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926A -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 화장품의 제조 방법 및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 화장품의 제조 방법 및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926A
KR20190005926A KR1020187035231A KR20187035231A KR20190005926A KR 20190005926 A KR20190005926 A KR 20190005926A KR 1020187035231 A KR1020187035231 A KR 1020187035231A KR 20187035231 A KR20187035231 A KR 20187035231A KR 20190005926 A KR20190005926 A KR 20190005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niotic membrane
placenta
freezing
thawing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4196B1 (ko
Inventor
유키오 미쯔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루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루스
Publication of KR2019000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0Placenta; Placental stem cells; Amniotic fluid; Amnion; Amniot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채집한 태반 및 양막을 동결하는 분리 전 동결 공정(10)과, 태반 및 양막을 흐르는 물(流水)로 해동하는 분리 전 해동 공정(11)과, 태반 및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12)과, 태반과 양막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13)과, 양막을 물세척하는 양막 물세척 공정(14)과,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양막 물기빼기 공정(15)과, 양막을 세단하는 양막 세단 공정(16)과, 양막을 동결하는 양막 동결 공정(17)과, 양막을 해동하는 양막 해동 공정(18)과, 양막을 분해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는 추출 공정(19)을 갖고, 태반 및 양막은, 말로부터 채집된 것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태반 유래 원료보다도 안티에이징 효과에 유용한 성분이 많이 포함되는 엑기스 등의 제조 방법과, 그 엑기스 등이 배합된 화장품 및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 화장품의 제조 방법 및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사람, 돼지, 말 또는 양 등의 포유 동물의 양막(羊膜)을 원료로 하는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과, 양막 유래 원료를 배합한 화장품 및 건강 식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유 동물의 태반(胎盤)을 유래 원료로 하는 태반(플라센타: placenta) 엑기스 등의 태반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사람, 소, 돼지 또는 양의 태반을 동결하여 민스(mince)화하고, 융해하고, 물세척(水洗)한 후, 원심 또는 여과에 의해 탈수(脫水)하여 얻은 탈수 태반을, 물, 알칼리 프로테아제 등을 더하여, 가열, 교반(攪拌)을 행함으로써 효소 가수 분해 반응을 일으키고, 또한 가열한 후, 반응을 정지시켜서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하고, 상청액(上澄液, supernatant)을 채취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에틸알코올로 처리하여 에틸알코올 용출액(溶出液)으로 하고, 용출액을 감압 농축한 것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로 하는 태반 엑기스로 이루어지는 항알레르기제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혈액, 오물 및 악취 부위의 제거를 포함하는 전처리(前處理)를 한 태반과, 전처리 후의 태반 중량에 대해서 0.2중량%∼2중량%의 프로테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를, 가요성을 가지는 봉지체(袋體)에 내삽(內揷)하여 진공 포장하는 공정과, 진공 포장한 봉지체를, 50MPa 이상∼200MPa 미만의 압력으로, 20도∼50도의 범위 내에서 프로테아제를 포함하는 효소의 최적 온도로 제어한 상태에서, 1일∼3일 보존유지(保持)하는 추출 공정과, 봉지체 내의 내용물로부터 플라센타 엑기스 원액을 분리하는 고액(固液) 분리 공정을 가지는 플라센타 엑기스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효소 소화 과정에 있어서의 번잡함의 해소를 목적으로 하여, 사람 또는 돼지의 태반을, 특정의 내열성 중성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효소 소화하는 플라센타 엑기스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1-3987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6074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97033호
태반 유래 원료는, 단백질,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효소, 핵산 및 성장 인자(EGF 등) 등의 성분이 포함되는 것에 의해, 피부 대사의 촉진, 활성 산소 소거, 간 기능 강화, 항염증 작용 및 면역 부활(賦活, 활력 부여) 등의 안티에이징 효과가 있고, 화장품이나 건강 식품 등의 원료로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더욱더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이나 건강 식품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용 성분이 보다 많이 포함되는 엑기스 등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태반 유래 원료보다도 안티에이징 효과에 유용한 성분이 많이 포함되는 엑기스 등의 제조 방법과, 그 엑기스 등이 배합된 화장품 및 건강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의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은, 채집한 태반 및 양막을 동결하는 분리 전 동결 공정과, 상기 분리 전 동결 공정 후에,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을 흐르는 물(流水)로 해동하는 분리 전 해동 공정과, 상기 분리 전 해동 공정 후에,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의 물기빼기(水切)를 행하는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과, 상기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 후에, 상기 태반과 상기 양막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과, 상기 분리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물세척하는 양막 물세척 공정과, 상기 양막 물세척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양막 물기빼기 공정과, 상기 양막 물기빼기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세단(細斷)하는 양막 세단 공정과, 상기 양막 세단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동결하는 양막 동결 공정과, 상기 양막 동결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해동하는 양막 해동 공정과, 상기 양막 해동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분해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는 추출 공정을 갖고, 상기 추출 공정은, 상기 양막에 정제수 및 중성 프로테아제를 더하고, 추출 온도를 30도 이상 70도 이하, 추출 시간을 1시간 이상 10시간 이하로 한 