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92U - 소형 직선 운동 모듈 - Google Patents

소형 직선 운동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92U
KR20190000192U KR2020170003966U KR20170003966U KR20190000192U KR 20190000192 U KR20190000192 U KR 20190000192U KR 2020170003966 U KR2020170003966 U KR 2020170003966U KR 20170003966 U KR20170003966 U KR 20170003966U KR 20190000192 U KR20190000192 U KR 201900001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lock
end cap
members
fixing
bac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 수-잉
Original Assignee
티비아이 모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비아이 모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비아이 모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01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35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 F16C29/0638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14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shoe type bearing body, e.g. a body facing one side of the guide rail or track only
    • F16C29/0621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shoe type bearing body, e.g. a body facing one side of the guide rail or track only for supporting load in essentially two directions, e.g. by multiple points of contact or two rows of rolling elements
    • F16C29/062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shoe type bearing body, e.g. a body facing one side of the guide rail or track only for supporting load in essentially two directions, e.g. by multiple points of contact or two rows of rolling elements with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은 선형 레일, 슬라이딩 블록 및 복수의 볼을 포함한다. 선형 레일은 복수의 레일 홈을 구비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선형 레일에 슬라이딩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은 슬라이딩 블록 본체, 복수의 역류 부재 및 두 개의 엔드 캡 부재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내측에 복수의 내부 역류 홈 및 두 개의 끝면이 구비되고,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외측에 복수의 외부 역류 홈이 구비되며, 내부 역류 홈과 레일 홈은 복수의 내부 역류 통로를 형성한다. 역류 부재는 각각 역류 관통 홈 및 제1 방진부를 구비하고, 역류 부재의 양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픽싱 구조가 구비된다. 두 개의 엔드 캡 부재는 각각 끝면에 설치되고, 엔드 캡 부재는 복수의 역류 가이드 홈 및 복수의 제2 픽싱 구조를 각각 구비하고, 역류 가이드 홈은 내부 역류 통로 및 외부 역류 통로와 대응되게 접합되며, 제2 픽싱 구조는 제1 픽싱 구조와 연결된다.

Description

소형 직선 운동 모듈{MINIATURE LINEAR MOTION MODULE}
본 고안은 소형 직선 운동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역류 부재에 픽싱 구조의 소형 직선 운동 모듈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소형 직선 운동 모듈에 있어서, 주요하게 선형 레일, 슬라이딩 블록 및 복수의 볼을 포함한다. 선형 레일에 레일 홈이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딩 블록 내측에는 내부 역류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자는 볼이 운행하는 내부 역류 통로를 공동으로 구성한다. 슬라이딩 블록은 슬라이딩 블록 본체 및 복수의 역류 부재를 포함한다. 역류 부재가 슬라이딩 블록 본체와 서로 접하는 일측에 역류 홈이 구비되고, 역류 홈은 슬라이딩 블록 본체 외측의 외부 역류 홈과 공동으로 외부 역류 통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즉, 볼은 내부 역류 통로, 엔드 캡의 역류 가이드 커브 및 외부 역류 통로 사이를 통해 순환 운동한다. 이 밖에, 실제 응용할 경우,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의 조립 정밀도를 향상하고, 운행 시의 방진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 부재 및 제1 방진부를 슬라이딩 블록 본체에 씌움 설치하는 것을 통해 상기의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있어서, 원활한 운동을 위해, 역류 엔드 캡, 순환 부재, 역류 부재 등 부재는 플라스팅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된 부재로서, 적당한 제조 공정 조건을 보조하는 바, 즉 각 부재 사이의 접합이 실질적으로 끊김이 없도록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고, 볼 순환 경로의 관 내벽의 연속성과 평탄함에 유리하다. 기존의 조립 공정에서, 금속 재질의 슬라이딩 블록 본체와 플라스틱 재질의 역류 부재는 조립할 경우, 슬라이딩 블록 본체에서 내부 역류 홈 또는 외부 역류 홈과 근접한 곳에 오목부를 설치할 수 있고, 그 오목부와 역류 부재의 돌출부를 결합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그러나, 슬라이딩 블록 본체 구조를 파괴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볼이 순환 운동하는 과정에서, 역류 부재의 돌출부와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오목부가 결합된 곳에, 볼 반경방향 충격을 대항할 능력이 결핍할 수 있게 되어, 따라서 양자 사이에 결합이 견고하지 않아 이탈하거나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역류 부재의 위치 이동을 초래하여 볼 순환 운동의 안정성 및 시스템 운행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심지어는 역류 부재와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결합곳에 파열,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초래한다.
