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971U - Rf 측정기기 및 이의 모바일 측정장치와 케이스 모듈 - Google Patents

Rf 측정기기 및 이의 모바일 측정장치와 케이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971U
KR20190002971U KR2020180004778U KR20180004778U KR20190002971U KR 20190002971 U KR20190002971 U KR 20190002971U KR 2020180004778 U KR2020180004778 U KR 2020180004778U KR 20180004778 U KR20180004778 U KR 20180004778U KR 20190002971 U KR20190002971 U KR 201900029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top offset
stepping
case module
electromagnetic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739Y1 (ko
Inventor
시에-성 후앙
리-치앙 싱
Original Assignee
애디빅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디빅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애디빅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2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47External wirings; Wiring ducts; Laying c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of microwave or radiofrequency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8Screening arrangem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e.g. against earth's fi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9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01R31/3190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tester configuration
    • G01R31/31905Interface with the device under test [DUT], e.g. arrangements between the test head and the DUT, mechanical aspects, fix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9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01R31/3190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tester configuration
    • G01R31/31914Portable Tes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8Casings with provisions to reduce aperture leakages in walls, e.g. terminals, connectors, cables

Abstract

본 고안은 RF 측정기기 및 이의 모바일 측정장치와 케이스 모듈을 개시하는데 상기 케이스 모듈에는 케이블 구멍과 전방 출입구가 형성되고 케이블 구멍과 전방 출입구를 각각 차폐하는 두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을 포함한다. 전자기 차폐유닛마다 계단구조, 계단구조와 맞닿는 커버체 및 계단구조와 커버체 사이에 클램핑된 차폐구조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의 계단구조는 각각 케이블 구멍과 전방 출입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계단구조와 커버체에는 각각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디딤면과 다수의 챌면이 형성되고 계단구조의 디딤면과 챌면은 각각 커버체의 디딤면과 챌면을 향한다. 서로 대향하는 계단구조와 커버체의 디딤면 및 서로 대향하는 계단구조와 커버체의 챌면은 모두 차폐구조를 클램핑한다.

Description

RF 측정기기 및 이의 모바일 측정장치와 케이스 모듈{RF TESTING APPARATUS, MOVABLE TESTING DEVICE THEREOF, AND CASE MODULE}
본 고안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RF 측정기기 및 이의 모바일 측정장치와 케이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RF(radio frequency, RF)측정기기는 대부분 인공적인 방식으로 피측물(예를 들면 RF 칩)을 내부에 안착하여 관련 RF 측정을 진행하므로 피측물의 측정효율이 좋지 않았다. 그 중 피측물에 대해 RF 측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측정결과가 정확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존의 RF 측정기기도 차폐효과를 진일보로 향상시켜 외부신호가 그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RF 측정기기는 비교적 우수한 차폐효과를 가지기 위하여 그 내부의 선재에 대해 서로 대응되는 케이블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 기존의 RF 측정기기의 사용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발명자는 상기 결함의 개선을 위해 연구에 전념함과 동시에 과학적인 원리를 운용하여 마침내 설계가 합리적이고 상기 결함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본 고안을 제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기존의 RF 측정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RF 측정기기 및 이의 모바일 측정장치와 케이스 모듈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자동화 측정 플랫폼, 모바일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RF 측정기기를 개시하는데 상기 자동화 측정 플랫폼은 측정공간을 감싸 확정하고 상기 자동화 측정 플랫폼에는 상기 측정공간과 연통된 삽입 구멍이 설치된다.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케이블 구멍과 전방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구멍과 상기 전방 출입구를 각각 차폐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을 포함하는 케이스 모듈; 상기 전방 출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분리되게 설치되는 RF분석용기기;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모듈의 외부에 노출되어 피측물 삽입 및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도록 하는 측정시트;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고 적어도 한 갈래의 내부 전송선의 일단은 상기 측정시트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RF분석용기기와 연결되는 여러 갈래의 내부 전송선을 포함하다.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마다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환형 디딤면과 다수의 환형 챌면을 포함하는 계단구조; 상기 계단구조와 맞닿고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탑 오프셋 디딤면과 다수의 탑 오프셋 챌면을 포함하되 여기서 다수의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은 이격되게 다수의 상기 환형 디딤면을 향하고 다수의 상기 탑 오프셋 챌면은 이격되게 다수의 상기 환형 챌면을 향하는 커버체; 및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 격리구 및 다수의 제2 격리구를 포함하는 차폐구조를 포함한다.