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110A - 턴-턴 클리어링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 - Google Patents

턴-턴 클리어링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110A
KR20120104110A KR1020120024364A KR20120024364A KR20120104110A KR 20120104110 A KR20120104110 A KR 20120104110A KR 1020120024364 A KR1020120024364 A KR 1020120024364A KR 20120024364 A KR20120024364 A KR 20120024364A KR 20120104110 A KR20120104110 A KR 20120104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segment
clamping wedge
clearing
clea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르겐 라이즈너
Original Assignee
케나메탈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나메탈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케나메탈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20104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8Disc-type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26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fitted on an intermediate carrier, e.g. shank fixed in the cutt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 B23C5/246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the adjusting means being obliqu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3/00Broaching tools
    • B23D43/06Broaching tools for cutting by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36Other features of the milling insert not covered by B23C2200/04 - B23C2200/32
    • B23C2200/367Mounted tangentially, i.e. where the rake face is not the face with larges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C2215/20Crank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2Face or end mil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10T407/1922Wedge clamp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32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means to fasten tool seat to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34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34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10T407/1938Wedge clamp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22Tool adjustable relative to holder
    • Y10T407/2252Rectilinearly
    • Y10T407/2256Rectilinearly including wedge clamp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52Milling with cutter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40Bro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공작물의 턴-턴 클리어링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를 개시한다. 공구는 원반 형상의 클리어링 휠(2) 또는 상기 클리어링 휠(2)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1)를 포함한다. 각각의 경우 절삭판(9)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절삭판 수용부(8, 10)가 각각의 경우 원주면(3)에 인접한 영역에서 클리어링 휠(2) 또는 세그먼트(1)의 단부면(6, 7)에 구비된다. 두 단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6)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절삭판 수용부(8)는 축방향 클램핑 웨지(13)에 의해 클리어링 휠(2) 또는 세그먼트(1)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카트리지(11)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11)는 원주면(3)에 대해 관련 축방향 클램핑 웨지(1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턴-턴 클리어링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Tool for turn-trun-clearing or external milling}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공작물의 턴-턴 클리어링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구가 WO 2009/135555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턴/턴 클리어러(turn-turn clearer)는 특히 크랭크샤프트의 가공에 사용된다. 턴/턴 클리어러 본질적으로 원반 형상의 클리어링 휠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리어링 휠의 원주면 및 이와 인접한 단부면들의 영역에 절삭판이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턴/턴 클리어러의 클리어링 휠은 통상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고속 회전하여 작동하고, 저속 회전하는 공작물을 향해 상기 축에 횡방향으로 전진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의 원리와 반대로, 클리어링 휠의 저속 회전 및 공작물의 고속 회전 역시 가능하다.
클리어링 휠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WO 2009/135555 A1호에 기재된 클리어링 휠은 복수의 교환 가능한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세그먼트들 중 하나는, (교환 가능한) 절삭판이 삽입될 수 있거나 삽입되어 있는 3개의 절삭판 수용부를 수용한다. 클리어링 휠의 원주면의 중앙에 (원주방향) 절삭판 수용부가 배치된다. 다른 2개의 절삭판 수용부는 원주방향 절삭판 수용부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그에 따라 각각의 경우 2개의 절삭판 수용부 각각이 클리어링 휠의 두 단부면 중 하나에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2개의 (단부면) 절삭판 수용부는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에 직접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경우,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에 대해 클리어링 휠의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카트리지에 형성된다.
여기서, 2개의 카트리지의 축방향 조정은 각각의 경우 클램핑 웨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2개의 클램핑 웨지 및 각각의 경우의 관련 고정 나사(setscrew)가 클리어링 휠의 원주면으로부터 개방 접속 가능하여, 간단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클램핑 웨지 및 고정 나사가 이 영역에서 발생된 칩에 의해 초래되는 심각한 하중에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카트리지의 추가 재조정이 지연되거나 심지어 불가능해진 결과로, 클램핑 웨지 및 고정 나사가 종종 발생된 칩에 의해 막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와 관련하여 개선된, 공작물의 턴-턴 클리어링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를 명시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므로, 공구는 클리어링 휠 또는 상기 클리어링 휠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절삭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절삭판 수용부가, 각각의 경우, 클리어링 휠 또는 세그먼트의 원주면에 인접하는 클리어링 휠 또는 세그먼트의 두 단부면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절삭판 수용부는, 내부에 삽입된 절삭판이 적어도 또한 클리어링 휠의 각각 배정된 단부면에서 절삭을 수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전술한 절삭판 수용부는 이하에서 "단부면 절삭판 수용부"로 지칭된다. 이러한 단부면 절삭판 수용부 외에도, 클리어링 휠 또는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에는, 관련 절삭판이 두 단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절삭판 수용부가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는 이하에서 "원주방향 절삭판 수용부"로 지칭된다.
