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828B1 - 교반기 - Google Patents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828B1
KR101745828B1 KR1020160062078A KR20160062078A KR101745828B1 KR 101745828 B1 KR101745828 B1 KR 101745828B1 KR 1020160062078 A KR1020160062078 A KR 1020160062078A KR 20160062078 A KR20160062078 A KR 20160062078A KR 101745828 B1 KR101745828 B1 KR 101745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coil
agitating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철
Original Assignee
이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철 filed Critical 이한철
Priority to KR102016006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01F27/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with two or more helices in the same receptacle
    • B01F27/72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with two or more helices in the same receptacle the helices intermeshing to knead the mixture
    • B01F7/085
    • B01F15/00922
    • B01F15/02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Mixing of ingredients for pharmaceutical or medical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2Mixing fertiliser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2Mixing fertiliser ingredients
    • B01F2101/33Mixing compost ingredients or organic waste
    • B01F2215/0032
    • B01F2215/0042
    • B01F2215/0052
    • B01F2215/0054
    • B01F2215/005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나 비료 또는 사료와 같은 교반물을 효과적으로 교반하면서 용이하게 배출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교반챔버(10)로 공급된 교반물이 제1교반코일(30), 제2교반코일(40), 제1교반스크류(50), 제2교반스크류(60)에 의해 교반되고, 제1교반코일(30), 제2교반코일(40)에 의해 교반챔버(10)의 중앙으로 이송된 교반물이 교반축(20)을 따라 회전하는 제1교반코일(30), 제2교반코일(40), 지지받침부(70), 셔블(100)에 의해 교반챔버(10)의 전면 중앙에 구비된 교반챔버(10)의 배출부(14)로 교반되면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반기{AGITATO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나 비료 또는 사료와 같은 교반물을 효과적으로 교반하면서 용이하게 배출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들어 인구 증가에 따라 각 가정 또는 음식점에서는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고민이 사회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대안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 또는 비료로 가공하거나,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가공하여 양질의 사료 또는 비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고르게 교반되어야 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양질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발효 시 음식물 쓰레기 내부로 미생물이 잘 혼입되도록 음식물 쓰레기가 고루 교반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교반기에 의하면 회전하는 교반축에 단순히 스크류형 날개가 설치되어 교반하고 있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효과적으로 교반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는 음식물 쓰레기뿐만 아니라, 유기성 폐기물, 약품, 사료, 비료 등의 경우에도 또한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292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반기 내부의 교반을 보다 효과적으로 함과 동시에 교반 후 배출을 간편하게 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반챔버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교반축;
상기 교반축에 배치되며 교반물이 상기 교반축의 일단 주변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나선형 스크류가 형성된 제1교반스크류;
상기 제1교반스크류의 나선 방향과 반대이며, 교반물이 상기 교반축의 타단 주변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교반스크류와 마주하도록 상기 교반축에 배치된 제2교반스크류;
상기 제1교반코일과 상기 제2교반코일을 상기 교반축에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된 교반받침부재를 갖춘 지지받침부;
상기 교반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교반스크류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받침부에 고정되며, 교반물이 중앙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상기 제1교반스크류의 나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코일링된 제1교반코일;
상기 교반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교반스크류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받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교반코일과 반대 방향으로 코일링되어 교반물이 중앙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상기 지지받침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교반코일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2교반코일;
상기 제1교반코일과 상기 제2교반코일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제1교반코일과 상기 제2교반코일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교반코일과 상기 제2교반코일 사이의 교반물을 담아 배출하도록 상기 제1교반코일과 상기 제2교반코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 형상의 셔블; 그리고