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과 상기 환형 디딤면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제1 격리구가 클램핑되고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과 상기 환형 디딤면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 격리구와 밀폐상의 환형 당접영역을 형성하며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챌면과 상기 환형 챌면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제2 격리구가 클램핑 되고, 두 개의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의 상기 계단구조는 상기 케이블 구멍과 상기 전방 출입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또 RF 측정기기의 케이스 모듈을 개시하는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케이블 구멍과 전방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구멍과 상기 전방 출입구를 각각 차폐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 각각은: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환형 디딤면과 다수의 환형 챌면을 포함하는 계단구조; 상기 계단구조와 맞닿고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탑 오프셋 디딤면과 다수의 탑 오프셋 챌면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은 이격되게 다수의 상기 환형 디딤면을 향하고 상기 다수의 상기 탑 오프셋 챌면은 이격되게 다수의 상기 환형 챌면을 향하는 커버체; 및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 격리구 및 다수의 제2 격리구를 포함하는 차폐구조를 포함하며,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과 상기 환형 디딤면 사이에는 상기 제1 격리구가 클램핑되고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과 상기 환형 디딤면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 격리구와 밀폐상의 환형 당접영역을 형성하며,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챌면과 상기 환형 챌면 사이에는 상기 제2 격리구가 클램핑되며, 두 개의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의 상기 계단구조는 상기 케이블 구멍과 상기 전방 출입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RF 측정기기 및 이의 모바일 측정장치와 케이스 모듈에는 모두 케이블 구멍(측정시트 및 내부 전송선과 대응됨)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케이블 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스 모듈 내부의 어셈블리(예를 들면 내부 전송선)에 대한 조절을 진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모듈의 케이블 구멍과 전방 출입구에는 각각 전자기 차폐유닛이 설치되어 모바일 측정장치 외부의 외부 전자기신호가 상기 케이블 구멍과 전방 출입구를 통해 수용공간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케이블 구멍을 형성함으로 인해 전자기 차폐효과를 저하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기술적 내용을 진일보로 요해하기 위하여 아래의 본 고안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기 바라나 도면은 단지 참조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대해 그 어떤 한정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RF 측정기기의 평면모식도(1)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RF 측정기기의 평면모식도(2)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측정장치의 입체모식도(1)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시점의 입체모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측정장치의 입체모식도(2)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시점의 입체모식도이다.
도 7은 도 5의 VⅡ영역의 국부확대모식도이다.
도 8은 도 3의 VⅢ-VⅢ를 따른 단면모식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전자기 차폐유닛의 다른 양태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전자기 차폐유닛의 또 다른 양태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5의 XI영역의 국부확대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6의 XⅡ영역의 국부확대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모바일 측정장치의 다른 양태의 입체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위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되 먼저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와 대응되는 도면이 제기한 관련 수량과 외형은 단지 본 고안의 내용을 용이하게 요해하도록 본 고안의 실시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 및 상기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에 결합된 모바일 측정장치(100)를 포함하는 RF 측정기기(1000)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은 측정공간(201)을 감싸 확정하고 상기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에는 측정공간(201)과 연통된 삽입 구멍(inserting hole)(202)이 설치된다.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는 상기 삽입 구멍(202)을 관통하여 피측물(P)(예를 들면 RF 칩)을 측정공간(201)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피측물(P)의 관련 RF 측정을 진행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비록 모바일 측정장치(100)가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에 결합되어 응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고안의 도시하지 않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는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 외의 기타 장치와 단독으로 응용(예를 들면 판매)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는 케이스 모듈(1), 상기 케이스 모듈(1) 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RF분석용기기(2), 상기 케이스 모듈(1)에 장착됨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된 측정시트(3), 상기 RF분석용기기(2)와 측정시트(measuring seat)(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여러 갈래의 내부 전송선(4) 및 상기 케이스 모듈(1)의 바닥에 장착된 승강기구(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구(5)는 케이스 모듈(1)로 하여금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승강기구(5)는 그 바닥에 다수의 롤러(도면 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기구(5)는 본 실시예에서 유압 