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856B1 -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856B1
KR101960856B1 KR1020170081777A KR20170081777A KR101960856B1 KR 101960856 B1 KR101960856 B1 KR 101960856B1 KR 1020170081777 A KR1020170081777 A KR 1020170081777A KR 20170081777 A KR20170081777 A KR 20170081777A KR 101960856 B1 KR101960856 B1 KR 101960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onomer represented
polyester
fiber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744A (ko
Inventor
김춘기
권오혁
황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70081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8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성분 및 제2성분을 포함하는 2종의 폴리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성분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모두 포함하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7~0.9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05~0.3으로 공중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62017727-pat00022

[화학식 2]
Figure 112017062017727-pat00023

[화학식 3]
Figure 112017062017727-pat00024

Description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Polyester Conjugated fiber with highly elastic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의 점도차를 이용하여 높은 신축성을 가지면서 수축률이 낮아 경제성이 높은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류의 경우 활동성을 위해 고신축성을 요구하는 원단의 수요가 커지면서 스판덱스가 꾸준히 이용되고 있다. 스판덱스란 폴리우레탄계 섬유이 일종으로 폴리에테르와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용융방사한 것이다.
상기 스판덱스는 고무줄보다 가볍도 내노화성이 강해 종래의 고무실 이상의 품질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며 신축성이 뛰어나 활동하기에 편하고 내구성, 발한성, 건조성이 뛰어나 속옷, 안감, 겉옷 등 여러 가지 용도로 다양하게 쓰이고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열에 약하며, 내알카리성이 약한 문제가 있어 스판덱스 원사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별도의 커버링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원단을 얻을 수 밖에 없어서 점점 얇은 원단을 요구하는 시장의 요구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스판덱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의류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를 복합방사하여 크림프를 발현시켜 물리적인 신축성을 발현시킨 신축성 잠재권축사가 제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91462호에서는 2가지 다른 성분의 폴리에스테르를 복합방사하여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제1성분으로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을 1~30몰%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고유 점도가 0.6~0.85이며, 제2성분으로 일반 폴리에스터 폴러미로 고유점도가 0.4~0.55인 폴리머를 복합방사하여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제시되었는데,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한 섬유는 신축성을 우수하나, 원단 가공시 수축률이 높아 원료비의 상승에 따른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종래 기술에서 제시된 신축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신축성과 같거나 더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면서 수축률이 낮은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가연사 또는 혼섬가공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성분 및 제2성분을 포함하는 2종의 폴리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성분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모두 포함하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7~0.9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05~0.3으로 공중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62017727-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7062017727-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7062017727-pat00003
또한, 상기 제2성분은 수평균분자량이 400~25000인 하기 화학식 4로 표기되는 단량체가 더 공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7062017727-pat00004
또한, 상기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제1성분의 고유점도는 0.4~0.6 dl/g이과, 제2성분의 고유점도는 0.6~0.85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합섬유는 제1성분과 제2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합섬유는 단면이 땅콩 형상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복합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사.
또한, 상기의의 복합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가공사.
또한, 본 발명은 제1성분 및 제2성분을 포함하는 2종의 폴리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제1성분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모두 포함하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7~0.9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05~0.3으로 공중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제2성분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제1성분 및 제2성분을 방사노즐에서 복합방사하고 연신하여 섬유화하는 섬유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62017727-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17062017727-pat00006
[화학식 3]
Figure 112017062017727-pat00007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는 신규 화합물을 사용한 고점도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통해 신축성이 우수하고, 수축률이 낮은 효과가 있다.
또한, 수축률이 낮아 직물 또는 편물의 원사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동시에 이를 포함하는 원단 자체도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며 원단 가공 공정에서의 수축률도 낮아, 종래의 신축성 섬유에 비해 제품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원형 단면의 단면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땅콩 형상 단면의 단면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저점도인 제1성분 및 고점도인 제2성분을 포함하는 2종의 폴리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에 과한 것으로 상기 제1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성분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모두 포함하는 공중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상기 공중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7~0.9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05~0.3으로 공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62017727-pat00008
[화학식 2]
Figure 112017062017727-pat00009
[화학식 3]
Figure 112017062017727-pat000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91462호 등 폴리에스테르에 공중합되는 화학식 5로 표시된 단량체의 구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사용되는 화학식 2의 구조대비 -CH3가 2개의 가지로 형성되어 제1성분으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대비 제2성분으로 사용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높은 용융점도를 갖게 되어 복합방사시 크림프를 형성하여 신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높은 용융점도로 인하여 수축률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높은 수축률은 원단 후가공 공정에서 원단의 수축이 발생하여 제조단가가 높아져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화학식 5]
Figure 112017062017727-pat00011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2로 표시된 단량체와 화학식 5로 표시된 단량체의 중간적인 구조를 갖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된 단량체를 사용하게 이르렀다.
[화학식 3]
Figure 112017062017727-pat00012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구성하는 저점도인 제1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 및 에틸렌글리콜을 단량체로 하며, 섬유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성분의 고유 점도는 0.4~0.6 dl/g 일 수 있다.
