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427U - 냉온수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수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427U
KR20190000427U KR2020190000510U KR20190000510U KR20190000427U KR 20190000427 U KR20190000427 U KR 20190000427U KR 2020190000510 U KR2020190000510 U KR 2020190000510U KR 20190000510 U KR20190000510 U KR 20190000510U KR 20190000427 U KR20190000427 U KR 201900004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ameter
distribution
hot wate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002Y1 (ko
Inventor
이종관
송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송진환
이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송진환, 이종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Priority to KR2020190000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0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냉온수 분배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냉온수 분배장치는 크고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냉온수 분배 장치에 있어서, 냉수 또는 온수가 이송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며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이송관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단턱부 및 상기 제1 단턱부보다 외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단턱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단턱부를 가지는 복수의 분배관을 포함하는 몸체 부재; 상기 복수의 분배관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만 상기 분배관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단턱부 및 제2 단턱부에 대응될 수 있도록 일부가 단이지게 형성되는 직경 가변 부재; 및 상기 파이프가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냉온수 분배 장치{Water Distributor}
본 고안은 냉온수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고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냉온수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급수와 급탕을 위하여 냉온수 분배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냉온수 분배 장치가 욕실, 주방, 세탁실 등의 각 수요처로 냉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공간에서 냉온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주변 구조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가 냉온수 분배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냉온수 분배 장치에 결합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달라지게 되면 금형을 새로 제작하여 냉온수 분배 장치를 다시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4472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다를 경우에도 냉온수 분배 장치를 다시 제작하지 않고, 용이하게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를 결합시킬 수 있는 냉온수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냉온수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냉온수 분배 장치는, 크고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냉온수 분배 장치에 있어서, 냉수 또는 온수가 이송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며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이송관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단턱부 및 상기 제1 단턱부보다 외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단턱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단턱부를 가지는 복수의 분배관을 포함하는 몸체 부재; 상기 복수의 분배관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만 상기 분배관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배관에 대응될 수 있도록 일부가 단이지게 형성되는 직경 가변 부재; 및 상기 파이프가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큰 직경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 유닛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단턱부 상에 위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을 파지하는 파지 부재; 상기 제2 단턱부와 상기 파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파지 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파지 부재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 고정 부재; 상기 위치 고정 부재에 밀착되는 씰링 부재; 및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 부재, 지지 부재, 위치 고정 부재 및 씰링 부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분배관의 외주에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작은 직경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2 단턱부와 상기 직경 가변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1 씰링 부재; 탄성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져서 상기 직경 가변 부재의 단이지게 형성된 부분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을 파지하는 파지 부재; 상기 파지 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파지 부재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 고정 부재; 상기 위치 고정 부재에 밀착되는 제2 씰링 부재; 및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씰링 부재, 파지 부재, 지지 부재, 제2 씰링 부재 및 직경 가변 부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분배관의 외주에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 분배 장치는 직경 가변 부재에 의하여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가 몸체 부재의 분배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변경되는 경우 몸체 부재의 구조를 매번 재설계하여 제조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 부재의 제조를 위한 금형을 다양하게 제작할 필요없이 하나의 금형으로 몸체 부재를 제조하여 단일 구조의 몸체 부재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냉온수 분배 장치와 비교하여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온수 분배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직경 가변 부재가 분배관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직경 가변 부재가 분배관에 설치되는 경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냉온수 분배 장치가 박스형 구조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냉온수 분배 장치가 브라켓형 구조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냉온수 분배 장치에 포함된 어댑터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배 장치(1000)는 몸체 부재(200), 직경 가변 부재(400) 및 고정 유닛(300)을 포함한다.
