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556A -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556A
KR20190012556A KR1020170095699A KR20170095699A KR20190012556A KR 20190012556 A KR20190012556 A KR 20190012556A KR 1020170095699 A KR1020170095699 A KR 1020170095699A KR 20170095699 A KR20170095699 A KR 20170095699A KR 20190012556 A KR20190012556 A KR 20190012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group
heteroatom
straight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197B1 (ko
Inventor
박길홍
구진모
이정헌
송다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팜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팜,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팜
Priority to KR102017009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197B1/ko
Priority to US16/620,847 priority patent/US11629121B2/en
Priority to PCT/KR2018/008531 priority patent/WO2019022556A1/ko
Priority to EP18837846.7A priority patent/EP3659592A4/en
Priority to CN201880038464.8A priority patent/CN110996930B/zh
Priority to CN202311685690.4A priority patent/CN117653618A/zh
Publication of KR2019001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20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9/24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07C49/245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49/248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용도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규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은 암세포 특이적 세포독성과 더불어 뼈 손실을 야기하는 파골세포에 대하여 강력한 증식 및 분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암제 및 골다공증 등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제 또는 개선용 식품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및 이의 용도{Novel benzylideneaceto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용도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규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암은 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사망의 가장 주된 원인이다. 현재 외과적 수술, 항암화학치료, 방사선치료의 발전에 따라 완치율이 초기 및 말기 모든 유형의 암을 포함하면 70%를 상회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외과적 수술의 기술적 한계, 항암화학치료와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으로 인한 투여용량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말기 암, 전이암, 재발한 암에서는 완치가 어렵고 사망률이 매우 높다. 또한 기존 항암제에 대한 내성 발현으로 항암화학요법이 불가능한 환자도 증가 추세이다.
따라서 보다 치료효과가 강력하고, 부작용이 매우 낮고 안전하여 고용량 투여로 암 완치율을 높일 수 있으며, 기존 항암제에 내성이 발생한 환자에서도 치료효과가 있는 새로운 항암제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뼈는 몸의 골격 구조를 형성하고 혈중 칼슘(Ca2+) 수준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뼈는 대사적으로 뼈를 흡수하는 파골세포(osteoclast)와 생성하는 조골세포(osteoblast) 간의 뼈 리모델링 순환(bone remodelling cycle)의 균형을 통해 유지된다. 뼈의 흡수와 생성 간의 균형이 파괴되어 흡수량이 생성량보다 많아지면 다양한 뼈 관련 질환이 발생하며, 파골세포의 분화 및 활성화와 관련된 대표적인 질환은 골다공증, 류마티스관절염, 관절통, 파제트 병, 골 전이암 및 골절 등을 들 수 있다.(Kim JH and Kim N, 2016; Shiozawa Y et al., 2011; Singer FR, 2016).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질환인데 자가면역항체가 파골세포 분화를 촉진한다. 그로 인한 과도한 골 흡수는 류마티스관절염을 악화시킨다(Takayanagi H, 2007). 그 기전은 다음과 같다. 파골세포 분화 관련 중추적인 전사인자인 NFAT 전사인자들은(NFATc1/c2/c3/c4) 기본적으로 calcium/calmodulin signaling에 의하여 활성화된다(Takayanagi H et al., 2002). 완전한 활성화를 위해서는 면역조절 단백질들인 DNAX-activating protein 12(DAP12) 및 면역항체 Fc receptor common γ chain(FcRγ)과 같은 tyrosine-based activation motif (ITAM)-bearing molecule들이 면역세포에서 calcium signaling을 자극한다(Pitcher LA and van Oers NS, 2003). 파골세포에서 역시 DAP12와 FcRγ가 calcium signaling을 통하여 NFATc1을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DAP12 및 FcRγ와 연계된 immunoglobulin-like receptor가 파골세포 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Koga T et al., 2004; MoA et al., 2004). 즉, FcRγ는 파골세포에서 osteoclast-associated receptor(OSCAR) 및 paired immunoglobulin-like receptor(PIR-A)와 상호작용한다. ITAM이 인산화되면 phospholipase C γ(PLCγ)를 활성화하고 이는 세포 내 calcium을 유리하고 이는 calmodulin-dependent phosphatase인 calcineurin을 활성화한다. Calcineurin은 직접 NFATc1의 serine을 탈인산화하여 핵 내로 보내고 활성화시킨다. 결과적으로 면역항체는 파골세포 분화를 촉진하게 되고, 파골세포에 의한 과도한 골 흡수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악화시키게 된다. 결국,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파골세포 분화 억제는 자가면역기전 자체의 이상을 교정하지는 못 해도 그 결과 유발된 관절염과 통증 등 골격계 증상은 치료할 수 있다.
파제트 병(Osteitis deformans) 역시 파골세포의 비정상적 골 흡수가 유발한다(Singer FR, 2016). 그러면 조골세포의 비정상적 골 생성이 진행되고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골의 기형과 그로 인한 통증, 두통, 청력손실 등이 초래된다. 팔, 다리, 골반, 척추, 두개골에 호발한다. 새로 생성된 골은 약하여 골절 빈도가 높다. 고칼슘혈증, 심장마비, 반신불수가 유발될 수 있다(Ralstone SH, 2016). 발병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 소인과 어릴 적 바이러스 감염이 그 원인으로 의심된다. 약물치료가 병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치료제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제인 Fosamax 및 골 대사를 조절하는 calcitonin이다. 하지만 Fosamax는 부작용으로 일부 환자에서 장기 복용이 제한적이다. 통증이 심하면 Acetaminophen(Tylenol)이나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NSAIDs)를 사용한다.
파골세포는 또한 고형암(solid tumor)의 골 전이를 촉진한다. 뼈는 암의 전이가 가장 호발하는 부위이다. 뼈에 암이 전이되면 극심한 통증과 함께 뼈가 부서져서 완치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진다(Weilbaecher KN et al., 2011). 전신에 퍼진 암세포들은 골수 내의 혈액 줄기세포 증식 장소에서 발견된다(Shiozawa Y et al., 2013). 암세포는 골수세포로부터 파골세포의 분화를 현저히 촉진하여 골 파괴와 이로 인한 골 전이, 암 성장을 촉진한다. 따라서 파골세포는 암의 골 전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여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면 골 전이가 감소한다. 많은 고형암의 전이가 골 전이인데 혈액 줄기세포 증식 장소를 거점으로 혈액 줄기세포를 몰아내고 증식하다가 다시 혈액으로 나와 다른 곳으로 전이하기도 한다. 골 전이가 가장 흔한 암은 전립선암으로서 골 전이가 암을 악화시켜서 완치를 어렵게 하고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사람 전립선 암세포의 직접적인 주요 표적 역시 혈액 줄기세포 증식 장소로서 전이암의 거점으로 사용한다(Shiozawa Y et al., 2011). 또한 파골세포는 전립선 암 조직 내에 혈관 형성을 촉진하여 암 성장을 촉진한다(Bruni-Cardoso A et al., 2010). 유방암 세포도 파골세포 분화를 촉진하여, 유방 절제술을 시행한 유방암 환자에서 파골세포가 골 전이를 통한 암 재발을 촉진한다(Danilin S et al., 2012; Lu X et al., 2011).
