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831A -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831A
KR20150068831A KR1020130154951A KR20130154951A KR20150068831A KR 20150068831 A KR20150068831 A KR 20150068831A KR 1020130154951 A KR1020130154951 A KR 1020130154951A KR 20130154951 A KR20130154951 A KR 20130154951A KR 20150068831 A KR20150068831 A KR 20150068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bile phone
cover
shiel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정기
Original Assignee
(주) 인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목 filed Critical (주) 인목
Priority to KR102013015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831A/ko
Publication of KR20150068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이동전화기의 전면 및 후면을 차폐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기의 후면을 차폐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이동전화기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케이스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케이스 커버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일단을 차폐하는 모서리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전화기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OUTTER CASE FOR PORTABLE CELLULAR TELEPHONE}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동전화기란 무선 전파를 사용하여 음성이나 텍스트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기능이 추가된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전화기용 악세사리 중 하나인 외장 케이스는, 상기 이동전화기를 외부의 충격이나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플립형(flip type) 외장 케이스는, 상기 이동전화기의 후면 뿐만 아니라, 그 전면의 디스플레이부의 보호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플립형 외장 케이스는, 피혁이나 인조피혁과 같이 재질로 성형된다. 따라서 종래의 플립형 외장 케이스의 경우에는, 사용 과정에서의 손상, 특히, 단부의 손상이 우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이동전화기의 전면 및 후면을 차폐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기의 후면을 차폐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이동전화기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케이스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케이스 커버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일단을 차폐하는 모서리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전화기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케이스 커버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일면에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케이스 커버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일단을 차폐하는 차폐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타면에 적층되는 제3부분;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재질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부분은, 원목판,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 Board, HDF), 중밀도 섬유(Middle Density Fiber Board, MDF), 합성수지판, 무늬목 적층판, 우레탄폼(Urethane Foam), 실리콘(Silicon)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고, 상기 제2부분은, 원목판, 무늬목 적층판, 합성수지판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상기 제3부분은,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이동전화기의 전면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자력을 부여하는 한쌍의 마그넷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이동전화기의 전면, 후면 및 이에 인접하는 일측면을 차폐하고,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외측 커버부와 내측 커버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 및 내측 커버부의 일단을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모서리 부재; 및 상기 내측 커버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전화기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적어도 상기 외측 커버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상기 외측 커버부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 및 내측 커버부의 일단을 차폐하는 차폐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외측 커버부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단에는 차폐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차폐 경사부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사영의 내부에 상기 외측 커버부의 일단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사영이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차폐 경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단이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타면에 적층되는 제3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1부분의 타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제3부분의 일부가 절삭된 후 상기 제3부분의 나머지에 의하여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부분은, 원목판,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 Board, HDF), 중밀도 섬유(Middle Density Fiber Board, MDF), 합성수지판, 무늬목 적층판, 우레탄폼(Urethane Foam), 실리콘(Silicon)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고, 상기 제2부분은, 원목판, 무늬목 적층판, 합성수지판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상기 제3부분은,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케이스 부재 및 모서리 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에 의하여 상기 이동전화기의 전면이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마그넷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모서리 부재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마그넷 장착홈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모서리 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는 차폐부가 케이스 부재의 단부를 차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시예에 의하면, 사용 과정에서 특히 손상이 우려되는 케이스 부재의 단부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서리 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는 차폐 경사부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 부재의 외측 커버부의 일단이 차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 과정에서 상기 모서리 부재 및 외측 커버부가 상이하게 변형되더라도 미감이 저하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외면을 전개하여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내면을 전개하여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용 과정 중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제2실시예의 외면을 전개하여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제3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외면을 전개하여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내면을 전개하여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외장 케이스(1)는, 케이스 부재(100), 적어도 1개의 모서리 부재(200) 및 장착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부재(100)는, 상기 외장 케이스(1)의 전체적인 외관을 정의한다. 상기 모서리 부재(200)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부재(300)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고정되어 이동 전화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S)(도 4 및 도 5 참조)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곳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는, 상기 스마트폰(S)의 전후면과 이에 인접하는 일측면을 차폐한다. 