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513B1 - 교반기 - Google Patents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513B1
KR101834513B1 KR1020160019706A KR20160019706A KR101834513B1 KR 101834513 B1 KR101834513 B1 KR 101834513B1 KR 1020160019706 A KR1020160019706 A KR 1020160019706A KR 20160019706 A KR20160019706 A KR 20160019706A KR 101834513 B1 KR101834513 B1 KR 101834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frame
supply pipe
stirre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7959A (ko
Inventor
김정자
Original Assignee
김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오 filed Critical 김근오
Priority to KR1020160019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5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97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04
    • B01F15/00519
    • B01F15/00831
    • B01F15/02
    • B01F15/0235

Landscapes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일 양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를 정의하며,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공급받기 위한 공급 개구 및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에서 교반된 교반 대상물이 상기 교반 챔버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개구가 형성되는 교반 용기; 상기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에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급 개구를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공급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여 상기 배출 개구로 유동시키는 임펠러;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임펠러 구동원; 상기 배출 개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하여 상기 배출 개구로 유동되는 교반 대상물이 통과되는 다수개의 배출 통공이 형성되는 메쉬 부재; 및 상기 메쉬 부재를 통과한 교반 대상물이 수납되는 수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용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에 직교되게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측판 부재 및 상기 측판 부재의 외주연에서 직교되게 연장되는 테두리 부재에 의하여 일측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교반 챔버가 정의되는 용기 바디; 상기 용기 바디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측판 부재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 부재의 선단과 접촉되는 용기 커버; 상기 용기 커버를 상기 용기 바디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용기 커버가 상기 용기 바디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커버가 상기 용기 바디에 대하여 임의로 회동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록킹 부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반기{AGITATOR}
본 발명은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교반기란, 재료 물질인 교반 대상물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으로,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22591호) 및 특허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8675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교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특허문헌 1에서는, 교반부(200)를 구성하는 회전자(210) 및 고정자(220)가 용기(11)에 대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용기(11)의 내부에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거나 교반된 교반 대상물을 용기(11)의 외부로 배출한다. 즉, 회전자(210) 및 고정자(220)가 승강하여 용기(11)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회전자(210)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고, 회전자(210) 및 고정자(220)가 하강하여 용기(11)의 외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용기(11)의 외부로 교반된 교반 대상물이 배출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챔버부(10)의 수용 공간(S)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22)에 의하여 수용 공간(S)의 내부에 수용된 혼합물이 교반된다. 그리고 임펠러(22)는, 회전축(21)의 선단에서 90°의 중심각만큼 서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4개의 교반날개(22a)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교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교반 대상물의 교반을 위한 임펠러가 실질적으로 회전자(210)와 고정자(220)를 포함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의하면, 교반기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특허문헌 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지만, 임펠러(22)의 회전에 의해서만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므로, 교반 대상물의 보다 효율적인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교반 대상물의 배출을 위해서는 회전자(210) 및 고정자(220)의 승하강 동작을 필요로 하고,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임펠러(22)의 승하강 또는/및 용기부(10)의 틸팅이나 별도의 교반 대상물의 배출을 위한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 및 2의 경우에는, 교반된 교반 대상물의 배출이 번거로워지는 단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특허문헌 1 및 2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용기(11) 또는 챔버부(10)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투입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교반 용기 또는 교반 챔버에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경우에는, 교반 용기 또는 교반 챔버에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가 연결되므로, 이송부의 세척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22591호(명칭: 균질혼련기의 교반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8675호(명칭: 교반기 및 임펠러 세척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효율적인 교반 대상물의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교반된 교반 대상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속적인 교반 대상물의 공급시에도 이송부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일 