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74Y1 -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74Y1
KR200489474Y1 KR2020180005349U KR20180005349U KR200489474Y1 KR 200489474 Y1 KR200489474 Y1 KR 200489474Y1 KR 2020180005349 U KR2020180005349 U KR 2020180005349U KR 20180005349 U KR20180005349 U KR 20180005349U KR 200489474 Y1 KR200489474 Y1 KR 200489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lower driving
driving cylinders
cylinder
connec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묵
Original Assignee
김성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묵 filed Critical 김성묵
Priority to KR2020180005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mixing feeding-stuf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젖소 등의 가축에게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사료를 비롯한 각종 사료를 효과적으로 혼합함과 동시에 대형축사나 소형 축사에 상관없이 자동차의 이동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혼합공급기에 사료를 투입시 혼합공급기의 각도 조절로 인한 투입이 용이하게 하는 등사용상의 매우 편리함을 가져올 수 있는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Vehicle System to transport and supply Total Mixed Ration}
본 고안은 젖소 등의 가축에게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사료를 비롯한 각종 사료를 효과적으로 혼합함과 동시에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도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 및 자동 공급이 가능하며, 특히, 혼합공급기에 사료를 투입시 그 투입이 용이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매우 편리함을 가져올 수 있는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젖소 등의 가축용 사료는 여러 성분의 가공사료와 함께 섬유소가 많은 건초등의 조사료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인데, 조사료는 되새김질하는 젖소의 특성상 소화를 돕기 위해 비교적 그 길이가 긴 엔시레지, 건초, 볏짚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이를 잘게 절단하고 다시 가공사료와 혼합하여야 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과정을 위해 통상의 축사내에는 별도의 절단기 및 혼합공급기를 함께 구비하고, 이러한 혼합공급기에 의해 혼합된 사료를 작업자가 일정한 시간마다 퍼내어 가축에게 공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바와 같은 일반적인 사료의 절단 및 혼합과정은 그 생산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과 장비를 필요로 하며, 혼합된 사료 또한 작업자가 일일이 수레 등을 이동하여가며 가축에게 사료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그 사료공급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크류를 이용하여 사료를 혼합하는 혼합공급기가 출원되었는바, 2000년 특허등록출원 제1675호와 같이 일정 시간마다 사료혼합공급기가 자동으로 이동하며 그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사료의 혼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사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축사내를 왕복한 후에는 자동으로 사료의 혼합 및 공급이 멈추게 되는 사료 혼합공급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료 혼합공급장치는, 그 설비 구축에 있어서 상당한 비용이 투자되어야 함으로 이는 대형축사에 한정하여 적용 가능하고, 고정설치되는 혼합장치의 특성상 설비가 설치된 축사 내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 가능한 단점 또한 내포하고 있는 등 사용상의 제한을 가져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대형화된 혼합장치로 그 혼합장치에 사료를 투입시 컨베어벨트 등의 별도의 투입장비를 추가로 필요로 하는 등 이 또한 설비 구축에 따른 비용을 부담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사료를 비롯한 각종 사료를 효과적으로 혼합함과 동시에 대형축사나 소형 축사에 상관없이 자동차의 이동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혼합공급기에 사료를 투입시 혼합공급기의 각도 조절로 인한 투입이 용이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매우 편리함을 가져올 수 있는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내측에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회전스크류(110)가 내입되어, 사료를 혼합하여 하부의 실린더(121) 작동으로 개폐판(122)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하는 혼합공급기(100)로 된 사료 혼합 공급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사료를 양측으로 분배 공급 가능한 컨베어벨트(130)가 형성되고, 양측 외면에 로드고정축(140)과,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축(150)이 형성된 혼합공급기(100)와; 상기 혼합공급기(100)를 수용하는 전.