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014A -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3014A KR20190003014A KR1020170083424A KR20170083424A KR20190003014A KR 20190003014 A KR20190003014 A KR 20190003014A KR 1020170083424 A KR1020170083424 A KR 1020170083424A KR 20170083424 A KR20170083424 A KR 20170083424A KR 20190003014 A KR20190003014 A KR 201900030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smetic composition
- fraction
- methanol extract
- extract
- ac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9—Sanguisorba (burn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의 뿌리(지유) 부분의 메탄올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이풀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의 뿌리(지유) 부분의 메탄올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이풀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드름(Acne vulgaris)은 피부의 탈피지 샘 단위(pilosebaceous unit)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서, 특히 사춘기 남성의 얼굴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간혹 등, 가슴 혹은 어깨에도 나타난다. 주원인은 피지선의 확장 및 면포(comedone) 형성과 함께 지나친 피지 (sebum)의 생산을 유도하는 남성호르몬 (androgen)의 효과에 기인한다. 다른 주원인은 비정상적 모낭 상피의 박리(피부 각질)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의 증식 때문이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는 탈피지샘 단위에서 공생균으로 살아가는 혐기성(anaerobic), 그람양성(Gram positive), 간균(bacillus)이다. 비정상적 모낭 상피의 박리는 모낭에서 혐기성 조건을 일으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의 증식을 촉진한다. 또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는 지방분해효소(lipase) 및 주화성 인자를 분비하여 지나치게 분비된 피지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의 글리세롤 성분을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s)으로 물질대사 시킨다. 이러한 여분의 유리 지방산은 모낭 주위에 염증성 백혈구 생성을 촉진시킨다. 반면에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의 증식을 억제하면 면포의 파열을 최소화하여 여드름의 발달을 억제할 수 있다.
여드름 치료에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에리쓰로마이신(erythromycin) 및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과 같은 여러 가지 경구용 혹은 경피용 항생제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광범위 스펙트럼을 가진 항생제의 장기간 사용은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과대성장 및 항생제 내성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항여드름 치료제로 알려진 과산화벤조일(benzoyl peroxide), 아젤라산(azelaic acid) 및 레티노산(retinoic acid)과 같은 경피용 화학제는 피부자극 및 접촉성피부염과 같은 부작용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국제적으로 많은 항균성 식물이 보고되어 왔다. 그중에 일부는 여드름 치료에 대체 약물로 활용될 수 있다. 식물을 포함하여 현재 보고된 단일 식물의 표적 조직으로부터 메탄올, 에탄올, 열수, 인산 완충용액, 아세톤 및 기타 유기용매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에 대해 뚜렷한 항균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이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장미과(Rosacease)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오이풀(S. officinalis L.)은 국내를 포함한 극동 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오이풀의 뿌리는 한방에서 지유(地楡)라는 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지유는 한방에서 주로 지혈과 상처부위의 치료에 사용되어왔으며, 피부염, 점막염, 습진, 화상에 외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오이풀의 뿌리인 지유에는 지유글리코시드(Ziyuglycoside) I, II와 포몰릭산(pomo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고, 가지에는 퀘르세틴(quercetin)과 캠퍼롤(kaempferol)의 배당체와 우르솔릭산(ursolic acid) 등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triterpenoid saponin)이 함유되어 있으며, 잎에는 비타민 C(vitamin C), 꽃에는 크리산테민(chrysanthemin), 시아닌(cyanin) 등의 약리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3).
이와 같은 약리성분에 근거하여 오이풀로부터 면역억제 활성, 항돌연변이효과, 신경세포 손상 억제효과, 항산화효과, 과민성 알레르기 예방, 항암, 항균효과, 지혈작용 등의 연구가 보고되어 왔다(비특허문헌 1, 3 내지 11).
오이풀 추출물에 대한 특허로는 충치를 유발하는 Streptococcus mutans 억제 구강청정제 조성물(특허문헌 1), 패혈증을 유발하는 VHSV 및 IHNV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조성물(특허문헌 2), 피부부호 효과 화장료 조성물(특허문헌 3),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특허문헌 4), 리스테리 또는 살모넬라 유발 패혈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특허문헌 5) 등이 있다.
