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995A -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 Google Patents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995A
KR20190007995A KR1020170089793A KR20170089793A KR20190007995A KR 20190007995 A KR20190007995 A KR 20190007995A KR 1020170089793 A KR1020170089793 A KR 1020170089793A KR 20170089793 A KR20170089793 A KR 20170089793A KR 20190007995 A KR20190007995 A KR 20190007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rail groove
door
door body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조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17008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995A/ko
Publication of KR2019000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1Mechanical power-locks, e.g. for holding the wing open or for free-moving z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5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bottom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seals, covers, connections to the wings, embedding in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높은 개폐 자유도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레일홈부를 따라 안내되어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를 상기 열림방향 및 상기 닫힘방향 중 일방향으로 복원 이동시키는 복원수단와, 상기 도어몸체부의 개방위치를 유지하는 위치조절수단를 포함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레일홈부와 대면되는 상기 도어몸체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프레임; 상기 브레이크프레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부 간 레일간격 미만의 제1회전반경을 갖는 유격몸체부와, 상기 유격몸체부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간격을 초과하는 제2회전반경을 갖는 접촉돌기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몸체부; 및 상기 접촉돌기부가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부에 강제 끼움되어 상기 도어몸체부가 멈춤되도록 상기 브레이크몸체부를 회전 구동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semi-automatic sliding door}
본 발명은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개폐 자유도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실이나 사무실 혹은 아파트의 전실과 거실 사이에 슬라이딩 도어가 많이 설치되며, 크게 수동식, 반자동식, 자동식으로 구분된다.
수동식 슬라이딩 도어는 오로지 사람의 힘으로 도어를 밀어서 열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이며, 자동식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한편, 반자동식 도어는 도어를 여는 힘을 제거하면 모든 구간에 걸쳐서 도어가 닫히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상기 반자동식 도어에는 닫힘 힘을 제공하는 당김수단과, 완전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수단이 구비된다.
즉, 도어가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당김수단에 의해 도어가 닫힘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되고, 도어가 완전 개방되면 스토퍼수단에 의해 도어가 멈춤되어 개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완전 개방된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조금 밀어주면, 스토퍼수단으로부터 분리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반자동식 도어는 완전한 열림 상태 또는 완전한 닫힘 상태로 유지되는 것은 가능하나, 부분적인 열림 또는 닫힘 상태의 유지가 어려우므로 사용 상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의 자동 닫힘시 도어와 문틀 간의 충돌로 인해 도어 또는 문틀,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링수단 등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므로 잦은 고장과 손상이 원인이 되며,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 등이 끼는 경우에는 심각한 부상을 유발할 우려가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93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높은 개폐 자유도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레일홈부를 따라 안내되어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를 상기 열림방향 및 상기 닫힘방향 중 일방향으로 복원 이동시키는 복원수단와, 상기 도어몸체부의 개방위치를 유지하는 위치조절수단를 포함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레일홈부와 대면되는 상기 도어몸체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프레임; 상기 브레이크프레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부 간 레일간격 미만의 제1회전반경을 갖는 유격몸체부와, 상기 유격몸체부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간격을 초과하는 제2회전반경을 갖는 접촉돌기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몸체부; 및 상기 접촉돌기부가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부에 강제 끼움되어 상기 도어몸체부가 멈춤되도록 상기 브레이크몸체부를 회전 구동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돌기부는 상기 레버부를 통한 잠금 회전시 상기 레일홈부의 양측 내면부에 동시 가압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격몸체부의 일측 및 타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부는 사용자의 발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도어몸체부의 하단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일홈부는 상기 유격몸체부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내면부까지의 간격이 상기 레일간격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드패스부와, 상기 슬라이드패스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격몸체부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내면부까지의 