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301A - 물질 p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물질 p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301A
KR20180136301A KR1020170075070A KR20170075070A KR20180136301A KR 20180136301 A KR20180136301 A KR 20180136301A KR 1020170075070 A KR1020170075070 A KR 1020170075070A KR 20170075070 A KR20170075070 A KR 20170075070A KR 20180136301 A KR20180136301 A KR 2018013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ance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inflam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349B1 (ko
Inventor
김다정
송기영
이정선
장송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07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34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질 P (Substance P, SP)를 함유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콜라겐 합성 촉진, 콜라겐 분해효소 생성 억제 및 항염 반응을 수행하여 피부 주름 또는 염증을 개선시키는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신규한 용도,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기존에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물질 P의 기본 특성에 물질 P의 안정화를 위해 첨가된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및 점증제에 의한 시너지 작용에 의하여 물질 P 대비 개선된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주름 또는 염증개선용 화장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질 P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ubstance P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anti-inflammation activity}
본 발명은 물질 P(substance 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콜라겐 합성 촉진, 콜라겐 분해효소(MMP-1) 생성 억제 및 항염 반응을 수행하여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며, 다양한 화장품 관련 산업 중 특히 피부 노화에 관련된 화장품은 성장률이 단연 높은 분야로 꼽힌다. 피부 노화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피부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두드러지는 요인은 크게 피부 내 콜라겐 감소에 인한 주름 형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염증 반응으로 나눌 수 있다.
세포외 기질의 주요 구성 성분인 콜라겐은 피부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피부의 견고성, 결합조직 및 피부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의 유도 등의 기능을 하고, 이를 통해 진피층 내의 수분 보유력을 높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로 인해 감소하며, 이때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ases)의 활성으로 콜라겐 감소가 촉진되는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에 관여한다.
종래에는 콜라겐의 주름 개선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화장품 또는 연고 등과 같은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콜라겐을 배합한 제품들이 출시되었으나, 이들 제품들은 콜라겐 자체를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고분자 물질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본질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종래 알려진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로는 레티노이드(retinoid), 아데노신(adenosine), 클로렐라추출물(JP9-40523, JP10-36283,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작용), 비타민C, 형질전환생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동물태반 유래의 단백질(JP8-231370), 베툴린산(betulinic acid, JP8-208424)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레티놀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지만, 화장료로 사용 시 피부에 자극, 발적 등을 유발시키고, 빛에 불안정함에 따라 그 사용에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은 효과가 미미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처럼, 상기 물질은 피부 적용시 자극과 발적 등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에 제한이 있거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주름 개선용 조성물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주름 개선 효과가 높은 새로운 주름 개선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염증은 인체의 질병 혹은 상처에 대항하는 면역 반응의 일환으로서, 염증 반응시에는 다양한 염증유발인자와 더불어 다양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이 생성된다. 정상적인 자유 라디칼은 세포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며, 세포의 분화, 성장, 생존, 노화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자유 라디칼 중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에서 호흡과 면역 반응에 의한 산소의 산화와 환원 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자유 라디칼의 생성과 소거의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발병하게 되고, 이로 인한 염증성 인자의 활성화는 세포를 손상시키고 피부의 노화로 이어지게 된다.
염증 반응은 염증성 사이토카인(TNF-alpha, IL-6 등)의 증가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IL-4, IL-10 등) 감소가 특징적이다. 또한, 강력한 염증 매개물인 나이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NO)는 NO 합성 효소 (NOS)에 의해 생성되며 광노화 스트레스 또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많은 종류의 세포에서 발생된다.
피부 노화에 도움을 주는 항염증 원료로는 비스테로이드 계통인 플루테나믹산(Flufenamic acid), 벤지다민(Benzydamine), 스테로이드 계통인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및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 역시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떨어지고 항염증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물질 P(Substance P)는 1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신경전달 펩타이드로서, 다양한 세포 및 육아조직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물질 P는 인간의 햄스트링 힘줄세포(Primary human hamstering tenocyes)에서 콜라겐 리모델링(Collagen remodeling)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며, 인공 피부 조직의 경피수분증발을 억제하여 각질층의 수분손실을 막아 각질층이 수분을 유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물질 P는 염증 관련 백혈구, 호중구 및 조혈줄기세포를 혈액 내에서 감소시키고 항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조절 T 림파구 및 항염증성 대식세포 등을 증가시켜 염증반응을 조기에 종료시키는 효과 역시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92451B1). 이는 물질 P가 주름 및 염증 반응 개선 조성물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다만, 물질 P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주름 및 염증 개선 효과의 감소는 이를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품으로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극복해야 할 문제점이다.