특히, 상기 케이스 부재(100)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상기 스마트폰(S)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 부재(100)는, 케이스 본체(101), 케이스 커버(102) 및 연결부(103)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101) 및 케이스 커버(102)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의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03)가 상기 케이스 본체(101) 및 케이스 커버(102)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가 장방형으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100)가 2회 절곡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본체(101), 케이스 커버(102) 및 연결부(103)가 정의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는 카메라 홀(101H) 및 스피커 홀(102H)이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홀(101H) 및 스피커 홀(102H)은 상기 스마트폰(S)에 구비되는 카메라 및 수화용 스피커가 위치되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카메라 홀(101H) 및 스피커 홀(102H)은, 상기 스마트폰(S)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S)의 카메라 및 수화용 스피커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101) 및 케이스 커버(10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부재(100), 즉 상기 케이스 본체(101), 케이스 커버(102) 및 연결부(103)는, 베이스부(110), 내측 커버부(120) 및 외측 커버부(130)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 예를 들면, 에폭시(epoxy) 수지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커버부(120) 및 외측 커버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양면에 각각 위치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내측 외관 및 외측 외관을 정의한다. 상기 내측 커버부(120) 및 외측 커버부(130)로는 각각 폴리에스터(polyester) 수지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양단부,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101)의 일단부 및 상기 케이스 커버(102)의 양단부에, 모서리 부재 안착부(131)가 각각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모서리 부재 안착부(131)는, 상기 외측 커버부(13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 부재 안착부(131)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양단부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10)가 외부로 노출된다. 물론, 상기 모서리 부재 안착부(131)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일단부, 즉, 상기 케이스 본체(101) 또는 상기 케이스 커버(102)의 일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110), 내측 커버부(120) 및 외측 커버부(130)는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열융착이나 별도의 접착재 등에 의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내측,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스 커버(102)의 내측에는 포켓(102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102P)은, 카드나 지폐 등의 수납을 위한 것으로, 1개 또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부재(200)는, 상기 모서리 부재 안착부(131)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 부재(200)는, 상기 모서리 부재 안착부(131)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로 구성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서리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 실질적으로 상기 외측 커버부(1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된다. 예를 들면, 상기 모서리 부재(200)는, 목재, 철재, 및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모서리 부재(200)는, 본체부(210) 및 차폐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10)는, 상기 모서리 부재 안착부(131)에 대응하는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220)는, 상기 본체부(210)의 외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101) 및 케이스 커버(102)의 일단 테두리,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10) 및 내측 커버부(120)의 단부를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외장 케이스(1)의 양측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모서리 부재(200), 즉 상기 차폐부(220)가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폐부(220)가 구비되는 상기 본체부(210)의 외측단을 제외한 상기 본체부(210)의 나머지단, 즉 상기 본체부(210)의 내측단에 차폐 경사부(211)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 경사부(211)는, 상기 본체부(210)의 내측단이 상기 본체부(210)의 전면에서 내면을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차폐 경사부(211)는, 상기 외측 커버부(130)의 일단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외측 커버부(130)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면에 대하여 형성하는 사영(射影)이 상기 차폐 경사부(211)가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면에 대하여 형성하는 사영의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차폐 경사부(211)에 의하여 상기 외측 커버부(130)의 일단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 부재(200)에는 마그넷 장착홈(213)이 형성된다. 상기 마그넷 장착홈(213)은,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부(21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넷 장착홈(213)에는 각각 마그넷(Mg)이 위치된다. 상기 마그넷(Mg)은, 상기 케이스 커버(102)가 상기 스마트폰(S)의 전면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마그넷(Mg)은, 상기 케이스 부재(100), 즉 상기 베이스부(110) 및 상기 모서리 부재(200), 즉 상기 본체부(210) 사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부재(3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1)의 내면, 즉 상기 내측 커버부(120)에 고정된다. 상기 장착 부재(300)는, 실질적으로 상기 스마트폰(S)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부재(300)의 내부에 상기 스마트폰(S)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용 과정 중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1)를 사용하기 위해서 스마트폰(S)을 장착 부재(300)에 장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S)의 사용 여부 등에 따라서 케이스 커버(102)를 케이스 본체(101)에 대하여 회동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S)의 전면, 즉 상기 스마트폰(S)의 디스플레이부를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넷(Mg) 사이의 자력에 의하여상기 케이스 커버(102)가 상기 스마트폰(S)의 전면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장 케이스(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주로 상기 케이스 본체(101) 및 케이스 커버(102)의 일단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101) 및 케이스 커버(102)의 일단이 모서리 부재(200)에 의하여 차폐되므로, 상기 케이스 본체(101) 및 케이스 커버(102)의 일단이 손상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서리 부재(200)의 타단에 차폐 경사부(2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부재(100) 및 모서리 부재(200) 사이의 상이한 변형, 실질적으로 외측 커버부(130) 및 모서리 부재(200) 사이의 상이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차폐 경사부(211)에 의하여 상기 외측 커버부(130)의 일단이 차폐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10)의 외부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케이스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제2실시예의 외면을 전개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6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부재(100)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재 안착부(131) 중 케이스 본체(101)에 형성되는 상기 모서리 부재 안착부(131)이 상기 카메라 홀(101H)을 포함하는 영역까지 확대된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 부재 안착부(131)에 안착되는 모서리 부재(200A)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서리 부재(200A)에도 상기 카메라 홀(101H)과 연통되는 카메라 홀(215A)이 형성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케이스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의 제3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6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모서리 부재(200B)가 제1 내지 제3부분(230)(240)(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부분(230)(240)(250)은 상하로 적층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부분(230)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제작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부분(230)은, 원목판,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 Board, HDF), 중밀도 섬유(Middle Density Fiber Board, MDF), 합성수지판, 무늬목 적층판, 우레탄폼(Urethane Foam), 실리콘(Silicon)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부분(240)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모서리 부재(200B)의 외관을 정의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소정의 두께로 원목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2부분(240)이, 무늬목 적층판, 합성수지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부분(240)은, 상기 제1부분(230)의 일면, 도 8에서 도면상 상기 제1부분(230)의 상면에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제3부분(250)은, 상기 제1부분(230)의 타면, 즉 도 8에서 도면상 상기 제1부분(230)의 저면에 적층된다. 상기 제3부분(250)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차폐부(220)를 정의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부분(230)(240)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부분(250)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우레탄 등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부분(230)(240)(250)이 상하로 적층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3부분(250) 또는 상기 제2 및 제3부분(240)(250)이 소정의 형상으로 절삭되어 상기 모서리 부재(200B)가 제작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내지 제3부분(230)(240)(250)의 외측 테두리, 즉 차폐부에 외측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마감을 위한 도장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부재 101: 케이스 본체