간격이 상기 도어몸체부의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어 상기 제1회전반경 미만으로 협소화되는 댐핑패스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촉돌기부는 상기 레버부를 통한 잠금 회전시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부에 강제 끼움되는 단부로부터 상기 레버부의 잠금 해제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회전반경이 점감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브레이크프레임 및 상기 브레이크몸체부의 대향단부에는 상기 접촉돌기부의 회전각도가 가고정되도록 상호 클릭 결합되는 클릭홈부 및 클릭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부의 가고정 각도에 따라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부에 대한 마찰감도가 순차 증가되도록 상기 클릭홈부 및 상기 클릭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의 회전궤적을 따라 복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레버부를 잠금각도로 조작하기만 하면 탄성재질의 브레이크몸체부가 상기 레일홈부에 강제 끼움되어 도어몸체부의 개방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레버부의 잠금해제시 도어몸체부가 자동으로 복원 개폐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레일홈부의 단부에 닫힘방향 또는 열림방향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는 댐핑패스부가 구비되어, 잠금 해제각도로 회전된 브레이크몸체부의 유격몸체부가 댐핑패스부로 이동시 협소화된 내면부에 마찰되므로 별도의 감속장치 없이도 도어몸체부의 자동 개폐시 충격이 완충되어 제품의 내구성 및 안전성이 개선되되, 컴팩트한 구조로 제품의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브레이크몸체부 및 브레이크프레임의 대향단부에 구비된 클릭홈부 및 클릭돌기부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몸체부가 복수의 상이한 각도로 회전 및 가고정됨에 따라 상기 접촉돌기부 및 제2레일홈부 간의 마찰력이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어몸체부가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속도로 이동 및 멈춤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의 위치조절수단을 나타낸 부분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의 위치조절수단을 나타낸 부분도이며,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100)는 도어프레임(10), 도어몸체부(30), 복원수단(40), 그리고 위치조절수단(6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프레임(10)은 문틀과 같이 건축물의 출입구 테두리를 마감하며 레일홈부(20)가 설치 또는 형성되는 지지구조체를 의미하며, 상기 도어몸체부(30)는 상기 출입구를 실질적으로 개폐하는 작동구조체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몸체부(30)가 좌우방향으로 개폐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상하로 개폐되는 경우에도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홈부(20)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상단 중앙부가 상측으로 함몰되거나 하단 중앙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레일홈부(20)는 상기 도어몸체부(30)의 개폐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몸체부(30)에는 레일홈부(20)를 따라 안내되어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레일링수단(5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링수단(50)은 상기 레일홈부(20)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롤러부(51)와 상기 롤러부(51)를 상기 도어몸체부(30)에 연결하는 롤러브라켓(5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링수단(50)은 상기 도어몸체부(30)의 비틀림 등이 방지되도록 상기 도어몸체부(30)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다단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원수단(40)은 상기 도어몸체부(30)를 상기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 중 일방향으로 복원이동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 복원수단(40)이 자동권양기(41)로 구비되어 당김힘을 통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나, 피스톤 장치 등과 같이 미는힘을 통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어몸체부(30)에 열림방향 또는 닫힘방향 중 일방향의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는 구조이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기 복원수단(40)이 상기 도어몸체부(30)를 닫힘방향으로 복원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어프레임(10)의 닫힘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나, 상기 복원수단(40)을 통한 복원 이동방향은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100)의 적용 위치나 목적에 따라 닫힘방향 뿐만 아니라 열림방향으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복원수단(40)은 토션스프링 등을 통해 와이어(41a)를 당겨 권취하는 자동권양기(41)와, 상기 도어프레임(10)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41a)의 단부가 연결되는 와이어고정브라켓(42)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권양기(41)는 도어프레임(10)의 상단측 레일홈부(20)에서 상기 도어몸체부(30)의 닫힘방향 단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자동권양기(41)로부터 인출된 와이어(41a)는 상기 와이어고정브라켓(42)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자동권양기(41)의 내부로 권취되는 와이어(41a)는 상기 와이어고정브라켓(42) 및 상기 도어몸체부(30)에 닫힘방향의 당김힘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몸체부(30)에 당김힘을 초과하는 열림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도어몸체부(30)가 열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열림방향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와이어(41a)의 당김힘에 의해 도어몸체부(30)가 자동으로 닫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은 자동 개폐 중의 도어몸체부(30)를 멈춤하여 개방위치를 유지하는 장치로, 브레이크프레임(61), 브레이크몸체부(62), 레버부(6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은 상기 레일홈부(20)와 대면되는 