골 전이암을 예방하기 위한 골 표적 치료제가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파골세포가 암 골 전이의 핵심 기전 중 하나이므로 항암 신약개발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현재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유일한 bisphosphonate 계열 약제가 Zoledronic acid이다(El-Amm J et al., 2013). Zoledronic acid는 뼈를 보존하고 생존률을 높인다. 고 위험 비전이 전립선암(high risk nonmetastatic prostate cancer)에서 Zoledronic acid는 골 전이를 크게 감소시켰다(Wirth M et al., 2014). Zoledronic acid를 골 생성 촉진제인 부갑상선호르몬(parathyroid hormone)과 함께 투여하면 골 전이가 더욱 감소하였다(Schneider A et al.,2005). 파골세포 분화의 신호전달물질인 RANKL에 대한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인 Denosumab 역시 전립선암의 골 전이를 억제하여 파골세포 억제가 암의 골 전이 억제에 중요함이 다시 입증되었다(Smith MR et al., 2012). Multiple myeloma 환자에서도 Zoledronic acid를 투여하면 파골세포 분화가 억제되어 골 전이가 현저히 억제된다(Zhuang J et al., 2012).
골다공증은 파골세포의 활성화로 뼈의 흡수와 생성 간의 균형이 파괴되어 흡수량이 생성량보다 많아지면 유발된다. 골다공증은 뼈 실질의 밀도를 감소시켜서 골절 빈도를 증가시킨다. 중년 및 노년 여성 등 호르몬 균형이 무너진 여성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골절이나 중증 질환으로 거동을 못하는 환자에서도 발병한다. 최근에는 중장년층 이상의 남성에서도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골수 monocyte/macrophage lineage 세포가 파골세포로 분화하는 분자적 기전에는 먼저 아래 2개의 cytokine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Teitelbaum SL and Ross FP, 2003). (i)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M-CSF)가 그 수용체인 c-Fms와 결합하면 파골세포 전구세포들이 증식하고 생존한다.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RANKL)이 그 수용체인 RANK에 결합하면 파골세포의 분화와 골 흡수 기능을 활성화하고 성숙한 파골세포가 생존하게 한다(Lacey DL et al., 1998; Lum L et al., 1999; Sherr CJ, 1990; Suda T et al., 1999; Wong BR et al., 1999). (ii) M-CSF가 c-Fms의 활성화를 유도하면 파골세포 전구세포가 ERK 및 PI3K/Akt 경로를 통하여 증식하고 생존한다(Mancini et al., 1997). (iii) RANKL(OPGL, ODF, TRANCE)과 RANK 역시 파골세포 형성과 기능을 조절한다(Anderson DM et al., 1997; Dougall WC et al., 1999; Kong YY et al., 1999). RANKL이 RANK에 결합하면 TRAFs 1, 2, 3, 5, 6 등의 TNF receptor-associated factor(TRAF)들이 RANK와 결합한다(Darnay BG et al., 1998; Walsh MC and Choi Y, 2003). 이중 TRAF6가 파골세포 형성과 기능에 가장 중요하다(Lomaga MA et al., 1999; Naito A et al., 1999). TRAF6는 RANKL/RANK 신호를 NF-κB, c-Jun N-terminal kinase(JN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ERK), p38, Akt,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 1(NFATc1)에 전달하여 파골세포 증식, 융합, 분화가 이루어진다(Kobayashi N et al., 2001; Lomaga MA et al., 1999; Naito A et al., 1999; Takayanagi H et al., 2002; Wong BR et al., 1998; Wong BR et al., 1999)
기존의 골다공증의 치료제 개발 방향은 파골세포의 뼈 흡수를 억제하여 뼈 실질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을 발굴하는 것이었다. 그 대표적인 약품이 bisphosphonate 계열의 Fosamax이다. 같은 맥락에서 arachidonate 대사 산물이 뼈 조직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Lee Sung-eun, 1999). Leukotriene-B4(LTB4)는 arachidonate의 대사 경로인 5-lipoxygenase pathway의 대사 산물 중 하나이다(Ford-Hutchinson, A. W. et al., 1980). Giant cell tumor에서 얻은 간질세포주(interstitial cell)인 C433은 5-lipoxygenase 대사 산물을 증가시켜서 조골세포의 수와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undy, G. R. et al., 1993). 뼈 조직 배양 과정에서 LTB4를 투여하면, 뼈 흡수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하였다(Bonewald, L. F. et al., 1996). In vitroin vivo 연구에서 LTB4는 파골세포의 생성을 증가시켜서 뼈 흡수를 유도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Bonewald, L. F. et al., 1996). 이에 따라, LTB4 수용체 억제제(LTB4 receptor antagonist)들이 골다공증 치료를 위하여 많이 개발되었지만, 파골세포의 뼈 실질 흡수를 충분히 억제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기존 골다공증 치료제의 부작용과 고가의 약값도 환자의 치료에 충분한 용량으로 투여하는데 큰 장애가 되고 있다. Fosamax의 주요 부작용으로는 중증 식도염, 신 손상, 간 손상, 저칼슘혈증, 근육 경련 등이 있고, 로슈(Roche)의 Bonviva는 전신근육통, 몸살 등의 부작용이 있다. 노바티스(Novartis)의 Aclasta(zoledronate)와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anabolic 치료제인 parathyroid hormone인 Forsteo와 Forteo(teriparatide)는 효과는 좋으나 가격이 너무 비싸서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특히 Forsteo/Forteo는 약물 과민반응 환자, 임산부, 모유수유, 고칼슘혈증(hypercalcemia), 신부전, 부갑상선 기능항진증(hyperparathyroidism)과 파제트 병(Paget’disease) 등의 대사성 골질환, 원인미상의 알칼리포스파타제 활성 증가(unexplained elevations of alkaline phosphatase), 방사선 치료 환자, 골수암 혹은 골 전이암 환자 등에게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적용가능한 환자군이 크지 않다.