리프팅 트롤리(lifting trolly)로 설명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는 승강기구(5) 바닥의 롤러를 통해 상기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측정시트(3)로 하여금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의 삽입 구멍(20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승강기구(5)는 상기 케이스 모듈(1)을 이동(예를 들면 상승)시켜 상기 측정시트(3)로 하여금 상기 삽입 구멍(202)을 통과하여 상기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의 측정공간(201) 내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우선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비록 케이스 모듈(1)이 상기 각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응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고안의 도시하지 않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모듈(1)은 기타 어셈블리와 단독으로 응용(예를 들면 판매)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 외에 아래에서는 우선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의 각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고 그 다음 모바일 측정장치(100)의 각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관계를 소개하고자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모듈(1)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케이스 모듈(1)은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하우징(12), 세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13), 두 개의 봉소(蜂巢)형 전자기 차폐구(14), 하나의 전원공급기(15), 적어도 하나의 외부 커넥터(16) 및 하나의 외부 전송선(17)(예를 들면 도 1)을 포함한다. 아래에는 본 실시예의 케이스 모듈(1)의 각 어셈블리를 각각 설명하고 그 다음 상기 케이스 모듈(1)의 각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관계를 소개하고자 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은 본 실시예에서 대략 직육면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금속재질로 제조되는데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모듈(1)의 하우징(12)은 그 상면에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된 케이블 구멍(12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2)은 반대측의 두 개의 측변에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된 전방 출입구(122) 및 후방 출입구(123)를 형성하며 상기 세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은 상기 케이블 구멍(121), 전방 출입구(122) 및 후방 출입구(123)를 각각 차폐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케이스 모듈(1)은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 구멍(121), 전방 출입구(122), 후방 출입구(123) 및 서로 대응되는 세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고안의 도시하지 않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모듈(1)에 후방 출입구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고 케이스 모듈(1)은 케이블 구멍(121)과 전방 출입구(122)를 각각 차폐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을 포함한다. 이 외에 상기 케이스 모듈(1)의 기타 어셈블리 수량은 설계의 수요에 따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수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이 대략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예를 들면 전방 출입구(122)와 후방 출입구(123)와 대응되는 두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은 동일한 구조이고 케이블 구멍(121)과 대응되는 다른 전자기 차폐유닛(13)은 유사한 구조로서 단지 사이즈만 상이함)이므로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먼저 하나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의 구조를 소개하도록 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13)은 본 실시예에서 계단구조(階梯構造)(131), 상기 계단구조(131)와 분리 가능하게 맞닿는 커버체(덮개)(132), 상기 계단구조(131)와 상기 커버체(132) 사이에 클램핑 된 차폐구조(133) 및 상기 계단구조(131)와 상기 커버체(132)에 각각 장착된 두 개의 조임구(134)를 포함한다.
상기 계단구조(131)는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환형 디딤면(階面)(계단구조의 수평면)(1311)과 다수의 환형 챌면(梯面)(계단구조의 수직면)(1312)을 포함하고 다수의 환형 디딤면(1311)은 각각 다수의 환형 챌면(1312)에 수직되게 연결되고 상기 환형은 본 실시예에서 방환형(예를 들면 정방환형 또는 장방환형)을 가리키는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환형 디딤면(1311)과 다수의 환형 챌면(1312)의 수량은 본 실시예에서 각각 두 개를 예로 들었는바, 즉 상기 계단구조(131)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환형 챌면(1312), 환형 디딤면(1311), 환형 챌면(1312) 및 환형 디딤면(1311)이 차례로 수직 연결되게 배열 형성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체(132)는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탑 오프셋 디딤면(1321)과 다수의 탑 오프셋 챌면(1322)을 포함하고 다수의 탑 오프셋 디딤면(1321)은 각각 다수의 탑 오프셋 챌면(1322)에 수직되게 연결되고 탑 오프셋 디딤면(1321)마다 상기 커버체(132)의 중심축과 평행되는 일방향과 대략 서로 수직된다. 여기서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1321)과 탑 오프셋 챌면(1322)은 각각 환형을 형성하고 다수의 탑 오프셋 디딤면(1321)과 다수의 탑 오프셋 챌면(1322)의 수량은 본 실시예에서 각각 두 개를 예로 들었는바, 즉 상기 커버체(132)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탑 오프셋 챌면(1322), 탑 오프셋 디딤면(1321), 탑 오프셋 챌면(1322) 및 탑 오프셋 디딤면(1321)이 차례로 수직 연결되게 배열 형성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체(132)의 탑 오프셋 디딤면(1321)과 탑 오프셋 챌면(1322)의 수량과 외형은 각각 계단구조(131)의 환형 디딤면(1311)과 환형 챌면(1312)에 대응되고 상기 커버체(132)는 계단구조(131)(또는 하우징(12))와 피봇(pivot) 연결 되어 상기 커버체(132)의 다수의 탑 오프셋 디딤면(1321)과 다수의 탑 오프셋 챌면(1322)으로 하여금 상기 계단구조(131)의 다수의 환형 디딤면(1311)과 다수의 환형 챌면(1312)에 대해 접근하거나 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체(132)의 다수의 탑 오프셋 디딤면(1321)은 각각 이격되게 상기 계단구조(131)의 다수의 환형 디딤면(1311)을 향하고 상기 커버체(132)의 