상기 도어몸체부(30)의 일단부, 즉 도어몸체부(3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은 상기 레일링수단(5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는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의 일면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레일홈부(20)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이 상기 도어몸체부(3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는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의 하면 중앙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하부측 레일홈부(20)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일홈부(20)는 상기 레일링수단(50)의 롤러부(51)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 제1레일홈부(21)와, 상기 제1레일홈부(21)로부터 확장된 폭으로 형성된 제2레일홈부(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는 상기 제2레일홈부(22)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하단부에 구비된 레일홈부(20)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상부측 제2레일홈부(22)와,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하면부를 따라 감소된 폭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측 제1레일홈부(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레일홈부(21)는 상기 롤러부(51)의 전단부 및 후단부 사이 간격에 대응되는 폭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는 상기 닫힘방향 및 열림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의 단부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레일홈부(21)는 전방측 내면부 및 후방측 내면부가 상기 롤러부(51)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부(51)가 전후 방향 유동 없이 닫힘방향 및 열림방향으로 정확하게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일홈부(22)는 제1레일홈부(21)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확장된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롤러부(51)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해 롤러부(51)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롤러브라켓(52)의 단부 등이 삽입되어 걸림 없이 닫힘방향 및 열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는 상기 롤러부(51)의 상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롤러브라켓(52)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레일홈부(22) 내에 배치되며, 최소외경부가 상기 제1레일홈부(21)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되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전후방향 폭보다 작게 구비되고, 최대외경부가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는,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내면부까지의 거리인 레일간격(a) 미만의 제1회전반경(b)을 갖는 유격몸체부(62a)와, 상기 유격몸체부(62a)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간격(a)을 초과하는 제2회전반경(c)을 갖는 접촉돌기부(62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격몸체부(62a)는 최대회전반경이 제1회전반경(b) 미만이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촉돌기부(62b)는 최대회전반경이 제2회전반경(c)을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격몸체부(62a)의 외면부 및 상기 접촉돌기부(62b)의 외면부가 연속된 곡면을 이루도록 연결된 타원형 브레이크몸체부(62)를 예로서 설명 및 도시하나, 상기 유격몸체부 및 접촉돌기부의 외면부는 상호 단차지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타원형 브레이크몸체부(62)에서, 상기 유격몸체부(62a)는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에 회전 지지되는 중앙측 원형단면부를 의미하며, 상기 접촉돌기부(62b)는 상기 유격몸체부(62a)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외곽측 타원돌기부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유격몸체부(62a) 및 상기 접촉돌기부(62b)는 탄성재질로 일체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재질은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는 높은 마찰 저항을 갖는 소재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는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 니트릴고무(acryonitrile butadiene rubber),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polyacrylat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우레탄(urethane) 등 다양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부(63)는 상기 접촉돌기부(62b)가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내면부에 강제 끼움되어 상기 도어몸체부(30)가 멈춤되도록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를 회전 구동한다.
상세히, 상기 레버부(63)는 후단부가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의 하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격몸체부(62a)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전단부가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레일홈부(21)의 전방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레일홈부(21)의 전방측으로 노출된 레버부(63)의 전단부를 조작하여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3a와 같이, 상기 레버부(63)가 기설정된 잠금해제각도로 조작되면, 상기 접촉돌기부(62b)가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의 배치각도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유격몸체부(62a)는 상기 레일간격(a) 미만의 제1회전반경(b)을 갖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 및 상기 제2레일홈부(22)가 상호 비접촉된 상태에서 도어몸체부(30)가 부드럽게 개폐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3c와 같이, 상기 레버부(63)가 기설정된 잠금각도로 