따라서 보다 효과가 강력하고 부작용 없이 안전하며, 기존 치료제보다 저비용으로 생산가능한 골 관련 질환 치료제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 Anderson DM, Maraskovsky E, Billingsley WL, Dougall WC, Tometsko ME, Roux ER, et al. A homologue of the TNF receptor and its ligand enhance T-cell growth and dendritic-cell function. Nature 1997;390:175-9. [비특허문헌 2] Bonewald, L. F., et al., Leukotriene B4 stimulates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both in vitro and in vivo. J. Bone Miner. Res., 11, 1619-1627, 1996. [비특허문헌 3] Bonewald, L.F. et al., Effects of synthetic peptido-leukotrienes on bone resorption in vitro. J. Bone Miner. Res., 11, 521-529, 1996.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며 효과가 뛰어난 암 또는 골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신규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에 항암활성과 골 손실 억제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aryloxy)기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각각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R3은 각각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NHR4, -N(R4)2, OH 이며: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항의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각각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R3은 각각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NHR4, -N(R4)2, OH 이며: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aryloxy)기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각각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R3은 각각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NHR4, -N(R4)2, OH 이며: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기(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각각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R3은 각각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NHR4, -N(R4)2, OH 이며: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항의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기(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각각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R3은 각각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NHR4, -N(R4)2, OH 이며: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다.]
Figure pat00006
<벤질리덴아세톤(benzylideneacetone)>
Benzylideneacetone은 C10H10O의 분자식(분자량 146.19g/mol) 및 상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며, 상단의 화학식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Benzalacetone, Methyl Styryl ketone, Benzylidene acetone 또는 IUPAC 이름으로 (E)-4-Phenylbut-3-ene-2-one으로 불리며, 상온에서 황색 결정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들은 상기 Benzylideneacetone 의 유도체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기(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각각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R3은 각각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NHR4, -N(R4)2, OH 이며: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알킬”은 1 내지 4 탄소수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형 알킬기를 포함하는 기 또는 기의 일부분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러한 기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 부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알콕시”는 O-알킬을 의미한다.
상기 알콕시의 정의에 기재된 “알킬”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알킬기”와 동일하며, 구체적으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t-부톡시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아릴옥시”는 O-아릴을 의미한다.
상기 아릴옥시의 정의에 기재된 “아릴”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벤질기”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비치환 아릴기 또는 헤테로원자인 N, S 또는 O를 1개 이상 포함하는 헤테로아릴기를 포함한다. 상기 비치환 아릴기를 포함하는 아릴옥시기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벤질옥시"와 동일하다.
또한, 아릴기의 치환기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기가 독립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치환기는 구체적으로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알킬기, 알콕시기, 카르복실산기, 카르복실 에스터, 카르복시아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카르복실에스터기’는 O-알킬, 또는 O-아릴기가 치환된 에스터를 나타내며, ‘카르복시아미드기’는 N-알킬, N,N-디알킬, N-아릴, N,N-디아릴을 나타낸다.
상기 아릴기, 알킬기, 알콕시기는 상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할로겐’은 할로겐족 원자를 나타내며,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신규한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R2 할로겐이 불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1개 이상의 치환기를 갖는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치환기는 O, N, S인 것”은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가진 것일 수 있다.
Figure pat00008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신규한 유도체는 다음 중에서 선택된다.
(1) (E)-4-(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M.W 176.21; 갈색 고체)
Figure pat00009
(2) (E)-4-(3-히드록시-4-메틸페닐)부트-3-엔-2-온 (M.W 176.21 ; 갈색고체)
Figure pat00010
(3) (E)-3-(3-히드록시-4-메틸페닐)아크릴아미드 (M.W 177.2; 황색고체)
Figure pat00011
(4) (E)-3-(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아크릴아미드 (M.W 181.17; 황색고체)
Figure pat00012
(5) (E)-4-(4-메르캅토-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Figure pat00013
(6) (E)-4-(4-히드록시-3-메르캅토페닐)부트-3-엔-2-온
Figure pat00014
(7) (E)-4-(3-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페닐)부트-3-엔-2-온
Figure pat00015
(8)(E)-4-(4-(벤질옥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Figure pat00016
(9)(E)-4-(4-(알릴록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Figure pat00017
(10) (E)-4-(3-히드록시-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부트-3-엔-2-온
Figure pat00018
(11) (E)-4-(3-히드록시-4-(피롤리딘-1-일)페닐)부트-3-엔-2-온
Figure pat00019
(12) (E)-4-(3-히드록시-4-(4-히드록시페녹시)페닐)부트-3-엔-2-온
Figure pat00020
(13) (E)-4-(3-히드록시-4-(피페리딘-4-일록시)페닐)부트-3-엔-2-온
Figure pat00021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은 그 자체 또는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은 천연으로 분리되거나 당 업계에 공지된 화합물의 화학적 합성법,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유도체는 암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암으로는 예를 들면 유방암, 대장암, 폐암, 소세포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 질암,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과 같은 암 또는 이들 암의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일실시예에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이 다양한 세포에 대해 세포 독성을 시험한 결과, 암세포에는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만 정상세포에는 거의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자들이 규명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의 상기 활성을 이용하여 암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증상의 개선 또는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른 일실시예에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이 뼈 조직을 파괴하고 재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파골세포(osteoclast)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우스에서 분리한 골수세포에서 파골세포의 줄기세포 전구세포인 단핵구 세포를 분리하여 분화촉진인자인 RANKL과 M-CSF로 자극하고,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을 처리하여 파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골수세포가 다핵 파골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은 뛰어난 파골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은 매우 낮아 안전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자들이 규명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의 상기 활성을 이용하여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와 조골세포에 의한 새로운 골 기질의 형성 및 이후의 무기질화 과정의 골 대사 과정의 균형이 깨지면서 골밀도와 강도가 감소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골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증상의 개선 또는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골 질환은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골다공증, 파제트병, 구루병, 골연화증, 신부전 환자의 신성골이영양증, 관절통, 골절, 류머티스성 골질환, 퇴행성 골질환, 골전이암, 원발성으로 뼈에 생성된 종양, 치주질환, 염증성 치조골 흡수질환 및 염증성 뼈 흡수질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골다공증, 파제트병, 구루병, 관절통, 골절, 류머티스성 골질환, 골전이암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질환과 파골세포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 및 실시예를 참고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란 치료되는 개체 또는 세포의 자연적 과정을 변경시키려는 임상적 시술을 의미하며, 임상적 병리의 예방을 위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치료의 바람직한 효과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 억제, 증상의 완화, 질병의 임의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의 감소, 질병 진행 속도의 감소, 질병 상태의 개선, 호전, 완화 또는 개선된 예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용어 '예방'은 질병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치료 횟수, 치료 기간, 치료가 필요한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약물에 대한 민감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상술한 특정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유효량”이란 개체에게 투여하였을 때, 암 혹은 골 질환의 개선, 치료, 예방, 검출 또는 진단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개체’란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일 수 있으며, 동물에서 유래한 세포, 조직, 기관 등일 수도 있다. 상기 개체는 치료가 필요한 골 질환 환자(patient)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병용하여 투여할 경우 다른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단독 투여 또는 병용 투여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투여 경로로는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경구투여용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주사형 제형으로 제조하여 이를 30게이지의 가는 주사 바늘로 피부를 가볍게 단자(prick)하거나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에 기술되어 있다.
