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608U - 핸드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핸드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608U
KR20190002608U KR2020190000030U KR20190000030U KR20190002608U KR 20190002608 U KR20190002608 U KR 20190002608U KR 2020190000030 U KR2020190000030 U KR 2020190000030U KR 20190000030 U KR20190000030 U KR 20190000030U KR 20190002608 U KR20190002608 U KR 201900026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bile phone
baffle
phone case
l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챙 청
흐샤오-챙 첸
챙-이 이
Original Assignee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026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6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에 끼워 설치될 수 있는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을 끼워 설치하기 위한 핸드폰 수용부와, 핸드폰 수용부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외면과, 외면에 위치하는 배플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본체; 및 가죽칸을 포함한다. 가죽칸은 카드 삽입부를 포함하고 외면에 부착되며, 배플에 의해 둘러싸인다. 본 고안의 구조 설계에 따르면, 제작에 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을 감소하고 양품률을 향상시키며, 또한 생산 원가를 낮출 수도 있다. 또한, 배플은 가죽칸의 가장자리가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폰 케이스{MOBILE PHONE HOUSING}
본 고안은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스마트폰은 몸체가 가볍고 기능이 많으며, 또한 가격이 비싸, 스마트폰을 보호하여 핸드폰이 충돌을 받거나 부주의로 떨어져 손상되는 확률을 낮추기 위해, 사용자는 항상 스마트폰에 핸드폰 케이스를 장착한다. 기존의 핸드폰 케이스는 많은 양식으로 구분될 수 있고, 그 중의 하나는 투피스 커버형 핸드폰 케이스인데, 스마트폰이 그 중 하나의 피스 내측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피스는 핸드폰의 스크린을 커버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원피스 고정형 핸드폰 케이스인데, 스마트폰의 측변과 배면을 감쌀 수 있지만 핸드폰의 스크린을 노출시킨다. 사용 편의성으로 볼 때, 원피스 고정형 핸드폰 케이스가 현재의 주류 양식이다.
스마트폰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손에 드는 물건 중의 하나이고, 신용카드 또는 전자 티켓(예컨대 이지카드) 또한 사람들이 외출 시 자주 사용하는 물품으로서, 현재 배면에 카드칸이 설치된 원피스 고정형 핸드폰 케이스가 시판되고 있다. 사용자는 신용카드 또는 전자 티켓을 카드칸에 삽입할 수 있고, 카드들이 핸드폰과 함께 놓여 있으므로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할 때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카드칸이 구비된 기존의 원피스 고정형 핸드폰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피혁을 이용하여 핸드폰 케이스를 완전히 감싸하고 피혁에 카드칸을 제작하는 방식에 의해 제작된다.
카드칸이 구비된 기존의 원피스 고정형 핸드폰 케이스는 피혁으로 핸드폰 케이스를 완전히 감싸하고 피혁에 카드칸을 제작하는 것인데, 이러한 방법은 특별히 설계한 기구를 통해 인공 방식으로 피혁을 복수개의 면과 여러 각도를 가진 핸드폰 케이스에 감싸야 하므로, 많은 노동력과 제작 시간이 소요되고 양품률이 불안정하며 생산 원가가 높을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핸드폰 케이스는 장기간 사용 후, 피혁의 모서리가 빈번한 마찰로 인해 버(burr) 또는 크랙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한 핸드폰 케이스에 따르면, 상기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에 끼워 설치될 수 있다.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을 끼워 설치하기 위한 핸드폰 수용부와, 핸드폰 수용부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외면과, 외면에 위치하는 배플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본체; 및 가죽칸을 포함한다. 가죽칸은 카드 삽입부를 포함하고 외면에 부착되며, 배플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한 핸드폰 케이스에 따르면, 제작에 필요한 노동력과 시간을 감소하고 양품률을 향상시키며, 또한 생산 원가를 낮추었다. 그리고, 배플을 설계함으로써 가죽칸의 가장자리가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가 장기간 사용 후 피혁 모서리가 빈번하게 마찰되어 버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도 해결되었다.
