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069A - 배선 신축성이 있는 이어폰 및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배선 신축성이 있는 이어폰 및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069A
KR20180135069A KR1020187034305A KR20187034305A KR20180135069A KR 20180135069 A KR20180135069 A KR 20180135069A KR 1020187034305 A KR1020187034305 A KR 1020187034305A KR 20187034305 A KR20187034305 A KR 20187034305A KR 20180135069 A KR20180135069 A KR 20180135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speaker
earphone
substrat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밍 추
?지 다츠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6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e.g. self-coiling 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이어폰을 착용하여 운동 등 했을 때에 발생하는, 배선이나 기판(부품)과 의류나 인체가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음, 또한, 배선이나 기판(부품)과 의류나 인체의 피부와의 마찰시의 마찰음을 저감시키고, 이러한 소리가 배선을 경유하여 들리는 불쾌음이 적은 이어폰을 제공한다. 이어폰은, 좌우 한쌍의 스피커와, 스피커를 구동하는 회로에 더하여,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및/또는 전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좌우의 스피커끼리를 연결하는 배선, 또는 좌우의 스피커와 기판을 따로따로 연결하는 배선을 구비하고, 그리고 배선이 신축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배선 신축성이 있는 이어폰 및 장착 방법
본 발명은 음악 감상이나 음성 재생용의 이어폰 및 그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악 감상이나 음성 재생용의 이어폰에 사용되고 있는 배선은 신축성을 갖지 않고, 각 연령층의 사람들이나 머리의 사이즈가 다른 사람들에게 장착할 수 있도록, 긴 배선 부착의 이어폰이나 배선을 수납할 수 있는 이어폰이 주류로 되어 있다. 신축성이 없는 배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이어폰을 귀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린다. 배선의 느슨함 등의 불유쾌감을 없애기 위해서, 최근, 배선을 감는 기구를 마련하여 배선을 수납할 수 있는 이어폰도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종래의 이어폰에 있어서는, 배선에 신축성이 없고 배선이 느슨하기 때문에, 운동할 때, 배선의 흔들림이 생긴다. 그 흔들림의 영향에 의해, 배선이나 기판(부품)이 의류나 인체에 닿을 때에 발생하는 접촉음, 또한, 배선이나 기판(부품)이 의류나 인체와 마찰할 때의 마찰음이 발생해버린다. 이러한 소리는 배선을 경유하여 들려버려, 쾌적한 음악 감상이나 음성 재생을 할 수 없다. 또한, 배선의 느슨함에 의해 의류나 주위의 물건에 걸리고, 이어폰이 끌어 당겨져, 귓구멍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어폰을 꽂을 때, 배선이 인체의 피부 등과 닿지 않도록 의복 위 등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지만, 배선에 느슨함이 있기 때문에, 사람은 이어폰을 꽂은 직후에 운동할 때, 배선의 흔들림에 의해 배선이 초기의 적절한 장소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배선이 피부와 닿는 경우가 많이 있어, 불유쾌감이나 위화감을 야기한다. 그 때문에, 재차, 배선을 두는 위치를 조정해야 해서, 이어폰의 장착 시간을 길게 만들어 버린다.
특허문헌 1의 구성에 관해서도, 배선을 감는 것에 의해, 배선은 어느 정도 짧게 할 수 있지만, 배선을 감는 기구가 필요해진다. 또한, 기구가 크고 또한 무겁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운동할 때에, 배선을 감는 기구의 흔들림이나, 머리와의 접촉에 의한 불쾌감이 생기고, 또한, 머리와 닿을 때에 발생하는 접촉음이 배선을 경유하여 들려버려, 고음질인 음악이나 음성 재생을 실현할 수 없다.
한편, 한쪽귀씩 나뉘어진 완전한 와이어리스 이어폰도 등장해 왔지만, 좌우 각각에, 배터리와 통신 모듈을 탑재해야 할 필요가 있어, 귀 부분이 크고 무거워진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한쪽귀씩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잃어버리기 쉽다는 과제도 있다.
