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821Y1 - 난방용배관파이프 및 분배기의 누수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 Google Patents

난방용배관파이프 및 분배기의 누수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821Y1
KR200197821Y1 KR2019970017647U KR19970017647U KR200197821Y1 KR 200197821 Y1 KR200197821 Y1 KR 200197821Y1 KR 2019970017647 U KR2019970017647 U KR 2019970017647U KR 19970017647 U KR19970017647 U KR 19970017647U KR 200197821 Y1 KR200197821 Y1 KR 200197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tributor
check
pressure test
u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495U (ko
Inventor
홍성화
Original Assignee
홍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화 filed Critical 홍성화
Priority to KR2019970017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82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4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8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2Test plugs for closing off the end of a pi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난방용 분배기의 회수관에 탈착되면서 주입관에서 연결된 배관이 회수관으로 연결되기 전에 배관의 상태와 분배기의 상태(누수확인)를 확인하기 위하여 회수관측에 형성되는 압력테스트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난방용 배관을 한후에는 반듯이 배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압력을 걸어둠으로서 배관의 누수상태 및 분배기의 누수상태를 확인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확인후 누수가 있을 경우에는 설치되어 있는 배관을 제거하고 다시 보수하기 때문에 배관을 제거할 경우에 생기게 되는 배관의 흠집이나 긁힘에 의하여 누수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회수관측에 배관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유니온에 일측으로는 막히고 중앙으로는 돌출테두리가 형성되고 막힘면으로는 패킹이 형성되며 선단으로는 가압돌출관을 돌출 형성하여 막힌부분은 결합넛트에 위치되고 가압돌출관은 유니온의 배관연결을 위한 결합돌출관에 위치되면서 결합넛트로 유니온과 나사결합시키면 가압돌출관이 결합링으로 가압되면서 연결부에 정밀하게 결합토록 함으로서 배관을 연결하기 전에 미리 배관의 누수상태 및 분배기의 누수상태를 확인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플라스틱배관파이프의 배관상태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Description

난방용배관파이프 및 분배기의 누수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본 고안은 분배기를 사용하여 난방용 배관파이프를 시공할 경우에 분배기 및 설치된 배관의 압력테스트를 위하여 분배기의 회수관에 끼워지는 압력테스트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등에 시공되는 난방용 배관은 각각의 방마다 배관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은 배관은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가 분배기(10)의 주입구(11)를 통하여 주입되면 분기되어 있는 주입관(12)을 통하여 각각의 방마다 시공된 배관으로 흐르면서 난방이 되고, 그후 각각의 회수관(13)으로 회수되면서 회수구(14)를 통하여 다시 보일러로 순환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주입관(12)에는 가열된 온수의 주입을 선택하거나 주입되는 온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15)가 형성되어 있으나 회수관(13)으로는 이러한 밸브(15)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단지 배관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유니온(16)이 결합된 회수관(13)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플라스틱파이프를 이용하여 난방용 배관으로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플라스틱 파이프를 금속으로 제조되는 분배기(10)의 주입관(12)의 밸브(15)와 회수관(13)의 유니온(16)에 연결할 경우에는 용접이 불가능하여 반듯이 결합넛트(20)에 의한 가압 결합방법으로 시공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분배기(10)의 주입관(12)에 형성된 밸브(15)와 회수관(13)에 형성된 유니온(16)에 결합넛트(20)의 나사결합을 위한 숫나사결합부(17)를 형성하고 그 중심으로는 플라스틱파이프가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돌출부(18)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출부(18)의 외면에는 플라스틱파이프가 삽입 후에는 쉽게 빠지지 못하도록 일측으로 경사날개(17)가 형성되고 이와 같이 삽입된 플라스틱파이프가 가압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유니온(16)의 숫나사결합부(17)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넛트(20)에는 일정한 폭으로 절개된 가압링(21)이 결합넛트(20)의 내측에 안착되어 결합넛트(20)를 숫나사결합부(17)에 나착시킬 경우에 가압링(21)이 오무라들면서 플라스틱파이프를 가압하게 되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가압링(21)의 내면으로도 경사날개(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플라스틱파이프의 내부로는 결합돌출부(18)의 경사날개(19)에 의하여 가압 고정되게 되고 외부로는 가압링(21)의 경사날개(22)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단 결합된 후에는 이를 다시 분리하여 결합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경사날개(19,22)에 의하여 플라스틱파이프의 내부와 외부에 흠집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공후에 압력테스트를 하여 누수가 확인될 경우에는 분배기(10)의 회수관(13)에 형성된 유니온(16)의 숫나사결합부(17)와 결합넛트(20)가 나사결합된 부분을 분리하여 누수가 되는 부분을 보수한 후 다시 결합할 경우에는 이러한 흠집에 의하여 배관에 누수가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흠집이 생긴 부분을 절단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배관의 길이가 짧아져 결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회수관의 유니온에 배관파이프를 연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누수확인을 위한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 너트의 내측에 안착되는 마개를 형성하여 마개가 플라스틱파이프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토록 하여 배관파이프의 연결 전에 압력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마개를 형성함으로서 분배기를 시공하기 전에 운반이나 보관 또는 시공 전에 취급의 부주의로 회수관측으로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는 것도 방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a)도는 결합넛트의 단면도.
제3(b)도는 마개의 단면도.
제3(c)도는 가압링의 단면도.
제3(d)도는 유니온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이 분배기에 장착되는 상태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돌출테두리 2 : 막힌부분
3 : 패킹 4 : 경사면
5 : 개구된 부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일 측은 막힌부분(2)을 형성하고 타측은 개구되어지도록 개구된 부분(5)으로 되는 마개로 형성하고, 마개의 중앙으로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돌출테두리(1)를 형성하고 돌출테두리(1)의 일측은 결합넛트(20)의 가압경사면(23)과 맞물릴 수 있도록 경사면(4)을 형성하고 마개의 내부로는 패킹(3)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때 돌출테두리(1)를 중심으로 하여 막힌부분(2)은 성형된 살의 두께가 두텁게 형성하고 개구된 부분(5)은 얇게 형성하여 결합넛트(20)로 유니언(16)의 나사결합부(17)와 결합될 경우에 가압링(21)이 개구된 부분(5)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개구된 부분(5)의 내경은 회수관에 형성된 유니온의 결합돌출부(18)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하여 결합돌출부(18)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마개를 사용할 때에는 결합 너트(20)에 막힌부분(2)이 외측을 향하도록 삽입하면 돌출테두리(1)의 경사면(4)이 결합넛트(20)의 가압경사면(23)과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넛트(20)를 유니온(16)의 나사결합부(17)와 결합시키면 마개의 개구된 부분(5)에 결합돌출부(18)가 삽입되면서 가압링(21)이 개부된 부분(5)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결합넛트(20)가 나사결합부(17)와 나사결합되면서 마개의 내측에 형성된 패킹(5)에 의하여 결합돌출부(18)를 막게 되고, 동시에 개구된 부분(5)에 결합돌출부(18)가 끼워있는 상태에서 개구된 부분(5)이 가압링(20)에 의하여 가압되기 때문에 정확한 밀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분배기(10)의 주입관(12)과 회수관(13)이 항상 막혀 있는 상태에서 보관 및 운반이 되기 때문에 시공 전에는 절대로 분배기(10)에 이물질이 들어가지않토록 되고, 또한 회수관(13)에는 배관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압력테스트를 할 수 있게 됨으로 종래와 같이 회수관에 배관을 한 후에 압력테스트에 따라 분리 재결합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분배기의 회수관을 마개가 항상 막고 있게 됨으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되고 또한 압력테스트를 배관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하게 됨으로 배관후에 다시 결합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Claims (1)