양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를 정의하며,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공급받기 위한 공급 개구 및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에서 교반된 교반 대상물이 상기 교반 챔버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개구가 형성되는 교반 용기; 상기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에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급 개구를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공급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여 상기 배출 개구로 유동시키는 임펠러;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임펠러 구동원; 상기 배출 개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하여 상기 배출 개구로 유동되는 교반 대상물이 통과되는 다수개의 배출 통공이 형성되는 메쉬 부재; 및 상기 메쉬 부재를 통과한 교반 대상물이 수납되는 수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용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에 직교되게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측판 부재 및 상기 측판 부재의 외주연에서 직교되게 연장되는 테두리 부재에 의하여 일측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교반 챔버가 정의되는 용기 바디; 상기 용기 바디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측판 부재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 부재의 선단과 접촉되는 용기 커버; 상기 용기 커버를 상기 용기 바디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용기 커버가 상기 용기 바디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커버가 상기 용기 바디에 대하여 임의로 회동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록킹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급 개구는, 상기 회전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개구는, 상기 회전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두리 부재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베이스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공급 개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공급 파이프; 상기 공급 파이프와 하단이 연통되고, 상기 교반 챔버의 내부로 공급되는 교반 대상물이 저장되는 저장 호퍼; 상기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저장 호퍼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로 전달되는 교반 대상물을 상기 공급 개구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구동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는, 그 일단이 상기 저장 호퍼의 하단과 연통되는 제1공급 파이프; 및 그 일단이 상기 공급 개구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공급 파이프의 타단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공급 파이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공급 파이프의 타단에는, 상기 제1공급 파이프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정의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급 파이프의 타단에는, 상기 제2공급 파이프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정의되고,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삽입 안내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이송 스크류는, 상기 제1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의 타단이 서로 연결되면 그 선단 일부가 상기 제2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 돌기 및 보조 교반 돌기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교반 대상물이 교반됨과 동시에 메쉬 부재의 배출 통공을 통과하면서 교반 대상물의 추가적인 교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효율적인 교반 대상물의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 대상물이 배출 통공을 통하여 교반 용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교반 대상물이 교반 용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반 용기에 대하여 공급부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반 용기로의 연속적인 교반 대상물의 공급 및 교반 용기와 공급부의 용이한 세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부분 절결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부분 절결 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작용을 보인 작업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부분 절결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부분 절결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는, 프레임(100), 교반 용기(200), 공급부(300), 임펠러(400), 임펠러 구동원(500), 메쉬 부재(600), 및 수납부(7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부(300)에서 상기 교반 용기(200)로 연속적으로 교반 대상물이 공급되고, 상기 교반 용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임펠러(400)에 의하여 교반된 교반 대상물이 연속적으로 상기 수납부(700)로 배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기 교반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이때 적어도 상기 교반 용기(200), 공급부(300) 및 임펠러(400)는, 상기 수납부(7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 용기(200)는,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고,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200S)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반 용기(200)가, 용기 바디(210), 용기 커버(220), 힌지부(230), 및 록킹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바디(210)는,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측판 부재(211) 및 테두리 부재(212)를 포함한다. 상기 측판 부재(21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A)에 직교되게 배치된다. 상기 테두리 부재(212)는, 상기 측판 부재(211)의 외주연에서 직교되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측판 부재(211) 및 테두리 부재(212)에 의하여 상기 용기 바디(210)는, 일측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200S)가 정의된다.
상기 용기 커버(220)는, 상기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 바디(210)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용기 커버(220)는, 상기 측판 부재(211)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선단과 접촉되어 상기 용기 바디(210)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차폐한다.
