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648A -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648A
KR20190013648A KR1020180088633A KR20180088633A KR20190013648A KR 20190013648 A KR20190013648 A KR 20190013648A KR 1020180088633 A KR1020180088633 A KR 1020180088633A KR 20180088633 A KR20180088633 A KR 20180088633A KR 20190013648 A KR20190013648 A KR 20190013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enable
logic state
digital input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991B1 (ko
Inventor
커피가 케이. 케트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9001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5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if the computing system is on, off, available, not avai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06F11/0754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 G06F11/0757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by exceeding a time limit, i.e. time-out, e.g. watchdo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21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withi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93Remedial or corrective a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6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6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7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7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79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72Driv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85Partially controlled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워치독 IC 및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가지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를 가진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에는, 인에이블 핀 및 디스에이블 핀이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의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을 감시하고, 만약 상기 디스에이블 핀이 제1 시점 후 소정 기간 내에 로우 로직 상태를 갖지 않아서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오동작 중임을 나타내면,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SELF-DIAGNOSING WATCHDOG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7년 7월 31일에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제62/538,960호 및 2018년 6월 21일에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014,10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에 대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워치독 타이머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고장을 검출 및 복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 타이머이다. 워치독 타이머는,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의 기동 신호에 응답하여 시간의 카운팅을 시작하고, 타임 아웃(time out) 상태가 되면, 컴퓨팅 디바이스에게 리셋 신호를 출력한다.
그런데, 컴퓨팅 디바이스가 오동작하는 경우 워치독 타이머가 정상적으로 시간의 카운팅을 시작 또는 정지할 수 없게 된다. 만약, 컴퓨팅 디바이스가 배터리를 제어하는 데에 이용되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배터리를 적절히 보호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워치독 집적 회로(예, IC) 내의 타이머를 시작시키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워치독 IC 내의 상기 타이머를 정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오동작 중인 때를 검출하고, 그에 응답하여 안전 동작을 취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은, 인에이블 핀 및 디스에이블 핀을 가지는 워치독 IC를 포함한다. 상기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를 가지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에는 인에이블 핀 및 디스에이블 핀이 구비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은, 상기 워치독 IC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은, 상기 워치독 IC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 및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을 가진다.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게 제1 시점에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할 것을 명령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워치독 IC는 내부 타이머를 시작시킨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이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는 것은 인에이블 상태가 개시되었음을 나타낸다.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을 모니터링하고, 만약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이 상기 제1 시점 후 제1 소정 기간 내에 상기 로우 로직 상태를 갖지 않아서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의 비정상 동작을 나타내면,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컨택터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시점 후 제2 소정 기간에 상기 컨택터가 닫힌 동작 위치를 가진다고 판정하면,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제1 시점 후 상기 제2 소정 기간에 상기 컨택터가 상기 닫힌 동작 위치를 갖는 것은, 상기 워치독 IC가 오동작 중임을 나타낸다.
상기 제어 메시지는, DC-DC 전압 컨버터 내의 고전압 스위치 및 저전압 스위치를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하도록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컨택터를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하도록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은, 인에이블 핀 및 디스에이블 핀을 가지는 워치독 IC를 포함한다. 상기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를 가지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에는 인에이블 핀 및 디스에이블 핀이 구비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은, 상기 워치독 IC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은, 상기 워치독 IC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 및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을 가진다.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게 제1 시점에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할 것을 명령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워치독 IC는 내부 타이머를 시작시킨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이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는 것은 인에이블 상태가 개시되었음을 나타낸다.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에게 제2 시점에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도록 명령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워치독 IC는 상기 내부 타이머를 정지시킨다. 상이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게 제3 시점에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 전이하고 제4 시점에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인에이블 핀이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는 것은 상기 인에이블 상태가 개시되었음을 나타낸다.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을 모니터링하고, 만약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이 상기 제2 시점 후 제1 소정 기간 내의 제5 시점에 상기 하이 로직 상태를 갖지 않으면,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제1 진단 플래그를 제1 폴트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제1 폴트값은,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오동작 중임을 나타낸다.
