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534A - 복층 유리용 간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 유리 - Google Patents
복층 유리용 간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 유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4534A KR20190004534A KR1020170084886A KR20170084886A KR20190004534A KR 20190004534 A KR20190004534 A KR 20190004534A KR 1020170084886 A KR1020170084886 A KR 1020170084886A KR 20170084886 A KR20170084886 A KR 20170084886A KR 20190004534 A KR20190004534 A KR 201900045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shaft
- end region
- fixed
- corner ke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04—Preparing rigid spacer members befor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명은 복층 유리용 간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 유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층 유리용 간격재는, 제1 축, 상기 제1 축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축, 제1 탄성스트랩, 제2 탄성스트랩 및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한다. 제1 탄성스트랩은 상기 제1 축에 고정된 제1 고정단 영역과, 상기 제1 축에 비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1 자유단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탄성스트랩은 상기 제2 축에 고정된 제2 고정단 영역과, 상기 제2 축에 비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자유단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합성수지 필름은, 양단 영역들이 상기 제1 자유단 영역, 및 상기 제2 자유단 영역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양단 영역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양단 영역들의 사이에 위치된 텐션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명은 복층 유리용 간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 유리에 관한 것이다.
과거부터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어 왔으며, 건축용 자재의 단열 성능은 점점 더 향상되고 있다. 특히, 창호는 건축물의 외벽 면적 중 큰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실내/외 열의 이동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창호, 그 중에서도 복층 유리(multi glazing) 제품의 단열 성능 향상은 항상 중요시 되어오고 있다.
로이(Low-E) 유리의 도입으로 창호의 단열 성능은 상당히 향상되었으나, 점점 그 한계에 다다르고 있으며, 최근에는 복층 유리의 간격재의 수를 늘리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간격층 수가 많아진다는 것은 분할면의 수도 함께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복층 유리 제품의 중량이 증가하여 건축물 시공이 어려워지고 위험해 진다.
복층 유리 제품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분할면으로 사용하는 유리의 두께를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있으나, 두께가 3 mm 이하인 박판 유리는 공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열이나 풍압에 의한 파손 위험도가 증가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박판 유리 대신에 합성수지 쉬이트가 적용된 복층 유리 제품에 대한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합성수지 쉬이트는 유리와 비교하여 두께 및 중량이 작을 뿐만 아니라, 열 및 풍압에 의한 파손 위험도 적기 때문이다.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복층 유리용 간격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복층 유리용 간격재가 적용된 복층 유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복층 유리용 간격재는, 제1 축, 제2 축, 제1 탄성스트랩, 제2 탄성스트랩,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스트랩과 상기 제2 탄성스트랩은, 각각 고정단 영역과 자유단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단 영역은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중 어느 하나의 축 상에 고정된다. 상기 자유단 영역은 상기 고정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중 어느 하나의 축 상에 고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탄성스트랩은, 제1 고정단 영역과 제1 자유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단 영역은 상기 제1 축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자유단 영역은 상기 제1 고정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축 상에 고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탄성스트랩은, 제2 고정단 영역과 제2 자유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단 영역은 상기 제2 축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자유단 영역은 상기 제2 고정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축 상에 고정되지 않는다.
합성수지 필름은, 양단 영역들과 텐션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양단 영역들은 상기 제1 자유단 영역과 상기 제2 자유단 영역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텐션영역은 상기 양단 영역들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1 자유단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양단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권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자유단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양단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권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자유단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권취될 수 있고, 상기 제2 자유단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권취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양단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복층 유리용 간격재는, 중공 및 상기 중공과 연통된 슬릿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은 각각,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합성수지 필름은 상기 슬릿을 관통한다. 상기 텐션영역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복층 유리용 간격재는, 커팅홀이 구비된 탄성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 필름은, 상기 슬릿과 상기 커팅홀을 관통한다.
