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695U -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695U
KR20190002695U KR2020180001743U KR20180001743U KR20190002695U KR 20190002695 U KR20190002695 U KR 20190002695U KR 2020180001743 U KR2020180001743 U KR 2020180001743U KR 20180001743 U KR20180001743 U KR 20180001743U KR 20190002695 U KR20190002695 U KR 201900026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djacent
power unit
tub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포 황
Original Assignee
신-포 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포 황 filed Critical 신-포 황
Priority to KR2020180001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695U/ko
Publication of KR201900026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8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packaging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는 기판, 상부 동력부, 하부 동력부 및 밀봉부를 포함한다. 상부 동력부 및 하부 동력부는 기판의 위쪽 및 아래쪽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밀봉부는 운반 플레이트, 가열 압착 몰드 및 인접 몰드를 구비한다. 운반 플레이트는 기판 상에 장착된다. 가열 압착 몰드는 상부 동력부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인접 몰드는 하부 동력부의 위쪽에 배치된다. 본 고안에 장치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를 가열 압착 몰드와 인접 몰드 사이에 단단히 고정하여 알루미늄 라미네이트가 각각의 운반컵을 완전히 밀봉함에 따라, 콘택트 렌즈 및 식염수를 담은 운반컵이 완전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AUTOMATIC VERTICAL HEAT PRESSING DEVICE}
본 고안은 일회용 콘택트 렌즈의 패킹에 사용되는 콘택트 렌즈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라미네이트로 콘택트 렌즈용 운반컵을 밀봉하는 종래의 방법은 운반컵을 운반 플레이트 상에 배치함으로써 처리 공정을 거친 후, 운반 플레이트 위쪽에 배치된 가열 압착 몰드(heat pressing mold)가 하강하여 알루미늄 라미네이트를 운반컵 상에 가열 압축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조시의 오차 또는 부정확성으로 인해 가열 압착 몰드가 운반컵을 불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는데, 이는 운반컵이 운반 플레이트 상에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에 따라, 운반컵이 불완전하게 밀봉됨으로써, 콘택트 렌즈가 말라 버리거나 또는 식염수가 운반컵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콘택트 렌즈의 운반컵이 견고하게 밀봉될 수 있는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는 기판, 상부 동력부, 하부 동력부 및 밀봉부를 포함한다. 상부 동력부 및 하부 동력부는 기판의 위쪽 및 아래쪽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밀봉부는 운반 플레이트(carrying plate), 가열 압착 몰드(heat pressing mold) 및 인접 몰드(abutting mold)를 구비한다. 운반 플레이트는 기판 상에 장착된다. 가열 압착 몰드는 상부 동력부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한편, 인접 몰드는 하부 동력부의 위쪽에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를 가열 압착 몰드와 인접 몰드 사이에 단단히 고정시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가 각각의 운반컵을 완전하게 밀봉함에 따라, 콘택트 렌즈 및 식염수를 담은 운반컵이 완전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열 압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열 압착 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열 압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열 압착 장치의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가열 압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열 압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가열 압착 장치의 또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비압착 상태의 가열 압착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압착 상태의 가열 압착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비압착 상태의 상부 튜브의 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압착 상태의 상부 튜브의 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가열 압착 장치의 운반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가열 압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가열 압착 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는 기판(10), 상부 동력부(20), 하부 동력부(30),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40)를 포함한다. 