이하, 실시형태에서 본 고안의 상세한 특징 및 장점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자세한 설명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관련 목적 및 장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핸드폰 케이스의 선분 3-3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핸드폰 케이스에 카드를 삽입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핸드폰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10)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10)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폰 케이스(10)는 핸드폰(20)에 끼워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핸드폰 케이스(10)는 원피스 고정형으로서, 핸드폰(20)의 측변과 배면을 감쌀 수 있지만 핸드폰(20)의 스크린을 노출시키고, 다른 실시예에서, 핸드폰 케이스(10)는 투피스 커버형일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폰 케이스(10)는 플라스틱 본체(100)와 가죽칸(200)을 포함하고, 플라스틱 본체(100)는 핸드폰(20)을 끼워 설치하기 위한 핸드폰 수용부(102), 외면(104) 및 배플(110)을 포함하며, 외면(104)은 핸드폰 수용부(102)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핸드폰(20)의 측변과 배면은 핸드폰 케이스(10)의 핸드폰 수용부(102)에 접촉될 수 있으며, 배플(110)은 외면(104)에 위치한다. 가죽칸(200)은 카드 삽입부(202)를 포함하고 외면(104)에 부착되며 배플(110)에 의해 둘러싸이고 가죽칸(200)의 가장자리(204)를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신용카드 또는 전자 티켓 등과 같은 카드를 카드 삽입부(202)에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드폰 케이스(10)가 장착된 핸드폰(20)을 손에 들고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 가죽칸(200)에서 카드를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동시에 참조하면, 도 3은 도 1의 핸드폰 케이스(10)의 선분 3-3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핸드폰 케이스(10)에 카드(30)를 삽입할 때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플(110)은 플라스틱 본체(100)의 외면(104)에 볼록하게 설치되고, 배플(110)은 외면(104)에 볼록하게 설치되어 환형 볼록부를 형성하며, 가죽칸(200)이 상기 환형 볼록부와 매칭된다. 그리고, 배플(110)과 플라스틱 본체(100)는 일체로 통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배플(110)과 플라스틱 본체(100)는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죽칸(200)은 외면(104)에 부착되는 제1층(210), 및 제1층(210)에 부착되고 제1층(21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층(22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층(210)과 제2층(220)은 카드 삽입부(202)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층(210)은 접착 방식을 통해 외면(104)에 부착되고 배플(1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제1층(210)과 제2층(220) 중의 세 변은 봉합 또는 접착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1층(210)과 제2층(220) 중 연결되지 않는 한 변은 카드 삽입부(202)의 개구로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 삽입부(202)에서 도면 상단에 있는 한 변이 바로 개구이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30)는 상기 개구를 통해 카드 삽입부(202)에 삽입될 수 있다. 실제 적용 시, 가죽칸(200) 자체가 탄성을 가지고 있어, 카드 삽입부(202)가 비워 있는 경우에 제1층(210)과 제2층(220)은 간극 없이 서로 붙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카드(30)를 삽입한 후, 제2층(220)은 탄성 변형으로 인해 확장하게 되고,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어 카드(30)를 가압하여 카드 삽입부(20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틱 본체(100)의 외면(104)의 법선 방향(Dn)에서 가죽칸(200)은 플라스틱 본체(100)의 외면(104)에 대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배플(110)이 없는 경우에, 사용자가 주머니 또는 가방에서 핸드폰 케이스(10)가 장착된 핸드폰(20)을 꺼내거나 넣을 때, 또는 사용자가 핸드폰(20)을 손에 들고 조작하거나 카드 삽입부(202)에서 카드(30)를 꺼낼 때, 가죽칸(200)의 가장자리(204)는 사용자의 손, 주머니 또는 가방 등 외부의 물품에 의해 쉽게 마찰되는데, 시간이 지나면 가죽칸(200)의 가장자리(204)가 마찰로 인해 손상되어 버 또는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핸드폰 케이스(10)의 구조 설계에 따르면, 배플(110)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 중, 제1층(210)의 가장자리(204)가 핸드폰 케이스(1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가장 쉽게 마찰되어 손상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배플(110)의 높이는 제1층(210)의 가장자리(204)를 보호하도록 제1층(210)의 높이보다 높거나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층(210)은 법선 방향(Dn)에서 외면(104)에 대해 높이(Hn1)를 가지고 있고, 또한 배플(110)은 법선 방향(Dn)에서 외면(104)에 대해 높이(Hn2)를 가지고 있는데, 제1층(210)의 높이(Hn1)와 배플(110)의 높이(Hn2)는 대략 동일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플(110)은 가죽칸(200)의 가장자리(204)에 인접한다. 예를 들어, 배플(110)이 형성한 환형 윤곽은 가죽칸(200)의 제1층(210)의 가장자리(204)와 매칭되고, 배플(110)과 제1층(210)의 가장자리(204)가 서로 밀접하게 접촉되며, 이에 따라 배플(110)이 제1층(210)의 가장자리(204)를 더 잘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호한 외관성을 가지면서도 먼지 또는 이물질이 배플(110)과 가죽칸(200) 사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죽칸(200)은 자기 차폐층(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차폐층(230)은 카드 삽입부(202)에 위치한다. 