상기 힌지부(230)는, 상기 용기 커버(220)를 상기 용기 바디(2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00) 상에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부(230)의 일단은 상기 용기 커버(220)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230)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1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용기 커버(220)가 상기 용기 바디(210)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커버(220)가 상기 용기 바디(210)에 대하여 임의로 회동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록킹 부재로는, 상기 용기 커버(220)가 상기 용기 바디(210)를 차폐한 상태에서, 양자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교반 용기(200)에는, 공급 개구(240) 및 배출 개구(25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 개구(240)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공급받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배출 개구(250)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서 교반된 교반 대상물이 상기 교반 챔버(200S)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 개구(240)는, 상기 회전축(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용기 커버(2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개구(250)는, 상기 회전축(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반 용기(200)에 설치 슬롯(260)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 슬롯(260)은, 상기 메쉬 부재(600)가 설치되는 곳으로, 상기 용기 커버(220)와 접촉되는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선단 일부가 상기 측판 부재(211)를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 용기(200)에는, 다수개의 보조 교반 돌기(27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교반 돌기(270)는, 상기 임펠러(400), 실질적으로 후술할 교반 돌기(4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교반 대상물을 교반한다. 상기 보조 교반 돌기(270)는, 상기 배출 개구(250)를 제외한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내면에 연속적으로 구비되고, 그 선단이 교반 돌기(43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보조 교반 돌기(270)는, 제1 및 제2경사면(271)(27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경사면(271)은,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내면에서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일측에 접하는 접선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1각도(α1)로 연장된다. 상기 제2경사면(272)은, 상기 제1경사면(271)에 비하여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되고,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내면에서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타측에 접하는 접선에 대하여 상기 제1각도(α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기설정된 제2각도(α2)로 연장되어 그 선단이 상기 제1경사면(271)의 선단에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조 교반 돌기(270)는,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에서는 완만한 각도로 경사지고, 상대적으로 하류측에서 급한 각도로 경사진다.
이는, 교반 대상물이 상기 임펠러(400), 즉 교반 돌기(430) 및 상기 보조 교반 돌기(27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교반됨과 동시에 양자 사이를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대적으로 교반 대상물과 선접촉되는 상기 제1경사면(271)은, 교반 돌기(430) 및 상기 보조 교반 돌기(270) 사이의 거리가 완만하게 감소됨으로써, 교반 대상물이 교반 돌기(430) 및 상기 보조 교반 돌기(27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가압되면서 교반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완만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교반 대상물과 후접촉되는 상기 제2경사면(272)은, 교반 돌기(430) 및 상기 보조 교반 돌기(270) 사이의 거리가 급격하게 증가됨으로써, 교반 돌기(430) 및 상기 보조 교반 돌기(27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가압된 교반 대상물이 신속하게 확산되어 교반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급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300)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부(300)가, 베이스(310), 공급 파이프(320), 저장 호퍼(330),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310)는, 상기 프레임(10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310)는, 상기 교반 용기(200)에 인접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 파이프(320)는, 상기 프레임(100)에 대한 상기 베이스(31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공급 개구(240)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 파이프(320)가,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는, 상기 베이스(3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저장 호퍼(330)의 하단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는, 상기 용기 커버(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공급 개구(240)와 연통된다.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100)에 대한 상기 베이스(310)의 이동에 따라서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타단에는, 삽입부(32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의 타단에는, 삽입 안내부(322A)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21A)는,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정의되고, 상기 삽입 안내부(322A)는,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정의된다. 상기 삽입부(321A)가 상기 삽입 안내부(322A)에 삽입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의 타단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저장 호퍼(330)에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공급되는 교반 대상물이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 호퍼(330)는, 그 하단이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일단과 연통되어 그 내부에 저장된 교반 대상물이 그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스크류(340)는,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저장 호퍼(330)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320)로 전달되는 교반 대상물을 상기 공급 개구(240)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 스크류(340)는,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의 타단이 서로 연결되면 그 선단 일부가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의하여 상기 공급 개구(240)로의 교반 대상물의 이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은, 상기 이송 스크류(34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류 구동원(350)로는, 상기 이송 스크류(340)에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310) 상에 설치되는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펠러(400)는, 상기 공급 개구(240)를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공급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여 상기 배출 개구(250)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임펠러(400)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 수평 방향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임펠러(400)는, 허브(410), 다수개의 블레이드(420), 및 다수개의 교반 돌기(430)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410)는, 예를 들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A)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420)는, 상기 허브(410)의 외주연에서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교반 돌기(430)는, 상기 블레이드(420)의 선단에서 상기 회전축(A)에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반 돌기(430)에 안내부(431) 및 가압부(432)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431)은,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되는 상기 교반 돌기(430)의 선단에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431)은, 상기 교반 돌기(430) 및 보조 교반 돌기(270) 사이에 위치되는 교반 대상물에 의한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 저항을 감소시키기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내부(431)은, 상대적으로 상기 보조 교반 돌기(27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교반 돌기(430)의 선단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 또는 기설정된 곡률로 만곡되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432)는,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되는 상기 교반 돌기(430)의 후단에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432)는, 상기 교반 돌기(430) 및 보조 교반 돌기(27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교반 대상물을 가압하여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부(432)는, 상기 안내부(43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보조 교반 돌기(270)에 인접되도록 위치된다.
