vascular disease)"은 혈관의 노화 또는 탄력 저하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재조합 렌티바이러스 또는 중간엽줄기세포는 HGF의 발현을 통해 혈관생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혈관계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혈관계 질환은 관상동맥, 뇌혈관, 말초동맥질환 등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협심증, 심근경색, 동맥경화증, 죽상동맥경화증, 결절성 동맥주위염, 고안동맥염, 혈관폐색, 뇌졸중, 뇌출혈, 뇌색전, 뇌부종 및 허혈성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일종의 세포치료제로서, 약학 조성물의 제형에 필요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첨가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약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스,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세포외기질(ECM)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주사제, 캅셀제 또는 패치제 형태일 수도 있고,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혈관계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구체적으로 인간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부작용의 유무에 따라 다양한 방법 및 양으로 대상에게 투여될 수 있고, 최적의 투여 방법 및 투여량은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한 범위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에 대하여 치료 효과가 공지된 다른 약물 또는 생리학적 활성물질과 병용하여 투여되거나, 다른 약물과의 조합 제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을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그 예로는 피하, 눈, 복강 내, 근육 내, 구강, 직장, 안와 내, 뇌 내, 두개 내(intracranial), 척추 내, 뇌실 내, 수강막 내, 비 내, 정맥 내, 심장 내 투여가 있다.
상기 투여는 HGF-eMSC를 단독으로 투여할 수 있고, HGF-eMSC 및 BM-MSC를 개별적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HGF-eMSC 및 BM-MSC를 혼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여는 1회 이상, 1 내지 3회 투여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이를 반복투여하는 경우에는 12 내지 48시간, 24 내지 36시간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4시간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성인 기준 1일 1.0x103 내지 1.0x1011 세포, 구체적으로 1.0x104 내지 1.0x1010, 1.0x105 내지 1.0x108 세포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이 많은 경우에는 하루에 수회에 걸쳐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불사화된 중간엽줄기세포(MSC)의 제조
실시예 1.1. 불사화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의 제조
MSC를 불사화시키기 위하여, 불사화 유전자인 c-Myc 및 hTERT를 각각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제조하였다. 이때, Tet-off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tTA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함께 삽입하였다.
먼저, pWPT 벡터(Addgene, 미국)의 발현 카세트 내에 EF 프로모터 서열을 CMV 프로모터로 치환하고, 그 하위에 RSV 프로모터를 추가 연결하도록 디자인하여 합성함으로써(바이오니아) pBD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제작하였다.
상기 pBD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c-Myc 유전자(서열번호 6) 및 티미딘인산화효소(thymidine kinase, TK) 유전자(서열번호 4)를 IRES로 연결하여 CMV 프로모터에 의해 발현이 조절될 수 있도록 삽입하였다. 상기 제작된 벡터는 pBD-1로 명명하였다.
한편, pBD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hTERT 유전자(서열번호 8)를 CMV 프로모터에 의해 발현이 조절될 수 있도록 삽입하였다. 여기에, 지오신(zeocin)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유전자(ZeoR; 서열번호 14)는 RSV 프로모터에 의해 발현이 조절될 수 있도록 삽입하였다. 상기 제작된 벡터는 pBD-2로 명명하였다.
또한, pBD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tTA(tetracycline transactivator) 유전자(서열번호 10)를 CMV 프로모터에 의해 발현이 조절될 수 있도록 삽입하였다. 여기에 퓨로마이신(puromycin)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유전자(PuroR; 서열번호 12)는 RSV 프로모터에 의해 발현이 조절될 수 있도록 삽입하였다. 상기 제작된 벡터는 pBD-3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1.2. 불사화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의 생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작된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불사화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를 생산하였다.
먼저, 렌티-X 세포(Clontech Laboratories, 미국)는 10%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150 ㎜ 디쉬(dish)에 배양하였다. 한편, 렌티바이러스 벡터는 EndoFree Plasmin Maxi Kit(Qiagen, 미국)를 사용하여 DH5α 대장균 세포로부터 추출 및 정량하였다.
상기 배양된 렌티-X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3 ㎖의 TrypLE™ Select CTS™(Gibco, 미국)을 첨가하였다. 세포를 37℃에서 약 5분 동안 방치한 뒤, 세포가 탈착된 것을 확인하였다. 탈착된 세포를 7 ㎖의 10%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첨가하여 중화시켰다. 중화된 세포는 50 ㎖ 튜브에 모아서 1,5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10 ㎖의 10%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 배양배지를 첨가하여 세포를 재현탁하였다. 현탁된 세포는 헤마토사이토미터로 그 수를 측정한 뒤, 150 ㎜ 디쉬에 1.2x107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상기 분주된 세포의 세포 포화도가 약 90% 정도로 배양되었을 때, 12 ㎍의 렌티바이러스 벡터, 12 ㎍의 psPAX(Addgene; gag-pol 발현, 패키징 플라스미드) 서열을 합성하여(바이오니아) 확보된 SL-PACK 플라스미드 및 2.4 ㎍의 pMD.G 플라스미드(Addgene; VSVG 발현, 엔벨로프 플라스미드) 를 합성하여(바이오니아) 확보된 SL-ENV 플라스미스 혼합물을 상기 세포에 형질도입하였다. 형질도입을 돕기 위해, 리포펙타민(Invitrogen, 미국)과 플러스 리에이전트(Invitrogen, 미국)를 사용하였다. 형질도입 6시간 후, 10%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으로 배지를 교환하였다. 이를 48시간 추가 배양한 뒤, 상층액을 모았다.
상기 수득된 상층액을 렌티바이러스 농축키트(Lenti-X concentrator, Clontech Laboratories, 미국)와 혼합한 후, 4℃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이를 4℃, 4,000 rpm의 조건으로 2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바이러스를 수득하고, 이를 FBS가 포함되지 않은 0.5 ㎖의 DMEM에 재현탁하였다. 그 결과, pBD-1, pBD-2 및 pBD-3 렌티바이러스 벡터로부터 생산된 렌티바이러스를 각각 4.0x108 TU/㎖, 2.0x108 TU/㎖ 및 1.2x109 TU/㎖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실시예 1.3. 불사화된 중간엽줄기세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에서 생산된 불사화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불사화된 MSC를 제조하였다.
먼저, 골수유래 MSC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한 공여자(donor)의 장골능(iliac crest)에서 골수천자액(bone marrow aspirate)을 수득하였다. 이를 멸균 콘테이너에서 20 IU/㎖의 헤파린과 혼합하여 응고를 억제하였다. 상기 골수 혼합액을 4℃, 739 RCF의 조건으로 7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10배 부피의 멸균된 물과 혼합하였다. 이를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원심분리하여 세포의 펠렛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펠렛을 20%의 FBS 및 5 ng/㎖의 b-FGF(100-18B, Peprotech, 미국)가 포함된 DMEM-low glucose(11885-084, Gibco, 미국) 배지에 현탁하여 배양 플라스크에 분주하였다. 이를 37℃, 5% CO2 조건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배양한 뒤,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다. 이를 3 내지 4일 간격으로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면서 계대 배양하였고, 배양 2주 후 형광세포분석기를 사용하여 MSC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생산된 pBD-1 렌티바이러스로 상기 준비된 MSC를 레트로넥틴(Retronectin, Clontech Laboratories, 미국)을 사용하여 100 MOI로 감염시켰다. 감염된 세포에 동일한 방법으로, pBD-2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100 MOI로 감염시켰다. 감염 후, 안정화된 세포의 배양액에 500 ㎍/㎖의 지오신을 첨가하여 pBD-2 렌티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를 선별하였다.
상기 선별된 세포에 pBD-3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100 MOI로 감염시켰다. 감염 후, 안정화된 세포의 배양액에 1 ㎍/㎖의 퓨로마이신을 첨가하여 pBD-3 렌티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불사화 유전자를 포함하는 MSC 및 그렇지 않은 MSC의 세포 증식율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보이는 바와 같이, 불사화 유전자인 c-Myc 및 hTERT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MSC 세포는, 배양 120일 이후에도 높은 세포 증식율을 유지하였다. 반면, 정상 MSC 세포는 배양 40일 이후에는 세포 증식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실시예 2. HGF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의 제작
실시예 2.1. HGF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의 제작
상기 제작된 pBD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HGF 유전자(서열번호 2)를 삽입하였다. 이때, 삽입된 HGF 유전자는 TRE 프로모터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도록 하였다. TRE 프로모터는 독시사이클린의 첨가 유무에 따라 이와 연결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 저항성을 갖는 유전자(HygroR)(서열번호 16)는 RSV 프로모터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도록 삽입하였다. 상기 제작된 벡터는 pBD-4로 명명하였고, 그 유전자 컨스트럭트의 구조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2. HGF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의 생산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작된 HGF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렌티바이러스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렌티바이러스는 3.5x108 TU/㎖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실시예 3. HGF 유전자를 발현하는 MSC의 제조
실시예 3.1. HGF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가 형질감염된 MSC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불사화된 MSC에, 상기 실시예 2.2에서 생산한 HGF 유전자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를 감염시켜, HGF 유전자를 발현하는 세포를 제조하였다. 감염은 실시예 1.3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감염 후, 안정화된 세포의 배양액에 25 ㎍/㎖의 하이그로마이신을 첨가하여 pBD-4 렌티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세포는 2 ㎍/㎖의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631311, Clontech, 미국)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함으로써, 배양중에 HGF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상기 선별된 세포가 콜로니를 형성하도록 배양하였다. 형성된 콜로니로부터 단일클론의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주를 확립하고 이를 BM-34A라고 명명하였다. 세포주 BM-34A는 2017년 1월 6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번호 KCTC 13183BP로 기탁하였다. 그 결과, 확립된 세포주의 증식율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보이는 바와 같이 BM-34A 세포주는 안정적으로 증식하였다.
실시예 3.2. BM-34A 세포주의 도입유전자 확인 시험
상기 확립된 세포주인 BM-34A 검체를 37℃ 항온수조에서 약 1분간 해동하고 9 ㎖ PBS가 포함된 15 ㎖ 튜브에 옮긴 후 1,500 rpm으로 5분간 셀 다운(Cell Down) 시켰다. PBS를 완전히 제거한 뒤, 1.5 ㎖ 튜브에 200 ㎕의 PBS로 펠렛을 현탁하여 옮겼다. NucleoSpin® Tissue(MN, 740952.250)를 이용하여 gDNA를 준비하고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물을 만든 후, 하기 표 2의 단계로 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100 ng의 BM-34A 플라스미드 DNA를, 음성대조군으로 1 ㎕의 정제수(DW)를 넣었다.