흡입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오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그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트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즈, 슈크로즈 또는 덱스트란),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및/또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이 규명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의 상기 암 또는 골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는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 (예를 들어 과일 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를 들어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를 들어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를 들어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를 들어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총 중량 중 0.01 내지 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을 식품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항의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항의 유도체는 적절한 반응용매 하에서 제조된다.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트산, 핵산, 벤젠,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아세톤(acetone),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다이옥세인(dioxane), DMF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유도체의 R3가 메틸기인 유도체는 하기 제법 1 또는 제법 3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R3가 -NH2인 유도체는 하기 제법 2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법 1(방법 1)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 단계a 는 화합물 1의 메틸에테르를 산 촉매 조건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화합물 2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때, 촉매로 사용한 산으로 BBr3, AlCl3, HB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반응 용매로는 CH3CN, CH2Cl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단계 b는 단계 a에서 제조된 화합물 2를 CuBr2와 반응시켜 화합물 3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단계 b에서 아세톤, DMF 등의 유기용매를 반응용매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 온도는 40℃ 내지 7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 1]
Figure pat00022
상기 방법 1의 R은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기(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각각 O, N 및 S로 이루어진다.
상기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 할로겐, 사이클로알킬 등은 이상의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법 2(방법 2)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 단계 a‘는 화합물 1‘를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Triethyl phosphonoacetate)와 반응시켜 화합물 2’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때 반응 용매로는 THF, 메탄올, 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 온도는 상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단계 b'는 화합물 2'의 메틸에스테르기를 염기와 반응시켜 화합물 3’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때 염기는 LiOH, NaOH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 용매로는 THF, 메탄올, 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단계 c'는 화합물 3‘의 히드록시기를 NH4HCO3와 반응시켜 화합물 4’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때 반응 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옥세인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단계 d'는 화합물 4‘의 메틸에테르를 산 촉매 조건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화합물 5’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때, 촉매로 사용한 산으로 BBr3, AlCl3, HB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반응 용매로는 CH3CN, CH2Cl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법 2]
Figure pat00023
상기 방법 2의 R은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기(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상기 헤테로원자는 각각 O, N 및 S로 이루어진다.
상기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 할로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등은 이상의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법 3(방법 3)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 단계 a"는 화합물 1“를 염기 조건 하에서 할로겐화 화합물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보호기를 도입한 화합물 2”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때 염기로는 K2CO3, KHCO3, NaHCO3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반응 용매로는 아세톤, DMF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40~8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할로겐화 화합물은 브로모벤젠, 벤질브로마이드, 브로모프로펜, 2-브로모프로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단계 b“는 하기 단계 a”에서 제조된 화합물 2“를 CuBr2와 반응시켜 화합물 3”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단계 b“는 반응 용매로 아세톤, DMF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 온도는 40℃ 내지 7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 3]
Figure pat00024
상기 방법 3의 R은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C1-4의 알케닐기;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기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헤테로원자는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상기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할로겐, 사이클로알킬 등은 이상의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는 상기 제조방법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의 이미 공지된 방법 뿐만 아니라 미공지된 방법이라도 상기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용매 하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신규한 유도체는 제조 후, 농도구배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로는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활성 알루미나(alumina)등의 각종 합성수지를 충진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플래시(flash)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골 질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강한 항암효과가 있으며 또한 뼈 손실을 야기하는 파골세포에 대하여 강력한 증식 및 분화 억제 효과가 있으며,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매우 낮아 암 또는 골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1에서 합성한 (E)-4-(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의 NMR 동정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1-2에서 합성한 (E)-4-(3-히드록시-4-메틸페닐)부트-3-엔-2-온의 NMR 동정 결과이다.
도 3는 실시예 1-3에서 합성한 (E)-3-(3-히드록시-4-메틸페닐) 아크릴아미드의 NMR 동정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1-4에서 합성한 (E)-3-(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 아크릴아미드의 NMR 동정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 1-5에서 합성한 (E)-4-(3-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페닐)부트-3-엔-2-온의 NMR 동정 결과이다.
도 6는 실시예 1-6에서 합성한 (E)-4-(4-벤질록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의 NMR 동정 결과이다.
도 7는 실시예 1-7에서 합성한 (E)-4-(4-알릴록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의 NMR 동정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인 KP2 내지 KP5과 그의 양성 대조군인 Fosamax 및 Osmundacetone 을 포함한 화합물들의 파골세포 분화 및 증식 억제능을 TRAP assay로 측정한 결과이다. (KP2 : (E)-4-(3-히드록시-4-메틸페닐)부트-3-엔-2-온; KP3 : (E)-4-(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KP4 : (E)-3-(3-히드록시-4-메틸페닐) 아크릴아미드; KP5 : (E)-3-(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 아크릴아미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규한 화합물의 합성
항암활성 및 파골세포 분화억제 활성을 갖는 물질을 동정하기 위하여 각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합성 혼합물에서 유도체를 분리, 정제하고, 핵자기공명(NMR)과 질량분석(MS)으로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각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의 합성방법 및 구체적인 NMR과 MS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1>
(E)-4-(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KP3) 의 합성
Figure pat00025
삼 브롬화 붕소(1M 염화 메틸렌 용액. 10ml)를 3-메톡시-4-플루오로벤잘데하이드(3-methoxy-4-fluorobenzaldehyde, 1a)(440mg, 2.85mmol)의 염화 메틸렌 용액에 냉각 하에 적가한 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다시 얼음으로 냉각하고, 냉수를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5N 염산 용액을 pH 1이 될 때까지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한 후,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류 제거하였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로 정제하였으며, 4-플루오로-3-히드록시벤잘데하이드(4-fluoro-3-hydroxybenzaldehyde, 2a) 210mg을 수득하였다.
4-플루오로-3-히드록시벤잘데하이드(2a, 140.11mg, 1.0mmol) 및 CuBr2(223.35mg,1mmol)를 실온에서 5mL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6시간 뒤, 셀 라이트로 여과 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농축시키고, 갈색 고체인 생성물 (E)-4-(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3a, 12 %)를 용리액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및 n- 헥산 (1 : 4)을 사용하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하였다.
NMR 및 MS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1 참조)
1H NMR (400 MHz, CD3OD):δ7.56(1H,d,J = 16.4 Hz), 7.22 (2H, dd, J = 7.6, 2.1 Hz), 7.13-7.10 (2H, m), 6.67 (1H, J = 16.4 Hz), 2.38 (3H, s); Ms(ESI) m/z: 181.1 [M+H]+;
<실시예 1-2>
(E)-4-(3-히드록시-4-메틸페닐)부트-3-엔-2-온 (KP2)의 합성
Figure pat00026
삼 브롬화 붕소(1M 염화 메틸렌 용액. 5mL)를 3-메톡시-4-메틸벤잘데하이드(3-methoxy-4-methylbenzaldehyde, 1b)(400mg, 2.66 mmol)의 염화 메틸렌 용액에 냉각 하에 적가한 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다시 얼음으로 냉각하고, 냉수를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5N 염산 용액을 pH 1이 될 때까지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한 후,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뒤,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였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n-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로 정제하였으며, 3-히드록시-4-메틸벤잘데하이드(3-hydroxy-4-methylbenzaldehyde, 2b) 150mg(41.4%)을 수득하였다.
