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495A - 전자 모듈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전자 모듈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495A
KR20190009495A KR1020170091288A KR20170091288A KR20190009495A KR 20190009495 A KR20190009495 A KR 20190009495A KR 1020170091288 A KR1020170091288 A KR 1020170091288A KR 20170091288 A KR20170091288 A KR 20170091288A KR 20190009495 A KR20190009495 A KR 2019000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winding portion
unit
comm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574B1 (ko
Inventor
한승현
김종필
최용오
설원규
정세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574B1/ko
Priority to US15/830,020 priority patent/US10653050B2/en
Priority to DE102017222106.2A priority patent/DE102017222106A1/de
Priority to CN201711297086.9A priority patent/CN109286308B/zh
Publication of KR2019000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1Active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17/062Toroidal core with turns of coil around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05K1/165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incorporating printed i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10Emission reduction
    • B60L2270/14Emission reduction of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02M1/123Suppression of common mode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05K1/0298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능동형 EMI필터모듈의 상쇄부를 PCB 권선 구조로 대체하여 크기의 제약이 적고 생산성이 우수한 차량 전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은 전원 라인의 공통모드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전원 라인에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전압을 전달하는 상쇄부; 및 상기 센서부가 검출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와 대응되는 상기 상쇄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상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의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자 모듈 이를 포함하는 차량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개시된 발명은 차량 전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용 인버터, 컨버터, 완속충전기 등의 전력변환장치는 원하는 형태의 전압을 만들어내기 위해 고속의 스위칭 방식을 사용하므로 전압 전류의 변화에 의해 만들어 지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EMI 필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MI 필터는 CM Choke, Y-Capacitor, X-Capacitor로 구성되는 수동형 부품으로 구성된다. 수동형 EMI 필터에서 CM Choke와 Y-Capacitor는 공통모드 (CM) 노이즈 저감을 위해서 사용되며, CM 노이즈 저감은 전원라인 필터의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CM Choke는 토로이달 형태의 코어가 사용되며, 높은 감쇄율 구현을 위해서는 고사양의 코어를 사용해야하므로 사이즈 및 가격이 높아지고, 권선을 방식이 수제작에 의존하기 때문에 성능 균일성 및 양산성에 제약이 크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Y-Capacitor의 용량을 늘려 높은 감쇄율을 구현할 수 있으나 용량에 따른 누설전류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사용 용량의 제약이 발생한다.
이러한, 수동형 EMI 필터의 설계 제약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능동형 EMI 필터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능동형 EMI 필터는 전원라인의 공통모드 노이즈 전압 또는 전류를 센싱하여 능동적으로 상쇄하는 방법이며, 노이즈 센싱 회로와 상쇄 회로, 제어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능동형 EMI 필터에서 사용되는 센싱 회로와 상쇄 회로는 CM Chock나 커패시터가 사용되며, 토폴로지에 따라 전압센싱전압상쇄형, 전압센싱전류상쇄형, 전류센싱전압상쇄형, 전류센싱전류상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능동형 EMI필터모듈의 상쇄부를 PCB 권선 구조로 대체하여 크기의 제약이 적고 생산성이 우수한 차량 전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은 전원 라인의 공통모드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전원 라인에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전압을 전달하는 상쇄부; 및 상기 센서부가 검출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와 대응되는 상기 상쇄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상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의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상쇄부는, 상기 제어부가 생성한 상기 상쇄 전압을 전달받는 제1권선부; 상기 상쇄 전압을 변압하여 상기 전원 라인에 공급하는 제2권선부; 및 상기 제1권선부 및 상기 제2권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쇄부는,
상기 제1권선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인쇄 회로 기판, 상기 제2권선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제1권선부와 상기 제2권순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적어도 하나의 제3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
상기 제어부는, 연산 증폭기(Op-Amp) 및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압, 전류 증폭소자를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기초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에 대응되는 상기 상쇄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권선부 또는 상기 제2권선부와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상쇄부의 권선 비에 기초하여 배선 구조가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은, 다른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가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차량에 전달하는 전원 라인; 상기 전원 라인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전원 라인에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전압을 전달하는 상쇄부; 및 상기 센서부가 검출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와 대응되는 상기 상쇄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상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쇄부는, 상기 제어부가 생성한 상기 상쇄 전압을 전달받는 제1권선부; 상기 상쇄 전압을 변압하여 상기 전원 라인에 공급하는 제2권선부; 및 상기 제1권선부 및 상기 제2권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쇄부는, 