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770U - 교반기 - Google Patents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770U
KR20190001770U KR2020180000008U KR20180000008U KR20190001770U KR 20190001770 U KR20190001770 U KR 20190001770U KR 2020180000008 U KR2020180000008 U KR 2020180000008U KR 20180000008 U KR20180000008 U KR 20180000008U KR 20190001770 U KR20190001770 U KR 201900017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ase
driving force
driving source
sti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634Y1 (ko
Inventor
김근오
Original Assignee
김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오 filed Critical 김근오
Priority to KR2020180000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3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5/002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2Measuring of the driving system data, e.g. torque, speed or power data
    • B01F15/0235
    • B01F15/025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3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 B01F35/7173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using a h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7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helical screws
    • B01F7/003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44Hou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일 양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를 정의하는 교반 용기;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공급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는 임펠러;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에 설치되는 제2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 파이프; 상기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공급되는 교반 대상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 호퍼; 상기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 호퍼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로 전달되는 교반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상기 제2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구동원; 및 상기 스크류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스크류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에 감겨지는 구동력 전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스크류는, 상기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기설정된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는, 상기 제1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에 직교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에 감겨지며, 상기 제2베이스는, 상기 스크류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스크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에 기설정된 장력이 발생되는 구동 위치 및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의 장력이 제거되는 탈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교반기{AGITATOR}
본 고안은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교반기란, 재료 물질인 교반 대상물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으로, 선행특허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07702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교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문헌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교반 용기(200)의 내부로 이송 스크류(340)에 의하여 교반 대상물이 공급된다. 이를 위하여 이송 스크류(340)는, 모터와 같은 스크류 구동원(35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선행특허문헌에 명확하게 개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의 위치를 고려하면, 스크류 구동원(350)의 구동력은 벨트나 체인과 같은 구동력 전달 부재에 의하여 이송 스크류(340)에 전달될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벨트나 체인 등은 구동력을 전달을 위하여 소정의 장력이 발생하도록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에 감겨질 것이다. 따라서 벨트나 체인 등은 소정의 장력으로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에 감겨진 상태에서, 이송 스크류(340) 또는/및 스크류 구동원(350)을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벨트나 체인 등을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으로부터 탈거시켜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07702호(명칭: 교반기)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이송 스크류 또는/및 스크류 구동원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일 양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를 정의하는 교반 용기;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공급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는 임펠러;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에 설치되는 제2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 파이프; 상기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공급되는 교반 대상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 호퍼; 상기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 호퍼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로 전달되는 교반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상기 제2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구동원; 및 상기 스크류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스크류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에 감겨지는 구동력 전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스크류는, 상기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기설정된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는, 상기 제1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에 직교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에 감겨지며, 상기 제2베이스는, 상기 스크류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스크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에 기설정된 장력이 발생되는 구동 위치 및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의 장력이 제거되는 탈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제1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2베이스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베이스에 상기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 및 상기 제1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상기 가이드 슬롯 상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제2베이스가 상기 구동 위치에서 상기 