것이며,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은, 말로부터 채집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의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은, 채집한 태반 및 양막을 동결하는 분리 전 동결 공정과, 상기 분리 전 동결 공정 후에,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을 흐르는 물로 해동하는 분리 전 해동 공정과, 상기 분리 전 해동 공정 후에,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과, 상기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 후에, 상기 태반과 상기 양막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과, 상기 분리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물세척하는 양막 물세척 공정과, 상기 양막 물세척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양막 물기빼기 공정과, 상기 양막 물기빼기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세단하는 양막 세단 공정과, 상기 양막 세단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동결하는 양막 동결 공정과, 상기 양막 동결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해동하는 양막 해동 공정과, 상기 양막 해동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분해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는 추출 공정을 갖고, 상기 추출 공정은, 상기 양막의 동결과 융해를 소정 횟수 반복하여 수용성 분획(畵分, fraction)을 분리하는 것이며,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은, 말로부터 채집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의 화장품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양막 유래 원료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의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양막 유래 원료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태반 유래 원료보다도 안티에이징 효과에 유용한 성분이 많이 포함되는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과, 양막 유래 원료가 배합된 화장품 및 건강 식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공정도.
도 2는 같은(同) 양막 유래 원료의 지표 성분을 정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같은 양막 유래 원료의 각질(角質) 수분량 보존유지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같은 양막 유래 원료의 사용감(使用感)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같은 양막 유래 원료를 손등에 도포한 경우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같은 양막 유래 원료의 비교예로서 태반 유래 원료를 손등에 도포한 경우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같은 양막 유래 원료를 다리(足)에 도포한 경우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같은 양막 유래 원료의 음용(飮用)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같은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에 의한 세포 부활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같은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에 의한 사람 섬유아세포(fibroblast)로부터의 콜라겐 산생(産生)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은, 채집한 태반 및 양막을 동결하는 분리 전 동결 공정과, 분리 전 동결 공정 후에, 태반 및 양막을 흐르는 물로 해동하는 분리 전 해동 공정과, 분리 전 해동 공정 후에, 태반 및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과,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 후에, 태반과 양막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과, 분리 공정 후에, 양막을 물세척하는 양막 물세척 공정과, 양막 물세척 공정 후에,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양막 물기빼기 공정과, 양막 물기빼기 공정 후에, 양막을 세단하는 양막 세단 공정과, 양막 세단 공정 후에, 양막을 동결하는 양막 동결 공정과, 양막 동결 공정 후에, 양막을 해동하는 양막 해동 공정과, 양막 해동 공정 후에, 양막을 분해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는 추출 공정을 갖고, 추출 공정은, 양막에 정제수 및 중성 프로테아제를 더하고, 추출 온도를 30도 이상 70도 이하, 추출 시간을 1시간 이상 10시간 이하로 한 것이며, 태반 및 양막은, 말로부터 채집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래의 태반 유래 원료보다도 안티에이징 효과에 유용한 성분이 많이 포함되는 양막 유래 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효율좋게 양막 엑기스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은, 채집한 태반 및 양막을 동결하는 분리 전 동결 공정과, 분리 전 동결 공정 후에, 태반 및 양막을 흐르는 물로 해동하는 분리 전 해동 공정과, 분리 전 해동 공정 후에, 태반 및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과,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 후에, 태반과 양막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과, 분리 공정 후에, 양막을 물세척하는 양막 물세척 공정과, 양막 물세척 공정 후에,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양막 물기빼기 공정과, 양막 물기빼기 공정 후에, 양막을 세단하는 양막 세단 공정과, 양막 세단 공정 후에, 양막을 동결하는 양막 동결 공정과, 양막 동결 공정 후에, 양막을 해동하는 양막 해동 공정과, 양막 해동 공정 후에, 양막을 분해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는 추출 공정을 갖고, 추출 공정은, 양막의 동결과 융해를 소정 횟수 반복하여 수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것이며, 태반 및 양막은, 말로부터 채집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래의 태반 유래 원료보다도 안티에이징 효과에 유용한 성분이 많이 포함되는 양막 유래 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양막 엑기스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장품의 제조 방법은,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양막 유래 원료를 배합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은,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양막 유래 원료를 배합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건강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과, 양막 유래 원료를 배합한 화장품 및 건강 식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양막 유래 원료(양막 엑기스)의 제조 방법은, 분리 전 동결 공정(10), 분리 전 해동 공정(11),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12), 분리 공정(13), 양막 물세척 공정(14), 양막 물기빼기 공정(15), 양막 세단 공정(16), 양막 동결 공정(17), 양막 해동 공정(18) 및 추출 공정(19)을 가진다.