특허문헌 1 : 실용 신안 등록 제3183367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이어폰을 착용하여 운동 등 했을 때에 발생하는, 배선이나 기판(부품)과 의류나 인체가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음, 또한, 배선이나 기판(부품)과 의류나 인체의 피부와의 마찰시의 마찰음을 저감시키고, 이러한 소리가 배선을 경유하여 들리는 불쾌음이 적은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착용시에 배선이 느슨하지 않고, 의류나 주위물에 걸리거나, 이어폰이 끌어 당겨지거나 하지 않고, 그 때문에, 귓구멍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게 되어, 확실하게 이어폰을 귀에 장착시키는 데 시간이 걸리지 않는 이어폰의 제공도 목적으로 한다.
특허문헌 1의 이어폰에서는, 배선을 감는 것에 의해, 배선은 어느 정도 짧게 할 수 있지만, 애초에 배선을 감는 기구가 필요해진다. 또한, 그 부품의 사이즈가 크고, 무겁게 느껴지는 경우도 많이 있다. 운동할 때, 권회 기구의 흔들림이나, 머리와의 접촉에 의한 불유쾌가 느껴지고, 또한 머리와 닿을 때에 발생하는 접촉음이 배선을 경유하여 들려버려, 고음질인 음악이나 음성 재생을 실현할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예의 검토한 결과, 이어폰의 배선부에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이어폰을 착용하고 운동 등 했을 때에도, 배선이나 기판(부품)이 의류나 인체에 접촉하거나 문질러지거나 하는 일이 적고, 이것에 따라 발생하는 접촉음이나 마찰음이 배선을 경유하여 들리는 불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또한, 착용시에 배선이 신축성을 가지면, 배선이 느슨하지 않고 의류나 주위의 물건에 걸리거나, 이어폰이 끌어 당겨지거나 하지도 않고, 그 때문에, 귓구멍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지는 것, 또한, 확실하게 이어폰을 귀에 장착시키는 데 시간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 판명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좌우 한쌍의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회로에 더하여,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및/또는 전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상기 좌우의 스피커끼리를 연결하는 배선, 또는 상기 좌우의 스피커와 기판을 따로따로 연결하는 배선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배선이 신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상기 좌우 한쌍의 스피커는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이며,
상기 좌측 스피커와 상기 기판이 제1 배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우측 스피커와 상기 기판이 제2 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이 신축성을 갖는, [1]에 기재된 이어폰.
[3] 상기 기판은, 좌측 기판과 우측 기판을 갖고,
상기 좌측 스피커와 상기 좌측 기판이 제1 배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우측 스피커와 상기 우측 기판이 제2 배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좌측 기판과 상기 우측 기판이 제3 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이 신축성을 갖는, [1]에 기재된 이어폰.
[4] 상기 기판은 상기 좌측 스피커 또는 상기 우측 스피커에 수납되고,
이 좌측 스피커와 이 우측 스피커는, 신축성이 있는 배선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이어폰.
[5] 상기 배선은 10% 이상의 신축성을 갖고, 그 배선을 10% 이상 신장시킨 후, 배선 스스로 줄어들어, 신장하지 않을 때의 길이의 110%가 될 때의 응력은 2N 이하인,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
[6] 좌측 스피커의 좌측단과 우측 스피커의 우측단과의 거리에 의한 배선의 길이를 3 종류 이상 갖는,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
[7] 상기 기판 또는 상기 스피커는, 상기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갖는,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
[8] 상기 배선을 상기 기판 또는 상기 스피커에 권취하거나 또는 사행시킴으로써,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6] 또는 [7]에 기재된 이어폰.
[9] 상기 기판에 4개소 이상의 간극을 마련하고, 상기 배선을 상기 간극에 통과시켜, 배선이 통과되는 간극의 수에 의해 배선의 길이가 조정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간극에 고정되는 기구를 갖는, [6]∼[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
[10] 상기 기판에 6개소 이상의 돌기부를 마련하고, 상기 배선을 상기 돌기부에 통과시켜, 배선이 통과되는 돌기부의 수에 의해 배선의 길이가 조정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돌기부에 고정되는 기구를 갖는, [6]∼[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
[11] 상기 이어폰을 머리에 장착한 경우, 상기 기판이 머리에 부여하는 압력이 0.1 hpa∼30 hpa이 되도록, 상기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6]∼[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
[12]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을 머리에 장착한 경우, 상기 기판이 머리에 부여하는 압력이 0.1 hpa∼30 hpa이 되는 이어폰의 장착 방법.
