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037B1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037B1
KR102317037B1 KR1020150038753A KR20150038753A KR102317037B1 KR 102317037 B1 KR102317037 B1 KR 102317037B1 KR 1020150038753 A KR1020150038753 A KR 1020150038753A KR 20150038753 A KR20150038753 A KR 20150038753A KR 102317037 B1 KR102317037 B1 KR 102317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oor
cabinet
cabinet doo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647A (ko
Inventor
조민규
박승철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037B1/ko
Priority to PCT/KR2015/013846 priority patent/WO2016153153A1/ko
Priority to PCT/KR2015/013852 priority patent/WO2016153154A1/ko
Priority to EP15886600.4A priority patent/EP3272926B1/en
Priority to EP15886599.8A priority patent/EP3272925B1/en
Priority to US15/048,652 priority patent/US9957656B2/en
Priority to US15/048,602 priority patent/US9951458B2/en
Publication of KR2016011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06F2224/00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투입구가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투입구와 연장선상에 위치치하는 제 2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 1투입구를 개폐하는 캐비닛 도어와, 상기 터브에 설치되며 상기 제 2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와, 상기 캐비닛 도어의 개방시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세탁장치{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장치의 도어 구조를 개선하여 세탁장치의 작동시 터브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세탁장치의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장치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세탁코스, 헹굼코스, 탈수코스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최근에는 세탁조가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세탁장치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이 꼬이고 세탁물에 주름이 많이 생기는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드럼형 세탁장치의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탁장치(10)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캐비닛(11)과, 본체 캐비닛(11)의 내측에 위치하며 댐퍼(미도시)와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와, 터브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넣을 수 있는 원통형상의 드럼(15)으로 크게 구분되고, 드럼(15)은 드럼(15) 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구동부(17)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10)의 경우 터브(13) 내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터브(13)의 개구부와 본체 캐비닛(11) 사이에 가스켓(19)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10)는 드럼(15)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기 위하여 드럼(15)이 회전될 때 드럼(15)의 회전력 및 세탁물의 편심 등의 원인에 의해 필연적으로 진동을 유발하게 되고, 드럼(15)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은 터브(13) 및 캐비닛(11)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여기서, 터브(13)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의 경우 캐비닛(11)과 터브(13)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가스켓(19)을 통하여 캐비닛(11)으로 전달되며, 캐비닛(11)의 진동 및 소음으로 발생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10)의 경우 터브(13)를 폐쇄하는 도어(12)와 회전되는 드럼(15) 사이로 세탁물이 개제되며, 도어와 드럼 사이에 세탁물이 개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12)의 내측면을 터브(13)의 개구부 또는 드럼(15)의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12)의 돌출 구조는 세탁용량을 차지하게 되어 실질적인 세탁용량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터브의 진동이 가스켓을 통하여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와 캐비닛 사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터브의 진동 및 소음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캐비닛과 터브 사이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 구조에 비하여 터브 용량을 대용량화 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제 1투입구가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투입구와 연장선상에 위치치하는 제 2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 1투입구를 개폐하는 캐비닛 도어와, 상기 터브에 설치되며 상기 제 2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와, 상기 캐비닛 도어의 개방시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도어는 제 1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브 도어는 상기 제 1힌지부의 회전축에 대하여 이격되는 회전축을 갖는 제 2힌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도어는 상기 제 2투입구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도어는 상기 터브 도어의 개방에 따라 연동되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도어는 상기 캐비닛 도어가 폐쇄됨에 따라 연동되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캐비닛 도어락을 구비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터브 도어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 해제장치는 상기 캐비닛 도어의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해제레버와, 상기 해제 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캐비닛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해제 스위치와, 상기 해제스위치의 감지에 따라 상기 터브 도어락을 해제하는 터브 도어락 릴리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 해제장치는 상기 캐비닛 도어의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해제레버와, 상기 해제 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캐비닛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해제 스위치와, 상기 해제스위치의 감지에 따라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터브 도어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2투입구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도어의 외측면에는 상기 캐비닛 도어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캐비닛 도어를 가압하는 가압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터브 도어락을 구비하고, 상기 터브 도어락은 상기 캐비닛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터브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캐비닛 도어락을 구비하며, 상기 터브 도어락은 상기 캐비닛 도어가 상기 캐비닛 도어락에 의해 잠금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터브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도어락은 상기 터브 도어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상기 캐비닛 도어를 상기 터브 도어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제 1투입구가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투입구와 연장선상에 위치치하는 제 2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 