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021A -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 - Google Patents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021A
KR20190005021A KR1020170085529A KR20170085529A KR20190005021A KR 20190005021 A KR20190005021 A KR 20190005021A KR 1020170085529 A KR1020170085529 A KR 1020170085529A KR 20170085529 A KR20170085529 A KR 20170085529A KR 20190005021 A KR20190005021 A KR 20190005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henylene sulfide
fiber
composite
core
rubb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194B1 (ko
Inventor
김지윤
이윤정
강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7008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1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7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mixed fibrous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other 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65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other 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rylene sulf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constitu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복합 섬유는 시스코어 복합섬유이며, 상기 시스부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비닐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에 구성될 수 있는 시스코어 복합방사로 제조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 {Rubber Composite Containing Polyphenylene Sulfide Conjugated Fiber}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복합섬유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소재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고온에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복합섬유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벨트, 호스, 샤우드, 베어링 등과 같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고무 복합체의 경우 치수 안정성과 열안정성이 제품의 성능구현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하여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고무 보강용 섬유로써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되어 우수한 형태안정성과 내피성과 관련된 모듈러스와 파단신도와 같은 높은 기계적 물성을 보이는 장점이 있으나 소재 자체의 열안정성이 낮아 열원과 가까운 곳에 적용되는 고무 부품에는 사용되기 어렵다.
한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섬유는 전지 분리막, 집진기 필터, 자동차용 내장재의 산업용 분야뿐만 아니라 벽지, 커튼, 소파, 침구류의 인테리어 분야, 산업방호복, 방호장갑의 보호복 분야 등 다양한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내화학성 및 난연 기능에 대한 수요가 점점 커짐에 따라 쓰임새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산업용 고무 복합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내열성이 우수한 한편 내노화성 같은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면서도, 검은색으로 된 소재여야 한다.
상기 특성을 갖는 소재로 메타 아라미드(m-Aramide)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가격이 높아 그 대체로 PPS를 기초로 한 블랙마스터배치(Black M/B)의 첨가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 원착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는 원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가격만큼 비싸며, 또한 방사 공정성 불량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에 첨가할 블랙 마스터배치 제조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의 공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는, 방사구금 아래 고온의 공기나 불활성 가스를 부여한 다음 연신공정을 거치는 것으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멀티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독일특허 DE 제4006397호, 방사된 PPS 섬유에 45℃ 이상의 기류를 취입시켜 냉각시킨 뒤 가열된 영역을 통과시켜 열 연신시키는 기술에 관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1-168750호,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수지를 310 내지 340℃의 온도에서 용융시키고 방사구금의 직경이 0.1 내지 0.5mm인 구멍을 통해 연속적으로 방사시켜 멀티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이를 단열 튜브 또는 가열 튜브에 의해 밀폐된 고온의 대기에 통과시킨 후, 100℃ 이하의 온기류 또는 냉기류에 의해 냉각시키는 기술에 관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0-219475호가 있다.
상기 기술들은 내열성이 요구되는 집진 필터에 PPS 섬유를 도입한 것으로 필터 특성을 개선시켰다는 의의를 갖고 있으나, 용융된 폴리머를 방사구금으로 연속 통과시킬 때의 냉각 및 고화공정상 발생하는 방사 불량문제를 그대로 갖고 있다.
한편, PPS 섬유의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한 기술로는, PPS 수지의 복합 방사를 통해 쉬스 부분에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를, 코어 부분에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PPS 복합 섬유에 관한 한국 공개 특허공보 제10-1992-0012561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기술로 집진 필터 여재를 제조할 경우, 고온 다습한 환경에 취약한 폴리에스테르 부분이 쉽게 가수분해를 일으켜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섬유의 우수한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방사 공정성이 우수하여 제조경비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섬유를 고무 보강재로써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내열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고무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단독방사 섬유의 공정 불량성이 개선되고 제조경비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복합섬유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복합 섬유는 시스코어 복합섬유이며, 상기 시스부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비닐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에 구성될 수 있는 시스코어 복합방사로 제조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가 2~10중량%를 차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의 섬도는 0.3 내지 5 데니어(Denier)이며 길이는 0.8mm 내지 6mm인 것에 특징이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어부에 추가될 마스터배치는 코어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5중량부의 비율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부는 상기 복합섬유 총 단면적 대비 50~70%, 상기 코어부는 상기 복합섬유 총 면적 대비 30~50%의 면적을 차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어부의 화합물은 고유점도가 0.40~0.80 dl/g이고, 첨가될 블랙마스터배치(Black M/B)는 카본 함량이 10~50중량%인 것에 특징이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쉬스부에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코어부에 폴리에스테르계 등 용융흐름지수가 우수한 수지를 이용하여 복합방사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섬유가 포함된 것으로 단독방사한 섬유에 비해 방사공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코어 복합방사가 포함된 것으로 일반적인 단독 방사섬유의 공정 불량성이 개선되고 제조경비 또한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코어 복합방사를 포함한 것으로 시스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고광택성 성질과 코어부을 이용한 착색의 용이성의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내열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고무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우선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복합 섬유는 시스코어 복합섬유이며, 상기 시스부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비닐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비닐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에 블랙마스터배치(Black M/B)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를 단독으로 방사할 경우에 발생하는 고화 불량에 의한 절사문제와 연신공정 중 크림프 발현성 불량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어서 코어부에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비닐계 화합물 중 어느 화합물을 이용한 복합방사가 방사공정상 유리하다.
