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752A - 배터리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752A
KR20190013752A KR1020187033285A KR20187033285A KR20190013752A KR 20190013752 A KR20190013752 A KR 20190013752A KR 1020187033285 A KR1020187033285 A KR 1020187033285A KR 20187033285 A KR20187033285 A KR 20187033285A KR 20190013752 A KR20190013752 A KR 20190013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charging
pwm contro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지 하네다
Original Assignee
에누티에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누티에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에누티에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3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2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5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single converter stage both for correction of AC input power factor and generation of a regulated and galvanically isolated DC out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2Flicker reduction, e.g. compensation of flicker introduced by non-linear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02M1/0035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using burst mod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02B70/1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 정류 후에 평활화하지 않고 역률 개선을 수행하는 한편 리플을 갖는 출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 및 제어에 의해 리플을 갖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는 교류가 입력된 후 이러한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부(2), 상기 정류부(2)의 다음 단에 설치된 역률 개선부(3)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정류부(2)에 의한 정류 전압 파형에 기인하는 리플을 포함하는 리플 충전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역률 개선부(3)를 구성하는 스위칭 컨버터는, 스위칭 소자(Q) 및 배터리(6)의 충전 기간 중 상기 스위칭 소자(Q)의 제어단에 PWM 제어 신호(Vp)를 출력하는 PWM 제어IC(4)를 구비하고, 상기 PWM 제어 신호(Vp)는 일정한 듀티비를 갖는 펄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장치
본 발명은 납축전지 및 이차 전지 등의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납축전지 또는 이차 전지 등의 충전식 배터리(이하 간략히 "배터리"라 칭함)의 충전 장치로서는, 단상 또는 3상 교류를 정류하고 스위칭 컨버터에 의해 전력 변환을 실시하여 배터리에 출력하는 AC/DC 컨버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교류 정류 후의 파형은 정현파의 반주기 또는 그 일부로 이루어된 주기적인 정류 파형이 된다. 이러한 정류 파형의 주기에 기인하는 후단(後段)의 전압 또는 전류의 변동 성분을 "리플(ripple)"로 칭하고 있다. 리플 주파수는 기본적으로 정류 전의 교류의 정수배이지만, 그 외에 비주기적 노이즈가 가해지는 경우도 있다. 오랫 동안, 배터리 충전 장치의 출력 리플은 충전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리플을 제거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특허 문헌 1 등).
이에 대해, 특허 문헌 2, 3에서는 교류 정류 후에 평활화하지 않고 정류 파형으로 인한 주기적인 펄스 흐름을 그대로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은, 펄스 흐름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에 어떠한 지장을 받지 않는 것과 더불어, 펄스 흐름에 의해 배터리 단자 사이에 생기는 큰 리플 전압을 이용할 경우 배터리 내부 저항을 용이하게 계측 가능해진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특허 문헌 2, 3에서는 배터리 내부 저항의 계측에 의해 충전 상태를 검출하여, 충전의 시작과 정지를 제어하고 있다.
특허 문헌 2, 3에서는 교류 정류 후의 펄스 흐름을 거의 그대로 사용하여 충전 출력으로 하는 구성, 교류 정류 후의 펄스 흐름의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 변환 장치의 출력을 충전 출력으로 하는 구성, 교류 정류 후의 펄스 흐름의 역률 개선을 수행하는 역률 개선 수단인 스위칭 컨버터의 출력을 충전 출력으로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서는 역률 개선 수단의 일례로서 플라이백 방식의 절연형 스위칭 컨버터를 설치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3-17136 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16-39742 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 2016-63622 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 2005-218224 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개 2007-37297 호 공보
특허 문헌 2, 3에는 역률 개선 수단인 스위칭 컨버터의 스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컨버터에 의한 역률 개선 수단은, 그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PWM 제어에서의 제어 수행 방법이 매우 복잡하다. 예컨대, 특허 문헌 4, 5에 개시된 역률 개선 회로에서는, 입력 전압 및 출력 전압을 검출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펄스의 ON 시간과 OFF 시간이 항상 변화하는 복잡한 PWM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존의 역률 개선 수단에는 대규모이면서도 고비용의 제어부가 필요했다.
