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547A - 패널 연결체, 발전 모듈 연결체,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및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연결체, 발전 모듈 연결체,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및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547A
KR20190010547A KR1020187032256A KR20187032256A KR20190010547A KR 20190010547 A KR20190010547 A KR 20190010547A KR 1020187032256 A KR1020187032256 A KR 1020187032256A KR 20187032256 A KR20187032256 A KR 20187032256A KR 20190010547 A KR20190010547 A KR 20190010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row
column
pow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하야시
키요시게 코지마
마사요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01L31/0508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the interconnection mea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연결체는, m행 n열의 행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박형 패널과, 박형 패널을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이웃하는 박형 패널 사이에서 접기 가능하다. 연결부는, y열째에서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박형 패널 P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의 길이를 Dy라고 하고, 박형 패널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L이라고 할 때, D1 ≥ 2L 또한 Dy ≥ Dy-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1 행과, Dn ≥ 2L 또한 Dy ≥ Dy+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2 행을 열 방향으로 번갈아 포함한다.

Description

패널 연결체, 발전 모듈 연결체,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및 발전 장치
본 발명은, 패널 연결체, 발전 모듈 연결체,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및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상용 전원이 얻어지지 않는 외출한 곳 등에서도, 이용자가 스마트폰, 노트북(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등의 휴대 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휴대 가능한 발전 장치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태양 전지 셀(광전 변환 모듈)과, 각 태양 전지 셀의 전극을 접속하는 플렉서블 도전 부재(연결부)를,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갖는 시트상의 투명 필름 부재로 위아래에서 사이에 끼워 형성한 시트상 태양 전지(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에 의하면, 사용시에는,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를 펼쳐, 광전 변환 모듈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취출하여 외부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사용시에는, 시트상 태양 전지를 접어 용이하게 수납, 운반할 수 있다.
또한,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이외의 접기 가능한 패널 연결체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횡방향으로 뻗는 접힘선에 대응하는 거싯의 폭을 순차 증대 또는 감소하도록 구성한 접기 가능한 보드(패널 연결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 연결체에 의하면, 약간의 두께가 있어도 접힌 상태에서 안성맞춤으로 보관하거나 수송하거나 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5111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2171호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는, 비사용시에 있어서,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데, 일방향(열 방향)으로 접는 것밖에 상정되어 있지 않아, 수납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패널 연결체는, 보드의 두께를 고려하여 거싯의 폭을 규정하고 있으나, 접힌 상태에서의 수납성에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접힌 상태에서의 수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패널 연결체, 발전 모듈 연결체,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및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패널 연결체는, m행 n열(m ≥ 2 또한 n ≥ 2)의 행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박형 패널과, 상기 박형 패널을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연결체는, 이웃하는 상기 박형 패널 사이에서 접기 가능한 패널 연결체이다. 상기 연결부는, y열째에서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박형 패널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Dy라고 하고, 상기 박형 패널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L이라고 할 때, D1 ≥ 2L 또한 Dy ≥ Dy-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1 행과, Dn ≥ 2L 또한 Dy ≥ Dy+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2 행을 열 방향으로 번갈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접힐 때에 내측에 배치되는 연결부의 부분에 방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접힌 상태에서의 수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패널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이웃하는 상기 박형 패널을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접힘선의 교점이 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영역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납 상태로 할 때에 연결부가 방해되기 어려우므로, 보다 원활하게 접을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의 수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널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x행째에서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박형 패널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Cx라고 할 때, C1 ≥ 2L 또한 Cx ≥ Cx-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1 열과 Cm ≥ 2L 또한 Cx ≥ Cx+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2 열을 행 방향으로 번갈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의 어느 쪽으로부터 접어도 수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널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1행째가 상기 제1 행이고, 또한, 1열째가 상기 제2 열인, 또는, 1행째가 상기 제2 행이고, 또한, 1열째가 상기 제1 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박형 패널이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박형 패널 및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박형 패널의 어느 것으로부터도 멀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박형 패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발전 모듈 연결체는, 상기 패널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박형 패널은 발전 모듈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발전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발전 모듈 연결체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전 모듈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단을 따라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도체층과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도체층보다 하단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웃하는 발전 모듈 사이에서 접힐 때에, 도체층의 내측에 보호층 또는 발전 모듈이 배치되므로, 도체층에 과도한 절곡력이 걸리는 것을 피할 수 있어, 도체가 단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는, 상기 발전 모듈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발전 모듈은 광전 변환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발전 장치는, 상기 발전 모듈 연결체와, 상기 발전 모듈 연결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발전 장치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힌 상태에서의 수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패널 연결체, 발전 모듈 연결체,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및 발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모듈 연결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모듈 연결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a) 상면도, 및 (b)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모듈 연결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모듈 연결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모듈 연결체의 행 방향 접힘 상태에 있어서의 (a) 상면도, 및 (b)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모듈 연결체의 행 방향 접힘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모듈 연결체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a) 상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모듈 연결체의 변형예 1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모듈 연결체의 (a) 변형예 2 및 (b) 변형예 3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모듈 연결체의 변형예 4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모듈 연결체의 변형예 5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이란, 도 3(a) 등의 발전 모듈 연결체의 상면도의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고, 상방은, 동 도면에 있어서의 지면 앞 방향, 하방은 그 반대 방향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표면측이란, 발전 모듈 연결체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방에 면하는 측, 이면측이란, 그 반대측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행 방향이란, 도 3(a) 등의 발전 모듈 연결체의 상면도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 열 방향이란, 동 상면도에 있어서의 하방향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장치(1)에 대하여 상세하게 예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장치(1)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와, 본체(20)를 구비한다. 한편, 발전 장치(1)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AC 어댑터(30)를 통하여 전력 공급을 받을 수 있다. AC 어댑터(30)는, 콘센트(31)와 AC/DC 변환기(32)를 구비한다. 교류 전압이 상용 전원으로부터 콘센트(31)를 통하여 AC/DC 변환기(32)에 입력되고, AC/DC 변환기(32)는, 입력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본체(20)에 공급한다.
