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921A -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척기구 및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척기구 및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921A
KR20190008921A KR1020187036611A KR20187036611A KR20190008921A KR 20190008921 A KR20190008921 A KR 20190008921A KR 1020187036611 A KR1020187036611 A KR 1020187036611A KR 20187036611 A KR20187036611 A KR 20187036611A KR 20190008921 A KR20190008921 A KR 20190008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master
cover
chuck
cutting deb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361B1 (ko
Inventor
요시아키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신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01Protection against entering of chips or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021Face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23B31/1627Details of the jaws
    • B23B31/16275Form of th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23B31/1627Details of the jaws
    • B23B31/16279Fixation on the master j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8Dus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36Seal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32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30Chip guiding o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blo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마스터 조의 내측 단면과 척커버의 간극으로의 절삭부스러기의 침입을 방지한다. 척본체110의 단면112 중앙부에 톱플레이트310를 설치한다. 톱플레이트310의 3곳의 톱커버 안내 오목부330에 척의 개폐시의 마스터 조120의 이동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톱커버360를 설치한다. 톱커버360는 마스터 조120의 폭방향 양측의 셀레이션면125、126의 중심측 단부와, 그 사이의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스테어240의 중심측 단부에 당접하여, 마스터 조120의 이동을 위해 중심측 단부에 생기는 간극을 마스터 조120의 이동에 추종하여 항상 폐색한다.

Description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척기구 및 공작기계
본 발명은 선반 등의 공작기계의 척(chuck)단면에 설치되어 척단면에 생기는 틈새를 폐색(閉塞)하는 절삭부스러기(chip)·분진(dust) 방지커버、그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와 함께 이용하기에 바람직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그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를 이용한 척기구、및 그 척기구를 가지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선반에 이용되는 척의 일례를 도12 및 도13에 나타낸다. 도12 및 도13은 각각 척본체110의 단면112을 척본체110의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도12는 척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3은 척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본체110의 단면(端面)112에는 3개의 마스터 조 삽입홈115에 각각 마스터 조120(master jaw)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마스터 조120에 공작물을 파지하는 클로(claw)210가 장착되어 있다. 마스터 조120는 척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시프터(shifter)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3개 동시에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척본체110의 중심공에는 단면112측으로부터 통모양의 척커버117가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척커버117의 단면112측의 단면은 덮개118로 덮여 있다.
선반으로 공작물을 절삭가공할 때에는 클로210를 척본체110의 단면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움직여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이 열린 상태로 하여, 열린 척본체110의 단면의 중앙부에 공작물을 끼워넣는다. 공작물을 배치했으면 클로210을 직경방향 내측으로 움직여서,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을 닫은 상태로 하여(공작물은 도시하지 않음), 3개의 클로210로 공작물을 파지한다. 그 후 선반의 주축을 회전시켜 공작물을 회전시키면서 공작물의 가공면에 바이트를 꽉 눌러 공작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삭가공한다.
선반 등의 척을 이용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공작물의 고정도(高精度)의 가공을 행하기 위해서는 고정도로 공작물의 센터링을 하는 것, 및 일단 떼어낸 후 재차 공작물을 부착할 때 재현성 좋게 공작물의 센터링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척으로서, 마스터 조와 클로의 당접(當接)하는 면에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셀레이션(serration)을 형성해 두고, 이들을 걸어맞춤 시킴으로써 클로와 마스터 조의 당접면의 면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척기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공작물을 절삭가공하면 절삭부스러기가 발생하는데, 그 절삭부스러기가 클로210、마스터 조120、마스터 조 삽입홈115 혹은 척본체110에 부착하거나 퇴적하거나 하면 척킹(chucking) 불량이나 공작물의 파지 정도(精度) (클램프 정도)의 악화 등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또한 클로 교환(셋업)시에는 마스터 조와 클로와의 장착 정도가 악화될 위험성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클로210나 마스터 조120의 주위에 절삭부스러기가 부착되거나 퇴적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조120는 척본체110의 단면112에서 직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척의 개폐를 행하므로, 마스터 조120의 직경방향 중심부측의 단면과 척커버117(척커버덮개118)의 외경부 사이에는 마스터 조1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공간이 필수적이 된다. 즉 도12 및 도13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간극119이 필요해진다. 그 결과 이 간극119에 절삭부스러기가 침입하고 퇴적되어 척킹 불량 등을 발생시킬 위험성, 나아가 가공 불량이 생길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에어 블로우에 의해 절삭부스러기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마스터 조120의 직경방향 중심측의 간극119은 비교적 깊어서 에어 블로우로도 절삭부스러기의 침입을 완전히 막기는 어렵다. 특히 경험적으로 주물의 절삭부스러기 등이 이 간극119에 남아 있기 쉬어 그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항상 주의를 기울여서 선반 등에 의한 가공을 행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은 선반 등의 공작기계의 자동 운전, 무인 운전, 유지보수가 불필요한 가동 등에 장해가 되는 것으로, 생산성 향상이나 기계 가동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도 절삭부스러기가 침입, 퇴적하지 않는 척기구가 강력히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 제4273218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절삭부스러기가 척기구 내로 침입 혹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터 조의 직경방향 내측의 단면과 척 중심부의 척커버 사이의 간극에 절삭부스러기가 침입 혹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원하는 절삭가공을 고정도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선반 등의 공작기계의 자동 운전, 무인 운전, 유지 보수가 불필요한 가동 등이 가능해져 생산성 및 기계 가동율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척기구 및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는 척단면에 설치되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마스터 조의 상기 척단면의 중심측의 소정 영역을 덮는 판면부(板面部)와, 상기 마스터 조와 당해 마스터 조에 설치되어 당해 마스터 조와 일체화된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에 대해서, 당해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의 상기 중심측의 단부에 밀접하는 밀접부(密接部)와, 상기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의 상기 척단면의 직경방향의 소정의 이동에 대해서, 상기 밀접한 상태를 유지하여 당해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를 추종시키는 탄성바이어스력을 받는 힘받이부(受力部)를 가진다.