후면프레임(210)(210')과 양측의 측면프레임(220)(220')으로 구성하되, 상기 전면프레임(210)의 상부 양측에는 실린더(211)가 힌지(H) 결합되고 그 실린더(211)의 실린더로드(211a) 단부가 로드고정축(1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20)(220')에는 베어링을 갖는 축설부(221)가 형성되어 혼합공급기(100)의 가이드축(150)이 축설된 프레임체(200)과; 상기 전면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H) 결합되는 연결브라켓(310)에 의해 상기 프레임체(200)에 수용된 혼합공급기(100)를 이동 및 실린더(2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자동차(300)와; 상기 혼합공급기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어 사료에 영양액을 공급하는 영양액 공급장치(1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영양액 공급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영양액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영양액을 공급하는 영양액 도포기(1160)와; 일측은 영양액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영양액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영양액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영양액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영양액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영양액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영양액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영양액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영양액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영양액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영양액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영양액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영양액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는 스크류에 의해 혼합공급기 내에서 사료의 혼합 및 분쇄가 가능하면서도, 자동차를 이용하여 축사의 이동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혼합공급기의 하부에 배출되는 사료를 양측으로 분배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등 축사의 대.소와 관계없이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후측에 연결된 혼합공급기는 실린더 작동에 의해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사료를 혼합공급기에 투입시 별도의 투입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등 불필요한 설비의 감축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혼합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실린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12는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13은 본 고안의 영양액 통과용 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고안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고안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혼합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실린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영양액 약액 공급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12는 본 고안의 영양액 공급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13은 본 고안의 영양액 통과용 홀 구성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1)는, 사료를 혼합 공급하는 혼합공급기(100)와, 상기 혼합공급기(100)를 수용하는 프레임체(200)와, 상기 혼합공급기(100)를 이동 가능한 자동차(300)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혼합공급기(100)는, 상부가 개구된 구조를 가지며, 내측에 모터(도면중 미도시함)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사료를 혼합 및 배출을 단속하는 복수개의 회전스크류(110)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하부로 혼합된 사료를 배출키 위한 배출구(120)가 실린더(121) 작동으로 개폐판(122)에 의해 개폐되게 형성된 것으로, 종래의 혼합공급기(100)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급기(100)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사료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축사내 가축의 먹이통으로 분배 공급 가능한 컨베어벨트(130)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컨베어벨트(130)는, 양측에 측벽(131)(131')을 형성하여 혼합공급기(100)의 하부에 결합하고, 양방향 작동하는 정역모터(132)에 의해 배출되는 사료를 어느 한 방향으로 분배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공급기(100)의 양측면에는 로드고정축(140)과, 혼합공급기(100)의 회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축(150)이 돌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로드고정축(140)은 혼합공급기(100)의 상부에 위치하게 형성하고, 가이드축(150)은 상기 로드고정축(140)의 하부에 위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체(200)는, 상기 혼합공급기(100)가 수용되게 외측을 감싸는 것으로, 혼합공급기(100)의 전.후면을 감싸는 전.후면프레임(210)(210')과, 혼합공급기(100)의 양 측면을 감싸는 측면프레임(220)(22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전면프레임(210)은, 혼합공급기(100)의 높이와 근접하게 형성되며, 그 상부 양측에는 실린더(211)가 힌지(H) 결합되고, 그 실린더(211)로부터 출몰되는 실린더로드(211a)는, 그 단부가 상기 혼합공급기(100)의 로드고정축(1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또한, 후면프레임(210')은, 회동되는 혼합공급기(10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낮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측면프레임(220)(220')은, 양측 대항되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일측이 상기 전면프레임(210)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면프레임(210')에 고정되게 전면으로부터 후면에 이르게 하향경사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프레임(220)(220')의 후방측에는 베어링을 갖는 축설부(221)가 형성된 것으로, 그 축설부(221)에는 혼합공급기(100)의 가이드축(150)이 축설되게 구성된 것이다.