만약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이 상기 제2 시점 후 상기 제1 소정 기간 내의 상기 제5 시점에 상기 하이 로직 상태를 갖지 않으면, 상기 워치독 IC는 컨택터를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워치독 집적 회로의 내부 타미머를 정지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오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오동작 중인 경우, 컨택터를 열린 동작 위치로 전이시키는 등의 안전 동작이 취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워치독 IC가 구비된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을 가지는 차량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 및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을 가지는 도 1의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도 1의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제1 기간 동안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인에이블 핀에서의 전압의 로직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기 제1 기간 동안 도 1의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디스에이블 핀에서의 전압의 로직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제2 기간 동안 오동작 중인 경우에 도 1의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서의 전압의 로직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도 5의 상기 제2 기간 동안 오동작 중인 경우에 도 1의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디스에이블 핀에서의 전압의 로직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제3 기간 동안 오동작 중인 경우에 도 1의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서의 전압의 로직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도 7의 상기 제3 기간 동안 오동작 중인 경우에 도 1의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디스에이블 핀에서의 전압의 로직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의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오동작 중인 때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의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오동작 중인 때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제어 유닛>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20)이 제공된다. 상기 차량(20)은, 전압원(54), 하이 사이드 전압 분배 회로(56), 배터리(60), 컨택터(70),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2), DC-DC 전압 컨버터(100), 배터리(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120) 및 전기 라인(130, 132, 134, 136, 138, 140, 142, 144, 146)을 포함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노드란 전기 회로 내의 영역 또는 위치이다.
"하이 로직 상태"라는 용어는, 하이 로직 전압(예, 5Vdc) 또는 이진값 1을 나타내는 전압에 대응한다.
"로우 로직 상태"라는 용어는, 로우 로직 전압(예, 0Vdc) 또는 이진값 0을 나타내는 전압에 대응한다.
"HL 상태"란 용어는, 하이 로직 상태를 의미한다.
"LL 상태"란 용어는, 로우 로직 상태를 의미한다.
"IC"란 용어는, 집적 회로를 의미한다.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란 용어는, 워치독 IC 내의 내부 타이머가 증가하기 시작하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유도하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란 용어는, 워치독 IC 내의 내부 타이머가 증가를 멈추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유도하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압원(54)은,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분배 회로(56)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전압(예, 48Vdc)를 생성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전압원(54)은, 상기 전기 라인(142)을 이용하여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분배 회로(56)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분배 회로(56)는, 상기 전압원(54)으로부터 상기 제1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기 라인(144)을 이용하여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에 의해 수신되는 제2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배터리(60)는, 양극 단자(180) 및 음극 단자(182)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60)는, 상기 양극 단자(180) 및 상기 음극 단자(182) 사이에서 48Vdc를 생성한다. 상기 양극 단자(180)는, 상기 컨택터(70)의 노드(234)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음극 단자(182)는, 전기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컨택터(70)는, 컨택트(230), 컨택터 코일(232), 제1 노드(234) 및 제2 노드(236)를 가진다. 상기 제1 노드(234)는, 상기 전기 라인(130)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60)의 상기 양극 단자(18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 노드(236)는, 상기 전기 라인(132)를 이용하여 상기 DC-DC 전압 컨버터(100)의 고전압 스위치(250)의 제1 노드(27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가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 및 상기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2) 각각에 의해 수신되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컨택터 코일(232)에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30)가 닫힌 동작 상태로 전이된다. 또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가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 및 상기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2) 각각에 의해 수신되는 제3 및 제4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컨택터 코일(232)에 전력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30)가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된다. 일 예로, 상기 제3 및 제4 제어 신호 각각은 그라운드 전압 레벨일 수 있다.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 및 상기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2)는, 상기 컨택터 코일(232)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는, 상기 전기 라인(134)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에 전기적으로 결하된다.