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865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865A
KR20190011865A KR1020170094318A KR20170094318A KR20190011865A KR 20190011865 A KR20190011865 A KR 20190011865A KR 1020170094318 A KR1020170094318 A KR 1020170094318A KR 20170094318 A KR20170094318 A KR 20170094318A KR 20190011865 A KR20190011865 A KR 20190011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ver layer
cushion
organic material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411B1 (ko
Inventor
한지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411B1/ko
Priority to US15/870,055 priority patent/US10535835B2/en
Publication of KR2019001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01L51/52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32B5/2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foamed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01L51/5253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4Organic non-macromolecula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42Acryl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강건하며 표면 반사 특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위하여,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반대되는 측에 제2 면을 갖는 보호필름; 상기 보호필름의 제1 면에 배치되며,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보호필름의 제2 면에 배치되며, 일면과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측에 타면에 복수개의 크레이터들을 갖는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커버층 및 상기 쿠션층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커버층을 포함하는, 쿠션부; 및 상기 제1 커버층과 상기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에 강건하며 표면 반사 특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컨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에 박막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들을 형성하고, 유기발광소자들이 스스로 빛을 발광하여 작동한다. 이러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제품의 디스플레이부로 사용되기도 하고, 텔레비전 등과 같은 대형 제품의 디스플레이부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 하부에 쿠션층을 배치시키는 경우, 발포 형식으로 형성되는 쿠션층의 표면에 크레이터와 같은 기포들이 형성되어 표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에 강건하며 표면 반사 특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반대되는 측에 제2 면을 갖는 보호필름; 상기 보호필름의 제1 면에 배치되며,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보호필름의 제2 면에 배치되며, 일면과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측에 타면에 복수개의 크레이터들을 갖는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커버층 및 상기 쿠션층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커버층을 포함하는, 쿠션부; 및 상기 제1 커버층과 상기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크레이터들과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 사이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층은 제1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은 상기 제1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은 상기 제1 유기물과는 상이한 제2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유기물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폴리우레탄계열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층은 100㎛ 내지 3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은 10㎛ 내지 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기공들 또는 상기 복수개의 크레이터들은 50㎛ 내지 150㎛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층과 상기 제1 커버층 또는 상기 제2 커버층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커버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층의 일면과 직접 접촉하는 제1 커버층의 면은 평평(flat)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층의 타면과 직접 접촉하는 제2 커버층의 면은 평평(flat)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보호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보호필름의 하부에 제1 커버층, 제2 커버층 및 상기 제1 커버층과 상기 제2 커버층 사이에 개재된 표면에 복수개의 크레이터들을 갖는 쿠션층을 포함하는, 쿠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커버층과 상기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캐리어 필름 상에 제1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캐리어 필름 상에 제2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커버층 상에 제1 유기물을 포함하는 발포된 유기물층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층 상에 제2 커버층을 위치시켜, 상기 유기물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캐리어 필름과 상기 제2 캐리어 필름을 합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기물층을 건조시켜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쿠션층은 표면에 복수개의 크레이터들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크레이터들과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 사이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은 상기 제1 유기물과는 상이한 제2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유기물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폴리우레탄계열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쿠션층은 100㎛ 내지 3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은 10㎛ 내지 3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충격에 강건하며 표면 반사 특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쿠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를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영역(DA)과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DA)은 실질적으로 발광하여 이미지를 외부에 표시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은 디스플레이 영역(DA)을 외부로부터 밀봉하고 디스플레이 영역(DA)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 및 회로들이 배치되는 영역을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중앙부에 디스플레이 영역(DA)이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영역(DA)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이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은 디스플레이 영역(DA)의 일부만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예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디스플레이 패널(100) 하부에 위치한 보호필름(200), 보호필름(200) 하부에 위치한 쿠션부(300) 및 쿠션부(300) 하부에 위치한 하부 플레이트(40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보호필름(200) 사이에는 제3 접착층(530)이 개재될 수 있고, 보호필름(200)과 쿠션부(300) 사이에는 제1 접착층(510)이 개재될 수 있으며, 쿠션부(300)와 하부 플레이트(400) 사이에는 제2 접착층(520)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착층(510), 제2 접착층(520) 및 제3 접착층(530)은 예컨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기판(110, 도 6 참조)과, 기판(110)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소자(160, 도 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 상에는 디스플레이 소자(160)를 구동시키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130, 도 6 참조) 및 디스플레이 소자(160)를 외부로부터 밀봉시키는 봉지층(170, 도 6 참조)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보호필름(200)은 제1 면(200a)과, 제1 면(200a)에 반대되는 측에 제2 면(200b)을 가질 수 있다. 