즉, 실린더(211) 작동시 실린더로드(211a)의 출몰에 의해 혼합공급기(100)가 가이드축([0033] 150)을 축점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동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자동차(3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동차(300)로써, 그 후방에는 연결브라켓(310)에 의해 상기 프레임체(200)의 전면프레임(210)에 힌지(H) 결합되는 것으로, 자동차(300)에 결합된 프레임체(20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이격되는 것이며, 자동차(300)에 의해 축사내에서 혼합공급기(100)를 이동 및 실린더(211)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실린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공급장치를 사용시에는 먼저 혼합공급기(100)에 조사료를 비롯한 각종 사료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료를 공급키 위해서는 별도의 공급장치가 필요없이 혼합공급기(100)의 각도조절 만으로 인력으로도 용이한 공급이 가능한 것인바, 이는 실린더(211)로부터 실린더로드(211a)를 인출시키면 되는 것이며, 실린더로드(211a)를 인출시 혼합공급기(100)에 전해지는 외력은 그 가이드축(150)을 축으로 하여 일정 방향 즉, 혼합공급기(100)의 상부 개구부가 후방을 향하게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그 혼합공급기(100)의 개구부(101)는 작업자가 사료를 투입하기 용이한 각도로 후방을 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혼합공급기(100)의 각도 조절로 사료의 투입이 완료되면 다시 실린더로드(211a)을 인입시키면 되는 것으로 혼합공급기(100)는 개구부(101)가 상부를 향하게 복귀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사료가 투입된 혼합공급기(100)는, 축사(10)의 이동통로(20)를 통해 축사내로 진입하면 되는 것이며, 이때, 회전스크류(110)를 작동하여 사료를 혼합함과 동시에 정역모터(132)를 어느 한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그 정역모터(132)의 구동에 따라 컨베어벨트(130) 또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사료는 실린더(121)의 작동으로 개폐판(122)을 개폐하여 배출구(120)를 통해 컨베어벨트(130)로 배출 및 배출된 사료는 컨베어벨트(130)를 따라 먹이통(30)으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즉, 작업자는 축사내를 이동하며 먹이통(30)에 남은 사료의 양을 확인함과 동시에 컨베어벨트(130)의 회전방향의 조절로 일측 또는 타측의 먹이통(30)에 일정량의 사료 공급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혼합공급기 내부에 영양액 공급장치(1100)를 더 설치하여 사료에 영양액을 더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양액 공급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배터리(1120)와, 회전모터(1130)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와,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영양액 도포기(1160)와, 영양액 저장수단(1170)과, 도포기 임시고정수단(11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각종 장치를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은 일측이 오픈된 두개의 케이스를 각각 상호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부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수단들과 비슷한 구조이다.
상기 배터리(1120)는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배터리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임시저장하여 전력이 필요로하는 각종 장치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회전모터(1130)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모터축을 자유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축(1131)은 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즉, 상기 회전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며, 모터축의 저면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는 형태이다.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상기 회전모터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된다. 이때,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은 상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형태로 이루어져 회전모터의 모터축의 파형과 상호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한다. 즉, 상하 구동 실린더는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모터의 모터축과 동일하게 회전축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회전모터가 회전하면 상하 구동 실린더는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1110)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상부방향으로 계속 밀어올리는 탄발작용을 하기 때문에 회전모터(1130)가 회전시에 회전모터의 모터축(1131)의 파형과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의 파형이 엇걸리면서 상하 구동 실린더가 하강하고, 엇걸림이 끝난후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에 의해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상승하면서 회전축(1141)의 파형과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의 파형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회전모터(1130)에 근접하고 이격되는 것이 반복되어 회전모터(1130)를 중심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연속적으로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영양액 도포기(1160)는 몸체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영양액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영양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영양액 도포기(1160)는 내부에 저장되는 영양액을 영양액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하며, 이때 영양액 도포기(1160)는 상하 구동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작동시에 영양액 도포기(1160)가 타격되어 관성의 법칙에 따라 외부로 영양액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영양액 저장수단(1170)은 내부에 영양액을 수납한 상태이며, 영양액 도포기(1160)에 삽입설치되어 영양액 도포기(1160)의 영양액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출력된다. 즉, 상기 영양액 저장수단(1170)은 영양액을 저정한 상태이며, 하부가 오픈된 형태로 영양액 도포기(1160)에 결합되며,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구동시에 영양액 저장수단의 영양액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실제로 영양액 통과용 홀(1161)은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쉽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영양액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일측은 영양액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1110)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영양액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영양액 도포기(1160)가 승하강으로 유동하면서도 영양액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으며, 영양액 도포기(1160)를 교체할 경우 버튼을 눌러서 하우징을 기준으로 영양액 도포기의 고정을 해제시켜 영양액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로부터 이탈되어 하부로 탈거되도록 한다. 즉, 영양액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은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영양액 도포기를 임시로 고정하여 동작시에 영양액 도포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영양액 도포기 내부에 존재하는 영양액을 모두 사용한 다음에는 버튼을 눌러 영양액 도포기를 해제후 영양액 저장수단을 재수납시키도록 유도한다.
상기 임시고정수단(1180)은 걸림용 후크(1181)와, 연결편(1182)과,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지지용 스프링(1184)과,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푸시버튼(11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용 후크(1181)는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결합홀(1140a) 및 영양액 도포기(1160)의 결합홀(1160a)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영양액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연결편(1182)은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1183)는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용 스프링(1184)은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영양액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영양액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영양액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은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인다.