발전 모듈 연결체(10)는, 복수의 발전 모듈(P)과, 연결부(11)를 구비한다. 연결부(11)는, 각 발전 모듈(P)을, 서로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발전 모듈(P)은, 발전 패널(12)을 구비한다. 발전 패널(12)은, 패널상의 부재이다. 발전 패널(12)은, 예를 들어, 태양광, 실내광 등의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전력을 출력하는 태양 전지로 구성된 태양 전지 패널이다. 한편, 발전 패널(12)은, 태양 전지 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입사광 이외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패널이어도 된다. 또한, 발전 모듈(P)은, 발전 패널(12) 외에, 발전 패널(12)을 지지하는 기재(도시 생략)나, 발전 패널(12)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취출하는 취출 배선(도시 생략) 등을 구비한다.
발전 패널(12)로서 사용되는 태양 전지 패널을 구성하는 태양 전지의 종류로는, 대별하여, 무기계 재료를 사용한 무기계 태양 전지와, 유기계 재료를 사용한 유기계 태양 전지를 들 수 있다. 무기계 태양 전지로는, 실리콘(Si)을 사용한 Si계, 화합물을 사용한 화합물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계 태양 전지로는, 유기 안료를 사용한 저분자 증착계, 도전성 고분자를 사용한 고분자 도포계, 변환형 반도체를 사용한 도포 변환계 등의 박막계, 티타니아, 유기 색소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색소 증감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패널을 구성하는 태양 전지에는,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태양 전지, 페로브스카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한 태양 전지도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박형 패널상의 태양 전지 패널이 사용되며, 플라스틱 필름 등에 제작된 색소 증감 태양 전지가 호적하다. 한편, 박형 패널상의 태양 전지 패널은, 상기 플라스틱 필름 등에 제작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한 박형이면 방식을 불문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체(20)는, 인터페이스(21)와, 승압 회로부(22)와, 발전 모듈 전압 검출부(23)와, AC 어댑터 전압 검출부(24)와, 충전지(25)와, 외부 인터페이스(IF)(26)와, 충방전 제어 회로(27)와, 컨트롤러(28)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21)는, 발전 모듈(P)을 본체(20)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인터페이스(21)는, 발전 모듈(P)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해도 된다. 인터페이스(21)는, 접속된 발전 모듈(P)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승압 회로부(22)에 출력한다.
승압 회로부(22)는, 발전 모듈(P)로부터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공급된 전력의 전압을, 충전지(25)의 충전에 필요한 소정 전압까지 승압하여, 충방전 제어 회로(27)에 출력한다.
발전 모듈 전압 검출부(23)는, 본체(20)의 인터페이스(21)에 접속된 발전 모듈(P)로부터,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승압 회로부(22)에 공급되는 전압(발전 모듈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컨트롤러(28)에 출력한다.
AC 어댑터 전압 검출부(24)는, AC 어댑터(30)로부터 충방전 제어 회로(27)에 공급되는 전압(AC 어댑터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컨트롤러(28)에 출력한다.
충전지(25)는, 납 축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외부 인터페이스(IF)(26)는, 외부 기기를 접속하여, 접속된 외부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IF(26)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커넥터(USB 커넥터)나, 선단에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 등이며, 외부 기기와 접속하여, 예를 들어 외부 기기로부터의 충전 요구를 받아 외부 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발전 장치(1)는, 이 외부 IF(26)를 통하여, 여러 피충전 디바이스, 예를 들어 휴대전화, 스마트폰, 태블릿형 디바이스,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디바이스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탈착할 수 있다.