상부 동력부(20), 하부 동력부(30)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40)는 모두 기판(1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0)은 기판(10)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홀(11)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홀(11)의 수는 2개이지만 이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동력부(20)는 상부 이동 기판(21)과 상부 동력 장치(22)를 구비한다. 상부 이동 기판(21)은 기판(10)의 위쪽에 배치되고 기판(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 동력 장치(22)는 상부 이동 기판(21)에 연결되며, 상부 이동 기판(21)을 구동시켜 기판(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동력부(30)는 하부 이동 기판(31)과 하부 동력 장치(32)를 구비한다. 하부 이동 기판(31)은 기판(1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기판(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부 동력 장치(32)는 하부 이동 기판(31)과 연결되며, 하부 이동 기판(31)을 구동시켜 기판(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동력 장치(22)와 하부 동력 장치(32)는 둘 다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나, 이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부 동력 장치(22) 및 하부 동력 장치(32)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40)의 수는 2개이나 이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2개의 밀봉 조립부(40)는 세장형 홀(11)의 수와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밀봉부(40)는 운반 플레이트(41), 가열 압착 몰드(42) 및 인접 몰드(43)를 갖는다. 운반 플레이트(41)는 기판(10) 상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운반 플레이트(41)가 각각의 세장형 홀(11)을 덮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운반 플레이트(41)는 볼트에 의해 기판(10)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지만, 이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운반 플레이트(41)는 기판(10)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또한 다른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각각의 운반 플레이트(41)는 상기 운반 플레이트(41)를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위치 결정홀(411)을 갖는다. 상기 위치 결정홀들(41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운반 플레이트(41)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형성된다. 위치 결정홀들(411)은 세장형 홀들(11)과 각각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각 가열 압착 몰드(42)는 상부 이동 기판(21)의 바닥면에 장착된다. 가열 압착 몰드(42)는 운반 플레이트(41)와 그 위치가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베이스(421) 및 다수의 상부 인접 세그먼트(422)를 갖는다. 상부 베이스(421)는 상부 이동 기판(21)에 연결된다. 상부 인접 세그먼트(42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편, 상부 베이스(42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부 인접 세그먼트(422)는 위치 결정홀(411)과 그 수량 및 위치가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이동 기판(21)이 하향 이동함에 따라 상부 인접 세그먼트(422)가 위치 결정홀(411)에 각각 장착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각각의 인접 몰드(43)는 하부 이동 기판(31)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운반 플레이트(41)와 그 위치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각 인접 몰드(43)는 하부 베이스(44), 다수의 천공(45) 및 다수의 하부 인접 세그먼트(46)를 갖는다. 하부 베이스(44)는 하부 이동 기판(31)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베이스(44)는 하부 이동 기판(31)의 상부면에 장착된다. 천공들(45)은 하부 베이스(44)의 상부면과 바닥면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천공들(45)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천공들(45)은 위치 결정홀(411)과 그 수량 및 위치가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인접 세그먼트(46)는 하부 베이스(44)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부 인접 세그먼트(46)는 위치 결정홀(411)과 그 수량 및 위치가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 인접 세그먼트(46)는 천공들(45) 내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하부 인접 세그먼트(46)는 대응되는 위치 결정홀(411) 내로 선택적으로 상향 돌출된다.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각각의 천공(45)은 천공(45) 내부에 단 차면(451) 및 원추면(452)을 갖는다. 단차면(451) 및 원추면(452)은 천공(45)의 내벽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원추면(452)은 단차면(451) 아래쪽에 형성되고, 원추면(452)의 내경은 하부 베이스(44)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각각의 하부 인접 세그먼트(46)는 인접 튜브(461) 및 탄성 부재(462)를 갖는다. 