상기 푸시버튼(1186)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영양액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영양액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영양액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100 : 혼합공급기 110 : 회전스크류
120 : 배출구 121 : 실린더
122 : 개폐판 130 : 컨베어벨트
131,131' : 측벽 140 : 로드고정축
150 : 가이드축 200 : 프레임체
210,210 : 전.후면프레임 211 : 실린더
211a : 실린더로드 220,220' : 측면프레임
221 : 축설부
300 : 자동차 310 : 연결브라켓

Claims (3)

  1. 내측에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회전스크류(110)가 내입되어, 사료를 혼합하여 하부의 실린더(121) 작동으로 개폐판(122)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하는 혼합공급기(100)로 된 사료 혼합 공급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사료를 양측으로 분배 공급 가능한 컨베어벨트(130)가 형성되고, 양측 외면에 로드고정축(140)과,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축(150)이 형성된 혼합공급기(100)와;
    상기 혼합공급기(100)를 수용하는 전.후면프레임(210)(210')과 양측의 측면프레임(220)(220')으로 구성하되, 상기 전면프레임(210)의 상부 양측에는 실린더(211)가 힌지(H) 결합되고 그 실린더(211)의 실린더로드(211a) 단부가 로드고정축(1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20)(220')에는 베어링을 갖는 축설부(221)가 형성되어 혼합공급기(100)의 가이드축(150)이 축설된 프레임체(200)과;
    상기 전면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H) 결합되는 연결브라켓(310)에 의해 상기 프레임체(200)에 수용된 혼합공급기(100)를 이동 및 실린더(2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자동차(300)와;
    상기 혼합공급기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어 사료에 영양액을 공급하는 영양액 공급장치(1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영양액 공급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영양액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영양액을 공급하는 영양액 도포기(1160)와;
    일측은 영양액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영양액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영양액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영양액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액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영양액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영양액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영양액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영양액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영양액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영양액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영양액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영양액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KR2020180005349U 2018-11-21 2018-11-21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KR200489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49U KR200489474Y1 (ko) 2018-11-21 2018-11-21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49U KR200489474Y1 (ko) 2018-11-21 2018-11-21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74Y1 true KR200489474Y1 (ko) 2019-06-21

Family

ID=6700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349U KR200489474Y1 (ko) 2018-11-21 2018-11-21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1336A (zh) * 2023-06-05 2023-09-05 澳欣机器(淄博)有限公司 自走式全混合日粮制备机及其底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86667U (zh) * 2011-04-06 2011-09-28 宋晓祥 秸秆饲料车
KR20120126834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실티 트랙터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86667U (zh) * 2011-04-06 2011-09-28 宋晓祥 秸秆饲料车
KR20120126834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실티 트랙터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1336A (zh) * 2023-06-05 2023-09-05 澳欣机器(淄博)有限公司 自走式全混合日粮制备机及其底盘
CN116691336B (zh) * 2023-06-05 2024-03-19 澳欣机器(淄博)有限公司 自走式全混合日粮制备机及其底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1781A (en) Agricultural feed blending apparatus
KR200489474Y1 (ko) 자동차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KR101214099B1 (ko) 트랙터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KR101379960B1 (ko) 사료용 발효배합기
RU2766342C1 (ru) Аппарат с пищей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CN213556493U (zh) 一种畜牧养殖用具有定量配比功能的饲料混合机
CN211607797U (zh) 一种羊养殖用饲料抛洒装置
CN210729425U (zh) 一种预混合机的下料装置
CN113022972A (zh) 一种宠物食品加工用定量混合包装设备
CN210522427U (zh) 一种猪饲料搅拌装置
CN108371908A (zh) 一种高效率畜牧用定量配比饲料搅拌机
CN212167250U (zh) 一种新型饲料预混合装置
CN211298047U (zh) 一种畜牧用喷雾式喂料机
CN214047055U (zh) 一种现代化畜禽养殖用饲料投喂装置
CN208228282U (zh) 一种索盘式饲料自动送料装置
KR20100002011A (ko) 사료 공급 장치
CN210356907U (zh) 一种多向运动混合机
CN210410531U (zh) 一种牛养殖用饲料混合装置
CN209828819U (zh) 一种奶牛饲料混合装置
CN110075740A (zh) 交替式拌料装置
CN217093251U (zh) 肉鸭养殖用饲料配比装置
KR101992064B1 (ko) 배합사료 운송 급여용 자동차
KR200489475Y1 (ko) 배합 사료의 적재운송 공급용 자동차
CN219679470U (zh) 一种畜牧养殖投料装置
CN218688340U (zh) 一种生猪养殖用食料混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