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220A -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220A
KR20190014220A KR1020170096419A KR20170096419A KR20190014220A KR 20190014220 A KR20190014220 A KR 20190014220A KR 1020170096419 A KR1020170096419 A KR 1020170096419A KR 20170096419 A KR20170096419 A KR 20170096419A KR 20190014220 A KR20190014220 A KR 20190014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ngover
leaf
yeast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바이오
Priority to KR1020170096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4220A/ko
Publication of KR2019001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 후 체내에서 알코올의 대사 결과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를 신속히 분해하여 두통을 완화하고, 음주로 인한 갈증 및 입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갖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Composition of mixed ferment extraction liquid for hangover elimination and hangover eliminator containing composition as effective ingredient thereof}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음주 후 체내에서 알코올의 대사 결과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를 신속히 분해하여 두통을 완화하고, 음주로 인한 갈증 및 입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갖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주를 통하여 흡수된 알코올의 효과는 음주 후 약 10분 이내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40∼60분이면 최고 정점에 도달하게 된다. 알코올은 식도 및 구강 점막에서 소량 흡수되고, 이후 약 10% 정도의 알코올은 위장에서, 나머지 90% 정도의 알코올은 소장에서 흡수되게 된다. 알코올의 흡수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지방이 많은 음식물은 이동속도가 느려 알코올의 흡수를 느리게 하며, 공복시에는 음식물과 함께 음주를 하는 경우보다 3∼4배 빨리 흡수되며, 술을 빨리 마실수록 흡수되는 속도도 증가한다.
알코올은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7.1kcal/g의 높은 열량을 발생하는 물질로서, 함유하고 있는 열량 그대로 인체에 흡수되지는 못하고, 생체내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못하므로 영양결핍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음주에 의해 흡수된 알코올의 약 10%는 호흡이나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고, 나머지 90%의 대부분은 위 점막이나 간에서 대사되게 된다. 이때 알코올 대사량의 약 90 ~ 95%는 간에서 산화되어 분해되게 된다.
알코올은 보통 세가지 정도의 경로를 통하여 산화되는데, 첫째 위 점막 또는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의 작용, 둘째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솜 에탄올 산화계(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EOS) 작용, 셋째 퍼옥시솜(peroxisome)에 존재하는 카탈라제(catalrase)의 작용 등을 거쳐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 분해된다.
적당량의 알코올이 유입될 경우에는 위에서 기술한 산화체계가 원활하게 작용하여 알코올로 기인된 좋지 않은 제반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나, 다량의 알코올 유입시는 대사체계의 균형이 파괴되어 세포내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이 간인데,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지방간, 간경변증 등 여러 가지 간기능 장애가 발생하고 단기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또는 두중감, 집중력 감퇴, 속쓰림, 및 소화불량 등이 초래된다.
특히, 신체에서 에탄올은 아세트알데히드로 처음 분해된 후 아세트산으로 분해되는데, 고농도의 활성 화합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발한(sweat), 급맥(rapid pulse), 피부발열(skin flushing), 오심(nausea) 그리고 구토(vomiting)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대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알코올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숙취의 원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숙취증상은 음주를 마친 후 몇 시간 안에 시작되어서 거의 하루 동안 지속되는데, 특별한 숙취의 경험은 매우 개인적인 성향과 상황적이고 소비된 알코올의 종류와 양에 의존적이다. 신체적 숙취 증상들은 두통, 피로, 빛과 소리 민감성, 근육통, 눈의 적색, 갈증, 오심, 구토 그리고 위통을 포함한다. 숙취는 빠른 심장박동, 흥분, 혈압상승 그리고 발한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를 해소하기 위하여 예로부터 콩나물, 북어, 녹두 등이 음주 후의 숙취 해소용 음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콩나물에는 ADH의 작용을 도와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킴으로써 간을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는 아스파라긴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현재 아스파라긴산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음료도 시판되고 있다.