상기 제1권선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인쇄 회로 기판, 상기 제2권선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제1권선부와 상기 제2권선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연산 증폭기(Op-Amp) 및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압, 전류 증폭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기초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에 대응되는 상기 상쇄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권선부 또는 상기 제2권선부와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상쇄부의 권선 비에 기초하여 배선 구조가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은, 다른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전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의하면, EMI필터모듈의 상쇄부를 PCB 권선 구조로 대체 하므로써, 차량 전자 모듈(100)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자 모듈의 제어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블럭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쇄부의 회로도이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자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8a내지 도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자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2, 13)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는 엔진 등과 같이 차량(1)에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후드(11a),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11b), 수납 공간이 마련된 트렁크 리드(11c),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된 프런트 휀더(11d)와 쿼터 패널(11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1)의 측면에는 차체와 흰지 결합된 복수 개의 도어(15)가 마련될 수 있다.
후드(11a)와 루프 패널(11b) 사이에는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우(19a)가 마련되고, 루프 패널(11b)과 트렁크 리드(11c) 사이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우(19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의 상측에는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면 윈도우(19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헤드램프(15, Headlamp)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 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램프(16, Turn Signal Lamp)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방향지시램프(16)의 점멸하여 그 진행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후방에는 테일램프(17)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일램프(17)는 차량(1)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량(1)의 기어 변속 상태, 브레이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전자 모듈(100)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 전자 모듈(100)는 차량(1)의 동작과 관련된 전자적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전자 모듈(100) 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1) 내부의 임의적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102)는 엔진룸과 대시 보드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센터페시아의 내측이나 트렁크룸에 마련될 수도 있다. 차량 차량 전자 모듈(100)은,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한 후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은, 차량(1) 내부에 설치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자 모듈(100)의 제어블럭도 이다.
도2를 참고하면 차량 전자 모듈(100)은 센서부(101), 제어부(102) 및 상쇄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1)는 전원라인의 공통모드EMI노이즈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공통 모드 노이즈는 같은 위상으로 존재하는 노이즈를 의미하며, 공통 모드EMI 노이즈는 전자파 신호가 전자기적 간섭에 의하여 영향 받는 장해를 의미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상이 같고 정반대 방향을 갖는 전자기적 신호로 상쇄시킬수 있다.
센서부(101)는 고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1)는 CM Choke나 커패시터와 같은 수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1)는 EMI 노이즈 전압을 검출하고, 이를 제어부(102)에 전달 할 수 있다.
상쇄부(103)는 전원 라인에 공통모드EMI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쇄 전압을 전달 할 수 있다. 상쇄 전압은 공통모드EMI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전압으로 EMI노이즈와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반대인 전압을 의미한다.
센서부(101)와 상쇄부(103)는 제1권선부와 제2권선부 및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1)와 상쇄부(103)는 변압기의 성질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센서부(101)와 상쇄부(103)가 인쇄 회로 기판(PCB)의 적층 구조로 형성 될 수 있다. 이렇게 적층 구조로 센서부(101)와 상쇄부(103)를 형성함에 따라 일관된 성능의 차량 전자 모듈(100)을 생산 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1)와 상쇄부(103)를 인쇄 회로 기판으로 형성함에 따라 작은 크기로 차량 전자 모듈(100)을 구성 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센서부(101)와 상쇄부(103)를 구성하는 인쇄 회로 기판은 필요한 인덕턴스 값과 권선비에 기초하여 생산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102)는 센서부(101)가 검출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와 대응되는 상기 상쇄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센서부(101)가 검출한 EMI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쇄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연산 증폭기(Op-amp)로 구성될 수 있고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저항 소자를 조절하여 상쇄 전압을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인쇄 회로 기판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2)는 상술한 상쇄부(103)와 같은 인쇄 회로 기판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2에 나타난 차량 전자 모듈은 완속충전기의 전원라인 노이즈를 실시 예로 들었지만, 모든 차량의 인버터,컨버터등에도 사용할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전자 모듈은 차량이 아닌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도 실시가능 하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의 제어블럭도이다.