1, 2투입구로 투입되는 세탁물이 적재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 1투입구를 개폐하는 캐비닛 도어와, 상기 터브에 설치되며 상기 제 2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캐비닛 도어락과, 상기 터브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터브 도어락, 및 상기 캐비닛 도어의 개방시 상기 터브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 해제장치는 상기 캐비닛 도어의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해제레버와, 상기 해제 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캐비닛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해제 스위치와, 상기 해제스위치의 감지에 따라 상기 터브 도어락을 해제하는 터브 도어락 릴리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도어락은 상기 터브 도어락 릴리서와 인장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릴리서는 상기 해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회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장 케이블은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의 작동시 상기 터브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2투입구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도어의 외측면에는 상기 캐비닛 도어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캐비닛 도어를 가압하는 가압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와 캐비닛 사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터브의 진동 및 소음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캐비닛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여 사용자에게 불쾌한 진동 및 소음이 전해지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와 캐비닛 사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터브의 용량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각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주요부인 캐비닛 도어와 터브 도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주요부인 캐비닛 도어와 터브 도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캐비닛 도어를 상세히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잠금 해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캐비닛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터브 및 터브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터브 도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터브 도어의 가압롤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잠금 해제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잠금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각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1)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 내측에 댐퍼/스프링과 같은 서스펜션(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00)와, 터브(200) 내측에 세탁물이 적재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400)과,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100)은 세탁장치의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 캐비닛(110),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우 캐비닛(130),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캐비닛(120)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캐비닛(110)의 중앙부에는 드럼(400)의 적재공간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제 1투입구(114)가 형성되며, 제 1투입구(114)에는 제 1투입구(114)를 개폐하기 위한 캐비닛 도어(160)가 구비된다. 한편, 제 1투입구(114)의 상측에는 세탁장치(1)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 및 표시하기 위한 조작부 및 표시부가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11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200)의 전방에는 제 1투입구(114)로 투입되는 세탁물이 드럼(400)에 적재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제 2투입구(210)가 형성되며, 제 2투입구(210)에는 제 2투입구(210)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230)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캐비닛 도어(160) 및 터브 도어(230)에 관련된 것으로, 다른 구성부(에를 들어 드럼, 서스펜션, 급수부, 배수부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방 캐비닛 및 터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주요부인 캐비닛 도어와 터브 도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주요부인 캐비닛 도어와 터브 도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캐비닛(110)에 형성되는 제 1투입구(114)의 일측에는 후술할 캐비닛 도어(16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캐비닛 힌지 장착부(116)가 함입되어 형성되며, 캐비닛 힌지 장착부(116)의 대향되는 타측에는 캐비닛 도어(160)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캐비닛 도어락 장착부(118)가 형성된다. 여기서, 캐비닛 도어락(180)은 캐비닛 도어락 장착부(118)의 내측에 설치되어 전방 캐비닛(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캐비닛 도어(160)의 타측에는 캐비닛 도어(160)의 개방을 위한 손잡이부(164)가 형성된다.
여기서, 손잡이부(164)의 내부에는 캐비닛 도어(160) 및 터브 도어(230)의 잠금과 해제를 위한 잠금 해제장치(1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잠금 해제장치(140)는 사용자의 단일 동작에 의해 캐비닛 도어(160)를 잠금하고 있는 캐비닛 도어락(180)과, 터브 도어(230)를 잠금하고 있는 터브 도어락(260)의 잠금 상태를 동시에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잠금 해제장치(140)는 캐비닛 도어(160)의 설명과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캐비닛 도어(16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캐비닛(110)의 제 1투입구(114)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투입구(161)를 개폐하는 것으로, 캐비닛 도어(160)의 외측을 형성하는 제 1외측 프레임(161)과, 캐비닛 도어(160)의 내측을 형성하는 제 1내측 프레임(164)과, 캐비닛 도어(16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힌지부(168)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 1외측 프레임(161)과 제 1내측 프레임(168)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며 세탁장치(1)의 내부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캐비닛 도어(160)의 외측면(즉, 제 1외측 프레임(161)은 외측면)은 전방 캐비닛(110)의 외형을 따라 전방 캐비닛(110)의 연장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힌지부(168)의 대향되는 측에는 캐비닛 도어(160)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부(164)가 형성된다. 또한, 제 1외측 프레임(161)의 내측면에는 제 1외측 프레임(16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리브(16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캐비닛 도어(160)의 내측면(즉, 제 1내측 프레임(164)의 외측면)에는 후술할 터브 도어(230)의 가압롤러(250)가 접하는 롤러 가압면(165)이 형성된다. 이러한 롤러 가압면(165)은 캐비닛 도어(160)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닫힐 때 롤러 가압면(165)이 터브 도어(230)의 가압롤러(250)를 가압하여 캐비닛 도어(160)와 터브 도어(230)가 연동되어 닫힐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캐비닛 도어(160)의 일측에는 제 1투입구(114)에 형성되는 캐비닛 힌지 장착부(116)에 설치되어 캐비닛 도어(16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힌지부(168)가 구비된다.