자기 차폐층(230)은 핸드폰(20)과 카드(30) 사이에 전자기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핸드폰(20)과 카드(30) 간의 자력선 또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삽입부(202) 내의 카드(30)가 감응형 신용카드 또는 전자 티켓(예컨대 이지카드)이고, 사용자가 카드 삽입부(202)에서 카드(30)를 꺼내지 않고 핸드폰 케이스(10)를 감응 장치에 직접 접근시켜 카드(30)를 감응해야 하는 경우에, 자기 차폐층(230)은 핸드폰(20)의 전기적 소자가 카드(30)의 감응에 양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자기 차폐층(230)은 카드 삽입부(202)에 설치되는 분리 가능한 소자일 수 있는데, 즉 자기 차폐층(230)은 가죽칸(200)에서 꺼내거나 삽입될 수 있고, 또는 자기 차폐층(230)은 카드(30)가 카드 삽입부(202)에 삽입될 때 자기 차폐층(230)이 카드(30)와 제1층(2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카드(30)의 일측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 차폐층은 적층되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과 그래핀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틱 본체(100)는 핸드폰 수용부(102)와 외면(104)을 관통하고 핸드폰(20)의 카메라 렌즈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죽칸(200)은 외면(104)의 법선 방향(Dn)에서 카메라 홀(120)과 중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폰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제1 부분(106)과 제2 부분(108)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핸드폰 케이스(10)의 제1 부분(106)은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제1 부분(106)에 카메라 홀(120)이 관통되어 있으며, 제2 부분(108)은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제2 부분(108)에 홀이 없다. 배플(110)과 가죽칸(200)은 제2 부분(108)의 외면(104)에 설치되므로, 가죽칸(200)은 외면(104)의 법선 방향(Dn)에서 제1 부분(106)과 중첩되지 않고, 이에 따라 가죽칸(200)은 또한 카메라 홀(120)과 중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가죽칸(200)은 핸드폰(20)의 카메라 렌즈를 가리지 않으므로, 핸드폰 케이스(10)를 제작할 때 플라스틱 본체(100)에 카메라 홀(120)을 제작하기만 하면 되고, 가죽칸(200)에 핸드폰(20)의 카메라 렌즈에 대응하는 별도의 홀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핸드폰 케이스(10)의 생산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폰 케이스(10)는 패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300)는 핸드폰 수용부(102)에 설치된다. 핸드폰 케이스(10)가 핸드폰(20)에 알맞게 장착되는 경우에, 패드(300)는 핸드폰(20)의 배면과 핸드폰 케이스(10)의 핸드폰 수용부(10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핸드폰(20) 또는 핸드폰 케이스(10)를 제작할 때 모두 약간의 공차가 생길 수 있으므로, 핸드폰 케이스(10)를 핸드폰(20)에 장착한 후 핸드폰(20)과 핸드폰 케이스(10) 사이는 공차로 인해 간극이 발생될 수 있는데, 패드(300)는 핸드폰(20)과 핸드폰 케이스(10) 사이의 간극을 채워 핸드폰 케이스(10)가 핸드폰(2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300)는 패브릭 패드, 예컨대 초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본체(100)와 가죽칸(200)은 이질 구조로서, 상이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본체(100)는 플라스틱류의 고분자 중합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죽칸(200)은 피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가죽칸(200)은 접착 방식을 통해 외면(104)에 부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핸드폰 케이스(10)의 구조 설계에 따르면, 그 제작이 종래의 방법에서 인공 방식을 통해 복수개의 면과 여러 각도를 가진 케이스를 피혁으로 완전히 감싸야 하는 것과 다르며, 반대로 본 실시예의 핸드폰 케이스(10)의 가죽칸(200)과 플라스틱 본체(100)는 단일면을 접합하기만 하면(즉, 제1층(210)의 외측면을 배플(110)로 둘러싼 외면(104)에 접합) 조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핸드폰 케이스(10)의 구조 설계에 따르면, 자동화 생산 기기를 통해 각각 제조된 가죽칸(200)과 플라스틱 본체(100)를 접합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죽칸(200)과 플라스틱 본체(100)를 인공 방식으로 제작하여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플(110)이 정렬 도구로 사용될 수 있어, 제작자가 점착 재료를 배플(110)로 둘러싼 외면(104) 또는 제1층(210)의 외측면에 코팅하고, 가죽칸(200)을 배플(110)로 둘러싼 외면(104)에 정렬시키며, 배플(110)을 따라 가죽칸(200)을 설치하기만 하면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설계는 제작에 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을 감소하는 데에 유리하며, 양품률을 향상시키고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10a)의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5의 핸드폰 케이스(10a)의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에 나태낸 핸드폰 케이스(10a)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핸드폰 케이스(10)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폰 케이스(10a)는 핸드폰(20)을 끼워 설치하기 위한 핸드폰 수용부(102)와, 핸드폰 수용부(102)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외면(104)과, 외면(104)에 위치하는 배플(110a)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본체(100); 및 가죽칸(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플(110a)은 외면(104)에 오목하게 설치되고, 배플(110a)은 외면(104)에 오목하게 설치되어 오목부(130)를 형성하며, 가죽칸(200)은 오목부(130)와 매칭되고 오목부(13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130)는 플라스틱 본체(100)의 외면(104)이 법선 방향(Dn)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단차 구조이고, 배플(110a)은 오목부(130) 주변에 단차로 인해 형성한 환형 측벽이다. 