몸체 부재(2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냉온수를 분배한다. 이를 위하여 몸체 부재(200)는 이송관(210)과 복수의 분배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210)으로는 냉수 또는 온수가 이송될 수 있다. 복수의 분배관(220)은 상기 이송관(210)의 일측에 상기 이송관(2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직경이 상이한 파이프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관(220)에는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이송관(210)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단턱부(221) 및 상기 제1 단턱부(221)보다 외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단턱부(22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단턱부(222)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분배관(22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캡 부재(33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직경 가변 부재(400)는 상기 복수의 분배관(220)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상기 분배관(220)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분배관(220)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직경 가변 부재(400)가 분배관(220) 내부에 설치되지 않고 파이프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복수의 분배관(220)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직경 가변 부재(400)가 분배관(220)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가 이와 같이 직경 가변 부재(400)에 의하여 분배관(22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 부재(200)의 구조가 변경되지 않더라도,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가 몸체 부재(200)에 삽입될 수 있다. 직경 가변 부재(44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1 단턱부(221) 및 제2 단턱부(222)에 대응될 수 있도록 일부가 단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유닛(300)은 상기 직경 가변 부재(400) 및 파이프가 상기 분배관(2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유닛(300)은 직경 가변 부재(400)가 분배관(220) 내부에 설치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 유닛(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배 장치(1000)는 직경 가변 부재(400)에 의하여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가 몸체 부재(200)의 분배관(22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몸체 부재(200)의 구조를 매번 재설계하여 제조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몸체 부재(200)의 제조를 위한 금형을 다양하게 제작할 필요없이 하나의 금형으로 몸체 부재(200)를 제조하여 단일 구조의 몸체 부재(200)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냉온수 분배 장치와 비교하여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직경 가변 부재(400)가 분배관(220) 내부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와 설치되는 경우로 나누어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배 장치(1000)를 구성할 수 있는 몸체 부재(200), 직경 가변 부재(400) 및 고정 유닛(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분배관(220)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서 직경 가변 부재(400)가 분배관(220) 내부에 설치되지 않고 파이프만 삽입되는 경우의 몸체 부재(200)와 고정 유닛(300)의 일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몸체 부재(200)의 분배관(22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단턱부(221)는 삽입되는 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며, 제2 단턱부(222)에는 지지 부재(340), 파지 부재(310), 위치 고정 부재(320), 씰링 부재(350)가 차례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의 상기 고정 유닛(300A)은 일례로 파지 부재(310), 지지 부재(340), 위치 고정 부재(320), 씰링 부재(350) 및 캡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 부재(31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져서 상기 제2 단턱부(222) 상에 위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을 파지할 수 있다. 파지 부재(310)는 파이프가 분배관(2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파지 부재(310)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 고리 형상의 금속 재질의 부재일 수 있으며. 내측부분이 날카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부재(340)는 상기 제2 단턱부(222)와 상기 파지 부재(3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지 부재(310)를 지지할 수 있다.
위치 고정 부재(320)는 상기 파지 부재(310)에 밀착되어 상기 파지 부재(31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전술한 파지 부재(310)는 지지 부재(340)와 위치 고정 부재(32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내측부분의 날카로운 부분이 파이프에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씰링 부재(350)는 상기 위치 고정 부재(320)에 밀착될 수 있다. 씰링 부재(350)는 분배관(220)과 파이프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 부재(330)에는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캡 부재(330)는 상기 파지 부재(310), 지지 부재(340), 위치 고정 부재(320) 및 씰링 부재(350)를 가압하면서 상기 분배관(220)의 외주에 결합된다. 캡 부재(330)가 분배관(220)의 외주에 결합되는 방식은 나사 결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분배관(220)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직경 가변 부재(400)가 분배관(22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의 몸체 부재(200), 직경 가변 부재(400) 및 고정 유닛(300)의 일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몸체 부재(200) 및 고정 유닛(300)과 유사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서로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 부재(200)의 분배관(22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단턱부(221)에 직경 가변 부재(400)의 말단이 위치하며, 따라서 제1 단턱부(221)는 직경 가변 부재(4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분배관(220)의 제2 단턱부(222)에는 제1 씰링 부재(350B)와 직경 가변 부재(400)의 단이진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직경 가변 부재(400)는 내부에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면서 말단과 중간 부분의 두 군데에 단이진 부분이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직경 가변 부재(400)는 내부에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면서 서로 직경이 상이한 파이프의 일단이 서로 연결된 것과 같은 형상, 즉 중간 부분만 단이진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상기 고정 유닛(300B)은 제1 씰링 부재(350B), 파지 부재(310), 위치 고정 부재(320), 제2 씰링 부재(360B) 및 캡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씰링 부재(350B)는 상기 제2 단턱부(222)와 상기 직경 가변 부재(4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씰링 부재(350B)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직경 가변 부재(400)의 일단은 제1 단턱부(221)에 밀착될 수 있고, 직경 가변 부재(400)에서 중간 부분에 단이지게 형성된 부분은 제2 단턱부(222)에 안착된 제1 씰링 부재(350B)에 밀착될 수 있다.