인접 튜브(461)는 대응되는 천공(45) 내부에 장착되고 대응되는 천공(45)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 부재(462)도 또한, 대응되는 천공(45) 내에 장착된다. 탄성 부재(462)의 상단 및 하단은 인접 튜브(461) 및 하부 이동 기판(31)과 각각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즉, 탄성 부재(462)는 인접 튜브(461)와 하부 이동 기판(31) 사이에 인접 배치되며, 탄성 부재(462)는 인접 튜브(461)를 상향으로 푸시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각각의 인접 튜브(461)는 상부 튜브(463) 및 하부 튜브(464)를 갖는다. 상부 튜브(463)는 천공(45) 내부에 장착되고, 천공(45)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 튜브(463)는 단차면(451)에 선택적으로 하향 인접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부 튜브(463)는 단차면(451)을 하향 이동하여 통과함으로써, 원추면(435)에 의해 형성된 채널 내로 연장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천공(45)의 내경은 상부 튜브(463)의 외경보다 크므로, 상부 튜브(463)는 대응되는 천공(45) 내에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스듬히"라는 용어는 상부 튜브(463)가 상기 천공(45) 내부에서 천공(45)의 수직 중심 축선(L)으로부터 약간 벗어날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각 상부 튜브(463)는 상부 개구(465) 및 환형 지지벽(466)을 갖는다. 상부 개구(465)는 상부 튜브(463)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환형 지지벽(466)은 상부 개구(465)의 에지 상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하부 튜브(464)는 천공(45) 내부에 장착되고, 천공(45)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 튜브(464)는 상부 튜브(463)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하부 튜브(464)는 상부 튜브(463)를 상향으로 푸시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튜브(464)는 원추형 튜브이며, 원추면(452)이 형성된 천공(45)의 일부분 안쪽에 장착된다. 하부 튜브(464)의 외부면은 원추면(452)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462)는 하부 튜브(464)의 바닥면과 하부 이동 기판(31) 사이에 장착된다. 다시 말하면, 탄성 부재(462)는 하부 튜브(464)를 상향으로 푸시할 수 있고, 원추면(452)과 하부 튜브(464) 사이의 형상에 의거하여 하부 튜브(464)의 상향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인접 튜브(461)가 탄성 부재(462)에 의해 과도하게 밀리거나, 심지어는 천공(45)으로부터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튜브(463)와 하부 튜브(464) 모두를 거쳐 볼트가 장착됨으로써, 상부 튜브(463)와 하부 튜브(464)가 서로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지만, 이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튜브(463)와 하부 튜브(464)는 다른 수단, 예를 들어 상부 튜브와 하부 튜브가 분리 가능하게 서로 인접 배치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가 자동화 조립 라인 상의 다른 제조 공정과 결합될 때, 컨베이어 벨트(5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50)는 기판(1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컨베이어 벨트(50)상에는 여러 가지의 전술한 운반 플레이트(41)가 놓여질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50)는 컨베이어 벨트(5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 위치 결정홀(51)을 갖는다. 컨베이어 벨트 위치 결정홀(51)은 하부 인접 세그먼트(46)와 그 위치가 대응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 위치 결정홀들(51)로 인해, 운반 플레이트(41)가 컨베이어 벨트(50) 상에 배치될 때, 제조 공정 중에 운반 플레이트(41)는 여전히 하부 인접 세그먼트(46)에 의해 상향으로 푸시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50)의 이동에 따라, 본 고안의 공정이 완료되면, 운반 플레이트(41)는 조립 라인 상의 다음 제조 공정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정확한 운영 절차와 장점은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밀봉부(40)는 비압착 상태 및 압착 상태를 갖는다. 본 고안의 다른 부재들은 압착 상태 및 비압착 상태에 따라 적절히 작동하도록 유도될 것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비압착 상태에서 상부 이동 기판(21), 기판(10) 및 하부 이동 기판(31)이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비압착 상태에서 사용자는 심염수 및 콘택트 렌즈로 채워진 운반컵(91)을 운반 플레이트(41) 상에 놓을 수 있다. 각 운반 플레이트(41) 상의 위치 결정홀(411)은 각각의 운반컵(91)의 오목한 수용 구조와 구조적으로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운반 플레이트(41) 상에 배치될 때 운반컵(91)은 운반 플레이트(41) 상에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운반컵(91)은 상기 운반컵(91)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92)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92)는 식염수 및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오목부(92)의 바닥면은 반구형이며, 이들은 각각의 위치 설정 구멍(411)과 그 위치가 대응된다. 