탈거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2베이스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제1베이스에 고정되는 구동 브라켓; 상기 구동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제2베이스에 고정되는 구동 바아; 상기 구동 브라켓에 핀 연결되는 핸들 바아; 및 상기 구동 바아의 타단 및 상기 핸들 바아의 일측에 각각 그 양단이 핀 연결되는 연결편; 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스크류 구동원 및 구동력 전달 부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스크류 구동원 및 구동력 전달 부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다른 양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를 정의하는 교반 용기;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공급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는 임펠러;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교반 챔버와 저장 호퍼를 연통시키는 공급 파이프; 상기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공급되는 교반 대상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 호퍼; 상기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 호퍼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로 전달되는 교반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구동원; 및 상기 스크류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스크류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에 감겨지는 구동력 전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에 감겨진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에서는,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에 감겨지는 구동력 전달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의 거리가 조절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 사이의 거리를 기설정된 거리 이하로 감소시켜서 구동력 전달 부재를 이송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원으로부터 탈거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이송 스크류 또는/및 스크류 구동원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를 보인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는, 프레임(100), 교반 용기(200), 공급부(300), 임펠러(400), 임펠러 구동원(500), 메쉬 부재(600), 및 수납 용기(700), 및 승하강 구동원(8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부(300)에서 상기 교반 용기(200)로 연속적으로 교반 대상물이 공급되고, 상기 교반 용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임펠러(400)에 의하여 교반된 교반 대상물이 연속적으로 상기 수납 용기(700)로 배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기 교반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100)에 제1 및 제2설치 플레이트(110)(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설치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교반 용기(200), 공급부(300) 및 임펠러(400)가 설치되고, 상기 제2설치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수납 용기(7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설치 플레이트(110)가 상기 제2설치 플레이트(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설치 플레이트(110)에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연통 개구(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설치 플레이트(1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통 개구(111)의 직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에 대하여 상하로 승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 용기(200)는, 상기 제1설치 플레이트(110), 실질적으로 상기 연통 개구(111) 상에 설치되고,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200S)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반 용기(200)가, 용기 바디(210), 용기 커버(220), 힌지부(230), 및 록킹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바디(210)는, 상기 제1설치 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측판 부재(211) 및 테두리 부재(212)를 포함한다. 상기 측판 부재(21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A)에 직교되게 배치된다. 상기 테두리 부재(212)는, 상기 측판 부재(211)의 외주연에서 직교되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측판 부재(211) 및 테두리 부재(212)에 의하여 상기 용기 바디(210)는, 일측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200S)가 정의된다.
상기 용기 커버(220)는, 상기 제1설치 플레이트(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 바디(210)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용기 커버(220)는, 상기 측판 부재(211)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선단과 접촉되어 상기 용기 바디(210)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차폐한다.
상기 힌지부(230)는, 상기 용기 커버(220)를 상기 용기 바디(2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설치 플레이트(110) 상에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부(230)의 일단은 상기 용기 커버(220)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230)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1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용기 커버(220)가 상기 용기 바디(210)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커버(220)가 상기 용기 바디(210)에 대하여 임의로 회동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록킹 부재로는, 상기 용기 커버(220)가 상기 용기 바디(210)를 차폐한 상태에서, 양자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교반 용기(200)에는, 공급 개구(240) 및 배출 개구(25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 개구(240)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공급받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배출 개구(250)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서 교반된 교반 대상물이 상기 교반 챔버(200S)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 개구(240)는, 상기 회전축(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용기 커버(2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개구(250)는, 상기 회전축(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 개구(250)는, 상기 연통 개구(111)의 하방에서 상기 제2설치 플레이트(120), 실질적으로 상기 제2설치 플레이트(120)에 설치된 상기 수납 용기(700)와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부(300)가, 제1베이스(311), 제2베이스(312), 공급 파이프(320), 저장 호퍼(330), 이송 스크류(340), 스크류 구동원(350) 및 구동력 전달 부재(3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300)는, 가이드 부재(370), 구동 기구(380), 커버부(391) 및 잠금 부재(3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베이스(311)는, 상기 프레임(300),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설치 플레이트(110) 상에 기설정된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베이스(312)는, 상기 제1베이스(311)에 대하여 제1방향에 직교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1방향'은, 도 2 및 도 3에서 도면상 좌우 방향이고, '제2방향'은, 도 2 및 도 3에서 도면상 전후 방향 또는 도 4 및 도 5에서 도면상 좌우 방향이다.