충방전 제어 회로(27)는, 승압 회로부(22)와, AC 어댑터(30)와, 충전지(25)와, 외부 IF(26)를 통하여 접속된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충방전 제어를 행한다.
컨트롤러(28)는, 본체(2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8)는, 발전 모듈 전압 검출부(23)의 검출 결과나, AC 어댑터 전압 검출부(24)의 검출 결과나, 충전지(25)의 충전량 등에 기초하여, 충방전 제어 회로(27)를 통해 충방전을 위한 패스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발전 장치(1)가 구비하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모듈 연결체(1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도면으로, 도 2는 사시도, 도 3(a)는 상면도, 도 3(b)는 정면도, 도 4는 행 방향을 따른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저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전개 상태란, 발전 장치(1)를 사용하여 발전하기 위하여, 각 발전 모듈(P)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펼쳐져, 발전 모듈 연결체(10) 전체가 평면상을 이룬 상태를 말한다. 한편, 이 전개 상태와는 대칭적으로,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전 장치(1)를 수납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각 발전 모듈(P)이 접혀, 모든 발전 모듈(P)이 상하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를 수납 상태라고 한다. 또한, 전개 상태 및 수납 상태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정의한 것으로, 발전 모듈 연결체(10)는, 각 발전 모듈(P) 중의 일부가 접힌 상태로 발전에 사용되어도 되고, 각 발전 모듈(P) 중의 일부가 접혀 있지 않은 상태로 수납되어도 된다.
도 2 및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모듈 연결체(10)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는, 각 발전 모듈(P)이 5행 5열의 행렬상으로 배치된다. 각 발전 모듈(P)은, 연결부(11)에 의해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전 모듈(P)은 박형 패널상이며, 또한, 본 예에서는 상면도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이다. 발전 모듈(P)은, 내환경성을 부여하기 위한 외장재로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발전 모듈(P)은,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발전 모듈(P)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보다 강성이 높고, 접는 것이 곤란한 정도의 강성을 갖는다. 발전 모듈(P)은, 외주를 강성 부재인 프레임으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전 모듈(P)을 이러한 프레임으로 덮음으로써, 예를 들어 연결부(11)로부터 발생하는 응력에 의한 발전 모듈(P)의 휨 변형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발전 모듈(P)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의 길이(이하, 임의로 「행 방향 폭」이라고 기재한다.)를 C라고 하고,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발전 모듈(P)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의 길이(이하, 임의로 「열 방향 폭」이라고 기재한다.)를 D라고 한다.
발전 모듈(P)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패널(12)을 상방으로 노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발전 모듈(P)은, 발전 패널(12)에 접속되는 취출 배선을 내부에 구비한다. 발전 모듈(P)은, 발전 패널(12)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취출 배선을 통하여 취출하고, 연결부(11)나 다른 발전 모듈(P)을 거쳐, 예를 들어 본체(20)의 인터페이스(21)에 출력한다. 한편, 발전 모듈(P)이 구비하는 발전 패널(12)은, 상방 이외의 방향, 예를 들어 하방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수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연결부(11)는, 가요성의 막체 부재로, 발전 모듈(P)을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연결부(11)를 통하여 연결된 발전 모듈(P)을 접기 가능하게 구성된다. 연결부(11)는, 접기 용이성의 관점에서, 발전 모듈(P)보다 높은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11)는, 발전 모듈(P)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도체는, 임의의 이웃하는 발전 모듈(P)끼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연결부(1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는, 발전 모듈(P)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이하이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모듈(P)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1)는,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모듈 연결체(10)의 하단을 따라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도체층(112)과 보호층(11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체층(112)은 도체를 포함하는 층이며, 예를 들어 도전 케이블이나 플렉서블 기판 등의 도전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보호층(113)은, 도체층(112)을 보호 및/또는 보강하기 위한 피복 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연결부(11)는, 예를 들어,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보호층(113), 도체층(112)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도체층(112), 보호층(113)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며,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보호층(113), 도체층(112), 보호층(113)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4(a)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층(113)이 도체층(112)보다 하단측에 배치되는 경우, 이웃하는 발전 모듈(P) 사이에서 접힐 때에, 도체층(112)의 내측에 보호층(113) 또는 발전 모듈(P)이 배치되므로, 도체층(112)에 과도한 절곡력이 걸리는 것을 피할 수 있어, 도체가 단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층(113)이 도체층(112)의 상방에 배치되는 경우, 도체층(112)을 보다 더 보호 및/또는 보강할 수 있다.
연결부(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모듈(P)의 상하 방향의 두께를 L이라고 하면, 행 방향 폭 C ≥ 2L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발전 모듈(P)의 상하 방향의 두께(L)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모듈(P)의 상하 방향에 연결부(11)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연결부(11)의 두께도 포함하는 발전 모듈 연결체(10) 전체의 두께인 것으로 한다. 발전 모듈(P)의 상하 방향의 두께(L)는, 예를 들어 제조 기술면에서 3 mm 이하가 호적하다. 또한, 발전 모듈(P)의 두께의 하한으로는 10 μm 정도가 호적하다.