보호필름(200)의 제1 면(200a) 상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보호필름(2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에는 제3 접착층(530)이 개재될 수 있다. 보호필름(200)은 예컨대,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EN(Polyethylen na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등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의 플라스틱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기판(110) 하부를 보호함으로써 기판(110)의 하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필름(200)의 제2 면(200b) 상에는 쿠션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쿠션부(300)는 하부 플레이트(4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 충격이 하부 플레이트(400)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쿠션부(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300)는 일면(300a)과 일면(300a)에 반대되는 측에 타면(300b)에 복수개의 크레이터(crater)(C)들을 갖는 쿠션층(310), 쿠션층(310)의 일면(300a)에 배치되는 제1 커버층(320) 및 쿠션층(310)의 타면(300b)에 배치되는 제2 커버층(330)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310)은 충격 흡수에 적합하도록 유연한 질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층(310)은 제1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폴리우레탄계 유기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쿠션층(310)은 약 100㎛ 내지 30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층(310)은 일면(300a)과, 일면(300a)에 반대되는 측에 타면(300b)을 가질 수 있다. 쿠션층(310)은 충격 흡수에 적합하도록 발포 형태로 형성되어, 일면(300a) 및 타면(300b)에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은 복수개의 기공들이 쿠션층(310)의 표면에 형성되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쿠션층(310)의 내부에는 표면으로 드러나지 않은 기공들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은 쿠션층(310)의 표면의 일부가 파여 오목부 형태로 형성된 부분 및 쿠션층(310)의 내부에 원형의 기공 형태로 형성된 부분을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의 지름은 약 50㎛ 내지 15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의 지름은 상술한 것과 같이 쿠션층(310)의 두께를 약 100㎛ 내지 300㎛라고 하였을 때, 쿠션층(310) 두께의 약 절반 정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쿠션층(310)의 두께 대비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의 크기가 크므로, 쿠션층(310)의 일면(300a) 및 타면(300b)은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쿠션층(310)과 하부필름 또는 쿠션층(310)과 하부 플레이트(400)를 접합하기 위하여 접착층들이 사이에 개재되는데, 쿠션층(310)과 맞닿은 접착층들은 유동성이 있어 접착층의 일부가 쿠션층(310) 표면의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에 매립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접착층의 일부가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에 매립됨에 따라,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이 형성된 부분에서 쿠션층(310) 상에 배치되는 접착층의 표면이 쿠션층(310) 표면의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의 굴곡을 따라서 형성되고, 이러한 굴곡은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보호필름(20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경우 최상부에 박막의 글래스가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박막의 글래스는 하부 부재의 요철, 특히 쿠션부(300)의 요철을 그대로 반영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면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는 쿠션층(310)의 일면(300a) 및 타면(300b)에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을 구비한다. 제1 커버층(320)은 쿠션층(310)의 일면(300a) 상에 배치되고, 제2 커버층(330)은 쿠션층(310)의 타면(300b) 상에 배치되어, 쿠션부(300) 표면을 평평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버층(320)과 쿠션층(310)의 일면(300a)에 위치한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 사이에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커버층(330)과 쿠션층(310)의 타면(300b)에 위치한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 사이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과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 사이에 공간을 갖는다고 함은,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 또는 이를 형성하는 물질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 내부에 매립되지 않고,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의 상면을 평평하게 유지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은 쿠션층(31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것과 같이 쿠션층(310)은 제1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은 마찬가지로 제1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기물은 예컨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폴리우레탄계 유기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는 쿠션층(310)의 일면(300a) 및 타면(300b)에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을 배치하여 쿠션부(300) 표면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건한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현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면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쿠션부(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쿠션부(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쿠션부(300’)는 일면(300a)과 일면(300a)에 반대되는 측에 타면(300b)에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을 갖는 쿠션층(310), 쿠션층(310)의 일면(300a)에 배치되는 제1 커버층(320') 및 쿠션층(310)의 타면(300b)에 배치되는 제2 커버층(330')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310)은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한바, 중복 설명하지 않고 도 3의 실시예를 원용한다.