상기 공급 파이프(320)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급 파이프(320)는, 상기 제1설치 플레이트(110)에 대한 상기 제1베이스(311)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공급 개구(240)와 저장 호퍼(330)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 파이프(320)가,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는, 상기 제1베이스(311)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저장 호퍼(330)의 하단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는, 상기 용기 커버(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공급 개구(240)와 연통된다.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의 타단은, 상기 제1설치 플레이트(110)에 대한 상기 제1베이스(311)의 이동에 따라서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타단에는, 삽입부(32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의 타단에는, 삽입 안내부(322A)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21A)는,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정의되고, 상기 삽입 안내부(322A)는,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정의된다. 상기 삽입부(321A)가 상기 삽입 안내부(322A)에 삽입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의 타단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저장 호퍼(330)에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공급되는 교반 대상물이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 호퍼(330)는, 그 하단이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일단과 연통되어 그 내부에 저장된 교반 대상물이 그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스크류(340)는,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저장 호퍼(330)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320)로 전달되는 교반 대상물을 상기 공급 개구(240)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 스크류(340)는,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의 내부에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이송 스크류(340)는,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의 타단이 서로 연결되면 그 선단 일부가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의하여 상기 공급 개구(240)로의 교반 대상물의 이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스크류(340)의 후단에는,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켜서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전달하는 감속기(34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은, 상기 이송 스크류(34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로는,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312) 상에 설치되는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는,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으로, 예를 들면,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에 감겨지는 벨트나 체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가 상기 감속기(341) 및 스크류 구동원(350)에 감겨질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는,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베이스(311)에 대한 상기 제2베이스(312)의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311)(312)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에 소정의 장력이 발생되거나,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의 장력이 제거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에 소정의 장력이 발생되는 상기 제1베이스(311)에 대한 상기 제2베이스(312)의 위치를 '구동 위치'라 칭하고,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의 장력이 제거되는 상기 제1베이스(311)에 대한 상기 제2베이스(312)의 위치를 '탈거 위치'라 칭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370)는, 상기 제1베이스(311)에 대한 상기 제2베이스(312)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370)는, 한쌍의 가이드 슬롯(371) 및 가이드 돌기(37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슬롯(371)은, 상기 제2베이스(312)에 상기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372)는, 상기 제1베이스(311)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상기 가이드 슬롯(371) 상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371)의 길이는, 상기 구동 위치 및 탈거 위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것이다.
상기 구동 기구(380)는, 상기 제2베이스(312)가 상기 구동 위치에서 상기 탈거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베이스(311)에 대하여 상기 제2베이스(312)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킨다.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 기구(380)는,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도록 상기 제1베이스(311)에 대하여 상기 제2베이스(312)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기구(380)가, 구동 브라켓(381), 구동 바아(383), 핸들 바아(385) 및 연결편(387)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 브라켓(381)은,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을 중심으로 상기 이송 스크류(34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1베이스(31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바아(383)는, 상기 구동 브라켓(381)을 관통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 브라켓(381)이 상기 구동 브라켓(381)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브라켓(381)의 일단은, 상기 제2베이스(312)에 고정된다. 상기 핸들 바아(385)는, 상기 구동 브라켓(381)에 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387)은, 상기 구동 바아(383)의 타단 및 상기 핸들 바아(385)의 일측에 각각 그 양단이 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91)는, 적어도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 및 구동력 전달 부재(360)를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391)가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311)(3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잠금 부재(392)는, 상기 커버부(391)가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 및 구동력 전달 부재(360)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311)(312)에 대한 상기 커버부(391)의 회동을 제한한다. 상기 잠금 부재(392)로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임펠러(400)는, 상기 공급 개구(240)를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공급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여 상기 배출 개구(250)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임펠러(400)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 수평 방향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임펠러(400)는, 허브(410), 다수개의 블레이드(420), 및 다수개의 교반 돌기(430)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410)는, 예를 들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A)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420)는, 상기 허브(410)의 외주연에서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교반 돌기(430)는, 상기 블레이드(420)의 선단에서 상기 회전축(A)에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다.
한편, 상기 임펠러 구동원(500)은,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임펠러 구동원(500)으로는,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는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 부재(600)는, 상기 배출 개구(250) 상에 설치된다. 상기 메쉬 부재(600)에는, 상기 임펠러(400)에 의하여 상기 배출 개구(250)로 유동되는 교반 대상물이 통과되는 다수개의 배출 통공(6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400), 실질적으로 상기 교반 돌기(430)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유동되는 교반 대상물이 상기 배출 통공(610)을 통과하면서 추가적으로 교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 용기(700)에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서 교반되어 상기 메쉬 부재(600)를 통과하여 상기 교반 챔버(200S)의 외부로 배출되는 교반 대상물이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 용기(700)가, 상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설치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개방된 상면이 상기 배출 개구(250)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 구동원(800)은, 상기 제2설치 플레이트(120), 실질적으로 상기 수납 용기(700)를 상하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하강 구동원(800)이 상기 수납 용기(7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상기 배출 개구(250)가 형성되는 상기 교반 용기(200)의 하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수납 용기(700)를 상하로 승하강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승하강 구동원(800)으로는, 상기 수납 용기(7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나 공압 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300), 실질적으로 이송 스크류(340)의 회전에 의하여 저장 호퍼(330)에 저장된 교반 대상물이 공급 파이프(320), 즉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를 통하여 교반 용기(200), 즉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임펠러(400)가 회전하면, 교반 돌기(430) 및 보조 교반 돌기(27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서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어 배출 개구(250)를 통하여 상기 교반 용기(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되는 교반 대상물은, 상기 교반 돌기(430)에 의하여 유동되면서 메쉬 부재(600), 즉 배출 통공(610)을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200S)의 외부로 배출되어 수납 용기(700)에 수납될 것이다.
