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909A -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909A
KR20190001909A KR1020180065403A KR20180065403A KR20190001909A KR 20190001909 A KR20190001909 A KR 20190001909A KR 1020180065403 A KR1020180065403 A KR 1020180065403A KR 20180065403 A KR20180065403 A KR 20180065403A KR 20190001909 A KR20190001909 A KR 2019000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detection result
noon
person detection
huma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로 혼다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0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K9/0036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3/00Manufacturing, calibrating, cleaning, or repairing instruments or devices covered by groups G01V1/00 – G01V1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Abstract

본 발명은, 방대한 작업 부담을 요하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람 검지 결과 취득부(15)가, 사람 검지 시스템(20)으로부터 사람 검지 결과를 취득하고, 정오 판정부(16)가, 취득한 사람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사람의 존재 상황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 상황과 비교하고, 존재 상황이 규정 상황과 모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한다.

Description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 및 장치{HUMAN DETECTION RESULT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대상 공간에 존재하는 사람의 검지 결과를 판정하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상 공간의 천장이나 벽에 부착한 복수의 적외선 센서로 검출한 대상 공간 내의 열화상(서모그래피)으로부터, 사람의 표면 온도를 나타내는 사람 영역을 검색함으로써, 대상 공간 내에 존재하는 재실자를 검지하는 사람 검지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등 참조). 이에 따라, 재실자가 있는 공간에 한정하여 쾌적한 공조 환경으로 제어하고, 재실자가 없는 공간에 대해서는, 공조나 조명을 정지시키는 등, 대상 공간의 환경을 자동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적외선 센서의 하나로서 서모파일 어레이 센서를 천장에 설치하고, 바닥면의 온도 분포를 계측하면, 발열체인 인간은 바닥면보다도 높은 온도에서 검출된다. 해상도가 높은 서모파일 어레이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약 10 ㎝ 단위로의 위치 정보의 취득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일정한 프레임 레이트로 온도 분포를 계속해서 계측함으로써, 사람의 이동을 추적하고,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057840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람 검지 기술에서는, 열화상에 포함되는 노이즈 성분의 영향으로, 사람 영역의 특정에 오류가 출현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람 검지 기술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쳐 특정 대상 공간에서 사람 검지 시스템을 운용하고, 얻어진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편, 사람 검지 결과가 맞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서, 사람 검지 결과와 정답값을 비교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이 방법에 따르면 정답값이 필요로 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사람이 열화상이나 별도로 설치한 가시 카메라의 화상을 보고 판단하여, 정답값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기간에 걸쳐 보존한 화상으로부터 이 작업을 행하는 데에는 방대한 작업 부담을 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대한 작업 부담을 요하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할 수 있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은, 사람 검지 시스템에서 얻어진 대상 공간에 관한 사람 검지 결과에 대해서 정오를 판정하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으로서, 사람 검지 결과 취득부가, 상기 사람 검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람 검지 결과를 취득하는 사람 검지 결과 취득 단계와, 정오 판정부가, 취득한 상기 사람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사람의 존재 상황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 상황과 비교하고, 상기 존재 상황이 상기 규정 상황과 모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정오 판정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의 일 구성예는, 상기 정오 판정 단계가, 상기 존재 상황이 사람의 출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출현이 검지된 출현 위치가 상기 대상 공간 내에 미리 설정된 규정 영역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의 일 구성예는, 상기 정오 판정 단계가, 상기 존재 상황이 사람의 소멸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소멸이 검지된 소멸 위치가 상기 대상 공간 내에 미리 설정된 규정 영역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는, 사람 검지 시스템에서 얻어진 대상 공간에 관한 사람 검지 결과에 대해서 정오를 판정하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로서, 상기 사람 검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람 검지 결과를 취득하는 사람 검지 결과 취득부와, 취득한 상기 사람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사람의 존재 상황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 상황과 비교하고, 상기 존재 상황이 상기 규정 상황과 모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정오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는 사람이 열화상이나 별도로 설치한 가시 카메라의 화상을 보고 판단하여, 정답값을 작성한다고 하는, 방대한 작업 부담을 요하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얻어진 정오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 검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사람 검지 기술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사람 검지 결과를 나타낸 구성예이다.
도 3은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예(사람 출현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예(사람 소멸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10)는, 전체적으로 서버 장치나 산업용 컨트롤러 등의 정보 처리 장치로 이루어지고, 사람 검지 시스템(20)에서 얻어진 대상 공간(R)에 관한 사람 검지 결과에 대해서 정오를 판정하는 장치이다.