[13]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을 좌우의 귀와 두부와의 홈의 사이에 장착하는 이어폰의 장착 방법.
[14]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기판, 부품 또는 배선의 흔들림이 없고, 청취하는 음성에 있어서 타격음이나 마찰음이 경감된 이어폰의 장착 방법.
[15]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배선이 줄어드는 힘으로 기판, 부품을 후두부 혹은 머리의 위에 고정시킴으로써, 인간이 움직여도, 머리를 움직여도, 기판, 부품이 움직여지지 않는 이어폰의 장착 방법.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는, 예컨대, 좌측 귀에 장착용의 좌측 스피커와 우측 귀에 장착용의 우측 스피커가 있고, 양 스피커를 구동하는 회로와 그 밖의 회로와 전지를 갖는 기판(부품)은 양 스피커의 사이에 설치되고, 그 기판(부품)은 각각의 스피커와 신축성이 있는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있어서는, 좌측 귀에 장착용의 좌측 스피커와 우측 귀에 장착용의 우측 스피커가 있고, 양 스피커를 구동하는 회로와 그 밖의 회로와 전지를 갖는 2개의 기판(부품)은 양 스피커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의 2개의 기판(부품)의 사이의 배선은 신축성이 있는 배선 혹은 신축성이 없는 배선을 사용하며, 각각의 기판(부품)은 각각의 스피커와 신축성이 있는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있어서는, 좌측 귀에 장착용의 좌측 스피커와 우측 귀에 장착용의 우측 스피커가 있고, 양 스피커를 구동하는 회로와 그 밖의 회로와 전지를 갖는 기판(부품)은 좌측 스피커 혹은 우측 스피커와 동일한 부품에 수납되고, 양 스피커는 신축성이 있는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어폰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는, 기판(부품) 등을 머리 뒤 혹은 두정부 부근에 배치하여, 귀와 머리와의 홈의 안(이륜과 주상와의 사이의 홈을 따라서)에 배선하고, 양 귓구멍에 양 스피커를 넣어, 기판(부품)을 머리 뒤 혹은 두정부 부근에 안정시킨다. 즉, 배선을 연장하고 있는 상태로 이어폰을 꽂은 후, 배선이 줄어드는 힘으로 기판(부품)을 머리 뒤 혹은 두정부 부근에 안정시킬 수 있고, 인간이 움직여도, 머리를 움직여도, 기판(부품)이 움직이기 어렵다. 기판(부품)을 머리 뒤 혹은 두정부 부근에 안정시키는 경우, 배선을 신장시켜, 배선이 줄어드는 힘에 의해 기판(부품)이 머리에 부여하는 압력으로 인간에게 불쾌감을 부여하지 않도록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구도 제공한다. 또한,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의 머리의 사이즈에 맞추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상기와 같은 배선 신축성이 있는 이어폰을 사용하면, 재빠르게 이어폰을 장착뿐만 아니라, 배선의 신축성에 의해 기판(부품) 등을 안정시킬 수 있어, 운동시의 배선 흔들림이나 배선 트러블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배선의 흔들림에 의한 타격음이나 마찰음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의 특징의 모두를 열거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특징군의 서브컴비네이션도 또한, 발명이 될 수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제1 양태(실시예 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제2 양태(실시예 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제3 양태(실시예 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신축 배선의 신축 특성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신축 배선의 신축 특성예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기판(부품)의 신축 배선의 길이의 조정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스피커의 신축 배선의 길이의 조정예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발명한 이어폰의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B는 발명한 이어폰의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이면도이다.
이하,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2A는, 제1 양태(실시예 1)(100)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다. 본 예의 구성(100)은, 좌측 스피커(101), 우측 스피커(102), 기판(부품)(103), 신축성이 있는 제1 배선(1)(104) 및 신축성이 있는 제2 배선(2)(105)을 구비한다.
