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441A -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441A
KR20190004441A KR1020170084670A KR20170084670A KR20190004441A KR 20190004441 A KR20190004441 A KR 20190004441A KR 1020170084670 A KR1020170084670 A KR 1020170084670A KR 20170084670 A KR20170084670 A KR 20170084670A KR 20190004441 A KR20190004441 A KR 20190004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anel
mounting bracket
panel
fastening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308B1 (ko
Inventor
이인엽
이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084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3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은 차량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측면, 상면, 및 하면을 가지도록 다단으로 절곡 성형되는 인너 패널, 상기 인너 패널의 외측에 접합되어 상기 인너 패널과의 사이에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아웃터 패널, 및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인너 패널의 일측에 구성되어 샤시 부품을 체결하도록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FRONT SIDE MEMBER UNIT FOR VEHE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샤시 부품을 체결할 수 있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과 트랜스미션과 같은 샤시 부품은 차량의 전체 중량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상기 샤시 부품은 차량이 주행하거나, 후진할 때,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진동을 비롯하여 소음이 발생된다.
이러한 샤시 부품 중 일부는 마운팅부를 통해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고정됨에 따라, 주행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차체를 통해 승객 및 외부로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마운팅부는 진동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100)은 인너 패널(110)과 아웃터 패널(120) 사이에 별도의 보강부재(130)와 함께 접합되는 복수개의 샤시 마운팅 하드웨어(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샤시 마운팅 하드웨어(140)는 파이프 타입의 단품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부재(130)와 함께 CO2 용접을 통해 상기 인너 패널(110)에 조립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100)은 상기 샤시 마운팅 하드웨어(140)를 조립하기 위해 적용되는 CO2 용접 시, 상기 인너 패널(110)과 아웃터 패널(120)의 내부 공간이 부족하여 용접 좌면을 확보하기가 불리하며, 이로 인해, 용접 불량, 용접 위치 불량 포함한 용접 품질이 좋지 않아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100)은 보강부재(130)와 샤시 마운팅 하드웨어(140)가 각각 단품으로 이루어져 부품수 및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다.
더불어 상기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100)은 단품으로 이루어진 샤시 마운팅 하드웨어(140)와 아웃터 패널(120)과의 사이의 단면이 연결되지 않아 갭이 발생하여 이음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 일측에서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 및 하면을 따라 접합 및 접촉된 상태로, 샤시 부품을 체결하는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적용함으로써, 차체 측면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부품수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측면, 상면, 및 하면을 가지도록 다단으로 절곡 성형되는 인너 패널; 상기 인너 패널의 외측에 접합되어 상기 인너 패널과의 사이에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아웃터 패널; 및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인너 패널의 일측에 구성되어 샤시 부품을 체결하도록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에 접합되며, 일측과 타측에 체결홀을 갖는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세로면과, 상기 인너 패널의 하면에 접촉되며, 상기 세로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로면과, 상기 가로면의 외측 선단에 하향 절곡되어 상기 인너 패널의 하부 플랜지와 아웃터 패널의 하단부 사이에 접합되는 접합 플랜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세로면 상에 체결부를 포함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세로면 상에 형성된 각 체결부의 하측과 상기 가로면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과 하면 사이에 폐구간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로면과 가로면이 연결되는 일측에 외측으로 굴곡진 포밍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세로면과 접합 플랜지가 인너 패널의 측면과 하부 플랜지에 각각 복수개의 SPR(Self Piercing Rivet)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패널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각 체결홀에 대응하는 상면에 체결부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 일측에서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 및 하면을 따라 접합 및 접촉된 상태로, 샤시 부품을 체결하는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적용함으로써, 차체의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부품수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은 마운팅 브라켓의 접합 플랜지를 통해 상기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접합함으로써,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 인너 패널 및 아웃터 패널과의 사이에 이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1)은 차량의 측면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차량의 샤시 부품(미도시)을 체결하기 위하여 적용된 것이다.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1)은 인너 패널(10), 아웃터 패널(20), 및 마운팅 브라켓(3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인너 패널(10)은 차량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다단 절곡된다.