따라서,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을 어떻게 제공하여, 그 역류 부재의 픽싱 구조를 조립할 시, 슬라이딩 블록 본체 구조를 파괴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역류 부재가 볼 반경방향 충격에 대항하는 능력을 강화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재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역류 부재에 픽싱 구조가 구비되는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을 제공하여,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구조 및 역류 부재의 강도에 영향을 일으키지 않는 전제하에서, 역류 부재가 볼 반경방향 충격에 대항하는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은 선형 레일, 슬라이딩 블록 및 복수의 볼을 포함한다. 선형 레일은 복수의 레일 홈을 구비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선형 레일에 슬라이딩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은 슬라이딩 블록 본체, 복수의 역류 부재 및 두 개의 엔드 캡 부재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내측에 상기 복수의 레일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내부 역류 홈이 구비되고, 슬라이딩 블록 본체는 두 개의 끝면이 구비되며,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내부 역류 홈에 대응되게 복수의 외부 역류 홈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내부 역류 홈과 상기 복수의 레일 홈은 복수의 내부 역류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역류 부재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외측에 연결되고, 각각 상기 역류 부재의 외부 역류 홈과 대응되는 역류 홈 및 제1 방진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역류 홈과 상기 외부 역류 홈은 복수의 외부 역류 통로를 형성하고, 각각 상기 역류 부재의 양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픽싱 구조가 구비되며, 제1 방진부는 선형 레일의 반경방향을 따라 각 역류 홈으로부터 각 레일 홈을 향하여 연신되고, 각 제1 방진부는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역류 부재와 일체로 성형되는 단일 부재이다. 두 개의 엔드 캡 부재는 상기 끝면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 상기 엔드 캡 부재는 복수의 역류 가이드 홈 및 복수의 제2 픽싱 구조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역류 가이드 홈은 상기 내부 역류 통로 및 상기 외부 역류 통로와 대응되게 접합되어 복수의 순환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픽싱 구조는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 픽싱 구조와 각각 연결된다. 복수의 볼은 각 순환 통로에서 순환 운동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은 적어도 두 개의 볼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 유지 부재는 상기 내부 역류 홈과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볼 유지 부재의 양단에 각각 인버스 후크부(inverse hook part)가 구비되고, 상기 인버스 후크부는 각각 상기 엔드 캡 부재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 부재는 각각 고정 슬롯을 더 구비하고, 인버스 후크부는 고정 슬롯에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볼 유지 부재가 내부 역류 홈을 향한 표면은 곡면이고, 곡면은 복수의 볼과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픽싱 구조는 돌출 구조이고, 제2 픽싱 구조는 오목 구조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 구조 외형은 기둥형, 원추형, 플레이트형, 갈고리형 또는 아우터 더브테일형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픽싱 구조는 오목 구조이고, 제2 픽싱 구조는 돌출 구조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역류 부재가 역류 홈과 이격되는 표면에 적어도 두 개의 제1 고정부가 더 구비되고, 슬라이딩 블록은 금속 강화 부재를 더 포함하며, 금속 강화 부재는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금속 강화 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고정부를 구비하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대응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끝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엔드 캡 부재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핀(positioning pin)이 더 구비되며, 상기 포지셔닝 핀은 서로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임베이딩(embeding)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지셔닝 핀 외형은 원기둥형, 다변형 기둥형 또는 원추형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은 두 개의 엔드 캡 방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 캡 방진 부재는 각각 상기 엔드 캡 부재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엔드 캡 방진 부재는 두 개의 제2 방진부 및 강화 시트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2 방진부는 상기 내부 역류 통로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강화 시트는 엔드 캡 방진 부재가 엔드 캡 부재를 향한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내용에 따르면, 본 고안의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은, 그 역류 부재의 양단은 각각 복수의 제1 픽싱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픽싱 구조는 엔드 캡 부재의 복수의 제2 픽싱 구조와 각각 연결되어, 볼이 순환 운동 과정에 있어서, 그 역류 부재가 볼 반경방향 충격을 대항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고, 역류 부재와 엔드 캡 부재의 결합된 곳에, 볼의 충돌로 인해 제1 픽싱 구조 및 제2 픽싱 구조가 이탈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역류 부재가 엔드 캡 부재 및 슬라이딩 블록 본체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볼 순환 운동의 안정성 및 시스템 운행 안정도를 증가시킨다.