3-히드록시-4-메틸벤잘데하이드 (2b, 136.1mg, 1.0mmol) 및 CuBr2(223.35mg,1mmol)를 실온에서 5mL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6시간 뒤, 셀 라이트로 여과 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농축시키고, 갈색 고체인 생성물 (E)-4-(3-히드록시-4-메틸페닐)부트-3-엔-2-온(3b, 17 %)을 용리액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및 n- 헥산 (1 : 4)을 사용하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하였다.
NMR 및 MS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2 참조)
1H NMR (700 MHz, CD3OD):δ7.56(1H,d,J = 16.24 Hz), 7.14 (1H, d, J = 7.42 Hz), 7.03-7.02 (2H, m), 6.67 (1H, J = 16.24 Hz), 2.38 (3H, s), 2.22 (3H, s); Ms(ESI) m/z: 177.1 [M+H]+;
<실시예 1-3>
(E)-3-(3-히드록시-4-메틸페닐) 아크릴아미드 (KP4)의 합성
Figure pat00027
단계 1 : 에틸 (E) -3- (3-메톡시-4-메틸페닐) 아크릴레이트의 제조
수소화 나트륨(Sodium hydride, 60 % 분산오일로 미리 세척, 300 mg, 7.5 mmol)을 무수 THF (10 mL) 에서 질소 조건하에서 교반하였다. 이에 트리에틸 포스포노아세테이트(Triethyl phosphonoacetate, 1.345 g, 6 mmol)를 적가하고, 25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THF(3mL)에 3-메톡시-4-메틸벤잘데하이드 (3-methoxy-4-methylbenzaldehyde, 1f, 751 mg, 5 mmol)를 약 30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용액을 실온에서 20시간동안 교반한 뒤, 물 100mL로 ?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0 mL)로 추출 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n- 헥산 1 : 4)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 형태의 불포화 에스테르 2f (700 mg, 63 %)를 수득 하였다.
단계 2 : (E)-3-(3-메톡시-4-메틸페)아크릴산의 제조
THF (5 mL)에 용해된 에틸 (E) -3- (3-메톡시-4-메틸페닐) 아크릴레이트(2f, 220mg, 1 mmol)를 수산화나트륨 (2.0 M, 5mL)에 첨가하고, 2시간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 10mL)로 켄칭(quenching)시키고, 염산(2.0M)을 이용해 pH2로 산성화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0 mL)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백색 고체 (3f, 190 mg, 98.8 %)를 수득 하였다.
단계 3 : (E)-3-(3-메톡시-4-메틸페닐)아크릴아미드의 제조
(E)-3-(3-메톡시-4-메틸페)아크릴산(3f, 100mg, 0.52mmol) 및 피리딘 (0.1 mL)의 디옥산 용액(dioxane, 1mL)에 디-타트-부틸다이카보네이트((BOC)2O, 227 mg, 1.04 mmol), 중탄산 암모늄 (NH₄ HCO₃, 83 mg, 1.04mmol)을 각각 한번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상은 5% 수성 중탄산나트륨, 0.1N HCl 및 염수(brine)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은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황색 고체인 4f (68mg, 68.3 %)를 수득하였다. 이는 추가정제 없이 사용 하였다.
단계 4 : (E)-3-(3-히드록시-4-메틸페닐)아크릴아미드의 제조
삼브롬화붕소(1M 염화메틸렌 용액. 5mL)를 (E)-3-(3-메톡시-4-메틸페닐)아크릴아미드 ((E)-3-(3-methoxy-4-methylphenyl)acrylamide, 4f, 40 mg, 0.21 mmol) 의 염화메틸렌 용액에 냉각 하에 적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다시 얼음으로 냉각하고, 냉수를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5N 염산 용액을 pH 1이 될 때까지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한 후,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뒤,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였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메틸렌 클로라이드/MeOH 20 : 1)로 정제하였으며, 황색 고체인 (E)-3-(3-히드록시-4-메틸페닐)아크릴아미드((E)-3-(3-hydroxy-4-methylphenyl)acrylamide, 5f, 18 mg, 48.3 %)를 수득하였다.
NMR 및 MS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3 참조)
1H NMR (400 MHz, MeOD): δ 7.45 (1H, d, J = 15.6 Hz), 7.10 (1H, d, J = 7.6 Hz), 6.98-6.95 (2H, m), 6.53 (1H, J = 15.6 Hz), 2.13 (3H, s); Ms(ESI) m/z: 178.1 [M+H]+;
<실시예 1-4>
(E)-3-(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아크릴아미드 (KP5)의 합성
Figure pat00028
상기 실시예 1-3의 단계 1에서 3-메톡시-4-메틸벤잘데하이드 대신 3-메톡시-4-플루오로벤잘데하이드(1g)를 사용하여, 실시예 1-3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목적화합물인 황색 고체 (E)-3-(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아크릴아미드(5g, 16mg, 40%)를 수득하였다.
구체적으로, 1g로부터 황색오일인 2g(680mg, 60.6%)를 수득하고, 2g로부터 흰색 고체인 3g(183mg, 93.2%)를 수득하고, 3g로부터 황색고체인 4g(53mg, 53.2%)를 수득하고, 4g로부터 황색고체인 신규 화합물 (E)-3-(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아크릴아미드 (5g, 16mg, 40%)를 얻었다.
NMR 및 MS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4 참조)
1H NMR (400 MHz, MeOD): δ 7.45 (1H, d, J = 12.4 Hz), 7.15 (1H, dd, J = 2.0, 2.0 Hz), 7.10-7.01 (2H, m), 6.52 (1H, d, J = 16.0 Hz); Ms(ESI) m/z: 193.1 [M+H]+;
<실시예 1-5>
(E)-4-(3-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페닐)부트-3-엔-2-온 의 합성
Figure pat00029
단계 1 : 3-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벤잘데하이드의 제조
건조된 디메틸포름아미드(3ml)에서 3,4-다이하이드로벤잘데하이드(250mg, 1.81mmol) 및 무수 탄산 칼륨 (250mg, 1.81 mmol)이 교반된 현탁액을 70 ℃로 가열하고, 2-브로모프로판(0.17ml, 1.81mmol)을 30분동안 질소 조건하에서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얼음물(50 ml)에 부었다. 상기 혼압물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수득된 추출물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n-헥산 1 : 4)로 정제하였고, 갈색고체인 생성물 2h (46mg, 50 %)를 수득 하였다.