도3을 참고하면, 차량은 도2에 나타난 차량 전자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부(201)와 전원 라인(202)을 포함 할 수 있다.
전원부(201)는 차량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220V와 60Hz의 규격을 갖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201)는 전원 라인(202)을 통하여 차량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전자 모듈(100)은 전원라인의 EMI노이즈를 측정 할 수 있고, 공통모드 EMI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3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원부(201)에는 인덕터 및 커패시턴스와 같은 수동소자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 및 도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4를 참고하면, 도4에는 전원부(201), 전원 라인(202), 수동 소자 및 차량 전자 모듈(100)이 나타나 있다.
전원부는 전원 라인을 통하여 차량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차량 전자 모듈(100)은 상쇄부(103), 제어부(102) 및 센서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가 전원 라인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있어 공통모드 EMI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EMI노이즈는 센서부(101)에 의해서 측정 될 수 있다. 센서부(101)는 고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갖을 수 있다. 센서부(101)는 CM Choke나 커패시터를 포함 할 수 있다. 센서부(101)는 제어부(102)와 연결 될 수 있다. 센서부(101)가 포함하는 커패시턴스와 제어부(102)가 포함하는 저항을 기초로 센서부(101)가 필터링 하는 주파수를 설정 할 수 있다.
한편, 도4에 나타난 제어부(102)는 연산 증폭기 및 2개의 저항(R1,R2)을 포함하고 있다. 도4에 나타난 제어부(102)는 반전 증폭기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2)에 포함된 저항 크기의 비를 기초로 제어부(102)가 출력하는 상쇄 전압을 조절 할 수 있다. 제어부(102)에 포함된 저항을 기초로 계산한 이득 값은 수학식1을 통하여 도출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1을 참고하면, A1은 제어부(102)의 이득 값을 의미하며 R1과 R2는 제어부(102)가 포함할 수 있는 저항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R1값과 R2값을 조절하여 제어부(102)가 출력하는 상쇄 전압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01)와 상쇄부(103)는 도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변압기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차량 전자 모듈(100)에는 인덕터, 커패시턴스 및 저항과 같은 수동소자가 연결되어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5a를 참고하면, 도5a는 상술한 도4의 회로에서 차량 전자 모듈(100) 외부의 수동소자 중 인덕터(L1)가 추가된 회로이고, 도5 b은 인덕터(L1)와 커패시터(C1)가 더 추가된 회로이다. 차량 전자 모듈(100)은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능동 회로로 구성되지만 도5A 및 도5B에 나타난 회로처럼 인덕터(L1)와 커패시턴스(C1) 같은 수동소자를 더욱 효율적으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1)와 상쇄부(10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을 참고하면, 도6은 차량 전자 모듈(100)의 전압부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01)와 상쇄부(103)는 인쇄 회로 기판의 층구조로 형성 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변압기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센서부(101)와 상쇄부(103)는 제1권선부와 제2권선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권선부와 제2권선부는 코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 될 수 있다. 제1권선부는 제어부(102)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권선부는 전원 라인과 연결 될 수 있다.