상기 복층 유리용 간격재,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서브 프레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들은 각각, 상기 제1 축이 결합된 제1 축 장착부가 포함된 일단 영역, 상기 제2 축이 결합된 제2 축 장착부가 포함된 타단 영역, 및 상기 일단 영역과 상기 타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일단 영역과 상기 타단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바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층 유리용 간격재는,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서브 프레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들은 각각, 상기 제1 축이 결합된 제1 축 장착부가 포함된 제1 코너키, 상기 제2 축이 결합된 제2 축 장착부가 포함된 제2 코너키, 및 상기 제1 코너키와 상기 제2 코너키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코너키와 상기 제2 코너키의 사이에 배치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 장착부는 상기 제1 축이 결합된 홈이 구비된 로테이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일단 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축 장착부는 상기 제2 축이 결합된 홈이 구비된 로테이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타단 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복층 유리는, 상기 복층 유리용 간격재와 글라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글라스들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글라스들 사이에는 상기 복층 유리용 간격재가 배치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는 복층 유리의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는 경량의 고 단열 창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는 경량의 고단열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층 유리의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복층 유리용 간격재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II' 선에 따른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도 3의 복층 유리용 간격재의 제조공정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너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복층 유리의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복층 유리용 간격재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II' 선에 따른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도 3의 복층 유리용 간격재의 제조공정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너키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형태들과 실험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게시되는 내용은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including)", "가진(having)" 이라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200)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층 유리(200)의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 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복층 유리(200)는 글라스들(G)과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를 포함한다. 글라스들(G)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는 글라스들(G)의 사이에 배치된다. 글라스들(G)은 일반 유리 또는 로이 유리 등 공지된 다양한 제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는, 제1 축(C1), 제2 축(C2), 제1 탄성스트랩(E1), 제2 탄성스트랩(E2), 합성수지 필름(F), 제1 베이스 프레임(WB1), 제2 베이스 프레임(WB2), 제1 서브 프레임(SB1) 및 제2 서브 프레임(SB2)을 포함한다.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는, 복층 유리(200)를 구성하는 글라스들(G) 및 분할면이 간격을 결정해주는 부품으로, 합성수지 필름(F)이 두루마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F)의 감김과 풀림은 반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베이스 프레임(WB1), 제2 베이스 프레임(WB2), 제1 서브 프레임(SB1) 및 제2 서브 프레임(SB2)은 연결되어 하나의 윈도우 프레임이 구성되며, 윈도우 프레임의 적어도 일면에는, 접착층(AH)이 배치될 수 있다. 글라스들(G)은 접착층(AH)을 통해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와 결합될 수 있다. 접착층(AH)은,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부틸 고무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축(C1)과 제2 축(C2)은 합성수지 필름(F)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축(C1)은 제1 탄성스트랩(E1)을 매개로 합성수지 필름(F)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축(C2)은 제2 탄성스트랩(E2)을 매개로 합성수지 필름(F)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축(C1), 제1 탄성스트랩(E1), 합성수지 필름(F), 제2 탄성스트랩(E2), 제2 축(C2)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축(C1)은 봉 및/또는 막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원기둥 형태의 봉, 타원기둥 형태의 봉, 다각기둥 형태의 막대일 수 있다. 다각기둥 형태의 막대는, 예를 들어, 삼각기둥 형태의 막대, 사각기둥 형태의 막대, 오각기둥 형태의 막대 등일 수 있다. 제1 축(C1)이 원기둥 형태의 봉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제2 축(C2)은 봉 및/또는 막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원기둥 형태의 봉, 타원기둥 형태의 봉, 다각기둥 형태의 막대일 수 있다. 다각기둥 형태의 막대는, 예를 들어, 삼각기둥 형태의 막대, 사각기둥 형태의 막대, 오각기둥 형태의 막대 등일 수 있다. 제2 축(C2)이 원기둥 형태의 봉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제1 축(C1)과 제2 축(C2)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축(C1)의 외주면 또는 표면의 둘레에는, 제1 탄성스트랩(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축(C2)의 외주면 또는 표면의 둘레에는 제2 탄성스트랩(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스트랩(E1)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해 응력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1 탄성스트랩(E1)의 예로는 인장 스프링, 스파이럴 스프링, 고무밴드 등을 들 수 있다. 제1 탄성스트랩(E1)은 알루미늄, 철과 같은 금속 또는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탄성스트랩(E1)은 제1 고정단 영역과 제1 자유단 영역을 포함한다.