따라서, 운반컵(91)이 운반 플레이트(41) 상에 배치될 때, 반구형 바닥면이 위치 결정홀(411) 안쪽으로 각각 배치됨으로써 운반컵(91)이 운반 플레이트(41)에 대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운반컵(91)을 운반 플레이트(41) 상에 적절하게 배치한 후, 사용자는 가열 압착용 알루미늄 라미네이트를 운반컵(91)의 상부에 배치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상부 동력부(20)의 상부 동력 장치(22) 및 하부 동력부(30)의 하부 동력 장치(32)를 제어하여 이동을 시작한다. 그런 다음, 상부 동력 장치(22) 및 하부 동력 장치(32)가 각각 상부 이동 기판(21) 및 하부 이동 기판(31)을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이동 기판(21)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하부 이동 기판(31)이 위쪽으로 이동한 후, 가열 압착 몰드(42)가 위쪽으로부터 운반컵(91)에 접근하고, 인접 몰드(43)가 아래쪽으로부터 운반컵(91)에 접근한다. 가열 압착 몰드(42)와 인접 몰드(43)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와 운반컵(91)에 각각 접촉하면, 본 고안은 미압착 상태로부터 압착 상태로 전환된다.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압착 상태에서 가열 압착 몰드(42)가 운반컵(91) 상에 배치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할 때, 상부 인접 세그먼트(422)는 오목부(92)의 에지와 각각 접촉한다. 다시 말하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는 가열 압착 몰드(42)와 오목부(92)의 에지 사이에 고정된다. 그런 다음, 가열 압착 몰드(42)는 운반컵(91)의 오목부(92)의 에지를 따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를 환형으로 가열 압축하여, 알루미늄 라미네이트를 운반컵(91)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운반컵(91) 내의 콘택트 렌즈 및 식염수를 일시적으로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 아래쪽의 인접 몰드(43)는 점차 위쪽으로 이동한다. 상부 튜브(463)는 각각 세장형 홀(11)을 거쳐 위치 결정홀(411) 내로 연장된다. 이어서, 상부 튜브(463)는 환형 지지벽(466)이 각각 운반컵(91)의 반구형 바닥면의 에지에 접촉할 때까지 상향 이동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수단에 의해, 상부 튜브(463)는 운반컵(91)에 상향으로 푸시하는 힘을 제공하고, 가열 압착 몰드(42)에 의해 운반컵(91)의 상부면이 하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인접 몰드(43)(상부 튜브[463])가 운반컵(91)을 상향으로 푸시하면, 각 운반컵(91)의 고르지 않은 상부면의 모든 부분이 완전히 가압됨으로써, 이에 따라 가열 압착 몰드(42)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를 운반컵(91) 상에서 완전 가열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운반컵(91)은 가열 압착 몰드(42)와 인접 몰드(43)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가열 압착 몰드(42)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에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인접 몰드(43)의 인접 튜브(461)의 압축 범위는 탄성 부재(462)에 의해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이에 따라 인접 튜브(461)에 의해 각각의 운반컵(91) 사이의 위치 차이를 옵셋(offset)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운반컵(91)을 균일하게 밀봉할 수 있다.

Claims (6)

  1. 기판, 상부 동력부, 하부 동력부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를 포함하는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에 있어서,
    기판은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홀을 포함하고,
    상부 동력부는 기판과 연결되며 상부 동력 장치 및 상부 이동 기판을 포함하고, 상부 이동 기판은 기판의 위쪽에 배치되고 기판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부 동력 장치와 연결됨으로써 상부 동력 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동력부는 기판과 연결되며 하부 동력 장치 및 하부 이동 기판을 포함하고, 하부 이동 기판은 기판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기판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하부 동력 장치와 연결됨으로써 하부 동력 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 각각은 기판 상에 장착되고 상기 세장형 홀의 상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홀의 각각을 커버하는 운반 플레이트; 상부 이동 기판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운반 플레이트와 그 위치가 대응되는 가열 압착 몰드; 하부 이동 기판 상에 장착되고 운반 플레이트와 그 위치가 대응되는 인접 몰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 각각은 비압착 상태 및 압착 상태를 가지며,
    비압착 상태에서, 가열 압착 몰드, 운반 플레이트 및 인접 몰드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압착 상태에서, 상부 이동 기판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가열 압착 몰드를 운반 플레이트 쪽으로 하향으로 푸시하는 한편, 하부 이동 기판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인접 몰드를 대응되는 세장형 홀을 거쳐 장착되게 하고 운반 플레이트 쪽으로 상향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 각각의 내부에서,
    운반 플레이트는 기판 상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홀과 각각 연통되는 다수의 위치 결정홀을 구비하며,
