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706B1 -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706B1
KR101701706B1 KR1020160090112A KR20160090112A KR101701706B1 KR 101701706 B1 KR101701706 B1 KR 101701706B1 KR 1020160090112 A KR1020160090112 A KR 1020160090112A KR 20160090112 A KR20160090112 A KR 20160090112A KR 101701706 B1 KR101701706 B1 KR 10170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hielding
door
sample
frequency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민
Original Assignee
한국센서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센서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센서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0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706B1/ko
Priority to US16/073,756 priority patent/US10520532B2/en
Priority to PCT/KR2017/007537 priority patent/WO20180129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26Measuring noise figure; Measuring signal-to-noise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20Measurement of non-linear disto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21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rooms and test sites therefor, e.g. anechoic chambers, open field sites or TEM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35Testing shielding, e.g. for efficienc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02Devices for damping, suppressing, obstructing or conducting sound in acoustic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in systems with fluid flow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샘플이 배치되는 제1차폐실이 형성된 제1차폐부와, 상기 샘플과 연결되어 상기 샘플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하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가 배치된 제2차폐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차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차폐부는, 상기 제2차폐실을 형성하는 제2챔버와, 상기 제2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차폐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와, 상기 제2챔버에 설치되며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2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2챔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편과, 일측은 상기 제2도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고정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편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챔버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2챔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Low Frequency Noise with Shielding Capability}
본 발명은 센서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할 때 외부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는, 열, 빛, 온도, 압력, 소리 등의 물리적인 양이나 그 변화를 감지하거나, 구분 및 계측하여 일정한 신호로 알려주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센서는 세탁기, 냉장고 등의 가전기기, 스마트폰 등의 통신기기 등은 물론, 자동차, 건축, 조선, 항공, 군수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센서의 정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센서의 저주파 노이즈 특성의 분석이 필요하다. 그리고 센서의 저주파 노이즈 특성의 분석은 외부의 노이즈가 제거된 차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외부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센서의 저주파 노이즈 특성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는 노이즈 차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주파수 차폐 장치는, 센서와, 센서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하는 기기의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여 센서의 저주파 노이즈 분석에 정확도가 떨어지고, 챔버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주파수가 유입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5235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샘플의 저주파 노이즈 분석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의한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는, 샘플이 배치되는 제1차폐실이 형성된 제1차폐부와, 상기 샘플과 연결되어 상기 샘플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하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가 배치된 제2차폐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차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차폐부는, 상기 제2차폐실을 형성하는 제2챔버와, 상기 제2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차폐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와, 상기 제2챔버에 설치되며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2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2챔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편과, 일측은 상기 제2도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고정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편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챔버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2챔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편은, 상기 제1삽입구로 삽입될 때, 상기 제1고정바디의 외측면에서 슬라이딩되는 제1만곡면과, 상기 제1만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삽입구의 형성하는 상기 제1고정바디의 내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2챔버에 고정시키는 제1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는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를 상기 제2도어에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손잡이에 회전 가능하에 설치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단부에 부분적으로 돌출된 제1회전편과,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편이 회전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1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편이 상기 제1접촉편에 접촉되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도어의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의하면, 샘플이 배치되는 제1차폐실이 형성된 제1차폐부와, 상기 샘플과 연결되어 상기 샘플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하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가 배치된 제2차폐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차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폐실과 상기 제2차폐실은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2차폐부에는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폐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출구에는 허니컴 밴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의하면, 샘플이 배치되는 제1차폐실이 형성된 제1차폐부와, 상기 샘플과 연결되어 상기 샘플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하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가 배치된 제2차폐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차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차폐부에는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폐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차폐실에는 제2바이패스관이 배치되고, 상기 제1차폐실에는 제1바이패스관이 배치되며, 상기 제1바이패스관은 상기 제2차폐실과 상기 공기 유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제2바이패스관은 상기 제1차폐실과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의하면, 샘플이 배치되는 제1차폐실이 형성된 제1차폐부와, 상기 샘플과 연결되어 상기 샘플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하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가 배치된 제2차폐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차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차폐부와, 상기 제1차폐실 내부에 설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제1차폐실의 내외부로 이동하여, 상기 샘플을 상기 제1차폐실 내외부로 이송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차폐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폐도어를 포함하는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는, 챔버와 도어 사이의 틈새로 전자파의 이동을 차단하여, 샘플의 저주파 노이즈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는,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샘플과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는, 샘플을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내부에 배치하거나, 샘플을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에서 제거할 때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6b는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전자파 차단부와 탄성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8c는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고정부와 잠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B-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허니컴 밴트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제2차폐부에 설치된 제2윈도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에서 공기의 순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에서 샘플의 로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10)는 제1차폐부(100)와 제2차폐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차폐부(100)의 내부에는 제1차폐실(100a)이 구비되고, 상기 제1차폐실(100a)에는 센서(senor) 등, 저주파 노이즈 측정의 대상이 되는 샘플(30)이 배치된다.