조작되면, 상기 접촉돌기부(62b)가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내면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부(62b)가 상기 레일간격(a)을 초과하는 제2회전반경(c)을 갖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내면부 및 상기 유격몸체부(62a) 사이에 강제 끼움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접촉돌기부(62b) 또는 브레이크몸체부(62)가 높은 마찰저항의 탄성재질로 구비되므로 상기 접촉돌기부(62b)가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내면과 높은 마찰저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몸체부(30)의 개방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부(63)를 기설정된 잠금해제 각도로 재조작되면, 상기 접촉돌기부(62b)를 통한 마찰저항이 제거되고, 상기 도어몸체부(30)가 복원수단(40)의 복원력을 통해 닫힘방향으로 복원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레버부(63)를 잠금각도로 조작하기만 하면 브레이크몸체부(62) 및 상기 레일홈부(20) 간의 마찰 저항을 통해 도어몸체부(30)의 개방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레버부(63)의 잠금해제시 도어몸체부(30)가 자동으로 복원 개폐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부(62b)의 소재강도, 돌출폭에 따라 마찰저항 또는 잠금고정력이 손쉽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대형 도어몸체부(30)의 개폐를 위한 고탄성의 복원수단(40)에도 적용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부(62b)는 상기 레버부(63)를 통한 잠금 회전시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양측 내면부에 동시 가압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격몸체부(62a)의 일측 및 타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부(63)의 잠금 조작시 유격몸체부(62a)의 양측 접촉돌기부(62b)가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전단측 내면부 및 후단측 내면부에 동시 압착되며 더욱 안정적인 마찰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몸체부(30)의 멈춤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63)는 사용자의 발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도어몸체부(30)의 하단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수단(60) 전체가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하부측 레일홈부(2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의 도어프레임(10)의 상부측 레일홈부(20)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63)가 연장되거나 기구학적 연동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브레이크몸체부(62)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몸체부(30)의 하부측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 손으로 도어몸체부(30)를 그립하여 개폐하는 동시에, 자유로운 발을 이용하여 레버부(63)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레일홈부(22)는 슬라이드패스부(22a)와 댐핑패스부(22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패스부(22a)는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중앙부에 위치되되, 상기 유격몸체부(62a)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전단 또는 후단측 내면부까지의 간격이 상기 레일간격(a)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패스부(22a)는 상기 잠금 각도로 회전된 브레이크몸체부(62)의 유격몸체부(62a)와 비접촉되는 크기의 제2레일홈부(22)의 중앙부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댐핑패스부(22b)는 상기 슬라이드패스부(22a)의 양측에 연결되되도록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개폐방향 양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댐핑패스부(22b)는 상기 유격몸체부(62a)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전단 또는 후단측 내면부까지의 간격이 상기 도어몸체부의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어 상기 제1회전반경(b) 미만으로 협소화된다.
즉, 상기 댐핑패스부(22b)는 상기 슬라이드패스부(22a)의 닫힘방향에 위치되되 닫힘방향으로 갈수록 전단 및 후단 내면부 사이의 간격이 협소화되는 닫힘방향 댐핑패스부와, 상기 슬라이드패스부(22a)의 열림방향에 위치되되 열림방향으로 갈수록 전단 및 후단 내면부 사이의 간격이 협소화되는 열림방향 댐핑패스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댐핑패스부(22b)는 슬라이드패스부(22a)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유격몸체부(62a)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내면부 사이의 간격이 레일간격(a)으로 구비되되, 슬라이드패스부(22a)로부터 이격될수록 유격몸체부(62a)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내면부 사이의 간격이 점차 감소되어 상기 제1회전반경(b) 미만으로 협소화된다.
즉, 상기 잠금 해제각도로 회전된 브레이크몸체부(62)가 상기 댐핑패스부(22b)로 이동되면, 유격몸체부(62a)의 외면부가 댐핑패스부(22b)의 협소화된 내면부에 마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핑패스부(22b)의 내면부 사이 간격이 협소화됨에 따라 유격몸체부(62a)에 대한 마찰력이 증가되고, 도어몸체부(30)가 자연스럽게 감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원수단(40)을 통한 도어몸체부(30)의 자동 개폐시 충격으로 인한 고장/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손 끼임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제품의 내구성 및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감속장치 없이도 복원수단(40)의 복원력으로 인한 도어몸체부(30) 및 도어프레임(10) 간의 충돌이 완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로 개방위치의 고정 기능과 완충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돌기부(62b)는 상기 레버부(63)를 통한 잠금 회전시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내면부에 강제 끼움되는 단부로부터 상기 레버부(63)의 잠금 해제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회전반경이 점감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촉돌기부(62b)는 최대회전궤적인 제2회전궤적(c)을 갖는 반경방향 외측단부로부터 상기 유격몸체부(62a)와 