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502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502A
KR20190005502A KR1020170086244A KR20170086244A KR20190005502A KR 20190005502 A KR20190005502 A KR 20190005502A KR 1020170086244 A KR1020170086244 A KR 1020170086244A KR 20170086244 A KR20170086244 A KR 20170086244A KR 20190005502 A KR20190005502 A KR 20190005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tub
door
cabinet door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037B1 (ko
Inventor
심형민
김성민
김승준
박승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0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3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locking a plurality of wings, e.g. simultaneous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캐비닛 투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캐비닛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와 연장선상에 위치치하는 터브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개폐하는 캐비닛 도어와, 상기 터브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와, 상기 전방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도어가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폐쇄됨에 따라 작동되는 연동 가압부와, 상기 캐비닛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브 투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터브 도어를 가압하는 연동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세탁장치{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장치의 도어 구조를 개선하여 세탁장치의 작동시 터브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세탁장치의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장치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세탁코스, 헹굼코스, 탈수코스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최근에는 세탁조가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세탁장치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이 꼬이고 세탁물에 주름이 많이 생기는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드럼형 세탁장치의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탁장치(10)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캐비닛(11)과, 본체 캐비닛(11)의 내측에 위치하며 댐퍼(14)와 스프링(16)에 의해 지지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3)와, 터브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넣을 수 있는 원통형상의 드럼(15)으로 크게 구분되고, 드럼(15)은 드럼(15) 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구동부(17)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10)의 경우 터브(13) 내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터브(13)의 개구부와 본체 캐비닛(11) 사이에 가스켓(19)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10)는 드럼(15)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기 위하여 드럼(15)이 회전될 때 드럼(15)의 회전력 및 세탁물의 편심 등의 원인에 의해 필연적으로 진동을 유발하게 되고, 드럼(15)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은 터브(13) 및 캐비닛(11)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여기서, 터브(13)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의 경우 캐비닛(11)과 터브(13)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가스켓(19)을 통하여 캐비닛(11)으로 전달되며, 캐비닛(11)의 진동 및 소음으로 발생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10)의 경우 터브(13)를 폐쇄하는 도어(12)와 회전되는 드럼(15) 사이로 세탁물이 개제되며, 도어와 드럼 사이에 세탁물이 개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12)의 내측면을 터브(13)의 개구부 또는 드럼(15)의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12)의 돌출 구조는 세탁용량을 차지하게 되어 실질적인 세탁용량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터브의 진동이 가스켓을 통하여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와 캐비닛 사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터브의 진동 및 소음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캐비닛과 터브 사이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 구조에 비하여 터브 용량을 대용량화 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캐비닛 도어의 잠금/해제구조를 개선하여 캐비닛 도어 및 터브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캐비닛 도어가 닫힘에 따라 연동되어 터브 도어가 닫히도록 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캐비닛 투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캐비닛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와 연장선상에 위치치하는 터브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개폐하는 캐비닛 도어와, 상기 터브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와, 상기 전방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도어가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폐쇄됨에 따라 작동되는 연동 가압부와, 상기 캐비닛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브 투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터브 도어를 가압하는 연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캐비닛 도어락을 구비하며, 상기 캐비닛 도어락은 상기 연동 가압부로 상기 캐비닛 도어의 폐쇄 상태를 감지/전달하는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연동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회동 레버와, 상기 회동 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브 도어를 가압하는 롤러 레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 레버는 상기 연동 가압부의 작동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터브 도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도어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에 접하는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에 체결되어 외측면을 형성하며 캐비닛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손잡이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연동 가압부에 가압되는 회동 레버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회동 레버에 