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718A - Electronic disc brake - Google Patents

Electronic disc br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718A
KR20180135718A KR1020170074294A KR20170074294A KR20180135718A KR 20180135718 A KR20180135718 A KR 20180135718A KR 1020170074294 A KR1020170074294 A KR 1020170074294A KR 20170074294 A KR20170074294 A KR 20170074294A KR 20180135718 A KR20180135718 A KR 2018013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pindle
diameter portion
coupling ring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8800B1 (en
Inventor
박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7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800B1/en
Publication of KR2018013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7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8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isc brake which can prevent a shock and noise caused by a wobble of a nut spindle when a vehicle is driven on an irregular road, and can maintain an optimal state of operation performance of a device by preventing the nut spindle from sag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isc brake comprises a pair of friction pads, a carrier, a caliper housing, and a pressurization unit.

Description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ELECTRONIC DISC BRAKE}[0001] ELECTRONIC DISC BRAKE [0002]

본 발명은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규칙한 도로를 주행할 때 너트 스핀들의 흔들림에 의한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고, 너트 스핀들의 처짐을 방지하여 장치의 동작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isc brake,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impact and noise caused by shaking of a nut spindle when driving on an irregular road, to prevent deflection of a nut spind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isk brake.

일반적으로,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는 통상적인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와 다르게 마찰패드를 가압하는 구동장치의 동력원으로 전기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를 채용한 것이다.Generally, an electric disk brake adopts a motor which is operated by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of a driving device for pressing a friction pad unlike a conventional hydraulic disk brake.

이러한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는 제동 및 제동의 해제를 위해 정회전과 역회전을 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기어부와, 이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진퇴하면서 마찰패드를 가압 및 가압 해지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다.Such an electric disk brake is provided with a motor for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for releasing braking and braking, a gear portion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nd a pressure portion for pressing and depressurizing the friction pad, Member.

여기서,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압부재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피스톤 및, 이 피스톤의 공간부 내에서 진퇴하면서 마찰패드를 가압 및 해지하는 너트 스핀들 등으로 구성된다.Here, the pressing member of the electric disk brake is constituted by a piston which forms a space portion therein, and a nut spindle which pushes and pulls the friction pad while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space portion of the piston.

그런데, 종래의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량이 불규칙한 도로를 주행할 때, 너트 스핀들과 피스톤의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는 경우, 너트 스핀들의 흔들림에 의한 충격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ic disk brake has a structure in which, when a vehicle runs on an irregular road, when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nut spindle and the piston, impact and noise due to shaking of the nut spindle may occur.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2746호(2014년 04월 0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42746 (Apr. 07, 2014), which discloses a disc brake apparatus.

본 발명의 목적은 너트 스핀들의 외부에 완충부재를 결합시켜 너트 스핀들과 피스톤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불규칙한 도로를 주행할 때 너트 스핀들의 흔들림에 의한 충격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너트 스핀들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shock and noise caused by shaking of a nut spindle when an irregular road is run by keeping a gap between a nut spindle and a piston by coupling a buffer member to the outside of the nut spindle,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apparatus in an optimal state.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는,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한 쌍의 마찰패드와, 상기 마찰패드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상기 마찰패드의 가압을 위해 상기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마찰패드를 디스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마찰패드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을 진퇴시키는 너트 스핀들과, 상기 너트 스핀들의 후단에 나사 결합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스핀들의 외부에는, 링 형상의 완충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완충부재의 가장자리측 단부가 상기 피스톤의 내면을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disc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riction pads for pressing a disc, a carrier for supporting the friction pads, a caliper housing movably supported on the carrier for pressing the friction pads, And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the friction pad in the disk direction, wherein the pressing unit includes: a piston movably installed in the caliper housing so as to press any one of the friction pads; A spindle threadably engaged with a rear end of the nut spindle; and a driving unit that is coupled to the spindle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wherein a ring-shaped shock absorber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nut spindle, And the edge side end of the cushion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piston And the inner surface is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be slidable back and forth.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너트 스핀들의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링 형상의 결합링 및, 상기 결합링의 가장자리측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피스톤의 내면을 탄성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shioning member may include a ring-shaped coupling ring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nut spindle, and a plurality of support end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dge-side end of the coupling r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

또한, 상기 결합링에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통화홀이 내경과 외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air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coupling ring so as to pass through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so that air can pass therethrough.