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는, 상기 전기 라인(136)을 이용하여 상기 컨택터 코일(232)의 제1 엔드에 전기적으로 더 결합된다.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는, 상기 전기 라인(144)을 통해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분배 회로(56)에 전기적으로 더 결합된다.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는,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분배 회로(56)로부터의 상기 제2 전압을 이용하고,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컨택터 코일(23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 라인(136) 상에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는, 상기 워치독 IC(382)의 핀(3)에 전기적으로 더 결합되고, 상기 워치독 IC(382)의 상기 핀(3)으로부터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의 동작을 불능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2)는, 상기 전기 라인(138)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2)는, 상기 전기 라인(140)을 이용하여 상기 컨택터 코일(232)의 제2 엔드에 전기적으로 더 결합된다. 상기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2)는, 상기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2)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컨택터 코일(23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2)를 통해 상기 전기 그라운드로 전류를 도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DC-DC 전압 컨버터(100)는, 고전압 스위치(250), DC-DC 컨버터 제어 회로(252), 저전압 스위치(254), 전기 라인(256, 258) 및 하우징(26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60)은, 상기 하우징(260)의 내부에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 상기 DC-DC 컨버터 제어 회로(252) 및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를 지지한다.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DC-DC 전압 컨버터(100)는, 상기 배터리(110)를 충전하기 위하여 제2 노드(302)로부터 전압을 출력한다.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DC-DC 전압 컨버터(100)는, 상기 배터리(60)를 충전하기 위하여 제1 노드(270)에서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는, 제1 노드(270) 및 제2 노드(272)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는,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이다. 물론, 다른 예로,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는, 원하는 전압 및 전류 성능을 가지는 다른 타입의 스위치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270)는, 상기 컨택터(70)의 상기 제2 노드(236)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 노드(272)는, 상기 DC-DC 컨버터 제어 회로(252)의 제1 노드(29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가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에 의해 수신(또는 상기 스위치(25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DC-DC 전압 컨버터(100) 내의 컨트롤러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신호(예, 하이 로직 레벨을 가지는 제어 신호 "A")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는 상기 스위치(250)가 닫힌 동작 상태로 전이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가 제2 제어 신호(예, 로우 로직 레벨을 가지는 제어 신호 "A")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는 상기 스위치(250)가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하도록 유도한다. 일 예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그라운드 레벨 제어 신호이다.
상기 DC-DC 컨버터 제어 회로(252)는, 제1 노드(290) 및 제2 노드(292)를 가진다. 상기 DC-DC 컨버터 제어 회로(252)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로부터의 제어 신호(예, 하이 로직 레벨을 가지는 제어 신호 "B")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290)에서 수신된 DC 전압을 상기 제2 노드(292)에서 출력되는 다른 DC 전압으로 변환한다. 또는, 상기 DC-DC 컨버터 제어 회로(252)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로부터의 제어 신호(예, 로우 로직 레벨을 가지는 제어 신호 "B")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노드(292)에서 수신된 DC 전압을 상기 제1 노드(290)에서 출력되는 다른 DC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는, 제1 노드(300) 및 제2 노드(30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노드(300)는, 상기 전기 라인(258)을 이용하여 상기 DC-DC 컨버터 제어 회로(252)의 상기 제2 노드(292)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 노드(302)는, 상기 전기 라인(146)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0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일 예로,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는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이고,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물론, 다른 예로,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는, 원하는 전압 및 전류 성능을 가지는 다른 타입의 스위치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가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에 의해 수신(또는 상기 스위치(24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DC-DC 전압 컨버터(100) 내의 컨트롤러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신호(예, 하이 로직 레벨을 가지는 제어 신호 "C")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는 상기 스위치(254)가 닫힌 동작 상태로 전이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가 제2 제어 신호(예, 로우 로직 레벨을 가지는 제어 신호 "C")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는 상기 스위치(254)가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하도록 유도한다. 일 예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그라운드 레벨 제어 신호이다.