다수의 탑 오프셋 챌면(1322)은 각각 이격되게 상기 계단구조(131)의 다수의 환형 챌면(1312)을 향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구조(133)는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 격리구(1331) 및 다수의 제2 격리구(1332)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탑 오프셋 디딤면(1321)과 환형 디딤면(1311)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제1 격리구(1331)가 클램핑되고 상기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탑 오프셋 디딤면(1321)과 환형 디딤면(1311)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제1 격리구(1331)와 밀폐상태의 환형 당접영역을 형성하며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탑 오프셋 챌면(1322)과 환형 챌면(1312)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제2 격리구(1332)가 클램핑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7에 도시된 상기 차폐구조(133)의 다수의 제1 격리구(1331)와 다수의 제2 격리구(1332)는 각각 상기 커버체(132)의 다수의 탑 오프셋 디딤면(1321)과 다수의 탑 오프셋 챌면(1322)에 고정되는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격리구(1331)마다 서로 대응되는 탑 오프셋 디딤면(1321) 또는 서로 대응되는 환형 디딤면(1311)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제2 격리구(1332)마다 서로 대응되는 탑 오프셋 챌면(1322) 또는 서로 대응되는 환형 챌면(131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격리구(1331)마다 본 실시예에서 금속재질을 포함함과 동시에 환형 형상으로 설치된 절연천인 바, 예를 들면 상기 절연천은 그 표면에 금속층을 도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격리구(1331)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제1 격리구(1331)가 서로 대응되는 탑 오프셋 디딤면(1321)과 환형 디딤면(1311)에 의해 클램핑(또는 압박) 될 경우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1321)과 환형 디딤면(1311)은 각각 제1 격리구(1331)과 밀폐상태의 환형 당접영역을 형성하여 비교적 우수한 전자기 차폐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격리구(1332)마다 본 실시예에서 환형 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메탈 돔(metal dome)(金屬彈片)(1333)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메탈 돔(1333)은 긴 금속시트(metal sheet)를 절곡하여 형성한 반원형 구조이고 상기 메탈 돔(1333)은 평면 세그먼트(1334) 및 아크 세그먼트(1335)를 포함하는데 상기 평면 세그먼트(1334)는 서로 대응되는 환형 챌면(1312) 또는 탑 오프셋 챌면(1322)에 고정되고 아크 세그먼트(1335)의 일단은 평면 세그먼트(1334)에 연결되며 아크 세그먼트(1335)의 타단은 자유단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일보로 설명하면 메탈 돔(1333)마다에는 바람직하게 안내면(1335a)(예를 들면 아크 세그먼트(1335)의 국부 외표면)이 형성되고 메탈 돔(1333)의 안내면(1335a)은 서로 대응되는 탑 오프셋 챌면(1322)과 예각(α)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커버체(132)가 상기 계단구조(131)와 맞닿을 경우 메탈 돔(1333)의 아크 세그먼트(1335)(또는 안내면(1335a))은 대응되는 탑 오프셋 챌면(1322)(또는 환형 챌면(1312))의 압박을 받아 평면 세그먼트(1334)를 향해 탄성변형됨과 동시에 회복력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메탈 돔(1333)마다 상기 회복력을 통해 그와 서로 대응되는 환형 챌면(1312)(또는 탑 오프셋 챌면(1322)) 사이의 연결을 확보할 수 있다.
별도로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케이스 모듈(1)에서의 매차폐구조(133)는 다수의 제1 격리구(1331) 및 다수의 제2 격리구(1332)를 포함함으로써 차폐구조(133) 및 이에 결합되는 구조로 하여금 예정된 전자기 격리효과를 달성하도록 하는바, 다른 각도로부터 볼 때 단지 하나의 제1 격리구(1331)와 하나의 제2 격리구(1332)를 포함하는 차폐구조는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차폐구조(133)가 아니다.
이 외에 상기 제1 격리구(1331)와 제2 격리구(1332)의 구체적인 구조 또는 유형은 설계의 수요에 따라 조절 변화할 수도 있는데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고안의 도시하지 않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격리구(1331)와 제2 격리구(1332)는 금속재질을 포함함과 동시에 환형 형상으로 설치된 절연천(예를 들면 절연천은 그 표면에 금속층을 도금할 수 있음)도 사용할 수 있다.
도 7,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조임구(134)는 본 실시예에서 한 그룹의 잠금 어셈블리로 설명되는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조임구(134)의 배합은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탑 오프셋 디딤면(1321)과 환형 디딤면(1311)으로 하여금 제1 소정 압력으로 서로 대응되는 제1 격리구(1331)를 클램핑하도록 하고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탑 오프셋 챌면(1322)과 환형 챌면(1312)으로 하여금 제2 소정 압력으로 서로 대응되는 제2 격리구(1332)를 클램핑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소정 압력과 제2 소정 압력은 본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데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은 본 실시예의 하나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의 구조를 설명한 것인데 이어서 상기 다수의 전자기 차폐유닛(13)과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도 7,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세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의 계단구조(131)는 각각 상기 케이블 구멍(121), 전방 출입구(122) 및 후방 출입구(123)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데 이로써 상기 케이스 모듈(1)로 하여금 상기 세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을 통해 모바일 측정장치(100) 외부에서 오는 외부전자기신호가 상기 케이블 구멍(121), 전방 출입구(122) 및 후방 출입구(123)를 거쳐 상기 수용공간(11) 내에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진일보로 설명하면 상기 계단구조(131)는 본 실시예에서 용접 등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12)에 조립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12)에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는데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케이블 구멍(121), 전방 출입구(122) 및 후방 출입구(123)는 각각 상기 세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의 계단구조(131)의 내부 가장자리에 의해 정의된 것일 수도 있다.