상기 연동 가압부의 작동력이 작용될 때 상기 터브 도어를 가압하는 롤러 레버를 구비하는 회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 플레이트는 상기 연동 가압부의 작동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롤러 레버가 상기 터브 도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상기 롤러 레버가 상기 터브 도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회동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회동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도어는 상기 터브 투입구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도어는 상기 터브 도어의 개방에 따라 연동되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캐비닛 도어락을 구비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터브 도어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도어락은 상기 캐비닛 도어락의 상기 캐비닛 도어 잠금 해제에 연동되어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을 해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 가압부는 상기 연동장치에 가해지는 작동력을 일정시간 작동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캐비닛 투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캐비닛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와 연장선상에 위치치하는 터브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 및 상기 터브 투입구로 투입되는 세탁물이 적재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개폐하는 캐비닛 도어와, 상기 터브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캐비닛 도어락과, 상기 터브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터브 도어락과, 상기 전방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도어락에서 상기 캐비닛 도어에 의해 상기 캐비닛 투입구 폐쇄가 감지됨에 따라 작동되는 연동 가압부, 및 상기 캐비닛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브 투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터브 도어를 가압하는 연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캐비닛 도어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연동 가압부에 가압되는 회동 레버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회동 레버에 상기 연동 가압부의 작동력이 작용될 때 상기 터브 도어를 가압하는 롤러 레버를 구비하는 회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와 캐비닛 사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터브의 진동 및 소음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캐비닛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여 사용자에게 불쾌한 진동 및 소음이 전해지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와 캐비닛 사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터브의 용량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캐비닛 도어의 잠금/해제구조를 개선하여 캐비닛 도어 및 터브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캐비닛 도어가 닫힘에 따라 연동되어 터브 도어가 닫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주요부인 캐비닛 도어와 터브 도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캐비닛 도어를 상세히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캐비닛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도어 연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도어 연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도어 연동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개폐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주요부인 캐비닛 도어와 터브 도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200)과, 캐비닛(200) 내측에 댐퍼/스프링과 같은 서스펜션(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300, 도 참고)와, 터브(300) 내측에 세탁물이 적재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미도시)과,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200)은 세탁장치의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 캐비닛(210),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우 캐비닛,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캐비닛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캐비닛(210)의 중앙부에는 드럼의 적재공간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캐비닛 투입구(미도시) 및 캐비닛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캐비닛 도어(220)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300)는 캐비닛(200)의 캐비닛 투입구와 분리된 상태로 캐비닛 투입구의 연장선상에 위치하여 세탁물의 투입을 위한 터브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되며, 터브 투입구의 일측에는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304)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캐비닛 도어(220) 및 터브 도어(304)에 관련된 것으로, 다른 구성부(에를 들어 드럼, 서스펜션, 급수부, 배수부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전방 캐비닛(210)의 상측(즉, 캐비닛 투입구의 상측)에는 세탁장치(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 및 표시하기 위한 조작부 및 표시부가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2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 도어(220)는 캐비닛 투입구의 일측에 회동되어 개방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캐비닛 도어(220)의 힌지 결합되는 부분의 대향되는 측에는 사용자가 캐비닛 도어(220)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부(228)가 형성되며, 손잡이부(228)의 내측에는 캐비닛 도어(2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229)가 구비되며 캐비닛 투입구의 일측 소정부에는 해제 레버(229)에 대응되는 위치로 캐비닛 도어락(215)(도 5참고)이 구비된다. 한편, 캐비닛 도어(220)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터브 투입구의 외측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브(300)의 질량을 증가시켜 터브(300)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상/하부 웨이트 밸런서(302, 303)가 구비되며, 터브(300)의 전방에 형성된 터브 투입구의 일측에는 캐비닛(200)과 분리되어 터브(300)의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304)가 구비된다.
여기서 터브(300)의 전방에 형성되는 터브 투입구는 전방 캐비닛(210) 측으로 돌출되는 링 형태의 림부(301)가 형성된다. 한편, 터브 도어(304)는 림부(30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림부(301)의 타측에는 터브 도어(304)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터브 도어락(306)이 구비된다.