따라서, 큰 리플을 포함하는 리플 충전 출력을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을 할 경우 배터리 내부 저항의 계측은 용이하지만, 역률 개선용 스위칭 컨버터의 제어부가 대규모이면서 고비용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교류 정류 후에 평활화하지 않고 스위칭 컨버터에 의한 역률 개선을 실시하여 큰 리플을 포함하는 리플 충전 출력을 배터리에 출력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 및 제어에 의해 리플 충전 출력을 생성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괄호 안의 부호는 후술하는 도면 중의 부호로서, 참고를 위해 부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양태에 따르면, 교류가 입력된 후 이러한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부(2), 상기 정류부(2)의 다음 단에 설치된 역률 개선부(3)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정류부(2)에 의한 정류 전압 파형에 기인하는 리플을 포함하는 리플 충전 출력을 생성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률 개선부(3)를 구성하는 스위칭 컨버터는, 스위칭 소자(Q) 및 배터리(6)의 충전 기간 중 상기 스위칭 소자(Q)의 제어단에 PWM 제어 신호(Vp)를 출력하는 PWM 제어IC(4)를 구비하고,
상기 PWM 제어 신호(Vp)가 일정한 듀티비를 갖는 펄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배터리(6)의 배터리 충전 전압(Vbat)을 검출하는 충전 전압 검출부(5)을 가지며, 상기 충전 전압 검출부(5)는, 충전 전압(Vbat)이 제 1 전압을 초과할 경우, 상기 PWM 제어IC(4)에 대하여 PWM 제어 신호(Vp)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배터리 충전 전압(Vbat)이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을 밑돌 경우, 상기 PWM 제어IC(4)에 대하여 PWM 제어 신호(Vp)의 출력을 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역률 개선부(3)는 플라이백 방식 또는 포워드 방식의 절연형 스위칭 컨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교류 정류 후에 평활화하지 않고 스위칭 컨버터에 의한 역률 개선을 실시하여 큰 리플을 포함하는 리플 충전 출력을 배터리에 출력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에 있어서, 역률 개선부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PWM 제어 신호를 배터리의 충전 기간 동안 일정한 듀티비를 갖는 펄스 신호로 구성하는 한편,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과 제어로 리플 충전 출력을 생성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 (h)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전류 또는 전압의 시간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 (c)는,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배터리의 배터리 충전 전압, 충전 전압 검출부 및 PWM 제어IC의 출력에 대한 시간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1) 배터리 충전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 (a) ~ (h)는,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전류 또는 전압의 시간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 장치(10)는 정류부(2), PWM 제어IC(4)를 포함하는 역률 개선부(3) 및 충전 전압 검출부(5)를 갖는다. 정류부(2)에는 교류 전원(1)으로부터의 교류가 입력된다. 역률 개선부(3)는 배터리(6)에 리플 충전 출력을 공급한다.
여기에서 "리플 충전 출력"이라 함은 배터리 충전용 출력으로서 정류부(2)에 의해 생성된 정류 전압 파형으로 인한 변동을 수반하는 전압 및 전류의 출력에 대한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변동은 일반적으로 정류 전압 파형과 같은 주기의 변동이다. 리플 충전 출력 중, 전류를 "리플 출력 전류", 전압을 "리플 출력 전압"으로 각각 칭하기로 한다. 리플 출력 전류(Io)의 예를 도 2(f), 리플 출력 전압(Vo)의 예를 도 2(g)에 각각 도시한다.
교류 전원(1)은, 일례로 100V 또는 200V의 50Hz 또는 60Hz 단상 교류 상용 전원이다. 교류 전원(1)에 의한 교류 전압(vac)은 도 2(a)에 도시된 정현파 파형을 가지며, 배터리 충전 장치의 입력단(T1, T2)에 입력된다. 입력단(T1, T2)에 입력 된 교류는 정류부(2)의 교류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정류부(2)는 예컨대, 브리지 정류 회로로 구성되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파(全波) 정류 회로가 바람직하나, 반파(半波) 정류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정류부(2)의 양극 출력단과 음극 출력단의 사이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파 정류된 정류 전압(Vrec)이 출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정류부(2)의 앞단에는 노이즈 제거 회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전압(Vrec)의 파형은 교류 정현파의 양극 측의 반주기 파형이 연속되는 형태의 파형이 된다. 단상 교류의 전파 정류의 경우, 정류 전압(Vrec)의 주파수는 교류 전원(1)의 주파수의 2배가 된다.