여기서 판면부(板面部)가 덮는 「척단면의 중심측의 소정 영역」이란, 예를들어 마스터 조의 직경방향 내측의 단면과 척 중심부의 척커버 사이의 간극 등의, 척단면에 생긴 틈새를 포함하는 영역이며, 바람직하기로는 그 틈새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또한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란, 예를들어 마스터 조와, 마스터 조에 설치된 클로、및 마스터 조에 클로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로서 본원의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스테어(stair)나 이른바 T너트라 불리는 부재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들은 척에 공작물을 파지할 때에는 마스터 조에 대해서 고정 설치되어 마스터 조와 일체로 척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는 이와 같이 척에 공작물을 파지할 때 마스터 조와 일체화된 임의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의 척단면의 직경방향의 「소정의 이동」이란, 공작물을 척본체의 단면의 중앙부로 끼워 넣기 위해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를 척본체의 단면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움직여서 척을 열린 상태로 하는 경우의 가장 외측의 위치와, 클로로 공작물을 파지하기 위해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를 척 본체의 단면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움직여 척을 닫은 상태로 할 경우의 가장 중심측의 위치와의 사이의, 척본체의 단면에 대한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의 이동이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는, 상기 밀접부는 상기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 부분의 상기 중심측에 밀접하는 제1의 밀접부를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는, 상기 밀접부는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의 상기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 부분 이외의 부분에 밀접하는 제2의 밀접부를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는, 상기 마스터 조의 직경방향 양측을 따라 연장되는 마스터 조 측부측(側部側) 연장부와, 상기 마스터 조 측부측 연장부에 형성되어, 상기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에 기류(氣流)를 분출하는 에어분출구와, 소정 부분으로부터 공급되는 기류를 상기 에어 분출구로 공급하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공기홈을 더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척단면플레이트는, 척단면에 설치되는 척단면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를 상기 척단면의 직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안내부와,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안내부에 장착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상기 탄성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척단면플레이트는, 척단면에 설치되는 척단면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를 상기 척단면의 직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 안내부와,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 안내부에 장착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상기 탄성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과, 척본체에 설치된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기류를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공기홈에 공급하는 톱플레이트(top plate) 공기홈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는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와, 상기 척단면플레이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는 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공기홈을 가지는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와 톱플레이트 공기홈을 가지는 상기 척단면플레이트를 가진다.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마스터 조에 대한 복수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와, 복수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대한 복수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 안내부, 및 복수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대한 복수의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을 가지는 상기 척단면플레이트를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는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및 상기 척단면플레이트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 안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의 이동 범위를 규정하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고정수단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척기구는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공작기계는 상기 척기구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부스러기가 척기구 내로 침입 혹은 퇴적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특히 마스터 조의 직경방향 내측의 단면과 척 중심부의 척커버 사이의 간극에 절삭부스러기가 침입 혹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원하는 절삭가공을 고정도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선반 등의 공작기계의 자동 운전, 무인 운전, 유지보수가 불필요한 가동 등이 가능해져 생산성 및 기계 가동율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척기구 및 공작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선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척기구의 척본체 및 마스터 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척기구의 스테어부착클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도3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의 스테어부착클로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도3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의 셀레이션피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척기구의 리어 그립 및 프론트 그립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도3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를 도2에 도시한 마스터 조에 설치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척이 열렸을 때의 척본체의 단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척이 닫혔을 때의 척본체의 단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톱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은 톱커버(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종래의 척기구에 있어서, 척이 열렸을 때의 척본체의 단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3은 종래의 척기구에 있어서, 척이 닫혔을 때의 척본체의 단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톱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톱커버(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6은 척본체에 도14에 도시한 톱플레이트와 도15에 도시한 톱커버、및 마스터 조를 설치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척기구의 척본체 및 마스터 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척기구의 스테어부착클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9는 도3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를 도2에 도시한 마스터 조에 설치하는 다른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선반에 대해서、도1~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선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선반1은 가공 대상의 공작물을 파지하는 척기구10、척기구10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30、모터30의 회전 동력을 척기구10에 전달하는 주축(스핀들)40 및 모터30의 동작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가진다.
척기구10는, 도2에 도시한 척본체110 및 마스터 조120、도3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200、도6에 도시한 한쌍의 그립510,540、도10에 나타낸 톱플레이트(top plate)310、및 도11에 나타낸 톱커버(top cover)(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360를 가진다.
도2는 척기구10의 척본체110 및 마스터 조12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척본체110는 원통 형상을 이루며, 단면112에 마스터 조120를 설치하기 위한 직경방향의 마스터 조 삽입홈115이 등배열로 3개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조 삽입홈115은 폭이 넓은 바닥부와 폭이 좁은 상부가 2단으로 연결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척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척본체110의 중심공113에는 단면112측으로부터 통모양의 척커버117가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척커버117의 단면112측의 단면은 덮개118로 덮여 있다. 척본체110의 내부에는 마스터 조 삽입홈115에 설치된 마스터 조120에 걸어맞추어 마스터 조120를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시프터가 설치되어 있다.
마스터 조120는 스테어부착클로200를 척본체110에 부착하는 받침대이다. 마스터 조120는 척본체110의 마스터 조 삽입홈115에 내접하여 수용되는 단면 형상 및 사이즈의 금속제 부재이다. 마스터 조120의 상면에는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부착하기 위한 클로설치홈12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클로설치홈123은 폭이 넓은 바닥부와 폭이 좁은 상부를 가지는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부와 바닥부의 경계가 되는 하향의 단차면이 스테어부착클로200를 하방으로 인입할 때의 숄더부(shoulder part)(인입 지지면)124에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조120의 상면에는 클로설치홈123의 상부 개구(홈개구부)127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셀레이션면125,126이 형성되어 있다. 셀레이션면125、126은 사각추(四角錐) 형상의 스파이크(spike)가 클로설치홈123의 연장방향으로 수직방향 및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피치로 다수 정렬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스파이크는 예를들어 클로설치홈123의 연장방향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평행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된 단면이 삼각형의 종방향의 톱니와, 클로설치홈123의 연장방향으로 평행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 단면이 사각형의 횡방향의 톱니를 동일한 면 상에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마스터 조120의 높이는 척본체110의 마스터 조 삽입홈115의 깊이보다 약간 높다. 환언하면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의 상면은 척본체110의 단면112보다도 약간 돌출되어 있다(도2 참조).
마스터 조120는, 도시하지 않지만 바닥부로부터 돌출된 걸어맞춤부가 척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시프터와 걸어맞춤하고 있으며, 시프터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3개의 마스터 조120가 동시에 척본체110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3은 스테어부착클로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3(a)는 부분절단 사시도이며, 도3(b)는 측면도이고, 도3(c)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4는 도3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4(a)는 부분절단사시도이며, 도4(b)는 측면도이고, 도4(c)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5는 도3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셀레이션피스(serration piece)271,272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5(a)는 횡셀레이션피스271의 사시도이며, 도5(b)는 횡셀레이션피스271의 셀레이션면273의 톱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5(c)는 종셀레이션피스272의 사시도이며, 도5(d)는 종셀레이션피스272의 셀레이션면274의 톱니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테어부착클로200는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작물을 파지하는 클로210와, 클로210를 마스터 조120에 설치하기 위한 스테어240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210의 선단부는 공작물에 접촉하여 공작물을 파지하는 공작물 파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공작물 파지부211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클로210는 소프트 조(soft jaw)이다. 공작물을 절삭가공하는 경우에는 3개의 클로210에 의해 공작물을 파지하는데, 각 클로210의 공작물 파지부211가 적절한 접촉면에서 공작물을 파지함과 동시에 척본체110에 대해서 완전하게 센터링된 상태로 공작물을 파지하기 위해, 우선 공작물 파지부211가 가공되어 공작물 파지부211에 공작물 파지면이 형성된다. 즉 이른바 클로의 형성이 행해진다. 그리고 그 후 3개의 클로210에 의해 실제로 공작물이 파지되어 공작물의 절삭가공이 행해진다.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210의 하면의 양측에는 횡셀레이션면273 및 종셀레이션면274이 형성되어 있다. 횡셀레이션면273 및 종셀레이션면274은 각각 단면이 대략 정삼각형의 톱니가 소정 피치로 다수 배열된 구조이다. 횡셀레이션면273은 클로2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톱니가 클로2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된 구조이며, 마스터 조120의 한쪽 셀레이션면125(도2 참조)에 걸어맞춤하는 셀레이션면이다. 또한 종셀레이션면274은 클로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톱니가 클로210의 폭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된 구조이며, 마스터 조120의 다른 쪽 셀레이션면126(도2 참조)에 걸어맞춤하는 셀레이션면이다.
스테어부착클로200는, 도4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와, 도5(a)에 도시한 횡셀레이션피스271와, 도5(b)에 도시한 종셀레이션피스272가 셀레이션피스부착 볼트280에 의해 조립되어 일체화된 구성이다.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는 도4(a)∼도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본체202와 스테어240가 일체 형성된 부재이다.