코어부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비닐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은 0.40 내지 0.80 dl/g 범위의 고유점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0.55 내지 0.65dl/g 범위를 갖는 것이 좋다. 이는,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가 0.40dl/g미만일 경우 섬유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될 뿐 아니라 수축율을 제어하기가 어렵고, 0.80dl/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 편차로 인해 방사 불량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원료비용 증가가 야기되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수지는 하기의 화학구조를 가진 결정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내열성이 높고 기계적 특성, 내약품성, 전기적 특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용도 예로서 전기ㆍ전자부품, 자동차 부품, 기계부품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수지는 선형, 가교형, 반가교형 중합체일 수 있으나 선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유점도가 0.1-10 dl/g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는 2,000~8,000이며,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 20~150g/10min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의 상기 특성인 기계적, 화학적 내구성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하기 위해서 검은색의 착색이 필요하며, 방사공정전 단계에서 착색제를 첨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야 염색견뢰도가 우수할 수 있다. 공정은 주로 기본색인 검정, 남색, 갈색 등을 표현할 때 사용이 바람직하다.
검은색의 안료로써 블랙마스터배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코어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5중량부의 비율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블랙마스터배치(Black M/B)는 카본 함량이 10~50중량%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코어부 중량부 대비 0.5중량부 미만의 경우 색상발현에서 문제가 될 수 있고 5중량부 초과의 경우 이형단면 중공섬유의 방사공정성의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는 고분자 주쇄에 포함된 에스테르기가 물과 반응하는 가수분해 반응으로 인해 카르복실산을 생성하며 고분자 주쇄가 파괴될 수 있다. 그 반응식은 하기 화학식 1과 같으며 이러한 반응은 부산된 카르복실산에 의해 연쇄적으로 발생하며 전체적으로 섬유 강도 저하를 야기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따라서 코어부의 가수분해 반응을 저지하기 위해,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는 마스터배치 상태에서 내가수분해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내가수분해성 첨가제는 폴리에스테르를 기반으로 한 카르보디이미드계, 페놀계, 옥사졸린계 화합물에 해당되며 5 내지 20 중량비로 포함한다.
상기 내가수분해성 첨가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의 에스테르기로부터 가수분해 된 카르복실산과 우선적으로 우레아 반응하여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카르복실산을 제거하는 동시에 중성화 작용을 하며 더 이상 가수분해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반응식은 하기 화학식 2와 같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일반적으로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화합물을 총칭한다.
[화학식 3]
-N=C=N-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화학식 3의 구조가 최소한 1개 내지 1000개 정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학식 3로 표시된 구조를 분자 내에 1개 내지 100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 내에 1개 내지 10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 하나의 분자 내에 화학식 3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기가 1000개를 초과하면 원료의 점도가 너무 크고, 분자량이 너무 과도하게 크고, 반응할 수 있는 반응 위치가 너무 과도하게 많아지며, 카르보디이미드기를 보유한 분자가 너무 거대해져서 실질적인 기능을 갖는 분자의 기능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을 가림에 의해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4에서 n이 4이고, m이 11인 화합물은 벤젠, 1,3,-비스(1-이소시아네이토-1-메틸에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에테르-블록트(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이하, 화학식 4의 고분자 형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로 명명된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n은 1 내지 100이고, m은 1 내지 100이다.