쿠션층(310)의 일면(300a) 및 타면(300b)에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이 배치된다. 제1 커버층(320')은 쿠션층(310)의 일면(300a) 상에 배치되고, 제2 커버층(330')은 쿠션층(310)의 타면(300b) 상에 배치되어, 쿠션부(300’) 표면을 평평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은 쿠션층(310)과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쿠션층(310)은 제1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은 제1 유기물과는 상이한 제2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기물이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폴리우레탄계 유기물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폴리우레탄계 유기물이 아닌 다른 계열의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션층(310)과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의 재질을 다른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쿠션층(310)과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의 재질을 동일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쿠션층(310)과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 사이에 접착력의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쿠션층(310)과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을 동일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대비 다른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 쿠션층(310)과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 사이의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쿠션층(310)과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 사이에 표면 처리 공정을 통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표면 처리 공정은 예컨대 플라즈마 트리트먼트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쿠션층(310)과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 사이에 접착제(340, 350)를 개재하여 접착력 이슈를 해결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즉, 도 6에서는 디스플레이 소자(160)를 포함하는 화소(또는 부화소)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기판(110), 기판(110) 상에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소자(160) 및 이러한 디스플레이 소자(160)를 밀봉하는 봉지층(17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10)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130)가 위치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130)는 비정질실리콘, 다결정실리콘 또는 유기반도체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31), 게이트 전극(133),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31)과 게이트 전극(133)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게이트절연막(124)이 반도체층(131)과 게이트 전극(13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아울러 게이트 전극(133)의 상부에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126)이 배치될 수 있으며,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은 그러한 층간절연막(12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기물을 포함하는 절연막은 CVD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130)와 기판(110) 사이에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버퍼층(122)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버퍼층(122)은 기판(110)의 상면을 평탄화 하거나 기판(110) 등으로부터의 불순물이 박막트랜지스터(130)의 반도체층(131)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130) 상에는 평탄화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트랜지스터(130) 상부에 디스플레이 소자(160)가 배치될 경우, 평탄화층(140)은 박막트랜지스터(130)를 덮는 보호막 상부를 대체로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평탄화층(140)은 예컨대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평탄화층(140)은 단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층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평탄화층(140) 상에는, 화소 전극(162), 대향 전극(166) 및 그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164)을 갖는 디스플레이 소자(160)가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전극(162)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탄화층(140) 등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박막트랜지스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평탄화층(140) 상부에는 화소정의막(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화소정의막(150)은 각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개구, 즉 적어도 화소 전극(162)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화소정의막(150)은 화소 전극(162)의 가장자리와 화소 전극(162) 상부의 대향 전극(166)과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소 전극(162)의 가장자리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화소정의막(150)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160)의 중간층(164)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저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층들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164)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홀 수송층은 PEDOT을 포함하고, 발광층은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164)은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중간층(164)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중간층(164)은 복수개의 화소 전극(162)들에 걸쳐서 일체인 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개의 화소 전극(162)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간층(164) 상에는 대향 전극(166)이 배치될 수 있다. 대향 전극(166)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소자(160)들에 있어서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화소 전극(162)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소자(160)는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기에, 봉지층(170)이 이러한 디스플레이 소자(160)를 덮어 이들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봉지층(170)은 기판(110)의 전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기판(11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층(17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무기봉지막(172), 유기봉지막(174) 및 제2 무기봉지막(17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봉지막(172)은 대향 전극(166)을 덮으며,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 무기봉지막(172)과 대향 전극(166) 사이에 캐핑층 등의 다른 층들이 개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무기봉지막(172)은 그 하부의 구조물을 따라 형성되기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상면이 평탄하지 않게 된다. 유기봉지막(174)은 이러한 제1 무기봉지막(172)을 덮는데, 제1 무기봉지막(172)과 달리 그 상면이 대략 평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봉지막(174)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기봉지막(176)은 유기봉지막(174)을 덮으며,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무기봉지막(176)은 기판(110)의 가장자리에서 제1 무기봉지막(172)과 컨택함으로써, 유기봉지막(17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지층(170)은 제1 무기봉지막(172), 유기봉지막(174) 및 제2 무기봉지막(176)을 포함하는바, 이와 같은 다층 구조를 통해 봉지층(170) 내에 크랙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제1 무기봉지막(172)과 유기봉지막(174) 사이에서 또는 유기봉지막(174)과 제2 무기봉지막(176) 사이에서 그러한 크랙이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이 디스플레이부로 침투하게 되는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부에는 터치센서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터치센서층 사이에는 캡핑층이나, 접착층 등의 기능층들이 더 개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센서층은 별도의 패널 형태로 투명 기판 상에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라미네이션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직접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는, 외부로부터 하부 플레이트(400)에 가해진 충격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하부 플레이트(4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에 쿠션부(300)를 구비한다.