정류부(2)의 양극 출력단과 음극 출력단에 출력된 정류 전압(Vrec)은 다음 단의 역률 개선부(3)에 입력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역률 개선부(3)는 절연형 플라이백 컨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역률 개선부(3)는 이에만 한정되지 않고, 절연형 포워드 컨버터로도 가능하며, 비절연형 승압 초퍼(chopper) 또는 강압 초퍼로도 가능하다. 입력 전압과 동일한 정현파에서 동일한 위상의 전류를 출력하는 역률 개선 기능을 갖는 스위칭 컨버터라면,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어떠한 구성이든 공통되는 구성으로서, 스위치 제어를 위한 스위칭 소자(Q)를 가진다.
트랜스(T)의 일차 코일(n1)의 일단이 정류부(2)의 양극 출력단에 연결되는 한편, 타단이 스위칭 소자(Q)(본 실시예에서는 n채널 FET)의 일단(드레인)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Q)의 타단(소스)은 정류부(2)의 음극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스(T)의 이차 코일(n2)의 일단은 배터리(6)의 음극 단자(TB2)에 연결되고, 타단은 출력 다이오드(D)의 애노드에 연결되어 있다. 출력 다이오드(D)의 캐소드는 배터리(6)의 양극 단자(TB1)에 연결되어 있다. 출력 다이오드(D)의 캐소드와 트랜스(T)의 일단의 사이에는 콘덴서(C)가 연결되어 있다. 도 1은 원리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절연형 플라이백 컨버터에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스누버 회로(snubber circuit) 등은 생략되어 있다.
도 2(d) 및 도 2(e)는 도 1의 트랜스(T)의 일차 코일의 전류(In1)와 이차 코일의 전류(In2)의 파형에 대한 예를 각각 도시한다. 이러한 파형은 후술하는 동작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또한, 역률 개선부(3)는 정류 전압(Vrec)을 충전 대상 기기에 적절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 기능도 보유하고 있다. 전압 변환은 트랜스(T)의 코일 권선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Q)는 PWM 제어 신호(Vp)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단을 갖는다. 스위칭 소자(Q)는 n채널 FET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p채널 FET, IGBT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c)에 도시된 PWM 제어 신호(Vp)는 PWM 제어IC(4)에 의해 생성된다. PWM 제어IC(4)는 공지된 것으로서, 다양한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일반적인 PWM 제어IC에 공통되는 구성으로서, 제어 전압(Vcs)이 입력되는 제어 단자(cs) 및 소정의 듀티비를 가진 PWM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out)를 구비하고 있다. PWM 제어IC(4)는 제어 단자(cs)에 입력된 제어 전압(Vcs)에 비례하는 듀티비를 가진 PWM 제어 신호(Vp)를 출력 단자(out)로부터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구성에서는 스위칭 컨버터가 절연형이기 때문에, 출력측으로부터의 귀환 경로도 절연시킬 필요가 있으며, PWM 제어 신호(Vp)는 포토 커플러(PC)를 거쳐 스위칭 소자(Q)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 장치(10)에서는 제어 전압(Vcs)이 충전 전압 검출부(5)에 의해 출력된다. 제어 전압(Vcs)은 두 값의 전압(H와 L이라 칭하기로 한다) 중 하나이다. 충전 전압 검출부(5)에는 배터리(6)의 양극 단자(TB1)와 음극 단자(TB2)의 사이의 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이 입력됨으로써 배터리(6)의 충전 상태를 검출한다. 충전 전압 검출부(5)는, 배터리 충전 장치(10)에 의해 배터리(6)를 충전하는 기간 동안에는 H의 제어 전압(Vcs)을 출력하고, 배터리(6)의 방전 즉, 충전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는 L의 제어 전압(Vcs)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충전 전압 검출부(5)에서 출력하는 제어 전압(Vcs)이 H일 때, PWM 제어IC(4)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신호인 PWM 제어 신호(Vp)를 출력한다. PWM 제어 신호(Vp)의 듀티비(D)는 펄스 신호의 주기(T)에 대한 ON 기간(Ton)의 비율로서, D = Ton / T로 표기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 장치(10)는 충전 기간 동안 제어 전압(Vcs)이 일정하기 때문에, PWM 제어 신호(Vp)의 듀티비(D)가 항상 일정하며 변화하지 않는다.
PWM 제어IC(4)의 내부 구성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대략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실제로 필요한 듀티비를 얻기 위해 제어 전압(Vcs)에 적절한 비례 계수를 곱하여 소정의 전압을 산출한 후, 이러한 소정의 전압과 고주파 반송 삼각파 전압을 비교기(比較器)에 입력하고, 비교기의 출력 신호로 하여금, 일정한 듀티비(D)를 갖는 펄스 신호인 PWM 제어 신호(Vp)를 생성한다.