클리어링 휠 또는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두 단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상기 또는 각각의 절삭판 수용부는 클리어링 휠 또는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에 직접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클리어링 휠 또는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카트리지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축방향"은 클리어링 휠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이다.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경우, 축방향의 정의는 클리어링 휠 상의 세그먼트의 장착 위치를 가리킨다.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경우, "원주면" 및 "단부면"이라는 용어는 마찬가지로 세그먼트의 장착 위치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면들은 세그먼트의 "원주면" 및 "단부면"으로 지칭되며, 세그먼트의 장착 위치에서 클리어링 휠의 원주면 또는 단부면에 위치된다.
조정 및 축방향 조정에 대해,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에는 클램핑 웨지가 배정되고, 상기 클램핑 웨지는 축방향으로 카트리지에 작용하며, 그에 따라 이하에서 "축방향 클램핑 웨지"로 지칭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는 클리어링 휠 또는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원주면에 대해 관련 축방향 클램핑 웨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양상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가 루프형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카트리지는 장착된 상태에서 관련 축방향 클램핑 웨지 및 고정 나사에 걸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를 본 발명에 따라 설계함으로써, 관련 축방향 클램핑 웨지 및 고정 나사가 클리어링 휠의 원주면에서 비보호 개방되는 상황을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예방한다. 그러므로, 클리어링 작업 중에 발생된 칩에 의한 축방향 클램핑 웨지의 가압 및 막힘(stressing and blocking)을 신뢰성 있게 방지한다.
상기 또는 각각의 축방향 클램핑 웨지가 은폐되는 경우에도, 관련 카트리지의 간단하고 신속하며 정확한 축방향 조정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리한 양상에서는, 카트리지가 축방향 클램핑 웨지를 커버하는 루프 영역에 개구가 구비되고, 작동 공구가 축방향 클램핑 웨지(보다 구체적으로, 고정 나사)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개구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이후 칩이 개구를 통해 축방향 클램핑 웨지의 영역에 침입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의 직경은 가능한 한 작게 결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개구는 작동 공구가 축방향 클램핑 웨지 및 고정 나사로 전진하는 것을 보장할 정도의 크기로만 직경이 결정된다. 어쨌든, 개구의 직경은 클램핑 웨지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작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마찬가지로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의 간단하고 신속하며 정확한 축방향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또는 각각의 축방향 클램핑 웨지의 고정 나사가 클리어링 휠 또는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단부면들 중 하나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클리어링 휠 또는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를 설계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축방향 클램핑 웨지의 고정 나사를 클리어링 휠 또는 세그먼트에 나사결합시키는 보어가 반경방향 내부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상기 또는 각각의 보어는 클리어링 휠 또는 세그먼트의 단부면들 중 하나에 나타나게 된다.
클리어링 휠 또는 세그먼트의 제조 및 설정 모두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또는 각각의 단부면 절삭판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카트리지가 두 단부면 중 하나에만 배치되는 한편, 상기 또는 각각의 단부면 절삭판 수용부는 다른 단부면에서 클리어링 휠 또는 세그먼트에 직접 도입되도록 제공된다. 존재하는 경우, 상기 또는 각각의 원주방향 절삭판 수용부는 또한 바람직하게 클리어링 휠 또는 세그먼트에 직접 형성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는 적절한 경우 자신의 축방향 위치에 관계없이 관련 축방향 클램핑 웨지를 완전히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가 클램핑 웨지의 직경(클램핑 웨지의 반경방향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축방향으로 측정됨)의 적어도 90%에 걸쳐 관련 축방향 클램핑 웨지를 커버할 때에도, 발생된 칩으로부터 축방향 클램핑 웨지를 충분히 잘 보호할 수 있다.