정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17)(10 pmol/㎕, BM163) 1 ㎕
역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18)(10 pmol/㎕, BM151) 1 ㎕
검체(100 ng/㎕) 1 ㎕
정제수 17 ㎕
총 부피 20 ㎕
단계 온도 시간 횟수
1 95℃ 5분 1
2 95℃ 45초 35
60℃ 45초
72℃ 1분
3 72℃ 7분 1
4 4℃ 무한정 1
1% 아가로오스 겔을 전기영동 키트에 넣었다. 첫 번째 웰에 10 ㎕의 DNA Size Marker를 로딩하였고, 다음 웰부터 BM-34A 검체(2개),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의 순서로 각각 10 ㎕씩 로딩하였다. 이후 100 V로 20분동안 전기영동을 실시하였고, 겔 사진을 찍어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BM-34A 세포주 검체 2개 모두 양성대조군과 동일한 사이즈(1.0kb)의 PCR 프로덕트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3. 확립된 세포주에서 HGF 단백질의 발현 확인
상기 실시예 3.1에서 확립된 BM-34A 세포주에서 HGF 단백질의 발현을 ELISA 분석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독시사이클린이 포함되지 않은 배양액으로 이틀 동안 배양하였다. BM-34A 세포주를 12-웰 플레이트에 1X105 세포 수로 총 부피가 1 ㎖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48시간 후, 약 1 ㎖의 세포 배양액을 수득하여 인간 HGF DuoSet ELISA 키트(R&D systems, DY294,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은 각 키트에 포함되어 있는 매뉴얼에 따라 수행되었다. 각 계대별로 발현율의 변함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세 개의 다른 패시지(passage)의 세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으며, 독시사이클린을 제거한 배지에서 약 1x105개의 세포로부터 48시간 동안 발현이 유도된 HGF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적 단백질 발현 수준
HGF 47.72 ng/㎖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독시사이클린이 제거된 배지에서 배양한 BM-34A 세포주에서 HGF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의 BM-34A 세포주에서 약 47.72 ng/㎖의 HGF 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4. 세포의 PDL(Population doubling level) 분석
BM-34A 세포주를 4x105 세포 수로 하여 T75 플라스크에 2 ㎍/㎖의 독시사이클린이 포함된 배지를 이용하여 분주하였다. 3일 또는 4일 정도 계대 배양하여 세포를 수득하였고 총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같은 수의 세포를 분주하여 3 내지 4일 간격으로 PDL을 측정하였다. PDL 값은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이때, 하기 수학식 1에서 X는 초기 PDL, I는 배지에 분주된 초기 세포 수, Y는 최종 세포수율, 또는 성장기 말의 세포 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기 계대 배양시에도 안정된 성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5. 세포의 핵형 분석
BM-34A 세포주에 대하여 유전자가 이입된 세포의 염색체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원생명과학연구원(한국)에 분석 의뢰하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BM-34A 세포주에 대하여 유전자가 이입된 세포의 염색체에서 이상 여부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상 핵형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ECM을 포함한 세포치료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4.1. ECM의 제조
인근 도축장에서 생후 6개월 된 돼지를 입수하였고, 공급자 허가 하에 상기 돼지로부터 심장을 적출하였다. 심장에서 좌심실 부분을 잘라내어 1% 도데실 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 용액을 48시간 동안 처리한 후, 1% Triton X-100용액으로 1시간 처리하였다. 이후, 4% 에탄올 + 0.1% 아세트산 용액으로 멸균 하였다. 탈세포화된 ECM은 동결 건조하여 파우더화 하였고, 상기 파우더는 펩신 및 0.5M 아세트산 용액으로 가용화한 후 PBS로 이온 균형(ionic balance)을 맞추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된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은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맞추어 사용되었다.
실시예 4.2.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또한, BM-MSC(가톨릭세포치료연구사업단, ID No: SS10-P2)의 혈관형성에 있어서 HGF-eMSC 조성물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된 BM-MSC 및 HGF-eMSC 조성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BM-MSC/HGF-eMSC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체내에서 세포의 잔존(retention) 및 생존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작된 각 조성물을 0.5% 용해성 심장 유래 ECM과 결합하였다.
실시예 5.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심장유래 세포외기질(ECM)을 결합한 세포패치의 제조
상기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ECM 및 상기 실시예 4.2.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세포패치 형태로 결합하였다. 구체적으로, 2.0%의 심장유래 ECM에 각각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를 결합시켜, 최종적으로 1.0%의 ECM에 1x106개의 BM-MSC를 함유한 세포패치, 1x106개의 HGF-eMSC를 함유한 세포패치 및 각각 5x105개의 BM-MSC/HGF-eMSC를 함유한 세포패치를 제작하였고, 가장 하단 부위에는 폴리카프로락톤(PCL)을 사용하여 2층 구조로 인쇄하여 세포패치의 지지층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크기는 8mm 지름으로 제작하였다(도 27).
실시예 6. 시험관 내 HGF-eMSC로 자극된(primed) BM-MSC의 효능 평가
HGF-eMSC가 BM-MSC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GF-eMSC로 자극시킨 BM-MSC을 제조하여,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효능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HGF-eMSC로 자극시킨 BM-MSC를 “HGF-eMSC로 자극된 BM-MSC”로 지칭하였다. 구체적으로, 12-웰 플레이트에 BM-MSC를 1x105개의 세포로 분주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transwell insert(corning/3460)에 hdECM이 혼합된 HGF-eMSC 1x105개의 세포를 넣었다. HGF-eMSC로 자극된 BM-MSC를 무혈청 DMEM으로 절식시켰다. 2일 후,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모폴로지 변화, 생존율, 세포사멸, 사이토카인 분비 정도를 확인하였다(도 19 내지 도 24).
실험예 1. BM-MSC/HGF-eMSC가 심기능에 미치는 영향 평가
생후 8주된 Balb/c nude 마우스(Orient bio, 한국)에게 22 게이지(gauge) 혈관 내 튜브 카테터를 이용하여 기관지 삽관을 시행하였다. 이후, 2% 아이소플루레인(isoflurane)으로 마취하여 흉부를 절개하고 심장을 노출시켜 심막을 제거하였다. 8-0 prolene suture를 이용하여 심장의 좌전하행지(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를 영구 결찰하였다. 이때, 경색의 유무를 색조변화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영구 결찰로 인한 색조변화를 확인한 후,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조성물을 각각 25㎕씩 마우스의 심근 허혈부 2개소에 각각 다이렉트 투여하였다. 이때, 그룹당 사용한 세포의 총량이 BM-MSC는 5ⅹ105 세포/25 ㎕, HGF-eMSC는 5ⅹ105 세포/25 ㎕, BM-MSC/HGF-eMSC는 BM-MSC 및 HGF-eMSC 각각 2.5ⅹ105 세포/12.5 ㎕ 이다. 연속적인 심장 초음파 촬영을 통해 투여한 지 1주, 2주, 4주, 및 8주차에 좌심실 구축률(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및 구획단축률(fractional shortening, FS)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8a 내지 도 8c에 나타내었다.
도 8a 내지 도 8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조성물 투여 8주 후, LVEF는 대조군이 24.25%±1.68%, BM-MSC 투여 그룹이 33.03%±1.25%, HGF-eMSC 투여 그룹이 28.58%±1.52% 및 BM-MSC/HGF-eMSC 투여 그룹이 41.31%±2.70%로 나타났다. 또한, 각 조성물 투여 8주 후, FS는 대조군이 9.42%±0.70%, BM-MSC 투여 그룹이 13.25%±0.56%, HGF-eMSC 투여 그룹이 11.20%±0.65% 및 BM-MSC/HGF-eMSC 투여 그룹이 17.17%±0.57% 로 나타났다. 이는 BM-MSC/HGF-eMSC 투여 그룹이 대조군 및 BM-MSC 투여 그룹에 비해 심기능이 유의적으로 향상됨을 의미한다.
실험예 2. BM-MSC/HGF-eMSC가 심장 섬유조직에 미치는 영향 확인
상기 실험예 1과 같이 심근 경색을 유도한 마우스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각 조성물을 투여하였다. 투여한 지 8주 후, 마우스로부터 심장을 적출하여 메이슨 트리크롬 염색법을 통해 섬유증 면적을 관찰하였다. 섬유증의 면적에서 붉은 색으로 염색된 부분은 손상되지 않은 심근을 나타내며 파란색으로 염색된 부분은 손상된 심근으로 섬유화된 심근을 나타낸다. 그 결과를 도 9a 내지 도 9c에 나타내었다.
도 9a 내지 도 9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섬유증 면적은 좌심실 벽의 면적 대비 대조군이 33.95%±2.79%, BM-MSC 투여 그룹이 32.06%±2.68%, HGF-eMSC 투여 그룹이 32.13%±4.14% 및 BM-MSC/HGF-eMSC 투여 그룹이 15.71%±3.03%로 나타났다. 이는 BM-MSC/HGF-eMSC 투여 그룹이 대조군, BM-MSC 투여 그룹 및 HGF-eMSC 투여 그룹에 비해 섬유증 면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의미한다.
또한, 경색된 벽 두께(infarcted wall thickness)는 대조군이 248.23 ㎛±37.26 ㎛, BM-MSC 투여 그룹이 240.68 ㎛±23.25 ㎛, HGF-eMSC 투여 그룹이 225.84 ㎛±16.36 ㎛ 및 BM-MSC/HGF-eMSC 투여 그룹이 330.68 ㎛±46.77 ㎛로 나타났다. 이는 상기 섬유증 면적의 감소가 리스크 영역에서 경색된 벽 두께의 유의적인 증가를 만들어냄을 의미한다.
실험예 3. BM-MSC/HGF-eMSC 그룹의 모세혈관 형성 확인
면역형광 염색법(immunofluorescence stain)을 통해 그룹별 경계영역(border zone, BZ) 및 경색영역(infarct zone, INF)에서의 모세혈관 형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과 같이 마우스에게 기관지 삽관을 시행한 후 2% 아이소플루레인으로 마취하여 흉부를 절개하였고, 심장을 적출하여 혈액을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심장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PFA)에 하룻밤 동안 고정하였고, 파라핀을 침투시켜 조직을 고형화한 파라핀 블록(paraffin block)을 제작하였다. 마이크로톰(microtome)을 이용하여 조직을 3μm의 두께로 절편한 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접착하였다.
자일렌(xylene)으로 조직의 파라핀을 제거한 후, 1차 항체 및 2차 항체로 각각 CD31 및 Alexa flour 488 FITC를 처리하여 모세혈관을 염색하였다. 이후, DAPI(4',6-diamidino-2-phenylindol) 염색 시약을 통해 조직 세포의 핵을 염색하였고, Dil(1,1'-Dioctadecyl-3,3,3',3'-Tetramethylindocarbocyanine Perchlorate) 염색 시약을 통해 BM-MSC의 세포막을 염색하였다. 이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LSM800 w/Airyscan.Carl zeiss., 독일)을 이용하여 각각의 형광염색에 대해 촬영하였다. 이를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색영역에서 면적당 모세혈관의 밀도는 대조군이 218595.56 ㎛2±666.98 ㎛2, BM-MSC 투여 그룹이 349983.9 ㎛2±534.89 ㎛2, HGF-eMSC 투여 그룹이 335190.66 ㎛2±23917.45 ㎛2 및 BM-MSC/HGF-eMSC 투여 그룹이 396206.14 ㎛2±585.793 ㎛2로 나타났다.
또한, 경계영역에서 면적당 모세혈관의 밀도는 대조군이 340899.44 ㎛2±541.91 ㎛2, BM-MSC 투여 그룹이 386637.77 ㎛2±342.91 ㎛2, HGF-eMSC 투여 그룹이 387542.18 ㎛2±16541.36 ㎛2 및 BM-MSC/HGF-eMSC 투여 그룹이 427210.55 ㎛2±938.781 ㎛2로 나타났다.