본 발명에 있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다른 예로,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또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ㆍHCl(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ㆍHCl)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상기 내가수분해성 화합물은 코어부의 5 내지 20 중량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5 내지 0.95 dl/g 범위의 고유점도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부는 전체 복합섬유 단면적 대비 30 내지 50% 범위를 차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코어부의 단면적이 50%를 초과할 경우, 코어부가 섬유상에서 한 쪽으로 치우치는 편심화가 발생하거나 또는 방사공정(또는 후공정) 중 코어부가 섬유표면으로 돌출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섬유의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저하되고,
또한, 그 면적이 30% 미만이면 방사시 코어부가 섬유의 중심축에 자리 잡기 어렵고 그에 따라 방사 공정성 및 제조비용 절감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코어부에 된 검은색이 시스부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고광택성(Super bright)의 특성을 이용한 외부발현을 위해서는 시스부의 두께가 중요하며 시스부의 면적이 70%이상일 경우 된 색감이 복합방사섬유에 표현이 되지 않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종류의 고분자를 적용할 수 있다. 대체 가능한 고분자로는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올레핀계, 비닐계 고분자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고분자는 또한 코어부 총 면적에 대하여 30~50%의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복합방사공정 조건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공지기술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코어부의 중합체를 공급하는 분배판이 핀 형태이거나 핀이 없는 복합방사 구금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가온 열처리를 통한 연신 및 열고정 후 크림프를 부여하여 단섬유를 제조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쉬스-코어 복합섬유는 정심 쉬스-코어 구조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섬유를 보강용 소재로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섬유가 포함된 산업용 고무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산업용 고무 복합체는 고무, 가교제, 가교촉진제, 활성제, 노화방지제, 가소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섬유는 고무 복합체에서 2 ~ 1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중량% 미만이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섬유의 함유량이 너무 낮아 고무 복합체의 인장강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초기 모듈러스 증가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상기 고무는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이소부틸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2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고유점도가 0.2dl/g 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로 시스부를 형성하고, 고유점도가 0.64dl/g 인 폴리에스테르(PET)로 코어부를 형성하였다. 복합섬유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시스부 및 코어부의 단면적비는 50:50으로 하여 마스터 배치 공법을 통하여 카본 블랙(Carbon Black) 함량이 25중량%인 폴리에스테르 블랙 마스터배치(PET Black M/B)을 코어부 100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의 비율로 투입하였다. 방사온도는 290℃, 방사속도는 1,000m/min으로 미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연신배율은 3.6으로 설정하여 섬도가 2De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는 2.0㎜ 길이이며 5 중량%로 95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시트 제조 중에 투입하였으며 고무 시트 제조는 30℃로 가열된 두 개의 Roller를 가지는 Milling 기기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고무시트 제조공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섬유 제조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방사, 연신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되, 코어부에 마스터 배치 공법을 통하여 카본 블랙(Carbon Black) 함량이 25중량%인 폴리에스테르 블랙 마스터배치(PET Black M/B)을 코어부 100중량부에 대하여 5부의 비율로 투입하였다. 고무 복합체 제조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
고유점도가 0.2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에 마스터 배치 공법을 통하여 카본 블랙(Carbon Black) 함량이 25중량%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블랙 마스터배치(PPS Black M/B)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의 비율로 투입하였다. 방사온도는 290℃, 방사속도는 1,000m/min으로 미연신사를 제조하였으며, 연신배율은 3.6으로 설정하여 섬도가 2De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단독 섬유를 제조하였으며 고무 복합체 제조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 조건으로 방사, 연신하여 단독섬유를 제조하되, 마스터 배치 공법을 통하여 카본 블랙(Carbon Black) 함량이 25중량%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블랙 마스터배치(PPS Black M/B)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의 비율로 투입하였으며 고무 복합체 제조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물성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측정 방법
1. 방사 공정성
방사 중 발생하는 단사 현상, 즉 실의 끊김 현상을 24시간동안 측정하여, 1시간당 발생 수로 비교하였다. 공정성에 따른 상태 표시 불량 △ 보통 ○ 양호 ◎로 나타냈다.
2. 섬유 강도
KS K 0860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3. 강도 유지율
고온/고습도 내가수분해 조건에서 얼마나 강도 유지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85℃, 상대습도 85%에서 4주간의 테스트를 거친 섬유의 강도와 최초 측정된 섬유의 강도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4. 측색 (명도 : L)
측색계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 3회 행해 평균하였다.
측색값을 CIE L / a / b 표색계로 나타내었다
L은 색의 명도(White~Black)을 나타낸다. 만약 L값이 100이라면 순백을 의미하고, L값이 0이라면 순흑색을 나타낸다.