이 외에 상기 전방 출입구(122)와 후방 출입구(123)를 감싸도록 설치된 두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은 그의 커버체(132)에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된 방열구멍(1323)(예를 들면 도 3과 도 4)을 형성하는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고안의 도시하지 않은 기타 실시예에서는 후방 출입구(123)의 케이스 모듈(1)이 형성되지 않았는데 이는 단지 상기 전방 출입구(122)를 감싸도록 설치된 전자기 차폐유닛(13)에 대해 그 커버체(132)에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되는 방열구멍(1323)을 형성한다.
이 외에 본 실시예에서의 케이블 구멍(121) 및 그와 대응되는 전자기 차폐유닛(13)의 위치는 설계의 수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바 도 3과 도 4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구멍(121) 및 그와 대응되는 전자기 차폐유닛(13)은 케이스 모듈(1)의 측변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봉소형 전자기 차폐구(14)는 외부의 전자기신호를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모듈(1)의 두 개의 방열구멍(1323)에 매설(embedding)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의 외부에서 오는 외부 전자기신호는 반드시 봉소형 전자기 차폐구(14)를 거쳐야만 상기 방열구멍(1323)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봉소형 전자기 차폐구(14)는 상기 외부 전자기신호가 상기 케이스 모듈(1)의 방열구멍(1323)을 거쳐 수용공간(11)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별도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케이스 모듈(1)은 비록 두 개의 봉소형 전자기 차폐구(14)가 각각 두 개의 방열구멍(1323)과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적인 응용에 있어서 설계의 수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고안의 도시하지 않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2)에는 다수의 방열구멍(1323)이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 모듈(1)은 상기 다수의 방열구멍(1323)에 각각 장착된 다수의 봉소형 전자기 차폐구(14)를 포함하여 케이스 모듈(1) 내의 수용공간(11)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봉소형 전자기 차폐구(14)를 통해 공기 대류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봉소형 전자기 차폐구(14)는 각각 팬을 진일보로 설치하여 상기 공기 대류의 효과를 증강시킬 수도 있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기(15)는 상기 하우징(12)에 장착되어 외부 교류 콘센트(예를 들면 도시 가정용 전기 교류 콘센트)와 연결됨으로써 외부 교류 콘센트를 통해 모바일 측정장치(100)의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기(15) 내에는 교류 필터(151)가 설치되어 상기 교류 필터(151)를 통해 외부의 전자기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외부 전자기신호가 전원공급기(15)를 거쳐 상기 수용공간(11)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외부 커넥터(16)는 상기 하우징(12)의 상부에 장착되고 외부 전송선(17)의 양단은 각각 상기 외부 커넥터(16)와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에 삽입 연결되여 상기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과 모바일 측정장치(100)로 하여금 전기적 연결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넥터(16)도 상기 외부 전자기신호를 차단할 수 있어 외부 전자기신호가 수용공간(11)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F분석용기기(2)는 상기 전방 출입구(122) 또는 후방 출입구(123)를 통해 상기 케이스 모듈(1)의 수용공간(11) 내에 분리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RF분석용기기(2)는 회로를 통해 하우징(12) 상부에 설치된 외부 커넥터(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송선(17)의 양단이 각각 외부 커넥터(16)와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RF분석용기기(2)로 하여금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과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시트(3)는 상기 케이스 모듈(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모듈(1)의 외부에 노출되어 피측물(P)의 삽입 및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측정시트(3)는 상기 케이블 구멍(121)을 감싸는 전자기 차폐유닛(13)의 커버체(132)에 장착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여러 갈래의 내부 전송선(4)은 상기 케이스 모듈(1)의 수용공간(11) 내에 위치하고 매 갈래의 내부 전송선(4)의 일단(예를 들면 도 1에서의 내부 전송선(4)의 상단)은 상기 측정시트(3)에 연결되며 매 갈래의 내부 전송선(4)의 타단(예를 들면 도 1에서의 내부 전송선(4)의 하단)은 상기 RF분석용기기(2)에 연결되어 측정시트(3) 및 그 위의 피측물(P)로 하여금 상기 여러 갈래의 내부 전송선(4)을 거쳐 RF분석용기기(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피측물(P)이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 내에서 RF 측정을 진행할 경우 RF분석용기기(2)를 통해 피측물(P) 및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RF분석용기기(2)로 하여금 피측물(P)의 관련 측정 분석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구멍(121)의 위치는 상기 측정시트(3)에 이웃하고 여러 갈래의 내부 전송선(4)의 상기 일단(예를 들면 도 1에서의 내부 전송선(4)의 상단)과 대응되어 조작인원이 상기 케이블 구멍(121)을 통해 용이하게 상기 케이스 모듈(1) 내부의 어셈블리(예를 들면 내부 전송선(4))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바일 측정장치(100)는 상기 다수의 전자기 차폐유닛(13), 봉소형 전자기 차폐구(14), 전원공급기(15) 및 외부 커넥터(16)를 통해 상기 케이스 모듈(1) 내의 수용공간(11)이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의 외부에서 오는 외부 전자기신호를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로 하여금 상기 외부 전자기신호에 대해 90dB의 격리율(기존의 RF 측정기기는 외부 전자기신호에 대해 격리율이 약 60dB이하)을 