An et al., Kor. J. Kor. Soc. Appl. Biol. Chem. 2004, Vol. 47, pp. 244-250
Son et al., J. Kor. Acad. Oral Health 2015, Vol. 28, pp. 97-104
Lee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Vol. 34, pp. 1545-1552
An et al., Kor. J. Kor. Soc. Appl. Biol. Chem. 2004, Vol. 47, pp. 131-145
Ban et al., Kor. J. Med. Crop Sci. 2005, Vol. 13, pp. 219-226
Goun et al., J. Ethnopharm. 2002, Vol. 81, pp. 337-342
Hwang et al., J. Physiol. Pathol. Kor. Med. 2014, Vol. 28, pp. 499-505
Kim et al., Nat. Prod. Sci. 2002, Vol. 8, pp. 177-182
Kim et al., Kor. J. Food Cook. Sci. 2011, Vol. 27, pp. 15-26
Park et al., Kor. J. Herb. 2012, Vol. 27, pp. 23-29
Park et al., Korean J. Food Preserv. 2012, Vol. 19, pp 744-750.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는 여드름 치료를 위해서는 다양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항여드름용 치료제는 피부자극 및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부작용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여드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의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의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오이풀은 오이풀의 꽃, 잎, 줄기, 열매, 종자,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부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분획물은 오이풀의 메탄올 추출물에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제조한 분획물인 것이며,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유의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므로, 여드름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 더 자세하게는 화장료, 비누 및 세정제 조성물 등으로 제품화 할 수 있다.
도 1은 지유의 메탄올추출물(ME)로부터 활성 분획 분리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지유 메탄올추출물(ME) 및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ME-EA)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분석한 원판 평판배지 확산법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는 메탄올 처리구(1) 및 ME 1 mg/disk 처리구(2), 3 mg/disk 처리구(3), 5 mg/disk 처리구(4)의 여드름균에 대한 억제환을 관찰한 사진이고; 및
도 2B는 메탄올 처리구(1) 및 ME-EA 1 mg/disk 처리구(2), 3 mg/disk 처리구(3), 5 mg/disk 처리구(4)의 여드름균에 대한 억제환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지유의 메탄올추출물(ME)의 여드름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 및 최소살균농도(MBC)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체배지에 콜로니 형성 유무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4는 지유의 메탄올추출물(ME)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60 glass plate에 점지하고 혼합용매 chloroform / ethyl ether (1:2, v/v) 로 전개하고 UV 파장 254 nm (A), 366 nm (B) 및 황산 스프레이 발색법 (C)으로 분석한 것이다.
도 2는 지유 메탄올추출물(ME) 및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ME-EA)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분석한 원판 평판배지 확산법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는 메탄올 처리구(1) 및 ME 1 mg/disk 처리구(2), 3 mg/disk 처리구(3), 5 mg/disk 처리구(4)의 여드름균에 대한 억제환을 관찰한 사진이고; 및
도 2B는 메탄올 처리구(1) 및 ME-EA 1 mg/disk 처리구(2), 3 mg/disk 처리구(3), 5 mg/disk 처리구(4)의 여드름균에 대한 억제환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지유의 메탄올추출물(ME)의 여드름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 및 최소살균농도(MBC)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체배지에 콜로니 형성 유무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4는 지유의 메탄올추출물(ME)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60 glass plate에 점지하고 혼합용매 chloroform / ethyl ether (1:2, v/v) 로 전개하고 UV 파장 254 nm (A), 366 nm (B) 및 황산 스프레이 발색법 (C)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이풀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이풀 메탄올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오이풀에 추출용매(메탄올)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오이풀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오이풀의 꽃, 잎, 줄기, 열매, 종자,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오이풀 메탄올 추출물은 오이풀의 뿌리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오이풀의 뿌리는 지유로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지유 추출물은 오이풀의 뿌리 부위를 추출한 추출물로서 이해될 수 있는 바, 지유 추출물과 오이풀 추출물은 동일한 의미에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오이풀 추출물의 추출 방법으로는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냉각 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지유 분량의 2 내지 20 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시간은 10 내지 10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24 내지 