클로본체202는 클로210(도3 참조)의 폭방향 양측면의 하부에, 공작물 파지부211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셀레이션피스용 절결(切欠)203,204을 형성한 부재이다. 환언하면 클로210로부터 셀레이션피스271,272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재이다.
스테어240는 클로210를 마스터 조120에 설치하기 위한 금속제 부재이다. 스테어240의 리어(rear)측 단면245 및 프론트(front)측 단면246은 각각 파형 걸어맞춤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파형 걸어맞춤면은 대향하는 형상의 대향 파형 걸어맞춤면을 가지는 후술하는 그립510,540에 의해 스테어240가 끼워 지지되어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그립510,540에 대해서 아래방향으로 인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클로210의 셀레이션면273,274의 셀레이션과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의 셀레이션이 확실하게 걸어맞춤되어, 클로210가 마스터 조120의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된다. 그 때문에 스테어240에는 클로210의 길이방향으로 리어측 단면245과 프론트측 단면246 사이를 관통하도록 스테어240와 그립510,540을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볼트570(도7(c)참조)를 통과시키기 위한 클램프볼트통과공263이 형성되어 있다.
횡셀레이션피스271는,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방체(直方體) 형상의 금속제 부재이다. 횡셀레이션피스271에는 폭방향으로 양측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볼트통과공275이 형성되어 있다.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에 설치했을 때 외면이 되는 측의 측면의 볼트통과공275의 주위에는 셀레이션피스부착볼트280(도3 참조)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스폿(spot)277이 형성되어 있다. 횡셀레이션피스271의 하면은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셀레이션피스27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톱니가 형성된 횡셀레이션면273에 형성되어 있다.
종셀레이션피스272는,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셀레이션피스271와 거의 동일한 사이즈의 직방체 형상의 금속제 부재이다. 종셀레이션피스272에는 역시 폭방향으로 양측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볼트통과공276이 형성되어 있다.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에 설치했을 때 치합하는 외면이 되는 측의 측면의 볼트통과공276의 주위에는 셀레이션피스 부착볼트280(도3 참조)가 나사박음되는 너트가 수용되는 스폿278이 형성되어 있다. 종셀레이션피스272의 하면은 도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셀레이션피스27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톱니가 형성된 셀레이션면274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횡셀레이션피스271 및 종셀레이션피스272을 도4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의 셀레이션피스용 절결203 및 204에 각각 배치하여, 각 3곳의 셀레이션피스271,272의 볼트통과공275,276 및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의 볼트통과공206(도4 참조)을 각각 관통하도록 3개의 셀레이션피스부착볼트280(도3 참조)를 설치하여, 도시하지 않은 너트에 의해 이들을 단단히 조인다. 그 결과, 도3(a)∼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테어부착클로200가 형성된다.
도6은 척기구10의 리어 그립510 및 프론트 그립54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리어 그립510 및 프론트 그립540은,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도2 참조)에 삽입되어,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스테어240(도3 참조)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에 고정한다(도7 참조). 따라서 그립510,540은 각각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내접하여 수용된 형상의 단면(斷面), 즉 클로설치홈123과 동일한 T자 형상의 단면(斷面)을 가지는 금속제 부재이다.
리어 그립510은,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외경측이 되는 단면(端面)513이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스테어240의 리어측 단면245에 대향하여 접면하는 대향 파형 걸어맞춤면513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그립540은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경측이 되는 단면이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스테어240의 프론트측 단면246에 대향하여 접면하는 대향 파형 걸어맞춤면543에 형성되어 있다.
리어 그립510 및 프론트 그립540에는 클로설치홈123에 삽입된 경우에 폭방향이 되는 방향의 양측에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의 숄더부124와 대향하여 당접하는 단차면512,542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면512,54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스테어240를 단단히 조여 스테어부착클로200를 인입할 때의 인입 지지면이 된다. 또한 리어 그립510의 단차면512의 내경측의 단부는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삽입된 경우, 클로설치홈123의 내경측의 구석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챔퍼링(chamfering)상태로 절결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립510,540에는 이들을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삽입했을 때 클로설치홈123의 연장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클램프볼트용공530,560이 형성되어 있다. 리어 그립510의 클램프볼트용공530에는 클램프볼트의 선단의 나사부분이 나사박음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그립540에 형성된 클램프볼트용공560의 외경측 단면544측에는 클램프볼트용공560과 동축에 클램프볼트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스폿561이 형성되어 있다.
리어 그립510 및 프론트 그립540에 의해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a)∼도7(c)는 각각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에 설치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척본체110의 마스터 조 삽입홈115에는 마스터 조1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그립510,540을 삽입한다. 우선, 리어 그립510을 외경측 단면(대향 파형 걸어맞춤면)513이 외경측이 되는 방향으로 클로설치홈123에 삽입하고, 그 후 프론트그립540을 외경측 단면544이 외경측이 되는 방향으로 클로설치홈123에 삽입한다. 그 결과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는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그립510,540이 설치된다.
다음에,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에 대해서 설치한다.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의 상측으로부터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테어240를 클로설치홈123에 삽입하며,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210가 마스터 조120상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한다. 이 때 스테어부착클로200의 클로210의 하면의 셀레이션면273,274의 셀레이션과,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의 셀레이션을 소정 위치에서 걸어맞춤시킨다(도2 및 도5 참조). 이로써 스테어부착클로200는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마스터 조120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스테어240를 클로설치홈123에 삽입했으면, 도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본체110의 외주면의 마스터 조120의 단부로부터 클램프볼트570를 삽입한다. 클램프볼트570는 프론트 그립540의 외경측 단면544(도6 참조)의 클램프볼트용 스폿561 부분으로부터 클램프볼트용공560에 삽입되며, 스테어240의 프론트측 단면246(도3 참조)으로부터 리어측 단면245까지 클램프볼트통과공263을 통과하여, 나사공에 형성되어 있는 리어 그립510의 클램프볼트용공530에 나사박음된다.
이 상태로 클램프볼트570를 단단히 조여 감으로써 리어 그립510과 프론트 그립540과의 간격이 좁아지며,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스테어240의 파형 걸어맞춤면(245,246)과 그립510,540의 대향 파형 걸어맞춤면(513,543)이 걸어맞춰 치합하며, 스테어부착클로200는 그립510,54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하방향으로 인입된다. 이때 그립510,540의 단차면512,542(도6 참조)은 마스터 조120의 단차면(인입 지지면)124에 당접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척본체110의 단면112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스테어부착클로200는 마스터 조120에 대해서 클로설치홈123의 깊이방향으로 인입되게 되며, 스테어부착클로200의 하면의 셀레이션면273,274의 셀레이션(힘줄 모양의 톱니)과,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의 셀레이션(스파이크)이 깊게 걸어맞춤하게 된다. 그 결과 이들 셀레이션의 중심이 정밀하게 위치맞춤됨으로써 스테어부착클로200의 클로210의 위치도 고정도로 위치결정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톱플레이트310 및 톱커버360에 대해서 도8∼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톱플레이트310와 3매의 톱커버360를 구비한 한벌을 톱커버세트(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300라 칭한다. 도8은 척이 열린 상태의 척본체110의 단면112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9는 척이 닫힌 상태의 척본체110의 단면112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톱플레이트3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10(a)는 평면도 (척본체110의 단면112에 장착한 경우, 척본체110의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단면112방향을 본 도면, 이하 동일), 도10(b)는 도10(a)의 A의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10(c)는 도10(a)의 B-B에 있어서의 확대부분 단면도, 도10(d)는 도10(a)의 C-C에 있어서의 확대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10(b)에 있어서, 도10(a)의 D-D의 라인으로부터 도시 우측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11은 톱커버36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11(a)는 평면도, 도11(b)는 도11(a)의 E의 방향에서 본 정면도、도11(c)는 도11(a)의 F의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플레이트310 및 톱커버360는 척본체110의 단면112에 설치되어, 마스터 조120 및 스테어부착클로200의 내경측 단부(척본체110의 단면112의 내경측 단부)와, 척본체110에 설치된 척커버117(척커버덮개118) 사이에 생기는 간극으로의 절삭부스러기의 침입을 막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척본체110의 단면112에는 1매의 톱플레이트310와 3매의 톱커버360가 설치되어 있다.
