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814A - 치과 기공물의 제조를 위한 가공 기계 - Google Patents

치과 기공물의 제조를 위한 가공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814A
KR20180135814A KR1020180067247A KR20180067247A KR20180135814A KR 20180135814 A KR20180135814 A KR 20180135814A KR 1020180067247 A KR1020180067247 A KR 1020180067247A KR 20180067247 A KR20180067247 A KR 20180067247A KR 20180135814 A KR20180135814 A KR 20180135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machining
blank
holding devic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998B1 (ko
Inventor
헤인리 스테제르
Original Assignee
헤인리 스테제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인리 스테제르 filed Critical 헤인리 스테제르
Publication of KR2018013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22Blanks or green, unfinished dental restoratio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9/00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 B23Q39/02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the sub-assemblies being capable of being brought to act at a single operating station
    • B23Q39/028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the sub-assemblies being capable of being brought to act at a single operating station with a plurality of workholder per toolhead in opera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5Flexible coverings, e.g. coiled-up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블랭크(2)로부터 치과 기공물(W)을 제조하기 위한 가공 기계(1)로서, 이 가공 기계(1)는,
- 제1 챔버(K1) 및 제2 챔버(K2)가 배열되며, 제2 챔버(K2)는 제1 챔버(K1)와는 별개인 하우징(3),
- 제1 챔버(K1) 내에 배열되고 하우징(3)에 대해 이동 가능한, 블랭크(2)를 위한 제1 홀딩 장치(4),
- 제2 챔버(K2) 내에 배열되고 하우징(3)에 대해 이동 가능한, 블랭크(2)를 위한 제2 홀딩 장치(5), 및
- 하우징(3)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공 장치(6)를 포함하며,
제1 홀딩 장치(4)에 홀딩된 블랭크(2) 및 제2 홀딩 장치(5)에 홀딩된 블랭크(2)는 가공 장치(6)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 기공물의 제조를 위한 가공 기계{PROCESS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A DENTAL WORKPIECE}
본 발명은 블랭크(blank)로부터 치과 기공물(dental workpiece)을 제조하기 위한 가공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이 가공 기계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가 배열되는 하우징으로서, 제2 챔버는 제1 챔버와는 별개인, 하우징, 제1 챔버 내에 배열되고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블랭크를 위한 제1 홀딩 장치, 제2 챔버 내에 배열되고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블랭크를 위한 제2 홀딩 장치, 및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공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랭크로부터 치과 기공물을 제조하기 위한 그러한 가공 기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오래 전부터 가공 기계는 치과 기공물을 제조할 때 사용되고, 여기서 가공 기계는 대응하는 데이터 레코드(data record)에 기초하여 블랭크로부터 치과 기공물을 가공하고 있다. 대개,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컴퓨터 수치 제어) 가공 기계, 특히 CAD/CAM 가공 기계가 사용된다. 치과 산업에서 가공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은 블랭크로서 이해될 수 있다. 블랭크는 원통형 디스크, 다각형 또는 사전-밀링가공된 블랭크 형태일 수 있다.
제조될 기공물에 따라, 블랭크가 건식 가공되거나 습식 가공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복잡한 세정 작업을 너무 자주 실행할 필요가 없게 하기 위해서, DE 10 2006 023 673 B4로부터, 밀링 장치(가공 기계에 대응함)에서 상이한 유형의 밀링가공(건식 밀링가공 및 습식 밀링가공 각각)을 위한 2개의 별도 챔버가 제공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챔버는 칸막이 벽(partition wall)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문헌에 따르면, 의치 각각의 제조를 위한 하나의 밀링 헤드(가공 장치에 대응함)가 이들 2개의 챔버 각각에 배열되어 있다. 그러한 밀링 헤드는, 비교적 복잡한 장치이고, 또한 별도로 구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비용이 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가공 기계는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저렴해야 하며 단순화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가공이 가능해야 한다.
이것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가공 기계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홀딩 장치에 홀딩된 블랭크 및 제2 홀딩 장치에 홀딩된 블랭크가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2개의 별도의 복잡한 가공 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없고, 오히려 동일한 가공 장치에 의해, 블랭크의 저렴한 가공이 2개의 챔버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장치는 제1 챔버 및 제2 챔버 내로 교대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가공 장치는 진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2(보조) 가공 장치가 예를 들어 추가적인 가공 동작에 제공된다는 것이 배제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여전히 (주) 가공 장치는 양쪽 챔버 모두 내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공 기계는 하나의 가공 장치만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가공 장치로서 그 자체로 알려진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들 장치에 의해, 블랭크가 기계가공될 수 있거나 재료 제거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재료 제거 가공 장치 대신에(또는 그에 부가하여), 실질적으로 적층 제조 기술(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의 원리에 따라 작업하는 재료-도포 장치(material-applying device)가 제공되는 것이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장치는 구동 장치,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가공 샤프트, 및 가공 샤프트에 고정된 가공 공구(processing tool)를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면, 밀링 커터, 드릴, 그라인더, 식별 및/또는 스캐닝을 위한 대상물(object) 등이 가공 공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가공 공구를 갖는 가공 장치를 갖추기 위한 공구 매거진(tool magazine)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이한 종류의 공구를 위한 별도의 매거진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이한 종류는, 예를 들어 건식 가공(dry processing)을 위한 공구 및 습식 가공(wet processing)을 위한 공구이다. 특히, 요구 조건에 따라 상이한 가공 공구가 가공 샤프트에 자동으로 삽입될 수 있다.