가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RF 측정기기(1000) 및 그 모바일 측정장치(100)와 케이스 모듈(1)에는 모두 케이블 구멍(121)(측정시트(3) 및 내부 전송선(4)과 대응됨)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케이블 구멍(121)을 통해 상기 케이스 모듈(1) 내부의 어셈블리(예를 들면 내부 전송선(4))에 대한 조절을 진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모듈(1)의 케이블 구멍(121)과 전방 출입구(122)에는 각각 하나의 전자기 차폐유닛(13)이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 외부의 외부 전자기신호가 상기 케이블 구멍(121)과 전방 출입구(122)를 통해 수용공간(11)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케이블 구멍(121)을 형성함으로 인해 전자기 차폐효과를 저하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RF 측정기기(1000)는 모바일 측정장치(100)가 상기 자동화 측정 플랫폼(200)을 향해 이동하도록 하여 측정시트(3)로 하여금 삽입 구멍(20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승강기구(5)는 케이스 모듈(1)을 이동하여 측정시트(3)로 하여금 삽입 구멍(202)을 통해 상기 측정공간(201) 내에 정확히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RF 측정기기(1000)의 측정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는 상기 다수의 전자기 차폐유닛(13) 외에 진일보로 상기 봉소형 전자기 차폐구(14), 전원공급기(15) 내의 교류 필터(151) 및 외부 커넥터(16)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으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의 외부에서 오는 외부 전자기신호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모바일 측정장치(100)로 하여금 상기 외부 전자기신호에 대해 90dB의 격리율을 갖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바람직하고 실행 가능한 실시예일 뿐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서 진행한 균등한 변화와 수정은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000: RF 측정기기
100: 모바일 측정장치
1: 케이스 모듈
11: 수용공간
12: 하우징
121: 케이블 구멍
122: 전방 출입구
123: 후방 출입구
13: 전자기 차폐유닛
131: 계단구조
1311: 환형 디딤면
1312: 환형 챌면
132: 커버체
1321: 탑 오프셋 디딤면
1322: 탑 오프셋 챌면
1323: 방열구멍
133: 차폐구조
1331: 제1 격리구
1332: 제2 격리구
1333: 메탈 돔
1334: 평면 세그먼트
1335: 아크 세그먼트
1335a: 안내면
134: 조임구
14: 봉소형 전자기 차폐구
15: 전원공급기
151: 교류 필터
16: 외부 커넥터
17: 외부 전송선
2: RF분석용기기
3: 측정시트
4: 내부 전송선
5: 승강기구
200: 자동화 측정 플랫폼
201: 측정공간
202: 삽입 구멍
P: 피측물
α: 예각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케이블 구멍과 전방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구멍과 상기 전방 출입구를 각각 차폐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을 포함하는 RF 측정기기의 케이스 모듈로서,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 각각은: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환형 디딤면과 다수의 환형 챌면을 포함하는 계단구조;
    상기 계단구조와 맞닿고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탑 오프셋 디딤면과 다수의 탑 오프셋 챌면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은 이격되게 다수의 상기 환형 디딤면을 향하고 상기 다수의 상기 탑 오프셋 챌면은 이격되게 다수의 상기 환형 챌면을 향하는 커버체; 및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 격리구 및 다수의 제2 격리구를 포함하는 차폐구조를 포함하며,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과 상기 환형 디딤면 사이에는 상기 제1 격리구가 클램핑되고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과 상기 환형 디딤면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 격리구와 밀폐상의 환형 당접영역을 형성하며,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챌면과 상기 환형 챌면 사이에는 상기 제2 격리구가 클램핑되며,
    두 개의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의 상기 계단구조는 상기 케이블 구멍과 상기 전방 출입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측정기기의 케이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에서 상기 제1 격리구 각각은 금속재질을 포함함과 동시에 환형 형상으로 설치된 절연천이고 상기 제2 격리구 각각은 환형 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메탈 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측정기기의 케이스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 각각에서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 각각은 상기 커버체의 중심축선과 평행되는 일방향과 서로 수직되고 상기 다수의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은 각각 상기 다수의 상기 탑 오프셋 챌면과 수직되게 연결되며 상기 메탈 돔 각각에는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메탈 돔의 상기 안내면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탑 오프셋 챌면과 서로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측정기기의 케이스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 각각은 두 개의 조임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 각각에서 두 개의 상기 조임구는 상기 계단구조와 상기 커버체에 각각 장착되며 두 개의 상기 조임구의 배합은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과 상기 환형 디딤면으로 하여금 제1 소정 압력으로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 격리구를 클램핑하도록 하고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챌면과 상기 환형 챌면으로 하여금 제2 소정 압력으로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2 격리구를 클램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측정기기의 케이스 모듈.