숙취해소와 관련한 기술들은 민간 요법 또는 고전 한의서에 기술된 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그 효능이 경험적 혹은 임상적으로 입증되어 일부 조성물은 현재 제품화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숙취해소 및 간보호 효능에 관하여 과학적인 입증이 부족한 상태이거나, 조성물의 원료가 희귀하거나 가격면에서 상품화하기가 적정하지 않아 제품화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숙취해소제의 개발을 위해서는 숙취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고, 이를 원인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원료를 선정하여 이들 원료의 조성을 최적화한 후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조성물의 효능을 보다 과학적으로 입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키고, 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숙취해소가 우수한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에 따라 유추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은, 바나바잎, 여주잎, 모링가잎, 녹차잎, 정제수, 설탕, 액상과당, 효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은, 바나바잎 0.06 ~ 11중량%, 여주잎 0.06 ~ 11중량%, 모링가잎 0.05 ~ 10중량%, 녹차잎 0.05~ 10중량%, 정제수 8 ~ 86.68중량%, 설탕 8 ~ 30중량%, 액상과당 5 ~ 15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는, 바나바잎 0.06 ~ 11중량%, 여주잎 0.06 ~ 11중량%, 모링가잎 0.05 ~ 10중량%, 녹차잎 0.05~ 10중량%, 정제수 8 ~ 86.68중량%, 설탕 8 ~ 30중량%, 액상과당 5 ~ 15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희석 정제수 100 ~ 2,500중량%를 첨가하고, 희석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및 향료 0.1 ~ 5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는, 바나바잎 0.06 ~ 11중량%, 여주잎 0.06 ~ 11중량%, 모링가잎 0.05 ~ 10중량%, 녹차잎 0.05~ 10중량%, 정제수 8 ~ 86.68중량%, 설탕 8 ~ 30중량%, 액상과당 5 ~ 15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희석 정제수 100 ~ 2,500중량%를 첨가하고, 희석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및 감초 0.1 ~ 5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숙취해소제에 홍삼 농축액 및 향료 0.05 ~ 3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는, 바나바잎 0.06 ~ 11중량%, 여주잎 0.06 ~ 11중량%, 모링가잎 0.05 ~ 10중량%, 녹차잎 0.05~ 10중량%, 정제수 8 ~ 86.68중량%, 설탕 8 ~ 30중량%, 액상과당 5 ~ 15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희석 정제수 100 ~ 2,500중량%를 첨가하고, 희석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및 감초 0.1 ~ 5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숙취해소제에 과일 농축액 및 향료 0.05 ~ 10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은, 바나바잎 0.05 ~ 13중량%, 여주잎 0.05 ~ 13중량%, 모링가잎 0.04 ~ 11중량%, 녹차잎 0.04~ 11중량%, 정제수 20 ~ 92.72중량%, 설탕 5 ~ 18중량%, 액상과당 2 ~ 9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는, 바나바잎 0.05 ~ 13중량%, 여주잎 0.05 ~ 13중량%, 모링가잎 0.04 ~ 11중량%, 녹차잎 0.04~ 11중량%, 정제수 20 ~ 92.72중량%, 설탕 5 ~ 18중량%, 액상과당 2 ~ 9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및 향료 0.1 ~ 5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 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는, 바나바잎 0.05 ~ 13중량%, 여주잎 0.05 ~ 13중량%, 모링가잎 0.04 ~ 11중량%, 녹차잎 0.04~ 11중량%, 정제수 20 ~ 92.72중량%, 설탕 5 ~ 18중량%, 액상과당 2 ~ 9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및 감초 0.1 ~ 5중량%를 첨가하고, 홍삼 농축액 및 향료 0.05 ~ 3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 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는, 바나바잎 0.05 ~ 13중량%, 여주잎 0.05 ~ 13중량%, 모링가잎 0.04 ~ 11중량%, 녹차잎 0.04~ 11중량%, 정제수 20 ~ 92.72중량%, 설탕 5 ~ 18중량%, 액상과당 2 ~ 9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0.1 ~ 5중량%를 첨가하고, 과일 농축액 및 향료 0.05 ~ 10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에 따르면,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감소효과가 우수하고, 알코올의 과다 섭취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는 물론, 두통 감소 효과 등 숙취해소에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제에 따르면, 음주 전후 간편하게 숙취해소용으로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알코올 투여 전후 시간대별 혈중 알코올 농도를 비교한 결과.
도 2는 알코올 투여 전후 시간대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한 결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은 다음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은 물질 및 비율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
구분 비율(중량%)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바나바잎 0.06 ~ 11
여주잎 0.06 ~ 11
모링가잎 0.05 ~ 10
녹차잎 0.05 ~ 10
정제수 8 ~ 86.68
설탕 8 ~ 30
액상과당 5 ~ 15
효모 0.1 ~ 5
첨가물 1 희석 정제수 100 ~ 2,500
첨가물 2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향료 0.1 ~ 5
첨가물 3 홍삼 농축액, 향료 0.05 ~ 3
첨가물 4 과일 농축액,향료 0.05 ~ 10
완제품 제조시 첨가물 2의 향료와 첨가물 3 및 4의 향료는 서로 중복 첨가되지 않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혼합발효 추출액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따라 제조된다.