2개의 챔버가 가공 기계의 하우징의 2개의 세미-하우징(세미-하우징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도 있음)으로 서로 완전히 별도로 형성되는 것이 배제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이 칸막이 벽을 포함하도록 제공되며, 여기서 2개의 챔버는 칸막이 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하우징은 기계의 내부와 기계 환경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은 또한, 이러한 경우에 지지 구조체로서 작용하는 기계 베드(machine bed)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챔버는 완전히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가능한 응용에 대해 가공 기계를 적합화시키기 위해서, 제1 챔버가 제1 홀딩 장치에 홀딩된 블랭크의 건식 가공을 위한 가공 영역을 형성하고 제2 챔버가 제2 홀딩 장치에 홀딩된 블랭크의 습식 가공을 위한 가공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습식 가공을 위한 가공 영역을 갖는 챔버는 가공 영역 내로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냉각 윤활제를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도입 장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포함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금속은 제2 홀딩 장치(기공물 마운트)에서 수냉하에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공이 완료된 후, 가공 샤프트는 제1 홀딩 장치를 갖는 제1 챔버 내로 이동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지르코늄의 가공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 기술자는 건식 가공 및 습식 가공되어야 할 재료를 가공할 수 있다. 실제로 제1 가공 단계에서 블랭크를 습식 가공하고, 이어서 블랭크, 예를 들어 지르코늄으로 제조된 블랭크를 건식 가공하면, 다공성 지르코늄 재료가 수분을 흡수하고, 그에 따라 의치에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진자 동작을 허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가공 기계가 사용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블랭크가 다른 블랭크의 가공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 분리된 2개의 가공 영역이 제공된다. 따라서, 가공 기계는 치과 기술자가 원하는 대로 2개의 블랭크를 연속적으로 - 치과 기술자의 개입없이 -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유연성(flexibility)의 증가가 또한 달성된다.
2개의 챔버 각각은 하우징의 제한 벽에 의해 모든 측면에서 밀폐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4개의 측벽(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됨), 바닥 요소(floor element) 및 커버 요소가 제한 벽으로서 제공된다. 측벽 중 하나는 다른 챔버에 대한 칸막이 벽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한 벽 중 하나는 제1 챔버에 대한 제1 접근 개구 및 제2 챔버에 대한 제2 접근 개구를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접근 개구는 2개의 챔버에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단일 개구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전체 가공 장치는 2개의 챔버 내로 이동될 수 있고 각각의 접근 개구를 통해 2개의 챔버 밖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공 장치, 바람직하게는 가공 공구와 함께 가공 샤프트의 일부만이 제1 접근 개구를 통해 제1 챔버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제2 접근 개구를 통해 제2 챔버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 장치는 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공 장치는 하우징 옆에 위치될 수 있고, 가공 공구와 함께 가공 샤프트만이 접근 개구를 통해 챔버 내의 가공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가공 장치,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구동 장치는 제한 벽(의 외측 표면) 상에 - 바람직하게는 선형으로 -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챔버를 넘어서는 오염물을 회피하기 위해서, 접근 개구 각각이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폐쇄 도어에 의해 각각 형성된 폐쇄 메커니즘에 의해 폐쇄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공 샤프트를 위한 드라이브-인 슬롯(drive-in slot) 또는 예를 들어 브러시를 갖는 가요성 요소, 예를 들어 고무 매트가 폐쇄 메커니즘으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가공 장치는 직선 이동 축을 따라 챔버 내로 그리고 챔버로부터 외부로 단지 이동될 수 있고, 가공에 필요한 나머지 2개의 공간 축으로의 이동은 블랭크를 위한 홀딩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가공 장치는 챔버 내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공간 축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가능성을 허용하고 동시에 챔버를 넘어서는 오염물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 벽은 가요성 및 가동성 벽 요소로서, 바람직하게는 절첩형 벨로우즈(folding bellow) 또는 자루 요소(sack element)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특히 폐쇄 메커니즘,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프레임은 가요성 및 가동성 벽 요소에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폐쇄 메커니즘은 가공 장치에 의해 챔버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이에 의해 가공 공구도 또한 각각의 챔버 내에 있어서 2개의, 바람직하게는 모두 3개의 공간 축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이것은, 결국, 바람직한 실시예만을 나타내고, 이동 축은 또한 서로에 대해 다른 구성/배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홀딩 장치는 매우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가공을 위한 많은 이동이 가공 장치에 의해 실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블랭크의 고정 홀딩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가 홀딩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홀딩 장치 각각은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외측 링, 및 외측 링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내측 링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형상의 블랭크 각각은 적절한 인장 요소에 의해 이러한 내측 링에 홀딩된다. 또한, 원주를 따라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반-링도 (외측 링 및 내측 링을 위한) "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링은 원(반원)의 형태일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링(외측 링 및 내측 링)은 폐쇄 링으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단면에서, 외측 링 및 내측 링의 내측 윤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의 형태이다. 