한편, 터브 도어락(306)은 터브 도어(304)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별도의 작동체(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등)가 구비되며, 작동체는 후술할 캐비닛 도어락(215)의 감지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캐비닛 도어락(215)의 캐비닛 도어(220) 잠금 해제에 연동되어 터브 도어(304)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터브 도어(304), 터브 도어락(306)의 경우 캐비닛(200)과의 구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터브(300)는 캐비닛(200)과 구조적으로 서스펜션(미도시)에 의해 독립적으로 지지된다. 즉, 기존의 세탁장치(100)에서와 같이 터브(300)와 캐비닛(200) 사이에 서스펜션 이외의 가스켓(19, 도 1참고)이 구비되지 않아 터브(300)의 진동이 온전히 서스펜션만으로 지지하여 터브(300)의 진동이 캐비닛(200)으로 전달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한편, 터브 도어(304)는 터브 도어(304)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터브 투입구와의 씰링을 위한 가스켓(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터브 도어(304)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터브(300) 내부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광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터브 도어(304)의 외측면은 후술할 캐비닛 도어(220)의 연동 장치(240)에 의해 가압되도록 평면상태의 가압면(30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터브 도어(304)의 터브 도어락(306)의 경우 터브 도어(304)를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터브 도어(304)에 구비되는 터브 후크(미도시)가 구비되며, 터브 도어락(306)은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터브 도어(304)에 구비되는 터브 후크(231)를 고정 및 해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브 도어(304)는 터브 투입구에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별도의 탄성체에 의해 항상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터브 도어(304)가 터브 도어락(306)에 의한 잠금 상태가 해제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캐비닛 도어(220)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터브 도어락(306)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경우 캐비닛 도어(220)와 터브 도어(304)가 같이 개방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캐비닛 도어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캐비닛 도어를 상세히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캐비닛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방 캐비닛(210)에 형성된 캐비닛 투입구의 일측에는 캐비닛 도어(22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캐비닛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캐비닛 힌지 장착부의 대향되는 타측에는 캐비닛 도어(220)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캐비닛 도어락(215)이 구비된다.
여기서, 캐비닛 도어락(215)은 전방 캐비닛(210) 내측에 설치되어 전방 캐비닛(2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캐비닛 도어락(215)의 경우 캐비닛 도어(22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터브 도어락(306)으로 전달하는 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 도어(2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캐비닛(210)의 캐비닛 투입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캐비닛 투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캐비닛 도어(220)의 외측을 형성하는 외측 프레임(227)과, 캐비닛 도어(220)의 내측을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221)과, 외측 프레임(227)의 전면에 부착되어 캐비닛 도어(220)의 전면을 형성하는 데코 프레임(235)을 구비한다.
여기서, 내측 프레임(221)은 전면 캐비닛의 전면 대부분을 형성하도록 확장되어 형성되며, 일측에는 전방 캐비닛(210)에 체결되는 캐비닛 도어 힌지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내측 프레임(221)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장착부(226)가 형성된다. 또한, 장착부(226)의 대향되는 측에는 터브 도어(304)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연동 장치(240) 및 캐비닛 도어의 잠금 상태가 설정되는 후크(231)가 설치된다.
또한, 내측 프레임(221)에는 후술할 연동 장치(240)의 회동 레버(247)가 전방 캐비닛(210)의 연동 가압부(219)로 회동되도록 제 1관통홀(224)이 형성되고, 연동 장치(240)의 롤러 레버(248)가 터브 도어(304)측으로 회동되도록 제 2관통홀이 형성된다(도 4참조).
한편, 내측 프레임(221)의 외측면(즉, 외측 프레임(227)이 체결되는 면) 내측 프레임(22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222)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다수의 리브(222)의 연결부에는 외측 프레임(227)이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되기 위한 결합홀(223)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 프레임(227)은 내측 프레임(221)에 체결되도록 내측 프레임(221)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에는 캐비닛 도어(220)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부(228)가 형성된다. 여기서, 손잡이부(228)의 내측으로는 캐비닛 도어(220)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해제 레버(229) 및 터브 도어(304)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연동 장치(240)가 설치된다.
또한, 데코 프레임(235)은 외측 프레임(227)의 외측면에 체결되도록 외측 프레임(227)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에는 외측 프레임(227)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28)가 노출되도록 요입홈(237)이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외측 프레임(227), 내측 프레임(221), 데코부재는 세탁장치(100)의 내부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캐비닛 도어(220)의 외측면(즉, 외측 프레임(227) 및 데코 프레임(235)의 외측면)은 전방 캐비닛(210)의 외형을 따라 전방 캐비닛(210)의 연장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도어(220)의 손잡이부(228)에 구비되는 해제 레버(229)에는 캐비닛 도어락(21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231)가 구비되며, 해제 레버(229)는 사용자가 캐비닛 도어(220)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에 따라 캐비닛 도어(220)의 후크(231)를 회동시켜 캐비닛 도어락(215)에서 이탈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해제 레버(229)와 후크(231)는 동일한 하나의 회전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회전축에 구비되는 탄성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후크(231)는 후크 고정부(217)에 거치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해제 레버(229)는 후크(231)가 후크 고정부(217)에 거치되는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해제 레버(229)에는 해제 레버(229)가 캐비닛 도어(2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만 후크(231)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후크에 거치되는 후크 지지부(232)가 형성된다.