단계 2 : (E)-4-(3-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페닐)부트-3-엔-2-온의 제조
3-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벤잘데하이드(2h, 50mg, 0.277mmol) 및 CuBr2 (62mg, 0.277mmol)를 실온에서 3mL의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60℃에서 교반하였다. 6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Celite)로 여과하였다. 유기층을 진공에서 농축하였고, 용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n- 헥산 (1 : 4)을 사용하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그 결과, 백색 고체인 신규화합물 (E)-4-(3-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페닐)부트-3-엔-2-온(3h, 33mg, 53.3 %)를 수득하였다.
상기 생성물 3h NMR 및 MS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5 참조)
1H NMR (400 MHz, CDCl3)δ7.44(1H,d,J = 16.0 Hz), 7.17 (1H, d, J = 2.4 Hz),7.05 (1H, dd, J = 8.4 Hz, 6.0 Hz), 6.87 (1H, d, J = 8.4 Hz), 6.60 (1H, d, J = 16.0 Hz), 5.74 (1H, s), 4.67 (1H, hept, J = 6.4Hz) 2.37 (3H, s), 1.41 (6H, d, J = 6.0 Hz) ); Ms(ESI) m/z: 221.1 [M+H]+;
<실시예 1-6>
(E)-4-(4-(벤질록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의 합성
Figure pat00030
상기 실시예 1-5의 단계 1에서 2-브로모프로판 대신 벤질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5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목적화합물인 4-(벤질록시)-3-히드록시벤잘데하이드 (2i)를 수득하였다.
4-(벤질록시)-3-히드록시벤잘데하이드 (2i, 50mg, 0.277mmol) 및 CuBr2 (48.9mg, 0.22mmol)를 실온에서 3mL의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60℃에서 교반하였다. 6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Celite)로 여과하였다. 유기층을 진공에서 농축하였고, 용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n- 헥산 (1 : 4)을 사용하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그 결과, 백색 고체인 신규화합물 (E)-4-(4-(벤질록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3i, 37mg, 62.6%)를 수득하였다.
NMR 및 MS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6 참조)
1H NMR (400 MHz, CDCl3) δ 7.46 7.42 (6H, m), 7.19 (1H, d, J = 2.0 Hz), 7.05 (1H, dd, J = 8.4 Hz, 2.4 Hz), 6.95 (1H, d, J = 8.4 Hz), 6.95 (1H, d, J = 8.4 Hz), 6.61 (1H, d, J = 16.0 Hz), 5.71 (1H, s), 5.17 (2H, s), 2.37 (3H, s); Ms(ESI) m/z: 269.2 [M+H]+;
<실시예 1-7>
(E)-4-(4-(알릴록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의 합성
Figure pat00031
상기 실시예 1-5의 단계 1에서 2-브로모프로판 대신 브로모프로펜을 사용하여, 실시예 1-5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목적화합물인 4-(알릴록시)-3-히드록시벤잘데하이드 (2j)를 수득하였다.
4-(알릴록시)-3-히드록시벤잘데하이드 (2j, 50mg, 0.28mmol) 및 CuBr2 (62.7mg, 0.28mmol)를 실온에서 3mL의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60℃에서 교반하였다. 6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Celite)로 여과하였다. 유기층을 진공에서 농축하였고, 용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n- 헥산 (1 : 4)을 사용하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그 결과, 백색 고체인 신규화합물 (E)-4-(4-(알릴록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3j, 34mg, 55.6%)를 수득하였다.
NMR 및 MS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7 참조)
1H NMR (400 MHz, CDCl3) δ 7.43 (1H, d, J = 16.4 Hz), 7.18 (1H, d, J = 2.4 Hz), 7.04 (1H, dd, J = 8.4 Hz, 2.0 Hz), 6.87 (1H, d, J = 8.0 Hz), 6.60 (1H, d, J = 16.0 Hz), 6.11 6.04 (1H, m), 5.80 (1H, s), 5.43 (1H, dd, J = 17.2 Hz, 12.8 Hz), 5.36 (1H, dd, J = 10.4 Hz, 8.0 Hz), 4.67 4.65 (2H, m), 2.37 (3H, s); Ms(ESI) m/z: 219.2 [M+H]+ ;
<실시예 2>
MTT 어세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신규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KP2, KP3, KP4, KP5에 대하여 MTT assay를 이용하여 정상세포와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MTT assay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정상세포(RAW264.7 쥐 마크로파지 세포주(파골세포 전구세포) 및 NIH3T3 쥐 섬유아세포주) 및 암세포(AGS 사람 위암 세포주, A549 사람 폐암 세포주, HepG2 사람 간암 세포주, HCT116 사람 대장암 세포주, PC3 사람 전립선암 세포주, Caki-1 사람 신장암 세포주, T24 사람 방광암 세포주, HT1080 사람 섬유육종 세포주, B16F10 쥐 흑색종 세포주)를 10% FBS(fetal bovine serum)가 첨가된 DMEM를 포함하는 96웰 플레이트에서 5% CO2, 37℃에서 배양한 후,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 및 대조군(osmundacetone 및 4-hydroxybenzalacetone)을 세포배지에 첨가하고 48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MTT(0.5mg/mL 인산완충식염수) 100μL를 투여한 후, 2시간 배양하였다. 각 well에 100μL의 DMSO를 가하고 10분간 배양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SPCTRA MAX 340PC,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는 생존한 세포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하단의 식으로 계산되며, 3회의 실험으로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세포 증식율(%)=OD550(sample)/OD550(control)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의 정상세포 MTT assay 결과
Compound LD50(μ)
정상세포
RAW264.7 NIH3T3
Osmundacetone 529±41 >5000
4-Hydroxybenzalacetone 294±45 201±10
KP2 395±22 688±12
KP3 503±57 >5000
KP4 >5000 >5000
KP5 >5000 >5000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KP2 내지 KP5 투여 후 세포증식율의 변화에 근거하여 산출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의 정상세포에 대한 LD50는 Osmundacetone의 LD50 값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KP2의 경우에만 약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마크로파지(macrophage) 세포주인 RAW264.7의 경우, KP2와 KP3가 약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서 이 화합물들은 약한 면역억제 기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정상세포에 대한 낮은 세포독성을 가진 본 발명의 유도체들이 안전하게 약학,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의 암세포 MTT assay 결과
Com
pound
LD50(μ)
암세포
AGS A549 HepG2 HCT116 PC3 Caki-1 T24 HT1080 B16F10
Osmund
acetone
56.1±2.1 >5000 >5000 689±27 60.6±14 695±14 2000±250 >5000 64.9±59
KP2 209±5.9 471±24 339±79 380±32 309±3.1 387±57 1120±67 256±14 298±27
KP3 239±14 1090±46 612±95 389±18 387±48 408±12 >5,000 379±10 278±15
KP4 329±14 989±50 379±38 315±19 394±140 361±16 1040±360 309±10 1210±110
KP5 569±4.8 935±10 1280±390 >5,000 >5,000 2990±58 203±69 1090±19 >5,000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enzylideneacetone 유도체 KP2 내지 KP5 투여 후 세포증식율의 변화에 근거하여 산출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의 암세포에 대한 LD50는 Osmundacetone의 LD50 값과 비교하여 일부 암에서 더욱 강한 항암활성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A549 폐암세포에 대해서, KP2가 Osmundacetone보다 현저히 우수한 암세포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HepG2 간암세포에서는 특히 KP2와 KP4가 현저히 우수한 암세포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HCT116 대장암세포에서는 KP5을 제외한 KP2 내지 KP4가 Osmundacetone보다 2배 이상 억제 활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Caki-1 신장암세포에서도 KP5를 제외한 나머지 유도체들 모두 Osmundacetone보다 억제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였으며, T24 방광암세포에서는 KP5가 특히 억제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HT1080 섬유육종 암세포에 대해서는 KP5를 제외한 나머지 유도체들 모두 억제활성이 양성대조군인 Osmundacetone보다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사람 폐암, 대장암, 신장암, 방광암, 섬유육종 암세포에 대한 억제활성이 Osmundacetone보다 매우 우수하거나 그와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는 바, 본 발명의 유도체들이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억제 활성
<실시예 1>에서 제조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은 파골세포 특이적인 염색법인 TRAP assay(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를 이용하여 파골세포에 대한 증식 및 분화억제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TRAP assay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골수세포 배양