내측 링이 없는 경우, 블랭크는 외측 링 또는 다른 장착 장치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가공 기계에 가능한 한 적은 구동 장치를 설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양쪽 홀딩 장치,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외측 링이 구동 장치에 의해 동기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공통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쪽 홀딩 장치의 내측 링 각각은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기계를 제어 또는 조절하기 위한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은 표시 장치,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및 입력 장치, 바람직하게는 마우스와 함께 키보드를 포함하는 조작 장치의 일부이다. 치과 기술자는 이러한 조작 장치를 통해 모든 필요한 설정을 할 수 있고 블랭크의 가공을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레코드가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데이터 레코드는 치과 기공물을 표현하고,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의 가공 모드에서, 가공 장치 및 제1 홀딩 장치 또는 제2 홀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레코드에 의해 표현된 기공물이 제1 홀딩 장치 또는 제2 홀딩 장치에 홀딩된 블랭크로부터 가공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가공 샤프트를 청소하는 장치 - 예를 들어 블랭크의 가공시에 생기는 먼지를 제거하거나 건조시키는 장치 - 가 또한 2개의 챔버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블랭크로부터 치과 기공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장치의 용도에 대한 보호가 또한 요구된다. 여기서, 블랭크가 가공 장치에 의해 제1 챔버 및 제2 챔버에서 교대로 가공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상세사항 및 이점은 하기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특정 설명에 의해 보다 충분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폐쇄된 가공 기계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하우징의 커버를 갖지 않는 가공 기계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동기식 홀딩 장치를 갖는 부분 개방된 가공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비동기식 홀딩 장치를 갖는 부분 개방된 가공 기계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5 내지 도 7은 제2 챔버로부터 제1 챔버 내로의 가공 샤프트의 이동을 아래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제1 챔버 내의 가공 샤프트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9는 절첩형 벨로우즈를 갖는 제한 벽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자루 요소를 갖는 제한 벽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1 내지 도 14는 칸막이 벽의 통과 개구를 통한 가공 샤프트의 이동을 다른 관점에서 도시하고,
도 15 내지 도 17은 통과 개구를 통한 가공 샤프트의 이동 동안의 가공 기계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8 내지 도 31은 가공 기계의 몇몇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은 가공 기계(1)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3)의 외측 표면만이 보인다. 이동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 요소(22)가 하측 영역에 배열되어 있다.
도 2에서는, 가공 기계(1)의 하우징(3)의 전방측이 숨겨져 있다. 이에 의해, 가공 기계(1)의 내부로의 시야가 막히지 않는다. 하우징(3)은 2개의 측방향 프레임 요소(23)를 포함한다. 프레임 요소(23)는 하측 영역에서 바닥 플레이트(2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지지 다리부(supporting foot)(25)는 바닥 플레이트(24)에 부착된다. 중앙 영역에서, 하우징(3)의 프레임 요소(23)는 제한 벽(1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칸막이 벽(10)은 이러한 제한 벽(11)과 바닥 플레이트(24)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칸막이 벽(10)은 제1 챔버(K1)를 제2 챔버(K2)와 분리시킨다. 양쪽 챔버(K1 및 K2)는 하우징에 의해 모든 측면에서 둘러싸여 있다. 구체적으로, 챔버(K1 및 K2)는 프레임 요소(23), 측벽(33), 바닥 플레이트(24), 제한 벽(11), 칸막이 벽(10), 후방 벽(26) 및 도시되지 않은 전방 벽(커버 요소(22))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이들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은 단지 챔버(K1 및 K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 챔버(K1 및 K2)는 또한 이러한 예시와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챔버(K1 및 K2)는 가공이 또한 실행되는 폐쇄 상태에서 상당히 방진(dust-tight) 및/또는 수밀(water-tight)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랭크(2)를 위한 홀딩 장치(4 또는 5)는 각각의 챔버(K1 및 K2) 내에 위치된다. 각각의 홀딩 장치(4, 5)는 회전축(D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외측 링(16) 및 회전축(D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내측 링(17)을 포함한다. 외측 링(16)은 구동 장치(18)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하우징(3) 상에 회전축(D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는, 내측 링(17)은 구동 장치(19)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하우징(3) 상에 회전축(D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18 및 19)는 전기 모터(스테퍼 모터 또는 서보 모터)로서 형성된다. 블랭크(2)(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음)는 인장 또는 클램핑 요소에 의해 내측 링(17) 내에 또는 그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챔버(K1) 내의 제1 홀딩 장치(4)는 제2 홀딩 장치(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홀딩 장치(4 및 5)는 또한 몇몇 블랭크(2)가 고정되어 가공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챔버(K1 및 K2) 각각은 가공 장치(6)에 의해 블랭크(2)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 영역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1 챔버(K1)는 각각의 블랭크(2)의 건식 가공을 위한 가공 영역(Bdry)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챔버(K2)는 각각의 블랭크(2)의 습식 가공을 위한 가공 영역(Bwet)을 형성할 수 있다. 건식 가공 또는 습식 가공은 또한 양쪽 챔버(K1 및 K2) 모두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용도에 따라, 각각의 구조적 구성요소는 기계적 응력 및 가공될 재료에 적합화된다. 가공 장치(6)는 구동 장치(7), 가공 샤프트(8) 및 가공 공구(9)를 포함한다. 가공 장치(6)는 하우징(3), 특히 그것의 제한 벽(11) 상의 적어도 하나의 레일(27)에 의해 - 공간 축(X)의 방향으로 -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공 샤프트(8)는 구동 장치(7)에 의해 공간 축(Z)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공간 축(Y)의 방향(시트 수준(sheet level)에 직각임)으로의 가공 샤프트(8)의 이동도 또한 가능하다. 2개 또는 3개의 공간 방향으로의 이러한 이동은 각각 구동 장치(7),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에 의해 실행된다. 가공 공구(9)는 구동 장치(7) -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전기 모터 - 에 의해 회전축(D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된다. 2개의 챔버(K1 및 K2)를 서로 기계적으로 완전하게 분리할 수 없다면, 약간의 과도한 압력이 챔버(K1 및 K2)에서 발생될 수 있다.