파지 부재(31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져서 상기 직경 가변 부재(400)의 단이지게 형성된 부분에 밀착되어 파이프의 외면을 파지할 수 있다.
위치 고정 부재(320)는 상기 파지 부재(310)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씰링 부재(360B)는 상기 위치 고정 부재(320)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씰링 부재(360B)는 제1 씰링 부재(350B)와 같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캡 부재(330)에는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캡 부재(330)는 상기 제1 씰링 부재(350B), 파지 부재(310), 지지 부재(340), 제2 씰링 부재(360B) 및 직경 가변 부재(400)를 가압하면서 상기 분배관의 외주에 결합된다. 캡 부재(330)가 분배관(220)의 외주에 결합되는 방식은 나사 결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유닛(300B)은 직경 가변 부재(400)가 분배관(2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고, 삽입되는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며,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배 장치(1000)는 밀폐 부재(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 부재(370)는 상기 캡 부재(330)의 중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배관(220)에 파이프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밀폐 부재(370)는 상기 분배관(22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분배관(220)을 밀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밀폐 부재(370)의 형상은 일례로, 일단이 폐쇄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캡 부재(330)의 중공을 폐쇄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형상이든 무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이송관(210)의 일단에는 파지 부재(310), 위치 고정 부재(320), 씰링 부재(350) 및 캡 부재(330)로 구성된 고정 유닛(300)이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 부재(340)도 설치될 수 있으나, 지지 부재(340)를 설치하지 않고 이송관(210)의 일단 자체가 지지 부재(340)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파지 부재(310), 위치 고정 부재(320), 씰링 부재(350), 지지 부재(340) 및 캡 부재(330)는 전술한 고정 유닛(300)에 포함된 파지 부재(310), 위치 고정 부재(320), 씰링 부재(350), 지지 부재(340) 및 캡 부재(330)와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배 장치(1000)는 어댑터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 부재(500)는 상기 몸체 부재(200)의 이송관(210)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 부재(200)가 구조체에 결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어댑터 부재(500)의 형상은 구조체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배 장치(1000)가 박스형 구조체(H1)에 결합되는 경우, 어댑터 부재(500)는 박스형 구조체(H1)에 형성된 결합홈(H1a)에 삽입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배 장치(1000)가 브라켓형 구조체(H2)에 결합되는 경우, 어댑터 부재(500)는 브라켓형 구조체(H2)에 볼트 등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브라켓형 구조체(H2)에 형성된 홀(H2a)과 연통될 수 있도록 중공(501, 도 7 참조)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어댑터 부재(500)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배 장치(1000)는 박스형 구조체(H1) 및 브라켓형 구조체(H2) 뿐만 아니라, 다른 어느 구조체에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냉온수 분배 장치
200: 몸체 부재 210: 이송관
220: 분배관 221: 제1 단턱부
222: 제2 단턱부 300A, 300B: 고정 유닛
310: 파지 부재 320: 위치 고정 부재
330: 캡 부재 340: 지지 부재
350: 씰링 부재 350B: 제1 씰링 부재
360B: 제2 씰링 부재 370: 밀폐 부재
400: 직경 가변 부재 500: 어댑터 부재

Claims (1)

  1. 크고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냉온수 분배 장치에 있어서,
    냉수 또는 온수가 이송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며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이송관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단턱부 및 상기 제1 단턱부보다 외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단턱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단턱부를 가지는 복수의 분배관을 포함하는 몸체 부재;
    상기 복수의 분배관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만 상기 분배관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배관에 대응될 수 있도록 일부가 단이지게 형성되는 직경 가변 부재; 및
    상기 파이프가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큰 직경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 유닛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단턱부 상에 위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을 파지하는 파지 부재; 상기 제2 단턱부와 상기 파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파지 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파지 부재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 고정 부재; 상기 위치 고정 부재에 밀착되는 씰링 부재; 및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 부재, 지지 부재, 위치 고정 부재 및 씰링 부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분배관의 외주에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작은 직경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2 단턱부와 상기 직경 가변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1 씰링 부재; 탄성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져서 상기 직경 가변 부재의 단이지게 형성된 부분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을 파지하는 파지 부재; 상기 파지 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파지 부재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 고정 부재; 상기 위치 고정 부재에 밀착되는 제2 씰링 부재; 및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씰링 부재, 파지 부재, 지지 부재, 제2 씰링 부재 및 직경 가변 부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분배관의 외주에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분배장치.