제조 공정에서, 플라스틱 재질의 역류 부재와 엔드 캡 부재는, 그 제1 픽싱 구조와 제2 픽싱 구조는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외부 역류 홈과 근접한 곳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다시 역류 부재와 결합할 필요가 없기에, 제조 공정과 조립의 공정을 간소화하였고, 제조 원가가 감소되며, 슬라이딩 블록 본체 구조의 완전성을 유지하고, 전체 시스템의 조립 강도를 증가시켰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의 입체 모식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엔드 캡 부재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1 픽싱 구조 및 제2 픽싱 구조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이 A-A 선분에 따른 단면 모식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엔드 캡 부재와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조립 모식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볼 유지 부재와 슬라이딩 블록의 엔드 캡 부재의 조립 모식도이다.
도8a는 본 고안의 볼 유지 부재의 입체 모식도이다.
도8b는 도8a에 도시된 볼 유지 부재의 부분 B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8c는 도8a에 도시된 볼 유지 부재가 C-C 선분에 따른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을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재 부호로 설명한다.
도1, 도2,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의 입체 모식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의 분해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엔드 캡 부재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고, 도5는 도1에 도시된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이 A-A 선분에 따른 단면 모식도이다.
본 고안은 소형 직선 운동 모듈(M)을 제공하며 선형 레일(1), 슬라이딩 블록(2) 및 복수의 볼(24)을 포함한다. 선형 레일(1)은 복수의 레일 홈(11)을 구비하고, 슬라이딩 블록(2)은 선형 레일(1)에 슬라이딩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2)은 슬라이딩 블록 본체(21), 복수의 역류 부재(22) 및 두 개의 엔드 캡 부재(2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내측에 상기 복수의 레일 홈(11)에 대응되는 복수의 내부 역류 홈(211)이 구비되고,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에 두 개의 끝면(212)이 구비되며,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내부 역류 홈(211)에 대응되게 복수의 외부 역류 홈(213)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내부 역류 홈(211)과 상기 복수의 레일 홈(11)은 복수의 내부 역류 통로(P1)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역류 부재(22)는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외측에 연결되고, 각각 상기 복수의 역류 부재(22)는 각각 상기 복수의 외부 역류 홈(213)과 서로 대응되는 역류 홈(221) 및 제1 방진부(223)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역류 홈(221)와 상기 복수의 외부 역류 홈(213)은 복수의 외부 역류 통로(P2)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역류 부재(22)의 양단에 적어도 하나의 제1 픽싱 구조(222)가 각각 구비되고, 제1 방진부(223)는 선형 레일(1)의 반경방향을 따라 각 역류 홈(221)으로부터 각 레일 홈(11)을 향하여 연신되며, 제1 방진부(223)는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일부분을 커버하고, 역류 부재(22)와 일체로 성형되는 단일 부재이다. 두 개의 엔드 캡 부재(23)는 상기 끝면(212)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엔드 캡 부재(23)는 복수의 역류 가이드 홈(231) 및 복수의 제2 픽싱 구조(232)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역류 가이드 홈(231)은 상기 내부 역류 통로(P1) 및 상기 외부 역류 통로(P2)와 대응되게 접합되어 복수의 순환 통로(도면 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픽싱 구조(232)는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 픽싱 구조(222)와 각각 연결된다. 복수의 볼(24)은 각각 상기 순환 통로에서 순환 운동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 통로는 서로 대응되는 상기 내부 역류 통로(P1), 상기 역류 가이드 홈(231), 상기 외부 역류 통로(P2) 및 상기 역류 가이드 홈(231)으로 구성된다.