여기서, 행렬상으로 배치된 발전 모듈(P)의 열수를 n이라고 한다. 연결부(11)는, y열째의 열 방향 폭을 Dy라고 하면, 발전 모듈(P)의 상하 방향의 두께(L)를 사용하여, D1 ≥ 2L 또한 Dy ≥ Dy-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1 행(201)과, Dn ≥ 2L 또한 Dy ≥ Dy+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2 행(202)을 열 방향으로 번갈아 포함한다. 바꿔 말하면, 열 방향 폭은, 1열째가 2L 이상이고, 1열째부터 순서대로 2L 이상씩 증가하는 제1 행(201)과, 1열째부터 순서대로 2L 이상씩 감소하여 최종열이 2L 이상인 제2 행(202)을 열 방향으로 번갈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1행째의 발전 모듈(P)(P11, P12, P13, P14, P15)과 2행째의 발전 모듈(P)(P21, P22, P23, P24, P25)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의 길이(D)는, 1열째부터 순서대로, D1 ≥ 2L, D2 ≥ D1 + 2L, D3 ≥ D2 + 2L, D4 ≥ D3 + 2L, D5 ≥ D4 + 2L의 관계를 만족하며, 제1 행(201)을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3행째의 발전 모듈(P)(P31, P32, P33, P34, P35)과 4행째의 발전 모듈(P)(P41, P42, P43, P44, P45)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의 길이(D)는, 1열째부터 순서대로, D1 ≥ 2L, D2 ≥ D1 + 2L, D3 ≥ D2 + 2L, D4 ≥ D3 + 2L, D5 ≥ D4 + 2L의 관계를 만족하며, 제1 행(201)을 구성한다. 한편,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2행째의 발전 모듈(P)(P21, P22, P23, P24, P25)과 3행째의 발전 모듈(P)(P31, P32, P33, P34, P35)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의 길이(D)는, 1열째부터 순서대로, D1 ≥ D2 + 2L, D2 ≥ D3 + 2L, D3 ≥ D4 + 2L, D4 ≥ D5 + 2L, D5 ≥ 2L의 관계를 만족하며, 제2 행(202)을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4행째의 발전 모듈(P)(P41, P42, P43, P44, P45)과 5행째의 발전 모듈(P)(P51, P52, P53, P54, P55)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의 길이(D)는, 1열째부터 순서대로, D1 ≥ D2 + 2L, D2 ≥ D3 + 2L, D3 ≥ D4 + 2L, D4 ≥ D5 + 2L, D5 ≥ 2L의 관계를 만족하며, 제2 행(202)을 구성한다.
연결부(11)는, 도 3(a)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발전 모듈(P)을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접힘선의 교점이 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영역(111)을 갖는다. 여기서, 관통 영역(111)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상으로 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모듈 연결체(10)가, 전개 상태로부터 접혀 수납 상태가 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발전 모듈 연결체(10)가 행 방향으로 접힌 상태(이하, 임의로 「행 방향 접힘 상태」라고 기재한다.)에 있어서의 (a) 상면도, 및 (b) 정면도이다. 발전 모듈 연결체(10)는, 도 3에 나타낸 전개 상태로부터 행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행 방향 접힘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발전 모듈 연결체(10)는,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각 열의 발전 모듈(P) 사이에서, 행 방향으로 엇갈리게 접음으로써, 행 방향 접힘 상태가 된다. 즉, 먼저, 1열째의 발전 모듈(P)(P11, P21, P31, P41, P51)을, 2열째의 발전 모듈(P)(P12, P22, P32, P42, P52)의 이면측에 겹치도록 접는다(바깥쪽 접기). 다음으로, 상하 방향으로 겹친 이들 1, 2열째의 발전 모듈(P)을, 3열째의 발전 모듈(P)(P13, P23, P33, P43, P53)의 표면측에 겹치도록 접는다(안쪽 접기). 다음으로, 상하 방향으로 겹친 이들 1~3열째의 발전 모듈(P)을, 4열째의 발전 모듈(P)(P14, P24, P34, P44, P54)의 이면측에 겹치도록 접는다(바깥쪽 접기).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겹친 이들 1~4열째의 발전 모듈(P)을, 5열째의 발전 모듈(P)(P15, P25, P35, P45, P55)의 표면측에 겹치도록 접는다(안쪽 접기). 이와 같이, 발전 모듈 연결체(10)를, 바깥쪽 접기 및 안쪽 접기가 번갈아 나타나도록, 행 방향으로 엇갈리게 접음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행 방향 접힘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바깥쪽 접기로 하는 개소 및 안쪽 접기로 하는 개소는, 서로 바꿔도 된다.