분리 전 동결 공정(10)에 있어서는, 분만 직후에 채집한 태반 및 양막을, 즉시 약 -20도로 동결한다. 동결한 태반 및 양막은, 소정 장소까지 수송하여 보관한다. 이에 의해, 채집한 태반 및 양막을 양호한 상태로 보관할 수가 있다.
또한, 채집하는 태반 및 양막은, 사람, 돼지, 말 또는 양 등의 포유류 동물의 것이면 좋지만, 그 중에서도 안전성이 우수하고, 또한 화장품 및 건강 식품의 용도에 적합한 돼지 또는 말의 태반 및 양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 전 해동 공정(11)에 있어서는, 분리 전 동결 공정(10)에서 동결한 태반 및 양막을 용기에 넣고, 그 용기에 물을 흘리는 것에 의해서 태반 및 양막을 급속 해동한다. 분리 전 해동 공정(11)은, 분리 공정(13)을 개시하기 직전에 행한다.
또한, 태반 및 양막이 해동된 후도 물을 계속 흘린다. 물을 계속 흘리는 것에 의해, 태반이나 양막에 닿는(접촉하는) 물이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되고, 혈액 등으로 오염된 해동용 물이 태반이나 양막에 부착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양막 유래 원료가 화장품 또는 건강 식품 등의 최종 제품의 냄새나 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12)에 있어서는, 분리 전 해동 공정(11)에서 해동한 태반 및 양막을, 소쿠리 등의 물기빼기 용기에 넣어 물기를 뺀다. 이에 의해, 여분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후공정(後工程)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분리 공정(13)에 있어서는,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12)에서 물기를 뺀 태반 및 양막으로부터 양막을 분리한다.
태반 및 양막의 형상은 동물종(動物種)에 따라서 다르고, 예를 들어, 사람의 경우는 자궁의 일부에 원반모양(圓盤狀)으로 형성되는 반상(盤狀) 태반, 돼지 및 말의 경우는 자궁 내의 전체에 산재하여 형성되는 산재성 태반이라 불리는 구조이다. 태반으로부터 양막을 분리할 때는, 사람의 경우는 태반이 하나의 큰 덩어리(塊)로 되어 있으므로 작업이 명확하지만, 산재성 태반인 돼지 및 말의 경우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우선, 태반을 분리하기 전의 양막을 가위 등의 절단도구(切斷具)로 절개하여 늘린다. 다음에, 태반과 양막을 분리한다. 다음에, 분리한 양막에 부착한 태반 및 혈관을 남겨지는 것(取殘)이 없도록 주의하여 제거한다. 이에 의해, 태반과 양막을 효율좋게 분리할 수가 있고, 태반이나 혈관이 부착해 있지 않은 양막만을 추출에 이용(제공)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된 양막을 이용하여 추출 공정(19)에서 얻어진 양막 엑기스는, 안티에이징 효과에 유용한 성분이 보다 많이 포함된 양막 유래 원료로 된다. 또한, 화장품이나 건강 식품 등의 최종 제품에 배합하는 경우에, 최종 제품의 냄새나 색에의 영향이 적다.
양막 물세척 공정(14)에 있어서는, 분리 공정(13)에서 태반으로부터 분리한 양막을, 다시(재차) 물세척한다. 이에 의해, 분리한 양막에 태반이나 혈관이 남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양막 물기빼기 공정(15)에 있어서는, 양막 물세척 공정(14)에서 물세척한 양막을, 소쿠리 등의 물기빼기 용기에 넣어서 물기를 뺀다. 양막의 수분 제거, 즉 양막의 수분 관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양막의 중량이 수분에 의해서 고르지 않은(불규칙하게 분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양막 유래 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양막 물기빼기 공정(15) 후에 양막 세단 공정(16)을 행한다. 양막 세단 공정(16)에서 세단한 양막은, 다시 물기빼기를 한다. 다시 물기빼기를 행함으로써 수분 관리의 정밀도를 높이고, 양막의 중량의 수분에 의한 편차(불규칙한 분포)를 더욱더 억제하고, 양막 유래 원료의 품질을 보다 한층(한층 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양막 세단 공정(16)에 있어서는, 양막 물기빼기 공정(15)에서 탈수한 양막을, 민서(mincing machine, mincer, 재료를 잘게 썰거나 다지는 기계) 등의 세단기(細斷機)로 예를 들어 9밀리미터 스퀘어(millimeter square)로 세단한다.