상기 제1성분의 고유점도가 0.4 dl/g 미만일 경우 방사시 제조되는 복합섬유의 곡사현상이 현저히 증가하여 방사조업성이 불량해지고 낮은 점도에 의해 방사 시 사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성분의 고유점도가 0.6 dl/g을 초과하면 상기 제2성분과의 점도차이가 낮아지게 되어 신축성을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2성분은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모두 포함하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1 : 0.7~0.95 몰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1 : 0.05~0.3 의 몰비로 공중합된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0.05몰비 이상일 경우 신축성이 발현되지 않으며, 0.3이상일 경우 중합반응성이 저하되거나 융점이 너무 낮아 원단 가공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2성분에는 수평균분자량이 400 ~ 25000인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7062017727-pat00013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1 : 0.003~0.05 몰비로 공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성분의 고유점도는 0.6 ~ 0.8 dl.g 이며, 제2성분과 제1성분의 차는 0.1 d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성분과 제2성분의 점도차는 0.15~0.3dl/g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섬유내에서 제1성분과 제2성분의 중량비는 30 : 70 ~ 70 : 30일 수 있다.
상기 제1성분의 중량비가 30% 미만 또는 제2성분의 중량비가 70%를 초과하는 경우 두 성분의 용융점도 차이가 크게 발생되어 방사공정 중에 곡사 발생이 심해져 방사 공정성이 불량해지며, 섬유의 신축성 또한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섬유는 섬도와 필라멘트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는 상기 제1성분과 제2성분이 도 1에서와 같이 원형단면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일 수 있으며,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단면이 땅콩 형상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제1성분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모두 포함하는 공중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제2성분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는 상기 제1성분, 제2성분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제1성분 및 제2성분을 방사노즐에서 복합방사하고 연신하여 섬유화하는 섬유화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는 신축성이 우수하고, 수축률이 낮아 직물 또는 편물의 원사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동시에 이를 포함하는 원단 자체도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며 원단 가공 공정에서의 수축률도 낮아, 종래의 신축성 섬유에 비해 제품단가가 절감되면서도 우수한 물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사가공을 통해 가연사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혼섬가공사로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혼섬가공사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 이외의 이종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예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및 폴리아미드계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 수지를 포함하는 혼섬가공사일 수 있다.
본 발병에 의해 제조된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일반적인 직물 또는 편물로 사용 가능하며 우수한 신축성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설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 1
제1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글리콜로 제조되는 고유점도 0.48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Regular PET)를 사용하였다.
제2성분으로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9,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1로 중합하여 고유점도가 0.68dl/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1성분과 제2성분을 방사 온도를 270℃에서 중량비 50: 50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복합방사하고 연신을 통해 100 데니어, 24 필라멘트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섬유는 도 1에서와 같이 원형단면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였으나, 제1성분과 제2성분을 중량비 40:60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였으나, 제1성분은 고유점도가 0.55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제2성분은 고유점도가 0.7 dl/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였으나, 제2성분으로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887,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0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4으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013로 중합하여 고유점도가 0.7dl/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였으나, 도 2에서와 같이 땅콩 형상의 단면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였으나, 제2성분에 사용되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 대신 하기의 화학식 5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5]
Figure 112017062017727-pat00014
비교예 2
제1성분 및 제2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글리콜로 제조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제1성분은 고유점도가 0.46dl/g, 제2성분은 고유점도가 0.64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다.
◈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물성 및 복합섬유로 제조된 원단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 고유점도 IV : ASTM D 460386
◎ 인장강도/신율 : 강도 및 신율의 측정은 자동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200 cm/분의 속도, 50cm의 파지 거리를 적용하였다. 강도와 신도는 섬유에 일정한 힘을 주어 절단될 때까지 연신시켰을 때 걸린 하중을 데니어로 나눈 값 (g/d)을 강도, 늘어난 길이에 대한 처음 길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신도로 정의하였다.
◎ 권축률 (T) : 3,000 ÷ 섬도 ÷ 4 만큼의 길이만큼 1m 길이의 타래로 시료를 취한다. 이 시료를 열수 처리시 권축발현이 이루어질 때, 각 섬유가닥의 엉킴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의 하중인 1kg의 하중을 부여한 상태에서 열수(100℃)에서 20분간 처리후 하중을 제거한 후 4시간 동안 방치하여 자연 건조시킨다. 자연건조 후 시료에 6g의 하중을 부여한 후 1분경과 후 길이 L1을 측정한 후 600g의 하중을 부여, 1분 경과 후 길이 L2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값을 하기와 같은 수식에 의해 권축률을 구한다.
권축률 = (L2-L1)/L2×100
◎ 신축성 및 반발탄성 평가 : 5명의 전문가에 의한 상대적인 관능평가 실시(◎: 매우 우수, ○: 우수, △: 보통, X: 나쁨, XX: 매우 나쁨)
◎ 수축률 (%) :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원단으로 제직한 후 원단을 감량, 염색을 진행하였다. 감량, 염색 가공전의 길이 L1을 측정한 후 감량, 염색 가공 후의 길이 L2를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된 값을 하기와 같은 수식에 의해 수축률을 구한다.
수축률 = (L1-L2)/L1×100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제1성분 IV
(dl/g)
0.48 0.48 0.55 0.48 0.48 0.55 0.46
제2성분
IV
(dl/g)
0.68 0.68 0.7 0.7 0.68 0.68 0.64
공중합물 화학식 3 화학식 3 화학식 3 화학식 3
화학식 4
화학식 3 화학식 5 -
원사물성 단면 원형 원형 원형 원형 땅콩단면 원형 원형
고저점도
IV차
0.2 0.2 0.15 0.22 0.2 0.13 0.18
고저점도 중량비 50:50 60:40 50:50 50:50 50:50 50:50 50:50
섬도
(D/F)
100/24 100/24 100/24 100/24 100/24 100/24 100/24
권축률(%) 46.52 45.2 48.9 41.7 46.5 41.3 32.5
강도(g/d) 3.11 3.32 3.33 3.05 3.06 3.33 3.02
신율(%) 17.5 19.5 19.8 20.5 22.4 21.8 22.5
BWS (%) 9.92 10.6 9.82 10.4 10.3 14.5 9.5
원단물성 신축성
반발탄성
수축률(%) 8.5 9.9 8.2 8.1 8.7 15.7 8.5
상기 표 1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는 신축성이 우수며 수축율이 10% 이하인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은 신축성을 우수하였으나, 수축율이 15% 이상으로 높아 원단 가공시 15%의 원가가 추가로 발생함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2의 경우는 수축율은 10% 미만으로 우수하나, 신축성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제1성분 및 제2성분을 포함하는 2종의 폴리머로 구성되어 제1성분과 제2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성분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모두 포함하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7~0.9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05~0.3으로 공중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어 비수수축율(BWS)이 9.82~1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화학식 1]
    Figure 112018099670150-pat00015