좌측 스피커(101)는, 좌측 귀에 장착하여, 음악이나 음성 등을 재생하는 부품이며, 우측 스피커(102)는, 우측 귀에 장착하여, 음악이나 음성 등을 재생하는 부품이다. 기판(부품)(103)은, 좌측 스피커(101)와 우측 스피커(102)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기판(부품)(103)은 좌측 스피커(101)와 우측 스피커(102)를 구동하는 회로, 그 밖의 회로 및 전지 등을 갖는다. 기판(부품)(103)은 무선 통신 회로를 갖고 있어도 좋다.
기판(부품)(103)과 좌측 스피커(101)는 신축성이 있는 배선(1)(104)으로 접속되고, 기판(부품)(103)과 우측 스피커(102)는 신축성이 있는 배선(2)(105)으로 접속된다. 신축성이 있는 배선(1)(104)과 신축성이 있는 배선(2)(105)은 신축성이 있고, 5%∼300%의 최대 신장률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00%이다.
최대 신장률(%)=(최대 신장되어 있을 때의 배선의 길이/신축하고 있지 않을 때의 배선의 길이-1)×100
신장률의 측정 방법예:
단계 1) 20 cm의 미신장 상태의 배선을 잘라낸다.
단계 2) 배선을 수직으로 하여, 한쪽 끝을 고정하고, 고정 개소로부터 10 cm 떨어져 있는 부분에 표시를 한다.
단계 3) 다른 한쪽 끝에 500 g의 하중을 가하여, 고정 개소와 이전의 표시의 부분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계 4) 신장률=[(단계 3에서 측정한 거리/10 cm)-1]×100
신축성이 있는 제1 배선(1)(104)과 신축성이 있는 제2 배선(2)(105)을 사용하는 이어폰을 머리에 장착할 때, 상기 배선을 늘리고, 이어폰을 장착한 후, 배선이 가지고 있는 줄어드는 힘으로 이어폰을 머리에 고정시키고 있다. 도 3A에 신축성이 약한 배선의 신축 특성예(1)(400)를 나타내고 있고, 도 3B에 신축성이 약간 강한 배선의 신축 특성예(2)(500)를 나타내고 있다. 배선을 10% 이상 신장시킨 후, 배선이 스스로 줄어들어, 늘어나지 않을 때의 길이의 110%가 될 때의 응력은, 도 3A에 나타내고 있는 신축성이 약한 배선에서는 약 0.07 N이 되고, 도 3B에 나타내고 있는 약간 강한 배선에서는 약 0.3 N이 된다. 배선을 10% 이상 신장시킨 후, 배선이 스스로 줄어들어, 늘어나지 않을 때의 길이의 110%가 될 때의 응력은 2 N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 N 이하이다.
음악이나 음성 등을 재생하는 경우, 기판(부품)(103)은 스마트폰 등의 기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며, 그 음성 신호를 스피커 구동 회로에서 좌측 스피커(101)와 우측 스피커(102)로 전송한다. 신축성이 있는 제1 배선(1)(104)은 좌측 스피커(101)에 필요한 음성 신호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신축성이 있는 제2 배선(2)(105)은 우측 스피커(102)에 필요한 음성 신호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제1 양태(실시예 1)(100)의 이어폰에 관해서, 배선은 신축성이 있고, 배선을 조금 늘린 상태로 이어폰을 장착한 후, 배선의 수축력에 의해, 기판(부품)(103)과 배선을 안정(고정)하게 시킬 수 있어, 부품이나 배선이 소위「안정화」가 된다. 그 때문에, 사람이 움직여도, 머리를 움직여도, 부품이나 배선이 움직여지기 어렵고, 배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접촉음이나 마찰음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기판(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접촉음이나 마찰음 자체도 경감시킬 수도 있다. 특허문헌 1의 이어폰에서는, 배선을 수납할 수 있지만, 배선에 신축성이 없고, 기판이나 감는 기구를 안정시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운동시, 기판이나 감는 기구로부터 접촉음이나 마찰음이 발생하고, 그 때문에, 고음질인 음악이나 음성 재생의 실현이 곤란하다.