또한, 도 2(c)의 PWM 제어 신호(Vp)는, 용이한 분별을 위해 펄스 폭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스위칭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는 수 kHz ~ 수백 Hz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도 2(a)에 도시된 교류 전원 주파수보다 훨씬 고주파이다.
한편, 충전 전압 검출부(5)에서 출력된 제어 전압(Vcs)이 L인 경우, PWM 제어IC(4)는 PWM 제어 신호(Vp)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때, 배터리 충전 장치(10)는 정지 상태이다.
배터리(6)는 일례로 1셀 2V의 납축전지를 6셀로 직렬 연결시킨 12V의 밀폐형 납축전지이다. 배터리(6)에는 배터리의 열화(劣化)를 검출하기 위한 배터리 검사기(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검사기(7)는 배터리(6)의 양극 단자(TB1)와 음극 단자(TB2) 사이의 전압 변동분, 즉 교류 성분인 전지 단자 리플 전압(Vrip)을 검출한다. 도 2(h)에 도시된 전지 단자 리플 전압(Vrip)의 진폭은 전지의 내부 저항에 비례하며, 내부 저항의 증가는 배터리의 열화 정도를 나타낸다.
(2) 배터리 충전 장치의 동작
도 3(a) ~ (c)는,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배터리(6)의 배터리 충전 전압, 충전 전압 검출부(5) 및 PWM 제어IC(4)의 출력에 대한 시간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배터리 충전 장치(10)에서는, 교류 전원(1)으로부터의 교류(vac)가 정류부(2)에 입력되는 한편, 역률 개선부(3)에 PWM 제어 신호(Vp)가 전송되는 경우에만 리플 충전 출력(Vo, Io)이 출력된다.
PWM 제어IC(4)에 의한 PWM 제어 신호(Vp)의 생성 및 정지는 충전 전압 검출부(5)에 의해 제어된다. 충전 전압 검출부(5)는 배터리 충전 전압(Vbat)를 검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PWM 제어IC(4)를 제어한다.
도 3(a)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경우의 배터리 충전 전압(Vbat)에 대한 시간 변화를 예시한 것이다. 방전은 예컨대, 배터리(6)에 적절한 부하를 연결함으로써 실행된다. 12V 납축전지의 경우, 예컨대 충전 전압(V1)을 14V, 방전 종지 전압(V2)을 12.6V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충전 시간은 동일한 반면, 방전 시간의 경우에는 부하 상황 등에 따라 그 길이가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도 3(b)는 도 3(a)에 대응되는 충전 전압 검출부(5)의 출력인 제어 전압(Vcs)에 대한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충전 전압 검출부(5)는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두 값의 출력에 대한 비교 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6)의 충전 기간 중의 제어 전압(Vcs)은 H이며, 배터리 충전 전압(Vbat)이 점차 상승하여 완전 충전 전압(V1)으로 될 때까지의 제어 전압(Vcs)은 H 상태로 남아 있다. 배터리 충전 전압(Vbat)이 완전 충전 전압(V1)을 초과하면 제어 전압(Vcs)은 L이 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6)의 충전이 정지된다. 이후 배터리(6)의 방전 중, 배터리 충전 전압(Vbat)이 점차 저하하지만, 방전 종지 전압(V2)으로 될 때까지의 제어 전압(Vcs)은 L 상태로 남아 있다. 배터리 충전 전압(Vbat)이 방전 종지 전압(V2)을 밑돌 경우 제어 전압(Vcs)은 H가 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6)의 충전이 시작된다.
도 3(c)는 도 3(a), (b)에 대응되는 PWM 제어IC(4)의 출력인 PWM 제어 신호(Vp)에 대한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배터리(6)의 충전 기간 중, 즉 충전 전압 검출부(5)의 제어 전압(Vcs)이 H인 기간 중에는 일정한 듀티비(D)를 가진 PWM 제어 신호(Vp)가 계속 출력된다. 배터리(6)의 방전 기간 중, 즉 충전 전압 검출부(5)의 제어 전압(Vcs)이 L인 기간 중에는 PWM 제어 신호(Vp)가 출력되지 않는다.