톱플레이트310는 도10(a)및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판상부재이다. 톱플레이트310의 길이가 긴 3변의 중앙부에는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320이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320은 톱플레이트310를 척본체110의 단면112에 설치했을 때,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본체110의 마스터 조 삽입홈115의 중심측 부분에 겹치는 절결이다. 즉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320의 폭a은 마스터 조 삽입홈115의 폭과 동일하며,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320에는 마스터 조 삽입홈115 내를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는 마스터 조120의 중앙부측의 단부가 진입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320의 안 길이b로서는 척이 닫힌 상태, 즉 마스터 조120의 중심측의 단부가 가장 중심측으로 이동했을 때 (도9의 상태)、마스터 조120와 톱플레이트310가 간섭하지 않는 길이가 확보되어 있다.
톱플레이트310의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320의 주위에는 톱커버안내오목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톱커버안내오목부330는 도10(c)및 도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플레이트310의 하면측 (척본체110의 단면112에 접하는 측)에 형성되며, 그 내부를 후술하는 톱커버360가 마스터 조120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척본체110의 단면112의 직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톱커버안내오목부330의 폭c은 톱커버세트300가 덮어 폐색하고자 하고 있는 간극、즉 마스터 조120의 내경측 단부와 척커버117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폭(톱플레이트310의 길이가 긴 변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과 대략 동일한 길이이다. 또한 톱커버안내오목부330의 폭c은 후술하는 톱커버360의 폭과 대략 동일한 것으로, 톱커버360가 톱커버안내오목부330 내를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길이이다.
또한 톱커버안내오목부330의 안 길이d로서는 척이 닫힌 상태, 즉 마스터 조120의 중심측의 단부가 가장 중심측으로 이동했을 때(도9의 상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조120에 추종하여 중심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톱커버360의 중심측 단부가 톱플레이트310에 간섭하지 않는 길이가 확보되어 있다.
톱커버360는 도11(a)∼도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판상부재이다. 톱커버360는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플레이트310의 3곳의 톱커버안내오목부330에 각각 끼워넣어져 톱커버안내오목부330으로 안내되어, 척본체110의 단면112을 직경방향으로 이동한다.
톱커버360의 외측의 (중심부에 대해) 그 주변 부분에는 그 (중심부에 대해) 그 주변 부분의 양측에 내측을 향해 절결된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제1의 밀접부)370가 형성되며, 그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370사이에 외측을 향해 돌출한 그립당접부(grip當接部)(제2의 밀접부)375가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370는 마스터 조120의 중심측의 단부에 끼워맞춤하는 부분 (밀접부)이다. 또한 그립당접부375는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삽입된 리어 그립510의 내경측 단면514에 당접하는 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조120에는 폭방향의 양측에 셀레이션면125、126이 형성되어 있다(도2 참조). 또한 한쪽의 셀레이션면125과 다른 쪽 셀레이션면126 사이는 클로설치홈123의 상부 개구127로 되어 있다. 또한 셀레이션면125、126은 척본체110의 단면112보다 표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톱커버360는 이러한 구성의 마스터 조120의 중심측 단부에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370에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이 끼워맞춤하며, 톱커버360의 그립당접부375는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 사이의 홈개구부127에 끼워 맞춤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에 장착한 경우,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 사이의 홈개구부127에는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스테어240를 끼워 지지하는 그립510,540이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그립당접부375의 단부는 리어 그립510의 내경측 단면514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탄면이다)、스테어부착클로200를 장착하기 위해 마스터 조120의 홈개구부127에 리어 그립510을 삽입한 상태에서는, 그립당접부375는 리어 그립510의 내경측 단면514에 당접한다. 이로써 톱커버360는 양측의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370 및 중앙의 그립당접부375의 외측의 (중심부에 대해서) 그 주변의 모든 부분에서 마스터 조120 및 리어 그립510에 당접(밀접)한다.
톱플레이트3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330의 영역에는 도10(a)및(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tap)332이 형성되어 있다. 탭332은 톱커버안내오목부330를 안팎으로 관통하는 나사공이다. 탭332은 톱플레이트310의 3곳의 톱커버안내오목부330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탭332에는 도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커버고정볼트340가 설치된다. 톱커버고정볼트340는 예를들어 육각구멍붙이 고정나사이다.
또한 도11(a)∼도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커버360의 표면에는 고정볼트받이(fixing bolt seat)380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볼트받이380는 소정 깊이로 장원(oval)형상의 오목부(recess part)이다. 고정볼트받이380는 톱커버360를 톱플레이트3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330에 끼워넣었을 때 톱플레이트310의 탭332이 장착되어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고정볼트받이380에는 톱커버360를 톱플레이트310에 장착했을 때, 톱플레이트310의 탭332에 설치된 톱커버고정볼트340의 선단이 삽입된다. 그리고 통상의 상태에서는 톱커버고정볼트340는 고정볼트받이380의 바닥면을 누르는 상태로 하지 않고, 톱커버360가 톱플레이트3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330를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정도로 고정볼트받이380에 헐겁게 끼워맞춤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상태에서는 톱커버360는 톱플레이트3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330를 따라 척본체110의 단면112의 직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톱커버360를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톱커버고정볼트340를 단단히 조인다. 즉 톱커버고정볼트340가 톱커버360의 고정볼트받이380의 바닥면을 누른 상태로 톱커버고정볼트340를 조인다. 그 결과 톱커버360는 척본체110의 단면112과 톱커버고정볼트340 사이에서 끼워 지지된 상태가 되어, 톱커버360의 톱플레이트3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330를 따른 이동은 불능이 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이들 탭332、톱커버고정볼트340 및 고정볼트받이380에 의한 톱커버36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은 특허청구의 범위 등에 기재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고정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도10(a)∼도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플레이트3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330를 형성하는 면 중 안쪽면에는 스프링의 단부가 설치되는 스프링와셔(spring washer)3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1(a)∼도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커버360의 중심측의 단면의 중앙부, 즉 톱커버360를 톱플레이트3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330에 설치했을 때, 톱플레이트310의 스프링와셔335에 대향하는 면은 스프링와셔(힘받이부)385가 형성되어 있다.
톱커버360를 톱플레이트3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330에 장착할 때에는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플레이트310에 마련된 스프링와셔335와 톱커버360에 마련된 스프링와셔385 사이에 톱플레이트310와 톱커버360를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힘을 탄성바이어스하는 스프링390(탄성바이어스수단)이 배치된다. 이로써 톱커버360에는 항상 외측방향의 힘, 즉 마스터 조120의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톱커버360는 마스터 조120에 억눌린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톱플레이트310는 볼트공339에 도시하지 않은 부착볼트가 삽입되어,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본체110의 단면112에 설치된다.