이러한, 제1차폐부(100)는, 제1챔버(110)와 제1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차폐실(10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도어(120)는 상기 제1챔버(1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차폐실(10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차폐부(200)는, 제2챔버(210)와 제2도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210)의 내부에는 상기 제2차폐실(200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도어(220)는 상기 제2챔버(2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차폐실(20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실(100a)의 형성하는 상기 제1챔버(110)의 내면과, 상기 제1도어(120)의 내면(120a)에는 각각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101)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폐실(200a)의 형성하는 상기 제2챔버(210)의 내면과, 상기 제2도어(220)의 내면(220a)에도 각각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만들어진 부직포(101)가 부착될 수 있다(도 5b 참조).
상기 부직포(101)는 구리(Cu) 또는 니켈(Ni)로 코팅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직포(101)는, 물 1(L), 황산구리(CuSO45H2O) 13(g), EDTA4Na(Tetrasodium Ethylene Diamine Tetra Acetate) 45(g),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16(g)가 혼합된 구리 도금액으로 도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리 도금액의 산성도는 11.8pH가 유지되도록 수산화나트륨(NaO)이 첨가되고, 상기 구리 도금액의 온도는 65℃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101)는, 물 1(L), 황산니켈(NiSO46H2O) 21(g), 타르타르산나트륨칼륨(KNaC4H4O6) 21(g), 차아인산나트륨(Sodium Hypophosphite) 5(g)이 혼합된 니켈 도금액으로 도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니켈 도금액의 산성도는 5.1pH가 유지되도록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이 첨가되고, 상기 니켈 도금액의 온도는 65℃가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6b는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전자파 차단부와 탄성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10)는 전자파 차단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단부(130)는 상기 제1챔버(110)와 상기 제1도어(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차폐실(100a)로 유입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파 차단부(130)는 상기 제2챔버(210)와 상기 제2도어(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차폐실(200a)로 유입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단부(130)는 탄성물질(131)과, 제1메쉬(13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물질(131)은, 외력에 가해지면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회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메쉬(132)는, 금속 소재의 그물망으로 형성되고, 전자파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메쉬(132)는 구리로 만들어진 구리 와이어 메쉬(copper wire mesh)일 수 있다.
상기 탄성물질(131)은 상기 제1챔버(110)의 개구부 테두리(110a)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120)가 제1챔버(110)에 여닫힐 때, 상기 탄성물질(131)의 양측은 상기 제1도어(120)의 내면(120a)과 상기 제1챔버(110)의 개구부 테두리(110a)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상기 탄성물질(131)은 상기 제2챔버(210)의 개구부 테두리(210a)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220)가 제2챔버(210)에 여닫힐 때, 상기 탄성물질(231)의 양측은 상기 제2도어(220)의 내면(220a)과 상기 제2챔버(210)의 개구부 테두리(210a)에 의해 가압된다.