도 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9)(스크린) 및 입력 장치(30)(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및/또는 접촉-감지 스크린)를 갖는 조작 장치(28)가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 장치(28)는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20)에 연결되거나,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20)을 포함한다.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20)은 프로세서(31) 및 메모리(21)를 포함한다.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20)은 가공 기계(1)의 가공 장치(6) 및 양쪽 홀딩 장치(4 및 5)에 신호적으로 연결된다. 몇몇 데이터 레코드(DS)는 메모리(21)에 저장된다. 이들 데이터 레코드(DS)는 치과 기공물(W)을 표현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데이터 레코드(DS)는 치과 기공물(W)의 3차원 모델(점군(point cloud))을 표현한다.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20)의 가공 모드(BM)에서, 가공 장치(6) 및 홀딩 장치(4 및 5)는 치과 기공물(W)이 고정된 블랭크(2)로부터 가공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절차는 조작 장치(28)의 디스플레이 장치(29) 상에 표현적으로 표시된다.
도 3에는, 가공 기계(1)의 하우징(3)의 전방 벽이 다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커버 요소(22)는 상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양쪽 챔버(K1 및 K2) 내로의 시야가 열려진다. 이러한 도 3에 따르면, 양쪽 홀딩 장치(4 및 5)의 외측 링(16)이 회전축(DA)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공통 구동 장치(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양쪽 홀딩 장치(4 및 5)는 칸막이 벽(10)을 통해 서로 대응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반해서, 도 4에서, 2개의 홀딩 장치(4 및 5)는 서로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양쪽 홀딩 장치(4 및 5)의 외측 링(16)은 회전축(DA)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는 가공 기계(1)를 아래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한 벽(11)의 표면 상으로의 시야가 막히지 않는다. 제2 챔버(K2)의 영역에서, 제한 벽(11)은 제2 접근 개구(Z2)를 포함하며, 가공 장치(6)의 가공 샤프트(8)는 제2 접근 개구(Z2)를 통해 제2 챔버(K2) 내로 돌출한다. 제1 챔버(K1)의 제한 벽(11)에서, 비록 폐쇄되어 있지만 - 제1 접근 개구(Z1)도 또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접근 개구(Z1)는 폐쇄 메커니즘(1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러한 폐쇄 메커니즘(12)은 프레임(13) 및 이 프레임(13)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폐쇄 도어(14)를 포함한다. 폐쇄 도어(14)의 이동은 전기적으로, 유압적으로 또는 공압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가공 샤프트(8)는 제2 접근 개구(Z2)를 통해 공간 축(Z)의 방향으로 제2 챔버(K2) 밖으로 이동하고 있다.
도 7에서, 가공 장치(6)의 가공 샤프트(8)는 이제 (개방된) 제1 접근 개구(Z1)를 통해 제1 챔버(K1) 내로 이동하고 있다. 제2 챔버(K2)에 대한 접근 개구(Z2)는 폐쇄되어 있다. 이론적으로, 가공이 실행되고 있는 챔버(K1 또는 K2)가 삽입된 가공 장치(6)에 의해 폐쇄될 때, 접근 개구(Z1 및 Z2)는 또한 개방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가공 장치(6)의 가공 샤프트(8)가 제1 챔버(K1) 내로 이동된 것을 도 7에 대응하는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챔버(K1) 내에는, 또한 제1 홀딩 장치(4)의 내측 링(17)에 고정된 블랭크(2)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제한 벽(11)이 가요성 벽 요소(15)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가요성 벽 요소는 절첩형 벨로우즈(15a)로서 형성된다. 접근 개구(Z1 또는 Z2)의 폐쇄 메커니즘(12)은 이러한 절첩형 벨로우즈(15a)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폐쇄 메커니즘(12)의 프레임(13)은 절첩형 벨로우즈(15a)에 부착된다. 가공 장치(6)의 가공 샤프트(8)는 이러한 프레임(13) 전체에 걸쳐 챔버(K1 또는 K2) 내로 이동된다. 가공 장치(6)는 절첩형 벨로우즈(15a)의 형태의 이러한 가요성 벽 요소(15) 때문에 공간 축(X)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한편으로는, 챔버(K1) 및 챔버(K2)에 대한 자신의 접근 개구가 제공될 수 있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의 접근 개구만이 존재한다. 그러나, 두 번째 경우에, 절첩형 벨로우즈(15a)는 양쪽 챔버(K1 및 K2)가 하나의 접근 개구를 통해 도달될 수 있도록 멀리 이동될 수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방향(Y)에 대한 절첩형 벨로우즈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에 따르면, 가요성 벽 요소(15)는 자루 요소(15b)로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접근 개구(Z1 또는 Z2)를 통해 삽입된 가공 샤프트(8)에 대하여 공간 축(X)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간 축(Y)의 방향(시트 수준에 직각임)으로의 이동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자루 요소(15b)는 방진 및 수밀 직물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자루 요소(15b)는, 적어도 가공 공구(9)가 각각의 홀딩 장치(4, 5)에 고정된 블랭크(2)의 모든 영역에 도달할 수 있는 한, 모든 공간 방향으로의 가공 장치(6)의 이동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해결책은 절첩형 벨로우즈 대신에 롤러블 블랭킷(rollable blanket)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공 장치(6)와 함께 이동하고 다음에 가공이 어느 측에서 일어나는 지에 따라 돌출하는 시트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통과 개구(32)가 칸막이 벽(10)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가공 장치(6)는 챔버(K1 및 K2) 사이의 칸막이 벽(10)을 통해 직접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접근 개구만이 요구된다.