  1. 막힌부분(2)과 패킹(3)이 형성된 개구된 부분(5)이 경사면(4)이 형성된 돌출테두리(1)에 의하여 구분되어, 돌출테두리(1)의 경사면(4)이 결합넛트(20)의 가압경사면(23)과 밀착되면서 가압링(21)이 개구된 부분(5)을 가압토록 함으로서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배관파이프 및 분배기의 누수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KR2019970017647U 1997-07-03 1997-07-03 난방용배관파이프 및 분배기의 누수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KR200197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647U KR200197821Y1 (ko) 1997-07-03 1997-07-03 난방용배관파이프 및 분배기의 누수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647U KR200197821Y1 (ko) 1997-07-03 1997-07-03 난방용배관파이프 및 분배기의 누수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495U KR19990004495U (ko) 1999-02-05
KR200197821Y1 true KR200197821Y1 (ko) 2001-03-02

Family

ID=5389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647U KR200197821Y1 (ko) 1997-07-03 1997-07-03 난방용배관파이프 및 분배기의 누수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8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390U (ko) * 2019-02-01 2019-02-12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냉온수 분배 장치
KR20190000427U (ko) * 2019-02-01 2019-02-14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냉온수 분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390U (ko) * 2019-02-01 2019-02-12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냉온수 분배 장치
KR20190000427U (ko) * 2019-02-01 2019-02-14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냉온수 분배 장치
KR200491002Y1 (ko) * 2019-02-01 2020-02-06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냉온수 분배 장치
KR200491003Y1 (ko) * 2019-02-01 2020-02-07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냉온수 분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495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4669A1 (en) Plumbing and heating pipe system for water supply purposes, made either completely or mainly of plastic material, especially of polypropylene
JP2006170441A (ja) 導管ねじ込み継手ならびに該導管ねじ込み継手に用いられる袋ナット、接続管片および導管
KR200197821Y1 (ko) 난방용배관파이프 및 분배기의 누수확인을 위한 압력테스트용 마개
KR100878840B1 (ko) 급수분배기의 분배관
US4481930A (en) Fuel inlet repair device
JP4257086B2 (ja) ヘッダー接続用継手構造
KR20230001770U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US2973976A (en) Nozzle mounting adapter for in line pipe and tube installations
KR102000018B1 (ko)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US5199750A (en) Snake tail ring socket
JP3307645B2 (ja) 高圧ライン結合
US20210018120A1 (en) Compression-type fitting for connecting pipes to hydraulic or pneumatic components or for connecting pipes together, particularly for refrigeration systems
KR20160103701A (ko) 체크홀이 구비된 연결관
JPH04331887A (ja) 流体用配管の継手を構成する雄・雌形継手構造
KR101425903B1 (ko) 유체개폐용 볼 밸브
GB2333323A (en) Fuel line press-fit pressure diagnostic port
EP0445349B1 (en) Hydraulic sealing device for threaded connections
CN220958936U (zh) 一种热水器接头
JPH04203580A (ja) プラスチック管用継手
KR20110043239A (ko) 전기융착을 이용한 관 연결구
KR102226077B1 (ko) 복합융착식 pe밸브 및 이를 위한 융착기
KR101202436B1 (ko) 전기 융착을 이용해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장치
KR200183128Y1 (ko) 파이프 커플링
KR200171944Y1 (ko) 세탁기의급수밸브
JPH11166683A (ja) サービスチー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50128

Effective date: 200511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103

Effective date: 200701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