96 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72 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지유 메탄올 추출물에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제조한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 되어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에틸 아세테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유 메탄올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특이적인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피부 외용으로 사용하거나, 경구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기초 화장품 조성물(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 조성물(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 제품 조성물(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젤) 및 비누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 세안제 및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상기 지유 추출물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지유 추출물 또는 이의 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지유 추출물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5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01중량% 미만에서는 목적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중량% 초과에서는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마스크, 연고제, 패치, 또는 필터 충진제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지유의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1-1> 지유의 메탄올 추출물(ME) 제조
오이풀 뿌리(지유)를 증류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잘게 분쇄하였다. 분쇄물 시료(50g)를 10배 중량의 메탄올을 가하고 24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와트만 종이 여과지(Whatman No. 2)로 여과한 후 그 여액을 65±2℃ 감압 농축하고 초저온냉동고에서 동결한 후 냉동건조기(freeze dryer)로 동결 건조하여 최종 추출물 0.2916g을 수득하였다. 지유 건물로부터 메탄올 추출을 통한 수확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지유 건물중 | 메탄올 추출물의 동결건조 수확량 |
50 g | 3.5 g |
<1-2> 지유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물(ME fraction) 제조
메탄올 추출물에 일정량의 물을 첨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극성이 다른 추출용매인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차례대로 혼합하여 각 분획을 추출하였다. 먼저 분액여두에 n-헥산을 증류수와 동량으로 넣고, 잘 혼합한 후 수층과 추출용매의 두 층으로 나뉘도록 방치하였다. 추출용매를 분리하고 남은 여액을 다시 같은 방법으로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을 차례대로 넣어 각각 추출하였다. 이때 추출용매는 남은 여액과 같은 양으로 첨가하였다. 추출 및 분획 공정의 개략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순차적 분획물은 지유의 메탄올 추출물 50 g을 증류수 500 mL에 현탁시킨 후에 n-헥산(500 mL), 에틸아세테이트 (500 mL), n-부탄올 (500 mL) 그리고 증류수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지유 메탄올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항균 활성 실험
지유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그람음성균(2 종) 및 그람양성균(3 종)에 대하여 원판 확산법(paper disk diffusion method),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concentration, MIC) 및 최소살균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를 수행하였다.
<2-1> 대상 균주 및 배양조건
본 발명에 사용된 그람양성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는 brain-heart infusion(BHI) 배지에서 혐기적 조건으로 2일 이상 배양하였으며,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젠스(Listeria monocytogenes)와 포도상구균(Staphylococccus aureus)은 BHI 배지에서 호기적 조건으로 액체 배양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그람음성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비브리오장염균(Vibrio parahaemolyticus)는 Luria-Bertani(LB) 배지에서 액체배양하였다. 접종된 각 균주는 37 ℃, 200 rpm 조건에서 1 내지 2일 간 진탕배양한 후 각 균의 성장과 용균은 Biochrom Libra S22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O.D. 600nm에서 측정하였다.
<2-2> 원판 평판배지 확산법(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
배양한 균주를 일정한 농도(optical density 600 nm에서 흡광값 0.5)로 조절한 것을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BHI 한천플레이트(agar plate) 혹은 LB 한천플레이트에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플레이트를 건조시킨 후, paper disc(Φ 6 mm, Adventec. USA)를 균주를 접종한 플레이트 표면위에 올려놓고 메탄올 추출물액 각각을 1, 3, 5 혹은 10 mg/disk 씩 흡수시켰다. 시료가 처리된 플레이트를 48 시간 동안 37℃ 조건에서 배양한 후 디스크 주위의 생육 억제환(inhibition zone)의 크기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지유의 메탄올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농도별 처리구 모두에서 억제환이 형성되었고, 시료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mg/disk 처리구에서 가장 강력한 항여드름균 활성이 관찰되었다(도 2B). 또한, 메탄올추출물 1 mg/disk 처리구에서도 양호한 항여드름균 활성이 확인되었다(도 2A).
한편, 지유의 메탄올추출물로부터 획득한 에틸아세이트 분획물에서는 우수한 항여드름균 활성이 관찰되었으나, 헥산, 부탄올 및 증류수 분획물에서는 미약하거나 관찰되지 않았다.