그리고 상기 제1메쉬(132)는 상기 탄성물질(131)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도어(120)가 상기 제1챔버(110)에서 닫히면, 상기 탄성물질(131)은 상기 제1메쉬(132)를 각각 상기 제1챔버(110)의 개구부 테두리(110a)와, 상기 제1도어(120)의 내면(120a)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120)가 제1챔버(110)에서 닫히면, 상기 제1메쉬(132)는 상기 제1도어(120)와 제1챔버(110)의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제1차폐실(100a)로 전자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메쉬(132)는 상기 제2도어(220)가 상기 제2챔버(210)에서 닫히면, 상기 탄성물질(131)은 상기 제1메쉬(132)를 각각 상기 제2챔버(210)의 개구부 테두리(210a)와, 상기 제2도어(220)의 내면(220a)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220)가 제2챔버(210)에서 닫히면, 상기 제1메쉬(132)는 상기 제2도어(220)와 제2챔버(210)의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제2차폐실(200a)로 전자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10)는 탄성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핀(140)은, 상기 제1도어(120)의 내면(120a)의 외주측 둘레 또는 상기 제2도어(220)의 내면(220a)의 외주측 둘레에 다수개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차폐실(100a) 및 제2차폐실(200a)로 전자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핀(140)은, 상기 제1도어(120)가 상기 제1챔버(110)에 닫힐 때 상기 제1메쉬(132)와 접촉된다. 또한 상기 탄성핀(140)은, 상기 제2도어(220)가 상기 제2챔버(210)에 닫힐 때 상기 제1메쉬(132)와 접촉된다(도 5b 참조).
상기 탄성핀(140)은, 제1부분(141)과, 제2부분(142)과, 제3부분(1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부분(141)은 상기 제1도어(120) 또는 상기 제2도어(220)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제2부분(142)은 상기 제1부분(141)의 일단(141a)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2부분(142)의 단부(142a)가 상기 제1부분(141)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부분(142)은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부분(142)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142)이 상기 제1챔버(110)의 개구부 테두리(110a) 또는 상기 제2챔버(210)의 개구부 테두리(210a)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2부분(142)의 단부(142a)는 상기 제1부분(141)에서 일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부분(141)과 상기 제3부분(143)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1부분(141)의 타단(141b)까지 이동한다.
상기 제3부분(143)은 상기 제1부분(141)의 타단(141b)에서 연장되고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3부분(143)의 단부(143a)는 상기 제2부분(142)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120)가 상기 제1챔버(110)에 닫힐 때, 상기 제3부분(143)은 상기 제1챔버(110)의 개구부 테두리(110a)와, 상기 제1메쉬(132)에 접촉되고, 상기 제2부분(142)은 상기 제1챔버(110)의 개구부 테두리(110a)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2도어(220)가 상기 제2챔버(210)에 닫힐 때, 상기 제3부분(143)은 상기 제2챔버(210)의 개구부 테두리(210a)와, 상기 제1메쉬(132)에 접촉되고, 상기 제2부분(142)은 상기 제2챔버(210)의 개구부 테두리(210a)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3부분(143)과 상기 제2부분(142)도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c은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고정부와 잠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10)는 고정부(150)와, 잠금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제1도어(120)가 상기 제1챔버(110)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120)를 상기 제1챔버(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제2도어(220)가 상기 제2챔버(210)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220)를 상기 제2챔버(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150)는, 제1고정바디(151), 제1고정편(152) 및, 손잡이(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151)는 상기 제1챔버(110) 또는 상기 제2챔버(210)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바디(151)에는 상기 제1고정편(152)이 삽입되는 제1삽입구(15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편(152)은 상기 제1도어(120) 또는 상기 제2도어(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구(151a)로 삽입되어 상기 제1도어(120)를 상기 제1챔버(110)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2도어(220)를 상기 제2챔버(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153)의 일측은 상기 제1도어(120) 또는 상기 제2도어(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53)의 타측은 상기 제1고정편(152)의 단부(152c)와 힌지(hinge)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53)가 상기 제1도어(120) 또는 상기 제2도어(220)에서 회전하면, 상기 손잡이(153)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1고정편(152)도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53)가 상기 제1도어(120)의 외면에 멀어지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고정편(152)은 상기 제1삽입구(151a)에서 이탈되도록 회전하고, 상기 제1고정편(152)은 상기 제1삽입구(151a)의 형성하는 상기 제1고정바디(151)의 내면(151b)과 접촉되어 상기 제1도어(120)를 상기 제1챔버(110)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1도어(120)가 상기 제1챔버(110) 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탄성핀(140)과 상기 탄성물질(131)은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제1도어(120)는 상기 제1챔버(110) 측으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고(도 6b 참조), 상기 제1고정편(152)은 상기 제1삽입구(151a)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손잡이(153)가 상기 제2도어(220))의 외면에 멀어지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고정편(152)은 상기 제1삽입구(151a)에서 이탈되도록 회전하고, 상기 제1고정편(152)은 상기 