사람 검지 시스템(20)은, 대상 공간(R)의 천장이나 벽에 부착되어 있는 서모파일 어레이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적외선 센서(SP)이며, R 내의 열화상(서모그래피)을 검출하여, 통신 회선(L2)을 통해 각 SP로부터 취득한 열화상으로부터, 사람의 표면 온도를 나타내는 사람 영역을 검색함으로써, R 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검지하는 일반적인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10)에는, 주된 기능부로서, 통신 I/F부(11), 조작 입력부(12), 화면 표시부(13), 기억부(14), 사람 검지 결과 취득부(15) 및 정오 판정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기능부 중, 사람 검지 결과 취득부(15) 및 정오 판정부(16)는, 중앙 처리 장치(CPU)와 프로그램이 협동함으로써 실현되고 있다.
통신 I/F부(11)는, 통신 회선(L1)을 통해 사람 검지 시스템(20)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조작 입력부(12)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조작 입력 장치로 이루어지고, 오퍼레이터의 주사를 검출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화면 표시부(13)는, LCD 등의 화면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고, 메뉴 화면, 설정 화면, 판정 결과 화면 등에 의해, 각종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기억부(14)는, 하드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고, 사람 검지 결과, 규정 영역 위치, 판정 결과 등,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처리에 이용하는 각종 처리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사람 검지 결과 취득부(15)는, 통신 I/F부(11)를 통해 사람 검지 시스템(20)에서 얻어진 사람 검지 결과를 취득하여, 기억부(14)에 보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는 사람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구성예이다. 여기서는, 검지 일시마다, 사람을 검지한 검지 위치가 등록되어 있다.
정오 판정부(16)는, 기억부(14)로부터 취득한 사람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사람의 존재 상황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 상황과 비교하고, 존재 상황이 규정 상황과 모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오 판정부(16)는, 존재 상황이 사람의 출현을 나타내는 경우, 출현이 검지된 출현 위치가 대상 공간(R) 내에 미리 설정된 규정 영역(Q)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기능과, 존재 상황이 사람의 소멸을 나타내는 경우, 소멸이 검지된 소멸 위치가 대상 공간(R) 내에 미리 설정된 규정 영역(Q)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동작]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10)는, 조작 입력부(12)에서 검출된 오퍼레이터 조작이나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도 3의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는, 판정 대상이 되는 사람 검지 결과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처리의 실행에 앞서, 미리 기억부(14)에 시계열로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억부(14)에는, 대상 공간(R) 중, 사람이 출입하는 출입구 부근 등, 사람의 출현 또는 소멸이 출현할 수 있는 영역이, 규정 영역(Q)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사람 검지 결과를 시계열로 검색함으로써, 사람의 출현 또는 소멸을 확인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사람 검지 결과 자체에 사람의 출현 또는 소멸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람의 출현 또는 소멸을 나타내는 사람 검지 결과에 대해서 정오 판정하면 좋다.
우선, 정오 판정부(16)는, 기억부(14)로부터 판정 대상이 되는 사람 검지 결과를 취득하여, 시계열로 검색함으로써, 사람의 출현 또는 소멸을 확인한다(단계 100).
이 검색에 있어서, 어느 시점에서 사람의 존재가 처음으로 검지되고, 사람의 출현이 확인된 경우(단계 101: YES), 정오 판정부(16)는, 사람의 출현 위치(좌표 위치)와 미리 기억부(14)에 설정되어 있는 규정 영역(좌표 위치)(Q)을 비교한다(단계 102).
여기서, 출현 위치가 규정 영역(Q) 내이고, 이 규정 영역(Q) 내에서 사람이 출현했다고 하는 존재 상황이, 사람의 출현은 규정 영역(Q) 내에서 출현한다고 하는 규정 상황과 모순되지 않는 경우(단계 103: YES), 정오 판정부(16)는, 사람의 출현을 나타내는 사람 검지 결과가 맞다고 판정한다(단계 104).
한편, 출현 위치가 규정 영역(Q) 내가 아니라, 이 규정 영역(Q) 밖에서 사람이 출현했다고 하는 존재 상황이, 사람의 출현은 규정 영역(Q) 내에서 출현한다고 하는 규정 상황과 모순되는 경우(단계 103: NO), 정오 판정부(16)는, 사람의 출현을 나타내는 사람 검지 결과가 틀리다고 판정한다(단계 105).
또한, 단계 101에 있어서, 사람의 출현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단계 101: NO), 정오 판정부(16)는, 어느 시점에서 사람의 존재가 검지되지 않게 되어, 사람의 소멸이 확인된 경우(단계 108: YES), 정오 판정부(16)는, 사람의 소멸 위치(좌표 위치)와 미리 기억부(14)에 설정되어 있는 규정 영역(좌표 위치)(Q)을 비교한다(단계 109).