도 12에서, 가공 장치(6)의 가공 샤프트(8)는 단지 제2 챔버(K2)로부터 제1 챔버(K1) 내로 전환되고 있다.
도 14에 따르면, 가공 샤프트(8)는 제1 챔버(K1)에 도달했다.
도 14에서, 통과 개구(32)를 갖는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제한 벽(11)이 가요성 벽 요소(15)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한, 제한 벽(11)에 폐쇄 메커니즘을 갖는 하나의 접근 개구만이 필요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가공 샤프트(8)는 챔버(K1 및 K2) 사이의 변화를 위해 공간 축(Z)의 방향으로 접근 개구를 통해 외부로 이동될 필요가 없다.
도 15에는, 가공 기계(1)를 통한 수평 단면이 도 14에 대응하여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3)은 프레임 요소(23)에 부착된 하우징 커버(34)를 외측 쉘로서 포함한다. 2개의 챔버(K1 및 K2)는 구체적으로 측벽(33), 칸막이 벽(10), 후방 벽(26), 바닥 플레이트(24), 도시되지 않은 제한 벽(11), 및 또한 도시되지 않은 커버 요소(22)에 의해 한정된다. 도 15에는, 또한 양쪽 홀딩 장치(4, 5)가 그것의 외측 링(16), 내측 링(17) 및 구동 장치(18 및 19)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칸막이 벽(10)에는, 폐쇄 요소(35)에 의해 폐쇄된 통과 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서, 폐쇄 요소(35)는 개방되어 있다. 개방 이동은 전기적으로, 공압적으로, 유압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트리거(trigger)될 수 있다. 폐쇄 요소(35)는 예를 들어 스프링력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가공 샤프트(8)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개방 상태로 밀려질 수 있다.
도 17에 따르면, 가공 장치(6)의 가공 샤프트(8)는 제1 챔버(K1)로부터 제2 챔버(K2) 내로 통과 개구(32)를 통해 이동하고 있다.
도 18에서 시작하여, 가공 기계(1)의 필수 구성요소는 상이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짧게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 따르면, 기본 구조는 공간 축(X, Y 및 Z)에서의 가공 장치(6)의 이동을 위한 구동 장치(7)가 기계 베드에 부착되고 가공 샤프트(8)를 안내하는 것을 제공한다. 기계 베드는 제한 벽(11)에 부착된다. 가공 영역(Bdry 및 Bwet)은 가공 샤프트(8) 아래에 위치된다. 그러나, 물론, 양쪽 가공 영역 모두가 또한 건식 가공 또는 습식 가공에 사용될 수 있다. 챔버(K1 및 K2)는 기공물 마운트(홀딩 장치(4 및 5))를 수용하고, 챔버(K1 및 K2)는 칸막이 벽(10)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다르게 말하면, 칸막이 벽에 의해 분할된 가공 공간이 존재한다. 도 18에 따르면, 양쪽 홀딩 장치(4 및 5)의 외측 링(16)은 공통 구동 장치(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지지 베어링(36)은 칸막이 벽(10)의 영역 및 측벽(33)의 영역에 제공된다. 2개의 내측 링(17) 각각은 자율적인 구동 장치(1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된다.
도 19에 따르면, 양쪽 홀딩 장치(4, 5)는 회전축(D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이들 홀딩 장치(4 및 5)는 여전히 제2 회전축(DB)을 포함한다. 이들 2개의 회전축(DA 및 DB)은 통상적으로 서로 90°의 각도로 배향된다. 2개의 홀딩 장치(4 및 5)를 포함하는 그러한 블랭크 착좌부(blank seating)는 양쪽 가공 영역 모두에 제공될 수 있다. 실행될 가공에 따라, 이들 장치는 특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기본적인 개념에서, 2개의 홀딩 장치(4 및 5)는 제1 회전축(DA)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이동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이들 장치는 서로(연결 요소(37)) 견고하게 연결된다. 2개의 홀딩 장치(4 및 5)의 제2 회전축(DB)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회전축(DA)을 중심으로 한 홀딩 장치(4 및 5)의 이동을 위해 하나의 드라이브(구동 장치(18))만이 필요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20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홀딩 장치(4 및 5)가 커플링(38)을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2 챔버(K2)에서 가공이 일어나는 동안에 예를 들어 제1 챔버(1)의 가공 영역을 새롭게 로딩할 필요가 있다면, 제1 홀딩 장치(4)는 분리될 수 있고, 사용자는 위험없이 이러한 영역 내에 도달할 수 있다. 제1 홀딩 장치(4)가 로딩된 후에, 이어서 2개의 홀딩 장치(4 및 5)는 다시 결합될 수 있다.
도 21: 다른 변형예는 2개의 홀딩 장치(4 및 5)가 제1 회전축(D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나의 부분(공통 외측 링(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공한다. 제2 회전축(D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측 링(17)만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체로 형성된 블랭크 마운트는 칸막이 벽(10)을 통해 안내된다.