또한 톱플레이트310 및 톱커버360는 척본체110에 마스터 조120가 설치된 상태로,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에 설치하기 전에 척본체110의 단면112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척기구10에 있어서도, 선반1으로 공작물을 절삭가공할 때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조120 및 이에 장착된 클로210를 척본체110의 단면112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움직여서 척이 열린 상태로 하고, 열린 척본체110의 단면의 중앙부에 공작물을 끼워넣는다. 이때, 마스터 조120에 대해서는 스프링390에 의해 외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는 톱커버360가 눌려서 마스터 조120의 중심측의 단면에 끼워맞춤하고 있다. 즉 톱커버360의 양측의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370가 마스터 조120의 중심측의 셀레이션면125、126의 단부에 당접 끼워맞춤하여, 톱커버360의 그립당접부375가 마스터 조120에 장착된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스테어240의 중심측 단면에 당접 끼워맞춤하고 있다.
또한 톱커버360의 주위는 톱플레이트310에 의해 덮여 있으며, 마스터 조120의 직경방향 중심부측의 단면과 척커버117(척커버덮개118)의 외경부 사이의 간극은 척본체110의 단면112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즉 본 실시형태의 척기구10에 있어서는, 마스터 조120 및 스테어부착클로200가 척본체110의 단면112의 외주측으로 후퇴하여 척이 열린 상태에서도 마스터 조120의 중앙 중심측으로 절삭부스러기가 진입할만한 간극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공작물을 배치하면, 마스터 조120 및 스테어부착클로200를 직경방향 내측으로 움직여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을 닫힌 상태로 하여, 공작물을 3개의 클로210로 파지한다. 이때에도 톱커버360는 마스터 조120의 이동에 맞춰 중심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때에도 마스터 조120의 중앙 중심측으로 절삭부스러기가 진입할만한 간극은 형성되지 않는다. 즉 마스터 조120의 직경방향 중심부측의 단면과 척커버117(척커버덮개118)의 외경부와의 간극은 척본체110의 단면112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척기구10에 따르면, 절삭부스러기가 클로210、마스터 조120、마스터 조 삽입홈115 혹은 척본체110에 부착하거나 퇴적하거나 하는 것을 적절하게 막을 수 있으며, 척킹 불량이나 공작물의 파지 정도(클램프 정도)의 저하 등이 발생할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원하는 절삭 가공을 고정도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로써 선반 등의 공작기계의 자동 운전, 무인 운전, 유지 보수가 불필요한 가동 등이 가능해져 생산성 및 기계 가동율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 톱커버세트(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300의 다른 형태에 대해서, 도14∼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반 등의 공작기계를 자동화 혹은 무인화 운전할 경우에는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 혹은 마스터 조와 클로와의 걸어맞춤 셀레이션면(이하, 단순히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125이라 칭한다)에 청소를 위한 에어 블로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톱커버세트는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에 에어 블로우를 행할 수 있는 톱커버세트이다.
제2 실시형태의 톱커버세트도 제1 실시형태의 톱커버세트300와 마찬가지로 1매의 톱플레이트610와 3매의 톱커버(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660를 가지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선반 1에 적용된다. 단, 제2 실시형태의 톱커버세트가 적용되는 척본체110에는 축방향 중앙부에 에어가 보내져 오는 주축 내부 파이프114(도14(b)참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톱플레이트610、톱커버660 및 상기 주축 내부 파이프114 이외의 구성, 즉 이들 이외의 척기구10나 선반1 혹은 마스터 조120 등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톱플레이트610와 톱커버66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을 생략함과 동시에, 참조하는 경우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이용한다.
도14는 톱플레이트6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4(a)는 평면도, 도14(b)는 도14(a)의 G-G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14(a)에는 제2 실시형태의 톱플레이트610와 제1 실시형태의 톱플레이트310의 차이가 명확해지도록 제1 실시형태의 톱플레이트310를 2점 쇄선에 의해 나타낸다. 도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제2 톱플레이트610는 제1 실시형태의 톱플레이트310의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320 및 톱커버안내오목부330를 척본체110의 단면112의 외주까지 확대한 구성이다.
즉, 제2 실시형태의 톱플레이트610는 제1 실시형태의 톱플레이트310보다 1회전 크며, 척본체110의 단면112의 대부분을 덮는 거의 삼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판상부재이다.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620 및 톱커버안내오목부630의 구조는 안 길이b 및 d(도10 참조)가 길어진 점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320 및 톱커버안내오목부330와 동일하다. 또한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620 및 톱커버안내오목부630의 기능은 삽입되는 톱플레이트가 다를 뿐, 기본적인 기능은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320 및 톱커버안내오목부330와 동일하다.
또한 톱플레이트6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630를 형성하는 면 중 안쪽면에는 제1 실시형태의 스프링와셔335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의 단부가 설치되는 스프링와셔(스프링공)6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톱플레이트6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630의 영역에는 제1 실시형태의 탭332과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의 탭632이 형성되어 있다.
도14(a) 및 도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톱플레이트610의 중앙부의 하면(척본체110의 단면112에 접하는 면)에는 중심 원형공651 및 3곳의 스프링공 접속홈652으로 이루어진 톱플레이트 공기홈650이 형성되어 있다. 중심 원형공651은 척본체110의 주축 내부 파이프114를 통해 보내져 온 에어를 받는 오목부이며, 스프링공 접속홈652은 중심 원형공651과 3곳의 스프링공(스프링와셔)635를 각각 접속하는 홈이다. 이러한 구조의 톱플레이트 공기홈650에 의해 척본체110의 주축 내부 파이프114를 통해 보내진 에어는 중심 원형공651、스프링공 접속홈652 및 스프링공(스프링와셔)635을 통해 톱커버안내오목부630로 보내진다.
도15는 톱커버66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15(a)는 전체의 평면도, 도15(b)는 도15(a)의 H 부분의 확대도(부분 평면도), 도15(c)는 도15(b)와 동일한 부분의 단면도(도15(c)의 L-L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15(d)는 도15(a)의 H 부분을 도15(a)의 I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15(E)는 도15(a)의 H부분의 도15(b)의 J-J 및 도15(d)의 L-L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톱커버660는 제1 실시형태의 톱커버360와 마찬가지로 대략 장방형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판상부재이다. 톱커버660는 톱플레이트610의 3곳의 톱커버안내오목부630(도14(a)참조)에 각각 끼워 넣어져 톱커버안내오목부630로 안내되어 척본체110의 단면112을 직경방향으로 이동한다.
톱커버660는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670 및 그립당접부675를 가진다. 이들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670 및 그립당접부675는 제1 실시형태의 톱커버360의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370 및 그립당접부375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이다. 즉,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670는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도8 및 도9 참조. 이하 동일)에 끼워맞춤하며, 그립당접부675는 리어 그립510의 내경측 단면514에 당접한다. 이로써 톱커버660는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670 및 중앙의 그립당접부675를 포함하는 외측의 (중심부에 대해서) 그 주변의 모든 부분에서 마스터 조120 및 리어 그립510에 당접(밀접)한다.
또한 톱커버660의 표면에는 고정볼트받이6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톱커버660의 중심측의 단면의 중앙부, 즉 톱커버660를 톱플레이트6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630에 설치했을 때, 톱플레이트610의 스프링공(스프링와셔)635에 대향하는 면은 스프링공(스프링와셔)685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볼트받이680 및 스프링공(스프링와셔)685의 구조 및 기능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의 톱커버360의 고정볼트받이380 및 스프링와셔385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이다.