양막 동결 공정(17)에 있어서는, 양막 세단 공정(16)에서 세단하여 물기를 뺀 양막의 중량을 측정하여 비닐 봉지(폴리에틸렌 자루(袋)) 등의 수납 용기에 넣고, 공기를 빼서 밀봉하고, 신속하게 냉동고에 넣어서 약 -20도로 양막을 동결시킨다. 이에 의해, 세단한 양막을 양호한 상태로 보관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양막 물기빼기 공정(15) 및 양막 세단 공정(16)에 있어서 수분 관리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측정되는 양막의 중량은, 수분에 의한 편차가 억제된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말의 태반으로부터는, 분리 전의 태반에 대한 중량%로 약 15%∼40%중량의 양막이 얻어진다.
양막 동결 공정(17)에서 동결한 양막은, 양막 해동 공정(18)에 있어서 해동한다.
추출 공정(19)에 있어서는, 양막 해동 공정(18)에서 해동한 양막에 대하여, 효소 처리, 가수 분해 처리, 산 처리 또는 동결 융해 등의 방법으로 분해 추출을 행한다. 이에 의해, 양막 엑기스를 얻을 수가 있다.
추출 공정(19)에서 얻어진 양막 엑기스를 원심 분리 또는 여과하는 것에 의해, 화장품이나 건강 식품 등에 배합하는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추출 공정(19)에서 얻어진 양막 엑기스를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는 것에 의해, 화장품이나 건강 식품 등에 배합하는 양막 엑기스의 분말 원료로 할 수가 있다.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 또는 분말 원료를 소정량 배합하는 것에 의해, 태반으로부터 분리한 양막의 엑기스가 배합된 화장품 또는 건강 식품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양막 해동 공정(18) 후, 추출 공정(19)으로는 이행하지 않고, 해동한 양막에 대하여 프리즈드라이(freeze dry) 등의 건조를 행하여 파쇄(破碎)한 경우에는, 양막의 분말 원료를 얻을 수가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제조한 양막 엑기스의 지표 성분을 효소 면역 측정법에 의해 정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단위: pg/g).
지표 성분은, 사이토카인(cytokine)류인 Epidermal Growth Factor(EGF), acidic Fibroblast Growth Factor(aFGF), Hepatocyte Growth Factor(HGF),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11(GDF-11)로 했다.
도 2의 (a)는, 양막 엑기스의 분말 원료의 지표 성분을 정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양막 엑기스의 분말 원료는, 양막 세단 공정(16)에 있어서 양막을 민스 상태로 세단한 후, 양막 동결 공정(17) 및 양막 해동 공정(18)을 거쳐, 추출 공정(19)에 있어서 정제수와 중성 프로테아제를 더하여, 추출 온도를 30도 이상 70도 이하, 추출 시간을 1시간 이상 10시간 이하로 하여 처리하고, 얻어진 양막 엑기스를 동결 건조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유래 원료로 말의 양막을 이용한 경우를 실시예 1, 돼지의 양막을 이용한 경우를 실시예 2로 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a)에는, 비교예로서, 태반 엑기스의 분말 원료의 지표 성분을 정량한 결과를 함께 나타내고 있다. 태반 엑기스의 분말 원료는, 양막 대신에 분리 전의 태반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2에서 같은 조건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유래 원료로 말의 태반을 이용한 경우를 비교예 1, 돼지의 태반을 이용한 경우를 비교예 2로 하고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는, 비교예 1, 2에 비해 지표 성분이 높은 값으로 밸런스 좋게 검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GDF-11에 관해서는, 비교예 1, 2에서는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검출되어도 낮은 값인데 대해서, 실시예 1, 2에서는 높은 값이 검출되고 있다. 이들 지표 성분은 안티에이징에 유용한 성분이기 때문에, 태반으로부터 분리한 양막을 이용한 양막 엑기스의 분말 원료를 배합함으로써, 양막을 분리하기 전의 태반 또는 양막을 분리한 후의 태반을 이용한 태반 엑기스의 분말 원료를 배합한 경우보다도,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이나 건강 식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GDF-11에 대해서는, 실시예 2보다도 실시예 1 쪽이 높은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GDF-11을 많이 포함시키고 싶은 경우는, 말의 양막 엑기스의 분말 원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b)는,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의 지표 성분을 정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는, 양막 세단 공정(16)에 있어서 양막을 민스 상태로 세단한 후, 양막 동결 공정(17) 및 양막 해동 공정(18)을 거쳐, 추출 공정(19)에 있어서 동결과 융해를 소정 횟수 반복하여 수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유래 원료로 말의 양막을 이용한 경우를 실시예 3, 돼지의 양막을 이용한 경우를 실시예 4로 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b)에는, 비교예로서, 태반 엑기스의 액체 원료의 지표 성분을 정량한 결과를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 태반 엑기스의 액체 원료는, 양막 대신에 분리 전의 태반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4와 같은 조건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유래 원료로 말의 태반을 이용한 경우를 비교예 3, 돼지의 태반을 이용한 경우를 비교예 4로 하고 있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4는, 비교예 3, 4에 비해 지표 성분이 높은 값으로 밸런스 좋게 검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GDF-11에 관해서는, 비교예 3, 4에서는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검출되어도 낮은 값인데 대해서, 실시예 3, 4에서는 높은 값이 검출되고 있다. 이들 지표 성분은 안티에이징에 유용한 성분이기 때문에, 태반으로부터 분리한 양막을 이용한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를 배합함으로써, 양막을 분리하기 전의 태반 또는 양막을 분리한 후의 태반을 이용한 태반 엑기스의 액체 원료를 배합한 경우보다도, 안티에이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이나 건강 식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GDF-11에 대해서는, 실시예 4보다도 실시예 3 쪽이 높은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GDF-11을 많이 포함시키고 싶은 경우는, 말의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제조한 양막 엑기스의 각질 수분량 보존유지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로축(橫軸)은 경과 시간(min), 세로축(縱軸)은 각질 수분량(㎲)이다.