또한, 상기 너트 스핀들은 외면이 상기 피스톤의 내면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격 위치되며, 상기 스핀들이 후단에 나사 결합되는 소직경부 및, 상기 소직경부의 전단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의 전단을 걸림 위치시키며, 전진시 전단이 상기 피스톤을 가압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대직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링의 후단이 걸림 위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ut spindle further includes a small diameter portion whose out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by a smaller diameter and is screwed to a rear end of the nut spindle and a front end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And a large-diameter portion for advancing the piston in the pressing direct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at the time of advancement,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mall-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r more engaging grooves are recess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ring is engaged.

또한, 상기 결합링의 후단에는 상기 소직경부의 외면에 압입 방식으로 가압되어 상기 걸림홈을 형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입단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ar end of the coupling ring is formed with at least one press-in end protruding rearward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by a press-in method to form the engagement groove.

또한, 상기 대직경부의 가장자리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단이 위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r more insertion grooves are concavely formed on the edge sid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so that the support end is positioned.

또한, 상기 삽입홈은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은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and the support ends are positioned in a state where one pai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지지단은 상기 결합링의 가장자리측 단부로부터 외경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에 위치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내경측으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에 위치되는 제2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연결 부위에서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외측단이 상기 피스톤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end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portion bent in an inclined manner from the edge side end of the engagement ring and position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bent and extended forwardly downwardly from the extended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toward the inner diameter side A second inclined portion position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a contact portion formed to be convex upwar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having an outer end slid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

또한, 상기 접촉부는 전후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벤딩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ortion is roundly bent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상기 결합링의 가장자리측 단부와 상기 제1경사부의 연결 부위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벤딩 성형되는 연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roundly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s further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edge side end of the coupling ring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또한, 상기 제1경사부의 전단은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접촉부의 외측단은 상기 삽입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피스톤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out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또한, 상기 너트 스핀들은 외면이 상기 피스톤의 내면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격 위치되며, 상기 스핀들이 후단에 나사 결합되는 소직경부 및, 상기 소직경부의 전단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의 전단을 걸림 위치시키며, 전진시 전단이 상기 피스톤을 가압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대직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링의 후단이 걸림 위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ut spindle further includes a small diameter portion whose out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by a smaller diameter and is screwed to a rear end of the nut spindle and a front end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engaging groove is formed concave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so that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ring is engaged with the large diameter portion when the piston is moved forward Do.

또한, 상기 결합링의 후단에는 상기 소직경부의 외면에 압입 방식으로 가압되어 상기 걸림홈을 형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입단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ar end of the coupling ring is formed with at least one press-in end protruding rearward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by a press-in method to form the engagement groove.

본 발명은 차량이 불규칙한 도로를 주행할 때 너트 스핀들이 흔들림에 의한 충돌 소음을 방지하고, 너트 스핀들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llision noise caused by shaking of the nut spindl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n irregular road and preventing sagging of the nut spindle, thereby maintaining the optimum performance of th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완충부재에 공기 통과홀을 형성시킴으로써, 너트 스핀들과 완충부재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완충부재의 일부분이 삭제되므로 장치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nut spindle and the buffer member can be easily assembled by forming the air passage hole in the buffer member, and the weight of the apparatus can be reduced because a part of the buffer member is elimin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너트 스핀들과 완충부재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너트 스핀들과 완충부재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너트 스핀들과 완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disk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ut spindle and a cushioning member in detail in an electric disk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ut spindle and a cushioning member in an electric disk bra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nut spindle and a cushioning member are combined in an electric disk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너트 스핀들과 완충부재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FIG.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disc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ut spindle and a buffer member in detail in an electric disc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너트 스핀들과 완충부재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너트 스핀들과 완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ut spindle and a cushioning member in detail in an electric disc bra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a nut spindle and a cushioning member in the electric disc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for giving.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는 디스크(10)와, 한 쌍의 마찰패드(20)와, 캐리어(30)와, 캘리퍼 하우징(40)과, 가압유닛(100) 및, 완충부재(200)를 포함한다.1 to 4, an electric disk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k 10, a pair of friction pads 20, a carrier 30, a caliper housing 40, a pressing unit 100, And a buffer member (2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압유닛(100)은 피스톤(110)과, 너트 스핀들(120)과, 스핀들(130) 및, 구동부(140)를 포함한다.The pressing unit 100 of the electric disk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ston 110, a nut spindle 120, a spindle 130, and a driving unit 140.