상기와 같이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물질 P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자들이 기존에 개발한 조성물로서, 물질 P,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물질 P 자체에 비해 피부 섬유아세포 성장 배지 내에서 안정하고 동시에 더욱 우수한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질 P(substance P)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물질 P(substance P),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물질 P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효능의 미미한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신규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물질 P를 적용했을 때 최적의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질 P, 티오황산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물질 P(substance P)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피부 섬유아세포 성장 배지 내에서 안정하고 콜라겐 합성 촉진, 콜라겐 분해효소 생성 억제 및 항염 반응을 수행하여,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물질 P(substance P)는 서열번호 1의 "Arg-Pro-Lys-Pro-Gln-Gln-Phe-Phe-Gly-Leu-Met-NH2-"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신경펩티드를 의미한다. 상기 물질 P는 뇌척수 등의 중추신경계 및 장관 등의 말초에 널리 분포하여 1차 지각신경에서 통각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질 P의 농도는 1 내지 10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1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농도가 1 내지 10 ㎍/㎖인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콜라겐 합성 효과 및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증명하였고, 특히 5 내지 10 ㎍/㎖의 범위에서 상기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증명하였다(도 3 및 도 4).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물질 P의 농도가 1 내지 10 ㎍/㎖로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주름 개선 효능을 발휘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활성성분의 산화과정에서 생기는 유리기나 과산화물에 작용하여 산화의 연쇄반응을 중단하고, 산화의 진행을 방지하며, 활성성분의 변질을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물질 P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효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당업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항산화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베타-머캅토에탄올(β-mercaptoethanol, β-ME),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비타민 E, 베타카로틴, 라이코펜, 코엔자임 Q-10(coenzyme Q-10), 셀레늄, 크롬, 마그네슘, 타우린(taurine), 하이포타우린(hypotaurine) 또는 트레할로스(trehalos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항산화제는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효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1중량%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항산화제로서 티오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물질 P에 비해, 콜라겐 합성 효과, 콜라겐 분해효소 (MMP-1) 억제 효과(도 3 및 도 4)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감소 효과, 나이트릭 옥사이드 (Nitric oxide, NO) 감소 효과(도 5 및 도 6)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항산화제로서 티오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는 친유성의 오일성분을 사용하여 균일한 액 조성을 유지하게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또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 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일반적인 계면 활성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 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일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1 중량%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06 내지 0.1 중량%인 것일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물질 P에 비해, 콜라겐 합성 효과, 콜라겐 분해효소 (MMP-1) 억제 효과(도 3 및 도 4)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감소 효과, 나이트릭 옥사이드 (Nitric oxide, NO) 감소 효과(도 5 및 도 6)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점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첨가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증점제 또는 증점 안정제라고도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점증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하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5 중량% 이상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점성이 너무 높아져 도포에 적합하지 않은 조성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점증제로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물질 P에 비해, 콜라겐 합성 효과, 콜라겐 분해효소 (MMP-1) 억제 효과(도 3 및 도 4)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감소 효과, 나이트릭 옥사이드 (Nitric oxide, NO) 감소 효과(도 5 및 도 6)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점증제로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질 P에 항산화제로서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및 점증제로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물질 P, 항산화제 0.01 내지 1 중량%, 계면 활성제 0.001 내지 0.1 중량%, 및 점증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항산화제는 0.1 내지 1 중량%, 및 계면 활성제는 0.006 내지 0.1 중량%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물질 P, 항산화제로서 티오황산나트륨 0.01 내지 1 중량%,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 0.001 내지 0.1 중량%, 및 점증제로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질 P, 항산화제로서 티오황산나트륨 0.1 내지 1 중량%,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 0.006 내지 0.1 중량%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질 P,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물질 P에 비해 콜라겐 합성 효과(도 3) 및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과(도 4)가 우수함을 증명함으로써, 물질 P를 단독으로 적용하는 것에 비해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더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항산화제, 물질 P,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물질 P에 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감소 효과(도 5) 및 나이트릭 옥사이드 (Nitric oxide, NO) 감소 효과(도 6)가 더 우수함을 증명함으로써, 물질 P를 단독으로 적용하는 것에 비해 염증 개선 효과가 더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품에 유용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 제형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상기 가용화 제형으로는 유연화장수 등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저자극성 화장료ㅡ 피부 보호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세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크림, 에센스, 스트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주름 개선" 이란, 피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염증 개선 또는 항염증" 이란,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며, 상기 염증은 외부 자극에 대한 생체 내 방어기작 중의 하나로, 구체적으로 염증은 선천성 면역 반응의 일부로 외부 자극 특히 병원체 표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패턴을 인식한다. 