제2 실시형태의 톱커버660가 제1 실시형태의 톱커버360와 크게 다른 점은 이하의 2가지 점이다. 첫째는, 2곳의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670의 외측 부분이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670 방향을 따라 크게 연장되어 마스터 조 측부측 연장부665에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둘째는, 그 마스터 조 측부측 연장부665에 형성된 에어 분출구695를 포함하는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에 에어를 분출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첫번째 차이점에 관해서, 제1 실시형태의 톱커버360의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370의 외측 부분의 형상을 도15(a)에 2점 쇄선에 의해 나타낸다. 도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톱커버660에 있어서는,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670의 양 외측부분이 마스터 조120가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마스터 조 측부측 연장부665는, 도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커버660가 마스터 조120에 끼워맞춤된 경우에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의 측부의 전역(全域)을 따라 배치된다.
두번째 차이점에 관해서, 제2 실시형태의 톱커버660는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에 에어를 분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접속홈691 및 연장부 공기홈692으로 이루어진 톱커버 공기홈(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공기홈)690과 에어 분출구695를 가진다. 접속홈691은 스프링공(스프링와셔)685과 연장부 공기홈692의 단부를 접속하는 홈이다. 연장부 공기홈692는 마스터 조 측부측 연장부665의 내측(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에 근접하는 측(도16 참조))을 따라 형성되는 홈이다.
그리고 에어 분출구695는 도15(b)、도15(c) 및 도1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 공기홈692으로 흐른 에어를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개구부이다. 에어 분출구695는 도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조 측부측 연장부665의 내측 단면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연장부 공기홈692과 마스터 조 측부측 연장부665의 내측 단면을 연통하는 구조이며, 도15(b)및 도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조 측부측 연장부665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정렬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2 실시형태의 톱커버세트(톱플레이트610、톱커버660)에 의해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에 에어 블로우를 행하는 것에 대해서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6은 척본체110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톱플레이트610 및 톱커버660、및 마스터 조120를 설치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3곳 중 1개소만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16(a)는 평면도, 도16(b)는 도16(a)에 있어서의 M의 부분의 단면도(도16(c)의 R-R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16(c)은 도16(a)의 M의 부분을 도16(a)의 N의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16(d)는 도16(a)의 M의 부분의 도16(b)의 P-P 및 도16(c)의 Q-Q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플레이트610를 장착한 선반 등에 있어서, 주축 내부 파이프114를 통해 보내져 온 에어는 톱플레이트610의 중심 원형공651、스프링공 접속홈652 및 스프링공(스프링와셔)635를 흘러 톱커버안내오목부630으로 보내진다. 톱플레이트610의 톱커버안내오목부630로 보내진 에어는 톱커버660의 스프링공(스프링와셔)685를 통해 톱커버660의 접속홈691 및 연장부 공기홈692을 흘러, 도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 공기홈692에 대해서 형성된 에어 분출구695로부터 마스터 조120 및 클로의 셀레이션면 125,126방향으로 분출된다.
이때 에어 분출구695와 마스터 조120 및 클로의 셀레이션면125,126과의 위치관계는, 도16(c)및 도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분출구695로부터 분출한 에어가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의 톱니 사이(홈)로 분출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에 적절하게 에어가 분출되어, 가령 셀레이션의 홈에 절삭부스러기나 쓰레기 등이 존재하고 있었을 경우라도 그 절삭부스러기 등을 불어 내어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톱플레이트610 및 톱커버660를 이용하더라도 선반 1 등에 있어서 절삭부스러기가 클로、마스터 조、마스터 조 삽입홈 혹은 척본체에 부착하거나 퇴적하거나 하는 것을 적절하게 막을 수 있으며, 척킹 불량이나 공작물의 파지 정도(클램프 정도)의 저하 등이 발생할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특히 제2 실시형태의 톱플레이트610 및 톱커버66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작물의 교환이나 클로의 교환을 행할 때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에 절삭부스러기가 들어가는 것을 적절하게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선반 등의 공작기계의 자동 운전, 무인 운전, 유지 보수가 불필요한 가동 등이 가능해지며, 그들 자동 운전 등에 의해 원하는 절삭가공을 고정도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생산성 및 기계 가동율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의 톱커버세트를 적용하는 경우, 척본체110의 단면112과 톱플레이트610 사이에 에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상 부재를 설치하도록 해도 괜찮다. 시트상 부재는 톱플레이트610와 거의 동일한 외형을 가지며, 톱플레이트610의 하면의 톱플레이트 공기홈650의 중심 원형공 651、톱커버안내오목부630、볼트공639 등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결된 부재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톱플레이트 공기홈650의 스프링공접속홈652의 부분도 더 절결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그 시트상 부재의 재질로서는, 척본체110의 단면112과 톱플레이트610의 하면과의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재료라면 임의의 재료라도 좋으며, 고무 등의 수지, 금속, 세라믹 등의 임의의 재료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기로는 패킹 혹은 가스켓 등으로서 통상 이용되는 재료가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트상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제2 실시형태로서 전술한 의도한 유로(流路) 이외로 에어가 흐르는 것, 즉 에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에 의해 절삭부스러기 등을 불어 날려서 제거한다는 전술한 제2 실시형태의 톱커버세트의 작용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트상 부재도 본원발명의 하나이며, 이러한 시트상 부재를 포함하는 톱커버세트(절삭부스러기·분진커버세트)도 본원발명의 범위 내이다.
변형예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로 바람직한 여러가지의 개변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터 조는 폭이 넓은 바닥부와 폭이 좁은 상부가 2단으로 연결된 단면 형상의 마스터 조120이며(도2 참조), 이것이 끼워 삽입되는 척본체110의 홈115도 마스터 조1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폭이 넓은 바닥부와 폭이 좁은 상부가 2단으로 연결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마스터 조 및 척본체의 마스터 조 삽입홈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조는 폭이 넓은 바닥부와 폭이 좁은 상부를 1단만 가지는 단면 형상의 마스터 조120b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척본체110의 홈도 마스터 조1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폭이 넓은 바닥부와 폭이 좁은 상부를 1단만 가지는 단면 형상의 마스터 조 삽입홈115b이 된다. 이와 같이 마스터 조 및 이것이 끼워 삽입되는 척본체의 마스터 조 삽입홈의 단면 형상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마스터 조를 척본체에 장착할 때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마스터 조 및 척본체의 마스터 조 삽입홈은 이러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테어부착클로200는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와 셀레이션피스271、272가 셀레이션피스 부착볼트280에 의해 조립되어 일체화된 구성이었다(도3 참조). 그러나 스테어부착클로본체와 횡셀레이션피스 및 종셀레이션피스의 연결 형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어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곳의 노크 핀(knock pin)282에 의해 이들을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도18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200b에 있어서는, 횡셀레이션피스271b 및 종셀레이션피스272b를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b의 셀레이션피스용 절결203 및 204(도4 참조)에 각각 배치하여, 셀레이션피스271b,272b 및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b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노크 핀 통과공207에 노크 핀282을 삽입하며, 노크 핀282의 양 단면283을 셀레이션피스271b,272b에 용접해 두고, 이로써 도3을 참조하여 전술한 스테어부착클로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의 스테어부착클로200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크 핀282의 용접에 의해 셀레이션피스271b,272b를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b에 설치함으로써 볼트의 헐거움에 따른 셀레이션피스의 흔들거림이나 위치어긋남을 막을 수 있으며, 보다 강고하게 셀레이션피스를 스테어부착클로본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셀레이션피스와 스테어부착클로본체를 연결하는 볼트 혹은 노크 핀의 수는 도3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에서는 3개, 도18에 도시한 스테어부착클로에서는 2개로 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개수라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이 볼트 등의 수는 필요한 강도나 스테어부착클로의 사이즈 등에 따라 바람직한 개수로 결정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어 그립510 및 프론트 그립540에 의해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에 설치하는 방법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그립510,540을 삽입하고(도7(a)), 그 후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의 상측으로부터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테어240를 클로설치홈123에 삽입하며(도7(b)), 마지막으로 클램프볼트570를 삽입하여 조여 가는 것이었다. 그러나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에 설치하는 방법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테어부착클로200와 리어 그립510 및 프론트 그립540을 클램프볼트570에 의해 연결해 두는 방법이라도 좋다.