이는, BM-MSC는 HGF-eMSC와 함께 작용하여 주변분비 효과(paracrine effect)를 통해 경계영역 및 경색영역의 혈관을 발달시킴으로써 모세혈관을 형성하여 대조군 및 BM-MSC 투여 그룹에 비해 심기능을 향상시킴을 의미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BM-MSC/HGF-eMSC 투여 그룹의 BZ 및 INF에서 더 많은 모세혈관이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BM-MSC의 혈관형성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투여한 HGF-eMSC가 실제로 in vivo상에서 모세혈관 형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심장유래 세포외기질(ECM)을 결합한 세포패치의 효능 평가
실험예 4.1. BM-MSC/HGF-eMSC가 심기능에 미치는 영향 평가
생후 8주된 Fisher 344 마우스(코아텍, 한국)에게 16 게이지(gauge) 혈관 내 튜브 카테터를 이용하여 기관지 삽관을 시행하였다. 이후, 2% 아이소플루레인(isoflurane)으로 마취하여 흉부를 절개하고 심장을 노출시켜 심막을 제거하였다. 7-0 prolene suture를 이용하여 심장의 좌전하행지(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를 영구 결찰하였다. 이때, 경색의 유무를 색조변화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영구 결찰로 인한 색조변화를 확인한 후, 흉부를 닫고 심근경색을 유발시킨 후 1주차에 심초음파를 확인하였다(세포패치를 부착 전). 이후, 기관지 삽관을 통하여 2% 아이소플로레인으로 마취하여 흉부를 재절개하고 심장을 노출시킨 후, 제조한 세포패치를 8-0 prolene suture를 이용하여 경색 부위에 부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BM-MSC, HGF-eMSC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를 심근 허혈부 2개소에 각각 부착하였다. 이때, 그룹당 사용한 세포의 총량이 BM-MSC는 1ⅹ106 세포/100 ㎕, HGF-eMSC는 1ⅹ106 세포/100 ㎕, BM-MSC/HGF-eMSC는 BM-MSC 및 HGF-eMSC가 각각 5ⅹ105 세포/50 ㎕이다. 세포패치를 부착한 후 2주 4주, 및 8주차에 좌심실 구축률(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및 구획단축률(fractional shortening, FS)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5a 내지 도 15c에 나타내었다.
도 15a 내지 도 1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세포패치 적용 8주 후, LVEF는 대조군이 34.74%±4.19%, BM-MSC 세포패치 그룹이 33.93%±4.30%, 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34.38%±6.38%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44.05%±2.67%로 나타났다. 또한, 각 조성물 투여 8주 후, FS는 대조군이 14.73%±1.80%, BM-MSC 세포패치 그룹이 14.07%±2.05%, 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14.22%±2.83%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18.82%±1.2%로 나타났다. 이는 BM-MSC/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대조군, BM-MSC 및 HGF-eMSC 세포패치 그룹에 비해 심기능이 유의적으로 향상됨을 의미한다.
실험예 4.2. BM-MSC/HGF-eMSC가 심장 섬유조직에 미치는 영향 확인
상기 실험예 4.1.과 같이 심근 경색을 유도한 쥐에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세포패치를 적용하였다. 적용한 지 8주 후, 쥐로부터 심장을 적출하여 메이슨 트리크롬 염색법을 통해 섬유증 면적을 관찰하였다. 섬유증의 면적에서 붉은 색으로 염색된 부분은 손상되지 않은 심근을 나타내며 파란색으로 염색된 부분은 손상된 심근으로 섬유화된 심근을 나타낸다. 그 결과를 도 16a 내지 도 16c에 나타내었다.
도 16a 내지 도 1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섬유증 면적은 좌심실 벽의 면적 대비 대조군이 36.81%±4.74%, BM-MSC 세포패치 그룹이 32.11%±3.93%, 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31.07%±3.58%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20.72%±3.14%로 나타났다. 이는 BM-MSC/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대조군, BM-MSC 세포패치 그룹 및 HGF-eMSC 세포패치 그룹에 비해 섬유증 면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의미한다.
또한, 경색된 벽 두께(infarcted wall thickness)는 대조군이 640.82 ㎛±56.82 ㎛, BM-MSC 세포패치 그룹이 524.65 ㎛±65.25 ㎛, 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675.58 ㎛±69.79 ㎛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900.82 ㎛±168.67 ㎛로 나타났다. 이는 상기 섬유증 면적의 감소가 리스크 영역에서 경색된 벽 두께의 유의적인 증가를 만들어냄을 의미한다.
실험예 4.3. BM-MSC/HGF-eMSC 그룹의 피하주사 내 모세혈관 형성 확인
면역형광 염색법(immunofluorescence stain)을 통해 그룹별 마우스 둔부에서의 모세혈관 형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4.1.과 같이 쥐에게 기관지 삽관을 시행한 후 2% 아이소플루레인으로 마취하여 둔부를 표피와 함께 수확하여 혈액을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둔부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PFA)에 하룻밤 동안 고정하였고, 파라핀을 침투시켜 조직을 고형화한 파라핀 블록(paraffin block)을 제작하였다. 마이크로톰(microtome)을 이용하여 조직을 4μm의 두께로 절편한 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접착하였다.
자일렌(xylene)으로 조직의 파라핀을 제거한 후, 1차 항체로 Alexa flour 594 Rodamine을 처리하여 모세혈관을 염색하였다. 이후, DAPI(4',6-diamidino-2-phenylindol) 염색 시약을 통해 조직 세포의 핵을 염색하였다. 이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LSM800 w/Airyscan. Carl zeiss., 독일)을 이용하여 각각의 형광염색에 대해 촬영하였다. 이를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었다.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면적당 모세혈관의 밀도는 면적당 BM-MSC 세포패치 그룹이 mm2당 33.4±4.1개, 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28.8±3.1개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49.0±4.3개로 나타났다.
이는, BM-MSC/HGF-eMSC 세포패치 그룹에서 BM-MSC가 HGF-eMSC와 함께 작용하여 주변분비 효과(paracrine effect)를 통해 경계영역 및 경색영역의 혈관을 발달시키는 것을 뒷받힘한다. 이를 통해, BM-MSC의 혈관형성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투여한 HGF-eMSC가 실제로 in vivo상에서 모세혈관 형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4. BM-MSC/HGF-eMSC가 경색부위의 심근조직에 미치는 영향 확인
상기 실험예 4.1.과 같이 심근 경색을 유도한 쥐에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세포패치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적용한 지 8주 후, 쥐로부터 심장을 적출하여 면역 화학법을 사용하여 기능적으로 유의한 심근을 표시하였다. 여기서, 붉은 색으로 염색된 부분이 손상되지 않은 심근을 나타낸다. 그 결과를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내었다.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심근의 면적은 영역당 세포핵의 수에 대비하여 대조군이 35.32±2.89개, BM-MSC 세포패치 그룹이 69.30±28.20개, 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69.61±21.05개 및 BM-MSC/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209.23±17.11개로 나타났다. 이는 BM-MSC/HGF-eMSC 세포패치 그룹이 대조군 및 BM-MSC 세포패치 그룹 그리고 HGF-eMSC 세포패치 그룹에 비해 섬유증 면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함과 더불어 경색 부위의 심근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4.5. 세포패치 내 세포 생존율 비교
Live/dead cell staining 기법을 사용하여 1, 7, 14일간 배양한 세포패치의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배양한 세포패치를 살아있는 상태로 Live/dead staining kit(Thermofisher)을 이용하여 30분간 염색하고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로 이미지를 획득하였다(green-live cell, red-dead cell). 실험 결과, 모든 세포패치의 세포 생존율은 약 80% 이상으로 확인 되었고, 14일간의 체외 배양 시에도 세포 생존율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도 28).
실험예 4.6. 세포패치 내 세포 증식율 비교
Dojindo 사의 CCK-8 시약을 사용하여 ATP를 생성하는데 관여하는 NADH와 dehydrogenase 간의 activity의 시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1, 7, 14일 동안의 세포 증식율을 비교하였다. 살아있는 상태의 세포패치에 배양 미디어와 CCK-8 시약을 10:1 비율로 혼합하여 3시간 후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450 nm)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세포패치 그룹에서 세포 증식율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14일간 배양한 후 BM-MSC/HGF-eMSC 세포패치에서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였다(도 29).
실험예 4.7. 세포패치 내 세포 사멸율 비교
세포패치 제조 시 가해지는 다양한 외부 자극 및 3차원 배양 환경에서의 세포 사멸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Click-iT™ Plus TUNEL Assay for In Situ Apoptosis Detection kit를 사용하여 세포패치 내 fragmented DNA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세포패치를 제조 한 후 24시간동안 인큐베이터에 배양한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로 고정한 뒤 실험을 진행하였다. 획득한 이미지는 Image J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TUNEL positive nuclei/mm2 를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BM-MSC의 anti-apoptosis로 인하여 BM-MSC/HGF-eMSC 세포패치의 세포 사멸율이 HGF-eMSC 세포 사멸율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혼합 제재의 치료 효능을 향상 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도 30).
실험예 4.8. 세포패치의 HGF 방출 거동 분석
제조한 세포패치가 방출하는 HGF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의 방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Human HGF Quantikine ELISA Kit(R&D systems)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HGF 방출량을 정량하였다. 세포패치는 각각 5개씩 제조하였고, 12시간, 24시간, 36시간, 2, 4, 6, 8, 10, 12, 14일에 맞추어 배양액을 획득하였다. 대조군으로 세포가 방출하는 HGF가 아닌 human recombinant HGF를 동일한 패치 내에 혼합하여 방출 거동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HGF를 봉입한 패치에서는 단 시간내(24시간)의 Burst release를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세포패치에서는 시간에 따른 지속적인 방출 거동을 보였다. HGF-eMSC 세포패치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방출양을 보였고 시간에 따른 꾸준한 방출 거동을 보인 반면, BM-MSC 세포패치에서는 낮은 수준의 방출양을 보였으며, BM-MSC/HGF-eMSC 세포패치에서는 그 중간 수준의 방출 양을 보였다(도 31).
실험예 5.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효능 평가
실험예 5.1.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유전자 발현 양상 확인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RT-PCR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RNA는 trizol을 사용하여 분리하였고, cDNA는 takara cDNA 합성 키트(Takara/RR036A)를 사용하였다.
BM-MSC에 사이토카인 HGF 30ng, 0.5% hdECM이 혼합된 HGF-eMSC 및 2% hdECM이 혼합된 HGF-eMSC를 각각 처리하여 3일 동안 자극(prime)시켜,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혈관생성인자(VEGF, HGF, FGF, IGF 등), ECM 리모델링 인자(콜라겐 I, 콜라겐 III, MMP-1, MMP-2 TIMP-1, TIMP-2 등) 및 염증 인자(TGF-b, IL-6, IL-10, IL-4, IL-13 등)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21a 내지 도 21c에 나타내었다.
도 21a 내지 도 2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극되지 않은 BM-MSC 및 HGF 사이토카인으로 자극된 BM-MSC에 비해 HGF-eMSC로 자극된 BM-MSC에서 혈관생성인자인 VEGF, HGF 및 FGF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ECM 리모델링 인자인 MMP-1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염증 인자인 IL-6 및 IL-10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2.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생존율 확인
HGF-eMSC로 자극된 BM-MSC간의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해, CCK-8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HGF-eMSC로 자극된 BM-MSC를 무혈청 DMEM으로 2일 동안 절식시킨 후 cck-8 분석을 수행하였다. CCK-8은 Dojindo 제품을 사용하였다. CCK-8 용액을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상층액을 450 nm 흡광도에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2에 나타내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HGF-eMSC로 자극된 BM-MSC에서의 생존율이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3.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세포사멸 확인
HGF-eMSC로 자극된 BM-MSC를 PI(propidium iodide) 및 annexin v 염색을 통해 세포사멸을 비교하였다. HGF-eMSC로 자극된 BM-MSC를 무혈청 DMEM으로 절식시킨 뒤 실험을 진행하였다. PI & annexin v 염색은 Invitrogen Alexa flour 488 annexin V/Dead cell apoptosis kit(V13241)를 사용하였다. 1x106 세포 당 100 ug PI 1 ul & alexa 488 annexin V 3 ul를 100ul의 1x annexin binding buffer에 현탁시켜 15분 동안 반응시킨 뒤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ry)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3에 나타내었으며, HGF-eMSC로 자극된 BM-MSC에서 조기 세포사멸 및 후기 세포사멸이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3의 4-사분면은 각각 Q4: 생존, Q3: 조기 세포사멸, Q2: 후기 세포사멸, Q1: 괴사를 의미함).