쿠션부(300)에서 충격 흡수 역할을 하는 쿠션층(310)는 발포 형태로 형성되어 플렉서블하며 쿠션감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따라서 쿠션층(310)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쿠션층(310)과 하부필름 또는 쿠션층(310)과 하부 플레이터를 접합하기 위하여 접착층들이 사이에 개재되는데, 쿠션층(310)과 맞닿은 접착층들은 유동성이 있어 접착층의 일부가 쿠션층(310) 표면의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에 매립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접착층의 일부가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에 매립됨에 따라,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이 형성된 부분에서 쿠션층(310) 상에 배치되는 접착층의 표면이 쿠션층(310) 표면의 복수개의 크레이터(C)들의 굴곡을 따라서 형성되고, 이러한 굴곡은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보호필름(20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경우 최상부에 박막의 글래스가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박막의 글래스는 하부 부재의 요철, 특히 쿠션부(300)의 요철을 그대로 반영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면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는 쿠션층(310)의 일면(300a) 및 타면(300b)에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을 배치하여 쿠션부(300) 표면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건한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현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면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쿠션부(300)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쿠션부(300)를 형성하는 단계는 먼저, 제1 캐리어 필름(322) 상에 제1 커버층(320)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캐리어 필름(332) 상에 제2 커버층(3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리어 필름(322) 및 제2 캐리어 필름(332)은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 기판(110)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컨대,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EN(Polyethylen na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등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의 플라스틱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캐리어 필름(322) 및 제2 캐리어 필름(332)은 플렉서블 하지만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을 형성하여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두께는 예컨대 약 100㎛ 이상일 수 있다.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은 제1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유기물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폴리우레탄계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은 약 10㎛ 내지 3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제1 캐리어 필름(322) 상에 형성된 제1 커버층(320) 상에 발포된 유기물층(310')을 도포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발포된 유기물층(310')이란 제1 유기물에 기포를 주입시켜 유기물층(310')을 형성하는 것으로, 유기물층(310')에 기포를 주입하여 쿠션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유기물층(310')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폴리우레탄계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층(320) 상에 유기물층(310')을 도포한 후에, 유기물층(310') 상부에 제2 커버층(330)이 형성된 제2 캐리어 필름(332)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층(330)이 유기물층(310')을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커버층(320) 상에 형성된 유기물층(310') 상에 제2 커버층(330)을 접합시킬 수 있다. 즉, 제1 캐리어 필름(322)에 형성된 제1 커버층(320)과 제2 캐리어 필름(332)에 형성된 제2 커버층(330)을 서로 마주보도록 합지시킬 수 있으며, 제1 커버층(320)과 제2 커버층(330) 사이에는 유기물층(310')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건조 공정을 통해 유기물층(310')을 쿠션층(310)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술한 유기물층(310')은 제1 유기물에 기포를 주입하여 발포된 형태이므로 유동성이 있는 재질일 수 있으며, 이러한 유기물층(310')을 건조하여 쿠션층(310)을 제작할 수 있다.