제1삽입구(151a)의 형성하는 상기 제1고정바디(151)의 내면(151b)과 접촉되어 상기 제2도어(220)를 상기 제2챔버(210)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2도어(220)가 상기 제2챔버(210) 측으로 가압될 때, 상기 탄성핀(140)과 상기 탄성물질(131)은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제2도어(220)는 상기 제2챔버(210) 측으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고(도 6b 참조), 상기 제1고정편(152)은 상기 제1삽입구(151a)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편(152)은, 제1만곡면(152a)과, 제1접촉면(15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120)가 상기 제1챔버(110)측으로 가압되거나, 상기 제2도어(220)가 상기 제2챔버(210)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제1만곡면(152a)은 상기 제1고정바디(151)의 외측면(151c)에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만곡면(152a)이 상기 제1고정바디(151)의 외측면(151c)에서 슬라이딩 된 후, 상기 제1고정편(152)이 상기 제1삽입구(151a)에 삽입되면(도 7참조), 상기 제1도어(120)는 상기 탄성물질(131)과 상기 탄성핀(140)에 의해 상기 제1챔버(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거나, 상기 제2도어(220)는 상기 탄성물질(131)과 상기 탄성핀(140)에 의해 상기 제2챔버(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상기 제1접촉면(152b)은 상기 제1삽입구(151a)의 형성하는 상기 제1고정바디(151)의 내면(151b)과 접촉되어, 상기 제1도어(120)가 상기 제1챔버(110)에서 열리는 것을 방지되거나, 상기 제2도어(220)가 상기 제2챔버(210)에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160)는 상기 손잡이(153)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153)를 상기 제1도어(120) 또는 상기 제2도어(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부(160)는, 제1회전축(161), 제1회전편(162)과, 제1접촉편(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161)은 상기 손잡이(15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편(162)은 상기 제1회전축(161)의 단부에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축(161)이 회전하면 상기 제1회전편(162)도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편(163)은 상기 제1도어(120) 또는 상기 제2도어(220)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접촉편(163)과 상기 제1도어(120) 또는 상기 제1접촉편(163)과 상기 제2도어(22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접촉편(163)의 일측에는 상기 제1회전축(161)의 일부를 감싸는 만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편(162)이 회전 이동하면, 상기 제1회전편(162)은 상기 제1접촉편(163)과 상기 제1도어(120) 또는 상기 제1접촉편(163)과 상기 제2도어(220)의 사이에 공간으로 삽입되고, 이때, 상기 제1회전편(162)은 상기 제1접촉편(163)에 접촉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1회전편(162)이 상기 제1접촉편(163)에 접촉되면, 상기 손잡이(153)가 상기 제1도어(120) 또는 상기 제2도어(220)의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전자파 차단부(130), 상기 탄성핀(140), 상기 고정부(150), 및 상기 잠금부(160)가 각각 상기 제1차폐부(100)와 상기 제2차폐부(200)에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상기 전자파 차단부(130), 상기 탄성핀(140), 상기 고정부(150), 및 상기 잠금부(160)는 상기 제1차폐부(100)와 상기 제2차폐부(200)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1의 B-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허니컴 밴트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의 제2차폐부에 설치된 제2윈도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더 참조하면, 상기 제2차폐부(200)는 상기 제1차폐부(10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차폐실(200a)을 구비한다.
상기 제2차폐실(200a)에는 상기 샘플(30)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하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20)가 배치된다(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제2차폐실(200a)은 상기 제1차폐실(100a)과 연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20)는 스펙트럼 분석기(21), 전원노이즈 필터(22), 파워서플라이(23) 및 저잡음증폭기(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21)는 상기 샘플(30)의 노이즈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노이즈 필터(22)는 상기 파워서플라이(23)에서 상기 샘플(30)로 전달되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또한, 상기 저잡음증폭기(24)는 상기 샘플(30)에서 감지된 저주파 잡음을 증폭하여 스펙트럼 분석기(21)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차폐부(200)는 상기 제1차폐부(100)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챔버(210)의 하면에는 공기 유출구(B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110) 후면에는 공기 유입구(A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유입구(A1)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샘플(30)과 상기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20)에서 발생한 열을 순차적으로 흡수하여 상기 공기 유출구(B1)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10)에서는, 상기 제1차폐부(100)에서 상기 제2차폐부(200)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제2차폐실(200a)에 배치된 상기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2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샘플(3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부(200)의 하면에는 팬(17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팬(170)은 상기 공기 유입구(A1) 측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킨 후, 상기 공기 유출구(B1)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팬(170)과 상기 제2차폐부(200)에는 방지패드(171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지패드(171a)는 상기 팬(17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팬(170)에서 상기 제2차폐부(200)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할 수 있다(도 2 및 도3 참조).