실험예 5.4.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사이토카인 VEGF 분비 수준 확인
HGF-eMSC로 자극된 BM-MSC간의 사이토카인 분비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조건 배지에서 VEGF ELISA를 측정하였다. ELISA 측정은 R&D system/human VEGF ELISA kit/DVE00를 사용하여, 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24에 나타내었으며, HGF-eMSC로 자극된 BM-MSC에서 VEGF의 분비가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5.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HUVEC(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세포이동(migration) 확인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조건 배지에서의 HUVEC 세포이동을 확인하였다. EGM은 endothelial growth medium(positive control) 및 EBM은 Endothelial basic medium(Negative control)을 나타낸다. 8 um 기공 사이즈의 Transparent PET membrane insert(BD/353097)에 HUVEC 5x104개를 EBM에 현탁시켜 분주한 후 각각의 조건 배지를 웰에 넣어주었다. 37℃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이동된 insert membrane을 0.1% crystal violet(sigma/V5265)으로 염색하였다. 그 결과를 도 25a 및 도 25b에 나타내었으며,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조건 배지에서 세포 이동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6.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HUVEC 튜브 형성 확인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조건 배지의 HUVEC 튜브 형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Matrigel은 Growth factor reduced matrigel(corning/354230)을 사용하였다. Matrigel을 24-웰에 250 ul로 분주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여 젤라틴화시켰고, 그 위에 HUVEC을 1x105개의 세포로 분주하여 각각의 조건 배지로 튜브 형성을 유도하였다. 형성된 튜브는 imageJ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26a 및 도 26b에 나타내었고, HGF-eMSC로 자극된 BM-MSC의 조건 배지에서 튜브 형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183BP 20170106
<110> SLBIGEN Inc.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VASCULAR DISEASES COMPRISING MESENCHYMAL STEM CELL EXPRESSING HEPATOCYTE GROWTH FACTOR <130> FPD/201807-0059 <150> KR 10-2017-0099112 <151> 2017-08-04 <160> 1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72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GF <400> 1 Met Trp Val Thr Lys Leu Leu Pro Ala Leu Leu Leu Gln His Val Leu 1 5 10 15 Leu His Leu Leu Leu Leu Pro Ile Ala Ile Pro Tyr Ala Glu Gly Gln 20 25 30 Arg Lys Arg Arg Asn Thr Ile His Glu Phe Lys Lys Ser Ala Lys Thr 35 40 45 Thr Leu Ile Lys Ile Asp Pro Ala Leu Lys Ile Lys Thr Lys Lys Val 50 55 60 Asn Thr Ala Asp Gln Cys Ala Asn Arg Cys Thr Arg Asn Lys Gly Leu 65 70 75 80 Pro Phe Thr Cys Lys Ala Phe Val Phe Asp Lys Ala Arg Lys Gln Cys 85 90 95 Leu Trp Phe Pro Phe Asn Ser Met Ser Ser Gly Val Lys Lys Glu Phe 100 105 110 Gly His Glu Phe Asp Leu Tyr Glu Asn Lys Asp Tyr Ile Arg Asn Cys 115 120 125 Ile Ile Gly Lys Gly Arg Ser Tyr Lys Gly Thr Val Ser Ile Thr Lys 130 135 140 Ser Gly Ile Lys Cys Gln Pro Trp Ser Ser Met Ile Pro His Glu His 145 150 155 160 Ser Phe Leu Pro Ser Ser Tyr Arg Gly Lys Asp Leu Gln Glu Asn Tyr 165 170 175 Cys Arg Asn Pro Arg Gly Glu Glu Gly Gly Pro Trp Cys Phe Thr Ser 180 185 190 Asn Pro Glu Val Arg Tyr Glu Val Cys Asp Ile Pro Gln Cys Ser Glu 195 200 205 Val Glu Cys Met Thr Cys Asn Gly Glu Ser Tyr Arg Gly Leu Met Asp 210 215 220 His Thr Glu Ser Gly Lys Ile Cys Gln Arg Trp Asp His Gln Thr Pro 225 230 235 240 His Arg His Lys Phe Leu Pro Glu Arg Tyr Pro Asp Lys Gly Phe Asp 245 250 255 Asp Asn Tyr Cys Arg Asn Pro Asp Gly Gln Pro Arg Pro Trp Cys Tyr 260 265 270 Thr Leu Asp Pro His Thr Arg Trp Glu Tyr Cys Ala Ile Lys Thr Cys 275 280 285 Ala Asp Asn Thr Met Asn Asp Thr Asp Val Pro Leu Glu Thr Thr Glu 290 295 300 Cys Ile Gln Gly Gln Gly Glu Gly Tyr Arg Gly Thr Val Asn Thr Ile 305 310 315 320 Trp Asn Gly Ile Pro Cys Gln Arg Trp Asp Ser Gln Tyr Pro His Glu 325 330 335 His Asp Met Thr Pro Glu Asn Phe Lys Cys Lys Asp Leu Arg Glu Asn 340 345 350 Tyr Cys Arg Asn Pro Asp Gly Ser Glu Ser Pro Trp Cys Phe Thr Thr 355 360 365 Asp Pro Asn Ile Arg Val Gly Tyr Cys Ser Gln Ile Pro Asn Cys Asp 370 375 380 Met Ser His Gly Gln Asp Cys Tyr Arg Gly Asn Gly Lys Asn Tyr Met 385 390 395 400 Gly Asn Leu Ser Gln Thr Arg Ser Gly Leu Thr Cys Ser Met Trp Asp 405 410 415 Lys Asn Met Glu Asp Leu His Arg His Ile Phe Trp Glu Pro Asp Ala 420 425 430 Ser Lys Leu Asn Glu Asn Tyr Cys Arg Asn Pro Asp Asp Asp Ala His 435 440 445 Gly Pro Trp Cys Tyr Thr Gly Asn Pro Leu Ile Pro Trp Asp Tyr Cys 450 455 460 Pro Ile Ser Arg Cys Glu Gly Asp Thr Thr Pro Thr Ile Val Asn Leu 465 470 475 480 Asp His Pro Val Ile Ser Cys Ala Lys Thr Lys Gln Leu Arg Val Val 485 490 495 Asn Gly Ile Pro Thr Arg Thr Asn Ile Gly Trp Met Val Ser Leu Arg 500 505 510 Tyr Arg Asn Lys His Ile Cys Gly Gly Ser Leu Ile Lys Glu Ser Trp 515 520 525 Val Leu Thr Ala Arg Gln Cys Phe Pro Ser Arg Asp Leu Lys Asp Tyr 530 535 540 Glu Ala Trp Leu Gly Ile His Asp Val His Gly Arg Gly Asp Glu Lys 545 550 555 560 Cys Lys Gln Val Leu Asn Val Ser Gln Leu Val Tyr Gly Pro Glu Gly 565 570 575 Ser Asp Leu Val Leu Met Lys Leu Ala Arg Pro Ala Val Leu Asp Asp 580 585 590 Phe Val Ser Thr Ile Asp Leu Pro Asn Tyr Gly Cys Thr Ile Pro Glu 595 600 605 Lys Thr Ser Cys Ser Val Tyr Gly Trp Gly Tyr Thr Gly Leu Ile Asn 610 615 620 Tyr Asp Gly Leu Leu Arg Val Ala His Leu Tyr Ile Met Gly Asn Glu 625 630 635 640 Lys Cys Ser Gln His His Arg Gly Lys Val Thr Leu Asn Glu Ser Glu 645 650 655 Ile Cys Ala Gly Ala Glu Lys Ile Gly Ser Gly Pro Cys Glu Gly Asp 660 665 670 Tyr Gly Gly Pro Leu Val Cys Glu Gln His Lys Met Arg Met Val Leu 675 680 685 Gly Val Ile Val Pro Gly Arg Gly Cys Ala Ile Pro Asn Arg Pro Gly 690 695 700 Ile Phe Val Arg Val Ala Tyr Tyr Ala Lys Trp Ile His Lys Ile Ile 705 710 715 720 Leu Thr Tyr Lys Val Pro Gln Ser 725 <210> 2 <211> 218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HGF <400> 2 atgtgggtga ccaagctgct gcccgccctg ctgctgcagc acgtgctgct gcacctgctc 60 ctgctgccca tcgccatccc ctacgccgag ggccagagaa agagaagaaa caccatccac 120 gagttcaaga agagcgccaa gaccacactg atcaagatcg accccgccct gaagatcaag 180 accaagaagg tgaacaccgc cgaccagtgc gccaacagat gcaccagaaa caagggcctg 240 cccttcacct gcaaggcctt cgtgttcgac aaggccagaa agcagtgcct gtggttcccc 300 ttcaacagca tgagcagcgg cgtgaagaag gagttcggcc acgagttcga cctgtacgag 360 aacaaggact acatcagaaa ctgcatcatc ggcaagggca gaagctacaa gggcaccgtg 420 agcatcacca agagcggcat caagtgccag ccctggagca gcatgatccc ccacgagcac 480 agcttcctgc ccagcagcta cagaggcaag gacctgcagg agaactactg tagaaaccct 540 agaggcgagg agggcggacc ctggtgcttc accagcaacc ccgaggtgag atacgaggtg 600 tgcgacatcc cccagtgcag cgaggtggag tgcatgacct gcaacggcga gagctacaga 660 ggcctgatgg accacaccga gagcggcaag atctgccaga gatgggacca ccagaccccc 720 cacagacaca agttcctgcc cgagagatac cccgacaagg gcttcgacga caattactgc 780 aggaaccctg atggccagcc cagaccctgg tgctacaccc tggaccccca caccagatgg 840 gagtactgcg ccatcaagac ctgcgccgac aacaccatga acgacaccga cgtgcccctg 900 gagacaaccg agtgcatcca gggccagggc gagggctaca gaggcaccgt gaacaccatc 960 tggaacggca tcccctgcca gaggtgggat agccagtacc cccacgagca cgacatgacc 1020 cccgagaact tcaagtgcaa ggacctgaga gagaattact gtaggaatcc cgacggcagc 1080 gagagcccct ggtgcttcac aaccgacccc aacatcagag tgggctactg cagccagatc 1140 cccaactgcg acatgagcca cggccaggac tgctacagag gcaacggcaa gaactacatg 1200 ggcaacctga gccagaccag aagcggcctg acctgcagca tgtgggacaa gaacatggag 1260 gacctgcaca gacacatctt ctgggagccc gacgccagca agctgaacga gaactactgc 1320 agaaatcccg acgacgacgc ccacggccct tggtgctaca ccggcaaccc cctgatcccc 1380 tgggactact gccccatcag cagatgcgag ggcgacacca cacccaccat cgtgaacctg 1440 gaccaccccg tgatctcctg cgccaagacc aagcagctga gagtggtgaa cggcatcccc 1500 accagaacca acatcggctg gatggtgagc ctgagataca gaaacaagca catctgcggc 1560 ggcagcctga tcaaggagag ctgggtgctg accgccagac agtgcttccc cagcagagac 1620 ctgaaggact acgaggcctg gctgggcatc cacgacgtgc acggcagagg cgacgagaag 1680 tgcaagcagg tgctgaacgt gagccagctg gtgtacggcc ccgagggcag cgacctggtg 1740 ctgatgaagc tggccagacc cgccgtgctg gacgacttcg tgagcaccat cgacctgccc 1800 aactacggct gcaccatccc cgagaagacc agctgcagcg tgtacggctg gggctacacc 1860 ggcctgatca actacgacgg