도 22에 따르면, 또한 양쪽 보유 장치(4 및 5)가 제1 회전축(DA)을 중심으로 한 이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 장치(18)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떠한 커플링(38)도 제공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커플링(38)은 여전히 제공될 수 있다.
모든 변형예에서, 지지 베어링(36)이 칸막이 벽(10)에 또는 측벽(33) 상에 제공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강성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렇다. 그리고, 변형예 및 구성에 따라, 기본 구조가 또한 상이하며, 이것은 드라이브, 베어링, 기어 등이 상이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3에서, 외측 링(16)은 양쪽 홀딩 장치(4 및 5)에 대해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챔버(K1) 내의 홀딩 장치(4)는 별도의 제2 회전축(DB)을 갖지 않는다. 제2 회전축(DB)이 생략되는 것은 모든 실시예에 대해 그럴 수 있다.
도 24에는 칸막이 벽(10) 상에만 카운터 베어링을 갖는 2개의 완전하게 별도인 홀딩 장치(4 및 5)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양쪽 영역은 서로 완전히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25: 원칙적으로, 이것은 도 24와 동일한 구성이며, 이러한 경우에, 구동 장치(18)만 상이하게 위치되고, 지지 베어링(36)이 제공되지 않는다.
도 26에 따르면, 제1 챔버(K1)에는 소형 블랭크(2)를 위한 하나의 홀딩 장치(4)만이 제공된다. 이러한 변형예는 예를 들어 지대치(abutment)가 제조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블랭크(2) 또는 생성되는 기공물(W)만이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도 27은 회전축(DA)이 별도인 한 회전축(DA)이 한 줄로 배열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8에서, 축의 시프팅(shifting)의 경우에, 제1 홀딩 장치(4)가 전동 장치(transmission device)를 통해 제2 홀딩 장치(5)에 연결되는 것이 추가적으로 구상된다. 이러한 전동 장치는 벨트 드라이브(belt drive) 또는 기어 휠(gear wheel)(참조 부호 3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상이한 회전 속도가 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또한 상이한 토크가 달성될 수 있다.
단일의 칸막이 벽(10) 대신에, 도 29에 따르면, 2개의 칸막이 벽(10)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공구 매거진(40)은 칸막이 벽(10) 사이에 배열될 수 있으며, 그러면 공구 매거진(40)은 먼지로부터 분리된 영역에 위치된다.
도 30은, 도 29와 같이, 이중 칸막이 벽(10)을 도시하고 있지만, 공구 매거진(40)은 또한 외측 링(16)에 직접 부착된다. 이중 칸막이 벽(10)이 제공되면, 이러한 이중 칸막이 벽(10)은 가공 샤프트(8)가 제1 접근 개구로부터 제2 접근 개구로(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고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는 양쪽 벽 부분 모두에 통과 개구를 가지며, 이러한 경우에 구동 샤프트(8)는 2개의 벽 부분 사이의 영역에서 가공 공구를 취한다.
도 31: 여기서, 어떻게 구동 장치(18 및 19)가 가공 기계(1)에 여전히 고정될 수 있지가 다시 예시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변형예의 경우에, 기본적인 개념은, 제1 회전축(DA)의 구동 장치(18)가 가공 기계(1)의 측벽(33)에 부착되고, 그 후에 제2 회전축(DB)의 구동 장치(19)가 홀딩 장치(4 또는 5)의 회전하는 제1 부분(외측 링(16))에 부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도 31은 반대 배열이 가능하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외측 링(16)의 회전축(DA)의 구동 장치(18)는 가공 기계의 제한 벽(11) 상에 배열된다. 회전축(DB)의 구동 장치(19)는 외측 링(16)에 장착되고, 내측 링(17)을 구동한다. 따라서, 2개의 회전축(DA 및 DB)은 이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서로 반대로 배향된다(또는 각각 90°만큼 시프팅됨). 하나의 홀딩 장치(4 또는 5)가 이전의 변형예에 따라 형성되고, 다른 홀딩 장치(5 또는 4)가 도 31의 이러한 변형예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 또한 그럴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이점이 또한 한눈에 제시된다:
- 별도의 습식 가공 및 건식 가공이 가능하다.
- 하나의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만이 필요하다.
- 적어도 2개의 블랭크가 서로 후에 자율적으로 가공될 수 있다.
- 제1 회전축(DA)이 동일한 구동 장치로 양쪽 홀딩 장치(기공물 홀더)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 하나의 가공 장치만이 필요하므로, 비용 효율적이다.