도6b는 도6a의 센서부(101)와 상쇄부(103)에서 코어를 더욱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코어는 제1권선부와 제2권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시킬 수 있다. 센서부(101)와 상쇄부(103)는 공통의 코어에 하나의 제1권선부와 2개의 제2권선부로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1)와 상쇄부(103)는 제1권선부에서 제2권선부로 전압이 유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권선부와 제2권선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코어는 나노 크리스탈, 금속 분말,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로 마련 될 수 있으며 제1권선부오 제2권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코어를 구성하는 물질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센서부(101)와 상쇄부(103)의 권선비에 따라서 전달되는 전압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센서부(101)와 상쇄부(103)에서 출력되는 전체 이득은 아래 수학식에 의해서 도출 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2를 참고하면, R2와 R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2)가 포함할 수 있는 저항 값이며, N1은 제1권선부의 권선 값, N21, N22는 제2권선부의 권선 값이다. 제어부(102)와 센서부(101)와 상쇄부(103)를 거친 전압은 수학식2를 기초로 EMI노이즈를 제거하는데 이용 될 수 있다.
상술한 변압기의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며 본 발명의 동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자 모듈(100)을 나타낸 것이다.
도7a를 참고하면, 5개의 인쇄 회로 기판을 나타내고 있다. 도7a에서는 5개의 인쇄 회로 기판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상의 인쇄 회로 기판(P1)과 최하의 인쇄 회로 기판(P5)은 제2권선부의 역할을 하는 제2인쇄 회로 기판으로 구성 될 수 있고, 가운데의 인쇄 회로 기판(P3)은 상쇄부(103)의 제1권선부와 제2권선부의 전기적 연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나머지 인쇄 회로 기판(P2,P4)은 제1권선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가장 아래 위치하는 인쇄 회로 기판(P5)에는 센서부(101)와 제어부(102)가 마련 될 수 있다. 도7A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부터 제1기판, 제2기판, 제3기판, 제4기판 및 제5기판으로 명명하고 설명한다.
차량 전자 모듈(100)은 도7a에 나타난 것처럼 적층 구조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제1기판(P1)과 제5기판(P5)은 제2권선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기판(P2)과 제4기판(P4)은 제1권선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각 기판에는 홀 구조(H)가 마련 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홀 구조(H)는 각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3기판(P3)은 제1기판(P1)과 제 5기판(P5), 제2기판(P1)과 제4기판(P4)을 연결하는 홀 구조(H)를 갖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상쇄부(103)의 출력 및 입력 권선을 구성할 수 있다. 제3기판(P3)에는 내부에는 코어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기판(P2) 및 제4기판(P4)은 상쇄부(103)의 입력 권선, 제1권선부이며 제어부(102)의 연산 증폭기 출력 단에 홀 구조를 통해 연결 될 수 있다. 제3기판(P3)은 제1기판(P1)과 제5기판(P5), 제2기판(P2)과 제4기판(P4)을 연결하는 홀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상쇄부(103)의 제1권선부 및 제2권선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코어는 적층된 제3기판에 삽입될 수 있으며, 코어의 높이 만큼 동일한 인쇄 회로 기판을 적층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7b는 도7a에서 설명한 기판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각 인쇄 회로 기판 홀 구조에 도체를 삽입하여 변압기 권선을 연결하였으나,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다층 인쇄 회로 기판 제작 방법을 이용하여 각 인쇄 회로 기판 층을 연결할 수 있다.
도7a 및 도7b에 나타난 인쇄 회로 기판의 적층 구조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8a내지 도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자 모듈(100)의 분해도이다.