유리한 양상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축방향 클램핑 웨지는 관련 카트리지를 위한 접경부(abutment)로서만 작동하고, 카트리지를 클리어링 휠 또는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진 않는다. 대신, 유리한 양상에서, 이러한 고정은 클리어링 휠의 접선방향으로 카트리지에 작용하는 추가 클램핑 웨지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클램핑 웨지는 장착된 상태에서 클리어링 휠 또는 세그먼트의 반대편 접경부와의 사이에 카트리지를 고정한다.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경우, 접선방향 역시 축방향처럼 클리어링 휠 상의 세그먼트의 목표 장착 위치를 가리킨다. 접선방향으로 카트리지에 작용하는 상기 또는 각각의 클램핑 웨지는 전술한 축방향 클램핑 웨지로부터 구별되도록 "접선방향 클램핑 웨지"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클리어링 휠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적절한 경우 복수의 교환 가능한 세그먼트를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서, 클리어링 휠은 중앙 기본 몸체, 및 상기 기본 몸체에 장착될 수 있거나 장착되어 있고 전술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링형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링 형상의 폐쇄된 단일 세그먼트 대신, 각각이 링 세그먼트 형태인 복수의 세그먼트를 구비할 수도 있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술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부 장착된 상태에서의 턴/턴 클리어러용 클리어링 휠의 세그먼트의 다양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원주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V-V 라인에 따른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VI-VI 라인에 따른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단부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절삭판의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지지를 위해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에 삽입 가능한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축방향 조정 및 고정을 위한 2개의 클램핑 웨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4에 따른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제2 실시형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X-X 라인에 따른 클리어링 휠의 기본 몸체 상의 장착 위치에서의 클리어링 휠 세그먼트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클리어링 휠의 다른 실시형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체 도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항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된다.
도 1 내지 도 9는 턴/턴 클리어러용 클리어링 휠(2)의 세그먼트(1)를 상세히 도시한다.
환형 세그먼트(1)의 반경방향 외면이 원주면(3)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원주면(3)에서, 세그먼트(1)에는 다수의 (절삭판) 수용부(4)가 구비되고, 이들 각각에는 8중 (인덱서블) 절삭판(5)이 삽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절삭판(5)들의 사각형 기부는 각각의 경우 원주면(3)과 대략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 도 7은 인덱서블 절삭판(5)들이 삽입된 세그먼트(1)를 도시한다. 도 3은 절삭판(5)이 분리된 2개의 수용부(4)를 도시한다.
도 4에서 특히 명확한 바와 같이, 절삭판(5)은 원주면(3) 내에만 배치되도록 수용부(4)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원주면(3)을 지나 측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절삭판(5)은 "원주방향" 절삭판으로 지칭된다. 수용부(4) 역시 이에 상응하여 "원주방향" (절삭판) 수용부로 지칭된다.
원주면(3)에 측방향으로 인접한 세그먼트(1)의 면들이 단부면(6, 7)으로 지칭된다. 단부면(6)의 원주 인접 영역에서, 추가 인덱서블 절삭판(9)을 위한 다수의 (절삭판) 수용부(8)가 세그먼트(1)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추가 인덱서블 절삭판(9)을 위한 다수의 (절삭판) 수용부(10)가 또한 원주면(3)에 인접한 단부면(7)의 영역에 배치된다. 각각의 경우 수용부들(8, 10)에 삽입 가능한 인덱서블 절삭판(9)들은, 단부면들(6, 7)과 대략 평행한 배향으로 수용부들(8, 10)에 장방형 기부에 의해 안착되는 연장된 2중 인덱서블 절삭판이다. 그러므로, 인덱서블 절삭판(9)은 "단부면" 절삭판으로 지칭된다. 수용부(8, 10) 역시 이에 상응하여 "단부면" (절삭판) 수용부로 지칭된다.