가죽칸(200)은 상기 오목부(130)에 부착되고, 배플(110a)이 형성한 환형 측벽은 가죽칸(200)을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본체(100)는 오목부(130)에서 얇은 두께(플라스틱 본체(100)의 오목되지 않는 나머지 부위에 대해)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전체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따라서 플라스틱 본체(100)의 법선 방향(Dn)에서의 두께가 더욱 증가되어(도 1 내지 도 4의 플라스틱 본체(100)에 대해) 전체 기계적 강도가 개선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죽칸(200)은 카드 삽입부(202), 제1층(210), 제2층(220)과 자기 차폐층(230)을 포함하고, 가죽칸(200)의 제1층(210)은 오목부(130)의 외면(104)에 부착된다. 또한, 제2층(220)은 제1층(210)에 부착되고, 제1층(210)과 제2층(220)은 카드 삽입부(202)를 형성하며, 자기 차폐층(230)은 카드 삽입부(202)에 위치하고, 배플(110a)은 제1층(210)을 둘러싸며 가죽칸(200)의 제1층(210)의 가장자리(204)를 보호할 수 있고, 관련 구조와 연결 관계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어,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플(110a)이 형성한 환형 측벽의 윤곽은 가죽칸(200)의 제1층(210)의 가장자리(204)와 매칭되고, 배플(110a)과 제1층(210)의 가장자리(204)가 서로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배플(110a)의 높이(Hn2)(즉, 오목부(130)의 법선 방향(Dn)에서의 깊이)는 제1층(210)의 높이(Hn1)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 플라스틱 본체(100)의 외면(104)은 가죽칸(200)의 제1층(210)과 동일한 평면에 있어 외관상에서 일치한 시각적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플(110a)의 높이는 또한 가죽칸(200) 전체의 높이와 동일하고, 플라스틱 본체(100)의 외면(104)이 가죽칸(200)의 제2층(220)과 동일한 평면에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홀(120)의 가장자리에는 금속 분무 코팅층(122)이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분무 코팅층(122)은 외면(104)에 위치하고 카메라 홀(120)에 인접하고 이를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금속 분무 코팅층(122)은 외면(104)에 볼록하게 설치된다. 금속 분무 코팅층(122)은 외관상 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면(104)보다 돌출된 구조이기 때문에 핸드폰(20)의 카메라 렌즈가 외부 물품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어, 카메라 렌즈가 오염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감소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한 핸드폰 케이스에 따르면, 플라스틱 본체와 가죽칸의 이질 구조, 및 단일면 결합에 따른 구조 설계를 통해 미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작에 필요한 노동력과 시간을 감소하고 양품률을 향상시키며, 또한 생산 원가를 낮추었다. 또한, 배플은 정렬 도구로 사용되어 플라스틱 본체와 가죽칸을 제작할 때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함께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배플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손, 주머니 또는 가방과 같은 외부의 물품과 쉽게 마찰되지 않도록 가죽칸의 가장자리를 보호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가 장기간 사용 후 피혁 모서리가 빈번한 마찰로 인해 버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도 해결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기술적 내용을 개시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실시한 약간의 변경과 윤색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되며,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핸드폰 케이스
20 : 핸드폰
30 : 카드
100 : 플라스틱 본체
102 : 핸드폰 수용부
104 : 외면
106 : 제1 부분
108 : 제2 부분
110 : 배플
120 : 카메라 홀
130 : 오목부
200 : 가죽칸
202 : 카드 삽입부
204 : 가장자리
210 : 제1 층
220 : 제2 층
230 : 차폐층
300 : 패드

Claims (15)

  1. 핸드폰에 끼워 설치되는 핸드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을 끼워 설치하기 위한 핸드폰 수용부와, 상기 핸드폰 수용부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외면과, 상기 외면에 위치하는 배플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본체; 및
    카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면에 부착되며, 상기 배플에 의해 둘러싸이는 가죽칸;을 포함하는 핸드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가죽칸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외면에 볼록하게 설치되어 환형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죽칸은 상기 볼록부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외면에 오목하게 설치되어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죽칸은 상기 오목부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칸은 상기 외면에 부착되는 제1층, 및 상기 제1층에 부착되고 상기 제1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은 상기 카드 삽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과 상기 제1층은 상기 외면의 법선 방향에서의 높이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칸은 상기 카드 삽입부에 위치하는 자기 차폐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차폐층은 적층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과 그래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은 세 변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은 봉합 또는 접착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본체는 상기 핸드폰 수용부와 상기 외면을 관통하고 가장자리에 금속 분무 코팅층이 있는 카메라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수용부에 위치하는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패브릭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브릭 패드는 초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과 상기 플라스틱 본체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KR2020190000030U 2018-04-10 2019-01-03 핸드폰 케이스 KR20190002608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204636 2018-04-10