한편, 캐비닛 투입구 타측에는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락(215)은 캐비닛 도어(220)에 구비되는 후크(231)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부(216)와, 후크 삽입부(216)의 일측에 위치하여 소정의 탄성력으로 후크 삽입부(216)에 삽입된 후크(231)를 고정하는 후크 고정부(217)가 구비된다. 여기서, 캐비닛 도어락(215)을 구성하는 후크 삽입부(216) 및 후크 고정부(217)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해제 레버(229)를 당김으로서 해제 레버(229)가 회전되고, 해제 레버(229)가 회전되면서 해제 레버(229)의 후크 지지부(232)가 후크(231)를 회전시켜 후크(231)와, 후크 고정부(217)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 도어락(215)의 일측에는 캐비닛 도어(220)의 캐비닛 투입구 폐쇄에 따라 연동되어 캐비닛 도어(220)의 연동 장치(240)에 작동력을 부여하는 연동 가압부(219)가 구비된다.
여기서, 연동 가압부(219)는 캐비닛 도어락(2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캐비닛 도어(220)의 후크(231)가 캐비닛 도어락(215)에 삽입 및 거치되어 캐비닛 도어(220)에 의해 캐비닛 투입구가 닫힐 경우 캐비닛 도어(220)에 구비되는 연동 장치(240)에 작동력을 부여하여 연동 장치(240)가 터브 도어(304)를 가압하도록 하여 터브 도어(304)가 터브 도어락(306)에 의해 잠기도록 한다. 이러한 연동 가압부(219)는 연동장치에 소정의 작동력을 부여할 수 있는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작동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캐비닛 도어의 연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도어 연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도어 연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 장치(240)는 캐비닛 도어(220)의 내측 프레임(221)의 타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연동 장치(240)의 설치 위치는 캐비닛 도어(220)의 손잡이부(228)에 구비되는 후크(231)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후크(231)에 인접하는 제 1관통홀(224)을 통하여 전방 캐비닛(210)에 구비되는 연동 가압부(219)에 의해 외력을 받아 작동된다.
한편, 연동 장치(240)는 내측 프레임(221)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지지 플레이트(241)와, 지지 플레이트(241)에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일측이 연동 가압부(219)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타측이 터브 도어(304)를 가압하여 터브 도어(304)를 폐쇄하는 회동 플레이트(245)를 구비한다.
여기서 회동 플레이트(245)는 일측에 회동 플레이트(245)가 연동 가압부(219)에 의해 회동될 때 캐비닛 도어(220)의 내측 프레임(221)의 제 2관통홀(225)을 관통하여 터브 도어(304)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249)가 구비되는 롤러 레버(248)가 구비되고, 회동 플레이트(245)의 타측에는 캐비닛 도어(220)의 내측 프레임(221)의 제 1관통홀(224)을 관통하여 연동 가압부(219)에 의해 가압되는 회동 레버(247)가 형성된다. 또한, 회동 플레이트(245)의 일면에는 지지 플레이트(24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 체결부가 형성된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241)는 일면에는 회동 플레이트(245)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회동 지지부(242)가 형성되며, 한쌍의 회동 지지부(242)에는 사이에 회동 플레이트(245)의 회동 체결부(246)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243)이 구비된다. 여기서 회동축(243)에는 회동 플레이트(245)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회동 스프링(244)이 구비되며, 회동 스프링(244)에 의해 회동 플레이트(245)의 롤러 레버(248)의 가압 롤러(249)가 터브 도어(30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 플레이트(245)가 탄성 지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캐비닛 도어 및 터브 도어의 개폐 작동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주요 요지는 캐비닛 도어(220)와 터브 도어(304)의 잠금/해제에 있다. 