연결되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회전궤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상기 유격몸체부(62a)와 동일한 제1회전궤적(b)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부(62b)는 상기 유격몸체부(62a)의 외면부와 연속된 곡면을 이루는 타원단면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돌기부(62b)가 상기 레버부(63)의 잠금 회전시 상기 제2레일홈부(22)에 대한 마찰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레버부(63)가 부드러운 회전조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 및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의 대향단부에는 상기 접촉돌기부(62b)의 회전각도가 가고정되도록 상호 클릭 결합되는 클릭홈부(61a) 및 클릭돌기부(62c)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 및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에 회전되도록 결합된 브레이크몸체부(62) 간의 접촉단부를 의미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이 상기 도어몸체부(30)의 하단부에 구비된 경우,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의 하면부와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의 상면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클릭홈부(61a)가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의 하면부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클릭돌기부(62c)가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의 상면부에 돌출 형성된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나, 상기 클릭홈부가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의 상면부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클릭돌기부가 상기 브레이크프레임(61)의 하면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의 회전시, 탄성재질의 브레이크몸체부(62)에 일체로 형성된 클릭돌기부(62c)가 탄성 변형되며 비탄성재인 브레이크프레임(61)의 클릭홈부(61a)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릭돌기부(62c)가 클릭홈부(61a)에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한 탄발적인 구속으로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의 회전각도가 가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릭돌기부(62c) 및 상기 클릭홈부(61a)가 상기 레버부(63)의 잠금해제각도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도어몸체부(30)의 슬라이드 이동시 브레이크몸체부(62)의 회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몸체부(62)의 회동으로 인해 의도되지 않은 도어몸체부(30)의 잠금 동작이 예방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릭홈부(61a) 및 상기 클릭돌기부(62c)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의 회전궤적을 따라 복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클릭홈부(61a)가 상기 클릭돌기부(62c)의 회전궤적 상에 복수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클릭돌기부(62c)가 상기 클릭홈부(61a)의 회전궤적 상에 복수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클릭홈부(61a) 및 클릭돌기부(62c) 양측이 복수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클릭홈부(61a) 및 상기 클릭돌기부(62c)의 형성 각도는 상기 레버부(63)의 잠금해제각도, 상기 레버부(63)의 잠금각도, 상기 레버부(63)의 반잠금각도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클릭홈부(61a) 및 상기 클릭돌기부(62c)는 상기 레버부(63)의 잠금해제각도, 상기 레버부(63)의 잠금각도, 상기 레버부(63)의 반잠금각도에서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반잠금각도는 상기 접촉돌기부(62b) 중 상기 레일간격(a)에 대응되는 회전궤적을 갖는 부분이 상기 제2레일홈부(22)의 내면부에 접촉되는 각도를 의미하며, 상기 접촉돌기부(62b) 및 상기 제2레일홈부(22) 간의 마찰력이 상기 레버부(63)의 잠금각도 미만으로 형성되되 복원수단(40)에 의한 복원력 이하인 각도를 의미한다.
즉, 상기 레버부(63)가 반잠금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접촉돌기부(62b)가 상기 제2레일홈부(22)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어몸체부(30)가 복원수단(4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도 접촉돌기부(62b)가 상기 제2레일홈부(22)로부터 완전 이격된 경우와 달리 감속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도 3a와 같이, 상기 레버부(63)가 잠금 해제각도로 조작되면, 상기 접촉돌기부(62b) 및 상기 제2레일홈부(22)가 상호 비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몸체부(30)가 정속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상기 레버부(63)가 반잠금각도로 조작되면, 상기 접촉돌기부(62b) 및 상기 제2레일홈부(22)가 비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몸체부(30)가 정속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3c와 같이, 상기 레버부(63)가 반잠금각도로 조작되면, 상기 접촉돌기부(62b) 및 상기 제2레일홈부(22)가 압착된 상태에서 복원수단(40)의 복원력을 초과하는 마찰저항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몸체부(30)가 멈춤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브레이크몸체부(62)가 복수의 상이한 각도로 회전 및 가고정됨에 따라 상기 접촉돌기부(62b) 및 제2레일홈부(22) 간의 마찰력이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어몸체부(30)가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속도로 이동 및 멈춤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10: 도어프레임
20: 레일홈부 30: 도어몸체부
40: 복원수단 50: 레일링수단
60: 위치조절수단

Claims (5)

  1.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레일홈부를 따라 안내되어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도어몸체부와, 상기 도어몸체부를 상기 열림방향 및 상기 닫힘방향 중 일방향으로 복원 이동시키는 복원수단와, 상기 도어몸체부의 개방위치를 유지하는 위치조절수단를 포함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레일홈부와 대면되는 상기 도어몸체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프레임;