즉, 도19에 도시하는 방법에서는, 리어 그립510 및 프론트 그립540을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설치하기 전에, 외부에서 스테어부착클로200와 리어 그립510 및 프론트 그립540을 클램프볼트570에 의해 연결해 둔다(도19(a)). 다음에, 클램프볼트570에 의해 연결된 스테어부착클로200、리어 그립510 및 프론트 그립540을 척본체110에 설치된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척본체110의 외주측으로부터 끼워 삽입해 가며,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도19(b)).
이때 클램프볼트570를 단단히 조여둘 필요는 없다. 스테어부착클로200 등을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끼워 삽입할 때에는 스테어부착클로200의 클로210의 하면에 형성된 셀레이션면273,274과 마스터 조120의 상면에 형성된 셀레이션면125,126이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을 따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클램프볼트570는 스테어부착클로200를 상하방향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의 깊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헐거워져 있으며, 스테어부착클로200가 충분히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리어 그립510 및 프론트그립540을 척본체110에 설치된 마스터 조120의 클로설치홈123에 삽입했으면 클램프볼트570를 조여 간다. 그 결과, 도7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테어부착클로200는 그립510,54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아래방향으로 인입되어, 스테어부착클로200의 셀레이션면273,274의 셀레이션과 마스터 조120의 셀레이션면125,126의 셀레이션이 깊게 걸어맞춤하여 스테어부착클로200의 클로210의 위치도 고정도로 위치결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테어부착클로200를 마스터 조120에 설치할 경우에는 스테어부착클로200가 처음부터 리어 그립510 및 프론트 그립54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장착시에 스테어부착클로200가 탈락하는 일 없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스테어부착클로200에 설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톱플레이트310,610의 톱커버고정볼트340가 톱커버360,660의 고정볼트받이380,680에 헐겁게 끼워맞춤됨으로써 톱커버360,66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톱커버고정볼트340를 나사박음 함으로써 톱커버360,660를 고정가능하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마스터 조120가 척본체110로부터 제거되는 일은 드물며, 특히 톱커버360,660를 고정할 필요가 없으면 톱플레이트310,610의 톱커버고정볼트340와 톱커버360,660의 고정볼트받이380,680를 헐겁게 끼워맞춤시키는 구성(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고정수단)은 없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 없더라도 절삭부스러기의 척기구 내로의 침입을 막는다는 본원발명의 목적은 아무런 영향없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톱플레이트310,610와 톱커버360,660를 이반하는 방향으로 힘을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으로서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은 이른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판스프링 등이라도 좋으며, 톱커버360,660를 톱플레이트310,610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가능한 수단이라면 임의의 구성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테어부착클로(200,200b)는 、클로본체(202)와 스테어(240)가 일체화된 스테어부착클로본체(201,201b)에 횡셀레이션피스(271,271b)와 종셀레이션피스(272,272b)를 부착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셀레이션(273,274)이 일체로 형성된 클로(210)에 스테어(240)와 부착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으며, 그러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선반에 적용한 예를 설명했으나, 본 발명을 적옹 가능한 공작기계는 선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밀링머신 및 머시닝센터와 같이 공작물을 척기구에 고정한 상태로 가공하는 임의의 공작기계에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1 : 선반(공작기계)
10 : 척기구
110 : 척본체
120,120b : 마스터 조
200,200b : 스테어부착클로
201,201b : 스테어부착클로본체
210 : 클로(소프트 조)
240 : 스테어
300 : 톱커버세트(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
310,610 : 톱플레이트
320,620 : 마스터 조 진입용 절결
330,630 : 톱커버안내오목부
332,632 : 탭(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고정수단)
335,635 : 스프링와셔(스프링공)
339,639 : 볼트공
340 : 톱커버고정볼트(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고정수단)
650 : 톱플레이트공기홈
651 : 중심 원형공
652 : 스프링공 접속홈
360,660 : 톱커버(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665 : 마스터 조 측부측 연장부
370,670 : 마스터 조 셀레이션면 끼워맞춤부(제1의 밀접부)
375,675 : 그립 당접부(제2의 밀접부)
380,680 : 고정볼트받이(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고정수단)
385,685 : 스프링와셔(스프링공)
390 : 스프링
690 : 톱커버공기홈(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공기홈)
691 : 접속홈
692 : 연장부 공기홈
695 : 에어 분출구
510、540 : 그립

Claims (12)

  1. 척단면에 설치되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마스터 조의 상기 척단면의 중심측의 소정 영역을 덮는 판면부와,
    상기 마스터 조와 당해 마스터 조에 설치되어 당해 마스터 조와 일체화된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에 대해서, 당해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의 상기 중심측의 단부에 밀접하는 밀접부와,
    상기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의 상기 척단면의 직경방향의 소정의 이동에 대해서, 상기 밀접한 상태를 유지하여 당해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를 추종시키는 탄성바이어스력을 받는 힘받이부와 
    를 가지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2. 상기 밀접부는, 상기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 부분의 상기 중심측에 밀접하는 제1의 밀접부를 가지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3. 상기 밀접부는, 마스터 조 등 이동부재의 상기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 부분 이외의 부분에 밀접하는 제2의 밀접부를 가지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4. 상기 마스터 조의 직경방향 양측을 따라 연장되는 마스터 조 측부측 연장부와,
    상기 마스터 조 측부측 연장부에 형성되어, 상기 마스터 조의 셀레이션면에 기류를 분출하는 에어 분출구와,
    소정 부분으로부터 공급되는 기류를 상기 에어 분출구에 공급하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공기홈과
     를 더 가지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5. 척단면에 설치되는 척단면플레이트에 있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를 상기 척단면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가능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안내부와,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안내부에 장착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상기 탄성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과
    를 가지는 척단면플레이트.
  6. 척단면에 설치되는 척단면플레이트에 있어서,
    청구항4에 기재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를 상기 척단면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 가능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 안내부와,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안내부에 장착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상기 탄성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과,
    척본체에 설치된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기류를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공기홈에 공급하는 톱플레이트공기홈과
    를 가지는 척단면플레이트.
  7. 청구항 1에 기재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와,
    척단면에 설치되는 척단면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가 상기 척단면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안내부와,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안내부에 장착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상기 탄성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과
    를 가지는 척단면플레이트와
    을 가지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
  8. 청구항4에 기재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와,
    척단면에 설치되는 척단면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가 상기 척단면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안내부와,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안내부에 장착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상기 탄성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과,
    척본체에 설치된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기류를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공기홈에 공급하는 톱플레이트공기홈과
    를 가지는 척단면플레이트와
    를 가지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
  9.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마스터 조에 대한 복수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와,
    복수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대한 복수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 안내부와, 복수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에 대한 복수의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을 가지는 상기 척단면플레이트와
    를 가지는 청구항7에 기재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
  10.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및 상기 척단면플레이트의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설치 안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의 이동범위를 규정하는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 고정수단을 가지는 청구항7에 기재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
  11. 청구항 7∼10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를 가지는 척기구.
  12. 청구항 11에 기재된 척기구를 가지는 공작기계.