상기 배터리(110)는, 양극 단자(350) 및 음극 단자(352)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110)는, 상기 양극 단자(350) 및 상기 음극 단자(352) 사이에서 12Vdc를 생성한다. 상기 양극 단자(350)는, 상기 DC-DC 전압 컨버터(100)의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의 상기 제2 노드(302)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음극 단자(352)는, 상기 배터리(60)에 연관된 상기 전기 그라운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는 전기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동작을 감시하기 위한 상기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120)이 제공된다. 상기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120)은, 마이크로컨트롤러(380) 및 워치독 IC(382)를 포함한다. 상기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120)의 장점은, 상기 시스템(120)이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이 오동작 중인 때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을 감시하는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이 오동작 중인 경우,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가 상기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안전 동작을 취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90), 마이크로프로세서(392),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 및 메모리 디바이스(396)를 가진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90)는, 제1 채널 뱅크(420)("ADC1"이라고도 칭함) 및 제2 채널 뱅크(422)("ADC2"이라고도 칭함)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채널 뱅크(420)의 한 채널은,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기 위해 상기 전기 라인(136)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 채널 뱅크(422)의 한 채널은, 상기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2)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감시하기 위해 상기 전기 라인(14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는, 핀(1, 2, 3, 4, 5, 6, 7)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1)은,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1)이 하이 로직 상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는 닫힌 동작 상태로 전이된다. 또는,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1)이 로우 로직 상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는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2)은, 상기 DC-DC 컨버터 제어 회로(252)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DC-DC 컨버터 제어 회로(25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DC-DC 컨버터 제어 회로(252)에게 여러 제어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여러 추가적인 핀이 상기 DC-DC 컨버터 제어 회로(252)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3)은,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3)이 하이 로직 상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는 닫힌 동작 상태로 전이된다. 또는,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3)이 로우 로직 상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는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4)(즉, 인에이블 핀)은, 상기 워치독 IC(382)의 상기 인에이블 핀(1)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인에이블 핀(4)이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되는 경우, 상기 워치독 IC(382) 내의 내부 타이머(383)가 시작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5)(즉, 디스에이블 핀)은, 상기 워치독 IC(382)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2)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핀(5)이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되는 경우, 상기 워치독 IC(382) 내의 내부 타이머(383)가 정지 및 리셋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396) 내에 저장된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 및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92)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90),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 및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396)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는, 상기 컨택터(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압 드라이버(80, 82)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396)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상기 워치독 IC(382)는, 핀(1, 2, 3)을 포함한다. 상기 워치독 IC(382)의 상기 핀(1)(즉, 인에이블 핀)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4)(즉, 인에이블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워치독 IC(382)의 상기 핀(2)(즉, 디스에이블 핀)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5)(즉, 디스에이블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워치독 IC(382)의 상기 핀(3)(즉, 제어 핀)은,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 및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핀(3)이 로우 로직 상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가 불능화되어 상기 컨택터(70)가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하고,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는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하며, 상기 저전압 스위치(252)는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한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가 제1 시간 주기 동안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인에이블 핀(4)에서의 전압의 로직 상태 및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의 전압의 로직 상태가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T1에서, 상기 인에이블 핀(4)은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워치독 IC(382) 내의 내부 타이머(383)를 시작시키는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된다. 시점 T2에서, 상기 내부 타이머(383)를 정지 및 리셋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은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된다. 시점 T4에서, 상기 인에이블 핀(4) 및 디스에이블 핀(5)은 모두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 전이된다. 그 후, 시점 T5에서, 상기 내부 타이머(383)를 시작시키기 위해, 상기 인에이블 핀(4)은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된다. 시점 T6에서, 상기 내부 타이머(383)를 정지 및 리셋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은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된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의 로직 상태를 제어하는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이 오동작 중(예, 시점 T2-T7)인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인에이블 핀(4)에서의 전압의 로직 상태 및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의 전압의 로직 상태가 설명될 것이다. 시점 T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에이블 핀(4)은,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워치독 IC(382) 내의 상기 내부 타이머(383)을 시작시키는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된다. 시점 T2-T7에서,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은, (상기 워치독 IC(382) 내의 상기 내부 타이머(383)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되는 대신) 하이 로직 전압으로 원치않게 유지됨에 따라 상기 내부 타이머(383)는 증가를 계속한다. 시점 T7에서, 상기 내부 타이머(383)는 임계 기간을 초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워치독 IC(382)는 상기 컨택터(70)를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안전 동작을 취한다. 따라서, 시점 T7까지 상기 워치독 IC(382)가 상기 컨택터(70)를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시키지 않았다면, 상기 워치독 IC(382)는 오동작 중인 것이므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가 상기 컨택터(70),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 및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 각각을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시키도록 유도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함으로써 안전 동작을 취한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인에이블 핀(4)의 로직 상태를 제어하는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이 오동작 중인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인에이블 핀(4)에서의 전압의 로직 상태 및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의 전압의 로직 상태가 설명될 것이다. 시점 T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에이블 핀(4)은,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워치독 IC(382) 내의 상기 내부 타이머(383)을 시작시키는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된다. 시점 T2에서,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은, 상기 워치독 IC(382) 내의 상기 내부 타이머(383)를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된다. 시점 T4에서, 상기 인에이블 핀(4)은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 전이된다. 시점 T5에서, 상기 인에이블 핀(4)은, 상기 내부 타이머(383)를 시작시키기 위해,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된다. 그 다음, 시점 T6에서,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은 원치않게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 전이되지 않고, 이는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 도 2에 도시됨)이 오동작 중이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가 오동작 중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시점 T7 후, 상기 워치독 IC(382)는, 상기 컨택터(70), 상기 고전압 스위치(250) 및 상기 저전압 스위치(254) 각각을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시킨다.