한편, 제 1외측 프레임(161)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64)의 내측에는 캐비닛 도어(160)가 제 1투입구(114)를 폐쇄할 때 캐비닛 도어락(180)에 거치되어 고정되고,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캐비닛 도어락(180)의 잠김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장치(1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잠금 해제장치(140)에 대해서는 캐비닛 도어락(180)의 설명과 같이 하도록 한다.
한편, 제 1외측 프레임(161)에는 제 1힌지부(168)가 설치되기 위한 돌출부(163)가 형성되며, 제 1내측 프레임(168)의 일측에는 제 1외측 프레임(161)의 돌출부(163)에 대응되는 위치로 돌출부(166)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내측 프레임에 형성되는 돌출부(166)의 상/하측에는 후술할 제 1힌지부(168)의 상부/하부 회동부(171, 173)가 삽입되는 한쌍의 함입부(167)가 형성되고, 제 1내측 프레임(168)의 돌출부(166)에 형성되는 한쌍의 함입부(167)에는 후술할 제 1힌지부(168)의 상부/하부 회동축(172, 174)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한쌍의 브라켓(176)이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제 1내측 프레임(168)에 형성되는 돌출부(166), 함입부(167), 브라켓(176)은 제 1외측 프레임(161)과 제 1내측 프레임(168)의 체결시 제 1외측 프레임(161)에 형성된 돌출부(163)에 의해 외부에서 차폐되어 가려진다.
한편, 제 1힌지부(168)는 전방 캐비닛의 제 1투입구(114)에 형성되는 캐비닛 힌지 장착부(116)에 체결되는 힌지 몸체부(169)와, 힌지 몸체부(169)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돌출 연장되는 상부회동부(171) 및 하부 회동부(173)와, 상부회동부(171) 및 하부회동부(173)의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상부회동축(172) 및 하부회동축(174)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힌지부(168)의 힌지 몸체부(1696)에 형성되는 상부/하부 회동부(171, 173)의 경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부/하부 회동부(171, 173)의 경우 후술할 터브 도어(230)의 제 2힌지부(242)와의 구조적 중첩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부/하부 회동부(171, 173) 사이에 터브 도어(230)의 제 2힌지부(242)가 위치한다.
한편, 전방 캐비닛(110)의 제 1투입구(114) 타측에 형성되는 캐비닛 도어락 장착부(118)에는 전방 캐비닛(110)의 내측으로 잠금 해제장치(140)의 캐비닛 도어 후크(142)가 삽입되어 잠금되는 캐비닛 도어락(180)이 구비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잠금 해제장치(140) 및 캐비닛 도어락(18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잠금 해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캐비닛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잠금 해제장치(14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캐비닛 도어(142)의 개방을 위하여 손잡이부(164)를 취부할 때 손잡이부(164) 내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에 의해 가압에 의해 캐비닛 도어락(18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잠금 해제되는 해제레버(141)와, 캐비닛 도어(160)의 제 1투입구(114) 폐쇄시 캐비닛 도어락(160)에 의해 고정되고 해제레버(141)를 가압할 때 캐비닛 도어락(180)의 고정에서 헤제되는 캐비닛 도어 후크(142)와, 캐비닛 도어 후크(142)를 항상 캐비닛 도어락(180)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가압 스프링(143)을 구비한다
캐비닛 도어락(18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투입구(114)에 설치되는 캐비닛 도어(160)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캐비닛 도어락(180)은 전방 캐비닛(110)의 캐비닛 도어락 장착부(118) 내부에 고정되는 후크 고정부(181)와, 캐비닛 도어락 장착부(118) 외측에 캐비닛 도어 후크(142)의 삽입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후크 고정부(181)에 체결되는 후크 삽입부(183)와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에 의해 후크 삽입부(183)를 캐비닛 도어 후크(142)의 삽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184) 및 후크 고정부(181)에 고정된 캐비닛 도어 후크(142)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때 캐비닛 도어 후크(142)의 작동을 감지하는 잠금해제 스위치(143)를 구비한다. 여기서 잠금해제 스위치(143)는 후술할 터브 도어 릴리서(220)의 작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캐비닛 도어락(180)은 캐비닛 도어(160)가 폐쇄될 때 캐비닛 도어 후크(142)가 후크 고정부(181)에 의해 고정된 이후에 후크 삽입부(183)가 탄성 지지부(18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만큼의 여유 이동 공간을 더 갖고 있다. 