그 후, 도 9를 참조하면, 제1 캐리어 필름(322) 및 제2 캐리어 필름(332)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제1 캐리어 필름(322) 및 제2 캐리어 필름(332)은 물리적인 필-오프(peel-off)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1 캐리어 필름(322) 및 제2 캐리어 필름(332)을 필-오프 방식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제1 캐리어 필름(322) 및 제2 캐리어 필름(332)과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 사이에 접착력의 정도가 중요하다. 즉, 제1 캐리어 필름(322)과 제1 커버층(320)을 예를 들면, 제1 캐리어 필름(322)과 제1 커버층(320) 사이의 접착력이 너무 약하면 제1 캐리어 필름(322) 상에 제1 커버층(320)이 안정적으로 형성되기 어렵고, 반대로 제1 캐리어 필름(322)과 제1 커버층(320) 사이의 접착력이 너무 강하면 제2 캐리어 필름(332)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필-오프 방식을 사용하기에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캐리어 필름(322) 및 제2 캐리어 필름(332)과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 사이의 접착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1 캐리어 필름(322) 및 제2 캐리어 필름(332) 상에 표면 처리를 통해 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을 형성하기 이전에, 제1 캐리어 필름(322) 및 제2 캐리어 필름(332) 상에 표면 처리를 함으로써, 제1 캐리어 필름(322) 및 제2 캐리어 필름(332)과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 사이의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은 예컨대, 플라즈마 트리트먼트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방법외에 표면 처리 공정에 대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후, 도 10을 참조하면, 쿠션부(300)를 형성한 후, 보호필름(200)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 하부에 쿠션부(3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보호필름(200)에 대하여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형성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면(300a)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기판(110)이 위치한 면에 보호필름(200)을 부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보호필름(200) 사이에는 제3 접착층(530)이 개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보호필름(200)을 부착시킬 수 있다.
보호필름(200)의 하부에 쿠션부(300)를 부착할 수 있다. 보호필름(200)과 쿠션부(300) 사이에는 제1 접착층(510)이 개재되어, 보호필름(200)과 쿠션부(3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쿠션부(300)를 기준으로 쿠션부(300)의 일면(300a)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보호필름(200)이 위치할 수 있고, 쿠션부(300)의 타면(300b)에는 하부 플레이트(4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쿠션부(300)와 하부 플레이트(400) 사이에는 쿠션부(300)와 하부 플레이트(400)를 접합시키는 제2 접착층(520)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층(530), 제1 접착층(510) 및 제2 접착층(520)은 예컨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는 쿠션층(310)의 일면(300a) 및 타면(300b)에 제1 커버층(320) 및 제2 커버층(330)을 배치하여 쿠션부(300) 표면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건한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현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면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보호필름
300: 쿠션부
310': 유기물층
310: 쿠션층
320: 제1 커버층
322: 제1 캐리어 필름
330: 제2 커버층
332: 제2 캐리어 필름
400: 하부 플레이트
510: 제1 접착층
520: 제2 접착층
530: 제3 접착층

Claims (20)

  1.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반대되는 측에 제2 면을 갖는 보호필름;
    상기 보호필름의 제1 면에 배치되며,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보호필름의 제2 면에 배치되며, 일면과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측에 타면에 복수개의 크레이터(crater)들을 갖는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커버층 및 상기 쿠션층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커버층을 포함하는, 쿠션부; 및
    상기 제1 커버층과 상기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층;
    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크레이터들과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 사이에 공간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은 제1 유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은 상기 제1 유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은 상기 제1 유기물과는 상이한 제2 유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물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폴리우레탄계열 유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은 100㎛ 내지 300㎛의 두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은 10㎛ 내지 30㎛의 두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공들 또는 상기 복수개의 크레이터들은 50㎛ 내지 150㎛의 지름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과 상기 제1 커버층 또는 상기 제2 커버층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커버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층;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의 일면과 직접 접촉하는 제1 커버층의 면은 평평(flat)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의 타면과 직접 접촉하는 제2 커버층의 면은 평평(flat)한, 디스플레이 장치.
