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687A -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687A
KR20190001687A KR1020170081600A KR20170081600A KR20190001687A KR 20190001687 A KR20190001687 A KR 20190001687A KR 1020170081600 A KR1020170081600 A KR 1020170081600A KR 20170081600 A KR20170081600 A KR 20170081600A KR 20190001687 A KR20190001687 A KR 20190001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up
rubber
rotation preventing
hol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364B1 (ko
Inventor
송우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3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는 차체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본체부를 둘러싸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러버부 및 관통홀부와 동심을 이루고 관통홀부에 삽입되는 어퍼컵부를 포함하고, 어퍼컵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러버부에는, 관통홀부 상에 회전방지부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회전방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INSULATOR FOR SUSPENSION APPARATUS}
본 발명은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러버부와 어퍼컵부의 상대 운동으로 인한 이음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SUSPENSION)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때 자동차의 바퀴로부터 전달된 노면에서의 진동 또는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차량용 현가장치에서 피스톤 로드의 상부에 차체와의 결합을 위해 인슐레이터가 설치된다. 인슐레이터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쇽업소버의 기울어짐을 차단하고, 충격을 흡수하는데 이러한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인슐레이터 러버에 스틸(STEEL) 재질의 어퍼컵이 장착이 된다.
종래에는 인슐레이터 러버의 내측면과 어퍼컵의 내측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어퍼컵을 인슐레이터 러버에 장착하여도 차량의 좌, 우 방향으로 선회 시 혹은 다양한 환경적 요건에 의해 어퍼컵이 인슐레이터 러버 상에서 상대 운동하며, 마찰이 발생하고 마찰로 인한 이음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9107호(2013.08.16 등록, 발명의 명칭: 인슐레이터 캡 및 그 제조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전방지부가 회전방지홈부에 끼워져 러버부와 어퍼컵부의 상대 운동으로 인한 이음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는: 차량용 현가장치는: 차체에 결합되는 본체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러버부; 및 상기 관통홀부와 동심을 이루고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는 어퍼컵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컵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러버부에는, 상기 관통홀부 상에 상기 회전방지부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회전방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퍼컵부는, 상기 러버부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방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어퍼컵본체; 상기 어퍼컵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러버부를 덮는 어퍼컵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복수 개가 등각 배치되고, 상기 회전방지홈부는 상기 회전방지부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퍼컵본체는 동심을 이루는 복수 개의 단부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단부는 어퍼컵커버에서 이격될수록 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퍼컵본체에서 상기 회전방지부의 양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러버부는, 상기 어퍼컵커버와 접촉되는 일면에 원주 방향으로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컵커버는, 상기 안착부에 접촉되는 일면에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는, 회전방지부가 회전방지홈부에 끼워짐으로 인하여 어퍼컵부가 러버부 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대 운동으로 인한 마찰 및 이로 인한 이음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방지부가 복수 개 구비되고, 등각으로 배치됨으로 인하여 러버부 상에 장착되는 어퍼컵부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어퍼컵부와 러버부 간 상대 운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퍼컵본체가 복수 개의 단부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단부가 면적을 달리하여 형성됨으로 인하여, 러버부에 어퍼컵부를 삽입 시 요구되는 가압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방지부의 양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어퍼컵부가 러버부와 유격되지 않고 밀착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착돌기부가 안착홈부에 안착됨으로 인해 어퍼컵부가 러버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대 운동으로 인한 이음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부를 도시한 평면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부를 도시한 평면도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차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스틸(STEEL) 재질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1)가 설정된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도 내부에 피스톤 로드(10)가 관통되도록 홀부가 형성되고, 뒤에 설명할 러버부(200)가 본체부(100)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결합된다.