이러한 여유 이동 공간에 의해 캐비닛 도어(160)가 캐비닛 도어락(180)의 후크 고정부(181)에 고정된 이후에 후술할 터브 도어(230)를 더 가압하여 터브 도어(230)가 닫힐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캐비닛 도어(160)와 터브 도어(230)의 연동 구성에 대해서는 캐비닛 도어(160)와 터브 도어(230)의 작동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 9 내지 10을 참조하여 터브 도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터브 및 터브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터브 도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브(200)의 전방에는 캐비닛(100)의 제 1투입구(114)와 분리된 상태로 제 1투입구(114)의 연장선상에 위치하여 세탁물의 투입을 위한 제 2투입구(210)가 형성되며, 제 2투입구(210)의 외측으로는 터브(200)의 질량을 증가시켜 터브(200)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웨이트 밸런서(270)가 구비되며, 터브(200)의 전방에 형성된 제 2투입구(210)의 일측에는 캐비닛(100)과 분리되어 터브(200)의 제 2투입구(210)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230)가 구비된다.
여기서 터브(200)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 2투입구(210)는 전방 캐비닛(110) 측으로 돌출되는 링 형태의 림부(212)가 형성되며, 림부(212)의 일측에는 후술할 제 2힌지부(242)가 설치되는 제 2힌지 장착부(214)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림부(212)의 타측에는 제 2투입구(210)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230)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터브 도어락(260)이 설치되는 터브 도어락 장착부(216)가 마련된다.
한편, 터브(200) 전방의 일측에는 터브 도어(2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터브 도어(230)가 제 2투입구(210)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제 2힌지부(242)가 구비되며, 터브(200) 전방 타측에는 터브 도어(230)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터브 도어락(260)이 구비된다. 또한, 터브 도어락(260)의 상부에는 터브 도어락(26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터브 도어락 릴리서(220)가 구비된다.
한편, 상술한 터브 도어(230), 터브 도어락(260), 터브 도어락 릴리서(220)의 경우 캐비닛(100)과의 구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터브(200)는 캐비닛(100)과 구조적으로 서스펜션(미도시)에 의해 독립적으로 지지된다. 즉, 기존의 세탁장치(1)에서와 같이 터브(200)와 캐비닛(100) 사이에 서스펜션 이외의 가스켓이 구비되지 않아 터브(200)의 진동이 온전히 서스펜션만으로 지지하여 터브(200)의 진동이 캐비닛(100)으로 전달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한편, 터브 도어(230)는 터브 도어(23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제 2외측 프레임(231)과, 터브 도어(230)의 외주면을 형성하며 중공부가 형성되는 링 형태의 제 2내측 프레임(235)과, 제 2외측 프레임(231)과 제 2내측 프레임(235) 사이에 개재되며 터브(200)의 제 2투입구(210)와 터브 도어(230) 사이의 씰링을 위한 링형태의 링 씰러(241)와, 제 2내측 프레임(235)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터브(200) 또는 드럼(4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광 프레임(239)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2내측 프레임(235)의 일측에는 제 2힌지부(242)가 결합되는 돌출부(236)가 형성되며, 돌출부(236)에는 후술할 제 2힌지부(242)의 상부/하부 회동부(244, 246) 및 회동 스프링(248)이 삽입되는 함입부(237)가 형성된다. 또한 제 2내측 프레임(235)의 내측으로는 합입부(237)에 체결되는 상부/하부 회동부(244, 246) 및 회동 스프링(248)을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고정브라켓(238)이 마련된다. 한편, 제 2내측 프레임(235)의 타측에는 후술할 터브 도어락(260)에 삽입되어 터브 도어(23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터브 도어 후크(249)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2외측 프레임(231)은 일측에 제 2내측 프레임(235)에 형성된 돌출부(236)를 커버하는 돌출부(234)가 형성되며 외측면의 소정부에는 터브 도어(23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터브 도어(230)의 외측에 위치하는 캐비닛 도어(160)의 롤러 가압면(165)에 접하여 캐비닛 도어(160)를 밀어 개방하는 가압롤러(250)가 장착되는 구비된다.