상기한 구성들 중, 마찰패드(20)들은 차량의 바퀴와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10)의 양쪽 측면을 향하여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Among the above configurations, the friction pads 20 are installed to be able to advance and retract toward both sides of the disk 10 rotated together with the wheels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마찰패드(20)들은 디스크(10)의 양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마찰패드(20)들은 차체에 고정된 캐리어(3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friction pads 20 are vert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k 10, and the friction pads 20 are horizontally supported by the carrier 30 fixed to the vehicle body.

캘리퍼 하우징(40)은, 차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 될 구동부(140)가 설치되는 캘리퍼 몸체와, 상기 캘리퍼 몸체로부터 마찰패드(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마찰패드(20)들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연장부에 연결된 핑거부 등이 형성된다.The caliper housing 40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includes a caliper body to which a driving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caliper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friction pad 20, A fingering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extension portion is formed to support the back surface of the substrate.

피스톤(110)은, 마찰패드(20)를 디스크(10)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피스톤(110)은 캘리퍼 몸체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The piston 110 is for pressing the friction pad 20 in the direction of the disk 10, and the piston 110 is slidably inserted back and forth inside the caliper body.

여기서, 상기 피스톤(11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는 후술 될 너트 스핀들(120)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Here, the piston 11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and a nut spindle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space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이와 같은 상기 피스톤(110)은, 후술 될 구동부의 구동력(유압 또는 기계적인 추력)에 의해 마찰패드(20) 방향으로 수평하게 전진하거나, 마찰패드(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후퇴된다.The piston 110 is horizontally advanced in the direction of the friction pad 20 by a driving force (hydraulic pressure or mechanical thrust) of the driving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or horizontally retre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riction pad 20.

너트 스핀들(120)은, 피스톤(110)을 마찰패드(20)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피스톤(50)의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nut spindle 120 is for pressing the piston 110 in the direction of the friction pad 20 and is movably coupled back and forth inside the piston 50.

여기서, 상기 너트 스핀들(120)의 내부에는 후술 될 스핀들(130)이 나사결합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된 암나사부가 형성된다.Here, the nut spindle 120 is internally formed with a female screw portion that opens rearward so that the spindle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crewed.

그리고, 상기 너트 스핀들(120)은 외면이 피스톤(110)의 내면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격 위치되는 소직경부(121) 및, 상기 소직경부(121)의 전단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대직경부(122)가 형성된다.The nut spindle 120 includes a small diameter portion 121 whose out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110 by a smaller diameter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121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1 122 are formed.

상기 소직경부(121)는, 스핀들(130)이 후단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소직경부(121)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암나사부가 일정 직경으로 형성된다.The small diameter portion 121 is screwed to the rear end of the spindle 130, and a female screw portion that opens rearward is formed within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1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여기서, 상기 소직경부(121)의 외면에는 결합링(210)의 후단이 걸림 위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121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At least one or more engaging grooves 121a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1 so that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ring 210 is engaged.

대직경부(122)는, 마찰패드(20) 방향으로 전진시 피스톤(110)의 내측 전면과 밀착되는데, 이때 피스톤(110)은 마찰패드(20)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large diameter portion 12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front surface of the piston 110 at the time of advancing toward the friction pad 20 at which time the piston 11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riction pad 20.

여기서, 상기 대직경부(122)의 가장자리측 단부에는 후술 될 지지단(220)이 위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122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At least one or more insertion grooves 122a are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that a support end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ositioned on an edge sid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22.

상기 삽입홈(122a)은, 대직경부(122)의 가장자리측 단부를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와 3에서처럼 대직경부(122)의 가장자리측 단부에 상 쌍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122a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side end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22 and may be formed as an upper pair at the edge side end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22 as shown in FIGS.

스핀들(130)은, 너트 스핀들(120)의 후단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핀들(130)의 전단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너트 스핀들(120)의 후방에서 암나사부로 나사 결합된다.The spindle 130 is screwed to the rear end of the nut spindle 120 so that the male screw portion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pindle 130 is screwed from the rear of the nut spindle 120 to the female screw portion.