이 밖에, 역류 부재(22)가 역류 홈(221)과 이격되는 표면에 적어도 두 개의 제1 고정부(224)가 더 구비되고, 슬라이딩 블록(2)은 금속 강화 부재(26)를 더 포함하며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이를 보호하며, 슬라이딩 블록 본체(21), 역류 부재(22) 및 엔드 캡 부재(23) 전체의 강성 및 충격 대항 능력을 증가시킨다. 금속 강화 부재(26)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고정부(261)를 구비하고, 본 실시예는 일측에 두 개의 제2 고정부(261)가 존재하여, 총 4개의 제2 고정부(261)가 존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제2 고정부(261)는 돌출 구조를 예로 들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제1 고정부(224)는 서로 대응되는 오목부 구조이다. 또는, 제2 고정부(261)도 오목부 구조일 수 있고, 제1 고정부(224)는 서로 대응되는 돌출 구조이다. 상기 제2 고정부(261)는 상기 제1 고정부(224)와 대응되게 연결되어, 금속 강화 부재(26)는 나사로 고정되지 않은 정황하에서도 슬라이딩 블록 본체(21), 복수의 역류 부재(22) 및 두 개의 엔드 캡 부재(23)로 구성된 부재를 단단히 에워싸기에, 슬라이딩 블록(2) 전체 구조의 강도를 강과한다. 역류 부재(22)와 금속 강화 부재(26)가 강제적으로 분리될 경우, 제1 고정부(224) 또는 제2 고정부(261), 지어는 전체 역류 부재(22)의 구조가 모두 파손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높은 결합 강도의 설계는, 구조를 파괴하는 방식으로만, 역류 부재(22)와 금속 강화 부재(26)를 분리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2)은 두 개의 엔드 캡 방진 부재(2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 캡 방진 부재(27)는 각각 상기 엔드 캡 부재(23)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엔드 캡 방진 부재(27)는 두 개의 제2 방진부(271) 및 강화 시트(272)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2 방진부(271)는 상기 내부 역류 통로(P1)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제2 방진부(271)의 설계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내부 역류 통로(P1) 끝면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 본체(21) 및 레일 홈(11) 내부에 진입하여, 볼(24) 운행에 영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강화 시트(272)는 엔드 캡 방진 부재(27)가 엔드 캡 부재(23)를 향한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강화 시트(272)의 재질은 금속이고, 플라스틱 사출 코팅의 방식을 이용하여 엔드 캡 방진 부재(27) 및 제2 방진부(271)와 단일 부재를 구성한다.
여기서,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캡 부재(23)는 제1 엔드 캡(235) 및 제2 엔드 캡(236)을 포함하고, 제1 엔드 캡(235)은 복수의 제1 역류 가이드부(2311)를 구비하며, 제2 엔드 캡(236)은 복수의 제2 역류 가이드부(2312)를 구비한다. 엔드 캡 부재(23)는 제1 엔드 캡(235) 및 제2 엔드 캡(236) 두 개의 부재가 서로 임베이딩 설치되어 구성되고, 제1 엔드 캡(235) 및 제2 엔드 캡(236) 두 개 부재는 조합된 후, 상기 제1 역류 가이드부(2311)와 상기 제2 역류 가이드부(2312)는 상기 역류 가이드 홈(231)을 공동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역류 가이드 홈(231)은 서로 대응되는 내부 역류 통로(P1) 및 외부 역류 통로(P2)와 대응되게 접합되고, 두 개의 엔드 캡 부재(23)는 두 개의 역류 가이드 홈(231)에 대응되게 서로 대응되는 내부 역류 통로(P1) 및 외부 역류 통로(P2)에 각각 접합되어, 복수의 볼(24)이 여기서 순환 운동을 완성하도록 한다.
도2 및 도4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역류 부재(22)의 제1 픽싱 구조(222)는 돌출 구조이고, 엔드 캡 부재(23)의 제2 픽싱 구조(232)는 오목 구조이며, 제1 픽싱 구조(222)는 제2 픽싱 구조(232)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양자의 결합은 볼(24)이 순환 운동의 과정에서, 그 역류 부재(22)가 볼(24)의 반경방향 충격에 대항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고, 역류 부재(22)와 엔드 캡 부재(23)의 결합된 곳은, 볼(24)의 충돌로 인해 제1 픽싱 구조(222) 및 제2 픽싱 구조(232)에 이탈 또는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역류 부재(22)가 엔드 캡 부재(23) 및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볼(24) 순환 운동의 안정성 및 시스템 운행 안정도를 증가시킨다.