도8a내지 도8e는 본 발명에서 차량 전자 모듈(100)의 각 층별 PCB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인쇄 회로 기판은 차량 전자 모듈(100)의 상쇄부(103)를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도8E에 나타난 전자 회로 기판은 센서부(101) 및 제어부(102)를 포함 할 수 있다. 도8a내지 도8e에 나타난 인쇄 회로 기판의 구조는 상쇄부(103)의 권선비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 될 수 있다.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a은 차량 전자 모듈(100)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 대한 결과이며, 도 9b는 차량 전자 모듈(100)이 적용된 경우, 도 9c는 추가적인 수동소자를 사용한 경우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그래프에서 X축은 주파수 값을 나타내고 Y축은 노이즈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9a와 도9b를 비교하면, 차량 전자 모듈(100)을 적용하여 대략20dB의 노이즈가 감소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도9a와 도9c를 비교하면 40dB정도의 노이즈가 감소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9b와 도9c를 비교했을 때 도9c가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 뛰어난 노이즈 감소 효과를 보이고 있다. 만약 수동소자를 이용하여 저주파 대역을 포함하는 주파수 범위에서 노이즈 저감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소자의 사이즈가 매우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전자 모듈(100)을 적용하면 추가 감쇄도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노이즈 감소 효과를 확보 할 수 있으며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추가적인 공통 모드 저감용 수동 소자와 조합 할 경우 더욱 우수한 노이즈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차량
100 : 차량 전자 모듈
101 : 센서부
102 : 제어부
103 : 상쇄부

Claims (18)

  1. 전원 라인의 공통모드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전원 라인에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전압을 전달하는 상쇄부; 및
    상기 센서부가 검출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와 대응되는 상기 상쇄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상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의 적층 구조로 형성되는 전자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부는,
    상기 제어부가 생성한 상기 상쇄 전압을 전달받는 제1권선부;
    상기 상쇄 전압을 변압하여 상기 전원 라인에 공급하는 제2권선부; 및
    상기 제1권선부 및 상기 제2권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부는,
    상기 제1권선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인쇄 회로 기판, 상기 제2권선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제1권선부와 상기 제2권순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적어도 하나의 제3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산 증폭기(Op-Amp) 및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압, 전류 증폭소자를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기초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에 대응되는 상기 상쇄 전압을 생성하는 전자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권선부 또는 상기 제2권선부와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에 마련되는 전자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상쇄부의 권선 비에 기초하여 배선 구조가 실장 되는 전자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은,
    다른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를 더 포함하는 전자 모듈.
  10.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가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차량에 전달하는 전원 라인;
    상기 전원 라인의 공통모드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전원 라인에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상쇄 전압을 전달하는 상쇄부; 및
    상기 센서부가 검출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와 대응되는 상기 상쇄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상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의 적층 구조로 형성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부는,
    상기 제어부가 생성한 상기 상쇄 전압을 전달받는 제1권선부;
    상기 상쇄 전압을 변압하여 상기 전원 라인에 공급하는 제2권선부; 및
    상기 제1권선부 및 상기 제2권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부는,
    상기 제1권선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인쇄 회로 기판, 상기 제2권선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제1권선부와 상기 제2권선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차량.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산 증폭기(Op-Amp) 및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압, 전류 증폭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를 기초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에 대응되는 상기 상쇄 전압을 생성하는 차량.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권선부 또는 상기 제2권선부와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에 마련되는 차량.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상쇄부의 권선 비에 기초하여 배선 구조가 실장 되는 차량.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은,
    다른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홀 구조를 포함하는 차량.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모드 EMI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를 더 포함하는 차량.
KR1020170091288A 2017-07-19 2017-07-19 전자 모듈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33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288A KR102338574B1 (ko) 2017-07-19 2017-07-19 전자 모듈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5/830,020 US10653050B2 (en) 2017-07-19 2017-12-04 Electronic modu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DE102017222106.2A DE102017222106A1 (de) 2017-07-19 2017-12-07 Elektronikmodul und fahrzeug mit diesem