여기서, 연결부(11)는, 행 방향 폭 C ≥ 2L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쪽 접기가 되는 개소 및 안쪽 접기가 되는 개소 어느 것이라도, 발전 모듈(P) 사이의 연결부(11)의 길이가 충분하기 때문에, 원활하게 접을 수 있다.
도 7은, 발전 모듈 연결체(10)의 행 방향 접힘 상태에 있어서의, 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1행째의 발전 모듈(P)과 2행째의 발전 모듈(P)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의 길이(D)는, 하방일수록 길어지도록 접혀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3행째의 발전 모듈(P)과 4행째의 발전 모듈(P)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의 길이(D)도, 하방일수록 길어지도록 접혀 있다. 한편,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2행째의 발전 모듈(P)과 3행째의 발전 모듈(P) 사이, 및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4행째의 발전 모듈(P)과 5행째의 발전 모듈(P)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의 길이(D)는, 상방일수록 길어지도록 접혀 있다.
도 8은, 발전 모듈 연결체(10)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a) 상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발전 모듈 연결체(10)는, 도 6에 나타낸 행 방향 접힘 상태로부터, 각 행의 발전 모듈(P)을 열 방향으로 엇갈리게 접어, 모든 발전 모듈(P)을 중첩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납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하 방향으로 겹친 1행째의 발전 모듈(P)(P11, P12, P13, P14, P15)을 상하 방향으로 겹친 2행째의 발전 모듈(P)(P21, P22, P23, P24, P25) 전체의 표면측에 겹치도록 접는다(안쪽 접기). 다음으로, 상하 방향으로 겹친 이들 1, 2행째의 발전 모듈(P)을, 상하 방향으로 겹친 3행째의 발전 모듈(P)(P31, P32, P33, P34, P35) 전체의 이면측에 겹치도록 접는다(바깥쪽 접기). 다음으로, 상하 방향으로 겹친 이들 1~3행째의 발전 모듈(P)을, 상하 방향으로 겹친 4행째의 발전 모듈(P)(P41, P42, P43, P44, P45) 전체의 표면측에 겹치도록 접는다(안쪽 접기).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겹친 이들 1~4행째의 발전 모듈(P)을, 상하 방향으로 겹친 5행째의 발전 모듈(P)(P51, P52, P53, P54, P55) 전체의 이면측에 겹치도록 접는다(바깥쪽 접기). 이와 같이 하여, 행 방향 접힘 상태의 발전 모듈 연결체(10)를, 바깥쪽 접기 및 안쪽 접기가 번갈아 나타나도록, 열 방향으로 엇갈리게 접음으로써,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납 상태로 할 수 있다.
발전 모듈 연결체(10)가, 행 방향 접힘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접힐 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발전 모듈(P) 사이의 연결부(11)의 길이(D)가 하방일수록 긴 개소에서는, 이웃하는 발전 모듈(P)끼리의 표면이 겹치도록 하여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음으로써, 접힌 상태에서 상하 방향의 거리가 길어지는 발전 모듈(P) 사이의 열 방향 폭(D)일수록 길어지므로, 원활하게 접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11)의 열 방향 폭(D)은, 접힌 상태에서 하나 내측에 배치되는 연결부(11)의 열 방향 폭(D)보다 2L 이상 길기 때문에, 내측에 배치되는 연결부(11)의 부분에 방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접을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의 수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1)는, 이웃하는 발전 모듈(P)을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접힘선의 교점이 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영역(111)을 갖기 때문에, 수납 상태로 할 때에 연결부(11)가 방해되기 어렵다. 따라서, 발전 모듈 연결체(10)를 보다 원활하게 접을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의 수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발전 모듈 연결체(1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의 변형예 1에 따른 발전 모듈 연결체(10a)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면도이다.
발전 모듈 연결체(10a)는, 연결부(11a)의 행 방향 폭(C)이 이하와 같은 관계를 만족하는 것 이외에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와 동일하다. 즉, 행렬상으로 배치된 발전 모듈(P)의 행수를 m이라고 하고, 연결부(11a)의 x행째의 행 방향 폭을 Cx라고 할 때, 연결부(11a)는, C1 ≥ 2L 또한 Cx ≥ Cx-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1 열(203)과, Cm ≥ 2L 또한 Cx ≥ Cx+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2 열(204)을 행 방향으로 번갈아 포함한다. 바꿔 말하면, 행 방향 폭은, 1행째가 2L 이상이고, 1행째부터 순서대로 2L 이상씩 증가하는 제1 열(203)과, 1행째부터 순서대로 2L 이상씩 감소하여 최종행이 2L 이상인 제2 열(204)을 열 방향으로 번갈아 포함한다.