도 1, 도 2, 도 5,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이 오동작 중인 때를 검출하기 위한 진단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단계 800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인에이블 핀(4)에게 제1 시점(예, 도 3의 시점 T1)에서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할 것을 명령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인에이블 핀(4)이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는 것은 인에이블 상태가 개시되었음을 나타내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워치독 IC(382)는 내부 타이머(383)를 시작시킨다. 단계 800 후, 상기 방법은 단계 802로 진행한다.
단계 802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디스에이블 핀(5)을 감시한다. 단계 802 후, 상기 방법은 단계 804로 진행한다.
단계 804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이 상기 제1 시점 후 제1 소정 기간 내(예, 도 6의 시점 T2)에 상기 로우 로직 상태를 갖지 않아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 내의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의 비정상 동작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804의 값이 "YES"인 경우, 상기 방법은 단계 80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종료된다.
단계 806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0)에 의해 출력되는 제1 전압 및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82)에 의해 출력되는 제2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전압이 제1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 전압이 제2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컨택터(70)가 닫힌 동작 위치를 가지는 것으로 판정한다. 단계 806 후, 상기 방법은 단계 808로 진행한다.
단계 808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상기 제1 시점 후 제2 소정 기간(예, 도 6의 시점 T7)에서 상기 컨택터(70)가 닫힌 동작 상태를 가져서 상기 워치독 IC(382)가 오동작 중임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808의 값이 "YES"와 동일한 경우, 상기 방법은 단계 81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종료된다.
단계 810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가 DC-DC 전압 컨버터(100) 내의 고전압 스위치(250) 및 저전압 스위치(254)를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시키도록 유도하기 위한 제1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 810 후, 상기 방법은 단계 812로 진행한다.
단계 812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가 상기 컨택터(70)를 상기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시키도록 유도하기 위한 제2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 812 후, 상기 방법은 종료된다.
도 1, 도 2, 도 5 내지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이 오동작 중인 때를 검출하기 위한 진단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단계 840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80)의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인에이블 핀(4)에게 제1 시점(예, 도 7의 시점 T1 참조)에서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할 것을 명령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인에이블 핀(4)이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는 것은 인에이블 상태가 개시되었음을 나타내고, 이에 응답하여 워치독 IC(382)는 내부 타이머(383)를 시작시킨다. 단계 840 후, 상기 방법은 단계 842로 진행한다.
단계 842에서,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5)에게 제2 시점(예, 도 8의 시점 T2 참조)에서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할 것을 명령한다.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이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는 것은 디스에이블 상태가 개시되었음을 나타내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워치독 IC(382)는 상기 워치독 IC(382) 내의 상기 내부 타이머(383)를 정지시킨다. 단계 842 후, 상기 방법은 단계 844로 진행한다.
단계 844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인에이블 핀(4)에게 제3 시점(예, 도 7의 시점 T4 참조)에서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 전이하고 제4 시점(예, 도 7의 시점 T5)에서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할 것을 명령한다. 상기 인에이블 핀(4)이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는 것은 인에이블 상태가 개시되었음을 나타낸다. 단계 844 후, 상기 방법은 단계 846으로 진행한다.
단계 846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을 감시한다. 단계 846 후, 상기 방법은 단계 848로 진행한다.
단계 848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394)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5)이 상기 제2 시점 후 제1 소정 기간 내의 제5 시점(예, 도 8의 시점 T6)에서 상기 하이 로직 상태를 갖지 않아서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이 오동작 중임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848의 값이 "YES"와 동일하면, 상기 방법은 단계 85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종료된다.