102: 케이스 커버 103: 연결부
110: 베이스부 120: 내측 커버부
130: 외측 커버부 200: 모서리 부재
201: 차폐 경사부 203: 마그넷 장착홈
210: 차폐부 300: 장착 부재
Mg: 마그넷

Claims (16)

  1. 이동전화기의 전면 및 후면을 차폐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기의 후면을 차폐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이동전화기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케이스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케이스 커버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일단을 차폐하는 모서리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전화기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케이스 커버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일면에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케이스 커버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일단을 차폐하는 차폐부; 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타면에 적층되는 제3부분; 을 포함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재질로 제작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원목판,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 Board, HDF), 중밀도 섬유(Middle Density Fiber Board, MDF), 합성수지판, 무늬목 적층판, 우레탄폼(Urethane Foam), 실리콘(Silicon)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고,
    상기 제2부분은, 원목판, 무늬목 적층판, 합성수지판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상기 제3부분은,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이동전화기의 전면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자력을 부여하는 한쌍의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8. 이동전화기의 전면, 후면 및 이에 인접하는 일측면을 차폐하고,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외측 커버부와 내측 커버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 및 내측 커버부의 일단을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모서리 부재; 및
    상기 내측 커버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전화기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장착 부재; 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적어도 상기 외측 커버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상기 외측 커버부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 및 내측 커버부의 일단을 차폐하는 차폐부; 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부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단에는 차폐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차폐 경사부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사영의 내부에 상기 외측 커버부의 일단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사영이 위치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경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단이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부재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타면에 적층되는 제3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1부분의 타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제3부분의 일부가 절삭된 후 상기 제3부분의 나머지에 의하여 정의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원목판,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 Board, HDF), 중밀도 섬유(Middle Density Fiber Board, MDF), 합성수지판, 무늬목 적층판, 우레탄폼(Urethane Foam), 실리콘(Silicon)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고,
    상기 제2부분은, 원목판, 무늬목 적층판, 합성수지판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상기 제3부분은,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15.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 및 모서리 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에 의하여 상기 이동전화기의 전면이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모서리 부재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마그넷 장착홈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KR1020130154951A 2013-12-12 2013-12-12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KR20150068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51A KR20150068831A (ko) 2013-12-12 2013-12-12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51A KR20150068831A (ko) 2013-12-12 2013-12-12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31A true KR20150068831A (ko) 2015-06-22

Family

ID=5351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951A KR20150068831A (ko) 2013-12-12 2013-12-12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8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6372A (zh) * 2016-07-18 2016-10-12 曾小兵 二合一防摔防滑的手机保护套
CN108881549A (zh) * 2018-07-05 2018-11-23 盐城市瑞祥龙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耐腐蚀性能强的手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6372A (zh) * 2016-07-18 2016-10-12 曾小兵 二合一防摔防滑的手机保护套
CN108881549A (zh) * 2018-07-05 2018-11-23 盐城市瑞祥龙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耐腐蚀性能强的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596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US8326383B1 (en)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U2018260952A1 (en)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apparatus
US20150065206A1 (en) Locking Rim Cell Phone Case
KR101084548B1 (ko) 실드 케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US938071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case thereof
KR101418154B1 (ko) 스피커유닛을 구비하는 단말기
KR10240622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50068831A (ko) 이동전화기용 외장 케이스
KR200473279Y1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휴대폰 보호용 커버
US20180015698A1 (en) Arc-shaped cell phone screen protector
KR101327370B1 (ko)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용 커버
KR20180012703A (ko) 모바일 장치용 케이스
US20220142315A1 (en) Cover including pen receiving par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JP5809326B1 (ja) 携帯型端末用ケース
KR101388290B1 (ko)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180002873U (ko) 휴대폰 케이스
EP3733016A1 (en) A case for an electronic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KR101597786B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JP3180088U (ja) 携帯用情報装置の保護ケース
KR101303345B1 (ko) 휴대기기용 수납 케이스
KR101604070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이어리형 보호케이스
KR102216253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794123B1 (ko) 휴대기기 보호케이스
KR101585224B1 (ko)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