한편 상기 임펠러 구동원(500)은,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임펠러 구동원(500)으로는,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는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 부재(600)는, 상기 배출 개구(250) 상에 설치된다. 상기 메쉬 부재(600)에는, 상기 임펠러(400)에 의하여 상기 배출 개구(250)로 유동되는 교반 대상물이 통과되는 다수개의 배출 통공(6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400), 실질적으로 상기 교반 돌기(430)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유동되는 교반 대상물이 상기 배출 통공(610)을 통과하면서 추가적으로 교반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쉬 부재(600)가 상기 배출 개구(250)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 슬롯(260)에 삽입된다.
상기 수납부(700)에는,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서 교반되어 상기 메쉬 부재(600)를 통과하여 상기 교반 챔버(200S)의 외부로 배출되는 교반 대상물이 수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납부(700)는, 상기 배출 개구(250)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프레임(100) 또는 바닥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반기의 작용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먼저 공급부(300), 실질적으로 이송 스크류(340)의 회전에 의하여 저장 호퍼(330)에 저장된 교반 대상물이 공급 파이프(320), 즉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를 통하여 교반 용기(200), 즉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임펠러(400)가 회전하면, 교반 돌기(430) 및 보조 교반 돌기(27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서 교반 대상물이 교반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되는 교반 대상물은, 상기 교반 돌기(430)에 의하여 유동되면서 메쉬 부재(600), 즉 배출 통공(610)을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200S)의 외부로 배출되어 수납부(700)에 수납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반 돌기(430) 및 보조 교반 돌기(270)의 형상이, 교반 대상물의 교반 및 유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교반 대상물이 상기 배출 통공(6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교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교반 대상물의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교반 대상물의 교반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공급부(300)를 상기 교반 용기(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킨다. 실질적으로, 베이스(310)가 프레임(100) 상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 저장 호퍼(330), 이송 스크류(340), 및 스크류 구동원(350)이 상기 교반 용기(200)로부터 이격될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커버(220)를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용기 바디(210)의 일측면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는, 상기 용기 커버(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커버(220)와 함께 회동할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교반 용기(200)의 내부에 잔존하는 교반 대상물을 제거하거나 상기 교반 용기(200)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 저장 호퍼(330), 및 이송 스크류(340)에 잔존하는 교반 대상물의 제거나 세척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교반기 100: 프레임
200: 교반 용기 300: 공급부
400: 임펠러 500: 임펠러 구동원
600: 메쉬 부재 700: 수납부

Claims (6)

  1.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고, 교반 대상물이 교반되는 교반 챔버(200S)를 정의하며,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공급받기 위한 공급 개구(240) 및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서 교반된 교반 대상물이 상기 교반 챔버(200S)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개구(250)가 형성되는 교반 용기(200);
    상기 프레임(10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교반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300);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에 수평 방향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급 개구(240)를 통하여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공급된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여 상기 배출 개구(250)로 유동시키는 임펠러(400);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40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임펠러 구동원(500);
    상기 배출 개구(25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400)에 의하여 상기 배출 개구(250)로 유동되는 교반 대상물이 통과되는 다수개의 배출 통공(610)이 형성되는 메쉬 부재(600); 및
    상기 메쉬 부재(600)를 통과한 교반 대상물이 수납되는 수납부(700); 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용기(200)는,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A)에 직교되게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측판 부재(211) 및 상기 측판 부재(211)의 외주연에서 직교되게 연장되는 테두리 부재(212)에 의하여 일측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교반 챔버(200S)가 정의되는 용기 바디(210);