단계 850에서,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제1 진단 플래그를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이 오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제1 폴트값으로 설정한다. 단계 850 후, 상기 방법은 단계 852로 진행한다.
단계 852에서, 상기 워치독 IC(382)는 컨택터(70)를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시킨다. 단계 852 후, 상기 방법은 종료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기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120)은 다른 시스템에 비하여 상당한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120)은,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이 오동작 중인 때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을 감시하는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을 이용한다.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2)이 오동작 중인 경우,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600)은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마이크로컨트롤러(380)가 상기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안전 동작을 취하도록 유도한다.
특허 청구된 발명은 단지 제한된 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오히려, 특허 청구된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부합되는 범위 내에서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변형예, 대안예, 대체예 또는 등가예를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만약 ~ 하면"이라는 용어는, 청구항들 및 상세한 설명에 걸쳐 "~ 하는 경우"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특허 청구된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들 중에서 오직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0: 차량
54: 전압원
56: 하이 사이드 전압 분배 회로
60, 110: 배터리
70: 컨택터
80: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
82: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
100: DC-DC 전압 컨버터
120: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250: 고전압 스위치
254: 저전압 스위치
252: DC-DC 컨버터 제어 회로
382: 워치독 집적 회로
383: 내부 타이머
380: 마이크로컨트롤러
390: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392: 마이크로프로세서
394: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
396: 메모리 디바이스
420: 제1 채널 뱅크
422: 제2 채널 뱅크

Claims (6)

  1.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인에이블 핀 및 디스에이블 핀을 가지는 워치독 IC;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를 가지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에는 인에이블 핀 및 디스에이블 핀이 구비되고,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은, 상기 워치독 IC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은, 상기 워치독 IC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 및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게 제1 시점에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할 것을 명령하되,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이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는 것은 인에이블 상태가 개시되었음을 나타내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워치독 IC는 내부 타이머를 시작시키고,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을 모니터링하고, 만약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이 상기 제1 시점 후 제1 소정 기간 내에 상기 로우 로직 상태를 갖지 않아서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의 비정상 동작을 나타내면,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컨택터를 모니터링하고,
    만약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시점 후 제2 소정 기간에 상기 컨택터가 닫힌 동작 위치를 가진다고 판정하면,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되,
    상기 제1 시점 후 상기 제2 소정 기간에 상기 컨택터가 상기 닫힌 동작 위치를 갖는 것은, 상기 워치독 IC가 오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DC-DC 전압 컨버터 내의 고전압 스위치 및 저전압 스위치를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하도록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유도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컨택터를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하도록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유도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 및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컨택터 코일을 가지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하이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에 의해 출력되는 제1 전압 및 상기 로우 사이드 전압 드라이버에 의해 출력되는 제2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전압이 제1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 전압이 제2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컨택터가 상기 닫힌 동작 위치를 가지는 것으로 판정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5.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인에이블 핀 및 디스에이블 핀을 가지는 워치독 IC;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를 가지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에는 인에이블 핀 및 디스에이블 핀이 구비되고,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은, 상기 워치독 IC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은, 상기 워치독 IC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 및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게 제1 시점에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할 것을 명령하되,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이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는 것은 인에이블 상태가 개시되었음을 나타내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워치독 IC는 내부 타이머를 시작시키고,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에게 제2 시점에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도록 명령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워치독 IC는 상기 내부 타이머를 정지시키고,