여기서, 가압롤러(250)는 터브 도어(230)가 제 2힌지부(242)의 회동스프링(248)에 의해 개방될 때 캐비닛 도어(160)와 터브 도어(23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캐비닛 도어(160) 또는 터브 도어(2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롤러(250)는 터브 도어(230)의 제 2외측 프레임(231)의 구비되는 롤러 삽입부(232)에 장착되는 고정부(251)와, 고정부(251)에 대하여 소정의 유격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유동부(253)와, 유동부(253) 내측에 캐비닛 도어(160) 및 터브 도어(230)의 회동축과 나란한 방향의 회전축을 갖는 롤러(256)를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부(251)의 각 모서리에는 유동부(253)의 이동거리는 제한하는 다수의 걸림돌기(252)가 형성되며, 유동부(253)는 고정부(251)의 걸림돌기(252)에 거치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고정부(251)와 유동부(253) 사이에는 고정부(251)에 대하여 유동부(253)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이격시키는 스프링(255)이 구비된다. 한편, 유동부(253)의 내측에는 롤러(25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 홈(254)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롤러(250)에 의해 터브 도어(230)가 개방될 때 가압롤러(250)가 캐비닛 도어(160)의 제 1내측 프레임(168)에 형성된 롤러 가압면(165)에 접하여 캐비닛 도어(16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어 캐비닛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가압롤러(250)의 경우 터브 도어(230)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가압면(165)의 경우 캐비닛 도어(16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가압롤러(250)가 캐비닛 도어(160)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가압면(165)이 터브 도어(23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힌지부(242)는 제 2투입구(210)의 림부(212) 일측에 형성되는 제 2힌지 장착부(214)에 장착되어 터브 도어(23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터브 도어(230)가 항시 제 2투입구(2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2힌지부(242)는 제 2힌지 장착부(214)에 장착되는 힌지 몸체부(243)와, 힌지 몸체부(243)의 상/하부에 각각 돌출되어 연장되는 상부/하부 회동부(244, 246)와, 상부/하부 회동부(244, 246)의 단부에 마련되며 터브 도어(230)의 제 2내측 프레임(235)의 함입부(237)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하부 회동축(245, 247) 및 상부/하부 회동축(245, 247)과 동일한 회전 축을 갖으며 제 2투입구(210)에 대하여 터브 도어(23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터브 도어(23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회동 스프링(248)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 2힌지부(242)에 구비되는 상부/하부 회동부(244, 246)의 경우 상술한 제 1힌지부(168)의 상부/하부 회동부(171, 173)의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힌지부(168)와 제 2힌지부(242)의 경우 각기 다른 회전축을 갖는 상태에서 캐비닛 도어(160) 및 터브 도어(230)를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각 제 1, 2힌지부(168, 242)의 회전축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축의 중심을 이격시킴과 동시에 분리하여 제 1, 2힌지부(168, 242)의 간섭을 방지한다.
한편, 터브(200)의 제 2투입구(210) 타측에 형성되는 터브 도어락 장착부(216)에는 터브 도어(230)의 터브 도어 후크(249)가 삽입되어 잠금되는 터브 도어락(260)이 구비되고, 제 2투입구(210)에 인접하여 잠금 해제장치(140)에 연동되어 터브 도어락(26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터브 도어락 릴리서(220)가 구비된다.
여기서, 터브 도어락 릴리서(220)는 잠금 해제장치(140)의 해제 스위치(186)에서 발생되는 잠금 해제 신호에 의해 터브 도어락(26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해제 스위치(186)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솔레노이드(226)와 솔레노이드(226)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부(222)와, 회동부(222)의 회전에 따라 회동부(222)의 회전력을 터브 도어락(260)으로 전달하는 인장 케이블(224)을 구비한다.