도면 중 「▲」는, 양막 세단 공정(16)에 있어서 말의 양막을 민스 상태로 세단한 후, 양막 동결 공정(17) 및 양막 해동 공정(18)을 거쳐, 추출 공정(19)에 있어서 정제수와 중성 프로테아제를 더하여, 추출 온도를 30도 이상 70도 이하, 추출 시간을 1시간 이상 10시간 이하로 하여 처리하고, 0.2㎛의 여과를 행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양막 엑기스의 데이터이다(실시예 5).
또한, 도면 중 「■」 및 「◆」는, 비교예의 데이터이다. 「■」는, 말의 태반을 처리하여 얻어진 태반 엑기스의 데이터를 나타내고(비교예 5), 「◆」는, 양막 엑기스도 태반 엑기스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무첨가의 대조군(control)(물)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비교예 6). 또한, 비교예 5의 태반 엑기스는, 양막 대신에 태반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조건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양막 엑기스는, 도포하고 나서 90분 이후에 있어서, 비교예 5의 태반 엑기스를 도포한 경우에 비해 각질 수분량이 상회하고 있고, 비교예 5의 태반 엑기스보다도 지속적인 보습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제조한 양막 엑기스의 사용감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감 테스트는, 양막 엑기스가 1% 배합된 화장수에 대해서, 사람 모니터요원(monitor)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1개월 행하고, 「촉촉함」, 「팽팽함(張)」, 「윤기(艶)」 및 「부드러움(柔)」의 각 항목에 대하여 평가를 얻었다.
사용감 테스트에 사용한 양막 엑기스는, 유래 원료를 말의 양막으로 하고, 양막 세단 공정(16)에 있어서 양막을 민스 상태로 세단한 후, 양막 동결 공정(17) 및 양막 해동 공정(18)을 거쳐, 추출 공정(19)에 있어서 정제수와 중성 프로테아제를 더하여, 추출 온도를 30도 이상 70도 이하, 추출 시간을 1시간 이상 10시간 이하로 하여 처리하고, 0.2㎛의 여과를 행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촉촉함(보습 효과)」, 「팽팽함」, 「윤기」 및 「부드러움」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향상 효과가 확인되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제조한 양막 엑기스를 손등에 도포한 경우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실시예 6). 또한, 도 6은, 비교예로서 태반 엑기스를 손등에 도포한 경우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비교예 7). 또한,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제조한 양막 엑기스를 다리에 도포한 경우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실시예 7).
실시예 6, 7의 양막 엑기스는, 유래 원료를 말의 양막으로 하고, 양막 세단 공정(16)에 있어서 양막을 민스 상태로 세단한 후, 양막 동결 공정(17) 및 양막 해동 공정(18)을 거쳐, 추출 공정(19)에 있어서 정제수와 중성 프로테아제를 더하여, 추출 온도를 30도 이상 70도 이하, 추출 시간을 1시간 이상 10시간 이하로 하여 처리하고, 0.2㎛의 여과를 행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또한, 비교예 7의 태반 엑기스는, 양막 대신에 태반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양막 엑기스와 같은 조건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효과는, 양막 엑기스를 도포하는 군으로서 사람 모니터요원 A∼E의 5명, 태반 엑기스를 도포하는 군으로서 사람 모니터요원 F∼J의 5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하의 순서로 5일간 행함으로써 확인했다.
1. 도포 전에 피부의 살결(肌理)을 촬영한다.
2. 그 후, 1일 1회 손등에 양막 엑기스 또는 태반 엑기스를 도포한다. 또한, 사람 모니터요원 A에 대해서는, 다리에도 양막 엑기스를 도포한다.