1 : 가공 기계
2 : 블랭크
3 : 하우징
4 : 제1 홀딩 장치
5 : 제2 홀딩 장치
6 : 가공 장치
7 : 구동 장치
8 : 가공 샤프트
9 : 가공 공구
10 : 칸막이 벽
11 : 제한 벽
12 : 폐쇄 메커니즘
13 : 프레임
14 : 폐쇄 도어
15 : 가요성 벽 요소
15a : 절첩형 벨로우즈
15b : 자루 요소
16 : 외측 링
17 : 내측 링
18 : 외측 링(들)을 위한 구동 장치
19 : 내측 링(들)을 위한 구동 장치
20 :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
21 : 메모리
22 : 커버 요소
23 : 프레임 요소
24 : 바닥 플레이트
25 : 지지 다리부
26 : 후방 벽
27 : 레일
28 : 조작 장치
29 : 디스플레이 장치
30 : 입력 장치
31 : 프로세서
32 : 통과 개구
33 : 측벽
34 : 하우징 커버
35 : 폐쇄 요소
36 : 지지 베어링
37 : 연결 요소
38 : 커플링
39 : 벨트 드라이브 또는 기어 휠
40 : 공구 매거진
K1 : 제1 챔버
K2 : 제2 챔버
W : 치과 기공물
Bdry : 건식 가공을 위한 가공 영역
Bwet : 습식 가공을 위한 가공 영역
Z1 : 제1 접근 개구
Z2 : 제2 접근 개구
DA : 외측 링의 회전축
DB : 내측 링의 회전축
DC : 가공 공구의 회전축
BM : 가공 모드
DS : 데이터 레코드
X : 공간 축
Y : 공간 축
Z : 공간 축

Claims (15)

  1. 블랭크(2)로부터 치과 기공물(W)을 제조하기 위한 가공 기계(1)로서,
    - 제1 챔버(K1) 및 제2 챔버(K2)가 배열되며, 상기 제2 챔버(K2)는 상기 제1 챔버(K1)와는 별개인 하우징(3),
    - 상기 제1 챔버(K1) 내에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3)에 대해 이동 가능한, 블랭크(2)를 위한 제1 홀딩 장치(4),
    - 상기 제2 챔버(K2) 내에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3)에 대해 이동 가능한, 블랭크(2)를 위한 제2 홀딩 장치(5), 및
    - 상기 하우징(3)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공 장치(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딩 장치(4)에 홀딩된 블랭크(2) 및 상기 제2 홀딩 장치(5)에 홀딩된 블랭크(2)는 상기 가공 장치(6)에 의해 가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기계(1)는 하나의 가공 장치(6)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장치(6)는 구동 장치(7), 상기 구동 장치(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가공 샤프트(8), 및 상기 가공 샤프트(8)에 고정된 가공 공구(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은 칸막이 벽(10)을 포함하며, 2개의 챔버(K1, K2)는 상기 칸막이 벽(10)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K1)는 상기 제1 홀딩 장치(4)에 홀딩된 상기 블랭크(2)의 건식 가공(dry processing)을 위한 가공 영역(processing area; Bdry)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챔버(K2)는 상기 제2 홀딩 장치(5)에 홀딩된 상기 블랭크(2)의 습식 가공(wet processing)을 위한 가공 영역(Bwet)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제1 챔버(K1)에 대한 제1 접근 개구(Z1) 및 상기 제2 챔버(K2)에 대한 제2 접근 개구(Z2)를 갖는 제한 벽(limiting wall; 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장치(6),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 장치(6)의 가공 샤프트(8)가 상기 가공 공구(9)와 함께 상기 제1 접근 개구(Z1)를 통해 상기 제1 챔버(K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상기 제2 접근 개구(Z2)를 통해 상기 제2 챔버(K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장치(6),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구동 장치(7)는 상기 제한 벽(11) 상에 - 바람직하게는 선형으로 -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Z1, Z2)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3)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폐쇄 도어(14)에 의해 각각 형성된 폐쇄 메커니즘(1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벽(1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및 가동성 벽 요소(15)로서, 바람직하게는 절첩형 벨로우즈(15a) 또는 자루 요소(sack element; 15b)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메커니즘(12),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프레임(13)은 상기 가요성 및 가동성 벽 요소(15)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기계(1)를 제어 또는 조절하기 위한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레코드(DS)가 상기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20)의 메모리(21)에 저장되고, 상기 데이터 레코드(DS)는 치과 기공물(W)을 표현하고, 상기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제어 유닛(20)의 가공 모드(BM)에서, 상기 가공 장치(6) 및 상기 제1 홀딩 장치(4) 또는 상기 제2 홀딩 장치(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레코드(DS)에 의해 표현된 기공물(W)이 상기 제1 홀딩 장치(4) 또는 상기 제2 홀딩 장치(5)에 홀딩된 블랭크(2)로부터 가공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기계.
  14. 블랭크(2)로부터의 치과 기공물(W)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공 기계(1)의 용도.