본체부(100)는 차체와 체결부재(30)에 의하여 결합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볼트 결합 방식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부(20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부(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홀부의 내주면을 둘러싸며 피스톤 로드(10)가 관통되는 관통홀부(2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부(200)는 본체부(100)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본체부(100)에 가류 접착되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러버부(200)에는 관통홀부(210) 상에 뒤에 설명할 회전방지부(311)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회전방지홈부(2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홈부(211)가 형성되는 소정 구간에서 관통홀부(210)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방지홈부(211)가 형성되는 구간에서는 러버부(200)의 중심에서 관통홀부(210)까지의 거리가 회전방지홈부(211)가 형성되지 않는 관통홀부(210) 상의 소정 구간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회전방지홈부(211)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등각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회전방지홈부(211)가 단수 개 구비되는 것에 비하여, 뒤에 설명할 회전방지부(311)가 회전방지홈부(211)에 끼워져 러버부(200)에 삽입된 어퍼컵부(3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러버부(200)와 어퍼컵부(300) 간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이음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230)는 뒤에 설명할 어퍼컵커버(320)와 접촉되는 러버부(200)의 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230)는 러버부(200)의 일면에서 어퍼컵커버(320) 측(도 1 기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어퍼컵커버(320)와 접촉되는 러버부(200)의 일면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안착부(230)에는 내측(도 1 기준 하측)으로 오목하게 안착홈부(231)가 형성되고, 뒤에 설명할 안착돌기부(321)가 안착된다. 안착돌기부(321)가 안착홈부(231)에 안착됨으로 인하여, 어퍼컵부(300)가 러버부(200)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부(23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서로 이격 배치된다. 안착홈부(231)가 형성되는 구간과 안착홈부(231)가 형성되지 않는 구간이 교호 배치된다.
안착홈부(231)가 복수 개 구비됨으로 인하여 안착홈부(231)와 알착돌기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어퍼컵부(300)가 러버부(200) 상에서 회전되며 상대 운동하는 것으로 인한 이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부(300)는 관통홀부(210)와 동심을 이루고 관통홀부(210)에 삽입되는 것으로, 어퍼컵본체(310), 어퍼컵커버(3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본체(310)는 러버부(20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것으로, 관통홀부(210)에 삽입되며 회전방지부(311)가 형성된다. 어퍼컵부(30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부(311)는 러버부(20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어퍼컵본체(310) 상에서 러버부(200)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어퍼컵본체(310)의 중심에서 회전방지부(311)의 외측 단부까지 길이는 어퍼컵본체(310)의 중심에서 회전방지부(311)가 형성되지 않는 어퍼컵본체(310)의 외측 단부까지 길이보다 크다.
도 1, 도 3를 참조하면, 어퍼컵부(300)를 러버부(200)의 관통홀부(210)를 통해 삽입 시 어퍼컵부(300), 구체적으로 어퍼컵본체(310)의 외측면은 러버부(200)의 내측면과 접하고, 어퍼컵본체(310)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311)가 러버부(200)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홈부(211)에 끼워진다.
이로 인하여 러버부(200)에 삽입된 어퍼컵부(300)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어퍼컵부(300)와 러버부(200) 간 상대 운동이 차단되어, 러버부(200) 상에서 어퍼컵부(300)가 회전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로 인한 차량용 인슐레이터의 손상 및 이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회전방지부(311)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회전방지부(311)는 어퍼컵본체(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등각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단일의 회전방지부(311)가 회전방지홈부(211)에 끼워지는 것에 비하여 어퍼컵부(300)가 러버부(200) 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항력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방지부(311) 및 이에 대응되는 회전방지홈부(211)가 2개로 서로 180도를 이루며 배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상의 회전방지부(311), 회전방지홈부(211)가 형성되어 러버부(200) 상에서 어퍼컵부(300)가 상대 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본체(310)는 동심을 이루는 복수 개의 단부로 형성된다. 각 단에는 회전방지부(311)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단부는 어퍼컵커버(320)에서 이격될수록 즉, 하측(도 1 기준)에 형성되는 단부일수록 면적이 감소된다.