그리고, 상기 스핀들(130)의 후단이 후술 될 감속기(141)의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모터(142)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된다.A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motor 142 in a state where the rear end of the spindle 13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speed reducer 141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스핀들(130)은 캘리퍼 몸체부의 내부에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스핀들(130)의 지지를 위해 캘리퍼 몸체부의 내부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The spindle 130 may be resilient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nside the caliper body, and a bearing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liper body for supporting the spindle 130 have.

구동부(140)는, 스핀들(130)의 후단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부(140)는 캘리퍼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속기(141) 및, 상기 감속기(141)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142)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4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pindle 130 so as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he driving unit 140 includes a speed reducer 141 installed inside the caliper body, And a motor 142 for rotating the motor 142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여기서, 상기 감속기(141)에는 다수의 기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감속기(141)는 기어들의 감속비로 모터(142)의 회전력을 증폭하여 스핀들(130)로 전달한다.Here, the speed reducer 141 may include a plurality of gears (not shown). The speed reducer 141 amplifi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42 with the reduction ratio of the gears, and transmits the amplified rotational force to the spindle 130.

예를 들어, 모터(142)가 제동을 위해 구동하는 경우, 상기 모터(142)와 연결된 감속기(141)가 회전되는데, 상기 감속기(141)는 모터(14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스핀들(130)로 회전력을 전달한다.For example, when the motor 142 is driven for braking, the speed reducer 141 connected to the motor 142 is rotated. The speed reducer 141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42 to rotate the spindle 130 ).

이후, 상기 스핀들(130)의 회전에 의해 너트 스핀들(120)이 전진하며, 이때 상기 너트 스핀들(120)이 피스톤(110)을 마찰패드(20)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상기 피스톤(110)은 너트 스핀들(120)에 의해 마찰패드(20)를 디스크 방향으로 가압시킨다.The nut spindle 120 is advanced by the rotation of the spindle 130 and the nut spindle 120 pushes the piston 110 in the direction of the friction pad 20, And presses the friction pad 20 in the disk direction by the spindle 120.

완충부재(400)는, 너트 스핀들(12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부재(400)는 일정 강도와 탄성력을 갖는 금속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The cushioning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nut spindle 120, and the cushioning member 400 can be manufactured using a metal material having constant strength and elasticity.

이와 같은 상기 완충부재(400)는, 가장자리측 단부가 전술한 피스톤(110)의 내면을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성 지지한다.The cushioning member 400 as described above elastically supports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piston 110 such that the edge thereof is slidable back and forth.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완충부재(200)는 피스톤(110)의 외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결합링(210) 및, 상기 결합링(210)의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단(220)이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cushioning member 200 includes a ring-shaped coupling ring 21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iston 110, and a plurality of support ends 220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coupling ring 210 Is formed.

상기 결합링(210)은, 너트 스핀들(120)의 외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링(210)의 내부에는 너트 스핀들(120)의 외면과 대응되는 중공(211)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The coupling ring 21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nut spindle 120 and a hollow 211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nut spindle 1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ring 210, do.

여기서, 상기 결합링(210)의 전단은 외경측으로 절곡되어 더 넓은 직경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링(210)의 전단은 후술 될 대직경부(122)의 후면에 걸림 위치된다.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ring 210 is bent toward the outer diameter side to form a wider diameter and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ring 210 is engaged with the rear fac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22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결합링(210)의 후단에는 소직경부(121)의 외면에 압입 방식으로 가압되어 걸림홈(121a)을 형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입단(213)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At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ring 210, at least one press-in end 213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so as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1 in a press-fitting manner to form the engagement groove 121a.

상기 압입단(213)은, 결합링(210)의 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압입단(213)은 결합링(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 배치된다.The press-in end 213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engagement ring 210, and the press-in end 213 is disposed in a spaced-apart rela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ngagement ring 210.

이와 같은 상기 압입단(213)은, 압입 방식을 이용해 소직경부(121)의 외면에 일정 깊이로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다.The press-in end 213 may be slop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121 by a press-fitting method.

이때, 상기 소직경부(121)의 외면에는 압입단(213)의 돌출된 끝단이 후방으로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홈(121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At this time, a locking groove 121a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1 so that the protruding end of the press-in end 213 is latched rearward.

이와 같이, 결합링(210)의 전단은 대직경부(122)의 후면에 걸림 위치되고, 상기 결합링(210)의 후단은 걸림홈(121a)에 걸림 위치되므로, 상기 결합링(210)을 소직경부(121)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ring 210 is engag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22 and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ring 210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groove 121a.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neck portion 121.