3. 마지막 날(最終日)의 같은 시간에 다시 피부의 살결을 촬영한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는, 사람 모니터요원마다 살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e)는 각각 사람 모니터요원 A∼E의 살결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의 (a)∼(e)는 각각 사람 모니터요원 F∼J의 살결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각 (a)∼(e)에 있어서, 좌측이 도포 전의 살결 상태, 우측이 마지막 날의 살결 상태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막 엑기스를 손등에 도포한 결과, 태반 엑기스를 손등에 도포한 결과와 동등 이상으로, 피부의 세밀함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7의 (a)에 있어서는, 사람 모니터요원 A에 대해서, 좌측이 도포 전의 살결 상태, 우측이 마지막 날의 살결 상태이다. 또한, 도 7의 (b)에 있어서는, 상단(上段)이 첫날(初日)의 도포 전의 피부 상태를 나타내고, 하단(下段)이 마지막 날의 피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막 엑기스를 다리에 도포한 결과, 피부의 건조가 개선되어 피부의 세밀함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막 엑기스를 다리에 도포한 결과, 습진이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제조한 양막 엑기스의 음용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용 테스트는, 말의 양막 엑기스의 분말 원료를 하드 캡슐에 충전(充塡)한 건강 식품(실시예 8)과, 말의 태반 엑기스의 분말 원료를 하드 캡슐에 충전한 건강 식품(비교예 8)에 대하여, 사람 모니터요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합계 10일간 행하고, 「섭취(음용)하기 쉬움」, 「냄새」, 「컨디션의 좋은 변화」, 「피부의 습기(潤, 습윤함)」, 「피부의 팽팽함·탄력(彈力)」 및 「피부결」의 각 항목에 대하여 평가를 얻었다.
음용 테스트에 사용한 양막 엑기스의 분말 원료는, 유래 원료를 말의 양막으로 하고, 양막 세단 공정(16)에 있어서 양막을 민스 상태로 세단한 후, 양막 동결 공정(17) 및 양막 해동 공정(18)을 거쳐, 추출 공정(19)에 있어서 정제수와 중성 프로테아제를 더하여, 추출 온도를 30도 이상 70도 이하, 추출 시간을 1시간 이상 10시간 이하로 하여 처리하고, 얻어진 양막 엑기스를 동결 건조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또한, 태반 엑기스의 분말 원료는, 양막 대신에 태반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은 조건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음용 테스트는, 이하의 방법으로 행하고, 각 항목에 대하여 실시예 8과 비교예 8의 어느 쪽이 우수한지를 사람 모니터요원이 선택해 주었다.
제1 그룹(사람 모니터요원 5명): (1) 실시예 8의 건강 식품을 5일간 음용→(2) 비교예 8의 건강 식품을 5일간 음용(합계 1개월이 될 때까지 (1)과 (2)를 반복한다)
제2 그룹(사람 모니터요원 5명): (1) 비교예 8의 건강 식품을 5일간 음용→(2) 실시예 8의 건강 식품을 5일간 음용(합계 1개월이 될 때까지 (1)과 (2)를 반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8의 양막 엑기스는, 「섭취하기 쉬움」, 「냄새」 및 「피부의 습기」의 항목에 있어서 비교예 8의 태반 엑기스와 동등한 체감(體感)이 얻어지고, 「컨디션의 좋은 변화」, 「피부의 팽팽함·탄력」 및 「피부결」에 있어서 비교예 8의 태반 엑기스보다도 체감의 향상 효과가 확인되었다.
도 9는,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에 의한 세포 부활(활력 부여)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의 (a)는 표피 세포에 대한 결과, 도 9의 (b)는 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가로축은 양막 엑기스 농도(%), 세로축은 세포 활성화율(活性化率)(%)이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의 각각에 있어서 좌단(左端)에는, 양막 엑기스를 첨가하고 있지 않은 대조군(control)의 데이터를 비교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는, 양막 세단 공정(16)에 있어서 양막을 민스 상태로 세단한 후, 양막 동결 공정(17) 및 양막 해동 공정(18)을 거쳐, 추출 공정(19)에 있어서 동결과 융해를 소정 횟수 반복하여 수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유래 원료로는 말의 양막을 이용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양막 엑기스는, 표피 세포, 및 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부활 작용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에 의한 사람 섬유아세포로부터의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로축은 양막 엑기스 농도(%), 세로축은 콜라겐 산생율(産生率)(%)이다. 좌단에는, 양막 엑기스를 첨가하고 있지 않은 대조군(control)의 데이터를 비교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양막 엑기스의 액체 원료는, 양막 세단 공정(16)에 있어서 양막을 민스 상태로 세단한 후, 양막 동결 공정(17) 및 양막 해동 공정(18)을 거쳐, 추출 공정(19)에 있어서 동결과 융해를 소정 횟수 반복하여 수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유래 원료로는 말의 양막을 이용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양막 엑기스는, 섬유아세포로부터의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태반 유래 원료보다도 안티에이징 효과에 유용한 성분이 많이 포함되는 양막 유래 원료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양막 유래 원료가 배합된 화장품이나 건강 식품 등을 제공할 수가 있다.