  15. 제14항에 있어서,
    블랭크(2)는 상기 가공 장치(6)에 의해 상기 제1 챔버(K1) 및 상기 제2 챔버(K2)에서 교대로 가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KR1020180067247A 2017-06-13 2018-06-12 치과 기공물의 제조를 위한 가공 기계 KR102036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494/2017A AT519962B1 (de) 2017-06-13 2017-06-13 Bearbeitungsmaschine für die Herstellung von zahntechnischen Werkstücken
ATA50494/2017 2017-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814A true KR20180135814A (ko) 2018-12-21
KR102036998B1 KR102036998B1 (ko) 2019-10-25

Family

ID=6259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247A KR102036998B1 (ko) 2017-06-13 2018-06-12 치과 기공물의 제조를 위한 가공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43970B2 (ko)
EP (1) EP3415270B1 (ko)
KR (1) KR102036998B1 (ko)
AT (1) AT519962B1 (ko)
ES (1) ES2906122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605A (ko) * 2022-04-26 2023-11-02 (주)코마틱코리아 기계 가공용 공작 기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002338U1 (de) * 2019-05-29 2020-09-01 Imes-Icore Gmbh Dentalbearbeitungsmaschine
AT523476B1 (de) * 2020-01-27 2021-10-15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Co Kg Bearbeitungsvorrichtung zum Bearbeiten eines oder mehrerer Werkstücke
KR20230106459A (ko) * 2022-01-06 2023-07-13 주식회사 제우기술 치아가공기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5781A1 (en) * 1994-08-19 1996-02-29 Andreas Dahr A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fillings and the like
US20030053875A1 (en) * 2001-08-21 2003-03-20 Franco Pasquetto Numerical-control milling machine
DE102006023673A1 (de) * 2006-05-19 2007-11-22 Aepsilon Rechteverwaltung Gmbh Fraes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Zahnersatzteilen
KR101191653B1 (ko) * 2010-09-10 2012-10-17 (주)프로텍이노션 절삭가공장치
KR101589548B1 (ko) * 2014-11-28 2016-02-01 주식회사 피스티스 인공치아가공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6995A (en) * 1985-05-24 1987-04-14 University Of Florida Surgical apparatus for contouring implants
DE4331090C2 (de) * 1993-09-14 1996-07-11 Chiron Werke Gmbh Spritzschutzeinrichtung für eine Werkzeugmaschine
US5607269A (en) * 1995-11-21 1997-03-04 Osteotech, Inc. Bone milling apparatus
DE19929695A1 (de) * 1999-06-29 2001-03-08 Berliner Werkzeugmasch Schleifmaschine
DE10060139A1 (de) * 2000-12-04 2002-06-06 Gebr Hennig Gmbh Gliederschürze zur Abdeckung von Maschinenteilen
JP4745612B2 (ja) * 2003-01-22 2011-08-10 コマツNtc株式会社 工作機械
WO2006063540A1 (de) * 2004-12-14 2006-06-22 Felsomat Gmbh & Co. Kg Vertikaldrehmaschine mit zwei abwechselnd arbeitenden werkstückspindeln
DE102009033220B4 (de) * 2009-07-14 2012-04-05 Emag Holding Gmbh Werkzeugmaschine mit zwei Arbeitsspindeln
US8333536B2 (en) * 2009-10-09 2012-12-18 Shenq Fang Yuan Technology Co., Ltd. Multi-spindle machining machine
DE202011103226U1 (de) * 2011-07-15 2011-11-09 Iecon Gmbh Werkzeugmaschine
AT513082B1 (de) * 2012-02-14 2014-06-15 Steger Heinrich Bearbeitungsvorrichtung für die herstellung von zahntechnischen werkstücken
AT516263B1 (de) * 2015-01-21 2016-04-15 Steger Heinrich Haltevorrichtung für ein dentales Werkstück
EP3081331B1 (de) * 2015-04-14 2019-09-11 Ivoclar Vivadent AG Dentalfräsmaschine
AT516840B1 (de) * 2015-04-30 2016-09-15 Steger Heinrich Rohling zur Herstellung eines Dentalelem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5781A1 (en) * 1994-08-19 1996-02-29 Andreas Dahr A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fillings and the like
US20030053875A1 (en) * 2001-08-21 2003-03-20 Franco Pasquetto Numerical-control milling machine
DE102006023673A1 (de) * 2006-05-19 2007-11-22 Aepsilon Rechteverwaltung Gmbh Fraes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Zahnersatzteilen
KR101191653B1 (ko) * 2010-09-10 2012-10-17 (주)프로텍이노션 절삭가공장치
KR101589548B1 (ko) * 2014-11-28 2016-02-01 주식회사 피스티스 인공치아가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605A (ko) * 2022-04-26 2023-11-02 (주)코마틱코리아 기계 가공용 공작 기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53271A1 (en) 2018-12-13
EP3415270A2 (de) 2018-12-19
US10743970B2 (en) 2020-08-18
AT519962A4 (de) 2018-12-15
AT519962B1 (de) 2018-12-15
EP3415270A3 (de) 2019-04-17
EP3415270B1 (de) 2021-11-17
ES2906122T3 (es) 2022-04-13
KR102036998B1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5814A (ko) 치과 기공물의 제조를 위한 가공 기계
JP6656386B2 (ja) 工作機械
JP5534525B2 (ja) 3d可変型加工システム
US6761515B2 (en) Method for lengthening the machining travel of a machine-tool,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and machine-tool using such a device
US20080254959A1 (en) Universal head and machine tool with universal head
CZ283726B6 (cs) Číslicově řízená bruska pro broušení, zejména kovových obrobků, zejména nástrojů
KR20160101190A (ko) 5축 가공 장치
JP5774222B2 (ja) 工作機械
EP2687307B1 (en) Method for machining curved surface using lathe
EP2311599B1 (en) Five-axis milling machine
JP5766353B2 (ja) 工作機械
KR101265708B1 (ko) 4축 가공 머시닝 센터
JP6387218B2 (ja) 工作機械
JP2015062973A (ja) 工作機械
JP2001252837A (ja) ユニバーサル工作機械
US6200247B1 (en) Machine tool with tool changer
CN105598515A (zh) 数控开槽机
ITFI20110040A1 (it) "testa porta-utensili per macchine utensili o centri di lavoro, e macchina comprendente detta testa"
EP2687308B1 (en) Lathe for machining curved surfaces
EP1136185A2 (en) A work centre for cutting panels with work plane having aspirating movable belts
WO2015059806A1 (ja) 工作機械
JP2001038502A (ja) Nc旋盤
JP2002331433A (ja) 切削加工ユニット
US20230321731A1 (en) Combined processing machine
JP2022173030A (ja) 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