제1단계 : 바나바잎 0.06 ~ 11중량%, 여주잎 0.06 ~ 11중량%, 모링가잎0.05 ~ 10중량%, 녹차잎 0.05~ 10중량%, 정제수 8 ~ 86.68중량%, 설탕(백설탕 또는 황설탕) 8 ~ 30중량%, 효모 0.1 ~ 5중량%를 혼합한다.
제2단계 : 상기와 같이 혼합된 물질들을 1차 발효시킨다.
제3단계 : 발효가 완료되면, 액상과당 5 ~ 15중량%를 첨가하여 2차 발효시킨다.
제4단계 : 상기와 같이 2차 발효시킨 액상을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실시예 1을 통해 얻어진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완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액상 총중량에 대하여 희석 정제수 100 ~ 2,500중량%와,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및 향료 0.1 ~ 5중량%를 추출기에 첨가하여 6시간 이상 가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6시간 이상 가열된 액상에 대하여 홍삼 농축액 및 향료 0.05 ~ 3중량%를 첨가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다른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다른 완제품은 제5단계에서 첨가되는 향료를 제외하고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6시간 이상 가열된 액상에 대하여 과일 농축액 및 향료 0.05 ~ 10중량%를 첨가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또 다른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또 다른 완제품은 제5단계에서 첨가되는 향료를 제외하고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구분 비율(중량%)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바나바잎 0.05 ~ 13
여주잎 0.05 ~ 13
모링가잎 0.04 ~ 11
녹차잎 0.04 ~ 11
정제수 20 ~ 92.72
설탕 5 ~ 18
액상과당 2 ~ 9
효모 0.1 ~ 5
첨가물 1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향료 0.1 ~ 5
첨가물 2 홍삼 농축액, 향료 0.05 ~ 3
첨가물 3 과일 농축액, 향료 0.05 ~ 10
완제품 제조시 첨가물 1의 향료와 첨가물 2 및 3의 향료는 서로 중복 첨가되지 않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혼합발효 추출액은 실시예 1과 배합비율만 달리할 뿐, 동일한 조성물질로 이루어지며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제1단계 : 바나바잎 0.05 ~ 13중량%, 여주잎 0.05 ~ 13중량%, 모링가잎 0.04 ~ 11중량%, 녹차잎 0.04~ 11중량%, 정제수 20 ~ 92.72중량%, 설탕(백설탕 또는 황설탕) 5 ~ 18중량%, 효모 0.1 ~ 5중량%를 혼합한다.
제2단계 : 상기와 같이 혼합된 물질들을 1차 발효시킨다.
제3단계 : 발효가 완료되면, 액상과당 2 ~ 9중량%를 첨가하여 2차 발효시킨다.
제4단계 : 상기와 같이 2차 발효시킨 액상을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실시예 2를 통해 얻어진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완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액상에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및 향료 0.1 ~ 5중량%를 추출기에 첨가하여 6시간 이상 가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6시간 이상 가열된 액상에 대하여 홍삼 농축액 및 향료 0.05 ~ 3중량%를 첨가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다른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다른 완제품은 제5단계에서 투입되는 향료를 제외하고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6시간 이상 가열된 액상에 대하여 과일 농축액 및 향료 0.05 ~ 10중량%를 첨가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또 다른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6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또 다른 완제품은 제5단계에서 투입되는 향료를 제외하고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얻어진 혼합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되는 완제품은, 숙취해소제로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음료를 말한다.
[실험예]
혼합발효 추출액(이하, HKD)의 경구투여에 의한 알코올 대사능 평가를 위하여 온습도 등, 사료 및 물 등을 자유 급여하는 상태에서 실험동물 및 투여개시시 주령으로서 SD 계통의 특정병원균 부재(SPF) 랫드와 암컷 6 주령을 이용하였다.
군당 5 마리의 랫드에 시험물질과 음성 및 양성대조군을 경구투여하고, 알코올을 경구투여한 다음,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하여 시험물질의 알코올 대사능을 음성 및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음성대조물질로는 증류수(이하, DW: Distilled Water)를 이용하고, 양성대조물질로는 여명808(이하, YM)을 이용하였다.