그리고 터브 도어락(260)은 제 2투입구(210)에 설치되는 터브 도어(230)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터브 도어락(260)은 제 2투입구의 인접하여 터브 도어락 장착부(216)에 고정되는 후크 고정부(181)와, 후크 고정부(181)에 인접하여 터브 도어락 릴리서(220)의 인장 케이블(224)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동부(261)를 구비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터브 도어락 릴리서(220)와 터브 도어락(230)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터브 도어락 릴리서(220)의 솔레노이드(226)를 터브 도어락(260)에 직접 구비하여 캐비닛 도어락(180)의 해제 스위치(186)의 신호를 이용하여 터브 도어락(260)을 해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주요 요지는 캐비닛 도어(160)와 터브 도어(230)의 잠금/해제에 있다. 따라서 세탁장치(1)의 일반적인 작동 설명(예를 들어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등)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캐비닛 도어(160)와 터브 도어(230)의 개방 작동을 설명하기 전에 캐비닛 도어(160)와 터브 도어(230)의 폐쇄 상태를 설명한다. 캐비닛 도어(160)의 경우 캐비닛 도어(160)의 캐비닛 도어 후크(175)가 캐비닛 도어락(180)에 체결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터브 도어(230)의 경우 터브 도어(230)의 터브 도어 후크(249)가 터브 도어락(260)에 체결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캐비닛 도어(160) 및 터브 도어(230)의 개방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잠금 해제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 내지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장치(1)의 캐비닛 도어(16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전방 캐비닛(110)의 캐비닛 도어(160)에 형성된 손잡이부(164)를 취부하여 캐비닛 도어(16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에 손잡이부(164)의 내측에 구비되는 잠금 해제장치(140)의 해제레버(141)가 회동되면서 캐비닛 도어 후크(142)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캐비닛 도어락(180)의 해제 스위치(186)가 캐비닛 도어 후크(142)의 잠금 해제를 감지한다.
이에, 캐비닛 도어락 릴리서(150)의 솔레노이드(226)가 해제 스위치의 감지에 따라 작동되면서 회동부(222)를 회동시키고, 회동부(222)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부에 인장 케이블(224)에 연결된 터브 도어락(260)의 케이블 연동부(261)가 작동되면서 터브 도어락(260)의 후크 고정부(181)에 고정된 터브 도어 후크(249)의 잠금 상태를 해제되면서 캐비닛 도어(160)와, 터브 도어(230)의 잠금 상태가 동시에 해제된다.
한편, 캐비닛 도어(160)와, 터브 도어(2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터브 도어(230)의 제 2힌지부(242)에 구비된 회동 스프링(248)에 의해 터브 도어(23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터브 도어(230)의 제 2외측 프레임(231)에 구비된 가압롤러(250)가 캐비닛 도어(160)의 제 1내측 프레임(168)에 형성된 롤러 가압면(165)에 가압하면서 캐비닛 도어(160)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터브 도어(230)에 의해 캐비닛 도어(160)가 동시에 개방된다.
이하, 캐비닛 도어(160)와 터브 도어(230)의 폐쇄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잠금 상태를 순자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 도어(160) 및 터브 도어(230)의 폐쇄 시에는 사용자가 캐비닛 도어(160)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캐비닛 도어(160)의 제 1내측 프레임(168)에 형성된 롤러 가압면(165)이 터브 도어(230)의 제 2외측 프레임(231)에 구비된 가압롤러(250)와 접하게 되고 터브 도어(230)의 제 2힌지부(242)에 구비되는 회동 스프링(24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캐비닛 도어(160) 및 터브 도어(23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캐비닛 도어(160)와 터브 도어(230)가 회동됨에 따라 캐비닛 도어(160)의 캐비닛 도어 후크(175)가 캐비닛 도어락(180)에 삽입되고, 동시에 터브 도어(230)의 터브 도어 후크(249)가 터브 도어락(260)에 삽입된다(도 15 (a) 참고).
한편, 사용자에 의한 캐비닛 도어(160)의 폐쇄에 따라 캐비닛 도어(160)의 캐비닛 도어 후크(175)가 캐비닛 도어락(180)에 삽입될 때 캐비닛 도어락(180)의 경우 캐비닛 도어 후크(175)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부(183)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어 캐비닛 도어(160)의 회동에 따라 가압되어 캐비닛 도어 후크(175)가 캐비닛 도어락에 완전히 체결되고, 터브 도어의 경우 캐비닛 도어락의 후크 삽입부의 이동거리만큼 더 이동되어 터브 도어락에 체결된다(도 15 (b) 참고).