또한, 상기 결합링(210)에는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통과홀(212)이 내경과 외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Further, in the coupling ring 210, At least one air passage hole 21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diameter and the outside diameter direction so that air can be communicated.

상기 공기 통과홀(212)은, 너트 스핀들(120)의 외부에 결합링(210)을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결합링(210)과 너트 스핀들(120)의 사이에 공기가 잔류하지 않도록 한다.The air passage hole 212 prevents air from remaining between the coupling ring 210 and the nut spindle 120 when the coupling ring 21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nut spindle 120.

예를 들어, 소직경부(12)의 후방을 통해 결합링(210)을 끼워 넣는 경우, 상기 결합링(210)과 너트 스핀들(120)의 사이의 공기가 공기 통과홀(212)을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upling ring 210 is inserted through the rear portion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 air between the coupling ring 210 and the nut spindle 120 passes through the air passage hole 212 to the outside It can be discharged quickly.

지지단(220)은, 결합링(210)의 가장자리측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피스톤(110)의 내면을 탄성 지지하여, 대직경부(122)의 가장자리측 단부와 피스톤(1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 위치시킨다.The support end 220 protrudes to the outside from the edge side end of the coupling ring 210 to elastically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110 so that the edge side end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22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110 .

여기서, 상기 지지단(220)은 전방으로 절곡되어 전술한 삽입홈(122a)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단(220)의 외측면이 피스톤(110)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support end 220 may be bent forward and be positioned in the insertion groove 122a and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end 2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110. [

그리고, 상기 지지단(220)은 도 2와 3에서처럼 삽입홈(122a)의 내부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2 and 3, the pair of support ends 2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sertion groove 122a.

이때, 상기 지지단(220)들의 반대되는 일측단은 삽입홈(122a)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지지단(220)들에 의해 결합링(210)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opposite end of the support ends 220 is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122a, the support ring 220 does not rotate the coupling ring 2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단(220)은 제1경사부(221)와, 제2경사부(222) 및, 접촉부(223)로 구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ing end 2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inclined portion 221, a second inclined portion 222, and a contact portion 223.

먼저, 상기 제1경사부(221)는 결합링(210)의 가장자리측 단부로부터 피스톤(110)과 반대되는 외경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삽입홈(122a)에 위치된다.First,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1 is bent in an inclined manner toward the outer diameter side opposite to the piston 110 from the edge side end of the coupling ring 210, and is positioned in the insertion groove 122a.

제2경사부(222)는, 제1경사부(221)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피스톤(110)이 위치된 내경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삽입홈(122a)에 위치되며, 상기 제2경사부(222)의 전단은 삽입홈(122a)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222 extends from the extended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1 to the inner diameter side where the piston 110 is located and extends in an inclined manner and is loca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2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22a.

접촉부(223)는, 제1경사부(221)와 제2경사부(222)의 연결 부위에서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223)의 외측단이 피스톤(110)의 내면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된다.The contact portion 223 is convex upwar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slope portion 221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222 and the out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223 slides forward and back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110 As close as possible.

여기서, 상기 접촉부(223)의 외측단은 도 4에서처럼 삽입홈(122a)의 외부로 돌출되어 피스톤(110)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4, the out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223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22a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110. [

그리고, 상기 접촉부(223)는 전후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벤딩 성형되며, 상기 접촉부(223)의 외측단은 전후 방향을 따라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Further, the contact portion 223 And the out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223 is formed into a convex curved surfac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결합링(210)의 가장자리측 단부와 제1경사부(221)의 연결 부위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벤딩 성형되는 연결부(2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connection portion 224 may be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dge side end of the coupling ring 210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1 to be roundly bent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이와 같은 접촉부(223)의 외측단은,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을 형성하므로, 너트 스핀들(120)이 전후로 이동시 피스톤(110)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Since the out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223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nut spindle 120 can smoothly slid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110 when moving back and forth.

또한, 지지단(200)이 너트 스핀들(120)의 하방에 위치되는 경우, 너트 스핀들(120)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너트 스핀들(120)의 설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end 200 is positioned below the nut spindle 120, the nut spindle 12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by its own weight,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nut spindle 120 can be varied Can be prevented.