동물 입수시 공급처에서 제공한 실험계의 병원체 검사 성적서를 참고하여 입수동물의 검수검역을 실시하였으며, 동물 입수 후 7일간 실험을 실시하는 동물실내에서 순화시켰다. 동물공급업체에서 제공한 시험계의 건강 및 병원체검사 성적서를 검토한 결과 실험에 영향을 끼칠 만한 요인은 없었다.
본 실험은 온도 23±1℃, 상대습도 50±10%, 환기횟수 10 ~ 20회/hr, 조명시간 12시간(오전 8시 점등 ~ 오후 8시 소등) 및 조도 150 ~ 300Lux로 설정한 상태에서 행해졌다.
실험기간 중 동물실의 온습도는 사육실 내 Roll 자기온습도계 및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온습도 측정기로 매시간 마다 환기횟수 및 조도 등의 환경조건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였다. 환경측정 결과, 사육실의 온도는 22.9±0.44℃, 상대습도는 47.9±2.74%이었으며, 사육환경은 실험의 결과에 나쁜 영향을 끼칠만한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깔짚은 칩 타입 깔짚을 고압증기멸균(121℃, 멸균시간 20분, 건조시간 5분)한 후, 적량의 깔짚을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W160 x L280 x H140mm)에 담아 검역 및 순화기간에는 3마리/사육상자, 시험기간에는 군 당 5수를 각각 1마리/사육상자에 사육하였다.
실험에 공급된 사료는 방사선조사로 멸균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40 RMM-SP-10, U8239G10R, SAFE-DIETS, France)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사료의 성분분석 성적서를 검토한 결과, 사료조성 및 오염물질검사에서 실험에 악영향을 끼칠 만한 요인은 없었다.
물은 RO수를 고압멸균기로 멸균한 후, 물병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실험에 앞서 공인기관(보건환경연구원,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1로 184)에 의뢰하여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먹는물 수질기준적합 판정을 받았다.
시험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성별 동물수 동물번호 투여물질 투여액량
(mL/kg)
G1 F 5 1-5 DW 10
G2 F 5 6-10 YM 10
G3 F 5 11-15 HKD 10
동물의 군 분리는, 전처리 전 모든 동물의 체중을 측정한 후, 각 군의 평균체중이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모든 군에 군당 5수씩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동물의 개체식별은 시험 기간(1수/1상자)동안 사육상자에는 개체식별카드를 부착하며, 사육상자대에는 고유번호를 부여하였다.
소화기관의 상태에 따라 경구 투여된 물질의 흡수율이 달라지므로, 모든 개체에 동일한 조건을 부여하기 위해 알코올 투여 기준 16시간 전 사육상자 바닥에 절식망을 깔고 사료를 제외한 음수만 자율 급여하였다.
부형제대조군(DW)을 포함한 시험군(HKD) 및 양성대조군(YM)은 알코올 투여 1시간 전 위존데를 이용해 경구 투여하였다.
절식 16시간 이후 위존데를 이용하여 30% 알코올을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액량은 시험/양성대조물질 및 알코올은 10mL/kg 기준의 액량으로 1회 투여하였다.
시험항목으로는 모든 동물에 대하여 투여 개시 시 및 채혈 전 일반 증상을 관찰하였고,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관찰하였으며, 알코올 대사 촉진에 대한 시험물질(HKD)을 양성대조군(YM) 및 부형제대조군(DW)과 비교 확인하기 위하여 알코올 투여 전(0시간) 및 투여 후(1, 3, 5시간)로 총 4차례 경정맥 채혈하여 분리된 혈청(serum)을 가지고, Ethanol Assay Kit(abcam, ad65343)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부형제대조군 대비 농도 감소율(RR; reduction rate)을 산출하였다.
또한, 알코올의 대사 촉진에 따른 아세트알데히드 산화량 변화 및 분해 촉진을 비교 확인하기 위하여 Aldehyde Quantification Assay Kit (abcam, ad138882)를 이용하여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여 부형제대조군 대비 농도 감소율(RR; Reduction Rate)을 산출하였다.
시간
그룹
DW YM HKD
0 8.75 ± 0.710 4.42 ± 0.272 4.51 ± 0.102
1 57.32 ± 5.512 51.10 ± 2.867 42.66 ± 3.531
RR(%) 10.9 25.6
3 36.94 ± 2.829 45.32 ± 1.779 36.11 ± 3.6999
RR(%) 2.2
5 34.38 ± 4.402 25.15 ± 1.136 20.40 ± 2.054
RR(%) 26.9 40.7
N 5 5 5
RR(%) = +(Treatment group ethanol level/DW group ethanol level *100)-100
시험기간 중 특이증상이나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알코올 투여 전후 시간대별 혈중 알코올 농도를 비교한 결과는 도 1 및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투여 1시간 후에 최고 수치(DW 57.32±5.512ug/gL, YM 51.10±2.867ug/gL, HKD 42.66±3.531ug/gL)가 관찰되었다.