이 밖에, 제1 픽싱 구조(222)는 돌출 구조이고, 제2 픽싱 구조(232)는 오목 구조이며, 제1 픽싱 구조(222)와 제2 픽싱 구조(232)는 대응되게 설치된다. 제품의 설계 요구에 따라, 제1 픽싱 구조(222)를 오목 구조로, 제2 픽싱 구조(232)를 돌출 구조(도면 미도시)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픽싱 구조(222) 또는 제2 픽싱 구조(232)의 돌출 구조 외형은 기둥형, 원추형, 플레이트형, 갈고리형 또는 아우터 더브테일형이고, 여기서 기둥형은 원기둥형 또는 다변형 기둥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픽싱 구조(222)의 돌출 구조 외형은 아우터 더브테일형을 예로 들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제2 픽싱 구조(232)의 오목 구조 외형와 제1 픽싱 구조(222)는 이너 더브테일 홈형에 서로 대응된다.
제1 픽싱 구조(222)와 제2 픽싱 구조(232)의 설계로 인해, 플라스틱 재질의 역류 부재(22)와 엔드 캡 부재(23)는, 제1 픽싱 구조(222)와 제2 픽싱 구조(232)는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외부 역류 홈(213)과 근접한 곳에 오목부(2121)를 설치하고 다시 역류 부재(22)와 결합할 필요가 없기에, 제조 공정과 조립의 공정을 간소화하였고, 제조 원가가 감소되며, 슬라이딩 블록 본체(21) 구조의 완전성을 유지하고, 전체 시스템의 조립 강도를 증가시켰다.
계속하여 아울러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 상기 역류 부재(22)는 제1 방진부(223)를 더 구비하고, 제1 방진부(223)는 선형 레일(1)의 반경방향을 따라 각 역류 홈(221)으로부터 각 레일 홈(11)을 향하여 연신되며, 제1 방진부(223)는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역류 부재(22)와 일체로 성형되는 단일 부재이고, 제1 방진부(223)의 설계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측변 또는 또는 하방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 본체(21) 내부에 진입하여, 볼(24) 운행에 영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 설명하자면, 제1 방진부(223)와 역류 부재(22)의 일측은 연결되고, 제1 방진부(223)와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최저측은 대응되게 설치되며, 제1 방진부(223)는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일부분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방진부(223)와 역류 부재(22)는 일체로 성형된 단일 부재로 정합되고,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거쳐 1차로 제1 방진부(223)와 역류 부재(22)를 형성한다. 제1 방진부(223)와 역류 부재(22)가 단일 부재로 설계되었기에, 부재가 더욱 슬림화되었고, 나아가 슬라이딩 블록(2) 전체 구조의 체적을 감소시키며, 제조 및 조립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2 및 도6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상기 끝면(212)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121)가 구비되고, 상기 엔드 캡 부재(23)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핀(233)을 각각 더 구비하며, 상기 포지셔닝 핀(233)은 서로 대응되는 상기 오목부(2121)에 임베딩되어, 상기 엔드 캡 부재(23)가 각각 상기 끝면(212)에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포지셔닝 핀(233)을 오목부(2121)에 설치할 경우, 제조 공정 또는 수단의 설계에 의해 서로의 결합을 느슨한 매칭 또는 타이트한 매칭으로 설계할 수 있다. 더 설명하자면, 상기 복수의 포지셔닝 핀(233)은 제1 엔드 캡(235)이 끝면(212)을 향한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포지셔닝 핀(233)과 상기 복수의 오목부(2121)는 대응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포지셔닝 핀(233)은 원기둥형을 예로 들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여기서 포지셔닝 핀(233) 외형은 더욱 원기둥형, 다변형 기둥형또는 원추형일 수 있고, 상기 오목부(2121)와 상기 포지셔닝 핀(233)은 매칭되어 설치된다. 기존의 엔드 캡과 비교하면 단지 나사 잠금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끝면(212)과 결합하고, 본 실시예는 포지셔닝 핀(233)이 오목부(2121)에 임베딩되는 설계를 통해, 엔드 캡 부재(23)가 끝면(212)에 장착되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역류 가이드 홈(231)과 내부 역류 통로(P1), 외부 역류 통로(P2)가 끊기는 조립 공차를 감소시키며, 엔드 캡 부재(23)가 더욱 견고하게 슬라이딩 블록 본체(21)의 끝면(212)에 설치되도록 하여, 엔드 캡 부재(23) 구조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볼(24)이 순환 운동의 안정성 및 시스템 운행 안정도를 확보한다.