또한, 연결부(11a)는, 1행째가 제1 행(201)이고, 또한, 1열째가 제2 열(204)이거나, 또는, 1행째가 제2 행(202)이고, 또한, 1열째가 제1 열(203)이라는 조건을 만족한다.
구체적으로는, 발전 모듈 연결체(10a)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1열째의 발전 모듈(P)(P11, P21, P31, P41, P51)과 2열째의 발전 모듈(P)(P12, P22, P32, P42, P52)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a)의 길이(C)는, 1행째부터 순서대로, C1 ≥ C2 + 2L, C2 ≥ C3 + 2L, C3 ≥ C4 + 2L, C4 ≥ C5 + 2L, C5 ≥ 2L의 관계를 만족하며, 제2 열(204)을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3열째의 발전 모듈(P)(P13, P23, P33, P43, P53)과 4열째의 발전 모듈(P)(P14, P24, P34, P44, P54)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a)의 길이(C)는, 1행째부터 순서대로, C1 ≥ C2 + 2L, C2 ≥ C3 + 2L, C3 ≥ C4 + 2L, C4 ≥ C5 + 2L, C5 ≥ 2L의 관계를 만족하며, 제2 열(204)을 구성한다. 한편,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2열째의 발전 모듈(P)(P12, P22, P32, P42, P52)과 3열째의 발전 모듈(P)(P13, P23, P33, P43, P53)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a)의 길이(C)는, 1행째부터 순서대로, C1 ≥ 2L, C2 ≥ C1 + 2L, C3 ≥ C2 + 2L, C4 ≥ C3 + 2L, C5 ≥ C4 + 2L의 관계를 만족하며, 제1 열(203)을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4열째의 발전 모듈(P)(P14, P24, P34, P44, P54)과 5열째의 발전 모듈(P)(P15, P25, P35, P45, P55)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a)의 길이(C)는, 1행째부터 순서대로, C1 ≥ 2L, C2 ≥ C1 + 2L, C3 ≥ C2 + 2L, C4 ≥ C3 + 2L, C5 ≥ C4 + 2L의 관계를 만족하며, 제1 열(203)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발전 모듈 연결체(10a)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의 어느 쪽으로부터 접어도 수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1a)가, 1행째가 제1 행(201)이고, 또한, 1열째가 제2 열(204)이거나, 또는, 1행째가 제2 행(202)이고, 또한, 1열째가 제1 열(203)이라는 조건을 만족하므로, 발전 모듈(P)이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발전 모듈(P) 및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발전 모듈(P)의 어느 것으로부터도 멀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발전 모듈(P)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a)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의 변형예 2에 따른 발전 모듈 연결체(10b)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전 모듈 연결체(10b)는, 연결부(11b)의 상하 방향에 발전 모듈(P)이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와 동일하다. 발전 모듈 연결체(10b)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이웃하는 발전 모듈(P) 사이에서 접힐 때에, 연결부(11b)의 내측에 발전 모듈(P)이 배치되므로, 접기에 의한 연결부(11b)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0(b)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의 변형예 3에 따른 발전 모듈 연결체(10c)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전 모듈 연결체(10c)는, 연결부(11c)를 발전 모듈(P)의 상하 방향 중심 부근에서 이웃하는 발전 모듈(P)끼리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와 동일하다. 발전 모듈 연결체(10c)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이웃하는 발전 모듈(P) 사이에서 접힐 때에, 연결부(11c)의 내측에 발전 모듈(P)이 배치되므로, 접기에 의한 연결부(11c)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1은, 발전 모듈 연결체(10)의 변형예 4에 따른 발전 모듈 연결체(10d)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면도이다. 발전 모듈 연결체(10d)는, 상면도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인 발전 모듈(P) 대신에, 상면도에 있어서 원형상인 발전 모듈(P')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발전 모듈 연결체(10)와 동일하다. 이 경우, 행 방향 폭(C)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발전 모듈(P')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d)의 최단 길이이다. 마찬가지로, 열 방향 폭(D)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발전 모듈(P')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11d)의 최단 길이이다. 한편, 발전 모듈(P')은, 열 방향 폭(D)을 규정할 수 있는 한, 상면도에 있어서 원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다각형상이나 그 밖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전술한 바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여러 변경을 가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각 발전 모듈(P, P')이나 연결부(11~11d) 등의 배치에 대하여, 행이나 열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행과 열은 설명의 편의상 규정한 것으로, 이들을 서로 바꿔도 된다.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규정한 것으로, 이들을 서로 바꿔도 된다. 또한, 발전 모듈(P, P')을 5행 5열의 행렬상으로 배치한 발전 모듈 연결체(10~10d)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발전 모듈(P, P')은, 2행 이상 또한 2열 이상의 행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부(11~11d)는, 관통 영역(11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갖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부(11~11d)는, 도체층(112)을, 예를 들어 구리박 등의 도체가 베이스 필름 및 커버 필름 등의 절연체 사이에 놓이도록 적층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연결부(11~11d)는, FPC로 구성된 도체층(112) 자체가 보호 기능을 갖기 때문에, 보호층(113)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연결부(11~11d)는, 도체층(112)을 FPC로 구성하는 경우, 도 12(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층(1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2(a)~(c)는 모두, 도체층(112)이 이웃하는 발전 모듈(P, P')끼리를 상하 방향 중심 부근에서 연결하도록 배치된 발전 모듈 연결체(10~10d)의 예이다. 