이러한 인너 패널(10)은 측면(11), 상면(13), 및 하면(15)을 가진다.
또한, 상기 인너 패널(10)은 상면(13) 및 하면(15) 길이방향의 선단으로부터 각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상부 플랜지(17a) 및 하부 플랜지(17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너 패널(10)은 상면에 복수개의 안착부(19)가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부(19)는 이하에서 설명할 상기 마운팅 브라켓(30)에 형성된 체결부(34)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안착부(19)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부(34)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체결부(34)에 형성된 체결홀(34a)에 대응하여 관통홀(19a)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부(19)는 체결부(34)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기 아웃터 패널(20)은 상기 인너 패널(10)의 외측으로 접합되어 상기 인너 패널(10)과의 사이에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부(S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패널(20)은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 패널(10)의 상,하부 플랜지(17a, 17b)의 길이방향의 단면을 따라 동일하게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아웃터 패널(20)은 인너 패널(10)의 상부 플랜지(17a)와 하부 플랜지(17b)에 대하여 용접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30)은 상기 수용부(S1)에서 상기 인너 패널(10)의 일측에 접합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3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마운팅 브라켓(30)은 세로면(31), 가로면(32) 및 접합 플랜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30)의 세로면(31)은 상기 인너 패널(10)의 측면(11)에 접합된다.
상기 세로면(31)상에는 일측과 타측에 체결홀(34a)을 갖는 체결부(3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로면(31)상에는 상기 체결부(34)를 포함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복수개의 리브(3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브(35)는 상기 세로면(31)상에서 상하로 2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리브(35)의 개수는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면(31)상에는 상기 각 체결부(34)의 하측과 가로면(32)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단(3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단(36)은 상기 세로면(31), 가로면(32) 및, 체결부(34)를 연결하면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단(36)은 상기 인너 패널(10)과 아웃터 패널(20)과의 연결강성을 보강하면서, 상기 체결부(34)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30)의 가로면(32)은 상기 인너 패널(10)의 하면(15)에 접촉된다.
상기 가로면(32)은 상기 세로면(31)의 길이방향 선단이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세로면(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30)의 접합 플랜지(33)는 상기 가로면(32)의 외측 선단이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가로면(3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접합 플랜지(33)는 상기 인너 패널(10)의 하부 플랜지(17b)와 아웃터 패널(20)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접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운팅 브라켓(30)은 상기 인너 패널(10)의 측면(11)과 하면(15) 사이에 공간부(S2)를 형성한다.
상기 공간부(30)는 폐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30)의 세로면(31)과 가로면(32)이 연결되는 일측에 외측으로 굴곡진 포밍부(37)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포밍부(37)는 일측 체결부(34)에 연결된 지지단(36)을 포함하면서 성형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30)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부품으로 이루어져 세로면(31)과 접합 플랜지(33)가 인너 패널(10)의 측면(11)과 하부 플랜지(17b)에 각각 복수개의 SPR(Self Piercing Rivet)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접합된다.