상기 교반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교반코일, 상기 제2교반코일, 상기 지지받침부 및 상기 셔블 사이에 위치한 교반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교반챔버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성을 갖고 교반물을 교반하기 때문에 교반이 잘 되며 교반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한 쌍의 교반코일이 맞물려 회전하는 위치에 배출구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삽으로 교반물을 퍼올리는 것과 같이 수작업이 필요없고 교반코일의 회전에 따라 내부 교반물이 배출됨으로써 수작업의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교반코일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셔블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교반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손상된 셔블의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1'교반코일 및 제2,2'교반코일 및 지지받침부 및 셔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셔블을 분리해서 표현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교반물을 교반 및 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1'교반코일 및 제2,2'교반코일 및 지지받침부 및 셔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셔블을 분리해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는, 교반챔버(10)와, 교반축(20)과, 구동장치(80)와, 제1교반스크류(50)와, 제2교반스크류(60)와, 제1교반코일(30)과, 제2교반코일(40)과, 지지받침부(70)와, 지지기구(90) 및, 셔블(100)을 갖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반챔버(10)는 교반부(11)와, 공급부(12)와, 배기부(13) 및, 배출구(14)를 갖추고서, 공급된 교반물을 교반하여 배출한다. 상기 교반부(11)는 교반공간(11a)이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교반공간(11a)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나 다각형 또는 원형 단면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공급부(12)는, 음식물 쓰레기나 사료 등의 교반물이 교반공간(11a)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교반부(11) 상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부(13)는, 교반물의 교반시 발생하는 가스를 교반공간(11a)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교반부(11)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4)는 교반공간(11a)내에서 교반물을 교반한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교반챔부(10)의 중앙 하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 하단부는 교반햄버(10)의 종단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그 하부를 의미한다.
상기 교반축(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챔버(10)의 내부에서 구동장치(80)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장치(80)는, 교반기구(20)의 교반축(2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장치(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챔버(10)의 우측에 구비되며, 구동모터, 체인 등을 구비하여 교반축(20)을 회전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의 구동장치(80)는 축 회전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로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교반스크류(50)는, 교반축(20)에 배치되며 교반물이 교반축(20)의 일단 주변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나선형 스크류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교반스크류(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축(20)과 제1교반코일(3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교반축(20)의 우측에 설치되어, 교반물을 교반축(20)의 우측 방향으로 교반하면서 이송한다.
상기 제2교반스크류(60)는, 제1교반스크류(50)의 나선 방향과 반대이며, 교반물이 교반축(20)의 타단 주변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제1교반스크류(50)와 마주하도록 교반축(2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교반스크류(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축(20)과 제2교반코일(4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교반축(20)의 좌측에 설치되어, 교반물을 교반축(20)의 좌측 방향으로 교반하면서 이송한다.
상기 지지받침부(70)는, 제1교반코일(30)과 제2교반코일(40)을 교반축(20)에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71) 및, 연결부재(71)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돌출 연장되어 연결부재(71)와 결합된 교반받침부재(72)를 갖춘다.
상기 연결부재(71)는, 바 형상을 이루며, 교반축(20)과 교차되도록 교반축(20)을 관통하여 교반축(20)에 고정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71)의 하단은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71)의 상단은,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과 연결되며, 연결부재(71)의 하단은,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과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부재(71)는 교반축(20)에 억지끼움되도록 교반축(20)을 관통한다. 이때 연결부재(71)와 교반축(20)은 용접을 통해 고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연결부재(71)를 가열한 후 교반축(20)에 억지끼움하여 고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71)는, 교반축(20)이 회전할 시, 상단이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과 함께 교반물을 상하 방향으로 교반하면서 교반챔버(10)의 배출구(14)로 밀고, 하단이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과 함께 교반물을 상하 방향으로 교반하면서 교반챔버(10)의 배출구(14)로 민다.