이후, 캐비닛 도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가압력이 제거되고, 캐비닛 도어락(180)의 후크 삽입부(183)는 후크 삽입부(183)를 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후크 삽입부의 복귀력에 의해 캐비닛 도어락(180)의 체결되는 캐비닛 도어(160)는 터브 도어(230)와 이격되는 위치로 복귀하여 캐비닛 도어와 터브 도어의 폐쇄가 완료된다(도 15 (c) 참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른 캐비닛 도어(160) 및 터브 도어(230)의 경우 폐쇄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세탁과정에서 터브의 진동이 캐비닛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예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19)

  1. 제 1투입구가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투입구와 연장선상에 위치치하는 제 2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 1, 2투입구로 투입되는 세탁물이 적재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 1투입구를 개폐하는 캐비닛 도어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캐비닛 도어락과,
    상기 터브에 설치되며 상기 제 2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와,
    상기 터브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터브 도어락과,
    상기 캐비닛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도어의 개방시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장치와,
    상기 잠금 해제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터브 도어락을 해제하는 터브 도어락 릴리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도어는 제 1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브 도어는 상기 제 1힌지부의 회전축에 대하여 이격되는 회전축을 갖는 제 2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도어는 상기 제 2투입구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도어는 상기 터브 도어의 개방에 따라 연동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도어는 상기 캐비닛 도어가 폐쇄됨에 따라 연동되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잠금 해제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해제레버와,
    상기 해제 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캐비닛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해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터브 도어락 릴리서는 상기 해제스위치의 감지에 따라 상기 터브 도어락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2투입구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도어의 외측면에는 상기 캐비닛 도어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캐비닛 도어를 가압하는 가압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터브 도어락을 구비하고, 상기 터브 도어락은 상기 캐비닛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터브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도어락은 상기 캐비닛 도어가 상기 캐비닛 도어락에 의해 잠금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터브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도어락은 상기 터브 도어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상기 캐비닛 도어를 상기 터브 도어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도어락은 상기 터브 도어락 릴리서와 인장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도어락 릴리서는 상기 해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회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장 케이블은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의 작동시 상기 터브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038753A 2015-03-20 2015-03-20 세탁장치 KR102317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753A KR102317037B1 (ko) 2015-03-20 2015-03-20 세탁장치
PCT/KR2015/013846 WO2016153153A1 (ko) 2015-03-20 2015-12-17 세탁장치
PCT/KR2015/013852 WO2016153154A1 (ko) 2015-03-20 2015-12-17 세탁장치
EP15886600.4A EP3272926B1 (en) 2015-03-20 2015-12-17 Washing machine
EP15886599.8A EP3272925B1 (en) 2015-03-20 2015-12-17 Washing machine
US15/048,652 US9957656B2 (en) 2015-03-20 2016-02-19 Washing machine
US15/048,602 US9951458B2 (en) 2015-03-20 2016-02-19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753A KR102317037B1 (ko) 2015-03-20 2015-03-20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647A KR20160112647A (ko) 2016-09-28
KR102317037B1 true KR102317037B1 (ko) 2021-10-25

Family

ID=5710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753A KR102317037B1 (ko) 2015-03-20 2015-03-20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037B1 (ko) * 2017-07-07 2022-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2579439B1 (ko) 2018-11-22 2023-09-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력반도체용 냉각장치
CN112411112A (zh) * 2019-08-20 2021-02-2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184U (ko) * 1993-07-31 1995-02-18 이상우 방전등의 전자식 안정기
KR101565930B1 (ko) * 2008-12-18 2015-1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231027B1 (ko) * 2010-10-26 2013-02-19 주식회사 대창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647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0026B1 (ko) 세탁장치
EP3272925B1 (en) Washing machine
CA2711295C (en) Washing machine lid assembly
US10100457B2 (en) Washing machine
US10358757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washing machine
KR102390027B1 (ko) 세탁장치
KR102471463B1 (ko) 세탁기
US8739579B2 (en) Ball balancer and laundr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339488B1 (en) Washing machine
KR102317037B1 (ko) 세탁장치
KR102317036B1 (ko) 세탁장치
KR102390037B1 (ko) 세탁장치
KR102411843B1 (ko) 세탁장치
KR102390028B1 (ko) 세탁장치
KR20210076384A (ko) 세탁장치
RU27962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ирки белья
KR20210076385A (ko) 세탁장치
KR20120105754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