    상기 용기 바디(210)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측판 부재(211)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선단과 접촉되는 용기 커버(220);
    상기 용기 커버(220)를 상기 용기 바디(2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00) 상에 지지하는 힌지부(230); 및
    상기 용기 커버(220)가 상기 용기 바디(210)의 개방되는 일측면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커버(220)가 상기 용기 바디(210)에 대하여 임의로 회동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록킹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300)는,
    상기 프레임(10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310);
    상기 프레임(100)에 대한 상기 베이스(31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공급 개구(24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공급 파이프(320);
    상기 공급 파이프(320)와 하단이 연통되고, 상기 교반 챔버(200S)의 내부로 공급되는 교반 대상물이 저장되는 저장 호퍼(330);
    상기 공급 파이프(320)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저장 호퍼(330)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320)로 전달되는 교반 대상물을 상기 공급 개구(240)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340); 및
    상기 베이스(3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34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구동원(350);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파이프(320)는,
    그 일단이 상기 저장 호퍼(330)의 하단과 연통되는 제1공급 파이프(321); 및
    그 일단이 상기 공급 개구(240)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타단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공급 파이프(322);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스크류(340)는,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공급 파이프(321)(322)의 타단이 서로 연결되면 그 선단 일부가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의 내부에 위치되는 교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개구(240)는, 상기 회전축(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용기 커버(2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개구(250)는, 상기 회전축(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두리 부재(21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교반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타단에는, 상기 제1공급 파이프(321)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정의되는 삽입부(32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의 타단에는, 상기 제2공급 파이프(322)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정의되고, 상기 삽입부(321A)가 삽입되는 삽입 안내부(322A)가 형성되는 교반기.
  6. 삭제
KR1020160019706A 2016-02-19 2016-02-19 교반기 KR101834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706A KR101834513B1 (ko) 2016-02-19 2016-02-19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706A KR101834513B1 (ko) 2016-02-19 2016-02-19 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959A KR20170097959A (ko) 2017-08-29
KR101834513B1 true KR101834513B1 (ko) 2018-03-05

Family

ID=5976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706A KR101834513B1 (ko) 2016-02-19 2016-02-19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34Y1 (ko) * 2018-01-02 2021-05-06 김근오 교반기
CN111873173B (zh) * 2020-08-10 2021-07-23 重庆绸缪建材有限公司 一种便于添加缓凝剂的混凝土搅拌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320Y1 (ko) * 2000-07-11 2000-12-01 권세환 곡물가루 분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320Y1 (ko) * 2000-07-11 2000-12-01 권세환 곡물가루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959A (ko)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513B1 (ko) 교반기
JP4797006B2 (ja) ミキサー装置
KR102216068B1 (ko) 교반 기능이 포함된 절삭유 저장 및 공급 장치
KR101807702B1 (ko) 교반기
US72704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ng pigmentation to concrete mix
CN108227435A (zh) 调色剂容器以及图像形成装置
KR200472745Y1 (ko) 오거피더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장치
JP2005132427A (ja) 粉体原料計量タンク
JP2007044152A (ja) 粉末原料供給装置
CN110623049A (zh) 一种卧式斩拌机
JP2007271684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207446024U (zh) 搅拌机
KR20090030694A (ko) 사료용 믹서기
KR200493634Y1 (ko) 교반기
CZ293318B6 (cs) Plnicí stroj
JP2008284492A (ja) 撹拌装置
CN111871543A (zh) 一种高效拌料机
KR200225721Y1 (ko) 음료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KR100724600B1 (ko) 연속식 믹싱장치
KR20190082498A (ko) 교반기용 임펠러 조립체
KR100509473B1 (ko) 탱크교반장치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CN210229839U (zh) 一种染料搅拌机
KR101745828B1 (ko) 교반기
JP2005320075A (ja) スクリュー型材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