충전 기간 중, 역률 개선부(3)가 가동된다. PWM 제어 신호(Vp)의 펄스 신호가 ON 상태가 되고 스위칭 소자(Q)가 도통하면, 일차 코일(n1)에는 정류 전압(Vrec)이 인가된다. 일차 코일(n1)에 흐르는 전류(In1)는 ON 시점의 정류 전압(Vrec)의 순시값과 일차 코일(n1)의 인덕턴스에 의해 결정되는 기울기를 갖고 ON 기간 동안 점차 증가해 간다. 한편, 이차 코일(n2)에 발생하는 기전력에 대해 출력 다이오드(D)가 역방향 바이어스로 되기 때문에, 이차 코일(n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트랜스(T)에 자기 에너지가 축적된다.
PWM 제어 신호(Vp)의 펄스 신호가 OFF 상태로 되고 스위칭 소자(Q)가 차단되면, 일차 코일(n1)의 전류(In1)는 0이 된다. 한편, 이차 코일(n2) 발생하는 역기전력에 대해 출력 다이오드(D)는 순방향 바이어스로 되기 때문에, 이차 코일(n2)에 전류(In2)가 흘러 자기 에너지가 방출된다. 전류(In2)는 자기 에너지가 최대인 OFF 시점의 피크치로부터 OFF 기간 동안 점차 감소해 나간다.
도 2(d), (e)는 전류(In1 및 In2)의 파형에 대한 일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PWM 제어 신호(Vp)의 한 주기에 이차 코일(n2)에 흐르는 전류(In2)의 피크치(또는 평균)를 연결한 파형은 정류 전압(Vrec)과 같은 극성 및 같은 주기의 정현파가 된다. 여기서는 역률 1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d), (e)는 전류를 연속 모드로 도시하고 있으나, 임계 모드 또는 불연속 모드가 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리플 출력 전류(Io) 및 리플 출력 전압(Vo)은 도 2(f), (g)와 같이 도시된다. 이러한 리플 출력이 배터리(6)의 양극 단자(TB1)와 음극 단자(TB2)의 사이에 공급되어 배터리(6)가 충전된다. 일례로, 리플 출력 전압(Vo)의 평균치는 완전 충전 전압(V1)과 같은 정도로 한다.
(3) 기타의 실시예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 장치를 납축전지의 충전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 장치는 납축전지에만 한정되지 않고, 리튬 이온 전지, 니켈 카드뮴 충전지, 니켈 수소 충전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 장치의 교류 입력으로 단상 교류 상용 전원을 예로 설명했지만, 교류 입력은 3상 전력으로도 가능하고, 발전기 출력으로도 가능하다.
1 교류 전원
2 정류부
3 역률 개선부
4 PWM 제어IC
5 충전 전압 검출부
6 배터리
7 배터리 검사기

Claims (3)

  1. 교류가 입력된 후 이러한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부(2), 상기 정류부(2)의 다음 단에 설치된 역률 개선부(3)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정류부(2)에 의한 정류 전압 파형에 기인하는 리플을 포함하는 리플 충전 출력을 생성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률 개선부(3)를 구성하는 스위칭 컨버터는, 스위칭 소자(Q) 및 배터리(6)의 충전 기간 중 상기 스위칭 소자(Q)의 제어단에 PWM 제어 신호(Vp)를 출력하는 PWM 제어IC(4)를 구비하고,
    상기 PWM 제어 신호(Vp)는 일정한 듀티비를 갖는 펄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배터리(6)의 배터리 충전 전압(Vbat)을 검출하는 충전 전압 검출부(5)를 가지며,
    상기 충전 전압 검출부(5)는, 충전 전압(Vbat)이 제 1 전압을 초과할 경우, 상기 PWM 제어IC(4)에 대하여 PWM 제어 신호(Vp)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배터리 충전 전압(Vbat)이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을 밑돌 경우, 상기 PWM 제어IC(4)에 대하여 PWM 제어 신호(Vp)의 출력을 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개선부(3)는 플라이백 방식 또는 포워드 방식의 절연형 스위칭 컨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KR1020187033285A 2016-06-02 2017-05-09 배터리 충전 장치 KR201900137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1247A JP6660253B2 (ja) 2016-06-02 2016-06-02 バッテリ充電装置
JPJP-P-2016-111247 2016-06-02
PCT/JP2017/017469 WO2017208743A1 (ja) 2016-06-02 2017-05-09 バッテリ充電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752A true KR20190013752A (ko) 2019-02-11

Family

ID=6047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285A KR20190013752A (ko) 2016-06-02 2017-05-09 배터리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173304A1 (ko)
JP (1) JP6660253B2 (ko)
KR (1) KR20190013752A (ko)
CN (1) CN109314398A (ko)
WO (1) WO2017208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5873B2 (ja) * 2016-02-05 2019-12-04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充電方法、アダプター及び移動端末