cctgctgaga gtggcccacc tgtacatcat gggcaacgag 1920 aagtgcagcc agcaccacag aggcaaggtg accctgaacg agagcgagat ctgcgccggc 1980 gccgagaaga tcggcagcgg cccctgcgag ggcgactacg gcggccctct ggtgtgcgag 2040 cagcacaaga tgagaatggt gctgggcgtg atcgtgcccg gcagaggctg cgccatcccc 2100 aacagacccg gcatcttcgt gagagtggcc tactacgcca agtggattca caagatcatc 2160 ctgacctaca aggtgcccca gagctaa 2187 <210> 3 <211> 37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TK <400> 3 Met Ala Ser Tyr Pro Cys His Gln His Ala Ser Ala Phe Asp Gln Ala 1 5 10 15 Ala Arg Ser Arg Gly His Ser Asn Arg Arg Thr Ala Leu Arg Pro Arg 20 25 30 Arg Gln Gln Glu Ala Thr Glu Val Arg Leu Glu Gln Lys Met Pro Thr 35 40 45 Leu Leu Arg Val Tyr Ile Asp Gly Pro His Gly Met Gly Lys Thr Thr 50 55 60 Thr Thr Gln Leu Leu Val Ala Leu Gly Ser Arg Asp Asp Ile Val Tyr 65 70 75 80 Val Pro Glu Pro Met Thr Tyr Trp Gln Val Leu Gly Ala Ser Glu Thr 85 90 95 Ile Ala Asn Ile Tyr Thr Thr Gln His Arg Leu Asp Gln Gly Glu Ile 100 105 110 Ser Ala Gly Asp Ala Ala Val Val Met Thr Ser Ala Gln Ile Thr Met 115 120 125 Gly Met Pro Tyr Ala Val Thr Asp Ala Val Leu Ala Pro His Val Gly 130 135 140 Gly Glu Ala Gly Ser Ser His Ala Pro Pro Pro Ala Leu Thr Leu Ile 145 150 155 160 Phe Asp Arg His Pro Ile Ala Ala Leu Leu Cys Tyr Pro Ala Ala Arg 165 170 175 Tyr Leu Met Gly Ser Met Thr Pro Gln Ala Val Leu Ala Phe Val Ala 180 185 190 Leu Ile Pro Pro Thr Leu Pro Gly Thr Asn Ile Val Leu Gly Ala Leu 195 200 205 Pro Glu Asp Arg His Ile Asp Arg Leu Ala Lys Arg Gln Arg Pro Gly 210 215 220 Glu Arg Leu Asp Leu Ala Met Leu Ala Ala Ile Arg Arg Val Tyr Gly 225 230 235 240 Leu Leu Ala Asn Thr Val Arg Tyr Leu Gln Gly Gly Gly Ser Trp Trp 245 250 255 Glu Asp Trp Gly Gln Leu Ser Gly Thr Ala Val Pro Pro Gln Gly Ala 260 265 270 Glu Pro Gln Ser Asn Ala Gly Pro Arg Pro His Ile Gly Asp Thr Leu 275 280 285 Phe Thr Leu Phe Arg Ala Pro Glu Leu Leu Ala Pro Asn Gly Asp Leu 290 295 300 Tyr Asn Val Phe Ala Trp Ala Leu Asp Val Leu Ala Lys Arg Leu Arg 305 310 315 320 Pro Met His Val Phe Ile Leu Asp Tyr Asp Gln Ser Pro Ala Gly Cys 325 330 335 Arg Asp Ala Leu Leu Gln Leu Thr Ser Gly Met Val Gln Thr His Val 340 345 350 Thr Thr Pro Gly Ser Ile Pro Thr Ile Cys Asp Leu Ala Arg Thr Phe 355 360 365 Ala Arg Glu Met Gly Glu Ala Asn 370 375 <210> 4 <211> 11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TK <400> 4 atggccagct acccctgtca ccagcacgcc agcgccttcg accaggccgc tagaagcaga 60 ggccacagca acagaagaac cgccctgaga cccagaagac agcaggaggc cacagaggtg 120 agactggagc agaagatgcc caccctgctg agagtgtaca tcgatggacc ccacggcatg 180 ggcaagacca caacaaccca gctgctggtg gccctgggca gcagagacga catcgtgtac 240 gtgcccgagc ccatgaccta ctggcaggtg ctgggagcca gcgagaccat cgccaacatc 300 tacaccacac agcacagact ggaccagggc gagatcagcg ccggcgacgc tgccgtggtg 360 atgaccagcg cccagatcac aatgggcatg ccctacgccg tgaccgatgc cgtgctggct 420 ccccacgtgg gcggagaggc cggcagcagc cacgcccctc cccctgccct gaccctgatc 480 ttcgacagac accccatcgc cgccctgctg tgctaccccg ccgctagata cctgatgggc 540 agcatgacac cccaggccgt gctggccttc gtggccctga tcccccctac cctgcccggc 600 accaacatcg tgctgggcgc cctgcccgag gacagacaca tcgacagact ggctaagaga 660 cagagacccg gcgagagact ggacctggcc atgctggccg ccatcagaag agtgtacggc 720 ctgctggcca acaccgtgag atacctgcag ggaggcggca gctggtggga ggactggggc 780 cagctgagcg gcaccgccgt gcctccccag ggcgccgagc cccagagcaa cgccggccct 840 agaccccaca tcggcgacac cctgttcacc ctgtttagag cccccgagct gctggccccc 900 aacggcgacc tgtacaacgt gttcgcctgg gccctggacg tgctggccaa gagactgaga 960 cccatgcacg tgttcatcct ggactacgac cagagccccg ccggctgcag agatgccctg 1020 ctgcagctga ccagcggcat ggtgcagacc cacgtgacca cacccggcag catccccacc 1080 atctgcgacc tggccagaac ctttgccaga gagatgggcg aggccaactg a 1131 <210> 5 <211> 45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c-Myc <400> 5 Met Asp Phe Phe Arg Val Val Glu Asn Gln Gln Pro Pro Ala Thr Met 1 5 10 15 Pro Leu Asn Val Ser Phe Thr Asn Arg Asn Tyr Asp Leu Asp Tyr Asp 20 25 30 Ser Val Gln Pro Tyr Phe Tyr Cys Asp Glu Glu Glu Asn Phe Tyr Gln 35 40 45 Gln Gln Gln Gln Ser Glu Leu Gln Pro Pro Ala Pro Ser Glu Asp Ile 50 55 60 Trp Lys Lys Phe Glu Leu Leu Pro Thr Pro Pro Leu Ser Pro Ser Arg 65 70 75 80 Arg Ser Gly Leu Cys Ser Pro Ser Tyr Val Ala Val Thr Pro Phe Ser 85 90 95 Leu Arg Gly Asp Asn Asp Gly Gly Gly Gly Ser Phe Ser Thr Ala Asp 100 105 110 Gln Leu Glu Met Val Thr Glu Leu Leu Gly Gly Asp Met Val Asn Gln 115 120 125 Ser Phe Ile Cys Asp Pro Asp Asp Glu Thr Phe Ile Lys Asn Ile Ile 130 135 140 Ile Gln Asp Cys Met Trp Ser Gly Phe Ser Ala Ala Ala Lys Leu Val 145 150 155 160 Ser Glu Lys Leu Ala Ser Tyr Gln Ala Ala Arg Lys Asp Ser Gly Ser 165 170 175 Pro Asn Pro Ala Arg Gly His Ser Val Cys Ser Thr Ser Ser Leu Tyr 180 185 190 Leu Gln Asp Leu Ser Ala Ala Ala Ser Glu Cys Ile Asp Pro Ser Val 195 200 205 Val Phe Pro Tyr Pro Leu Asn Asp Ser Ser Ser Pro Lys Ser Cys Ala 210 215 220 Ser Gln Asp Ser Ser Ala Phe Ser Pro Ser Ser Asp Ser Leu Leu Ser 225 230 235 240 Ser Thr Glu Ser Ser Pro Gln Gly Ser Pro Glu Pro Leu Val Leu His 245 250 255 Glu Glu Thr Pro Pro Thr Thr Ser Ser Asp Ser Glu Glu Glu Gln Glu 260 265 270 Asp Glu Glu Glu Ile Asp Val Val Ser Val Glu Lys Arg Gln Ala Pro 275 280 285 Gly Lys Arg Ser Glu Ser Gly Ser Pro Ser Ala Gly Gly His Ser Lys 290 295 300 Pro Pro His Ser Pro Leu Val Leu Lys Arg Cys His Val Ser Thr His 305 310 315 320 Gln His Asn Tyr Ala Ala Pro Pro Ser Thr Arg Lys Asp Tyr Pro Ala 325 330 335 Ala Lys Arg Val Lys Leu Asp Ser Val Arg Val Leu Arg Gln Ile Ser 340 345 350 Asn Asn Arg Lys Cys Thr Ser Pro Arg Ser Ser Asp Thr Glu Glu Asn 355 360 365 Val Lys Arg Arg Thr His Asn Val Leu Glu Arg Gln Arg Arg Asn Glu 370 375 380 Leu Lys Arg Ser Phe Phe Ala Leu Arg Asp Gln Ile Pro Glu Leu Glu 385 390 395 400 Asn Asn Glu Lys Ala Pro Lys Val Val Ile Leu Lys Lys Ala Thr Ala 405 410 415 Tyr Ile Leu Ser Val Gln Ala Glu Glu Gln Lys Leu Ile Ser Glu Glu 420 425 430 Asp Leu Leu Arg Lys Arg Arg Glu Gln Leu Lys His Lys Leu Glu Gln 435 440 445 Leu Arg Asn Ser Cys Ala 450 <210> 6 <211> 136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c-Myc <400> 6 atggatttct ttcgcgtcgt cgagaaccag cagccacccg ccactatgcc tctgaacgtg 60 tcttttacta acaggaacta tgatctggat tacgacagcg tgcagcccta cttctattgc 120 gatgaggaag agaactttta tcagcagcag cagcagagcg agctgcagcc acctgcacct 180 tccgaagaca tttggaagaa attcgagctg ctgcctacac cacccctgtc tccaagtcgg 240 agaagcggcc tgtgttcacc cagctacgtg gccgtcactc ctttcagcct gaggggggac 300 aatgatggcg ggggaggctc cttttctaca gccgatcagc tggaaatggt gactgagctg 360 ctggggggag acatggtcaa ccagagcttc atttgcgatc ctgacgatga aacttttatc 420 aagaacatca tcatccagga ctgtatgtgg tcaggcttta gcgccgctgc aaagctggtg 480 tctgagaaac tggcaagtta tcaggccgct cggaaagata gtgggtcacc taacccagct 540 agaggacact ccgtgtgctc tacaagctcc ctgtacctgc aggacctgag cgcagccgct 600 tccgagtgta ttgatccctc cgtggtcttc ccctatcctc tgaatgactc tagttcaccc 660 aagagttgcg catcacagga cagctccgcc ttttcacctt ctagtgatag cctgctgtca 720 agcactgaat cctctccaca gggcagccca gagccactgg tgctgcatga agagacccct 780 ccaaccacaa gttcagattc cgaagaggaa caggaggacg aggaagagat cgatgtggtc 840 tctgtggaaa agcgccaggc tccaggaaaa cgaagcgagt ccggctctcc aagtgcagga 900 ggacactcca agccacctca ttctcccctg gtgctgaaaa ggtgccacgt ctccacccac 960 cagcataact acgcagcccc accctctaca cgaaaggact atccagctgc aaagcgcgtg 1020 aaactggata gcgtgagagt cctgaggcag atcagtaaca atcggaagtg tacttcaccc 1080 agaagctccg acaccgaaga gaacgtgaaa aggcgcaccc ataatgtcct ggaacgccag 1140 cgacggaatg agctgaagag gtccttcttt gccctgcgcg atcagattcc tgaactggag 1200 aacaatgaga aggctccaaa agtggtcatt ctgaagaaag ccacagctta catcctgtct 1260 gtgcaggccg aagagcagaa actgatcagt gaagaggacc tgctgagaaa acgcagggaa 1320 cagctgaaac ataaactgga acagctgaga aactcttgtg cttaa 1365 <210> 7 <211> 113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TERT <400> 7 Met Pro Arg Ala Pro Arg Cys Arg Ala Val Arg Ser Leu Leu Arg Ser 1 5 10 15 His Tyr Arg Glu Val Leu Pro Leu Ala Thr Phe Val Arg Arg Leu