제1 고정단 영역은 제1 축(C1)에 고정되는 영역으로, 제1 탄성스트랩(E1)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탄성스트랩(E1)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일 수도 있고, 제1 탄성스트랩(E1)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영역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단 영역은 제1 탄성스트랩(E1)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자유단 영역은 제1 고정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으로 제1 축(C1)에 고정되지 않는 영역으로, 합성수지 필름(F)와 연결되는 영역이다. 제1 자유단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축(C1)의 외주면 또는 표면의 둘레에 권취될 수 있다. 제1 자유단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축(C1)의 외주면 또는 표면의 둘레를 겹겹이 감은 두루마리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즉, 제1 자유단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축(C1)의 중심으로 제1 축(C1) 상에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탄성스트랩(E2)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해 응력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2 탄성스트랩(E2)의 예로는 인장 스프링, 스파이럴 스프링, 고무밴드 등을 들 수 있다. 제2 탄성스트랩(E2)은 알루미늄, 철과 같은 금속 또는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스트랩(E2)은 제2 고정단 영역과 제2 자유단 영역을 포함한다.
제2 고정단 영역은 제2 축(C2)에 고정되는 영역으로, 제2 탄성스트랩(E2)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2 탄성스트랩(E2)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일 수도 있고, 제2 탄성스트랩(E2)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영역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고정단 영역은 제2 탄성스트랩(E2)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자유단 영역은 제2 고정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으로 제2 축(C2)에 고정되지 않는 영역으로, 합성수지 필름(F)와 연결되는 영역이다. 제2 자유단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축(C2)의 외주면 또는 표면의 둘레에 권취될 수 있다. 제2 자유단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축(C2)의 외주면 또는 표면의 둘레를 겹겹이 감은 두루마리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즉, 제2 자유단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축(C2)의 중심으로 제2 축(C2) 상에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탄성스트랩(E1)과 제2 탄성스트랩(E2)은 합성수지 필름(F)의 양단 영역과 연결되어 합성수지 필름(F)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탄성스트랩(E1)과 제2 탄성스트랩(E2)은 합성수지 필름(F)에 텐션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F)은, 투명하고 탄성력이 있는 폴리머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F)은, 양단 영역들과 텐션영역을 포함한다. 양단 영역들은 제1 자유단 영역과 제2 자유단 영역에 각각 고정된다. 텐션영역은 양단 영역들의 사이에 위치된다. 텐션영역은 합성수지 필름(F)이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영역으로, 제1 탄성스트랩(E1)과 제2 탄성스트랩(E2)이 가진 외부 인장력에 대한 응력으로 제1 탄성스트랩(E1)과 제2 탄성스트랩(E2)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합성수지 필름(F)을 당겨주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텐션영역은 제1 축(C1)과 제2 축(C2)의 거리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C1)과 제2 축(C2)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텐션영역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제1 축(C1)과 제2 축(C2)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텐션영역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합성수지의 양단 영역들 중 하나가 제1 탄성스트랩(E1)을 통해 제1 축(C1)에 연결되고, 합성수지의 양단 영역들 중 다른 하나가 제2 탄성스트랩(E2)을 통해 제2 축(C2)에 연결되기 때문에, 제1 축(C1)과 제2 축(C2)의 거리에 따라 텐션영역의 면적이 변동될 수 있다.
양단 영역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두루마리 형태의 제1 자유단의 외주면 또는 표면의 둘레에 권취될 수 있다. 양단 영역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두루마리 형태의 제1 자유단의 외주면 또는 표면의 둘레를 겹겹이 감은 두루마리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양단 영역들 중 다른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두루마리 형태의 제2 자유단의 외주면 또는 표면의 둘레에 권취될 수 있다. 양단 영역들 중 다른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두루마리 형태의 제2 자유단의 외주면 또는 표면의 둘레를 겹겹이 감은 두루마리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은 축들(C1, C2), 탄성스트랩(E1, E2), 합성수지 필름(F)의 일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은 서브 프레임들(SB1, SB2)와 함께 글라스들(G)의 간격을 조절 내지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같은 금속일 수도 있고, 플라스틱일 수도 있다.
제1 베이스 프레임(WB1)은, 제1 중공(O1)과 제1 슬릿(SL1)을 포함하며, 제1 중공(O1)은 제1 슬릿(SL1)과 연통된다. 제1 중공(O1)에는 제1 축(C1), 제1 탄성스트랩(E1), 합성수지 필름(F)의 양단 영역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릿(SL1)을 통해 합성수지 필름(F)의 일부분이 제1 중공(O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프레임(WB2)은, 제2 중공(O2)과 제2 슬릿(SL2)을 포함하며, 제2 중공(O2)은 제2 슬릿(SL2)과 연통된다. 제2 중공(O2)에는 제2 축(C2), 제2 탄성스트랩(E2), 합성수지 필름(F)의 양단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슬릿(SL2)을 통해 합성수지 필름(F)의 다른 일부분이 제2 중공(O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프레임(WB1)과 제2 베이스 프레임(WB2)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 프레임(WB1)과 제2 베이스 프레임(WB2)은,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대향면들이 서로 접하도록 밀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서브 프레임들(SB1, SB2)은 축들(C1, C2), 탄성스트랩(E1, E2), 합성수지 필름(F)의 일부가 수용되지 않는 점에서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와 차이가 있다.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과 함께, 서브 프레임들(SB1, SB2)은 글라스들(G)의 간격을 조절 내지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들(SB1, SB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같은 금속일 수도 있고, 플라스틱일 수도 있다.