보호층(113)은,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모듈(P, P')의 표면측의 일부 이외를 덮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모듈(P, P')과 도체층(112)의 연결부의 상하 방향을 덮도록 배치되어도 되며,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층(112)의 상하 방향을 덮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여기서, 발전 모듈(P, P')의 상하 방향의 두께(L)는, 도 4에 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발전 모듈(P, P')의 상하 방향에 도체층(112) 및/또는 보호층(113)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체층(112) 및/또는 보호층(113)의 두께도 포함하는 발전 모듈 연결체(10~10d) 전체의 두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장치(1)에 있어서, 본체(20)가 발전 모듈과 접속되는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체(20)가 어느 하나의 발전 모듈과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어느 하나의 발전 모듈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며, 발전 모듈과 착탈 가능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모듈 연결체는, 본체(20)와 함께 사용되어 발전 장치(1)를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체(20)로부터 독립적으로 사용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모듈 연결체는, 예를 들어 본체(20)의 외부 IF(26)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이 인터페이스에 외부 기기가 직접 접속되면, 접속된 외부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모듈의 일 양태로서, 상술한 태양 전지 패널을 구비하는 광전 변환 모듈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모듈 연결체의 일 양태로서, 상술한 광전 변환 모듈을 사용한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발전 장치(1)의 일 양태로서, 상술한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를 구비하는 광전 변환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전 모듈 연결체에 대하여 설명한 각 구성은, 발전 모듈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박형 패널과, 도체를 포함하는 연결부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임의의 패널 연결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힌 상태에서의 수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패널 연결체, 발전 모듈 연결체,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및 발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 발전 장치
10, 10a, 10b, 10c, 10d 발전 모듈 연결체
11, 11a, 11b, 11c, 11d 연결부
12 발전 패널
20 본체
21 인터페이스
22 승압 회로부
23 발전 모듈 전압 검출부
24 AC 어댑터 전압 검출부
25 충전지
26 외부 인터페이스
27 충방전 제어 회로
28 컨트롤러
30 AC 어댑터
31 콘센트
32 AC/DC 변환기
111 관통 영역
112 도체층
113 보호층
201 제1 행
202 제2 행
203 제1 열
204 제2 열
C 행 방향 폭
D 열 방향 폭
L 발전 모듈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P, P' 발전 모듈

Claims (8)

  1. m행 n열(m ≥ 2 또한 n ≥ 2)의 행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박형 패널과,
    상기 박형 패널을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이웃하는 상기 박형 패널 사이에서 접기 가능한 패널 연결체로서,
    상기 연결부는, y열째에서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박형 패널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Dy라고 하고, 상기 박형 패널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L라고 할 때, D1 ≥ 2L 또한 Dy ≥ Dy-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1 행과, Dn ≥ 2L 또한 Dy ≥ Dy+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2 행을 열 방향으로 번갈아 포함하는, 패널 연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이웃하는 상기 박형 패널을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접힘선의 교점이 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영역을 더 갖는, 패널 연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x행째에서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박형 패널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Cx라고 할 때, C1 ≥ 2L 또한 Cx ≥ Cx-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1 열과, Cm ≥ 2L 또한 Cx ≥ Cx+1 + 2L의 관계를 만족하는 제2 열을 행 방향으로 번갈아 포함하는, 패널 연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1행째가 상기 제1 행이고, 또한 1열째가 상기 제2 열이거나, 또는, 1행째가 상기 제2 행이고, 또한 1열째가 상기 제1 열인, 패널 연결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패널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박형 패널은 발전 모듈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발전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를 포함하는, 발전 모듈 연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단을 따라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도체층과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도체층보다 하단측에 배치되는, 발전 모듈 연결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발전 모듈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발전 모듈은 광전 변환 모듈인,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8.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발전 모듈 연결체와,
    상기 발전 모듈 연결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본체를 구비하는 발전 장치.