5. 인장강도 측정
I) KS M 6518 측정법에 의거하여 고무복합체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II) 대기분위기에서 125℃ 168시간 동안 노화 후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III) 대기분위기에서 180℃ 168시간 동안 노화 후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pps섬유
물성
방사공정성
강도 g/de 5.1 4.9 5 4.5
강도유지율 % 91.2 91.6 99.2 99.4
고무복합체 물성 측색 20.2 18.6 20.4 16.8
인장강도(I) N/cm2 142 141 136 168
인장강도(II) 130 125 128 121
인장강도(III) 112 109 116 74
상기 표 1로부터, 특히 폴리에스테르 블랙마스터배치(PET Black M/B)를 포함한 본 발명인 실시예의 복합섬유가 방사공정성 및 고무 복합체 보강 소재로서 내노화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은 비교예와 비교할 때, 강도 및 측색 L 값이 동등한 수준의 물성을 가져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는 카본블랙(Carbon Black)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실시예 1에 비해서 강도가 다소 감소하고 공정성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비교예보다 양호하다.
또한 비교예는 pps단독방사로 방사공정성에 문제가 생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복합 섬유는 시스코어 복합섬유이며,
    상기 시스부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비닐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에 구성될 수 있는 시스코어 복합방사로 제조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가 2~10중량%를 차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의 섬도는 0.3 내지 5 데니어(Denier)이며 길이는 0.8mm 내지 6mm인 것에 특징이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에 추가될 마스터배치는 코어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5중량부의 비율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부는 상기 복합섬유 총 단면적 대비 50~70%, 상기 코어부는 상기 복합섬유 총 면적 대비 30~50%의 면적을 차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화합물은 고유점도가 0.40~0.80 dl/g이고, 첨가될 블랙마스터배치(Black M/B)는 카본 함량이 10~50중량%인 것에 특징이 있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를 포함한 고무 복합체.
KR1020170085529A 2017-07-05 2017-07-05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 KR102074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529A KR102074194B1 (ko) 2017-07-05 2017-07-05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529A KR102074194B1 (ko) 2017-07-05 2017-07-05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021A true KR20190005021A (ko) 2019-01-15
KR102074194B1 KR102074194B1 (ko) 2020-03-02

Family

ID=6503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529A KR102074194B1 (ko) 2017-07-05 2017-07-05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1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7214A (ja) * 1991-04-30 1992-11-16 Toray Ind Inc 複合繊維
KR930003368B1 (ko) * 1990-12-05 1993-04-26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복합섬유
JPH05230715A (ja) * 1992-02-17 1993-09-07 Kuraray Co Ltd 高強力高弾性率繊維の製造方法
JP2003003333A (ja) * 2001-06-19 2003-01-08 Toray Ind Inc 高強度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31623A (ja) * 2006-06-30 2008-02-14 Toray Ind Inc 複合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368B1 (ko) * 1990-12-05 1993-04-26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복합섬유
JPH04327214A (ja) * 1991-04-30 1992-11-16 Toray Ind Inc 複合繊維
JPH05230715A (ja) * 1992-02-17 1993-09-07 Kuraray Co Ltd 高強力高弾性率繊維の製造方法
JP2003003333A (ja) * 2001-06-19 2003-01-08 Toray Ind Inc 高強度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31623A (ja) * 2006-06-30 2008-02-14 Toray Ind Inc 複合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194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4836A (ko) 고 권축 특성을 갖는 2성분 복합 섬유, 복합체 얀 및 직물
KR101865396B1 (ko) 시스코어 복합방사로 제조된 원착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
KR101783325B1 (ko) 쉬스-코어 복합방사로 제조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섬유
KR20190005021A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가 포함된 고무 복합체
KR20180078960A (ko) 고강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착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원착사
KR101551418B1 (ko) 폴리케톤 섬유의 제조 방법
KR101981755B1 (ko)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섬유가 포함된 절연지
CN112921447B (zh) 一种高光亮高色牢度荧光尼龙复合纤维及制备方法
WO2021006561A1 (ko) 타이어 코드용 원사 및 타이어 코드
KR101427834B1 (ko) 내열강력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타이어코드용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EP3868928A1 (en) Hydrolysis-resistant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60053320A (ko) 심초형 제전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KR101427832B1 (ko) 고강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
US20120244336A1 (en) Spun-dyed hmls monofilaments,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JPH11124732A (ja) 耐候、難燃性ポリエステル繊維
US20210253824A1 (en) Conductive polymeric composition and fiber yarn
KR102632325B1 (ko) 폴리에테르이미드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멀티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776003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KR101936704B1 (ko) 아라미드 복합 섬유의 제조 방법
KR20170085880A (ko) 고강력 저수축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20100021789A (ko) 산업용 폴리에스터 멀티필라멘트 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3658B1 (ko) 폴리비닐클로라이드와 접착력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60856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4189993B2 (ja) 耐光性ポリアミド組成物及び耐光性ポリアミド繊維
KR101644067B1 (ko) 잠재권축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