제1 서브 프레임(SB1)과 제2 서브 프레임(SB2)은 제1 축(C1)과 제2 축(C2) 사이의 소정의 간격을 유지 또는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SB1)은, 제1 코너키(CK1), 제2 코너키(CK2) 및 제1 연결 프레임(SB1)을 포함할 수 있다. 코너키들(CK1, CK2)은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과 연결프레임들(LB1, LB2)의 각 모서리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제1 코너키(CK1)에는 제1 축(C1)이 결합되고, 제1 코너키(CK1)에는 제1 축(C1)이 결합될 수 있는 제1 축 장착홈(BO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축 장착홈(BO1)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축(C1)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에 따라, 제1 축(C1)이 원기둥 형태로 구성된 때, 제1 축 장착홈(BO1)은 원형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코너키(CK2)에는 제2 축(C2)이 결합되고, 제2 코너키(CK2)에는 제2 축(C2)이 결합될 수 있는 제2 축 장착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축 장착홈(미도시)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축(C2)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에 따라, 제2 축(C2)이 원기둥 형태로 구성된 때, 제2 축 장착홈(미도시)은 원형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LB1)은 제1 코너키(CK1)와 제2 코너키(CK2)의 사이에서 제1 코너키(CK1) 및 제2 코너키(CK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코너키(CK1)에는 대략 제1 축(C1)과 수직 방향으로 제1 코너키(CK1)의 몸체(B)로부터 연장된 돌출 결합부(P)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코너키(CK2)에는 대략 제2 축(C2)과 수직 방향으로 제2 코너키(CK2)의 몸체(미도시)로부터 연장된 돌출 결합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LB1)은 제1 코너키(CK1)와 제2 코너키(CK2)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LB1)은 돌출 결합부(P)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TO1)이 구비된 중공형 기둥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SB2)은, 제1 코너키(CK1), 제2 코너키(CK2) 및 제2 연결 프레임(S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너키(CK1), 제2 코너키(CK2)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연결프레임(LB2)은 제1 연결프레임(LB1)에 대응되고, 제1 연결프레임(LB1)에 대해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합성수지 필름(F)의 텐션영역은 제1 베이스 프레임(WB1)과 제2 베이스 프레임(WB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F)의 텐션영역은 제1 서브 프레임(SB1)과 제2 서브 프레임(SB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합성수지 필름(F)의 텐션영역은, 제1 베이스 프레임(WB1), 제2 베이스 프레임(WB2), 제1 서브 프레임(SB1) 및 제2 서브 프레임(SB2)으로 둘러싸인 내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 구성요소 및 구조 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글라스들(G)의 사이에는 제1 베이스 프레임(WB1)이 배치될 수 있고, 글라스들(G) 중 어느 하나와 제1 베이스 프레임(WB1)의 사이에는 접착층(AH)이 배치될 수 있다. 글라스들(G)의 사이에는 제2 베이스 프레임(WB2)이 배치될 수 있고, 글라스들(G) 중 어느 하나와 제2 베이스 프레임(WB2)의 사이에는 접착층(AH)이 배치될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F)은, 제1 베이스 프레임(WB1)과 제2 베이스 프레임(WB2) 각각에서 슬릿들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글라스들(G)의 사이에 배치된다. 글라스들(G) 중 어느 하나와 합성수지 필름(F)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며, 공기층을 통해 복층 유리(200)는 단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글라스들(G)의 사이에는 제1 연결프레임(LB1)이 배치될 수 있고, 글라스들(G) 중 어느 하나와 제1 연결프레임(LB1)의 사이에는 접착층(AH)이 배치될 수 있다. 글라스들(G)의 사이에는 제2 연결프레임(LB2)이 배치될 수 있고, 글라스들(G) 중 어느 하나와 제2 연결프레임(LB2)의 사이에는 접착층(AH)이 배치될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F)은 제1 연결프레임(LB1)과 제2 연결프레임(LB2)의 각각의 표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F)은 글라스들(G)의 사이에 배치된다. 글라스들(G) 중 어느 하나와 합성수지 필름(F)의 사이에는 공기층(AR)이 형성되며, 공기층(AR)을 통해 복층 유리(200)는 단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101)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II' 선에 따른 모식적인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복층 유리용 간격재(101)과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구조 등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복층 유리용 간격재(101)는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 상에 배치된 탄성부재들(CB1, CB2)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와 차이가 있다. 