이후, 3시간째부터 알코올의 혈중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투여 5시간 후에는 최저 수치(DW 34.38±4.402ug/gL, YM 25.15±1.136ug/gL, HKD 20.40±2.054ug/gL)로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군간의 비교 결과, 시험군(HKD)에서 매 시간대 마다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5시간째 부형제대조군(DW)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p<0.05)이 인정되는 농도 감소가 관찰되었다.
시간
그룹
DW YM HKD
0 118.3 ± 1.40 130.2 ± 3.88 128.7 ± 8.33
1 139.9 ± 5.79 174.5 ± 25.27 195.1 ± 8.10
RR(%)
3 256.7 ± 15.91 285.1 ± 24.86 285.0 ± 14.76
RR(%)
5 292.9 ± 12.49 256.5 ± 15.18 258.8 ± 15.20
RR(%) 12.4 11.6
N 5 5 5
알코올 투여 전후 시간대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도 2 및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1시간과 3시간 수치에서 양성대조군(YM)에서 174.5±25.27uM, 285.1±24.86uM, 시험군(HKD)에서 195.1±8.10uM, 285.0±14.76uM로 계속 상승하였다.
그러나 5시간째부터 각각 256.5±15.18uM, 258.8±15.20uM로 감소하였고, 부형제대조군(DW)은 139.9±5.79uM, 256.7±15.91uM, 292.9±12.49uM로 5시간째까지 계속 수치가 증가하였다.
1시간과 3시간째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부형제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은 ADH(alchol dehydrogenase)가 관여하는 1 단계 분해과정에서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는 과정은 빨리 진행되었으나, ALDH(aldehyde dehydrogenase)가 관여하는 2 단계 분해과정에서 아세트알데히드가 초산(acetic acid)으로 분해되는데 소요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5시간 후에는 2단계 분해도 상당부분 진행된 것으로 보이고, 그 정도는 앙성대조군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알코올 섭취 한 시간가량 동안 흡수와 확산을 거쳐 혈중 최고 농도에 도달하며, 이후 체내에서 분해되며 혈중 농도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아세트알데히드 산화량은 늘어나게 된다.
본 실험에서 알코올 투여 5시간째 혼합발효추출액 HKD는 부형제대조군(DW)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켰고, 양성대조군(YM)에 비해서도 낮은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알코올 투여 5시간째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분석 결과에서도 부형제대조군은 수치가 계속 증가하는 반면, 혼합발효추출액 HKD는 빠르게 분해되는 경향을 확인하였고, 이는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혼합발효추출액 HKD는 알코올 대사 촉진 효능이 있다고 판단된다.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의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 중에서 일부분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서 많은 다른 방법들을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바나바잎, 여주잎, 모링가잎, 녹차잎, 정제수, 설탕, 액상과당, 효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2. 바나바잎 0.06 ~ 11중량%, 여주잎 0.06 ~ 11중량%, 모링가잎 0.05 ~ 10중량%, 녹차잎 0.05~ 10중량%, 정제수 8 ~ 86.68중량%, 설탕 8 ~ 30중량%, 액상과당 5 ~ 15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3. 바나바잎 0.06 ~ 11중량%, 여주잎 0.06 ~ 11중량%, 모링가잎 0.05 ~ 10 중량%, 녹차잎 0.05~ 10중량%, 정제수 8 ~ 86.68중량%, 설탕 8 ~ 30중량%, 액상과당 5 ~ 15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희석 정제수 100 ~ 2,500중량%를 첨가하고, 희석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및 향료 0.1 ~ 5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4. 바나바잎 0.06 ~ 11중량%, 여주잎 0.06 ~ 11중량%, 모링가잎 0.05 ~ 10중량%, 녹차잎 0.05~ 10중량%, 정제수 8 ~ 86.68중량%, 설탕 8 ~ 30중량%, 액상과당 5 ~ 15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희석 정제수 100 ~ 2,500중량%를 첨가하고, 희석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0.1 ~ 5중량%를 첨가하며, 홍삼 농 축액 및 향료 0.05 ~ 3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5. 바나바잎 0.06 ~ 11중량%, 여주잎 0.06 ~ 11중량%, 모링가잎 0.05 ~ 10중량%, 녹차잎 0.05~ 10중량%, 정제수 8 ~ 86.68중량%, 설탕 8 ~ 30중량%, 액상과당 5 ~ 15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희석 정제수 100 ~ 2,500중량%를 첨가하고, 희석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0.1 ~ 5중량%를 첨가하며, 과일 농축액 및 향료 0.05 ~ 10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6. 바나바잎 0.05 ~ 13중량%, 여주잎 0.05 ~ 13중량%, 모링가잎 0.04 ~ 11 중량%, 녹차잎 0.04~ 11중량%, 정제수 20 ~ 92.72중량%, 설탕 5 ~ 18중량%, 액상과당 2 ~ 9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7. 