6~8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의 정강이뼈(tibia)와 대퇴골(femur)을 무균적으로 절제하고 골수세포를 syringe(21G, Korea Green Cross)로 무균적으로 채취하였다. 골수세포를 sodium bicarbonate(2.0g/L), streptomycin(100mg/L), penicillin(100,000unit/mL)을 포함하는 α-MEM 배지(Gibco BRL Co.) 500 μ에 부유하여 48well plate에 분주하고, triplicate으로 assay를 진행하였다. 파골세포의 전구세포인 단핵구세포를 분리하여 분화촉진인자인 RANKL과 M-CSF로 처리하면 5~7일 내에 파골세포로 분화되었다.
2. 파골세포 분화 측정
1) 시료 준비: KP2 내지 KP5 Benzylideneacetone 유도체(0.5μ1μ5μ또는 10μFosamax(0.5μ1μ5μ또는 10μ등을 각각 적정한 농도로 DMSO(dimethylsulfoxide) 또는 무균 증류수에 용해하였다.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 시료 투여: 시료는 골수세포 배양 첫날부터 1:20(v/v; 배지 500μ당 시료 25μ로 지속적으로 배지에 투여하고, 배지는 3일 간격으로 교체하였다.
3) 파골세포 분화 측정: 파골세포는 TRAP으로 염색된 TRAP-양성 다핵세포로 정의하였다. TRAP 염색 용액은 기질인 naphthol AS-MS phosphate(Sigma N-4875) 5 mg과 발색시약인 Fast Red Violet LB salt 25mg을 약 0.5 mL의 N,N-dimethylformamide에 녹인 후, 50mM tartaric acid를 포함하는 0.1N NaHC03 buffer solution(50mL)과 혼합하였다. 반응시약은 사용 전까지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골수세포는 분화촉진인자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6-7 일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0% formalin을 포함한 PBS로 2~5분 동안 고정하였다. 이후 ethanol과 acetone의 1:1 혼합용액으로 1분간 고정하고, 건조하였다. 고정된 세포는 TRAP 염색용액으로 빛을 차단한 채 37oC에서 60 분간 처리하고 PBS로 세척한 후 Hematoxylin 염색을 시행하고, 세포의 염색 정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현미경 시야에서 TRAP-양성세포 중, 2개 이상의 핵을 갖는 세포를 파골세포로 판정하고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의 파골세포 분화억제 효과는 대조군 대비 50% 억제 농도를 IC50로 계산하였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로 처리한 군에서는 양성대조군(배양 배지에 Osmundacetone 또는 Fosamax를 첨가한 군)과 유사하게 다핵세포인 거대한 파골세포 형성이 현저히 억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KP2의 경우 Osmundacetone을 첨가한 군보다 약 3배가량 우수한 IC50 값을 나타내었다. 부가적으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증식도 현저히 억제되어 파골세포의 분화 뿐만 아니라 증식 억제효과도 매우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Benzylideneacetone 유도체들은 암세포 특이적 세포독성과 더불어 뼈 손실을 야기하는 파골세포에 대하여 강력한 증식 및 분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암제 및 골다공증 등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제 또는 개선용 식품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3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기(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헤테로원자는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R3은 각각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NHR4, -N(R4)2, OH 이며: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는 (E)-4-(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메틸페닐)부트-3-엔-2-온, (E)-3-(3-히드록시-4-메틸페닐)아크릴아미드, (E)-3-(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아크릴아미드, (E)-4-(4-메르캅토-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4-히드록시-3-메르캅토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페닐)부트-3-엔-2-온, (E)-4-(4-벤질옥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4-알릴록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부트-3-덴-2-온, (E)-4-(3-히드록시-4-(피롤리딘-1-일)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4-히드록시페녹시)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피페리딘-4-일록시)페닐)부트-3-엔-2-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3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기(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헤테로원자는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R3은 각각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NHR4, -N(R4)2, OH 이며: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는 (E)-4-(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메틸페닐)부트-3-엔-2-온, (E)-3-(3-히드록시-4-메틸페닐)아크릴아미드, (E)-3-(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아크릴아미드, (E)-4-(4-메르캅토-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4-히드록시-3-메르캅토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페닐)부트-3-엔-2-온, (E)-4-(4-벤질옥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4-알릴록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부트-3-덴-2-온, (E)-4-(3-히드록시-4-(피롤리딘-1-일)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4-히드록시페녹시)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피페리딘-4-일록시)페닐)부트-3-엔-2-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대장암, 폐암, 소세포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 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 질암,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34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기(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헤테로원자는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R3은 각각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NHR4, -N(R4)2, OH 이며: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는 (E)-4-(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메틸페닐)부트-3-엔-2-온, (E)-3-(3-히드록시-4-메틸페닐)아크릴아미드, (E)-3-(4-플루오로-3-히드록시페닐)아크릴아미드, (E)-4-(4-메르캅토-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4-히드록시-3-메르캅토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페닐)부트-3-엔-2-온, (E)-4-(4-벤질옥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4-알릴록시-3-히드록시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부트-3-덴-2-온, (E)-4-(3-히드록시-4-(피롤리딘-1-일)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4-히드록시페녹시)페닐)부트-3-엔-2-온, (E)-4-(3-히드록시-4-(피페리딘-4-일록시)페닐)부트-3-엔-2-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 질환은 골다공증, 파제트병, 구루병, 골연화증, 신부전 환자의 신성골이영양증, 관절통, 골절, 류머티스성 골질환, 퇴행성 골질환, 골전이암, 원발성으로 뼈에 생성된 종양, 치주질환, 염증성 치조골 흡수질환 및 염증성 뼈 흡수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35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기(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헤테로원자는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R3은 각각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NHR4, -N(R4)2, OH 이며: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 질환은 골다공증, 파제트병, 구루병, 골연화증, 신부전 환자의 신성골이영양증, 관절통, 골절, 류머티스성 골질환, 퇴행성 골질환, 골전이암, 원발성으로 뼈에 생성된 종양, 치주질환, 염증성 치조골 흡수질환 및 염증성 뼈 흡수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36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기(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헤테로원자는 O, N 및 S로 이루어지며:
    R3은 각각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NHR4, -N(R4)2, OH 이며: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대장암, 폐암, 소세포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 질암,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3. 하기 방법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화합물 1의 메틸에테르기를 산 촉매 조건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화합물 2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a); 및
    하기 단계 a에서 제조된 화합물 2를 CuBr2와 반응시켜 화합물 3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b)를 포함하는 제1항의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의 제조방법;
    [방법 1]
    Figure pat00037


    상기 방법 1의 R은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헤테로원자는 O, N 및 S로 이루어진다.