생체 내 염증 세포는 그런 표면의 특이적 패턴을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를 공격한다. 이때 병원체가 생체 내 물리적 장벽을 깨고 침입하면 염증반응이 발발한다. 염증반응 시 초기단계에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백혈구들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발현한다. 따라서 세포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양은 염증반응 활성화의 지표가 된다. 또한 강력한 염증 매개물인 나이트릭 옥사이드 (Nitric oxide, NO) 역시 사이토카인에 의해 많은 종류의 세포에서 발생되므로 염증반응의 추가적인 지표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물질 P,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주름 또는 염증이 유발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 란, 피부 주름 또는 염증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및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물질 P",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및 "점증제" 는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해도 좋고,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을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조성물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질 P(substance P),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항산화제 및 계면 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물질 P의 안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은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피부 섬유아세포 배양 배지 내 안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는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은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ase) 억제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a) 및 물질 P(b)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a) 및 물질 P(b)의 나이트릭 옥사이드 ((Nitric oxide, NO)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산화제 및 계면 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물질 P의 안정성 평가
본 발명자들은 물질 P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에 앞서, 항산화제 및 계면 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물질 P의 안정성 평가 실험을 통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에 적합한 항산화제 및 계면 활성제의 최적 함량을 확인하였다.
물질 P에 항산화제로서 티오황산나트륨의 함량비를 각각 다르게 하여 (0.05%, 0.1%, 0.5% 및 1%) 첨가하고,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의 함량비를 다르게 하여 (0.003%, 0.006%, 0.01%, 0.05% 및 0.1%)첨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고, 티오황산나트륨 및 폴리소르베이트 80를 상이한 함량으로 포함하는 각 제형에서의 물질 P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티오황산나트륨이 0.1% 이상으로 포함된 조성물에서, 물질 P의 안정성이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폴리소르베이트 80의 함량비가 0.006 %이상인 조성물에서 물질 P의 안정성이 증가하였으며, 폴리소르베이트 80의 함량에 따른 이러한 효과는 티오황산나트륨이 0.1 %이상일 때 더욱 명확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물질 P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물질 P에 항산화제로서 티오황산나트륨,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점증제로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추가한 신규한 제형을 제조하였다. 물질 P는 펩타이드 합성 기술인 프목-케미스트리(Fmoc-chemistry)를 이용한 솔리드/솔루션 단계(Solid/Solution phase)를 통해 합성하였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최종적으로 순도 85% 이상의 것을 사용하였다.
물질 P를 함유하는 조성물
조성물의 구성 함량
물질 P 지정농도(㎍/㎖)
티오황산나트륨 0.1%
폴리소르베이트 80 0.006%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1.5%
실시예 3: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섬유아세포 배양 배지 내 안정성 확인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안정성을 피부 섬유아세포 배양 배지에서 확인하였다. 상기 표 1와 같이 제조된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물질 P, 5 ㎍/㎖) 또는 비교예로서 인산 완충 용액(PBS)에 용해한 물질 P(물질 P, 5 ㎍/㎖)를 피부 섬유아세포 배양 배지 (FGM, Lonza, USA)에 0, 3, 6, 12 및 24시간까지 적용시킨 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지 내에 남아있는 물질 P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물질 P의 함량은 Substance P ELISA Kit (Abcam, USA)를 이용하여 ELISA법으로 정량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0시간을 적용한 샘플을 사용하였고 대조군을 100%로 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배지 내에 남아있는 물질 P의 함량을 퍼센트(%)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배양 3시간 후 인산 완충 용액에 용해한 물질 P를 처리한 그룹에서 물질 P의 함량이 최대 46%까지 감소하였고, 6시간이 지난 뒤 11%까지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경우 배지 내 24의 배양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물질 P의 함량이 약 100%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물질 P 자체에 비하여 피부 섬유아세포 배지 내에서 더욱 안정하게 존재함을 증명하는 것이다.
실시예 4: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 확인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를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확인하였다. 96개의 구멍이 있는 평판 배양접시 (96-well plate)에 3 x 104 CFU/well의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를 넣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FGM, Lonza, USA) 제거한 후, 새로운 배지 180 ㎕를 각 well에 분주하고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또는 인산 완충 용액(PBS)에 용해한 물질 P를 20 ㎕씩 넣은 뒤,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첨가된 조성물 및 물질 P의 농도는 전체 배지량을 고려하여 최종농도가 원하는 농도가 되게끔 계산하여 첨가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상층액을 모아서 Procollagen Type1-Peptide (P1P) EIA Kit (TaKaRa, Japan)를 이용하여 배지에 있는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배양 24시간 후 인산 완충 용액에 용해한 물질 P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콜라겐 합성이 최대 약 25%까지 증가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을 처리한 그룹의 경우 콜라겐의 합성이 최대 약 70%까지 증가시켰다(도 3).