KR1020187036611A 2016-11-15 2017-11-15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척기구 및 공작기계 KR102133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2648 2016-11-15
JP2016222648 2016-11-15
PCT/JP2017/041069 WO2018092797A1 (ja) 2016-11-15 2017-11-15 切粉・粉塵防止カバー、切粉・粉塵防止カバーセット、チャック機構及び工作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921A true KR20190008921A (ko) 2019-01-25
KR102133361B1 KR102133361B1 (ko) 2020-07-13

Family

ID=6214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611A KR102133361B1 (ko) 2016-11-15 2017-11-15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척기구 및 공작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53475B2 (ko)
EP (1) EP3466575A4 (ko)
JP (1) JP7082415B2 (ko)
KR (1) KR102133361B1 (ko)
CN (1) CN109311100B (ko)
WO (1) WO20180927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637A1 (ko) 2019-01-23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장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7771B2 (ja) * 2018-10-16 2023-08-16 有限会社 シンセテック チャック機構、爪装着アダプタ、及び切粉・粉塵防止カバー
US20220184712A1 (en) * 2019-03-27 2022-06-16 Howa Machinery, Ltd. Dust-proof mechanism of chuck, and chuck
CN112605798B (zh) * 2020-12-15 2022-06-14 铭宇科技(娄底)有限公司 一种汽车零部件加工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6603U (ja) * 1991-06-05 1992-12-18 豊和工業株式会社 クイツクチエンジチヤツクの防塵装置
US5590985A (en) * 1994-04-02 1997-01-07 Gunter Horst Rohm Drill with pneumatically self-clearing chuck
EP0674960B1 (de) * 1994-04-02 1998-04-29 Günter Horst Röhm Bohrfutter
JP2001277012A (ja) * 2000-03-31 2001-10-09 Howa Mach Ltd チャック
JP5014771B2 (ja) * 2005-12-23 2012-08-29 ロェーム ゲーエムベーハー ドリリング装置
KR101646618B1 (ko) * 2016-05-27 2016-08-08 홍순명 테이블 가공영역 확장용 공작기계 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8521A (en) * 1949-02-10 1951-01-16 E Horton & Son Company Chuck and dust excluding jacket therefor
US2905477A (en) * 1956-11-13 1959-09-22 Buck Tool Co Chuck
US3096098A (en) * 1961-04-13 1963-07-02 Buck Tool Co Chuck jaw construction
JPS479184Y1 (ko) * 1968-09-27 1972-04-07
JPS5226150Y2 (ko) * 1972-11-22 1977-06-14
US3904214A (en) * 1974-01-09 1975-09-09 Power Hold Products Inc Fluid operated compensating chuck
JPS55100053A (en) 1979-01-24 1980-07-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ynchronous motor
US4504070A (en) * 1982-06-09 1985-03-12 Speedgrip Chuck, Inc. Anti-centrifugal chuck
JPS6127605U (ja) * 1984-07-26 1986-02-19 株式会社 根来鉄工所 スクロ−ルチヤツクの防塵装置
JPS61125710A (ja) * 1984-11-21 1986-06-13 Daihatsu Motor Co Ltd チヤツク装置
JP2942336B2 (ja) 1990-09-26 1999-08-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焼器および燃焼設備
US6073940A (en) * 1998-02-11 2000-06-13 The Goss & Deleeuw Machine Company Sealed chuck assembly
DE19923752A1 (de) * 1999-05-25 2000-11-30 Stiefelmayer Gmbh & Co Kg C Spanneinrichtung für Gegenstände, z. B. für zu bearbeitende Werkstücke
JP3690987B2 (ja) * 2000-05-16 2005-08-31 有限会社志田製作所 ワークチャッキング装置
EP1280179A3 (en) * 2001-07-23 2003-09-03 Asahi Glass Company Ltd. Flat display panel
US6953198B2 (en) * 2003-09-30 2005-10-11 Mp Tool & Engineering, Co. Short pull-back chuck
JP4273218B2 (ja) 2007-07-09 2009-06-03 和秀 小林 チャック機構、爪材、及び旋盤
CN102292179A (zh) * 2009-01-21 2011-12-21 有限会社辛塞科技 卡盘机构、卡爪部件、以及车床
CN205128959U (zh) * 2015-11-10 2016-04-06 呼和浩特众环(集团)有限责任公司 新型楔式动力卡盘
WO2017199584A1 (ja) 2016-05-16 2017-11-23 有限会社 シンセテック チャック機構、ステア付爪及び工作機械
DE102017103564B4 (de) * 2017-02-21 2022-10-13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Spann- oder Greifeinrichtung, äußeres Abdeckelement und Dichtung für eine solch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6603U (ja) * 1991-06-05 1992-12-18 豊和工業株式会社 クイツクチエンジチヤツクの防塵装置
US5590985A (en) * 1994-04-02 1997-01-07 Gunter Horst Rohm Drill with pneumatically self-clearing chuck
EP0674960B1 (de) * 1994-04-02 1998-04-29 Günter Horst Röhm Bohrfutter
JP2001277012A (ja) * 2000-03-31 2001-10-09 Howa Mach Ltd チャック
JP5014771B2 (ja) * 2005-12-23 2012-08-29 ロェーム ゲーエムベーハー ドリリング装置
KR101646618B1 (ko) * 2016-05-27 2016-08-08 홍순명 테이블 가공영역 확장용 공작기계 바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 제4273218호 공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637A1 (ko) 2019-01-23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장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11100B (zh) 2020-12-11
JPWO2018092797A1 (ja) 2019-10-24
KR102133361B1 (ko) 2020-07-13
WO2018092797A1 (ja) 2018-05-24
EP3466575A1 (en) 2019-04-10
JP7082415B2 (ja) 2022-06-08
US10953475B2 (en) 2021-03-23
EP3466575A4 (en) 2020-03-04
CN109311100A (zh) 2019-02-05
US20190329325A1 (en)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8921A (ko) 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절삭부스러기·분진 방지커버세트、척기구 및 공작기계
US11135656B2 (en) Cutting tool holder and cutting tool
KR101907670B1 (ko) 척 기구, 스테어부착 클로 및 공작기계
US7866641B1 (en) Machining center adaptor having a fluid-emitting orifice arrangement for cleaning work piece chucks
US8635751B2 (en) Mechanical clamping element and clamping system
JP6833900B2 (ja) クーラントチャネルを有するクランプ装置、当該クランプ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のようなクランプ装置を有する旋削装置のための工具ホルダプレート
JP7327771B2 (ja) チャック機構、爪装着アダプタ、及び切粉・粉塵防止カバー
US20100005637A1 (en) Turbine Element Repair Fixture
US20120093595A1 (en)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for the Same
JP2008142887A (ja) 締付けチャック
US7461903B2 (en) Cutting tool
US20160107284A1 (en) Tool holder
JP7312243B2 (ja) 旋削工具ホルダ
KR20120104110A (ko) 턴-턴 클리어링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
US20200198022A1 (en) Wheel rim chuck with soft jaws
US6359256B1 (en) Changing device for a laser machining tool
JP5086151B2 (ja) ワーク検知装置及びワーク検知方法並びにワーク検知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KR20060115854A (ko) 공구의 인터페이스
JP3991397B2 (ja) チャック
JPH11156610A (ja) 工具ホルダ着脱治具
US8740507B2 (en) Milling tool, particularly face-milling cutter
JP4524637B2 (ja)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KR100549264B1 (ko) 콜릿 척 수용기가 구비된 공구 지지부
US20210023628A1 (en) Chuck for machine tool and sealing system
JP2001341012A (ja) ワークの把持装置及びチャック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