  14.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보호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보호필름의 하부에 제1 커버층, 제2 커버층 및 상기 제1 커버층과 상기 제2 커버층 사이에 개재된 표면에 복수개의 크레이터들을 갖는 쿠션층을 포함하는, 쿠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커버층과 상기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캐리어 필름 상에 제1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캐리어 필름 상에 제2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커버층 상에 제1 유기물을 포함하는 발포된 유기물층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층 상에 제2 커버층을 위치시켜, 상기 유기물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캐리어 필름과 상기 제2 캐리어 필름을 합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기물층을 건조시켜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쿠션층은 표면에 복수개의 크레이터들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크레이터들과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 사이에 공간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은 상기 제1 유기물과는 상이한 제2 유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물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폴리우레탄계열 유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쿠션층은 100㎛ 내지 300㎛의 두께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2 커버층은 10㎛ 내지 30㎛의 두께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70094318A 2017-07-25 2017-07-2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34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318A KR102334411B1 (ko) 2017-07-25 2017-07-2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5/870,055 US10535835B2 (en) 2017-07-25 2018-01-12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cushion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318A KR102334411B1 (ko) 2017-07-25 2017-07-2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65A true KR20190011865A (ko) 2019-02-08
KR102334411B1 KR102334411B1 (ko) 2021-12-03

Family

ID=6503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318A KR102334411B1 (ko) 2017-07-25 2017-07-2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35835B2 (ko)
KR (1) KR102334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0182B2 (en) 2020-12-24 2023-06-27 L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11805609B2 (en) 2020-12-24 2023-10-31 L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411B1 (ko) * 2017-07-25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656A (ja) * 1991-07-30 1993-08-13 Hitachi Ltd シャドウマスク形カラーブラウン管
KR20090098785A (ko) * 2006-10-16 2009-09-17 이노악 코포레이션 시트 모양 탄성체
KR20140037601A (ko) * 2012-09-19 2014-03-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31642A (ko) * 2013-09-16 2015-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9609B1 (ko) * 2015-03-24 2016-04-06 신원화성 주식회사 진동 흡수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35812B1 (ko) * 2014-05-13 2016-07-20 가드넥(주) 완충, 방열, 및 emi 차단 성능을 가지는 전자 테잎, 및 완충 및 emi 차단 성능을 가지는 전자 테잎
KR20170011569A (ko) * 2015-07-23 2017-02-02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충격 흡수용 금속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0019A (en) * 1995-11-08 1997-06-1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of determining the quality of an aluminized, luminescent screen for a CRT
KR100647598B1 (ko) * 2004-04-06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3674B1 (ko) * 2004-06-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10012B1 (ko) * 2006-11-01 2012-02-09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환상 실록산 화합물,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용도
KR101900501B1 (ko) * 2012-03-05 2018-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6186783B2 (ja) * 2013-03-19 2017-08-30 ソニー株式会社 セパレータ、電池、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動車両、蓄電装置および電力システム
JP6071703B2 (ja) 2013-03-29 2017-02-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内燃機関のガス漏チェック装置とその方法
KR101659121B1 (ko) 2013-06-28 2016-09-22 제일모직주식회사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KR102184673B1 (ko) * 2013-08-14 2020-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54606B1 (ko) 2013-11-07 2020-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제조방법
KR101724621B1 (ko) * 2014-06-26 2017-04-1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 점착제, 이를 이용한 방열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160025152A (ko) 2014-08-26 2016-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구조물 및 보호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11942B2 (en) * 2016-05-04 2018-03-06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odule provided therein
KR102334411B1 (ko) * 2017-07-25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656A (ja) * 1991-07-30 1993-08-13 Hitachi Ltd シャドウマスク形カラーブラウン管
KR20090098785A (ko) * 2006-10-16 2009-09-17 이노악 코포레이션 시트 모양 탄성체
KR20140037601A (ko) * 2012-09-19 2014-03-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31642A (ko) * 2013-09-16 2015-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35812B1 (ko) * 2014-05-13 2016-07-20 가드넥(주) 완충, 방열, 및 emi 차단 성능을 가지는 전자 테잎, 및 완충 및 emi 차단 성능을 가지는 전자 테잎
KR101609609B1 (ko) * 2015-03-24 2016-04-06 신원화성 주식회사 진동 흡수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1569A (ko) * 2015-07-23 2017-02-02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충격 흡수용 금속 테이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0182B2 (en) 2020-12-24 2023-06-27 L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11805609B2 (en) 2020-12-24 2023-10-31 L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411B1 (ko) 2021-12-03
US10535835B2 (en) 2020-01-14
US20190036066A1 (en)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267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82600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366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64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727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66408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229632B2 (en) Display apparatus
KR201800663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984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13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203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5463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63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0972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0845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53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016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108024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rbitrary shape
KR201900274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44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621313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multiportion spacer
KR20180049469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332587B2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US20240009938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2024011132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