상기 교반받침부재(72)는, 교반축(20)의 하부에 상단이 설치되고, 하단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에 설치되며, 연결부재(71)의 후방에 위치하여, 연결부재(71)를 지지하면서, 교반물을 교반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상기 교반받침부재(72))는, 연결부재(71)가 회전시 교반물로부터 연결부재(71)에 가해지는 저항력으로부터 연결부재(7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 연결부재(71)와 함께 교반물을 교반 및 배출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교반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 및 배출하면서 구조적 안정성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71)는, 하단이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 사이에 위치하여, 교반축(20)이 회전 시 제1교반코일(30) 및 제2교반코일(40)에 의해 견고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교반축(20)이 회전 시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 사이로 교반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교반물이 건조챔버(10)의 배출구(14)로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교반받침부대(72)는, 제1교반코일(30) 및 제2교반코일(40)에 설치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교반받침부재(72)는, 연결부재(71)보다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다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교반받침부재(72)가 교반물을 밀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교반코일(30)는, 교반축(20)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교반스크류(5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받침부(70)에 고정되며, 교반물이 중앙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제1교반스크류(50)의 나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코일링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교반코일(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축(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에 설치되되 좌측단이 교반축(2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교반물을 교반축(20)의 중앙 방향으로 교반하면서 이송한다. 그리고 제1교반코일(30)은, 좌측단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나사홀(31)이 형성되고, 좌측단의 좌측면에 좌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32)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교반코일(30)의 삽입홈(32)은 셔블플레이트(102)가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되도록 일측방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반코일(3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제1'교반코일(30')를 더 갖추며, 제1'교반코일(30')는, 교반축(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에 설치되되 좌측단이 교반축(2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교반물을 교반축(20)의 중앙방향으로 교반하면서 이송한다.
상기 제2교반코일(40)은, 교반축(20)으로부터 이격되어 제2교반스크류(6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받침부(70)에 고정되며, 제1교반코일(30)과 반대 방향으로 코일링되어 교반물이 중앙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지지받침부(70)를 중심으로 제1교반코일(3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축(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에 설치되되 우측단이 교반축(2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교반물을 교반축(20)의 중앙 방향으로 교반하면서 이송한다. 그리고 제2교반코일(40)은, 우측단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나사홀(41)이 형성되고, 우측단의 우측면에 좌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42)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교반코일(40)의 삽입홈(42)은 셔블플레이트(102)가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되도록 일측방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교반코일(4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제2'교반코일(40')를 더 갖추며, 제2'교반코일(40')는, 교반축(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에 설치되되 우측단이 교반측(2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교반물을 교반축(20)의 중앙 방향으로 교반하면서 이송한다.
상기 지지기구(90)는, 바 형상을 이루어 제1,1'교반코일(30,30') 및 제2,2'교반코일(40,40')를 교반축(20)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기구(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축(20)과 교차되도록 교반축(20)을 관통하며, 교반축(20)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지지기구(90) 및 교반축(20)은 서로의 연결 부분을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셔블(100)은, 제1교반코일(30)과 제2교반코일(40) 사이의 교반물을 담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교반코일(30)과 제2교반코일(40) 사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셔블(100)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나사홀(101a)을 구비하여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체(101)와, 후단이 연결체(101)에 연결되고 전단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양측단이 연결체(101)보다 측방으로 돌출되어 제1교반코일(30)의 삽입홈(32) 및 제2교반코일(40)의 삽입홈(4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셔블플레이트(102) 및, 연결체(101)의 나사홀(101a)과 제1교반코일(30)의 나사홀(31)과 제2교반코일(40)의 나사홀(41)과 나사산 결합되어 연결체(101)를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볼트(103)를 갖춘다. 여기서 제1교반코일(30)의 삽입홈(32) 및 제2교반코일(40)의 삽입홈(42)은 셔블플레이트(102)의 양측단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제1,2교반코일(30,40)이 회전할 시, 셔블플레이트(102)가 충분한 지지력을 얻도록 하며, 볼트(103)는 제1,2교반코일(30,40)이 회전할 시, 회전력에 의해 셔블플레이트(102)가 제1,2교반코일(30,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상기 셔블(100)는,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 지지받침부(70)와 함께 교반물을 효육적으로 교반 및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셔블(100)의 셔블플레이트(102)는, 교반물을 담으면서 교반물이 셔블플레이트(102)의 면을 타고 교반챔버(10)의 배출구(14)로 배출되도록 안내하여, 교반물의 교반 및 배출이 더욱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셔블(100)는, 제1교반코일(30) 및 제2교반코일(40)에 설치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셔블(100)는 교반물과 접촉이 많기 때문에 쉽게 손상되기 쉽지만, 셔블(100)은 제1,1'교반코일(30,30')의 좌측단 및 제2,2'교반코일(40,40')의 우측단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교반물을 교반 및 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반물의 교반 및 배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교반용으로 교반기가 사용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교반챔버(10)의 교반부(11)를 통해 교반챔버(10)의 교반공간(11a)에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80)가 교반기구(20)의 교반축(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교반축(20)과 함께 제1,1'교반코일(30,30'), 제2,2'교반코일(40,40'), 제1교반스크류(50), 제2교반스크류(60)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교반스크류(50)는, 교반축(20)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교반축(20)의 우측 방향으로 이송하고, 제1,1'교반코일(30,30')는 교반축(20)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교반축(20)의 중앙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제1교반스크류(50)에 의해 교반축(20)의 우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음식물 쓰레기와 제1,1'교반코일(30,30')에 의해 교반축(20)의 중앙 방향으로 이송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서로 교반한다.