도2, 도7, 도8a, 도8b 및 도8c과 같이, 슬라이딩 블록(2)은 적어도 두 개의 볼 유지 부재(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 유지 부재(25)는 각각 상기 내부 역류 홈(211)과 대응되게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볼 유지 부재(25)의 양단은 각각 인버스 후크부(251)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스 후크부(251)는 각각 상기 엔드 캡 부재(23)와 연결되며, 볼 유지 부재(25)와 내부 역류 홈(211)은 볼(24)의 관로를 제한하는 공간을 공동으로 구성하여, 슬라이딩 블록(2)을 제조한 후 운송 및 조립하는 과정에서, 볼(24)은 아무런 이유가 없이 추락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엔드 캡 부재(23)는 각각 고정 슬롯(234)을 구비하고, 인버스 후크부(251)는 고정 슬롯(234)에 수용된다. 더 설명하자면, 볼 유지 부재(25)의 인버스 후크부(251)는 두 개의 연신 방향을 구비하고, 여기서 두 개의 연신 방향은 각각 내부 역류 홈(211)의 장축 방향에 수직되고 또한 내부 역류 홈(211)의 장축 방향에 평행되며, 볼 유지 부재(25)가 고정 슬롯(234)에 조립될 경우, 고정 슬롯(234)의 형태는 인버스 후크부(251)의 두 개의 연신 방향에 매칭되어, 인버스 후크부(251)가 엔드 캡 부재(23)에 임베딩되고 삽입되도록 하여, 볼(24) 유지 부재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볼 유지 부재(25)가 볼 충격에 대항하는 능력을 증가시킨다. 이 밖에, 도8a 내지 도8c와 같이, 볼 유지 부재(25)가 내부 역류 홈(211)을 향한 표면(252)은 곡면이고, 곡면은 복수의 볼(24)과 접촉하며, 여기서 곡면의 형상은 접촉되는 볼(24)의 부분 구면과 서로 대응된다. 이하 표면(252)을 내측 표면(252)으로 총칭한다. 볼 유지 부재(25)는 엑스트렉션 가공을 거친 후, 다시 압연 가공을 이용하여 전체 내측 표면(252)이 곡면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공정은 내측 표면(252)의 기계성 및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계속하여 상기 복수의 인버스 후크부(251)를 휘어지도록 하여, 볼 유지 부재(25)의 외측 표면(253) 및 기타 부분이 강인성을 구비하도록 하여, 볼 유지 부재(25) 전체의 탄성 극한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밖에, 볼 유지 부재(25)의 내측 표면(252)이 곡면인 설계로 인해, 볼(24)과 볼 유지 부재(25) 사이에 점접촉으로부터 선접촉 또는 면접촉으로 개변시켜, 볼(24)이 볼 유지 부재(25)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8c과 같이, 볼(24)이 내부 역류 홈(211)에 진입하고, 충돌 볼 유지 부재(25)가 외부를 향한 추진력(F24)을 생성할 경우, 내측 표면(252)은 기계성, 경도 및 접촉 면적의 향상됨으로 인해, 추진력(F24)이 볼 유지 부재(25)에 대해 산생한 탄성 변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레일 홈(11)에 진입하여 충돌 볼 유지 부재(25)가 추진력(FN)을 생성할 경우, 그 외측 표면(253) 및 그 기타 부위는 재료 탄성 극한의 향상으로 인해, 따라서 볼(24)이 볼 유지 부재(25)에 대한 탄성 면화도 및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볼 유지 부재(25)가 충격을 받아 용이하게 변형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고안의 소형 직선 운동 모듈은, 그 역류 부재 및 엔드 캡 부재의 양단에 복수의 제1 픽싱 구조 및 복수의 제2 픽싱 구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픽싱 구조는 상기 제2 픽싱 구조와 각각 연결되며, 볼이 순환 운동 과정에 있어서, 그 역류 부재가 볼 반경방향 충격을 대항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고, 역류 부재와 엔드 캡 부재의 결합된 곳에, 볼의 충돌로 인해 제1 픽싱 구조 및 제2 픽싱 구조가 이탈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역류 부재가 엔드 캡 부재 및 슬라이딩 블록 본체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볼 순환 운동의 안정성 및 시스템 운행 안정도를 증가시킨다. 제조 공정에서, 제1 픽싱 구조와 제2 픽싱 구조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외부 역류 홈과 근접한 곳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다시 역류 부재와 결합할 필요가 없기에, 제조 공정과 조립의 공정을 간소화하였고, 제조 원가가 감소되며, 슬라이딩 블록 본체 구조의 완전성을 유지하고, 전체 시트템의 조립 강도를 증가시켰다.