    상기 브레이크프레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부 간 레일간격 미만의 제1회전반경을 갖는 유격몸체부와, 상기 유격몸체부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간격을 초과하는 제2회전반경을 갖는 접촉돌기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몸체부; 및
    상기 접촉돌기부가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부에 강제 끼움되어 상기 도어몸체부가 멈춤되도록 상기 브레이크몸체부를 회전 구동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부는 상기 레버부를 통한 잠금 회전시 상기 레일홈부의 양측 내면부에 동시 가압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격몸체부의 일측 및 타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사용자의 발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도어몸체부의 하단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부는 상기 유격몸체부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내면부까지의 간격이 상기 레일간격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드패스부와,
    상기 슬라이드패스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격몸체부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내면부까지의 간격이 상기 도어몸체부의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어 상기 제1회전반경 미만으로 협소화되는 댐핑패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부는 상기 레버부를 통한 잠금 회전시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부에 강제 끼움되는 단부로부터 상기 레버부의 잠금 해제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회전반경이 점감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브레이크프레임 및 상기 브레이크몸체부의 대향단부에는 상기 접촉돌기부의 회전각도가 가고정되도록 상호 클릭 결합되는 클릭홈부 및 클릭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부의 가고정 각도에 따라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부에 대한 마찰감도가 순차 증가되도록 상기 클릭홈부 및 상기 클릭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의 회전궤적을 따라 복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KR1020170089793A 2017-07-14 2017-07-14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KR20190007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793A KR20190007995A (ko) 2017-07-14 2017-07-14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793A KR20190007995A (ko) 2017-07-14 2017-07-14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995A true KR20190007995A (ko) 2019-01-23

Family

ID=6532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793A KR20190007995A (ko) 2017-07-14 2017-07-14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9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4768A1 (de) 2019-01-22 2020-07-23 Hyundai Mobis Co.,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motors
US20220290632A1 (en) * 2019-08-05 2022-09-15 Safran Nacelles Aircraft thrust reverser comprising a braking mechanism for slowing a mobile cowl in the event of overtrav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938U (ko) 2009-11-12 2011-05-18 신성운 반자동문의클로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938U (ko) 2009-11-12 2011-05-18 신성운 반자동문의클로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4768A1 (de) 2019-01-22 2020-07-23 Hyundai Mobis Co.,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motors
US20220290632A1 (en) * 2019-08-05 2022-09-15 Safran Nacelles Aircraft thrust reverser comprising a braking mechanism for slowing a mobile cowl in the event of overtravel
US12006893B2 (en) * 2019-08-05 2024-06-11 Safran Nacelles Aircraft thrust reverser comprising a braking mechanism for slowing a mobile cowl in the event of overtrav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8408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slidingly-separable connection between a movable barrier and a means for guiding the barrier
JP2003148045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KR20190007995A (ko)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US7798572B2 (en) Manual adjustment of a back support on a vehicle seat
US9163438B2 (en) Door stay
JP6215169B2 (ja) 引戸用の制動装置
KR101169607B1 (ko) 안전문
DK2522799T3 (en)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s
US20120285093A1 (en)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s
JP4755208B2 (ja) 自閉式引戸装置
KR101810484B1 (ko) 출입구 개폐장치
JP2011220054A (ja) 引き戸の制動装置
JP3168850U (ja) 引き戸の制動装置
JP5131899B2 (ja) 自閉式引戸の閉じ停止装置
JP4089879B2 (ja) 扉の異物引き込み防止装置
KR200485400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회전형 손끼임 방지구
KR10196644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자체 폐쇄 장치
KR102040123B1 (ko) 도어 안전장치
KR20220121503A (ko) 미닫이 방식의 3연동 도어용 양방향 속도 감속시스템
JP3527479B2 (ja) 引戸フリーストップ装置
KR101533917B1 (ko) 여닫이문의 급속닫힘 방지장치
KR200298366Y1 (ko) 도어의 닫힘방지장치
JP4023149B2 (ja) 跳ね上げ式門扉
KR102085310B1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JP2539249Y2 (ja) ドアの跳返り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