  5.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케이블 구멍과 전방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구멍과 상기 전방 출입구를 각각 차폐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자기 차폐유닛을 포함하는 케이스 모듈;
    상기 전방 출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분리되게 설치되는 RF분석용기기;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모듈의 외부에 노출되어 피측물 삽입 및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도록 하는 측정시트;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고 적어도 한 갈래의 내부 전송선의 일단은 상기 측정시트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RF분석용기기와 연결되는 여러 갈래의 내부 전송선을 포함하는 RF 측정기기의 모바일 측정장치로서,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마다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환형 디딤면과 다수의 환형 챌면을 포함하는 계단구조;
    상기 계단구조와 맞닿고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탑 오프셋 디딤면과 다수의 탑 오프셋 챌면을 포함하되 여기서 다수의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은 이격되게 다수의 상기 환형 디딤면을 향하고 다수의 상기 탑 오프셋 챌면은 이격되게 다수의 상기 환형 챌면을 향하는 커버체; 및
    교차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 격리구 및 다수의 제2 격리구를 포함하는 차폐구조를 포함하며,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과 상기 환형 디딤면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제1 격리구가 클램핑되고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디딤면과 상기 환형 디딤면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 격리구와 밀폐상의 환형 당접영역을 형성하며 매 쌍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탑 오프셋 챌면과 상기 환형 챌면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제2 격리구가 클램핑 되고,
    두 개의 상기 전자기 차폐유닛의 상기 계단구조는 상기 케이블 구멍과 상기 전방 출입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RF 측정기기의 모바일 측정장치.

KR2020180004778U 2018-05-25 2018-10-22 Rf 측정기기 및 이의 모바일 측정장치와 케이스 모듈 KR2004917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206910 2018-05-25
TW107206910U TWM569114U (zh) 2018-05-25 2018-05-25 射頻測試設備及其移動式測試裝置與機殼模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71U true KR20190002971U (ko) 2019-12-04
KR200491739Y1 KR200491739Y1 (ko) 2020-05-29

Family

ID=6487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778U KR200491739Y1 (ko) 2018-05-25 2018-10-22 Rf 측정기기 및 이의 모바일 측정장치와 케이스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25093B2 (ko)
KR (1) KR200491739Y1 (ko)
MY (1) MY193809A (ko)
TW (1) TWM56911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0808B (zh) * 2021-08-16 2022-10-18 杭州中芯微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射频阅读器天线接口板嵌入安装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332A (ko) * 2000-03-14 2001-10-23 김진찬 통신기기의 밀폐용 패킹
JP2008032692A (ja) * 2006-06-30 2008-02-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磁波測定装置
KR101690519B1 (ko) * 2015-08-31 2016-12-29 주식회사 한국 에이씨엠 특장차용 전자파 차폐 셸터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1403B1 (en) * 1997-09-22 2001-03-13 Nortel Networks Limited Integrated circuit package shielding characterization method and apparatus
EP1422846A4 (en) * 2001-08-30 2005-03-16 Anritsu Corp TEST INSTRUMENT FOR PORTABLE WIRELESS EQUIPMENT WITH A SINGLE SELF-COMPLEMENTARY ANTENNA
US6987392B1 (en) * 2004-05-05 2006-01-17 Harri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protection test and surveillance system
US20110083895A1 (en) * 2005-01-10 2011-04-14 Paul Douglas Cochrane Three-Dimensional Shapes with multiple Parametric geometries and Surfaces Formed in Electronics Enclosures for Provid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CA2503306A1 (en) * 2005-03-30 2006-09-30 Paul J. Harvey System and method for intra-cabinet wireless communication
JP2006322921A (ja) * 2005-04-18 2006-11-30 Anritsu Corp 電磁波シールドボックス