복수 개의 단부가 면적을 달리하고, 구체적으로 하측(도 1 기준)으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됨으로 인하여 어퍼컵본체(310)의 단면적이 동일한 것에 비하여 러버부(200)의 관통홀부(210)를 통해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단부의 외측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스틸 재질의 어퍼컵본체(310)가 관통홀부(210)에 삽입 시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러버부(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어퍼컵본체(310)가 러버부(200)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 인하여 러버부(200) 상에서 어퍼컵본체(310)가 회전하며 상대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커버(320)는 어퍼컵본체(310)와 연결되는 것으로 러버부(200)의 상면(도 3 기준)을 덮도록 형성된다.
어퍼컵커버(320)는 관통홀부(210)에 삽입되는 어퍼컵본체(310)의 상측 단부(도 3 기준)과 연결되며 어퍼컵본체(310)와 어퍼컵커버(320)의 연결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어퍼컵부(300)가 피스톤 로드(10)가 관통되는 홀부 측 러버부(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러버부(200) 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퍼컵커버(320)는 관통홀부(210)와 동심을 이루고 피스톤 로드(10)가 관통되도록 홀부가 형성된다. 어퍼컵커버(320)의 저면부(도 3 기준)에는 안착홈부(231)에 안착되도록 하측(도 3 기준)으로 안착돌기부(32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돌기부(321)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어퍼컵커버(3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각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방지부(311)와 별도로 어퍼컵부(300)가 러버부(200) 상에서 회전됨으로 인한 상대 운동을 방지하고, 회전으로 인한 이음문제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1)는 본체부(100), 러버부(200), 어퍼컵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차체(도면 미도시)에 위치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피스톤 로드(10)부가 관통되도록 중심부가 중공으로 형성된다.
본체부(100)는 차체에 볼트 등 체결부재(30)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러버부(200)가 본체부(100)를 둘러싸며 중앙부에 관통홀부(210)가 형성되어 피스톤 로드(10)가 관통된다.
어퍼컵부(300)는 관통홀부(210)와 동심을 이루고, 관통홀부(210)에 삽입되며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어퍼컵부(30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부(311)가 형성되고, 회전방지부(311)가 러버부(200)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홈부(211)에 끼워진다.
이로 인하여 러버부(200)에 삽입되는 어퍼컵부(3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러버부(200)와 상대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마찰로 인한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1)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회전방지부(311)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등각 배치되고 이로 인하여 러버부(200) 상에서 어퍼컵부(3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방지부(311)가 단수 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러버부(200)와 어퍼컵부(300) 간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방지부(311)의 양 단부 구체적으로, 회전방지부(311)가 형성되는 구간과 회전방지부(311)가 형성되지 않는 구간의 연결구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어퍼컵본체(310)를 러버부(200)의 관통홀부(210) 측 내측면과 접촉시키며 삽입 시 회전방지부(311)가 형성되는 구간과 회전방지부(311)가 형성되지 않는 구간의 연결부위가 러버부(200)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어퍼컵부(300)와 러버부(200) 간 접촉력을 증가시켜 어퍼컵부(300)가 러버부(200) 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부(300)는 어퍼컵본체(310), 어퍼컵커버(320)를 포함한다.
어퍼컵본체(310)가 러버부(200)의 관통홀부(210) 측 내주면과 접촉되며 삽입되고, 어퍼컵커버(320)는 어퍼컵본체(310)의 상측(도 3 기준) 단부와 연결되어 러버부(200)에 장착된다.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본체(310)는 동심을 이루는 복수 개의 단부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단부는 어퍼컵커버(320)에서 이격될수록 구체적으로, 하측(도 3 기준)으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된다.
이로 인하여 억지 끼움 방식으로 어퍼컵본체(310)를 고무 재질의 러버부(200)에 삽입 시 단면적이 작은 하측(도 3 기준) 단부부터 삽입되므로 어퍼컵본체(310)의 높이에 따라 단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어퍼컵부(300)를 러버부(200)에 장착시키는데 필요한 가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본체(31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부의 연결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러버부(200)에 어퍼컵부(300)가 접촉 시 밀착되도록 하여 러버부(200)와 어퍼컵부(300) 간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컵커버(320)는 러버부(200)를 덮으며 러버부(200)의 상면(도 3 기준)과 접촉된다. 어퍼컵커버(320)의 러버부(200)의 상면과 마주보는 일면(도 3 기준 저면)에는 하측(도 3 기준)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부(32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230)는 어퍼컵커버(320)와 접촉되는 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안착부(230)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안착홈부(231)가 형성되고, 안착홈부(231)는 복수 개가 등각으로 배치된다.