이들의 차이는 통계학상으로 유의미했다. 통계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으며, 대조군 (인산 완충 용액 처리군) 대비 각 실험군의 효과 비교 (*p<0.05, **p<0.01)및 인산 완충 용액에 용해한 물질 P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 비교 (#p<0.05, ##p<0.01)를 각각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물질 P에 비해 본 발명의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5: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콜라겐 분해효소 ( MMP -1) 억제 효과 확인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콜라겐 분해효소 (Collagenase, MMP-1) 억제 효과를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확인하였다. 96개의 구멍이 있는 평판 배양접시 (96-well plate)에 3 x 104 CFU/well의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를 넣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FGM, Lonza, USA) 제거한 후, 새로운 배지 180 ㎕를 각 well에 분주하고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및 인산 완충 용액(PBS)에 용해한 물질 P를 20 ㎕씩 넣은 뒤,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첨가된 조성물 또는 물질 P의 농도는 전체 배지량을 고려하여 최종농도가 원하는 농도가 되게끔 계산하여 첨가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상층액을 모아서 Human total MMP-1 Kit (R&D systems, USA)를 이용하여 배지에 있는 콜라겐 분해효소(MMP-1)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배양 24시간 후, 인산 완충 용액에 용해한 물질 P를 처리한 그룹에서 콜라겐 분해효소 (MMP-1)의 형성이 최대 약 20% 정도 감소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처리한 그룹의 경우 콜라겐 분해효소 (MMP-1)의 형성이 최대 약 40%정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4).
이들의 차이는 통계학상으로 유의미했다. 통계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으며, 대조군 (인산 완충 용액 처리군) 대비 각 실험군의 MMP-1 형성 비교 (p<0.05,**p<0.01)및 인산 완충 용액에 용해한 물질 P와 본 발명의 조성물의 MMP-1 형성 비교 (#p<0.05, ##p<0.01)를 각각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물질 P에 비해 본 발명의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한 콜라겐 분해효소 (MMP-1)의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6: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감소 효과 확인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감소 효과를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24개의 구멍이 있는 평판 배양접시 (24-well plate)에 4 x 105 CFU/well의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를 넣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 성장용 배지는 DMEM (Welgene, Korea)에 200 mM의 L-glutamine (Gibco, USA)를 섞은 배지를 이용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뒤 새로운 배지 1 ml를 각 well에 분주하였다. 세포 내 염증 반응 유도를 위해 LPS (Sigma, USA)를 100 ng/ml 처리하고 동시에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또는 인산 완충 용액(PBS)에 용해한 물질 P을 분주하여 전체 배지량이 2 ml/well이 되게끔 한 뒤 37℃에서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이때, 첨가된 조성물 및 물질 P의 농도는 전체 배지량을 고려하여 최종농도가 원하는 농도가 되게끔 계산하여 첨가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상층액을 모아 Mouse IL-6 Immunoassay (R&D systems, USA)를 이용하여 배지에 있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양을 측정하였다.
IL-6 양 감소의 유의미함은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LPS 처리한 그룹 대비 실험군의 IL-6 실측량 비교 (*p<0.05, **p<0.01)를 실시함으로써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배양 24시간 후 인산 완충 용액에 용해한 물질 P를 처리한 그룹에서 염증유발 물질 LPS로 인해 유발된 IL-6의 양이 최대 약 20% 정도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b). 반면 본 발명의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을 처리한 그룹의 경우 염증유발 물질 LPS로 인해 유발된 IL-6의 양이 최대 약 50% 정도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물질 P에 비해 본 발명의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나이트릭 옥사이드 (NO) 감소 효과 확인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염증 환경 내 나이트릭 옥사이드 (NO) 감소 효과를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24개의 구멍이 있는 평판 배양접시 (24-well plate)에 4 x 105 CFU/well의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를 넣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 성장용 배지는 DMEM (Welgene, Korea)에 200 mM의 L-glutamine (Gibco, USA)를 섞은 배지를 이용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뒤 새로운 배지 1 ml를 각 well에 분주하였다. 세포 내 염증 반응 유도를 위해 LPS (Sigma, USA)를 100 ng/ml 처리하고 동시에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또는 인산 완충 용액(PBS)에 용해한 물질 P을 분주하여 전체 배지량이 2 ml/well이 되게끔 한 뒤 37℃에서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이때, 첨가된 조성물 및 물질 P의 농도는 전체 배지량을 고려하여 최종농도가 원하는 농도가 되게끔 계산하여 첨가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96개의 구멍이 있는 평판 배양 접시 (96-well plate)에 100 ㎕씩 넣고 Griess reagent (Sigma, USA)를 동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15분간 보관한 뒤,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ium nitrite (Sigma, USA)를 표준품으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LPS만 처리한 군의 나이트릭 옥사이드 (NO)의 생성량을 100%로 하여 배지 내 나이트릭 옥사이트 (NO)의 양을 측정하였다.