10: 분리 전 동결 공정
11: 분리 전 해동 공정
12: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
13: 분리 공정
14: 양막 물세척 공정
15: 양막 물기빼기 공정
16: 양막 세단 공정
17: 양막 동결 공정
18: 양막 해동 공정
19: 추출 공정

Claims (4)

  1. 채집한 태반(胎盤) 및 양막(羊膜)을 동결하는 분리 전 동결 공정과,
    상기 분리 전 동결 공정 후에,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을 흐르는 물(流水)로 해동하는 분리 전 해동 공정과,
    상기 분리 전 해동 공정 후에,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과,
    상기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 후에, 상기 태반과 상기 양막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과,
    상기 분리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물세척하는 양막 물세척 공정과,
    상기 양막 물세척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양막 물기빼기 공정과,
    상기 양막 물기빼기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세단하는 양막 세단 공정과,
    상기 양막 세단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동결하는 양막 동결 공정과,
    상기 양막 동결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해동하는 양막 해동 공정과,
    상기 양막 해동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분해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는 추출 공정을 갖고,
    상기 추출 공정은, 상기 양막에 정제수 및 중성 프로테아제를 더하고, 추출 온도를 30도 이상 70도 이하, 추출 시간을 1시간 이상 10시간 이하로 한 것이며,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은, 말(馬)로부터 채집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
  2. 채집한 태반 및 양막을 동결하는 분리 전 동결 공정과,
    상기 분리 전 동결 공정 후에,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을 흐르는 물로 해동하는 분리 전 해동 공정과,
    상기 분리 전 해동 공정 후에,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과,
    상기 분리 전 물기빼기 공정 후에, 상기 태반과 상기 양막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과,
    상기 분리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물세척하는 양막 물세척 공정과,
    상기 양막 물세척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의 물기빼기를 행하는 양막 물기빼기 공정과,
    상기 양막 물기빼기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세단하는 양막 세단 공정과,
    상기 양막 세단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동결하는 양막 동결 공정과,
    상기 양막 동결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해동하는 양막 해동 공정과,
    상기 양막 해동 공정 후에, 상기 양막을 분해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는 추출 공정을 갖고,
    상기 추출 공정은, 상기 양막의 동결과 융해를 소정 횟수 반복하여 수용성 분획(畵分, fraction)을 분리하는 것이며,
    상기 태반 및 상기 양막은, 말로부터 채집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양막 유래 원료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양막 유래 원료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KR1020187035231A 2017-05-10 2018-05-09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 화장품의 제조 방법 및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KR102104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3908 2017-05-10
JP2017093908A JP6373444B1 (ja) 2017-05-10 2017-05-10 羊膜由来原料の製造方法、化粧品の製造方法及び健康食品の製造方法
PCT/JP2018/017891 WO2018207810A1 (ja) 2017-05-10 2018-05-09 羊膜由来原料の製造方法、化粧品の製造方法及び健康食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926A true KR20190005926A (ko) 2019-01-16
KR102104196B1 KR102104196B1 (ko) 2020-04-23

Family

ID=6316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231A KR102104196B1 (ko) 2017-05-10 2018-05-09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 화장품의 제조 방법 및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373444B1 (ko)
KR (1) KR102104196B1 (ko)
CN (1) CN109247011B (ko)
RU (1) RU2733542C1 (ko)
TW (1) TWI688393B (ko)
WO (1) WO20182078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124B1 (ko) * 2022-08-18 2023-02-23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아미노산이 다량 포함된 양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4606B1 (ja) * 2021-03-30 2021-10-06 新日本製薬株式会社 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
JP2023101072A (ja) * 2022-01-07 2023-07-20 株式会社ホルス 抽出物の製造方法、化粧品の製造方法、及び経口物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879A (ja) 1999-07-30 2001-02-13 Koji Murata 胎盤エキスの精製により成る抗アレルギー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97033A (ja) 2002-09-05 2004-04-02 Eiji Kimoto プラセンタエキスの製造方法
JP2006045070A (ja) * 2004-07-30 2006-02-16 Hiroshi Hara 胎盤による組織療法
WO2007038686A2 (en) * 2005-09-27 2007-04-05 Tissuetech, Inc. Amniotic membrane preparations and purifi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20100138164A (ko) * 2009-06-24 2010-12-31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말 태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1160742A (ja) 2010-02-12 2011-08-25 Yamamoto Kenji プラセンタエキス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1313A1 (fr) * 1999-05-19 2001-05-25 Coletica Produit collagenique contenant du collagene d'origine marine a faible odeur et de preference a proprietes mecaniques ameliorees, ainsi que son utilisation sous forme de compositions ou de produits cosmetiques ou pharmaceutiques