WO2019056303A1 (zh) * 2017-09-22 2019-03-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提供电路、电源提供设备以及控制方法
KR101840619B1 (ko) * 2018-01-11 2018-03-20 (주)엠에스엔코리아 배터리 실험 장치
JP6761434B2 (ja) * 2018-01-11 2020-09-23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CN110208583B (zh) * 2019-05-06 2022-02-18 福建星云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电芯充放电的涟波电流发生装置
KR20220040876A (ko) * 2020-09-24 2022-03-31 (주)그리너지 리플전류를 이용한 수명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및 수명 특성 향상방법
DE102021214574A1 (de) 2021-12-17 2023-06-2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Laden einer Batterie, Batterie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2071A (ja) * 1984-11-30 1986-06-19 Toshiba Corp 電源装置
GB0610422D0 (en) * 2006-05-26 2006-07-05 Cambridge Semiconductor Ltd Forward power converters
CN101515726B (zh) * 2009-02-24 2013-06-19 苏州工业园区华波电子科技有限公司 高效高功率因素充电器电路
KR100930813B1 (ko) * 2009-03-09 2009-12-09 이동원 능동형 정전력 공급장치
CN101631410B (zh) * 2009-08-24 2013-03-06 英飞特电子(杭州)股份有限公司 一种高功率因数的ac-dc led驱动电路
JP2013158168A (ja) * 2012-01-31 2013-08-15 Toyota Central R&D Labs Inc 共振型コンバータ
JP5880099B2 (ja) * 2012-02-09 2016-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CN102638169B (zh) * 2012-05-08 2014-11-05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反激式变换器的控制电路、控制方法以及应用其的交流-直流功率变换电路
JP6016595B2 (ja) * 2012-12-03 2016-10-26 Asti株式会社 充電器
JP6400407B2 (ja) * 2014-09-18 2018-10-03 Ntn株式会社 充電装置
CN104578797B (zh) * 2014-12-12 2017-05-17 西南交通大学 一种断续模式的高功率因数高效率反激变换器的控制方法及其装置
CN104734488A (zh) * 2015-03-13 2015-06-24 南京理工大学 高效低输出电压纹波的dcm反激pfc变换器
CN104753146B (zh) * 2015-04-22 2017-03-08 青岛大学 一种馈能式变恒流值正负脉冲快速充电装置及方法
CN104779799B (zh) * 2015-04-28 2017-05-31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控制电路、控制方法和应用其的反激式变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73304A1 (en) 2019-06-06
CN109314398A (zh) 2019-02-05
WO2017208743A1 (ja) 2017-12-07
JP2017220963A (ja) 2017-12-14
JP6660253B2 (ja)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3752A (ko) 배터리 충전 장치
CN101499675B (zh) 充电电路及电源供应系统
US10333398B2 (en) Charging apparatus
CN101572487B (zh) 用于控制开关电源的半导体器件
JP530630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10044278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US9866108B2 (en) PFC shutdown circuit for light load
US10374447B2 (en) Power converter circuit including at least one battery
US20130051084A1 (en) Dc-dc converter
US20150043253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US20170373530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20014149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4176226A (ja) Dc/dc変換装置及び分散電源システム
CN104518693A (zh) 电流谐振型电源装置
JP2015173524A (ja) 充電装置
CN108880259A (zh) 用于转换器的次级侧电流模式控制
TWI533556B (zh) 具電池電壓偵測器之電池充電器及其控制方法
CN102723875B (zh) 自激式开关电源电路
JP6107469B2 (ja) 電力変換装置
US20200220450A1 (en) Snubber circuit and power conversion system using same
WO2018139200A1 (ja) 電力変換装置及び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101331924B1 (ko) 배터리 충전/재생 장치
Chakraborty et al. A multi-port, isolated PV microinverter with low decoupling capacitance & integrated battery charger
JP2004112954A (ja) 蓄電装置
KR20160140299A (ko) 배터리 진단 기능을 갖는 충전기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