여기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부품은 알루미늄 합금을 소재로 하여 알루미늄 합금의 용융 금속을 금속제의 주형에 고압으로 사출하여 주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부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30)은 알루미늄 재질로 다이캐스팅 공법을 통해 제작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마운팅 브라켓(30)의 재질과 제작 공법은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1)은 상기 인너 패널(10)과 아웃터 패널(20) 사이의 수용부(S1) 일측에서 상기 인너 패널(10)의 측면 및 하면을 따라 접합 및 접촉된 상태로, 샤시 부품을 체결하는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마운팅 브라켓(30)을 적용함으로써, 차체의 측면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부품수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1)은 마운팅 브라켓(30)의 접합 플랜지(33)를 통해 상기 인너 패널(10)과 아웃터 패널(20) 사이에 개재하여 접합함으로써, 상기 인너 패널(10), 아웃터 패널(20), 및 마운팅 브라켓(30) 사이의 이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10: 인너 패널
11: 측면 13: 상면
15: 하면 17a: 상부 플랜지
17b: 하부 플랜지 19: 안착부
19a: 관통홀 20: 아웃터 패널
30: 마운팅 브라켓 31: 세로면
32: 가로면 33: 접합 플랜지
34: 체결부 34a: 체결홀
35: 리브 36: 지지단
S1: 수용부 S2: 공간부
37: 포밍부

Claims (8)

  1. 차량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측면, 상면, 및 하면을 가지도록 다단으로 절곡 성형되는 인너 패널;
    상기 인너 패널의 외측에 접합되어 상기 인너 패널과의 사이에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아웃터 패널; 및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인너 패널의 일측에 구성되어 샤시 부품을 체결하도록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마운팅 브라켓;
    을 포함하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에 접합되며, 일측과 타측에 체결홀을 갖는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세로면과,
    상기 인너 패널의 하면에 접촉되며, 상기 세로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로면과,
    상기 가로면의 외측 선단에 하향 절곡되어 상기 인너 패널의 하부 플랜지와 아웃터 패널의 하단부 사이에 접합되는 접합 플랜지로 형성되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세로면 상에 체결부를 포함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세로면 상에 형성된 각 체결부의 하측과 상기 가로면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단이 형성되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과 하면 사이에 폐구간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로면과 가로면이 연결되는 일측에 외측으로 굴곡진 포밍부가 형성되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세로면과 접합 플랜지가 인너 패널의 측면과 하부 플랜지에 각각 복수개의 SPR(Self Piercing Rivet)을 통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패널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각 체결홀에 대응하는 상면에 체결부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KR1020170084670A 2017-07-04 2017-07-04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KR10238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70A KR102381308B1 (ko) 2017-07-04 2017-07-04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70A KR102381308B1 (ko) 2017-07-04 2017-07-04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41A true KR20190004441A (ko) 2019-01-14
KR102381308B1 KR102381308B1 (ko) 2022-03-31

Family

ID=6502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70A KR102381308B1 (ko) 2017-07-04 2017-07-04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696B1 (ko) 2019-11-20 2020-07-03 서진산업 주식회사 스틸 단판 적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990A (ko) * 2006-12-14 200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센터 플로워 보강구조
KR101674885B1 (ko) * 2015-08-25 2016-11-1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체 멤버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990A (ko) * 2006-12-14 200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센터 플로워 보강구조
KR101674885B1 (ko) * 2015-08-25 2016-11-1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체 멤버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696B1 (ko) 2019-11-20 2020-07-03 서진산업 주식회사 스틸 단판 적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308B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4884B1 (en) Joint structure for extruded members
US20160375938A1 (en) Suspension member
US951779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5142073B2 (ja) 後部車体構造
JP6597760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US9573630B2 (en) Light weight tailgate structure
US8308193B2 (en) Vehicle frame assembly and method
US20190092394A1 (en) Structure for rear part of body of vehicle
JP6597761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6181099B2 (ja) 車体の後部構造
US7726718B2 (en) Structural support for a bolt collar
JP4753071B2 (ja) 車両のリアサスペンション取付け構造
JP2001063498A (ja) 牽引フックの取り付け構造
KR101856240B1 (ko) 쇽업쇼버 하우징 및 그의 체결구조
JP5082691B2 (ja) 車体後部構造
US8177171B2 (en) Piping installation structure for vehicle
KR20190004441A (ko)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JP2014129042A (ja) バッテリ搭載構造
KR20170007565A (ko) 차체 멤버 체결구조
KR20170024383A (ko) 차체 멤버 체결 구조체
KR101339278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2005112175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01600941B1 (ko) 차량용 쿨링모듈
JP2012254748A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取付部車体構造
US7198131B2 (en) Mounting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