이때 상기 수납 용기(700)는, 제2설치 플레이트(1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승하강 구동원(800)에 의하여 승강하여 그 개방된 상면이 상기 배출 개구(250)가 형성되는 상기 교반 용기(200)의 하부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 개구(250)를 통하여 배출되는 교반 대상물이 상기 수납 용기(700)의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베이스(312)가 제1베이스(311)에 대하여 구동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구동력 전달 부재(360)에 장력이 발생됨으로써, 스크류 구동원(350)의 구동력이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에 의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전달된다.
한편, 상기 교반 용기(200)의 내부의 청소 등을 위하여 교반 챔버(200S)의 내부를 개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300)를 상기 교반 용기(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실질적으로, 제1베이스(311)가 프레임(100) 상에서 도 3에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 저장 호퍼(330),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이 상기 교반 용기(200)로부터 이격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 커버(220)를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용기 바디(210)의 일측면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는, 상기 용기 커버(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커버(220)와 함께 회동할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교반 용기(200)의 내부에 잔존하는 교반 대상물을 제거하거나 상기 교반 용기(200)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 및 이송 스크류(340)의 청소를 위해서는, 상기 이송 스크류(340)를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구(380)를 조작하여 상기 제2베이스(312)를 상기 구동 위치에서 탈거 위치로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 바아(385)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연결편(387)에 의하여 상기 핸들 바아(385)에 연결된 구동 바아(383)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바아(383)의 일단이 고정된 상기 제2베이스(312)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탈거 위치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베이스(312)가 상기 탈거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의 장력이 제거된다.
다음으로, 잠금 부재(392)를 조작한 후 커버부(391)를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311)(312)에 대하여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 및 구동력 전달 부재(360)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 및 구동력 전달 부재(360)가 개방되면,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를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으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이송 스크류(340)를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기구(380)에 의하여 상기 제2베이스(312)가 상기 구동 위치에서 상기 탈거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커버부(391)가 회동하여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 및 구동력 전달 부재(360)가 개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구동 기구(380)에 의하여 상기 제2베이스(312)의 이동과 상기 커버부(391)의 회동은 반대의 순서 또는 상호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100: 프레임 200: 교반 용기
300: 공급부 311: 제1베이스
312: 제2베이스 320: 공급 파이프
330: 저장 호퍼 340: 이송 스크류
350: 스크류 구동원 360: 구동력 전달 부재
370: 가이드 부재 380: 구동 기구
391: 커버부 400: 임펠러
500: 임펠러 구동원 600: 메쉬 부재
700: 수납 용기 800: 승하강 구동원

Claims (8)

  1.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고,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200S)를 정의하는 교반 용기(200);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300); 및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공급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는 임펠러(400);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300)는,
    상기 프레임(300)에 설치되는 제1베이스(311);
    상기 제1베이스(311)에 설치되는 제2베이스(312);
    상기 제1베이스(311)에 고정되고,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이 공급되는 공급 파이프(320);
    상기 공급 파이프(320)를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공급되는 교반 대상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 호퍼(330);
    상기 공급 파이프(3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 호퍼(330)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320)로 전달되는 교반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340);
    상기 제2베이스(312)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34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구동원(350); 및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에 감겨지는 구동력 전달 부재(360);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스크류(340)는, 상기 공급 파이프(320)의 내부에 기설정된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312)는, 상기 제1베이스(311)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에 직교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는,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에 감겨지며,
    상기 제2베이스(312)는,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에 기설정된 장력이 발생되는 구동 위치 및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의 장력이 제거되는 탈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베이스(311)에 대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교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311)에 대한 상기 제2베이스(312)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370)를 더 포함하는 교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370)는,
    상기 제2베이스(312)에 상기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371); 및
    상기 제1베이스(311)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상기 가이드 슬롯(371) 상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372); 를 포함하는 교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312)가 상기 구동 위치에서 상기 탈거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베이스(311)에 대하여 상기 제2베이스(312)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380)를 더 포함하는 교반기.