CN201711297086.9A CN109286308B (zh) 2017-07-19 2017-12-08 电子模块及具有该电子模块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288A KR102338574B1 (ko) 2017-07-19 2017-07-19 전자 모듈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495A true KR20190009495A (ko) 2019-01-29
KR102338574B1 KR102338574B1 (ko) 2021-12-14

Family

ID=6495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288A KR102338574B1 (ko) 2017-07-19 2017-07-19 전자 모듈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53050B2 (ko)
KR (1) KR102338574B1 (ko)
CN (1) CN109286308B (ko)
DE (1) DE1020172221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7983B2 (en) * 2019-08-16 2022-09-06 AnApp Technologies Limited Circuit for suppres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11646720B2 (en) 2020-11-06 2023-05-09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Active filter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using a single connection point and a negative impedance converter with cross-coupled transistors
US11303264B1 (en) 2020-11-06 2022-04-12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Active filter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using a single connection point and a negative impedance converter
EP4353605A2 (en) * 2021-02-19 2024-04-17 Lilium eAircraft GmbH Aircraft engine
CN113514758B (zh) * 2021-09-15 2022-02-22 绅克半导体科技(苏州)有限公司 芯片测试方法、测试机及存储介质
CN114423270B (zh) * 2022-03-04 2023-09-15 长春捷翼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电磁干扰的电路、配电盒、新能源汽车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204A (ko) * 2004-08-31 2007-05-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라인 전도된 간섭 신호를 억제하기 위한 능동 전자기 간섭필터 회로
JP2009010729A (ja) * 2007-06-28 2009-01-15 Murata Mfg Co Ltd 分布定数型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KR20150108135A (ko) * 2014-03-17 2015-09-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emi 저감을 위한 pcb
WO2015181883A1 (ja) * 2014-05-27 2015-12-03 松江エルメック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3833B2 (ja) * 1996-09-18 1999-03-03 岡山大学長 アクティブコモンモードキャンセラ
KR100432662B1 (ko) * 2002-03-09 2004-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방법
KR100494472B1 (ko) * 2002-12-31 2005-06-10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기술을 이용한 미약자계 감지용 센서 및 그제조 방법
US9099945B2 (en) * 2010-08-26 2015-08-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eakage current reducing apparatus
WO2013111360A1 (ja) * 2012-01-27 2013-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高周波電流低減装置
JP5993886B2 (ja) * 2014-03-04 2016-09-1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ノイズフィルタ
CA3001121C (en) * 2015-11-06 2021-01-12 Satoshi Ogasawara Power convers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204A (ko) * 2004-08-31 2007-05-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라인 전도된 간섭 신호를 억제하기 위한 능동 전자기 간섭필터 회로
JP2009010729A (ja) * 2007-06-28 2009-01-15 Murata Mfg Co Ltd 分布定数型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KR20150108135A (ko) * 2014-03-17 2015-09-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emi 저감을 위한 pcb
WO2015181883A1 (ja) * 2014-05-27 2015-12-03 松江エルメック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53050B2 (en) 2020-05-12
CN109286308B (zh) 2021-07-06
DE102017222106A1 (de) 2019-01-24
US20190029148A1 (en) 2019-01-24
KR102338574B1 (ko) 2021-12-14
CN109286308A (zh)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8574B1 (ko) 전자 모듈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8631292B (zh) 有源滤波器
US7423520B2 (en) Noise suppressing circuit
US7547987B2 (en) EMI reduced power inverter
JP6555501B1 (ja) 電子モジュール
KR20190029420A (ko) 노이즈 신호를 억제하기 위한 emc-필터
US20150070102A1 (en) Transmission Line and Filtering Module Thereof
CN105723598B (zh) 噪声滤波器
WO2019182132A1 (ja) 車両用の電磁干渉抑制
US68852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adiant noise energy by radiating noise energy from a quasi-ground into a signal wire
WO2017183393A1 (ja) 受電装置
JP4708372B2 (ja) 差動伝送用の回路基板装置
US20110234337A1 (en) Filter circuit for differential communication
JP4958410B2 (ja) 電子モジュール組立体
JP5826024B2 (ja) ノイズ低減回路
EP1991039B1 (en) Device and connecting method
CN113965065A (zh) 电磁干扰抑制电路及相关的传感电路
JP5692903B2 (ja) 車載機器用高周波ノイズフィルタおよびフィルタ結線方法
JP2006140345A (ja) 電子制御装置
WO2019229939A1 (ja) ノイズフィルタ及び電気電子機器
JP5672277B2 (ja) 電子装置
JP7275588B2 (ja) 電子部品、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ノイズ処理方法
JP5880697B2 (ja) 多チャンネル型dc−dcコンバータ
JP5890195B2 (ja) 車載電子装置
JP5333174B2 (ja) 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