따라서 세탁장치(100)의 일반적인 작동 설명(예를 들어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등)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캐비닛 도어(220)와 터브 도어(304)의 개방 작동을 설명하기 전에 캐비닛 도어(220)와 터브 도어(304)의 폐쇄 상태를 설명한다. 캐비닛 도어(220)의 경우 캐비닛 도어(220)의 캐비닛 도어 후크(231)가 캐비닛 도어락(215)에 체결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터브 도어(304)의 경우 터브 도어(304)의 터브 도어 후크(231)가 터브 도어락(306)에 체결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캐비닛 도어(220)에 구비되는 연동 장치(240)의 경우 연동 장치(240)의 회동 레버(247)에 압력을 가하는 연동 가압부(219)의 압력이 해제된 상태로 연동 장치(240)의 회동 플레이트(245)가 회동 스프링(244)에 의해 롤러 레버(248)의 가압 롤러(249)가 터브 도어(304)의 가압면(305)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세탁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캐비닛 도어(220), 터브 도어(304), 연동 장치(240)의 상태를 유지하여 세탁장치의 일반적인 작동(예를 들어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캐비닛 도어(220) 및 터브 도어(304)의 개방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캐비닛 도어 및 터브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장치(100)의 캐비닛 도어(22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전방 캐비닛(210)의 캐비닛 도어(220)에 형성된 손잡이부(228)를 취부하여 캐비닛 도어(2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에 손잡이부(228)의 내측에 구비되는 해제 레버(229)가 회동되면서 캐비닛 도어(220)의 후크(231)가 회동되면서 캐비닛 도어락(215)에서 이탈되어 캐비닛 도어가 개방된다.
한편, 캐비닛 도어락(215)의 구비되는 감지부가 캐비닛 도어(220)의 개방을 감지함에 따라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브 도어락(306)이 개방되어 터브 도어(304)가 개방된다. 여기서, 터브 도어(304)의 경우 항상 터브 도어(304)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어 터브 도어락(306)에서 터브 도어(304)가 해제됨에 따라 터브 도어(304)가 회동되면서 캐비닛 도어(220)를 가압하여 캐비닛 도어(220)와 터브 도어(304)가 같이 개방된다.
이하, 캐비닛 도어(220)와 터브 도어(304)의 폐쇄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폐쇄 과정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 도어(220) 및 터브 도어(304)의 폐쇄시에는 사용자가 캐비닛 도어(220)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캐비닛 도어(220)와 터브 도어(304)가 접촉하면서 캐비닛 도어(220)의 회동에 따라 터브 도어(304)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사용자가 이에 캐비닛 도어(220)와 터브 도어(304)가 회동됨에 따라 캐비닛 도어(220)의 후크(231)가 캐비닛 도어락(215)에 삽입되어 캐비닛 도어(220)가 폐쇄된다. 여기서, 캐비닛 도어락(215)에 구비된 감지부가 캐비닛 도어(220)의 폐쇄를 감지하게 되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동 가압부(219)가 작동하여 연동 장치(240)를 작동시킨다.
즉, 연동 가압부(219)가 감지부의 신호를 받아 작동되면 연동 가압부(219)는 연동 장치(240)의 회동 레버(247)를 가압하게 되며, 회동 레버(247)가 가압됨에 따라 연동 장치(240)의 회동 플레이트(245)가 회동되면서 회동 플레이트(245)의 롤러 레버(248)에 구비된 가압 롤러(249)가 터브 도어(304)의 가압면(305)을 가압하여 터브 도어(304)의 후크(231)가 터브 도어락(306)에 삽입되어 터브 도어가 폐쇄된다.