NO 양 감소의 유의미함은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LPS 처리한 그룹 대비 실험군의 NO 실측량 비교 (*p<0.05, **p<0.01)를 실시함으로써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배양 24시간 후 인산 완충 용액에 용해한 물질 P를 처리한 그룹에서 염증유발 물질 LPS로 인해 유발된 NO의 양이 최대 약 10% 정도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6b). 반면 본 발명의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경우 염증유발 물질 LPS로 인해 유발된 NO의 양이 최대 약 70% 정도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6a).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물질 P에 비해 본 발명의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한 NO의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110> Biosolution Co.,Ltd <120>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ubstance P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anti-inflammation activity <130> KPA170529-KR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ubstance P <400> 1 Arg Pro Lys Pro Gln Gln Phe Phe Gly Leu Met 1 5 10

Claims (9)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물질 P(substance P),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P의 농도는 1 내지 10 ㎍/㎖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P의 농도는 5 내지 10 ㎍/㎖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1 중량%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75070A 2017-06-14 2017-06-14 물질 p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101945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70A KR101945349B1 (ko) 2017-06-14 2017-06-14 물질 p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70A KR101945349B1 (ko) 2017-06-14 2017-06-14 물질 p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301A true KR20180136301A (ko) 2018-12-24
KR101945349B1 KR101945349B1 (ko) 2019-02-07

Family

ID=6501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070A KR101945349B1 (ko) 2017-06-14 2017-06-14 물질 p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3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759A1 (ko) * 2019-05-22 2020-11-26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0241972A1 (ko) * 2019-05-28 2020-12-03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177608A1 (ko) *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759A1 (ko) * 2019-05-22 2020-11-26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0241972A1 (ko) * 2019-05-28 2020-12-03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6641A (ko)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177608A1 (ko) *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 조성물
KR20210111049A (ko) *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349B1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1262T3 (es) Composición para el cuidado personal y cosmética que contiene tetrapéptidos con las unidades CX1X2G, PX1X2P o PX1X2K
RU2562140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для лечения признаков старения кожи
JP2006131633A (ja) 皮膚の老化の徴候を抑制する尿素化合物の使用
JP2021530447A (ja) 皮膚状態の治療方法
JP2010132639A (ja) Dna損傷抑制剤及び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1産生抑制剤
JP2008156349A (ja) 加齢の徴候を処置するためのプロビタミンa活性を有する少なくとも1種のカロチノイドとプロビタミンa活性を有さない少なくとも1種のカロチノイドの組合せ物の使用
KR101945349B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JP4117774B2 (ja) N−アシルアミノアミドファミリーのエラスターゼ阻害剤化合物と少なくとも1種の抗炎症剤化合物の組み合わせを含む化粧品用又は皮膚用組成物
JP2004512295A (ja) 皮膚加齢の徴候を処置するための少なくとも1種のカロチノイドと少なくとも1種のイソフラボノイドの組合せ物の使用
JP2009242311A (ja) Scf分泌抑制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KR101668154B1 (ko)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6901801B2 (ja) 物質pを含むしわの改善または抗炎症化粧料組成物
KR20180090123A (ko) 리퀴댐버릭 락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8088074A (ja) 皮膚の老化機構に作用する剤、抗老化用皮膚外用剤、及び抗老化方法
JP2015093848A (ja) 皮膚化粧料及び頭髪化粧料
KR102124276B1 (ko) N-니코티노일-가바를 함유한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083405B1 (ko) 스티풀레아노사이드 r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108255A (ko) 파리신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4A (ko) 파리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5090B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 조성물
KR102257089B1 (ko) 산하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0547975B (zh) 包含表松脂酚的化妆材料组合物
KR102120619B1 (ko) 겐티스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세포 재생용 조성물
RU2355383C2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на основе коллагеназы микроб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