또한, 상기 제2교반스크류(60)는, 교반축(20)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교반축(20)의 좌측 방향으로 이송하고, 제2,2'교반코일(40,40')는 교반축(20)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교반축(20)의 중앙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제2교반스크류(60)에 의해 교반축(20)의 좌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음식물 쓰레기와 제2,2'교반코일(40,40')에 의해 교반축(20)의 중앙 방향으로 이송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서로 교반한다.
한편, 상기 제1,1'교반코일(30,30') 및 제2,2'교반코일(40,40')에 의해 교반축(20)의 중앙 방향으로 이송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축(20)의 중앙 부분에 도달하면, 교반축(20)과 함께 회전하는 지지받침부(70)는, 도 5와 같이 하단이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챔버(10)의 배출구(14)를 향해 밀고, 상단이 제1'교반코일(30')의 좌측단 및 제2'교반코일(40')의 우측단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챔버(10)의 배출구(14)를 향해 민다. 이때 지지받침부(70)에 의해 밀리는 음식물 쓰레기는 셔블(100)의 셔블플레이트(102)에 담겨지면서 안내되어 교반챔버(10)의 배출구(14)를 향한다.
여기서, 상기 교반챔버(10)의 중앙 부분에서는 제1,1'교반코일(30,30'), 제2,2'교반코일(40,40'), 제1교반스크류(50), 제2교반스크류(60), 셔블(100)이 회전하면, 도 6과 같이 좌우 방향을 따라 교반물의 교반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교반축(20)의 상하 방향을 따라 교반물의 교반이 이루어져, 제1,1'교반코일(30,30'), 제2,2'교반코일(40,40'), 제1교반스크류(50), 제2교반스크류(60), 지지받침부(70), 셔블(100)의 연결 구조에 의해 교반챔버(10)의 배출구(14)로 배출되는 교반물이 효과적으로 교반되면서 배출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챔버(10)의 배출구(14)가 폐쇄되어 있으면,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 및 이송 작용만 이루어지고, 교반챔버(10)의 배출구(14)가 개방되어 있으면,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 및 이송이 이루어지면서 교반축(20)의 중앙 부분으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 중 일부가 교반챔버(10)의 배출구(14)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반물은, 섞기는 물질이라는 의미에서 교반물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상기 교반물로는 음식물 쓰레기, 유기성 폐기물, 약품, 사료, 비료 등 다양한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향성은 도면에 대응되도록 설명된 것으로, 상기 방향성은 바라보는 상대적 각도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성을 갖고 교반물을 교반하기 때문에 교반이 잘 되며 교반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제1교반코일(30), 제2교반코일(40), 지지받침부(70), 셔블(100)의 연결구조가 삽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제1교반코일(30), 제2교반코일(40), 지지받침부(70), 셔블(100)의 연결구조물이 회전하는 전방 위치에 배출구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교반물을 효율적으로 교반하면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교반코일(30,40)에 고정되는 셔블(100)의 셔블플레이트(102)가 충분한 지지력을 얻으면서, 교반물을 배출구로 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교반물 배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셔블(100)을 제1교반코일(30) 및 제2교반코일(4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쉬운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교반 효율이 높으며, 교반물의 배출이 쉬워, 교반분야에서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를 통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교반챔버 20; 교반축
30; 제1교반코일 30'; 제1'교반코일
40; 제2교반코일 40'; 제2'교반코일
50; 제1교반스크류 60; 제2교반스크류
70; 지지받침부 80; 구동장치
90; 지지기구 100; 셔블
110; 연결체 120; 셔블플레이트
130; 볼트

Claims (1)

  1. 교반챔버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교반축;
    상기 교반축에 배치되며 교반물이 상기 교반축의 일단 주변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나선형 스크류가 형성된 제1교반스크류;