도 1 내지 도 7은 세그먼트(1)를 세부적으로만 도시한다. 실제로는, 세그먼트(1)는 클리어링 휠(2)의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되는 환상의 폐쇄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절삭판 수용부들(4, 8, 10)의 순서가 균일한 반복 패턴으로 세그먼트(1)의 원주 주위에 주기적으로 이어진다.
원주방향 수용부(4)들처럼, 단부면(7)에 도입된 수용부(10)들 역시 세그먼트(1)에 직접 형성되고, 그에 따라 클리어링 휠(2)에 직접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수용부(8)들 각각은, 세그먼트(1)의 결합 리세스(12)에 인서트로서 삽입될 수 있는 관련 카트리지(11)에 형성된다.
세그먼트(1)에 대한 카트리지(11)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각각의 카트리지(11)에는 (축방향) 클램핑 웨지(13)가 배정되고, 상기 클램핑 웨지는 관련 고정 나사(14)에 의해 리세스(12)의 저면의 보어(15)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경우, 클램핑 웨지(13)는 리세스(12) 내에서 카트리지(11)의 축방향 삽입(push-in) 깊이를 제한하는 접경부 역할을 한다. 각각의 경우, 각각의 카트리지(11)에 배정되며 관련 고정 나사(17)에 의해 리세스(12)의 가장자리의 관련 보어(18)에 나사결합되는 추가 (접선방향) 클램핑 웨지(16)가 카트리지(11)를 세그먼트(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클램핑 웨지(16)가 나사결합될 때, 카트리지(11)는 이러한 경우 클램핑 웨지(16) 및 세그먼트(1)의 반대편 접경면(19; 도 5) 사이에 고정된다.
도 6 및 도 8에서 특히 명확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1)가 삽입될 때, 각각의 축방향 클램핑 웨지(13)는 카트리지의 리세스(20)에 안착된다. 리세스(20)는 루프 영역(21)에 의해 원주면(3)에 대해 폐쇄된다. 그러므로, 카트리지(11)가 삽입될 때, 관련 축방향 클램핑 웨지(13)는 카트리지(11)의 루프 영역(21)에 의해 원주면(3)에 대해 완전히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완전히 커버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 카트리지(11)의 루프 영역(21)은 원주면(3)에 대해 완전히 폐쇄된다. 따라서, 카트리지(11)가 도입될 때, 축방향 클램핑 웨지(13) 및 고정 나사(14)는 원주면(3)으로부터 더 이상 접근 가능하지 않다. 그럼에도, 카트리지(11)를 분리할 필요없이 클램핑 웨지(13)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나사(14)에 배정된 보어(15)가 고정 나사(14)를 나사결합하는 데 필요한 깊이를 지나 연장되고, 그에 따라 보어(15)는 세그먼트(1)의 내면(22)에 나타나게 되며, 이로부터 적절한 작동 공구, 예컨대 스크류드라이버 또는 육각형 렌치가 고정 나사(14)에 도달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세그먼트(1)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2 실시형태는 이하에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전술한 양상과 반대로, 도 9 및 도 10에 따른 양상에서, 각각의 카트리지(11)의 루프 영역(21)에는 개구(23)가 도입되며, 작동 공구는 상기 개구를 통해 원주면(3)에서 고정 나사(14)까지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구(23)는 작동 공구의 직경을 따른다. 특히, 상기 개구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지만, 작동 공구가 여전히 이를 통해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반경방향 상단에서 축방향으로 측정될 때, 개구(23)의 직경은 축방향 클램핑 웨지(13)의 직경보다 현저히 작다.
고정 나사(14)가 개구(23)를 통해 원주면(3)으로부터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도 9 및 도 10에 따른 양상에서, 보어(15)는 블라인드홀 보어로 설계되고, 그에 따라 그 반경방향 내측 단부가 폐쇄될 수 있다.
도 10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1)는 장착된 상태에서 기본 몸체(24)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본 몸체는 클리어링 휠(2)의 중심부를 형성하며,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클리어링 휠(2)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스핀들(26)에 결합된다.
도 11은 클리어링 휠(2)의 변형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도 11에 따르면, 클리어링 휠(2)은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도 11에 따른 양상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양상의 세그먼트(1) 및 기본 몸체(24)가 통합되어 일체형 휠 몸체(27)를 형성한다.