Gly 20 25 30 Pro Gln Gly Trp Arg Leu Val Gln Arg Gly Asp Pro Ala Ala Phe Arg 35 40 45 Ala Leu Val Ala Gln Cys Leu Val Cys Val Pro Trp Asp Ala Arg Pro 50 55 60 Pro Pro Ala Ala Pro Ser Phe Arg Gln Val Ser Cys Leu Lys Glu Leu 65 70 75 80 Val Ala Arg Val Leu Gln Arg Leu Cys Glu Arg Gly Ala Lys Asn Val 85 90 95 Leu Ala Phe Gly Phe Ala Leu Leu Asp Gly Ala Arg Gly Gly Pro Pro 100 105 110 Glu Ala Phe Thr Thr Ser Val Arg Ser Tyr Leu Pro Asn Thr Val Thr 115 120 125 Asp Ala Leu Arg Gly Ser Gly Ala Trp Gly Leu Leu Leu Arg Arg Val 130 135 140 Gly Asp Asp Val Leu Val His Leu Leu Ala Arg Cys Ala Leu Phe Val 145 150 155 160 Leu Val Ala Pro Ser Cys Ala Tyr Gln Val Cys Gly Pro Pro Leu Tyr 165 170 175 Gln Leu Gly Ala Ala Thr Gln Ala Arg Pro Pro Pro His Ala Ser Gly 180 185 190 Pro Arg Arg Arg Leu Gly Cys Glu Arg Ala Trp Asn His Ser Val Arg 195 200 205 Glu Ala Gly Val Pro Leu Gly Leu Pro Ala Pro Gly Ala Arg Arg Arg 210 215 220 Gly Gly Ser Ala Ser Arg Ser Leu Pro Leu Pro Lys Arg Pro Arg Arg 225 230 235 240 Gly Ala Ala Pro Glu Pro Glu Arg Thr Pro Val Gly Gln Gly Ser Trp 245 250 255 Ala His Pro Gly Arg Thr Arg Gly Pro Ser Asp Arg Gly Phe Cys Val 260 265 270 Val Ser Pro Ala Arg Pro Ala Glu Glu Ala Thr Ser Leu Glu Gly Ala 275 280 285 Leu Ser Gly Thr Arg His Ser His Pro Ser Val Gly Arg Gln His His 290 295 300 Ala Gly Pro Pro Ser Thr Ser Arg Pro Pro Arg Pro Trp Asp Thr Pro 305 310 315 320 Cys Pro Pro Val Tyr Ala Glu Thr Lys His Phe Leu Tyr Ser Ser Gly 325 330 335 Asp Lys Glu Gln Leu Arg Pro Ser Phe Leu Leu Ser Ser Leu Arg Pro 340 345 350 Ser Leu Thr Gly Ala Arg Arg Leu Val Glu Thr Ile Phe Leu Gly Ser 355 360 365 Arg Pro Trp Met Pro Gly Thr Pro Arg Arg Leu Pro Arg Leu Pro Gln 370 375 380 Arg Tyr Trp Gln Met Arg Pro Leu Phe Leu Glu Leu Leu Gly Asn His 385 390 395 400 Ala Gln Cys Pro Tyr Gly Val Leu Leu Lys Thr His Cys Pro Leu Arg 405 410 415 Ala Ala Val Thr Pro Ala Ala Gly Val Cys Ala Arg Glu Lys Pro Gln 420 425 430 Gly Ser Val Ala Ala Pro Glu Glu Glu Asp Thr Asp Pro Arg Arg Leu 435 440 445 Val Gln Leu Leu Arg Gln His Ser Ser Pro Trp Gln Val Tyr Gly Phe 450 455 460 Val Arg Ala Cys Leu Arg Arg Leu Val Pro Pro Gly Leu Trp Gly Ser 465 470 475 480 Arg His Asn Glu Arg Arg Phe Leu Arg Asn Thr Lys Lys Phe Ile Ser 485 490 495 Leu Gly Lys His Ala Lys Leu Ser Leu Gln Glu Leu Thr Trp Lys Met 500 505 510 Ser Val Arg Asp Cys Ala Trp Leu Arg Arg Ser Pro Gly Val Gly Cys 515 520 525 Val Pro Ala Ala Glu His Arg Leu Arg Glu Glu Ile Leu Ala Lys Phe 530 535 540 Leu His Trp Leu Met Ser Val Tyr Val Val Glu Leu Leu Arg Ser Phe 545 550 555 560 Phe Tyr Val Thr Glu Thr Thr Phe Gln Lys Asn Arg Leu Phe Phe Tyr 565 570 575 Arg Lys Ser Val Trp Ser Lys Leu Gln Ser Ile Gly Ile Arg Gln His 580 585 590 Leu Lys Arg Val Gln Leu Arg Glu Leu Ser Glu Ala Glu Val Arg Gln 595 600 605 His Arg Glu Ala Arg Pro Ala Leu Leu Thr Ser Arg Leu Arg Phe Ile 610 615 620 Pro Lys Pro Asp Gly Leu Arg Pro Ile Val Asn Met Asp Tyr Val Val 625 630 635 640 Gly Ala Arg Thr Phe Arg Arg Glu Lys Arg Ala Glu Arg Leu Thr Ser 645 650 655 Arg Val Lys Ala Leu Phe Ser Val Leu Asn Tyr Glu Arg Ala Arg Arg 660 665 670 Pro Gly Leu Leu Gly Ala Ser Val Leu Gly Leu Asp Asp Ile His Arg 675 680 685 Ala Trp Arg Thr Phe Val Leu Arg Val Arg Ala Gln Asp Pro Pro Pro 690 695 700 Glu Leu Tyr Phe Val Lys Val Asp Val Thr Gly Ala Tyr Asp Thr Ile 705 710 715 720 Pro Gln Asp Arg Leu Thr Glu Val Ile Ala Ser Ile Ile Lys Pro Gln 725 730 735 Asn Thr Tyr Cys Val Arg Arg Tyr Ala Val Val Gln Lys Ala Ala His 740 745 750 Gly His Val Arg Lys Ala Phe Lys Ser His Val Ser Thr Leu Thr Asp 755 760 765 Leu Gln Pro Tyr Met Arg Gln Phe Val Ala His Leu Gln Glu Thr Ser 770 775 780 Pro Leu Arg Asp Ala Val Val Ile Glu Gln Ser Ser Ser Leu Asn Glu 785 790 795 800 Ala Ser Ser Gly Leu Phe Asp Val Phe Leu Arg Phe Met Cys His His 805 810 815 Ala Val Arg Ile Arg Gly Lys Ser Tyr Val Gln Cys Gln Gly Ile Pro 820 825 830 Gln Gly Ser Ile Leu Ser Thr Leu Leu Cys Ser Leu Cys Tyr Gly Asp 835 840 845 Met Glu Asn Lys Leu Phe Ala Gly Ile Arg Arg Asp Gly Leu Leu Leu 850 855 860 Arg Leu Val Asp Asp Phe Leu Leu Val Thr Pro His Leu Thr His Ala 865 870 875 880 Lys Thr Phe Leu Arg Thr Leu Val Arg Gly Val Pro Glu Tyr Gly Cys 885 890 895 Val Val Asn Leu Arg Lys Thr Val Val Asn Phe Pro Val Glu Asp Glu 900 905 910 Ala Leu Gly Gly Thr Ala Phe Val Gln Met Pro Ala His Gly Leu Phe 915 920 925 Pro Trp Cys Gly Leu Leu Leu Asp Thr Arg Thr Leu Glu Val Gln Ser 930 935 940 Asp Tyr Ser Ser Tyr Ala Arg Thr Ser Ile Arg Ala Ser Leu Thr Phe 945 950 955 960 Asn Arg Gly Phe Lys Ala Gly Arg Asn Met Arg Arg Lys Leu Phe Gly 965 970 975 Val Leu Arg Leu Lys Cys His Ser Leu Phe Leu Asp Leu Gln Val Asn 980 985 990 Ser Leu Gln Thr Val Cys Thr Asn Ile Tyr Lys Ile Leu Leu Leu Gln 995 1000 1005 Ala Tyr Arg Phe His Ala Cys Val Leu Gln Leu Pro Phe His Gln Gln 1010 1015 1020 Val Trp Lys Asn Pro Thr Phe Phe Leu Arg Val Ile Ser Asp Thr Ala 1025 1030 1035 1040 Ser Leu Cys Tyr Ser Ile Leu Lys Ala Lys Asn Ala Gly Met Ser Leu 1045 1050 1055 Gly Ala Lys Gly Ala Ala Gly Pro Leu Pro Ser Glu Ala Val Gln Trp 1060 1065 1070 Leu Cys His Gln Ala Phe Leu Leu Lys Leu Thr Arg His Arg Val Thr 1075 1080 1085 Tyr Val Pro Leu Leu Gly Ser Leu Arg Thr Ala Gln Thr Gln Leu Ser 1090 1095 1100 Arg Lys Leu Pro Gly Thr Thr Leu Thr Ala Leu Glu Ala Ala Ala Asn 1105 1110 1115 1120 Pro Ala Leu Pro Ser Asp Phe Lys Thr Ile Leu Asp 1125 1130 <210> 8 <211> 339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hTERT <400> 8 atgcccagag ctcccagatg cagagccgtg agaagcctgc tgagaagcca ctacagagag 60 gtgctgcccc tggccacctt cgtgagaaga ctgggacccc agggctggag actggtgcag 120 agaggcgacc ccgcagcctt tagagccctg gtggcccagt gcctggtgtg cgtgccctgg 180 gacgccagac ctcctcccgc tgcccccagc ttcagacagg tgagctgcct gaaggagctg 240 gtggccagag tgctccagag actgtgcgag agaggcgcca agaacgtgct ggcctttggc 300 ttcgccctgc tggatggagc cagaggcgga cctcccgagg ccttcaccac aagcgtgaga 360 agctacctgc ccaacaccgt gaccgatgcc ctgagaggct ccggcgcctg gggcctgctc 420 ctgagaagag tgggcgacga cgtgctggtg cacctgctgg ccagatgcgc cctgttcgtg 480 ctggtggctc ccagctgcgc ctaccaggtg tgcggacccc ctctgtacca gctgggagcc 540 gccacccagg caagaccccc tccccacgcc tctggaccca gaagaagact gggctgcgag 600 agagcctgga accacagcgt gagagaggct ggcgtgcccc tgggcctgcc cgcccctggc 660 gccagaagaa gaggcggcag cgccagcaga agcctgcccc tgcccaagag acccagacgc 720 ggcgccgctc ccgagcctga gagaacaccc gtgggccagg gcagctgggc ccaccccggc 780 agaaccagag gacccagcga cagaggcttc tgcgtggtga gccctgccag acccgccgag 840 gaggccacca gcctggaggg cgccctgagc ggcaccagac acagccaccc cagcgtgggc 900 agacagcacc acgccggccc tcctagcacc agcagacccc ccagaccttg ggacaccccc 960 tgcccccctg tgtacgccga gaccaagcac ttcctgtaca gcagcggcga caaggagcag 1020 ctgagaccca gcttcctgct gagctccctg agacccagcc tgaccggcgc cagaagactg 1080 gtggagacca tcttcctggg cagcagaccc tggatgcccg gcacccccag aagactgccc 1140 agactgcccc agagatactg gcagatgaga cccctgttcc tggagctgct gggcaaccac 1200 gcccagtgcc cctacggcgt gctgctgaag acccactgcc ccctgagagc tgccgtgacc 1260 cccgcagctg gcgtgtgcgc cagagagaag ccccagggca gcgtggccgc tcccgaggag 1320 gaggacaccg atcccagaag actggtgcag ctgctgagac agcacagcag cccctggcag 1380 gtgtacggct tcgtgagagc ctgcctgaga agactggtgc ctcccggcct gtggggcagc 1440 agacacaacg agagaagatt cctgagaaac accaagaagt tcatcagcct gggcaagcac 1500 gccaagctga gcctccagga gctgacatgg aagatgagcg tgagagactg cgcctggctg 1560 aggagaagcc ctggcgtggg ctgcgtgccc gccgccgagc acagactgag agaggagatc 1620 ctggccaagt ttctgcactg gctgatgagc gtgtacgtgg tggagctgct gagaagcttc 1680 ttctacgtga ccgagaccac attccagaag aacagactgt tcttttacag gaagagcgtg 1740 tggagcaagc tccagagcat cggcatcaga cagcacctga agagagtgca gctgagagag 1800 ctgagcgagg ccgaggtgag acagcacaga gaggccagac ccgccctgct gaccagcaga 1860 ctgagattca tccccaagcc cgatggcctg agacccatcg tgaacatgga ctacgtggtg 1920 ggagccagaa cctttagaag agagaagaga gccgagagac tgaccagcag agtgaaggcc 1980 ctgttcagcg tgctgaacta cgagagagcc agaagacccg gcctgctggg cgccagcgtg 2040 