안착돌기부(321)가 안착홈부(231)에 안착됨으로 인하여, 어퍼컵부(300)가 러버부(200) 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에 의한 어퍼컵부(300)와 러버부(200) 간 마찰로 인한 이음 발생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10: 피스톤 로드
20: 탄성부재 30: 체결부재
100: 본체부 200: 러버부
210: 관통홀부 211: 회전방지홈부
230: 안착부 231: 안착홈부
300: 어퍼컵부 310: 어퍼컵본체
311: 회전방지부 320: 어퍼컵커버
321: 안착돌기부

Claims (6)

  1. 차체에 결합되는 본체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를 둘러싸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러버부; 및
    상기 관통홀부와 동심을 이루고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는 어퍼컵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컵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러버부에는, 상기 관통홀부 상에 상기 회전방지부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회전방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컵부는,
    상기 러버부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방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어퍼컵본체; 및
    상기 어퍼컵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러버부를 덮는 어퍼컵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복수 개가 등각 배치되고,
    상기 회전방지홈부는 상기 회전방지부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컵본체는 동심을 이루는 복수 개의 단부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단부는 어퍼컵커버에서 이격될수록 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컵본체에서 상기 회전방지부의 양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는, 상기 어퍼컵커버와 접촉되는 일면에 원주 방향으로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컵커버는, 상기 안착부에 접촉되는 일면에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KR1020170081600A 2017-06-28 2017-06-28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KR102298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600A KR102298364B1 (ko) 2017-06-28 2017-06-28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600A KR102298364B1 (ko) 2017-06-28 2017-06-28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87A true KR20190001687A (ko) 2019-01-07
KR102298364B1 KR102298364B1 (ko) 2021-09-06

Family

ID=6501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600A KR102298364B1 (ko) 2017-06-28 2017-06-28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3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302A (ja) * 2003-08-21 2005-03-17 Tokai Rubber Ind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弾性連結装置
WO2011040000A1 (ja) * 2009-09-29 2011-04-07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アッパーサポ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54556A (ko) * 2011-11-17 2013-05-27 주식회사 파브코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JP2015218828A (ja) * 2014-05-19 2015-12-0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スプリングシートラ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302A (ja) * 2003-08-21 2005-03-17 Tokai Rubber Ind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弾性連結装置
WO2011040000A1 (ja) * 2009-09-29 2011-04-07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アッパーサポ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54556A (ko) * 2011-11-17 2013-05-27 주식회사 파브코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JP2015218828A (ja) * 2014-05-19 2015-12-0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スプリングシートラ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364B1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3219A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KR102300647B1 (ko) 멀티링크 서스펜션
KR20140120452A (ko) 서스펜션 베어링 모듈
CA2979804A1 (en) Spring guide and suspension device
JP6740087B2 (ja) 防振装置
US20210276376A1 (en) Tpms transmitter fixing structure and assembling structure
KR20190001687A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EP3040575B1 (en) Vibration-damping device
WO2020110722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CN110997345B (zh) 机动车辆的装配轮以及包括这种装配轮的经装配组件
JP6437739B2 (ja) サスペンション機構
JP6867773B2 (ja) 防振装置
KR10175889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246448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2007239916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20110096264A (ko) 현가장치용 부시
KR102063533B1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JP2020093722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WO2024079937A1 (ja) タイヤ・リム組立体
JP3648907B2 (ja) ストッパ装置
KR101871113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7140661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20060072322A (ko) 차량용 레이디어스 로드 구조
KR20210045733A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KR200438361Y1 (ko) 차량 코일스프링용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