전술한 3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개별 특징들은 서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1 세그먼트
2 클리어링 휠
3 원주면
4 (절삭판) 수용부
5 (인덱서블) 절삭판
6 단부면
7 단부면
8 (절삭판) 수용부
9 인덱서블 절삭판
10 (절삭판) 수용부
11 카트리지
12 리세스
13 (축방향) 클램핑 웨지
14 고정 나사
15 보어
16 (접선방향) 클램핑 웨지
17 고정 나사
18 보어
19 접경면
20 리세스
21 루프 영역
22 내면
23 개구
24 기본 몸체
25 회전축
26 구동 스핀들
27 휠 몸체

Claims (7)

  1. 공작물의 턴-턴 클리어링 (turn-turn-clearing)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에서,
    원반 형상의 클리어링 휠(clearing wheel: 2) 또는 상기 클리어링 휠(2)의 세그먼트(1)를 포함하며,
    상기 휠의 단부면(6, 7)에 각 절삭판(9)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절삭판 수용부(8, 10)가 각 원주면(3)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고, 두 단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6)에 상기 또는 각 절삭판 수용부(8)가 축방향 클램핑 웨지(claimping wedge: 13)에 의해 클리어링 휠(2) 또는 세그먼트(1)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카트리지(11)에 형성되며,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11)는 원주면(3)에 대해 대응 축방향 클램핑 웨지(1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11)는 루프 영역(21)로 대응 축방향 클램핑 웨지(13)를 덮고, 상기 루프 영역(21)은 축방향 클램핑 웨지(13)의 직경에 비해 폭이 좁은 개구(23)를 포함하며, 작동 공구가 축방향 클램핑 웨지(13) 또는 관련 고정 나사(14)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개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축방향 클램핑 웨지(13) 또는 관련 고정 나사(14)는 작동 공구에 의한 축방향 클램핑 웨지(13) 조정을 위해 클리어링 휠(2)의 단부면들 중 하나의 단부면(7)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단부면 중 하나의 단부면(6)에서만, 이에 배치된 상기 또는 각각의 절삭판 수용부(8)가 카트리지(11)에 형성되고, 다른 단부면(7)에서는, 이에 배치된 상기 또는 각각의 절삭판 수용부(10)가 클리어링 휠(2) 또는 세그먼트(1)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11)는 축방향에서 측정된 클램핑 웨지 외경의 적어도 90%에 걸쳐 관련 축방향 클램핑 웨지(13)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카트리지(11)는 접선방향으로 카트리지(11)에 작용하는 추가 접선방향 클램핑 웨지(16)에 의해 클리어링 휠(2) 또는 세그먼트(1)에 고정될 수 있거나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리어링 휠(2)은 중앙 기본 몸체(24), 및
    기본 몸체(24)에 원주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거나 장착되어 있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KR1020120024364A 2011-03-12 2012-03-09 턴-턴 클리어링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 KR201201041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13812A DE102011013812A1 (de) 2011-03-12 2011-03-12 Werkzeug zum Dreh-Dreh-Räumen oder Außenfräsen
DE102011013812.9 2011-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110A true KR20120104110A (ko) 2012-09-20

Family

ID=4670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364A KR20120104110A (ko) 2011-03-12 2012-03-09 턴-턴 클리어링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62798B2 (ko)
JP (1) JP2012187705A (ko)
KR (1) KR20120104110A (ko)
CN (1) CN102699400A (ko)
DE (1) DE102011013812A1 (ko)
FR (1) FR29723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583B1 (ko) * 2011-12-06 2013-10-15 한국야금 주식회사 슬롯 밀링용 인서트
DE102012102747A1 (de) * 2012-03-29 2013-10-02 Walter Ag Kurbelwellenfräser
DE102013107858B4 (de) 2013-07-23 2023-03-16 Kennametal Inc. Werkzeug zum Dreh-Drehräumen von Werkstücken
KR101567149B1 (ko) * 2013-11-26 2015-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턴브로치 장치
EP2896745A1 (en) * 2014-01-15 2015-07-22 Pramet Tools, S.R.O. Milling tool
DE102014100483B4 (de) 2014-01-16 2016-12-08 Kennametal Inc. Kassette für Schneideinsatz
EP3335821B1 (en) * 2016-12-14 2020-10-0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Internal milling cutter