    상기 제1교반스크류의 나선 방향과 반대이며, 교반물이 상기 교반축의 타단 주변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교반스크류와 마주하도록 상기 교반축에 배치된 제2교반스크류;
    제1교반코일과 제2교반코일을 상기 교반축에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된 교반받침부재를 갖춘 지지받침부;
    상기 교반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교반스크류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받침부에 고정되며, 교반물이 중앙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상기 제1교반스크류의 나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코일링된 제1교반코일;
    상기 교반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교반스크류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받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교반코일과 반대 방향으로 코일링되어 교반물이 중앙부를 향해 이송되도록 상기 지지받침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교반코일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2교반코일;
    상기 제1교반코일과 상기 제2교반코일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제1교반코일과 상기 제2교반코일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교반코일과 상기 제2교반코일 사이의 교반물을 담아 배출하도록 상기 제1교반코일과 상기 제2교반코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 형상의 셔블; 그리고
    상기 교반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교반코일, 상기 제2교반코일, 상기 지지받침부 및 상기 셔블 사이에 위치한 교반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교반챔버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KR1020160062078A 2016-05-20 2016-05-20 교반기 KR101745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78A KR101745828B1 (ko) 2016-05-20 2016-05-20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78A KR101745828B1 (ko) 2016-05-20 2016-05-20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828B1 true KR101745828B1 (ko) 2017-06-20

Family

ID=5928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078A KR101745828B1 (ko) 2016-05-20 2016-05-20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8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382B1 (ko) * 2013-04-15 2013-07-02 이영석 혼합기
JP2014083510A (ja) * 2012-10-25 2014-05-12 Fujio Hori 容器回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3510A (ja) * 2012-10-25 2014-05-12 Fujio Hori 容器回転装置
KR101281382B1 (ko) * 2013-04-15 2013-07-02 이영석 혼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137B1 (ko) 안정화 믹서기
CN215028348U (zh) 一种带有预混器的调料混合搅拌装置
CN211517996U (zh) 一种搅拌装置
CN106435795B (zh) 色浆与切片混合纺丝装置
KR101745828B1 (ko) 교반기
CN210850900U (zh) 一种abs塑料生产用原料搅拌混合装置
JP2005132427A (ja) 粉体原料計量タンク
CN208599529U (zh) 双轴加湿搅拌机
KR20170129487A (ko) 교반기
CN108393016A (zh) 一种高效混合机
CN215464039U (zh) 一种带有减降噪效果的双轴卧式无重力混料机
CN103657488A (zh) 新型v型混合机
JP2007000742A (ja) 粘性物用ミキサー
CN209476131U (zh) 一种驱动装置以及涂料制备系统
CN209493564U (zh) 餐厨垃圾完全生物降解消灭专用双轴刮板式混合机
KR20170097959A (ko) 교반기
KR100724600B1 (ko) 연속식 믹싱장치
CN207591754U (zh) 一种混合型功能性益生菌干粉混合机
KR20100037250A (ko) 사료 및 퇴비 제조용 발효배합기 및 이를 위한 교반날개
KR101807702B1 (ko) 교반기
CN110355882B (zh) 一种混杂纤维混凝土搅拌机
JPH11347517A (ja) 腐敗性廃棄物の撹拌処理装置
JP2007168210A (ja) 射出成形機の成形材料供給装置
CN218012445U (zh) 一种粉料搅拌装置
CN210229839U (zh) 一种染料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