<2-3> 여드름균에 대한
지유
메탄올 추출물(ME) 및
에틸아세트
분획물(ME-EA)의
최소억제농도(
MIC
) 및 최소살균농도(MBC)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를 BHI broth 배지를 함유한 시험관에서 24 시간 동안 37 ℃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여기에 메탄올 추출물 및 이의 에틸아세트 분획물을 2배 연속 희석법(two-fold dilution)으로 희석하여 시험관에 첨가하였다. 균희석액 및 시료를 접종한 시험관에서 48 시간 배양한 후 균의 가시적 생장을 저해하는 최소 농도를 MIC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에 대한 메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MIC 값은 312 μg/mL 및 156 μg/mL로 측정되었다.
MIC로 선택된 농도보다 그 이상의 농도에 해당하는 시험관의 배양액 100 μL 씩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균을 배양한 후 plate 상에서 관찰되는 콜로니(colony) 수를 직접 계수하였다. 이때 확인되어지는 콜로니 수가 100% 사멸되어지는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 처리농도를 MBC로 결정하고 하기 [표 2] 및 [도 3]와 같이 결정하였다. 또한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에 대한 메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MBC 값은 312 μg/mL 및 156 μg/mL로 측정되었다.
추출물 | MIC(㎍/mL) | MBC(㎍/mL) |
메탄올 추출물(ME) | 1250 | 2500 |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ME-EA) | 156 | 312 |
항여드름균
활성을 가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성분 분석
본 발명의 지유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항여드름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항여드름균 활성을 가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silica gel 60 glass plate(20 x 20 cm, Merck, DarDarmstadt, Germany)를 이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헥산/클로로포름/ 초산(40:30:30:2, v/v/v/v) 혼합 용매로 하여 전개하고 UV 램프(254 nm 및 366 nm 파장) 및 황산 스프레이 발색법으로 에틸아세테이드 분획물과 표준물질(caffeic acid, ferulic acid, quercetin, kaempferol)과의 Rf 값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기의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표준물질인 caffeic acid, ferulic acid, quercetin, kaempferol Rf 값과 비슷한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Claims (8)
-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의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은 오이풀의 꽃, 잎, 줄기, 열매, 종자, 뿌리 및 전초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오이풀의 메탄올 추출물에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제조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의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3424A KR20190003014A (ko) | 2017-06-30 | 2017-06-30 |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3424A KR20190003014A (ko) | 2017-06-30 | 2017-06-30 |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3014A true KR20190003014A (ko) | 2019-01-09 |
Family
ID=6501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3424A KR20190003014A (ko) | 2017-06-30 | 2017-06-30 |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3014A (ko) |
-
2017
- 2017-06-30 KR KR1020170083424A patent/KR2019000301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9763B1 (ko) |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 |
KR20090056521A (ko) |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200122304A (ko) | 케이폭 나무 꽃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 |
KR20220028612A (ko) |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776346B1 (ko) |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 |
KR101397160B1 (ko) |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59392B1 (ko) |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 |
KR20240004199A (ko) |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
KR102257448B1 (ko) |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2012506400A (ja) | A.indicaおよびm.charantiaまたはs.indicumの抽出物を含む外用組成物 | |
KR102214505B1 (ko) | 덜꿩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 |
KR102367027B1 (ko) |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 |
KR102324672B1 (ko) | 맥문동 추출물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 |
KR102133074B1 (ko) |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냉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290424B1 (ko) |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90003014A (ko) |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993676B1 (ko) |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132514B1 (ko) |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열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80017974A (ko) |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909729B1 (ko) | 남실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241763B1 (ko) | 동백유박 추출물과 비자 세라마이드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 | |
KR102692062B1 (ko) | 차나무 추출물, 소리쟁이 추출물 및 금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보호 및 피부 미백 효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 | |
KR102223368B1 (ko) | 피부 화장료 조성물 | |
KR101479550B1 (ko) | 발아녹두와 발아팥 및 고삼추출물의 발효 숙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115988B1 (ko) |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