상기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20)는 복수의 롤러(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리고, 복수의 롤러(202)는 상기 제2차폐부(200)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2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10)는 상기 공기 유입구(A1)와, 상기 공기 유출구(B1)에 설치된 허니컴 밴트(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니컴 밴트(181)는 벌집 구조로 형성되어, 전자파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A1)는 상기 공기 유출구(B1)보다 더 크고, 상기 공기 유입구(A1)에 배치된 상기 허니컴 밴트(181)의 양면에는 금속 메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A1)가 상기 공기 유출구(B1)보다 더 크면, 상기 공기 유출구(B1)에서 공기의 유동속도를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20)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공기 유출구(B1)측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10)는 제2원도우(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원도우(201)는 상기 제2차폐부(200)에 설치되며, 상기 제2원도우(201)를 통해 작업자는 외부에서 상기 제2차폐실(200a)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20)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원도우(201)는 전자파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원도우(201)는 글래스(201a)와 제2메쉬(20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메쉬(201b)는 상기 글래스(201a)와 함께, 상기 제2차폐부(200)의 제2도어(220)에 형성된 개구에 설치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글래스(201a)는 상기 제2차폐실(200a)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메쉬(201b)는 상기 제2차폐실(200a)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메쉬(201b)는 상기 글래스(201a)를 통해 전자파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10)는, 소켓부(203)가 구비될 수도 있다(도 3참조). 상기 소켓부(203)는 외부의 케이블과 상기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2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에서 공기의 순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10)는 제1바이패스관(182)과, 제2바이패스관(1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이패스관(182)은 상기 공기 유입구(A1)와 상기 제2차폐실(200a)을 연결하고, 상기 제2바이패스관(183)은 상기 제1차폐실(100a)과 상기 공기 유출구(B1)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차폐실(200a)에 설치된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20)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제1바이패스관(182)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에 흡수되어 상기 공기 유출구(B1)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20)에서 발생하는 열이 제1차폐실(100a)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구(A1)을 통해 상기 제1차폐실(100a)로 직접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샘플(3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한 후, 상기 제2바이패스관(183)과 상기 공기 유출구(B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에서 샘플의 로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는, 로딩부(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딩부(102)는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 상기 샘플(30)의 배치하거나,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서 상기 샘플(30)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로딩부(102)는, 플레이트(102a), 레일(102b) 및 차폐도어(10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2a)은 상기 제1차폐실(100a) 내부에 설치된 상기 레일(102b)에 설치되어, 상기 제1차폐실(100a)의 내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102a)는 상기 레일(102b)을 따라, 상기 제1차폐실(100a)의 내외부로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102a)의 상면에 배치된 상기 샘플(30)을 상기 제1차폐실(100a)의 내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차폐도어(102c)는 상기 플레이트(102a)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102a)가 상기 레일(102b)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차폐도어(102c)는 상기 제1차폐실(10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차폐부
110: 제1챔버
120: 제1도어
130: 전자파 차단부
140: 탄성핀
150: 고정부
160: 잠금부
200: 제2차폐부

Claims (11)

  1. 샘플이 배치되는 제1차폐실이 형성된 제1차폐부와,
    상기 샘플과 연결되어 상기 샘플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하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가 배치된 제2차폐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차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차폐부는,
    상기 제2차폐실을 형성하는 제2챔버와,
    상기 제2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차폐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와,
    상기 제2챔버에 설치되며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2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2챔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편과, 일측은 상기 제2도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고정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편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챔버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2챔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편은,
    상기 제1삽입구로 삽입될 때, 상기 제1고정바디의 외측면에서 슬라이딩되는 제1만곡면과,
    상기 제1만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삽입구의 형성하는 상기 제1고정바디의 내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2챔버에 고정시키는 제1접촉면을 포함하는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를 상기 제2도어에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손잡이에 회전 가능하에 설치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단부에 부분적으로 돌출된 제1회전편과,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편이 회전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1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편이 상기 제1접촉편에 접촉되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도어의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는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8. 샘플이 배치되는 제1차폐실이 형성된 제1차폐부와,
    상기 샘플과 연결되어 상기 샘플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하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가 배치된 제2차폐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차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폐실과 상기 제2차폐실은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2차폐부에는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폐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출구에는 허니컴 밴트가 설치된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10. 샘플이 배치되는 제1차폐실이 형성된 제1차폐부와,