연결부(224)는, 제1경사부(221)의 후단과 결합링(210)의 가장자리측 단부를 연결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연결부(224)의 외측단은 전후 방향을 따라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The connecting portion 224 is a portion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1 and the edge side end of the coupling ring 210.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24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convex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224)는, 외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므로, 접촉부(223)에 반복적인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일정한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Since the connecting portion 224 forms a convex curved surface, the connecting portion 224 can exert a constant elastic force without being easily broken even when a repetitiv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contact portion 223.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이 불규칙한 도로를 주행할 때 너트 스핀들(120)의 흔들림에 의한 충돌 소음을 방지하고, 너트 스핀들(1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ollision noise due to shaking of the nut spindle 120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n irregular roads, prevent sagging of the nut spindle 120, and optimize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apparatus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은 완충부재(200)에 공기 통과홀(212)을 형성시킴으로써, 너트 스핀들(120)과 완충부재(20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완충부재의(200) 일부분이 삭제되므로 장치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ssemble the nut spindle 120 and the buffer member 200 by forming the air passage hole 212 in the buffer member 200, and a part of the buffer member 200 is removed, Can be reduc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electric disk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claims of the patent as well as the claims of the patent registration described later.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all a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R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디스크 20: 마찰패드
30: 캐리어 40: 캘리퍼 하우징
100: 가압유닛 110: 피스톤
120: 너트 스핀들 121: 소직경부
121a: 걸림홈 122: 대직경부
122a: 삽입홈 130: 스핀들
140: 구동부 141: 감속기
142: 모터 200: 완충부재
210: 결합링 211: 중공
212: 공기 통과홀 213: 압입단
220: 지지단 221: 제1경사부
222: 제2경사부 223: 접촉부
224: 연결부
10: Disc 20: Friction pad
30: carrier 40: caliper housing
100: pressure unit 110: piston
120: nut spindle 121: small diameter neck
121a: Retaining groove 122:
122a: insertion groove 130: spindle
140: Driving unit 141: Reduction gear
142: motor 200: buffer member
210: coupling ring 211: hollow
212: air passage hole 213: indentation end
220: supporting end 221: first inclined portion
222: second inclined portion 223:
224:

Claims (13)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한 쌍의 마찰패드와, 상기 마찰패드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상기 마찰패드의 가압을 위해 상기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마찰패드를 디스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마찰패드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을 진퇴시키는 너트 스핀들과, 상기 너트 스핀들의 후단에 나사 결합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스핀들의 외부에는, 링 형상의 완충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완충부재의 가장자리측 단부가 상기 피스톤의 내면을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A pair of friction pads for pressing the disk, a carrier for supporting the friction pads, a caliper housing movably supported on the carrier for pressing the friction pads, and a pressing member An electric disc brake comprising:
The pressing unit includes a piston movably installed in the caliper housing so as to press any one of the friction pads, a nut spindl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iston and moving the piston forward and backward, And a driving unit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pindle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Wherein a ring-shaped buffer member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nut spindle, and an edge side end of the buffer member resiliently supports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so as to be slidable back and for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너트 스핀들의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링 형상의 결합링 및,
상기 결합링의 가장자리측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피스톤의 내면을 탄성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shioning member,
A ring-shaped coupling ring engaged in a state of wrapp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nut spindle,
And a plurality of support ends protruding from an edge side end of the coupling r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에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통화홀이 내경과 외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coupling ring,
Wherein at least one air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so that air can pass therethrough.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너트 스핀들은,
외면이 상기 피스톤의 내면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격 위치되며, 상기 스핀들이 후단에 나사 결합되는 소직경부 및,
상기 소직경부의 전단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의 전단을 걸림 위치시키며, 전진시 전단이 상기 피스톤을 가압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대직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링의 후단이 걸림 위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2,
The nut spindle includes:
A small diameter portion whose out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by a smaller diameter and in which the spindle is screwed to the rear end,
A large diameter portion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to engage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ring and to have a front end for advancing the piston in the pressing direction during forward moveme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And at least one engaging groove is formed concavely so that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ring is engag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의 후단에는,
상기 소직경부의 외면에 압입 방식으로 가압되어 상기 걸림홈을 형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입단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4,
At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ring,
And at least one press-in end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by press-fitting so as to form the engaging groov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의 가장자리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단이 위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4,
At the edge side end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is recessed so that the support end is position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은,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6,
The insertion groove
And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supporting end may be,
And a pair of the inner race and the outer race are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sertion groove.
청구항 2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상기 결합링의 가장자리측 단부로부터 외경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에 위치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내경측으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에 위치되는 제2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연결 부위에서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외측단이 상기 피스톤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6,
The supporting end may be,
A first inclined portion extending in an inclined manner from the edge side end of the engaging ring toward the outer diameter side and positioned in the insertion groove,
A second inclined portion bent forwardly and downwardly inclined from an extended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to an inner diameter side and positioned in the insertion groove,
Wherein a contact portion is formed which is convex upwar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whose outer end is slidab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전후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벤딩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act portion
Wherein the bending is formed by round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의 가장자리측 단부와 상기 제1경사부의 연결 부위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벤딩 성형되는 연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8,
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edge side end of the coupling ring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round-shap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의 전단은,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접촉부의 외측단은,
상기 삽입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피스톤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8,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that is locat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he out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rotrusion protrudes out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너트 스핀들은,
외면이 상기 피스톤의 내면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격 위치되며, 상기 스핀들이 후단에 나사 결합되는 소직경부 및,
상기 소직경부의 전단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의 전단을 걸림 위치시키며, 전진시 전단이 상기 피스톤을 가압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대직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링의 후단이 걸림 위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2,
The nut spindle includes:
A small diameter portion whose out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iston by a smaller diameter and in which the spindle is screwed to the rear end,
A large diameter portion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to engage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ring and to have a front end for advancing the piston in the pressing direction during forward moveme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And at least one engaging groove is formed concavely so that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ring is engag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의 후단에는,
상기 소직경부의 외면에 압입 방식으로 가압되어 상기 걸림홈을 형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입단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12,
At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ring,
And at least one press-in end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by press-fitting so as to form the engaging groove.
KR1020170074294A 2017-06-13 2017-06-13 Electronic disc brake KR1019588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94A KR101958800B1 (en) 2017-06-13 2017-06-13 Electronic disc br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94A KR101958800B1 (en) 2017-06-13 2017-06-13 Electronic disc br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718A true KR20180135718A (en) 2018-12-21
KR101958800B1 KR101958800B1 (en) 2019-03-18