탄성부재들(CB1, CB2)은 합성수지 필름(F)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들(CB1, CB2)는 제1 축(C1)과 제2 축(C2)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때,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에 의해 합성수지 필름(F)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CB1)는 제1 베이스 프레임(WB1)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베이스 프레임(WB1)의 제1 슬릿(SL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커팅홀(CBS1)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CB2)는 제2 베이스 프레임(WB2)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베이스 프레임(WB2)의 제2 슬릿(SL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커팅홀(CBS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프레임(WB1)과 제2 베이스 프레임(WB)의 사이에, 탄성부재들(CB1, CB2)이 배치되며, 제1 축에 권취된 합성수지 필름(F)의 일부가 제1 슬릿(SL1)과 제1 커팅홀(CBS1)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1 베이스 프레임(WB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2 축에 권취된 합성수지 필름(F)의 다른 일부가 제2 슬릿(SL2)과 제1 커팅홀(CBS2)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2 베이스 프레임(WB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201)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복층 유리(201)와 복층 유리(200)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구조 등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과 도 10을 참조하면, 복층 유리(201)는 복층 유리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 흡습재(AC)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복층 유리(200)와 차이가 있다. 도 7과 도 11을 참조하면, 복층 유리(201)는 복층 유리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 흡습재(AC)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복층 유리(200)와 차이가 있다.
흡습재(AC)는 글라스들(G)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베이스 프레임(WB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WB2)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접착층(AH)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3의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의 제조공정에 관한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의 제조공정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 자체의 구조 및 구성요소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베이스 프레임(WB1)과 제2 베이스 프레임(WB2)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멀어지도록, 제1 베이스 프레임(WB1)과 제2 베이스 프레임(WB2)에 각각 힘을 가하면,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의 중공(O1, O2)에 배치된 축들(C1, C2)에 감겨있던 합성수지 필름(F)의 일부이 감긴 상태가 해제되면서,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의 사이로 합성수지 필름(F)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필름(F)은 탄성스트랩들을 통해 제1 축(C1)과 제2 축(C2)에 각각 연결되며,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당겨지면, 탄성스트랩들에는 베이스 프레임들(WB1, WB2)에 작용된 힘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저항하는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되게 되어, 합성수지 필름(F)은 주름없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기존에는, 합성수지 필름(F) 자체의 탄성 특성으로 인해, 복층 유리 제작 과정에서 합성수지 필름(F)에 주름이 발생될 수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복층 유리의 제작이 완료된 뒤, 복층 유리에 열을 가하여 합성수지 필름(F)을 수축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지만, 이 경우,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는, 탄성스트랩을 매개로 하여 양 축(C1, C2)에 감겨진 합성수지 필름(F)을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구조물에 의해, 상기한 기존 공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작하고자 하는 유리의 크기에 맞춰서, 축들(C1, C2)에 말려있는 합성수지 필름(F)을 풀어준 뒤, 축들(C1, C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축들(C1, C2)에 코너키들(CK1, CK2)을 결합한 뒤, 코너키들(CK1, CK2)에 연결프레임들(LB1, LB2)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가 제작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키들(CK1, CK2) 각각의 돌출 결합부들(P) 각각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에 연결프레임들(LK1, LK2)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들(LK1, LK2)은 돌출 결합부들(P) 각각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TO1, TO2)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들(LK1, LK2)은 중공(TO1, TO2)에 삽입된 상태로 코너키들(CK1, CK2)의 몸체(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너키들(CK1, CK2)의 몸체(B)에는 각각 축들(C1, C2)가 결합될 수 있는 축 장착홈들(BO1, BO2)이 구비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도 12 내지 도 16을 통해 제작된 복층 유리용 간격재(100)에 접착층(AH)을 형성한 뒤, 양면에 글라스들(G)을 결합시킴으로써 복층 유리(200)가 제작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코너키(CK1)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와 도 5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다른 구성요소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에는 사각기둥 형태의 제1 축(C1)이 결합되는 제1 축 장착홈(BO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제1 축 장착홈(BO1)이 제1 축(C1)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홈 형태로 설계된 점에서, 도 17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는 도 5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와 상이하다.