ctgggcctgg acgacatcca cagagcctgg agaaccttcg tgctgagagt gagagcccag 2100 gaccctcctc ccgagctgta cttcgtgaag gtggacgtga ccggcgccta cgacaccatc 2160 ccccaggaca gactgaccga ggtgatcgcc agcatcatca agccccagaa cacctactgc 2220 gtgagaagat acgccgtggt gcagaaggcc gcccacggcc acgtgagaaa ggccttcaag 2280 agccacgtga gcaccctgac cgacctccag ccctacatga gacagttcgt ggcccacctc 2340 caggagacca gccccctgag agatgccgtg gtgatcgagc agagctcttc cctgaacgag 2400 gcctccagcg gcctgttcga cgtgttcctg agattcatgt gccaccacgc cgtgagaatc 2460 agaggcaaga gctacgtgca gtgccagggc atcccccagg gcagcatcct gagcaccctg 2520 ctgtgcagcc tgtgctacgg cgacatggag aacaagctgt tcgctggcat cagaagagac 2580 ggcctgctgc tgagactggt ggacgacttc ctgctggtga ccccccacct gacccacgcc 2640 aagaccttcc tgagaaccct ggtgagaggc gtgcccgagt acggctgcgt ggtgaacctg 2700 agaaagaccg tggtgaactt tcccgtggag gacgaggccc tgggcggcac cgccttcgtg 2760 cagatgcccg cccacggcct gtttccctgg tgcggcctgc tcctcgacac cagaaccctg 2820 gaggtgcaga gcgactacag cagctacgca agaaccagca tcagagccag cctgaccttc 2880 aacagaggct tcaaggccgg cagaaacatg agaagaaagc tgttcggcgt gctgagactg 2940 aagtgccaca gcctgttcct ggacctccag gtgaacagcc tccagaccgt gtgcaccaac 3000 atctacaaga tcctgctgct ccaggcctac agattccacg cctgcgtgct ccagctgccc 3060 ttccaccagc aggtgtggaa gaatcccacc ttcttcctga gagtgatcag cgacaccgcc 3120 agcctgtgct acagcatcct gaaggccaag aatgccggca tgagcctggg cgccaagggc 3180 gccgctggac ccctgcccag cgaggccgtg cagtggctgt gccaccaggc cttcctgctg 3240 aagctgacca gacacagagt gacctacgtg cccctgctgg gcagcctgag aaccgcccag 3300 acccagctga gcagaaagct gcctggcaca accctgaccg ccctggaggc agccgcaaac 3360 cccgccctgc ccagcgactt caagaccatc ctggactag 3399 <210> 9 <211> 24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tTA <400> 9 Met Ser Arg Leu Asp Lys Ser Lys Val Ile Asn Ser Ala Leu Glu Leu 1 5 10 15 Leu Asn Glu Val Gly Ile Glu Gly Leu Thr Thr Arg Lys Leu Ala Gln 20 25 30 Lys Leu Gly Val Glu Gln Pro Thr Leu Tyr Trp His Val Lys Asn Lys 35 40 45 Arg Ala Leu Leu Asp Ala Leu Ala Ile Glu Met Leu Asp Arg His His 50 55 60 Thr His Phe Cys Pro Leu Glu Gly Glu Ser Trp Gln Asp Phe Leu Arg 65 70 75 80 Asn Asn Ala Lys Ser Phe Arg Cys Ala Leu Leu Ser His Arg Asp Gly 85 90 95 Ala Lys Val His Leu Gly Thr Arg Pro Thr Glu Lys Gln Tyr Glu Thr 100 105 110 Leu Glu Asn Gln Leu Ala Phe Leu Cys Gln Gln Gly Phe Ser Leu Glu 115 120 125 Asn Ala Leu Tyr Ala Leu Ser Ala Val Gly His Phe Thr Leu Gly Cys 130 135 140 Val Leu Glu Asp Gln Glu His Gln Val Ala Lys Glu Glu Arg Glu Thr 145 150 155 160 Pro Thr Thr Asp Ser Met Pro Pro Leu Leu Arg Gln Ala Ile Glu Leu 165 170 175 Phe Asp His Gln Gly Ala Glu Pro Ala Phe Leu Phe Gly Leu Glu Leu 180 185 190 Ile Ile Cys Gly Leu Glu Lys Gln Leu Lys Cys Glu Ser Gly Gly Pro 195 200 205 Ala Asp Ala Leu Asp Asp Phe Asp Leu Asp Met Leu Pro Ala Asp Ala 210 215 220 Leu Asp Asp Phe Asp Leu Asp Met Leu Pro Ala Asp Ala Leu Asp Asp 225 230 235 240 Phe Asp Leu Asp Met Leu Pro Gly 245 <210> 10 <211> 74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tTA <400> 10 atgtcaaggc tggataaaag caaagtgatt aactccgctc tggaactgct gaacgaagtc 60 ggcattgagg ggctgaccac acgcaagctg gcacagaagc tgggagtgga gcagcccacc 120 ctgtactggc acgtgaagaa caagcgcgcc ctgctggacg ccctggccat cgagatgctg 180 gatcggcacc acacacactt ctgccctctg gagggcgaga gctggcagga cttcctgcgg 240 aacaatgcca agagctttag atgtgccctg ctgtcccaca gggatggagc aaaggtgcac 300 ctgggcacca gaccaacaga gaagcagtac gagaccctgg agaaccagct ggccttcctg 360 tgccagcagg gcttttctct ggagaatgcc ctgtatgccc tgagcgccgt gggacacttc 420 accctgggat gcgtgctgga ggaccaggag caccaggtgg ccaaggagga gagagagaca 480 cctaccacag actccatgcc ccctctgctg aggcaggcca tcgagctgtt tgatcaccag 540 ggcgccgagc cagccttcct gtttggcctg gagctgatca tctgcggcct ggagaagcag 600 ctgaagtgtg agtctggagg accagcagat gccctggacg atttcgacct ggatatgctg 660 cccgccgacg ccctggacga ttttgatctg gacatgctgc ctgctgatgc cctggatgat 720 tttgacctgg atatgctgcc tggataa 747 <210> 11 <211> 19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PuroR <400> 11 Met Thr Glu Tyr Lys Pro Thr Val Arg Leu Ala Thr Arg Asp Asp Val 1 5 10 15 Pro Arg Ala Val Arg Thr Leu Ala Ala Ala Phe Ala Asp Tyr Pro Ala 20 25 30 Thr Arg His Thr Val Asp Pro Asp Arg His Ile Glu Arg Val Thr Glu 35 40 45 Leu Gln Glu Leu Phe Leu Thr Arg Val Gly Leu Asp Ile Gly Lys Val 50 55 60 Trp Val Ala Asp Asp Gly Ala Ala Val Ala Val Trp Thr Thr Pro Glu 65 70 75 80 Ser Val Glu Ala Gly Ala Val Phe Ala Glu Ile Gly Pro Arg Met Ala 85 90 95 Glu Leu Ser Gly Ser Arg Leu Ala Ala Gln Gln Gln Met Glu Gly Leu 100 105 110 Leu Ala Pro His Arg Pro Lys Glu Pro Ala Trp Phe Leu Ala Thr Val 115 120 125 Gly Val Ser Pro Asp His Gln Gly Lys Gly Leu Gly Ser Ala Val Val 130 135 140 Leu Pro Gly Val Glu Ala Ala Glu Arg Ala Gly Val Pro Ala Phe Leu 145 150 155 160 Glu Thr Ser Ala Pro Arg Asn Leu Pro Phe Tyr Glu Arg Leu Gly Phe 165 170 175 Thr Val Thr Ala Asp Val Glu Val Pro Glu Gly Pro Arg Thr Trp Cys 180 185 190 Met Thr Arg Lys Pro Gly Ala 195 <210> 12 <211> 60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PuroR <400> 12 atgaccgagt acaagcccac ggtgcgcctc gccacccgcg acgacgtccc cagggccgta 60 cgcaccctcg ccgccgcgtt cgccgactac cccgccacgc gccacaccgt cgatccggac 120 cgccacatcg agcgggtcac cgagctgcaa gaactcttcc tcacgcgcgt cgggctcgac 180 atcggcaagg tgtgggtcgc ggacgacggc gccgcggtgg cggtctggac cacgccggag 240 agcgtcgaag cgggggcggt gttcgccgag atcggcccgc gcatggccga gttgagcggt 300 tcccggctgg ccgcgcagca acagatggaa ggcctcctgg cgccgcaccg gcccaaggag 360 cccgcgtggt tcctggccac cgtcggcgtc tcgcccgacc accagggcaa gggtctgggc 420 agcgccgtcg tgctccccgg agtggaggcg gccgagcgcg ccggggtgcc cgccttcctg 480 gagacctccg cgccccgcaa cctccccttc tacgagcggc tcggcttcac cgtcaccgcc 540 gacgtcgagg tgcccgaagg accgcgcacc tggtgcatga cccgcaagcc cggtgcctga 600 600 <210> 13 <211> 1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ZeoR <400> 13 Met Ala Lys Leu Thr Ser Ala Val Pro Val Leu Thr Ala Arg Asp Val 1 5 10 15 Ala Gly Ala Val Glu Phe Trp Thr Asp Arg Leu Gly Phe Ser Arg Asp 20 25 30 Phe Val Glu Asp Asp Phe Ala Gly Val Val Arg Asp Asp Val Thr Leu 35 40 45 Phe Ile Ser Ala Val Gln Asp Gln Val Val Pro Asp Asn Thr Leu Ala 50 55 60 Trp Val Trp Val Arg Gly Leu Asp Glu Leu Tyr Ala Glu Trp Ser Glu 65 70 75 80 Val Val Ser Thr Asn Phe Arg Asp Ala Ser Gly Pro Ala Met Thr Glu 85 90 95 Ile Gly Glu Gln Pro Trp Gly Arg Glu Phe Ala Leu Arg Asp Pro Ala 100 105 110 Gly Asn Cys Val His Phe Val Ala Glu Glu Gln Asp 115 120 <210> 14 <211> 3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ZeoR <400> 14 atggccaagt tgaccagtgc cgttccggtg ctcaccgcgc gcgatgtggc cggagcggtc 60 gagttctgga ccgaccggct cgggttcagc cgggacttcg tggaggacga cttcgccggt 120 gtggtccggg acgacgtgac cctgttcatc agcgcggtcc aggaccaggt ggtgccggac 180 aacaccctgg cctgggtgtg ggtgcgcggc ctggacgagc tgtacgccga gtggtcggag 240 gtcgtgtcca cgaacttccg ggacgcctcc gggccggcca tgaccgagat cggcgagcag 300 ccgtgggggc gggagttcgc cctgcgcgac ccggccggca actgcgtgca cttcgtggcc 360 gaggagcagg actaa 375 <210> 15 <211> 34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ygroR <400> 15 Met Lys Lys Pro Glu Leu Thr Ala Thr Ser Val Glu Lys Phe Leu Ile 1 5 10 15 Glu Lys Phe Asp Ser Val Ser Asp Leu Met Gln Leu Ser Glu Gly Glu 20 25 30 Glu Ser Arg Ala Phe Ser Phe Asp Val Gly Gly Arg Gly Tyr Val Leu 35 40 45 Arg Val Asn Ser Cys Ala Asp Gly Phe Tyr Lys Asp Arg Tyr Val Tyr 50 55 60 Arg His Phe Ala Ser Ala Ala Leu Pro Ile Pro Glu Val Leu Asp Ile 65 70 75 80 Gly Glu Phe Ser Glu Ser Leu Thr Tyr Cys Ile Ser Arg Arg Ala Gln 85 90 95 Gly Val Thr Leu Gln Asp Leu Pro Glu Thr Glu Leu Pro Ala Val Leu 100 105 110 Gln Pro Val Ala Glu Ala Met Asp Ala Ile Ala Ala Ala Asp Leu Ser 115 120 125 Gln Thr Ser Gly Phe Gly Pro Phe Gly Pro Gln Gly Ile Gly Gln Tyr 130 135 140 Thr Thr Trp Arg Asp Phe Ile Cys Ala Ile Ala Asp Pro His Val Tyr 145 150 155 160 His Trp Gln Thr Val Met Asp Asp Thr Val Ser Ala Ser Val Ala Gln 165 170 175 Ala Leu Asp Glu Leu Met Leu Trp Ala Glu Asp Cys Pro Glu Val Arg 180 