    상이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인에이블 핀에게 제3 시점에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 전이하고 제4 시점에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도록 명령하되, 상기 인에이블 핀이 상기 하이 로직 상태로부터 상기 로우 로직 상태로 전이하는 것은 상기 인에이블 상태가 개시되었음을 나타내고,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을 모니터링하고, 만약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이 상기 제2 시점 후 제1 소정 기간 내의 제5 시점에 상기 하이 로직 상태를 갖지 않으면, 상기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은 제1 진단 플래그를 제1 폴트값으로 설정하되, 상기 제1 폴트값은 상기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이 오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디지털 입출력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에이블 핀이 상기 제2 시점 후 상기 제1 소정 기간 내의 상기 제5 시점에 상기 하이 로직 상태를 갖지 않으면, 상기 워치독 IC는 컨택터를 열린 동작 상태로 전이시키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0088633A 2017-07-31 2018-07-30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53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38960P 2017-07-31 2017-07-31
US62/538,960 2017-07-31
US16/014,104 2018-06-21
US16/014,104 US10572326B2 (en) 2017-07-31 2018-06-21 Self-diagnosing watchdog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648A true KR20190013648A (ko) 2019-02-11
KR102053991B1 KR102053991B1 (ko) 2019-12-09

Family

ID=6503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633A KR102053991B1 (ko) 2017-07-31 2018-07-30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72326B2 (ko)
KR (1) KR102053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656A1 (ko) * 2020-01-13 2021-07-22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4928B2 (en) * 2017-07-31 2020-07-14 Lg Chem, Ltd. Diagnostic system for a vehicle electrical system having a DC-DC voltage converter and a voltage regul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253A (ko) * 2005-09-30 2007-04-04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와치독 회로를 가지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그 제어 방법
KR20150034540A (ko) * 2013-09-26 2015-04-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기기
JP2015108944A (ja) * 2013-12-04 2015-06-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子制御装置
KR20160086787A (ko) * 2016-07-06 2016-07-2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디지털 회로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6842A (en) * 1988-11-16 1990-09-11 Sundstrand Corporation Diagnostic system for a watchdog timer
JP3616367B2 (ja) * 2001-10-24 2005-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US7496788B1 (en) 2006-08-17 2009-02-24 Nvidia Corporation Watchdog monitoring for unit status reporting
JP2011056852A (ja) 2009-09-11 2011-03-24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28720B2 (ja) 2010-06-10 2013-10-30 株式会社コンテック 情報処理装置
JP5476238B2 (ja) * 2010-07-12 2014-04-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739290B2 (ja) * 2011-09-14 2015-06-24 株式会社ケーヒン 電子制御装置
KR101625864B1 (ko) 2014-09-26 2016-06-1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저전압 dc-dc 컨버터를 위한 통합형 고장진단 제어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253A (ko) * 2005-09-30 2007-04-04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와치독 회로를 가지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그 제어 방법
KR20150034540A (ko) * 2013-09-26 2015-04-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기기
JP2015108944A (ja) * 2013-12-04 2015-06-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子制御装置
KR20160086787A (ko) * 2016-07-06 2016-07-2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디지털 회로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656A1 (ko) * 2020-01-13 2021-07-22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72326B2 (en) 2020-02-25
US20190034262A1 (en) 2019-01-31
KR102053991B1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0908B2 (en) Half-bridge driver fault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US20150046115A1 (en) Circuit for monitoring abnormality of ecu
US20130285445A1 (en) Circuit Arrangement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US11611205B2 (en) Triggering circuit and electronic fuse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JP4991739B2 (ja) 少なくとも1つの半導体主リレーを有する電子回路およびその使用
KR20160101704A (ko) 컨택터 제어 시스템
KR20190013648A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JP2016141351A (ja) 電子制御装置のグランド断線検出方法及び電子制御装置
EP2503849B1 (en) Discreet input signal generation via output short-circuit detection
CN110444444B (zh) 驱动接触器的电路
KR20190013477A (ko)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감시하기 위해 디스에이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워치독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42862A (ko) 하이 사이드 센싱 회로 및 로우 사이드 센싱 회로를 이용하여 컨택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CN104716704B (zh) 电池状态监视电路以及电池装置
JP6327099B2 (ja) 半導体装置
KR102085341B1 (ko) Dc-dc 전압 컨버터를 벅 동작 모드로부터 안전 동작 모드로 전이시키기 위한 제어 시스템
CN105320028A (zh) 负载控制备用信号生成电路
JP2008172901A (ja) 電源装置
CN107453316B (zh) 安全电路
EP3446391B1 (en) Relay protection system
KR20190011201A (ko) Dc-dc 전압 컨버터를 위한 진단 시스템
KR20200074914A (ko) 전기 제어 시스템
EP3933875A1 (en) Safety switch controller,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CN109213026B (zh) 向接口卡供电的方法以及安全状态控制器
JP2023119789A (ja) 車両用電源装置
CN113497609A (zh) 用于配电开关的驱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