  14. 하기 방법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화합물 1‘를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Triethyl phosphonoacetate)와 반응시켜 화합물 2’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a');
    하기 화합물 2'의 메틸에스테르기를 염기와 반응시켜 화합물 3’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b');
    하기 화합물 3‘의 히드록시기를 NH4HCO3와 반응시켜 화합물 4’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c'); 및
    하기 화합물 4‘의 메틸에테르기를 산 촉매 조건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화합물 5’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d')를 포함하는 제1항의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의 제조방법;
    [방법 2]
    Figure pat00038


    상기 방법 2의 R은 -H, -OH, -SH,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 알릴록시기(allyloxy), 벤질옥시기(benzyloxy),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옥시(aryloxy)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헤테로원자는 O, N 및 S로 이루어진다.
  15. 하기 방법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화합물 1“를 염기 조건 하에서 할로겐화알킬 화합물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보호기를 도입한 화합물 2”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a“및
    하기 단계 a“에서 제조된 화합물 2”를 CuBr2와 반응시켜 화합물 3“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b”를 포함하는 제1항의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의 제조방법;
    [방법 3]
    Figure pat00039


    상기 방법 3의 R은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C1-4의 알케닐기; 헤테로원자 및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갖는 아릴기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이 때 헤테로원자는 O, N 및 S로 이루어진다.
KR1020170095699A 2017-07-27 2017-07-27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2114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99A KR102114197B1 (ko) 2017-07-27 2017-07-27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및 이의 용도
US16/620,847 US11629121B2 (en) 2017-07-27 2018-07-27 Benzylideneaceto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PCT/KR2018/008531 WO2019022556A1 (ko) 2017-07-27 2018-07-27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및 이의 용도
EP18837846.7A EP3659592A4 (en) 2017-07-27 2018-07-27 NEW BENZYLIDENE-ACETONE DERIVATIVE AND ITS USE
CN201880038464.8A CN110996930B (zh) 2017-07-27 2018-07-27 新型亚苄基丙酮衍生物及其用途
CN202311685690.4A CN117653618A (zh) 2017-07-27 2018-07-27 新型亚苄基丙酮衍生物及其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99A KR102114197B1 (ko) 2017-07-27 2017-07-27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556A true KR20190012556A (ko) 2019-02-11
KR102114197B1 KR102114197B1 (ko) 2020-05-22

Family

ID=6537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699A KR102114197B1 (ko) 2017-07-27 2017-07-27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8247A (zh) * 2019-12-05 2020-06-05 青海大学 一种用于治疗包虫病的含苯亚甲基丙酮药物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Anderson DM, Maraskovsky E, Billingsley WL, Dougall WC, Tometsko ME, Roux ER, et al. A homologue of the TNF receptor and its ligand enhance T-cell growth and dendritic-cell function. Nature 1997;390:175-9.
[비특허문헌 2] Bonewald, L. F., et al., Leukotriene B4 stimulates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both in vitro and in vivo. J. Bone Miner. Res., 11, 1619-1627, 1996.
[비특허문헌 3] Bonewald, L.F. et al., Effects of synthetic peptido-leukotrienes on bone resorption in vitro. J. Bone Miner. Res., 11, 521-529, 1996.
Arch. Pharm. Res., Vol.28(5), pp.518-528 (2005) *
J. Nat. Prod., Vol.69, pp.1445-1449 (2006) *
RSC Adv., Vol.6, pp.70480-70484 (2016)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8247A (zh) * 2019-12-05 2020-06-05 青海大学 一种用于治疗包虫病的含苯亚甲基丙酮药物及其制备方法
CN111228247B (zh) * 2019-12-05 2023-01-31 青海大学 一种用于治疗包虫病的含苯亚甲基丙酮药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197B1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572B1 (ko) 벤질 페닐 에테르 유도체, 그 제조 방법 및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용도
MXPA06003249A (es) Acidos de heteroarilo benzofurano substituidos.
JP2021193149A (ja) 末梢セロトニンと関連する疾患または障害を処置するためのトリプトファンヒドロキシラーゼ1(tph1)の結晶性スピロ環式化合物インヒビター
UA125890C2 (uk) Селективні супресори рецепторів естрогенів
US9724331B2 (en) Use of maleimide derivative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eukemia
TW202200581A (zh) Sik—3抑制劑及其用途
CN114181144B (zh) 一种氟代联苯甲基间苯二酚醚类衍生物、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501279B (zh) 呋喃并喹啉二酮类化合物及其医药用途
CN112513000B (zh) 新型联苯衍生物化合物及其用途
KR102114197B1 (ko) 신규한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 및 이의 용도
JPH11510822A (ja) チロシンキナーゼ抑制剤としての置換テトラリルメチレン−オキシインドール同族体
US11629121B2 (en) Benzylideneaceto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KR101191733B1 (ko)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갖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N107383015B (zh) 烷硫端基寡PEG修饰的氨基吡唑并[3,4-d]嘧啶衍生物及抗非小细胞肺癌的应用
KR102142112B1 (ko)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N108752412A (zh) 乳香酸衍生物及其应用
US20160102066A1 (en) Benzothiazole derivative and anti-tumor use thereof
KR100759467B1 (ko) 차가버섯 또는 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통풍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0802A (ko) 보르트만닌 유사체의 결정질 형태의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296640B1 (ko) Plk1의 활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62895A1 (ko) 오스문드아세톤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0729B1 (ko)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626515B2 (ja) 新規ビフェニル化合物
KR20180036484A (ko) Osmundacet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320557A (zh) 缩氨基脲类化合物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