    상기 샘플과 연결되어 상기 샘플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하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가 배치된 제2차폐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차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차폐부에는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폐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차폐실에는 제2바이패스관이 배치되고, 상기 제1차폐실에는 제1바이패스관이 배치되며,
    상기 제1바이패스관은 상기 제2차폐실과 상기 공기 유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제2바이패스관은 상기 제1차폐실과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11. 샘플이 배치되는 제1차폐실이 형성된 제1차폐부와,
    상기 샘플과 연결되어 상기 샘플의 저주파 노이즈를 분석하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기기가 배치된 제2차폐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차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차폐부와,
    상기 제1차폐실 내부에 설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제1차폐실의 내외부로 이동하여, 상기 샘플을 상기 제1차폐실 내외부로 이송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차폐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폐도어를 포함하는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KR1020160090112A 2016-07-15 2016-07-15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KR10170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112A KR101701706B1 (ko) 2016-07-15 2016-07-15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US16/073,756 US10520532B2 (en) 2016-07-15 2017-07-13 Low frequency noise measuring apparatus with electromagnetic shielding characteristics
PCT/KR2017/007537 WO2018012908A1 (ko) 2016-07-15 2017-07-13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112A KR101701706B1 (ko) 2016-07-15 2016-07-15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706B1 true KR101701706B1 (ko) 2017-02-03

Family

ID=5815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112A KR101701706B1 (ko) 2016-07-15 2016-07-15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20532B2 (ko)
KR (1) KR101701706B1 (ko)
WO (1) WO20180129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702B1 (ko) * 2017-06-22 2017-11-16 (주)테크윈시스템 다목적 차폐시험용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01580A1 (en) * 2017-10-02 2019-04-04 Adivic Technology Co.,Ltd Radiofrequency testing apparatus and movable testing device
TWM569114U (zh) * 2018-05-25 2018-10-21 匯宏科技股份有限公司 射頻測試設備及其移動式測試裝置與機殼模組
US11644425B2 (en) 2019-07-19 2023-05-09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state determination
US11234347B2 (en) 2019-07-19 2022-01-25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 management of devices
US10869415B1 (en) 2019-07-19 2020-12-15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magnetically isolated device
US11132038B2 (en) 2019-07-19 2021-09-2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of shadowed devices
US11378608B2 (en) 2019-07-19 2022-07-05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state determination
US11143682B2 (en) 2019-07-19 2021-10-12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externally from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ed volume
US10917996B1 (en) 2019-07-19 2021-02-09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level thermal management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management
US11122718B2 (en) 2019-07-19 2021-09-1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leve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management
US10980159B2 (en) 2019-07-19 2021-04-13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connections
US11129307B2 (en) 2019-07-19 2021-09-21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rmal states of devices
US11399450B2 (en) 2019-07-19 2022-07-26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11147194B2 (en) 2019-08-21 2021-10-12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11234350B2 (en) * 2019-08-21 2022-01-25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isolated device access
USD1000968S1 (en) 2020-08-27 2023-10-10 Communications Test Designs, Inc. Test box
USD951109S1 (en) * 2020-08-27 2022-05-10 Communication Test Design, Inc. Test box
USD965448S1 (en) * 2020-08-27 2022-10-04 Communications Test Design, Inc. Test box
USD991055S1 (en) 2020-08-27 2023-07-04 Communications Test Design, Inc. Test box
USD965449S1 (en) * 2020-08-27 2022-10-04 Communications Test Design, Inc. Test box
USD968236S1 (en) * 2020-08-27 2022-11-01 Communications Test Design, Inc. Test box
JP7348218B2 (ja) * 2021-02-05 2023-09-20 アンリツ株式会社 温度試験装置及び温度試験方法
CN113674495B (zh) * 2021-08-13 2022-10-28 河北能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系统台区监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377A (ja) * 2003-10-02 2005-04-28 Kusumoto Kasei Kk 環境試験器のシールド構造
JP4784249B2 (ja) * 2005-10-06 2011-10-05 日本軽金属株式会社 電子機器検査方法および電子機器検査装置
KR101518213B1 (ko) * 2014-07-23 2015-05-15 주식회사 스마트솔루션 고성능 이동식 차폐형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비
KR20150077688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이레테크 전자파 테스트 시스템 및 그의 전원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8582A (en) * 1997-07-16 2000-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Controlled environment radio test apparatus and method
SE0002980D0 (sv) * 2000-03-31 2000-08-23 Kildal Antenn Consulting Ab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antennas
US6657214B1 (en) * 2000-06-16 2003-12-02 Emc Test Systems, L.P. Shielded enclosure for tes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4718437B2 (ja) 2006-12-28 2011-07-06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
ES2342958B2 (es) * 2008-09-03 2011-07-04 Emite Ingenieria Slne Analizador de multiples entradas y multiples salidas.