여기서, 소멸 위치가 규정 영역(Q) 내이고, 이 규정 영역(Q) 내에서 사람이 소멸되었다고 하는 존재 상황이, 사람의 소멸은 규정 영역(Q) 내에서 출현한다고 하는 규정 상황과 모순되지 않는 경우(단계 110: YES), 정오 판정부(16)는, 사람의 소멸을 나타내는 사람 검지 결과가 맞다고 판정한다(단계 104).
한편, 소멸 위치가 규정 영역(Q) 내가 아니라, 이 규정 영역(Q) 밖에서 사람이 소멸되었다고 하는 존재 상황이, 사람의 소멸은 규정 영역(Q) 내에서 출현한다고 하는 규정 상황과 모순되는 경우(단계 110: NO), 정오 판정부(16)는, 사람의 소멸을 나타내는 사람 검지 결과가 틀리다고 판정한다(단계 105).
이와 같이 하여, 사람 검지 결과에 대한 정오 판정을 행한 후, 정오 판정부(16)는, 얻어진 판정 결과를 기억부(14)에 보존하고(단계 106), 사람 검지 결과의 검색이 종료되었는지 확인한다(단계 107). 여기서, 검색이 완료되지 않고 미검색의 사람 검지 결과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단계 107: NO), 단계 10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108에 있어서, 사람의 소멸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단계 108: NO), 단계 107로 이행한다.
또한, 검색이 완료되어 미검색의 사람 검지 결과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107: YES), 일련의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동작예]
도 4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예(사람 출현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의 (a)∼(c)는 시각 t1∼t3의 시각순으로, 대상 공간(R)에서 검출된 열화상과 사람 검지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R의 일부(우측 아래)에, 예컨대 R의 출입구에 대응하여, 사람의 출현 또는 소멸이 출현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는 규정 영역(Q)이 설정되어 있다.
우선, 시각 t1에 있어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의 중앙 부근에 사람 P1, P2가 이미 검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 후의 시각 t2에 있어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Q 내에서 사람 P3이 새롭게 검지되어 P3의 출현이 확인된 경우, P3의 출현 위치가 Q 내이기 때문에, P3 출현에 관한 사람 검지 결과는 맞다고 판정된다. 또한 그 후의 시각 t3에 있어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Q 밖에서 사람 P4가 새롭게 검지되어 P4의 출현이 확인된 경우, P4의 출현 위치가 Q 밖이기 때문에, P4 출현에 관한 사람 검지 결과는 틀리다고 판정된다.
도 5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예(사람 소멸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5의 (a)∼(c)는 시각 t1∼t3의 시각순으로, 대상 공간(R)에서 검출된 열화상과 사람 검지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R의 일부(우측 아래)에, 예컨대 R의 출입구에 대응하여, 사람의 출현 또는 소멸이 출현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는 규정 영역(Q)이 설정되어 있다.
우선, 시각 t1에 있어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의 중앙 부근에 사람 P1, P2, P3이 이미 검지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Q 내에 사람 P4가 이미 검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 후의 시각 t2에 있어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Q 내에서 사람 P4가 검지되지 않게 되어 P4의 소멸이 확인된 경우, P4의 소멸 위치가 Q 내이기 때문에, P4 소멸에 관한 사람 검지 결과는 맞다고 판정된다. 또한 그 후의 시각 t3에 있어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Q 밖에서 사람 P3이 검지되지 않게 되어 P3의 소멸이 확인된 경우, P3의 소멸 위치가 Q 밖이기 때문에, P3 소멸에 관한 사람 검지 결과는 틀리다고 판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사람 검지 결과 취득부(15)가, 사람 검지 시스템(20)으로부터 사람 검지 결과를 취득하고, 정오 판정부(16)가, 취득한 사람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사람의 존재 상황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 상황과 비교하고, 존재 상황이 규정 상황과 모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정오 판정부(16)가, 존재 상황이 사람의 출현을 나타내는 경우, 출현이 검지된 출현 위치가 대상 공간(R) 내에 미리 설정된 규정 영역(Q)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고, 존재 상황이 사람의 소멸을 나타내는 경우, 소멸이 검지된 소멸 위치가 대상 공간(R) 내에 미리 설정된 규정 영역(Q)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는 사람이 열화상이나 별도로 설치한 가시 카메라의 화상을 보고 판단하여, 정답값을 작성한다고 하는, 방대한 작업 부담을 요하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얻어진 정오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 검지 시스템(20)에 있어서의 사람 검지 기술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의 확장]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 발명의 스코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10 :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 11 : 통신 I/F부, 12 : 조작 입력, 13 : 화면 표시부, 14 : 기억부, 15 : 사람 검지 결과 취득부, 16 : 정오 판정부, 20 : 사람 검지 시스템, SP : 적외선 센서, R : 대상 공간, Q : 규정 영역, L1, L2 : 통신 회선.