이후, 연동 가압부(219)는 연동 장치(240)를 가압하던 작동력을 해제하게 되며, 회동 플레이트(245)의 롤러 레버(248)는 회동 플레이트(245)를 탄성 지지하는 회동 스프링(244)에 의해 터브 도어(304)의 가압면(305)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터브 도어(304)와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른 캐비닛 도어(220) 및 터브 도어(304)의 경우 폐쇄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세탁과정에서 터브의 진동이 캐비닛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예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15)

  1. 캐비닛 투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캐비닛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와 연장선상에 위치치하는 터브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개폐하는 캐비닛 도어와,
    상기 터브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와,
    상기 전방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도어가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폐쇄됨에 따라 작동되는 연동 가압부와,
    상기 캐비닛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브 투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터브 도어를 가압하는 연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캐비닛 도어락을 구비하며, 상기 캐비닛 도어락은 상기 연동 가압부로 상기 캐비닛 도어의 폐쇄 상태를 감지/전달하는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연동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회동 레버와,
    상기 회동 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브 도어를 가압하는 롤러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레버는 상기 연동 가압부의 작동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터브 도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도어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에 접하는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에 체결되어 외측면을 형성하며 캐비닛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손잡이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연동 가압부에 가압되는 회동 레버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회동 레버에 상기 연동 가압부의 작동력이 작용될 때 상기 터브 도어를 가압하는 롤러 레버를 구비하는 회동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플레이트는 상기 연동 가압부의 작동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롤러 레버가 상기 터브 도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상기 롤러 레버가 상기 터브 도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회동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회동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도어는 상기 터브 투입구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도어는 상기 터브 도어의 개방에 따라 연동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캐비닛 도어락을 구비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터브 도어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도어락은 상기 캐비닛 도어락의 상기 캐비닛 도어 잠금 해제에 연동되어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을 해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가압부는 상기 연동장치에 가해지는 작동력을 일정시간 작동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캐비닛 투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캐비닛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와 연장선상에 위치치하는 터브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 및 상기 터브 투입구로 투입되는 세탁물이 적재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개폐하는 캐비닛 도어와,
    상기 터브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캐비닛 도어락과,
    상기 터브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터브 도어락과,
    상기 전방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도어락에서 상기 캐비닛 도어에 의해 상기 캐비닛 투입구 폐쇄가 감지됨에 따라 작동되는 연동 가압부, 및
    상기 캐비닛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브 투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터브 도어를 가압하는 연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캐비닛 도어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연동 가압부에 가압되는 회동 레버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회동 레버에 상기 연동 가압부의 작동력이 작용될 때 상기 터브 도어를 가압하는 롤러 레버를 구비하는 회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70086244A 2017-07-07 2017-07-07 세탁장치 KR10239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44A KR102390037B1 (ko) 2017-07-07 2017-07-07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44A KR102390037B1 (ko) 2017-07-07 2017-07-07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502A true KR20190005502A (ko) 2019-01-16
KR102390037B1 KR102390037B1 (ko) 2022-04-25

Family

ID=6528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244A KR102390037B1 (ko) 2017-07-07 2017-07-07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776A1 (ko) * 2019-12-16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RU2798248C1 (ru) * 2019-12-16 2023-06-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401A (ja) * 2005-03-31 2006-10-19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20160112647A (ko) * 2015-03-20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401A (ja) * 2005-03-31 2006-10-19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20160112647A (ko) * 2015-03-20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776A1 (ko) * 2019-12-16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N114729490A (zh) * 2019-12-16 2022-07-08 Lg电子株式会社 洗涤装置
RU2798248C1 (ru) * 2019-12-16 2023-06-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N114729490B (zh) * 2019-12-16 2023-10-27 Lg电子株式会社 洗涤装置
AU2020406821B2 (en) * 2019-12-16 2024-01-04 Lg Electronics Inc. Laundry device
US11946185B2 (en) 2019-12-16 2024-04-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037B1 (ko)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2648A (ko) 세탁장치
US9951458B2 (en) Washing machine
US7269981B2 (en) Hook assembly for door in washing machine
US10100457B2 (en) Washing machine
JP5492137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P1486604A2 (en) Door locking mechanism
US10060070B2 (en) Washing machine
JP380116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324206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317036B1 (ko) 세탁장치
KR20190005502A (ko) 세탁장치
JP2003126588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317037B1 (ko) 세탁장치
KR101608769B1 (ko) 세탁장치
KR102411843B1 (ko) 세탁장치
CN114729491B (zh) 洗涤装置
RU27962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ирки белья
KR102390028B1 (ko) 세탁장치
RU279824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JP3774978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21023557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6337261A (zh) 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