EP3375552B1 (en) * 2017-03-13 2022-12-2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Milling tool comprising a kit for the milling tool
CN106975780B (zh) * 2017-03-30 2018-11-06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压紧功能的铣削刀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8717A (en) * 1928-03-19 1933-12-12 Nat Twist Drill & Tool Company Cutting tool
US3707748A (en) * 1970-12-07 1973-01-02 Gen Electric Cutting tool for holding a plurality of disposable cutting inserts
IT1145995B (it) * 1981-01-08 1986-11-12 Iscar Ltd Utensile per il taglio di metalli provvisto di inserto sostituibile
DE3807542C2 (de) * 1988-03-08 1997-04-10 Widia Gmbh Drehräumwerkzeug
US4993889A (en) * 1989-08-10 1991-02-19 Carboloy Inc. Broaching assembly
SE502243C2 (sv) * 1991-12-17 1995-09-25 Sandvik Ab Skivfräs med skärkassetter
SE9503867D0 (sv) * 1995-11-02 1995-11-02 Sandvik Ab Fräsverktyg
DE19725219C2 (de) * 1997-06-15 1999-05-20 Walter Ag Fräswerkzeug mit axialer Einstellung des Plattensitzes
JP4471263B2 (ja) * 2002-04-18 2010-06-02 ケンナメタ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車ホブ・カッター・システム
DE10238451A1 (de) * 2002-08-13 2004-02-26 Widia Gmbh Scheibenförmiges oder leistenförmiges Werkzeug
DE202004015343U1 (de) * 2004-07-06 2005-11-17 Kennametal Inc. Werkzeug und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DE102006024880A1 (de) * 2006-05-24 2007-11-29 Kennametal Widia Produktions Gmbh & Co. Kg Werkzeug mit Einstellvorrichtung
DE202008006375U1 (de) 2008-05-08 2008-09-04 Kennametal Inc. Werkzeug zum Dreh-Dreh-Räumen oder Außenfräsen von Werkstücken
CN102143816A (zh) * 2008-09-04 2011-08-03 株式会社钨钛合金 侧铣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13812A1 (de) 2012-09-13
CN102699400A (zh) 2012-10-03
US8662798B2 (en) 2014-03-04
FR2972376A1 (fr) 2012-09-14
JP2012187705A (ja) 2012-10-04
US20120230794A1 (en)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4110A (ko) 턴-턴 클리어링 또는 외부 밀링을 위한 공구
JP5308357B2 (ja) 工具
JP5474051B2 (ja) 被加工物の旋削、ターンブローチ加工、または外側フライス加工用の工具
RU2422253C2 (ru)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и фрезерный инструмент
RU2529137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о сменными режущими кромками и режущие пластины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нем
CN109789498B (zh) 盘形铣刀和包括该盘形铣刀的套件
US20120051852A1 (en)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for the Same
US8690495B2 (en)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for the same
KR20070046189A (ko) 절삭공구 및 축방향 및 반경방향 스톱면을 구비한 헤드
RU2010142366A (ru) Фрезер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заготовок со снятием стружки
JP7082415B2 (ja) 切粉・粉塵防止カバー、切粉・粉塵防止カバーセット、チャック機構及び工作機械
JP4227955B2 (ja) 切削工具
JP2014151435A (ja) 切り屑除去加工用装置
RU2685829C2 (ru) Вращающийся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родольной резки со средством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кромок режущих пластин
KR101997374B1 (ko) 기계 가공 공구
KR20090010783A (ko) 공작기계용 터릿
JP5845816B2 (ja) 先端部交換式切削工具
US8740507B2 (en) Milling tool, particularly face-milling cutter
WO2016039131A1 (ja) 工作機械の工具固定構造
CA3079630A1 (en) Whirling tool
JP2011515235A (ja) フライス、特に正面フライス
WO2017080748A1 (en) Milling tool
US6805521B2 (en) Chuck with additional cutting elements
KR100549264B1 (ko) 콜릿 척 수용기가 구비된 공구 지지부
JP2002355702A (ja) 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