바나바잎 0.05 ~ 13중량%, 여주잎 0.05 ~ 13중량%, 모링가잎 0.04 ~ 11 중량%, 녹차잎 0.04~ 11중량%, 정제수 20 ~ 92.72중량%, 설탕 5 ~ 18중량%, 액상과당 2 ~ 9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및 향료 0.1 ~ 5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8. 바나바잎 0.05 ~ 13중량%, 여주잎 0.05 ~ 13중량%, 모링가잎 0.04 ~ 11 중량%, 녹차잎 0.04~ 11중량%, 정제수 20 ~ 92.72중량%, 설탕 5 ~ 18중량%, 액상과당 2 ~ 9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0.1 ~ 5중량%를 첨가하고, 홍삼 농축액 및 향료 0.05 ~ 3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9. 바나바잎 0.05 ~ 13중량%, 여주잎 0.05 ~ 13중량%, 모링가잎 0.04 ~ 11 중량%, 녹차잎 0.04~ 11중량%, 정제수 20 ~ 92.72중량%, 설탕 5 ~ 18중량%, 액상과당 2 ~ 9중량%, 효모 0.1 ~ 5중량%로 이루어지는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의 발효 후 총중량에 대하여 인진, 진피, 갈근, 계피, 감초 0.1 ~ 5중량%를 첨가하고, 과일 농축액 및 향료 0.05 ~ 10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KR1020170096419A 2017-07-28 2017-07-28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제조방법 KR20190014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419A KR20190014220A (ko) 2017-07-28 2017-07-28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419A KR20190014220A (ko) 2017-07-28 2017-07-28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896A Division KR20190091237A (ko) 2019-07-24 2019-07-24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220A true KR20190014220A (ko) 2019-02-12

Family

ID=6536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419A KR20190014220A (ko) 2017-07-28 2017-07-28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42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3974A (zh) * 2021-04-23 2021-07-20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甜瓜子粉混悬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3974A (zh) * 2021-04-23 2021-07-20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甜瓜子粉混悬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133974B (zh) * 2021-04-23 2023-01-31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甜瓜子粉混悬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5222B1 (en) Extract of trigonella foenum-graecum
KR102107387B1 (ko)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US7820196B2 (en) Physiologically active agents containing vicinal dithioglycols and use thereof in various branches of economy
CN106793810A (zh) 用于选择性掩味的环己烷羧酸
KR101687982B1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0530262A (ja) 腸内吸収率を高めたビートジュースと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KR101665584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JP4119629B2 (ja) 高血圧症予防・改善・治療剤
JP2002087977A (ja) 高血圧症予防・改善・治療剤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US20230364169A1 (en) Use of antrodia cinnamomea for increasing alcohol metabolism or/and hangover
KR20020092082A (ko) 자양강장제 조성물
KR101985666B1 (ko) 노니를 주성분으로 하는 노니청 제조방법
KR20190014220A (ko)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제조방법
JP5601747B2 (ja) 疲労予防用内服用組成物及び疲労予防用内服用製剤
JP3761510B2 (ja) 花粉症を改善または予防する食品
KR20070047396A (ko)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KR20170034880A (ko) 기능성 탄산 발효 효소, 발효 방법 및 그 조성물.
JP2007008866A (ja) 血圧降下剤組成物
KR20140017933A (ko) 당뇨병 개선 효과능이 있는 탱자 발효 조성물
KR102173683B1 (ko)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2001192342A (ja) ステビア濃縮液剤および成熟ざくろ混合物の製造方法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JP4464082B2 (ja) ヨモギ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細胞糖輸送促進組成物
KR102625435B1 (ko)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골밀도 개선, 뼈 성장촉진, 키 성장촉진 또는 관절건강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