185 190 His Leu Val His Ala Asp Phe Gly Ser Asn Asn Val Leu Thr Asp Asn 195 200 205 Gly Arg Ile Thr Ala Val Ile Asp Trp Ser Glu Ala Met Phe Gly Asp 210 215 220 Ser Gln Tyr Glu Val Ala Asn Ile Phe Phe Trp Arg Pro Trp Leu Ala 225 230 235 240 Cys Met Glu Gln Gln Thr Arg Tyr Phe Glu Arg Arg His Pro Glu Leu 245 250 255 Ala Gly Ser Pro Arg Leu Arg Ala Tyr Met Leu Arg Ile Gly Leu Asp 260 265 270 Gln Leu Tyr Gln Ser Leu Val Asp Gly Asn Phe Asp Asp Ala Ala Trp 275 280 285 Ala Gln Gly Arg Cys Asp Ala Ile Val Arg Ser Gly Ala Gly Thr Val 290 295 300 Gly Arg Thr Gln Ile Ala Arg Arg Ser Ala Ala Val Trp Thr Asp Gly 305 310 315 320 Cys Val Glu Val Leu Ala Asp Ser Gly Asn Arg Arg Pro Ser Thr Arg 325 330 335 Pro Arg Ala Lys Glu Val Gly Arg Val 340 345 <210> 16 <211> 10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HygroR <400> 16 atgaagaagc ccgaactcac cgctaccagc gttgaaaaat ttctcatcga gaagttcgac 60 agtgtgagcg acctgatgca gttgtcggag ggcgaagaga gccgagcctt cagcttcgat 120 gtcggcggac gcggctatgt actgcgggtg aatagctgcg ctgatggctt ctacaaagac 180 cgctacgtgt accgccactt cgccagcgct gcactaccca tccccgaagt gttggacatc 240 ggcgagttca gcgagagcct gacatactgc atcagtagac gcgcccaagg cgttactctc 300 caagacctcc ccgaaacaga gctgcctgct gtgttacagc ctgtcgccga agctatggat 360 gctattgccg ccgccgacct cagtcaaacc agcggcttcg gcccattcgg gccccaaggc 420 atcggccagt acacaacctg gcgggatttc atttgcgcca ttgctgatcc ccatgtctac 480 cactggcaga ccgtgatgga cgacaccgtg tccgccagcg tagctcaagc cctggacgaa 540 ctgatgctgt gggccgaaga ctgtcccgag gtgcgccacc tcgtccatgc cgacttcggc 600 agcaacaacg tcctgaccga caacggccgc atcaccgccg taatcgactg gtccgaagct 660 atgttcgggg acagtcagta cgaggtggcc aacatcttct tctggcggcc ctggctggct 720 tgcatggagc agcagactcg ctacttcgag cgccggcatc ccgagctggc cggcagccct 780 cgtctgcgag cctacatgct gcgcatcggc ctggatcagc tctaccagag cctcgtggac 840 ggcaacttcg acgatgctgc ctgggctcaa ggccgctgcg atgccatcgt ccgcagcggg 900 gccggcaccg tcggtcgcac acaaatcgct cgccggagcg cagccgtatg gaccgacggc 960 tgcgtcgagg tgctggccga cagcggcaac cgccggccca gtacacgacc gcgcgctaag 1020 gaggtaggtc gagtttaa 1038 <210> 1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M163 Forward primer <400> 17 tacatcatgg gcaacgagaa 20 <210> 1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M151 Reverse primer <400> 18 tcgtcctgca gttcattcag 20

Claims (19)

  1. 간세포성장인자(hapatocyte growth factor, HGF) 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불사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hTERT 및 c-Myc 유전자가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된 중간엽줄기세포는 재조합 렌티바이러스로 형질감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바이러스는 재조합 렌티바이러스 벡터, 패키징 플라스미드 및 엔벨로프 플라스미드로 숙주세포를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로부터 렌티바이러스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렌티바이러스 벡터는 HGF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HGF 단백질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렌티바이러스 벡터가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모터가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MV),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인간 성장인자-1 알파(human elongation factor-1 alpha, EF-1α), 및 TRE(tetracycline response element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형질전환되지 않은 중간엽줄기세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되지 않은 중간엽줄기세포는 골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BM-MS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되지 않은 중간엽줄기세포와 HGF를 발현하는 형질전환된 중간엽줄기세포의 혼합 비율은 1:10 내지 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계 질환이 협심증, 심근경색, 동맥경화증, 죽상동맥경화증, 결절성 동맥주위염, 고안동맥염, 혈관폐색, 뇌졸중, 뇌출혈, 뇌색전, 뇌부종 및 허혈성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된 중간엽줄기세포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수탁번호 KCTC13183BP로 기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세포외기질(ECM)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6. 혈관계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의 용도.
  17.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의 용도.
  18.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9. 간세포성장인자 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된 중간엽줄기세포 및 세포외기질(ECM)을 포함하는 세포 치료용 패치.
KR1020180091280A 2017-08-04 2018-08-06 간세포성장인자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151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99112 2017-08-04
KR1020170099112 2017-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153A true KR20190015153A (ko) 2019-02-13

Family

ID=6523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280A KR20190015153A (ko) 2017-08-04 2018-08-06 간세포성장인자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15153A (ko)
WO (1) WO201902729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0806A1 (en) * 2019-03-28 2021-02-04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human placenta stem cells protect the brain from stroke injury via exosome/microparticle formation and ace2 maintenance of brain perfu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2220A1 (en) * 2019-07-24 2022-09-08 Sl Bigen Inc. Method for preparation of immortalized stem cell line and use thereof
WO2024121818A1 (en) * 2022-12-09 2024-06-13 Mesoblast International Sarl Method of treating heart failure in subjects with persistent inflamm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81689T3 (es) * 1992-05-18 2003-03-01 Genentech Inc Variantes del factor de crecimiento de hepatocitos.
US5994136A (en) * 1997-12-12 1999-11-30 Cell Genesys, Inc. Method and means for producing high titer, safe, recombinant lentivirus vectors
EP2832851B1 (en) * 2012-03-28 2019-04-17 Quarrymen & Co. Inc. Immortalized stem cells and medicinal composition and medicinal preparation comprising product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CN109477119A (zh) * 2016-02-04 2019-03-15 斯比根公司 表达肝细胞生长因子的间充质干细胞及其用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0806A1 (en) * 2019-03-28 2021-02-04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human placenta stem cells protect the brain from stroke injury via exosome/microparticle formation and ace2 maintenance of brain perfu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299A3 (ko) 2019-04-25
WO2019027299A2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057B1 (ko) 간세포성장인자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CN114106139B (zh) 用于诱导组织再生的肽及其应用
US10174287B2 (en) Composition for inducing direct transdifferentiation of somatic cell into vascular progenitor cell, and use thereof
KR101985271B1 (ko) Trail 및 cd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TWI486168B (zh) 治療內皮功能不良之方法
JP6960396B2 (ja) 分裂終了細胞の細胞分裂を誘発するための方法
JP2008206520A (ja) 骨髄に由来するTGFβ1応答細胞
KR102427892B1 (ko) 뇌유래-신경영양인자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KR20190015153A (ko) 간세포성장인자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65496B1 (ko) 히레귤린 베타1의 egf-성 도메인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dna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포함하는 신경세포 분화 및 재생용 약학 조성물
EP1307582B1 (en) Nucleic acid constructs, vascular cells transformed therewith,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tilizing same for inducing angiogenesis
KR101723292B1 (ko) Kai1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4615985A (zh) 包含修饰mRNA的分子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20190015154A (ko) Trail 및 cd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12966A (ko) 불사화된 줄기세포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WO2022244851A1 (ja) 褥瘡の予防剤及び/又は治療剤
JP4775663B2 (ja) 血管新生制御方法
KR20220000688A (ko) 뇌 유래 신경영양인자를 발현하는 불사화된 줄기세포주를 포함하는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54177A (ko) 림프관 신생촉진인자 발현 섬유아세포 및 이를 포함하는의약 조성물
EP1642586A1 (en) Cell-containing preparations
CN117120063A (zh) 淋巴管新生促进因子表达成纤维细胞以及含有该细胞的医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