    가열 압착 몰드는 상부 이동 기판과 연결된 상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상부 인접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부 인접 세그먼트는 위치 결정홀과 그 수량 및 위치가 일치하며,
    인접 몰드는 하부 이동 기판과 연결된 하부 베이스; 및 하부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하부 인접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하부 인접 세그먼트는 위치 결정홀과 그 수량 및 위치가 일치하며, 하부 인접 세그먼트는 위치 결정홀을 거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부 베이스는 하부 베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하부 인접 세그먼트와 그 위치가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천공을 구비하고,
    하부 인접 세그먼트의 각각은 천공들 중 대응되는 곳에 장착되고 상기 대응되는 천공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인접 튜브; 및 대응되는 천공 내에 장착되고 인접 튜브와 하부 이동 기판 사이에 인접 배치되며 인접 튜브를 상향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압착 상태에서, 인접 튜브들은 위치 결정홀 내에 상향으로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천공은 천공의 내벽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단차면; 및 천공의 내벽에 형성되는 한편 단차면의 아래쪽에 형성되고 그 내경이 하부 베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도록 구성된 원추면;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인접 튜브는 대응되는 천공 내에 장착되고 천공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단차면에 선택적으로 하향 인접 배치되는 상부 튜브; 대응되는 천공 내에 장착되고 천공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부 튜브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부 튜브를 상향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된 하부 튜브;를 더 포함하며, 하부 튜브는 원추형 튜브이고, 하부 튜브의 외부면은 원추면과 대응되고, 탄성 부재는 하부 튜브를 상향으로 푸시하며,
    압착 상태에서, 각각의 하부 인접 세그먼트의 상부 튜브는 운반 플레이트의 각각의 위치 결정홀을 거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판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 각각의 운반 플레이트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KR2020180001743U 2018-04-19 2018-04-19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KR201900026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43U KR20190002695U (ko) 2018-04-19 2018-04-19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43U KR20190002695U (ko) 2018-04-19 2018-04-19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95U true KR20190002695U (ko) 2019-10-29

Family

ID=6838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743U KR20190002695U (ko) 2018-04-19 2018-04-19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69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3496A (zh) * 2019-11-10 2020-01-14 张小娥 一种自动化采血管铝塑膜封装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3496A (zh) * 2019-11-10 2020-01-14 张小娥 一种自动化采血管铝塑膜封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13459A1 (en) Pulp molding production lin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JP4262468B2 (ja) 樹脂モールド方法、樹脂モールド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支持治具
CN207171467U (zh) 一种新型气动接头自动装配机
KR20190002695U (ko) 자동식 수직 가열 압착 장치
CN108296654A (zh) 焊接治具
CN102468140A (zh) 压合装置及其压合方法
JP2017094521A (ja) 圧縮成形方法及び圧縮成形装置
CN115338826A (zh) Led灯组装装置
CN213034028U (zh) 一种自动压底机
JP3216928U (ja) 熱圧着用金型の上下位置及び厚さの不均一性に自動的に対応する校正装置
KR101968337B1 (ko) 스파우트와 파우치를 실링하기 위한 로터리형 자동실링장치.
KR101834402B1 (ko) 액체원료 이송장치
CN207826632U (zh) 上下自动模直接热压送料装置
KR101633903B1 (ko) 회전 브레이크부가 포함된 마스크팩용 시트 자동분리장치
KR101990629B1 (ko) 스킨 포장 장치
CN113926644A (zh) 一体自动化装配软led灯带的灯管的制造设备及方法
JP3216929U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の自動封止装置
CN106044669A (zh) 全自动压盖装置
KR200484600Y1 (ko) 전기밥솥의 내솥커버용 패킹 조립장치
KR101632604B1 (ko) 일회용기용 뚜껑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10115664U (zh) 轴承密封圈压入工装
CN108907604A (zh) 修复孔工装装置
KR20050033703A (ko) 이중종이컵 제조장치의 회전테이블
CN213947462U (zh) 纸板贴体机模具
KR20110097377A (ko) 압축 성형장치 및 압축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