KR1020187032256A 2016-05-17 2017-05-12 패널 연결체, 발전 모듈 연결체,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및 발전 장치 KR201900105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8911 2016-05-17
JP2016098911 2016-05-17
PCT/JP2017/018103 WO2017199890A1 (ja) 2016-05-17 2017-05-12 パネル連結体、発電モジュール連結体、光電変換モジュール連結体及び発電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547A true KR20190010547A (ko) 2019-01-30

Family

ID=6032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256A KR20190010547A (ko) 2016-05-17 2017-05-12 패널 연결체, 발전 모듈 연결체,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및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78991B2 (ko)
EP (1) EP3460997B1 (ko)
JP (1) JP6399255B2 (ko)
KR (1) KR20190010547A (ko)
CN (1) CN109075737B (ko)
PH (1) PH12018550184A1 (ko)
TW (1) TW201813280A (ko)
WO (1) WO2017199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3383B2 (en) 2016-09-14 2020-09-01 The Boeing Company Nano-metal connections for a solar cell array
US11967923B2 (en) * 2018-03-28 2024-04-23 The Boeing Company Single sheet foldout solar array
IT201900017396A1 (it) * 2019-09-27 2021-03-27 Edmondo Gilioli Apparato portatile di ricarica per dispositivi elettrici/elettronici
US11496089B2 (en) 2020-04-13 2022-11-08 The Boeing Company Stacked solar arr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118A (ja) 1995-08-09 1997-02-18 Shiroki Corp シート状太陽電池
JP2007032171A (ja) 2005-07-28 2007-02-08 Kawakami Sangyo Co Ltd 折り畳み可能な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7150A (ja) 1984-01-10 1985-08-03 Nec Corp 2次元展開太陽電池パネル用基板
JPH0244356U (ko) 1988-09-20 1990-03-27
JPH0421278U (ko) * 1990-06-12 1992-02-21
JP2001332752A (ja) * 2000-05-19 2001-11-30 Canon Inc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その搬送方法、その施工方法および太陽光発電装置
DE10334352A1 (de) * 2003-07-25 2005-02-24 Eads Astrium Gmbh Solargenerator zur Entfaltung in zwei Raumrichtungen
FR2864347B1 (fr) * 2003-12-23 2006-03-03 Cit Alcatel Panneau generateur solaire et satellite associe
EP1598874A1 (en) * 2004-05-19 2005-11-23 Dutch Space B.V. Solar cell assembly
CA2716517A1 (en) * 2009-06-05 2010-12-05 First Solar, Inc. Photovoltaic module ground mount
FR2956774B1 (fr) * 2010-02-19 2012-03-16 Jean Loup Pier Dispositif convertisseur d'energie pliable a panneaux photovoltaiques
US8407950B2 (en) * 2011-01-21 2013-04-02 First Solar, Inc. Photovoltaic module support system
AT12996U1 (de) * 2011-06-07 2013-03-15 Austria Tech & System Tech Photovoltaisches modul und verwendung desselben
US9120583B1 (en) * 2012-03-01 2015-09-01 Deployable Space Systems, Inc. Space solar array architecture for ultra-high power applications
WO2015029415A1 (ja) * 2013-08-26 2015-03-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発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038816A1 (en) * 2013-09-16 2015-03-19 Brigham Young University Foldable array of three-dimensional panels including functional electrical components
JP2015088561A (ja) * 2013-10-29 2015-05-07 グンゼ株式会社 シート状発電装置用の台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状発電装置
JP6497260B2 (ja) * 2015-07-31 2019-04-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
TWM517914U (zh) * 2015-10-22 2016-02-21 豪客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可撓式太陽能板模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118A (ja) 1995-08-09 1997-02-18 Shiroki Corp シート状太陽電池
JP2007032171A (ja) 2005-07-28 2007-02-08 Kawakami Sangyo Co Ltd 折り畳み可能な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5737B (zh) 2022-07-12
EP3460997A1 (en) 2019-03-27
CN109075737A (zh) 2018-12-21
PH12018550184A1 (en) 2019-03-18
TW201813280A (zh) 2018-04-01
JPWO2017199890A1 (ja) 2018-09-27
US20190140584A1 (en) 2019-05-09
EP3460997B1 (en) 2023-04-19
EP3460997A4 (en) 2019-12-11
WO2017199890A1 (ja) 2017-11-23
JP6399255B2 (ja) 2018-10-03
US10978991B2 (en)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0547A (ko) 패널 연결체, 발전 모듈 연결체, 광전 변환 모듈 연결체 및 발전 장치
US11942895B2 (en) Panel connected body, power generation module connected body, and power generation device
KR102391813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JP6500684B2 (ja) 光電変換装置
JP6108053B2 (ja) 光電変換装置
EP3276823A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JP6801650B2 (ja) 光電変換装置
TW201637349A (zh) 光電變換模組群及光電變換裝置
JP6497260B2 (ja) 光電変換装置
JP6311837B2 (ja) 光電変換装置
WO2021075690A1 (ko) 전지 모듈
WO2019009637A1 (ko) 휴대용 충전기
JP2017175782A (ja) 光電変換装置
WO2017217382A1 (ja) 光電変換装置
JP6624909B2 (ja) 太陽光発電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