Claims (4)

  1. 사람 검지 시스템에서 얻어진 대상 공간에 관한 사람 검지 결과에 대해서 정오(正誤)를 판정하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에 있어서,
    사람 검지 결과 취득부가, 상기 사람 검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람 검지 결과를 취득하는 사람 검지 결과 취득 단계와,
    정오 판정부가, 취득한 상기 사람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사람의 존재 상황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 상황과 비교하고, 상기 존재 상황이 상기 규정 상황과 모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정오 판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오 판정 단계는, 상기 존재 상황이 사람의 출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출현이 검지된 출현 위치가 상기 대상 공간 내에 미리 설정된 규정 영역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오 판정 단계는, 상기 존재 상황이 사람의 소멸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소멸이 검지된 소멸 위치가 상기 대상 공간 내에 미리 설정된 규정 영역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
  4. 사람 검지 시스템에서 얻어진 대상 공간에 관한 사람 검지 결과에 대해서 정오를 판정하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람 검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람 검지 결과를 취득하는 사람 검지 결과 취득부와,
    취득한 상기 사람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사람의 존재 상황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 상황과 비교하고, 상기 존재 상황이 상기 규정 상황과 모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 검지 결과의 정오를 판정하는 정오 판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검지 결과 판정 장치.
KR1020180065403A 2017-06-28 2018-06-07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 및 장치 KR20190001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5942A JP6917804B2 (ja) 2017-06-28 2017-06-28 人検知結果判定方法および装置
JPJP-P-2017-125942 2017-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09A true KR20190001909A (ko) 2019-01-07

Family

ID=6480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403A KR20190001909A (ko) 2017-06-28 2018-06-07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17804B2 (ko)
KR (1) KR20190001909A (ko)
CN (1) CN109143402A (ko)
SG (1) SG10201805389U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5348B (zh) * 2019-09-20 2023-12-1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檢知系統、機器控制系統、檢知系統之控制方法及電腦程式產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6797A (ja) * 1990-01-20 1991-09-24 Omron Corp 在室検知装置
JP3448471B2 (ja) * 1997-10-02 2003-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人検知の判定方法及び空気調和機
CN102349096B (zh) * 2009-03-09 2014-04-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出入检测装置、监视装置以及出入检测方法
JP5313031B2 (ja) * 2009-04-27 2013-10-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とその人体検知装置
US8410445B2 (en) * 2011-03-30 2013-04-02 Linudix Co., Ltd. Human body sensing apparatus with improved accuracy
US8659230B2 (en) * 2011-06-16 2014-02-25 Panasonic Corporatio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KR101480348B1 (ko) * 2013-05-31 2015-0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람 검출 장치 및 방법과 사람 계수 장치 및 방법
CN105046878A (zh) * 2015-09-10 2015-11-1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方法及系统
CN105357368B (zh) * 2015-09-30 2019-02-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提醒方法及装置
JP2017097510A (ja) * 2015-11-20 2017-06-0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403164B (zh) * 2016-08-31 2019-04-19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器风机转速的控制方法和空调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5348B (zh) * 2019-09-20 2023-12-1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檢知系統、機器控制系統、檢知系統之控制方法及電腦程式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7804B2 (ja) 2021-08-11
JP2019008692A (ja) 2019-01-17
CN109143402A (zh) 2019-01-04
SG10201805389UA (en)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3479B2 (en) Method for providing map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ing the same
CN101101204B (zh) 使用结构光检测移动物体的系统、方法及其移动机器人
US10401825B2 (en) Area occupancy information extraction
JP6639091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10084092B (zh) 用机器学习算法进行温度测量的方法和系统
JP2006067272A (ja) カメラ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及びカメラ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CN109152162B (zh) 照明控制方法及装置
TWI519940B (zh)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cedures
KR102038122B1 (ko) 온도 분포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90001909A (ko) 사람 검지 결과 판정 방법 및 장치
KR20160123227A (ko) 공조 제어 장치
CN104866194B (zh) 图片搜索方法及装置
KR102384742B1 (ko)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
JP6524762B2 (ja) コンテンツ表示制御方法、コンテンツ表示制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18032217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to provide contextual information for a device
CN110475510B (zh) 获取对象的形状信息的方法及装置
US20210356446A1 (en) Analysis assistance device, analysis assist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nalysis assistance program
US114235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estimating real time signal strengths for a wireless router using augmented reality
JP706907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310668B2 (en) Touch screen display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touch screen display system
WO2023032770A1 (ja) 人検知システム、及び、人検知方法
US202400705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102402581B1 (ko) 자동 신호 보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7026890B2 (ja) 動作分析装置、動作分析方法及び動作分析プログラム
JP6973170B2 (ja) 方位変化処理装置、方位変化処理システム、及び方位変化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