EP1549328A4 (en) * 2002-09-18 2009-07-08 Emiliano Ghinelli USE OF A HUMAN SHEEP SKIN COMPOSITION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DISEASES AND STATES OF EYE AND SKIN
RU2252017C1 (ru) * 2004-06-22 2005-05-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WO2012033352A2 (ko) * 2010-09-08 2012-03-15 주식회사 강스템홀딩스 말과동물 양수 유래 다분화능 줄기세포 및 그 제조방법
CN102225217A (zh) * 2011-06-23 2011-10-26 天津世纪康泰生物医学工程有限公司 脱细胞干燥活性羊膜的制备方法
KR101906156B1 (ko) * 2011-11-22 2018-10-12 주식회사 강스템바이오텍 말과동물 양막-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CN103789258A (zh) * 2012-11-30 2014-05-14 陆华 人羊膜间充质干细胞的分离方法
EP2970882B1 (en) * 2013-03-15 2018-11-28 AlloSource Cell repopulated collagen matrix for soft tissue repair and regeneration
CN103446184A (zh) * 2013-08-16 2013-12-18 南京医科大学 羊膜间充质干细胞在制备延长寿命的药物、保健品或化妆品中的应用
JP6282243B2 (ja) * 2015-03-11 2018-02-21 株式会社ホルス 発酵熟成プラセンタ溶液の製造方法
CN104974980B (zh) * 2015-05-21 2018-06-22 重庆市细胞生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人类羊膜上皮细胞的分离方法
MA45272A (fr) * 2015-06-27 2018-05-02 Stimlabs Llc Produits issus de liquide amniotique et procédés d'utilisation
CN105062959A (zh) * 2015-09-20 2015-11-18 领航干细胞再生医学工程有限公司 一种人羊膜间充质干细胞的分离培养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879A (ja) 1999-07-30 2001-02-13 Koji Murata 胎盤エキスの精製により成る抗アレルギー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97033A (ja) 2002-09-05 2004-04-02 Eiji Kimoto プラセンタエキスの製造方法
JP2006045070A (ja) * 2004-07-30 2006-02-16 Hiroshi Hara 胎盤による組織療法
WO2007038686A2 (en) * 2005-09-27 2007-04-05 Tissuetech, Inc. Amniotic membrane preparations and purifi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20100138164A (ko) * 2009-06-24 2010-12-31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말 태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1160742A (ja) 2010-02-12 2011-08-25 Yamamoto Kenji プラセンタエキス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124B1 (ko) * 2022-08-18 2023-02-23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아미노산이 다량 포함된 양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196B1 (ko) 2020-04-23
JP6373444B1 (ja) 2018-08-15
RU2733542C1 (ru) 2020-10-05
WO2018207810A1 (ja) 2018-11-15
CN109247011B (zh) 2021-11-23
JP2018188401A (ja) 2018-11-29
CN109247011A (zh) 2019-01-18
TW201900189A (zh) 2019-01-01
TWI688393B (zh) 2020-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02071A1 (en) Method for preparing active protein peptide and prepared active protein peptide and use thereof
KR20190005926A (ko) 양막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 화장품의 제조 방법 및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JP6117456B1 (ja) 胎盤由来成分を含有するシワ改善用組成物
CA3167224A1 (en) Method for obtaining collagen peptide from starfish, elastic liposome comprising starfish-derived collagen peptid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EP0107885B1 (en) Cosmetic preparations promoting the trophism of the skin and of the related hair follicles
CN106821939A (zh) 羊胚胎素的提取方法及含有其提取物的制剂
CN106866816A (zh) 从猪皮中提取胶原蛋白的酸酶结合法
CN110693757A (zh) 一种含羟基酸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671695B (zh) 一种皮肤修复乳液及其在皮肤修复、抗皱中的应用
JP7387741B2 (ja) バラの木抽出物
JPS62236499A (ja) 生物学的に活性なポリペプチド、そ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らを含有する組成物
JP6326413B2 (ja) ペントシジン生成阻害剤
KR101618726B1 (ko) 명태껍질로부터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단백질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90003303A (ko) 피부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Ruksiriwanich et al. Optimization of placenta extraction for wound healing activity
KR20070052248A (ko) 천연 발모 촉진제 조성물
CN110090196A (zh) 一种胎盘蛋白面膜及其制备方法
WO2023132120A1 (ja) 抽出物の製造方法、化粧品の製造方法、及び経口物の製造方法
CN111317705B (zh) 一种抑制黑色素生长的蜗牛提取物及其在制备日化品中的应用
KR20230088026A (ko) 인체지방유래 세포외기질을 이용한 3d 프린팅용 바이오잉크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포지지체 제작
KR102113492B1 (ko)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을 함유하는 세포외기질 합성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20230090801A (ko) 혈액 유래 활성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U2014200062A1 (en) Metabolized conditioned growth medium and methods of use
JPS6237011B2 (ko)
TW201228669A (en) The method for extracts preparation which have activity for antioxidant, cell proliferation and melanin inhibit from poul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