    [화학식 2]
    Figure 112018099670150-pat00016

    [화학식 3]
    Figure 112018099670150-pat00017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분은 수평균분자량이 400~25000인 하기 화학식 4로 표기되는 단량체가 더 공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화학식 4]
    Figure 112017062017727-pat00018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제1성분의 고유점도는 0.4~0.6 dl/g이과, 제2성분의 고유점도는 0.6~0.85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는 단면이 땅콩 형상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사.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가공사.
  8. 제1성분 및 제2성분을 포함하는 2종의 폴리머로 구성되어 제1성분과 제2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제1성분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모두 포함하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7~0.95,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에 대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몰비 1 : 0.05~0.3으로 공중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제2성분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제1성분 및 제2성분을 방사노즐에서 복합방사하고 연신하여 섬유화하는 섬유화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는 비수수축율(BWS)이 9.82~1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8099670150-pat00019

    [화학식 2]
    Figure 112018099670150-pat00020

    [화학식 3]
    Figure 112018099670150-pat00021
KR1020170081777A 2017-06-28 2017-06-28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960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77A KR101960856B1 (ko) 2017-06-28 2017-06-28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77A KR101960856B1 (ko) 2017-06-28 2017-06-28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44A KR20190001744A (ko) 2019-01-07
KR101960856B1 true KR101960856B1 (ko) 2019-03-21

Family

ID=6501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777A KR101960856B1 (ko) 2017-06-28 2017-06-28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8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424B1 (ko) * 2013-12-05 2015-02-1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943A (ko) * 2004-10-04 2006-04-07 주식회사 휴비스 고권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가공사
KR101543113B1 (ko) * 2013-12-17 2015-08-0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KR101684234B1 (ko) * 2014-08-25 2016-12-09 주식회사 휴비스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424B1 (ko) * 2013-12-05 2015-02-1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44A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617B1 (ko)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TWI314168B (en) High self-crimping polyester conjugate yarn and process of producing thereof
KR101414206B1 (ko) C형 중공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113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KR102132560B1 (ko)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모노필라멘트사 및 그 제조방법
CN114008255B (zh) 具有良好伸缩性的聚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KR100829480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130952A (ko) 이용성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KR101960856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276098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489424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414211B1 (ko) C형 중공섬유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646655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55043A1 (en) 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or low temperature dyeability, controlled shrinkage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tensile properties
KR20060029943A (ko) 고권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가공사
KR20130130953A (ko) 이용성 복합중공사 제조방법
KR102356899B1 (ko) 세섬도 섬유 제조용 알칼리 용출형 코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이의 제조방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직편물
KR102402950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ity 복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7936B1 (ko)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7684A (ko) 멜란지 효과를 가진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복합사
JPS601404B2 (ja) 高ケン縮性複合繊維
KR102276231B1 (ko) 심색성이 우수한 단독방사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단독방사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9299A (ko) 터치감이 우수한 고발색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9299B1 (ko)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용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