포지셔닝 핀이 오목부에 임베딩되는 결합 설계를 통해, 엔드 캡 부재가 끝면에 장착되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역류 가이드 홈과 내부 역류 통로, 외부 역류 통로가 끊기는 조립 공차를 감소시키며, 엔드 캡 부재가 더욱 견고하게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끝면에 설치되도록 하여, 엔드 캡 부재 구조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볼이 순환 운동의 안정성 및 시스템 운행 안정도를 확보한다.
이 밖에도, 볼 유지 부재의 인버스 후크부는 두 개의 연신 방향을 구비하고, 여기서 두 개의 연신 방향은 각각 내부 역류 홈의 장축 방향에 수직되고 내부 역류 홈의 장축 방향에 평행되며, 볼 유지 부재가 고정 슬롯에 조립될 경우, 고정 슬롯의 형태는 인버스 후크부의 두 개의 연신 방향에 매칭되어, 인버스 후크부가 엔드 캡 부재에 임베이딩되고 삽입되도록 하여, 볼 유지 부재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볼 유지 부재가 볼 충격에 대항하는 능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에 대해 진행한 임의의 동등한 보정 또는 변경은 모두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 선형 레일 11: 레일 홈 2: 슬라이딩 블록
21: 슬라이딩 블록 본체 211: 내부 역류 홈 212: 끝면
2121: 오목부 213: 외부 역류 홈 22: 역류 부재
221: 역류 홈 222: 제1 픽싱 구조 223: 제1 방진부
224: 제1 고정부 23: 엔드 캡 부재 231: 역류 가이드 홈
2311: 제1 역류 가이드부 2312: 제2 역류 가이드부 232: 제2 픽싱 구조
233: 포지셔닝 핀 234: 고정 슬롯 235: 제1 엔드 캡
236: 제2 엔드 캡 24: 볼 25: 볼 유지 부재
251: 인버스 후크부 252: 표면, 내측 표면 253: 외측 표면
26: 금속 강화 부재 261: 제2 고정부 27: 엔드 캡 방진 부재
271: 제2 방진부 272: 강화 시트 A-A, C-C: 선분
B: 부분 F24, FN: 추진력
M: 소형 직선 운동 모듈 P1: 내부 역류 통로 P2: 외부 역류 통로

Claims (11)

  1. 선형 레일, 슬라이딩 블록 및 복수의 볼을 포함하되,
    상기 선형 레일은 복수의 레일 홈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선형 레일에 슬라이딩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슬라이딩 블록 본체, 복수의 역류 부재 및 두 개의 엔드 캡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내측에 상기 복수의 레일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내부 역류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 본체는 두 개의 끝면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내부 역류 홈에 대응되게 복수의 외부 역류 홈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내부 역류 홈과 상기 복수의 레일 홈은 복수의 내부 역류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역류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외측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역류 부재는 각각 상기 복수의 외부 역류 홈과 대응되는 역류 홈 및 제1 방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역류 홈과 상기 복수의 외부 역류 홈은 복수의 외부 역류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역류 부재의 양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픽싱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방진부는 상기 선형 레일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역류 홈으로부터 상기 레일 홈을 향하여 연신되고, 상기 제1 방진부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역류 부재와 일체로 성형되는 단일 부재이고,
    상기 두 개의 엔드 캡 부재는 상기 끝면에 각각 설치되며, 엔드 캡 부재는 복수의 역류 가이드 홈 및 복수의 제2 픽싱 구조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역류 가이드 홈은 상기 복수의 내부 역류 통로 및 상기 복수의 외부 역류 통로와 대응되게 접합되어 복수의 순환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제2 픽싱 구조는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 픽싱 구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볼은 각각 순환 통로에서 순환 운동하는 소형 직선 운동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적어도 두 개의 볼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볼 유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내부 역류 홈과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볼 유지 부재의 양단에 각각 인버스 후크부(inverse hook part)가 구비되고, 상기 인버스 후크부는 각각 상기 엔드 캡 부재와 연결되는 소형 직선 운동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 부재는 각각 고정 슬롯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버스 후크부는 상기 고정 슬롯에 수용되는 소형 직선 운동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 유지 부재가 내부 역류 홈을 향한 표면은 곡면이고, 상기 곡면은 볼과 