KR2020190000510U 2019-02-01 2019-02-01 냉온수 분배 장치 KR200491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10U KR200491002Y1 (ko) 2019-02-01 2019-02-01 냉온수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10U KR200491002Y1 (ko) 2019-02-01 2019-02-01 냉온수 분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360A Division KR20190003886A (ko) 2017-06-30 2017-06-30 냉온수 분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27U true KR20190000427U (ko) 2019-02-14
KR200491002Y1 KR200491002Y1 (ko) 2020-02-06

Family

ID=6536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510U KR200491002Y1 (ko) 2019-02-01 2019-02-01 냉온수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794A (ko) * 2019-07-30 2021-02-10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유체 분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744B1 (ko) 2023-07-25 2024-03-29 주식회사 새롬테크 냉온수 분배기용 배관 연결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821Y1 (ko) * 1997-07-03 2001-03-02 홍성화 난방용배관파이프 및 분배기의 누수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KR200391678Y1 (ko) * 2005-03-30 2005-08-08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투명관 이음장치
KR100932345B1 (ko) * 2009-05-28 2009-12-16 주식회사 동명 냉온수 분배기의 피팅 구조
KR200461358Y1 (ko) * 2012-04-13 2012-07-06 주식회사 신동테크 온수분배기의 결합구조
KR200478852Y1 (ko) * 2015-03-24 2015-11-25 김동영 분배기용 멀티소켓
KR101744472B1 (ko) 2017-05-08 2017-06-08 홍성정 급수 및 급탕용 냉온수 통합분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821Y1 (ko) * 1997-07-03 2001-03-02 홍성화 난방용배관파이프 및 분배기의 누수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KR200391678Y1 (ko) * 2005-03-30 2005-08-08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투명관 이음장치
KR100932345B1 (ko) * 2009-05-28 2009-12-16 주식회사 동명 냉온수 분배기의 피팅 구조
KR200461358Y1 (ko) * 2012-04-13 2012-07-06 주식회사 신동테크 온수분배기의 결합구조
KR200478852Y1 (ko) * 2015-03-24 2015-11-25 김동영 분배기용 멀티소켓
KR101744472B1 (ko) 2017-05-08 2017-06-08 홍성정 급수 및 급탕용 냉온수 통합분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794A (ko) * 2019-07-30 2021-02-10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유체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002Y1 (ko)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427U (ko) 냉온수 분배 장치
US9566740B2 (en) Bend fixture
US4809735A (en) Valve and tapping tee apparatus and method
US7128560B2 (en) Expansion tool device for socket pliers
CN102673709A (zh) 握套总成
KR20190000390U (ko) 냉온수 분배 장치
KR20190003886A (ko) 냉온수 분배 장치
US1182710A (en) Fluid-tight joint.
CN109842076A (zh) 带有适配器装置的集成管道和方法
JP5982574B2 (ja) ガスパージ要素および対応するガス供給ライン
AU4568200A (en) Pipe fitting element, particularly for plastic pipes
ITMI952364A1 (it) Complesso di derivazione a t con adattatori per montaggio di tubi e/o guaine spiralate di vari diametri
JP2008121887A (ja) 配管構造体
PL2069672T3 (pl) Zespół złączki z pierścieniem zabezpieczającym do niej
KR101682641B1 (ko) 니플 벤딩용 지그
KR101460254B1 (ko) 수전의 각도조절이 가능케 하는 연결부용 패킹
KR20190003887A (ko) 냉온수 분배 장치
JP2002295774A (ja) ヘッダー
KR20200083405A (ko) 파이프 조인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1560B1 (ko) 배관용 관이음 장치
KR200443643Y1 (ko) 냉, 온수 겸용 수도꼭지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이음용소켓커버의 간격 유지장치.
JP5805980B2 (ja) 管継手及び配管用ヘッダー
IT201600097128A1 (it) Raccordo a pressare per tubi corrugati e attrezzo di pressatura per la sua applicazione.
KR200242716Y1 (ko) 관수용호스콘넥터
JP2001073422A (ja) 混合水栓用の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