  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380)는,
    상기 제1베이스(311)에 고정되는 구동 브라켓(381);
    상기 구동 브라켓(381)을 관통하여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제2베이스(312)에 고정되는 구동 바아(383);
    상기 구동 브라켓(381)에 핀 연결되는 핸들 바아(385); 및
    상기 구동 바아(383)의 타단 및 상기 핸들 바아(385)의 일측에 각각 그 양단이 핀 연결되는 연결편(387); 을 포함하는 교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311)(3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 및 구동력 전달 부재(36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391)를 더 포함하는 교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391)가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 및 구동력 전달 부재(360)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311)(312)에 대한 상기 커버부(391)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 부재(392)를 더 포함하는 교반기.
  8.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고,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200S)를 정의하는 교반 용기(200);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300); 및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공급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는 임펠러(400);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300)는,
    상기 교반 챔버(200S)와 저장 호퍼(330)를 연통시키는 공급 파이프(320);
    상기 공급 파이프(320)를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공급되는 교반 대상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 호퍼(330);
    상기 공급 파이프(3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 호퍼(330)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320)로 전달되는 교반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340);
    상기 이송 스크류(34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구동원(350); 및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에 감겨지는 구동력 전달 부재(360);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에 감겨진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36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교반기.


KR2020180000008U 2018-01-02 2018-01-02 교반기 KR200493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08U KR200493634Y1 (ko) 2018-01-02 2018-01-02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08U KR200493634Y1 (ko) 2018-01-02 2018-01-02 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70U true KR20190001770U (ko) 2019-07-10
KR200493634Y1 KR200493634Y1 (ko) 2021-05-06

Family

ID=6722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008U KR200493634Y1 (ko) 2018-01-02 2018-01-02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3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27B1 (ko) * 2007-05-11 2007-12-21 김용길 풀리구동장치의 풀리조절장치
KR20170097959A (ko) * 2016-02-19 2017-08-29 김정자 교반기
KR101807702B1 (ko) 2016-02-19 2017-12-11 김정자 교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27B1 (ko) * 2007-05-11 2007-12-21 김용길 풀리구동장치의 풀리조절장치
KR20170097959A (ko) * 2016-02-19 2017-08-29 김정자 교반기
KR101807702B1 (ko) 2016-02-19 2017-12-11 김정자 교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634Y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600B1 (ko) 고추 가공기
KR20190001770U (ko) 교반기
KR20010080788A (ko) 사료운반용 탱크차량의 이송스크류 구동장치
KR101834513B1 (ko) 교반기
CN110127336A (zh) 一种自动化生产用机器人
TWI454362B (zh) The material supply device of the forming machine
KR101807702B1 (ko) 교반기
CN213528199U (zh) 一种折叶式搅拌装置
CN215790950U (zh) 一种具有防堵机构的塑料制品加工用原料预处理装置
CN214076297U (zh) 一种螺旋混料机卸料机构
CN215086847U (zh) 一种便于上下料的混合机
KR101148008B1 (ko) 원료 배합장치
KR200489474Y1 (ko)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CN207973257U (zh) 上料机
WO2001098042A2 (en) Rotary cutter
US10046915B2 (en) Transportation system with magnetic clutch
CN212824176U (zh) 一种金属制品加工水冷工作台
KR101745828B1 (ko) 교반기
CN214131198U (zh) 一种活性白土制浆机
KR200335275Y1 (ko) 사료 배합장치
CN211411765U (zh) 用于浆料的搅拌装置
CN117359832B (zh) 一种破碎塑料上料机
JP3922578B2 (ja) 堆肥散布機の堆肥供給ホッパー
KR0136000Y1 (ko) 부품 공급장치
CN214345878U (zh) 异形树脂纽扣的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468;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4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213

Effective date: 202103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