접촉하는 소형 직선 운동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싱 구조는 돌출 구조이고, 상기 제2 픽싱 구조는 오목 구조인 소형 직선 운동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 외형은 기둥형, 원추형, 플레이트형, 갈고리형 또는 아우터 더브테일(outer dovetail)형인 소형 직선 운동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싱 구조는 오목 구조이고, 상기 제2 픽싱 구조는 돌출 구조인 소형 직선 운동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역류 부재가 상기 역류 홈과 이격되는 표면에 적어도 두 개의 제1 고정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금속 강화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 강화 부재는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 강화 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고정부를 구비하며, 제2 고정부는 제1 고정부와 대응되게 연결되는 소형 직선 운동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 본체의 끝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엔드 캡 부재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핀(positioning pin)이 더 구비되며, 포지셔닝 핀은 서로 대응되는 오목부에 임베딩(embeding)되는 소형 직선 운동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핀의 외형은 원기둥형, 다변형 기둥형 또는 원추형인 소형 직선 운동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두 개의 엔드 캡 방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엔드 캡 방진 부재는 각각 상기 엔드 캡 부재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엔드 캡 방진 부재는 두 개의 제2 방진부 및 강화 시트를 각각 구비하고, 제2 방진부는 상기 복수의 내부 역류 통로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강화 시트는 상기 엔드 캡 방진 부재가 상기 엔드 캡 부재를 향한 일측에 설치되는 소형 직선 운동 모듈.
KR2020170003966U 2017-07-12 2017-07-28 소형 직선 운동 모듈 KR2019000019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210254 2017-07-12
TW106210254U TWM554526U (zh) 2017-07-12 2017-07-12 微型直線運動模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92U true KR20190000192U (ko) 2019-01-22

Family

ID=6023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966U KR20190000192U (ko) 2017-07-12 2017-07-28 소형 직선 운동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13363U (ko)
KR (1) KR20190000192U (ko)
TW (1) TWM55452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1034B (zh) * 2015-12-31 2019-01-01 上银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保持器的线性滑轨及其保持器的组装方法
TWI668378B (zh) 2018-04-23 2019-08-11 直得科技股份有限公司 微型線性滑軌及其滑座
CN111022495B (zh) * 2018-10-09 2021-08-24 全研科技有限公司 高荷重多轴调整装置
CN214331216U (zh) 2020-12-31 2021-10-01 李思颖 线性传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13363U (ja) 2017-11-02
TWM554526U (zh) 201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192U (ko) 소형 직선 운동 모듈
US8429991B2 (en) Rack bush and rack 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having rack bush for vehicle
KR101553184B1 (ko) 1 축 액추에이터
TWI582315B (zh) 滾動體收容具
EP2604875A1 (en) Linear motion guide device
JP5316700B2 (ja) リニアガイド装置
US8408796B1 (en) Rolling element retainer belt and linear motion guide apparatus
US20080138002A1 (en) Linear Guide Device
US7121723B2 (en) Linear guide apparatus
TWI518257B (zh) Movement guide device
KR200489448Y1 (ko) 볼 스플라인 장치
US9297415B2 (en) Linear actuator
KR102457930B1 (ko) 베어링 리테이너
KR200496565Y1 (ko) 리니어 가이드웨이
CN206918075U (zh) 微型直线运动模块
JP4332408B2 (ja) 直動転がり案内装置
JP4682910B2 (ja) 直動案内装置
KR102093086B1 (ko) 볼 수용 밴드 및 운동 안내 장치
JP2008002660A (ja) 直動案内装置
JP7456411B2 (ja) 直動案内装置
JP5772159B2 (ja) 直動案内装置
JP2001193740A (ja) リテーニングピ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直動装置
CN112771276B (zh) 固定件
KR200491611Y1 (ko) 롤러 스플라인 어셈블리
JP6131530B2 (ja) リニア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