Family

ID=6495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294A KR101958800B1 (en) 2017-06-13 2017-06-13 Electronic disc br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8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267A (en) * 1997-10-30 1999-05-18 Nisshinbo Ind Inc Automatic adjusting device for pad clearance of disk brake
KR20140036631A (en) * 2012-09-17 2014-03-2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arking brake for a vehicle
KR20150128277A (en) * 2014-05-09 2015-11-18 주식회사 만도 Electric caliper brake with parking function
KR20160053631A (en) * 2014-11-05 2016-05-13 주식회사 만도 An electronic disk brak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267A (en) * 1997-10-30 1999-05-18 Nisshinbo Ind Inc Automatic adjusting device for pad clearance of disk brake
KR20140036631A (en) * 2012-09-17 2014-03-2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arking brake for a vehicle
KR20150128277A (en) * 2014-05-09 2015-11-18 주식회사 만도 Electric caliper brake with parking function
KR20160053631A (en) * 2014-11-05 2016-05-13 주식회사 만도 An electronic disk br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800B1 (en)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052B2 (en) Decelerator and motor brake with the same
US9145934B2 (en) Decelerator and motor brake with the same
US8733512B2 (en) Electric disc brake
US20210086742A1 (en) Parking brake apparatus for vehicle
JP6281656B2 (en) Vehicle brake
US9989113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US20090127034A1 (en) Disk brake for vehicles
KR102582455B1 (en) Electronic disc brake
US20100122877A1 (en) Electric disc brake
CN102242784A (en) Parking brake
JP2006283811A (en) Disk brake
JP2010038307A (en) Disk brake
KR20110124817A (en) Electric disc brake
KR101958800B1 (en) Electronic disc brake
KR101796492B1 (en) Electronic disc brake
JP2017082834A (en) Brake for vehicle
JP2006336784A (en) Vehicular disc brake
JP6373188B2 (en) Disc brake
JP2007239869A (en) Disk brake device for vehicle
JP2016125547A (en) Disc brake
CN217539410U (en) Disc brake caliper device
CN214838015U (en) Brake caliper assembly of brake, brake and vehicle
KR20150017459A (en) Anti-rattle device
KR20200034103A (en) Electric disk brake
KR100836356B1 (en) Disk brake for a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