도 17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에는 로테이터(BR)가 구비된 점에서, 도 5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와 상이하다. 로테이터(BR)는 제1 축(C1)이 제1 축 장착홈(BO1)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로테이터(BR)는 제1 코너키(CK1)의 몸체(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로테이터(BR)에는 제1 축 장착홈(BO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의 몸체(B)에는 제1 연결프레임(LB1)에 구비된 홈(TH1)들에 체결되는 돌출부들(P)이 구비되는 점에서, 도 17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는 도 5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와 차이가 있다. 도 17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1 연결프레임(LB1)에 장착될 수 있는 점에서, 도 5에 도시된 제1 코너키(CK1)와 제1 연결프레임(LB1)의 결합관계와 차이가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8에 도시된 서브 프레임(SB1, SB2)이 연결프레임이 코너키들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코너키들과 연결프레임이 일체로 제작된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점에서, 도 18에 도시된 제1 서브 프레임(SB1)과 제2 서브 프레임(SB2)은 각각 도 3의 제1 서브 프레임(SB1)과 제2 서브 프레임(SB2)과 차이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예에 게시된 내용들을 조합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101: 복층 유리용 간격재
200, 201: 복층 유리
WB: 베이스 프레임 SB: 서브 프레임 LB: 연결프레임
CK: 코너키 C: 축 E: 탄성스트랩
CB: 탄성부재 F: 합성수지 필름
SL: 슬릿 CBS: 커팅홀
200, 201: 복층 유리
WB: 베이스 프레임 SB: 서브 프레임 LB: 연결프레임
CK: 코너키 C: 축 E: 탄성스트랩
CB: 탄성부재 F: 합성수지 필름
SL: 슬릿 CBS: 커팅홀
Claims (14)
- 제1 축;
상기 제1 축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축;
상기 제1 축에 고정된 제1 고정단 영역과, 상기 제1 축에 비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1 자유단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탄성스트랩;
상기 제2 축에 고정된 제2 고정단 영역과, 상기 제2 축에 비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자유단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탄성스트랩; 및
양단 영역들이 상기 제1 자유단 영역 및 상기 제2 자유단 영역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양단 영역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양단 영역들의 사이에 위치된 텐션영역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필름;
을 포함하는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유단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권취된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권취된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유단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권취된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권취된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유단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제2 자유단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며, 상기 양단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권취된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제1 항에 있어서,
중공 및 상기 중공과 연통된 슬릿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은 각각,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합성수지 필름은 상기 슬릿을 관통하며,
상기 텐션영역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의 사이에 위치된,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제7 항에 있어서,
커팅홀이 구비된 탄성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합성수지 필름은, 상기 슬릿과 상기 커팅홀을 관통하는,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서브 프레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들은 각각,
상기 제1 축이 결합된 제1 축 장착부가 포함된 일단 영역, 상기 제2 축이 결합된 제2 축 장착부가 포함된 타단 영역, 및 상기 일단 영역과 상기 타단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일단 영역과 상기 타단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바디 영역을 포함하는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장착부는 상기 제1 축이 결합된 홈이 구비된 로테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일단 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축 장착부는 상기 제2 축이 결합된 홈이 구비된 로테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타단 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서브 프레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들은 각각,
상기 제1 축이 결합된 제1 축 장착부가 포함된 제1 코너키, 상기 제2 축이 결합된 제2 축 장착부가 포함된 제2 코너키, 및 상기 제1 코너키와 상기 제2 코너키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코너키와 상기 제2 코너키의 사이에 배치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장착부는 상기 제1 축이 결합된 홈이 구비된 로테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일단 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축 장착부는 상기 제2 축이 결합된 홈이 구비된 로테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타단 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층 유리용 간격재. -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글라스들; 및