US7491898B2 (en) * 2005-12-30 2009-02-17 Daniel Villanella Radio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
US7675294B2 (en) * 2006-03-08 2010-03-09 Tritech Applied Scien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ttenu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impacting an electromagnetic shield
TWI389540B (zh) * 2008-10-09 2013-03-11 Inventec Appliances Corp 無線電頻率測試系統及多行動通訊裝置測試無線電頻率之方法
TWI388844B (zh) * 2009-05-08 2013-03-11 Quanta Comp Inc 測試系統以及測試方法
IT1395368B1 (it) * 2009-08-28 2012-09-14 St Microelectronics Srl Schermatura elettromagnetica per il collaudo di circuiti integrati
US8847617B2 (en) * 2011-04-22 2014-09-30 Apple Inc. Non-contact test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electronic device structures contain manufacturing faults
US20130033279A1 (en) * 2011-08-01 2013-02-07 James Sozanski Electromagnetic Test Enclosure
TWI593252B (zh) * 2011-12-06 2017-07-21 艾斯肯公司 用於無線裝置之測試站及其之校準方法
US9069037B2 (en) * 2012-01-26 2015-06-30 Apple Inc. Methods for testing wireless electronic devices using automatic self-test mode
CN103901290A (zh) * 2012-12-28 2014-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磁兼容性测试系统
CN104655949A (zh) * 2013-11-21 2015-05-27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电波暗室及电磁干扰的测试方法
US9859851B2 (en) * 2014-12-18 2018-01-02 General Electric Company Coupling assembly and radiofrequency amplif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CN107589306A (zh) * 2016-07-07 2018-01-16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电子设备屏蔽效能测试装置、系统及方法
KR101701706B1 (ko) * 2016-07-15 2017-02-03 한국센서연구소 주식회사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US9967041B1 (en) * 2016-10-16 2018-05-08 Ambit Microsystems (Shanghai) Ltd. Multi-antenna noise power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US10466291B2 (en) * 2016-12-29 2019-11-05 Rohde & Schwarz Gmbh & Co. Kg Signal processing unit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10620250B2 (en) * 2018-01-17 2020-04-14 Kymeta Corporation Localized free space tester
EP3588106B1 (en) * 2018-06-29 2023-08-23 Rohde & Schwarz GmbH & Co. KG Test equipment for over the air tests as well as method for testing a device under test
JP6876021B2 (ja) * 2018-08-24 2021-05-26 アンリツ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332A (ko) * 2000-03-14 2001-10-23 김진찬 통신기기의 밀폐용 패킹
JP2008032692A (ja) * 2006-06-30 2008-02-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磁波測定装置
KR101690519B1 (ko) * 2015-08-31 2016-12-29 주식회사 한국 에이씨엠 특장차용 전자파 차폐 셸터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25093B2 (en) 2020-07-28
MY193809A (en) 2022-10-27
US20190361070A1 (en) 2019-11-28
KR200491739Y1 (ko) 2020-05-29
TWM569114U (zh) 201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81347B (zh) 一种屏蔽膜、屏蔽电路板及终端设备
CN103116051B (zh) 插拔式电表箱
CN104300253B (zh) 用于传输数据信号的电连接器
KR20190002971U (ko) Rf 측정기기 및 이의 모바일 측정장치와 케이스 모듈
CN206248273U (zh) 一种气压传感器测试夹具
CN203707383U (zh) 电连接器
CN112147410B (zh) 多频点射频阻抗和电流测试系统
CN111999003A (zh) 气密检测与导通检测结合用治具
CN109587931A (zh) 电路板组件、电子设备及电路板组件的测试方法
CN214310666U (zh) 一种绝缘材料磁化电导电流测试装置
US8604818B2 (en) Apparatus for contacting a T/R module with a test device
CN211046141U (zh) 变压器及配电箱及配电台区
CN203645275U (zh) 一种屏蔽暗室穿线装置
CN220122266U (zh) 一种线缆装配防呆装置
CN210534202U (zh) 一种用于电子元件测试的屏蔽箱
CN209979766U (zh) 一种配网开关设备用多功能网络电力仪表
CN113860199A (zh) 一种用于屏蔽室的卷扬机吊点屏蔽装置及其使用方法
CN102262186A (zh) 天线测试治具
CN217521281U (zh) 用于电磁兼容试验的试验工装
CN104465226B (zh) 用于转换开关的低热电势端子连接机构及构成的转换开关
CN214097576U (zh) 一种瓦斯继电器校验仪用安装壳
CN219612480U (zh) 一种屏蔽筒
CN219917960U (zh) 一种防漏电检修控制箱
CN108321691A (zh) 一种具有缺陷监测及综合控制功能的高压开关柜
CN209056793U (zh) 一种方便检修的建筑电气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