US8530756B1 (en) * 2009-04-21 2013-09-10 Gary William Winch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enclosure and entry seal
US20130033279A1 (en) * 2011-08-01 2013-02-07 James Sozanski Electromagnetic Test Enclosure
US20130257468A1 (en) * 2012-04-03 2013-10-03 Octoscope Inc. Stackable Electromagnetically Isolated Test Enclosures
CN103487672A (zh) * 2012-06-13 2014-01-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波暗室
CN104007291A (zh) * 2013-02-27 2014-08-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磁兼容性测试治具及使用该治具进行测试的方法
DE202016104835U1 (de) * 2016-09-01 2017-12-06 Anita Silvia Zwerger-Schuster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EMV-Test-Messungen
EP3546958B1 (en) * 2018-03-28 2022-11-23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device under test
US10859618B2 (en) * 2018-04-25 2020-12-08 T-Mobile Usa, Inc. Radio access network testing enclos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377A (ja) * 2003-10-02 2005-04-28 Kusumoto Kasei Kk 環境試験器のシールド構造
JP4784249B2 (ja) * 2005-10-06 2011-10-05 日本軽金属株式会社 電子機器検査方法および電子機器検査装置
KR20150077688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이레테크 전자파 테스트 시스템 및 그의 전원공급장치
KR101518213B1 (ko) * 2014-07-23 2015-05-15 주식회사 스마트솔루션 고성능 이동식 차폐형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702B1 (ko) * 2017-06-22 2017-11-16 (주)테크윈시스템 다목적 차폐시험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2908A1 (ko) 2018-01-18
US10520532B2 (en) 2019-12-31
US20190056439A1 (en)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706B1 (ko) 차폐 특성을 갖는 저주파 노이즈 측정 장치
KR101550843B1 (ko)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US7463482B2 (en) Electronic appliance with locking mechanism
US7075798B2 (en) Flexible isolation device that shields EMI sensitive devices from outside interference
TWI442064B (zh) 電波暗室
CN111051778B (zh) 烤箱
JP4784249B2 (ja) 電子機器検査方法および電子機器検査装置
KR101518793B1 (ko) 전자파 차폐룸의 차폐 도어 개폐장치
Zhang et al. Understanding the temporal fading in wireless industrial networks: Measurements and analyses
WO2019179499A1 (zh) 射频测试探头、射频测试系统及方法
CN205786732U (zh) 一种改良型屏蔽箱
CN111321561A (zh) 铰链结构、门组件及衣物处理设备
CN211656776U (zh) 一种手机天线信号检测屏蔽室
Garcia-Gonzalez et al. Characterization of antenna interaction with scatterers by means of equivalent currents
KR102056231B1 (ko) 기능성 쉘터
CN216514738U (zh) 底座装置及衣物处理装置
CN108307421A (zh) 无线终端的测量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装置及系统
CN211184815U (zh) 一种用于自动检测设备的屏蔽箱
CN211557864U (zh) 一种抽屉式屏蔽箱
CN112190144A (zh) 一种门体、蒸烤箱及烹饪器具
CN219621460U (zh) 衣物处理设备的止逆装置及衣物处理设备
KR20090111126A (ko)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
KR20160134625A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N215803933U (zh) 用于洗碗机的门锁装置和具有其的洗碗机
CN212357732U (zh) 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