TW107204636U TWM563720U (zh) 2018-04-10 2018-04-10 手機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08U true KR20190002608U (ko) 2019-10-18

Family

ID=6364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030U KR20190002608U (ko) 2018-04-10 2019-01-03 핸드폰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07218A1 (ko)
EP (1) EP3554058A1 (ko)
JP (1) JP3220208U (ko)
KR (1) KR20190002608U (ko)
CN (1) CN208924313U (ko)
TW (1) TWM56372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8493B2 (en) * 2018-01-23 2022-11-15 Mohammad Sayed Display case for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518A (ja) * 2000-08-21 2002-02-26 Kazumasa Motoki 携帯電話保護ケース
US6694151B2 (en) * 2000-12-12 2004-02-17 Eastman Kodak Company 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cameras incorporating wideband RF transceivers
JP5286714B2 (ja) * 2007-08-23 2013-09-1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財布装置、電子バリュー利用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04127B2 (en) * 2011-10-16 2013-08-06 Matthew Timothy Altschul Pocket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combined with carrying compartment for credit card sized items
US9345178B2 (en) * 2012-01-20 2016-05-17 Paul Fitzgerald Davis Configurable shiel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202680892U (zh) * 2012-05-03 2013-01-23 温宏龙 手机套结构
US20150027802A1 (en) * 2013-07-23 2015-01-29 Catalyst Medium Four, Inc. (dba CM4, Inc.)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ound channel
US9223346B2 (en) * 2013-08-27 2015-12-29 Wimo Labs LLC Mobile device case
US9432074B2 (en) * 2014-09-26 2016-08-30 Incipio, Llc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with reinforcing support member
WO2017007028A1 (ja) * 2015-07-08 2017-01-12 株式会社パワーサポート カード収容型背面ケース
CN205249284U (zh) * 2015-11-30 2016-05-18 张育生 翻盖多功能手机套
KR102128067B1 (ko) * 2017-03-27 2020-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자파 차폐용 그래핀-금속-고분자 다층 구조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4058A1 (en) 2019-10-16
JP3220208U (ja) 2019-02-21
TWM563720U (zh) 2018-07-11
CN208924313U (zh) 2019-05-31
US20190307218A1 (en)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5741A1 (en)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apparatus
CN107205533B (zh) 用于壳体端口的桥形加强件
US20180191395A1 (en) Card storage mobile phone case
KR20120003702U (ko) 휴대폰 보호대
KR20190002608U (ko) 핸드폰 케이스
KR200473279Y1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휴대폰 보호용 커버
KR101348712B1 (ko)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KR101216344B1 (ko) 휴대용 기기의 이중 케이스
US20180159968A1 (en) Electronic device shel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37889B1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2560514B1 (ko) 아이폰 전용 카드지갑 부착용 패드
KR102464913B1 (ko) 다이어리
KR200490887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703035B1 (ko) 탈부착이 용이한 포켓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101585224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247406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604070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이어리형 보호케이스
KR20130002185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CN205005111U (zh) 防辐射手机壳
KR20150068831A (ko)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KR20150012975A (ko) 장식용 보강부재를 갖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439317B1 (ko) 가죽 표면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4981U (ko)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CN213126733U (zh) 一种电子设备
KR101393145B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