상기 글라스들 사이에 배치된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층 유리용 간격재;
을 포함하는 복층 유리.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복층 유리용 간격재의 사이에 배치된 흡습재;를 더 포함하는 복층 유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4886A KR102134141B1 (ko) | 2017-07-04 | 2017-07-04 | 복층 유리용 간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 유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4886A KR102134141B1 (ko) | 2017-07-04 | 2017-07-04 | 복층 유리용 간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 유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4534A true KR20190004534A (ko) | 2019-01-14 |
KR102134141B1 KR102134141B1 (ko) | 2020-07-15 |
Family
ID=6502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4886A KR102134141B1 (ko) | 2017-07-04 | 2017-07-04 | 복층 유리용 간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 유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41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73814A1 (en) * | 2022-10-06 | 2024-04-11 | Clearvue Technologies Ltd | A window unit for a building or structur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2692U (ja) * | 1992-10-05 | 1994-04-28 | 炎 周 | 巻きカーテン光線調節装置 |
JPH1122332A (ja) * | 1997-07-09 | 1999-01-26 | Figura Kk | 複層ガラス |
JP2002061462A (ja) * | 2000-08-23 | 2002-02-28 | Nippon Kentetsu Co Ltd | 間仕切り用のガラス窓 |
JP2012036076A (ja) * | 2010-07-14 | 2012-02-23 | Kanazawa Inst Of Technology | 複層ガラス及びこれを用いた窓サッシ |
CN203230310U (zh) * | 2013-05-09 | 2013-10-09 | 龙子浩 | 内置卷轴窗帘式中空玻璃窗 |
-
2017
- 2017-07-04 KR KR1020170084886A patent/KR1021341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2692U (ja) * | 1992-10-05 | 1994-04-28 | 炎 周 | 巻きカーテン光線調節装置 |
JPH1122332A (ja) * | 1997-07-09 | 1999-01-26 | Figura Kk | 複層ガラス |
JP2002061462A (ja) * | 2000-08-23 | 2002-02-28 | Nippon Kentetsu Co Ltd | 間仕切り用のガラス窓 |
JP2012036076A (ja) * | 2010-07-14 | 2012-02-23 | Kanazawa Inst Of Technology | 複層ガラス及びこれを用いた窓サッシ |
CN203230310U (zh) * | 2013-05-09 | 2013-10-09 | 龙子浩 | 内置卷轴窗帘式中空玻璃窗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73814A1 (en) * | 2022-10-06 | 2024-04-11 | Clearvue Technologies Ltd | A window unit for a building or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4141B1 (ko) | 2020-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98751B2 (ja) | 絶縁用の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のスペーサーおよび格子エレメント | |
KR100808429B1 (ko) | 리브된 튜브의 연속적인 가요성 스페이서 조립체 | |
US8595994B1 (en) | Insulating glass unit with asymmetrical between-pane spaces | |
ES2334942T3 (es) | Material en banda compuesto para espaciadores. | |
JPH04250285A (ja) | 絶縁性単位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隔離部材枠及びその製造方法 | |
JP6133876B2 (ja) | 複層ガラスシステム | |
JP5452927B2 (ja) | フレキシブルカーテンを備えた高速ドア | |
US9598858B2 (en) | Thermal insulation panel | |
JP2019532203A (ja) | 断熱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特に、三重断熱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及び断熱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の製造方法 | |
CN110847770A (zh) | 中空玻璃单元及其组装方法 | |
KR20190004534A (ko) | 복층 유리용 간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 유리 | |
KR20220058044A (ko) |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복층유리 및 그 제조방법 | |
FI72575B (fi) | Vaermeisolerande rullgardin. | |
JP2015145569A (ja) | 多重ガラス障子 | |
US4421203A (en) | Roll-out layered expansible membranes (ROLEM) | |
CN217461915U (zh) | 一种内悬膜门窗 | |
JP2005061075A (ja) | 複層ガラス支持構造及び複層ガラス | |
CN211230076U (zh) | 一种不等厚夹层等厚中空复合结构中空玻璃 | |
JP2024507104A (ja) | 第3のペイン用の堅固なフレームを有するマルチ・ペイン断熱ガラス・ユニット及びその作成の方法 | |
JP2010013840A (ja) | 住宅 | |
JP2007002656A (ja) | 複層ガラス | |
JP2014208568A (ja) | 多重ガラス障子及び多重ガラス障子用枠体 | |
JP6157938B2 (ja) | 複層ガラス | |
JPS6234702B2 (ko) | ||
EP0157763A1 (en) | Roll-out layered expansible membranes (rol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