이어폰을 머리에 장착한 후, 기판(부품)을 안정(고정)하게 시키는 것, 소위「안정화」란, 기판(부품)이 머리에 부여하는 압력이 0.1 hpa∼30 hpa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hpa 이하로 되면, 기판(부품)은 머리에 밀착할 수 없어, 운동 등에 의해 배선의 흔들림이 발생하고, 배선의 흔들림에 의한 타격음이나 마찰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30 hpa 이상의 압력으로 되면, 기판(부품)이 머리에 강한 힘으로 고정되고, 또한, 배선도 머리에 강한 압력을 부여하며, 사람에게 불쾌감을 부여해버려, 기분 좋게 음악 감상이나 음성 재생을 실현할 수 없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 hpa∼10 hpa이다. 배선을 10% 이상 신장할 수 있고, 신장 후, 배선이 스스로 줄어들어, 늘어나지 않을 때의 길이의 110%가 될 때의 응력은 1 N 이하이며, 배선이 신장되지 않는 경우의 배선 길이는 100∼150%의 길이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가짐으로써 이것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B는, 제2 양태(실시예2)(200)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다. 본 예의 구성(200)은, 좌측 스피커(201), 우측 스피커(202), 좌측 기판(부품 1)(203), 우측 기판(부품 2)(204), 신축성이 있는 제1 배선(1)(205) 및 신축성이 있는 제2 배선(2)(206)을 구비한다.
좌측 스피커(201)는, 좌측 귀에 장착하여, 음악이나 음성 등을 재생하는 부품이며, 우측 스피커(202)는, 우측 귀에 장착하여, 음악이나 음성 등을 재생하는 부품이다. 좌측 기판(부품 1)(203), 우측 기판(부품 2)(204)은, 좌측 스피커(201)와 우측 스피커(202)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좌측 기판(부품 1)(203)은 좌측 스피커(201)를 구동하는 회로와 그 밖의 회로 또는 전지 등을 갖는다. 우측 기판(부품 2)(204)은 우측 스피커(202)를 구동하는 회로와 그 밖의 회로 또는 전지 등을 갖는다. 기판(부품)(203 또는 204)은 무선 통신 회로를 갖고 있어도 좋다.
좌측 기판(부품 1)(203)과 좌측 스피커(201)는 신축성이 있는 제1 배선(1)(205)에 의해 접속되고, 우측 기판(부품 2)(204)과 우측 스피커(202)는 신축성이 있는 제2 배선(2)(206)에 의해 접속된다. 신축성이 있는 제1 배선(1)(205)과 신축성이 있는 제2 배선(2)(206)은 신축성이 있고, 5%∼300%의 신장률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00%이다. 좌측 기판(부품 1)(203)과 우측 기판(부품 2)(204)은 신축성이 없는 배선 또는 신축성이 있는 배선으로 접속된다. 또한, 배선을 10% 이상 신장시킨 후, 배선이 스스로 줄어들어, 신장되지 않을 때의 길이의 110%가 될 때의 응력은 2 N 이하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 N 이하이다.
음악이나 음성 등을 재생하는 경우, 좌측 기판(부품 1)(203), 또는 우측 기판(부품 2)(204)은 스마트폰 등의 기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며, 그 음성 신호를 구동 회로에서 좌측 기판(부품 1)(203)으로부터 좌측 스피커(201)로 전송하고, 우측 기판(부품 2)(204)으로부터 우측 스피커(202)로 전송한다. 신축성이 있는 제1 배선(1)(205)은 좌측 스피커(201)에 필요한 음성 신호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신축성이 있는 제2 배선(2)(206)은 우측 스피커(202)에 필요한 음성 신호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제2 양태(실시예 2)(200)의 이어폰에 관해서, 배선은 신축성이 있고, 배선을 조금 늘린 상태로 이어폰을 장착하면, 제1 양태와 동일하게, 배선의 수축력에 의해, 기판(부품)을「안정화」시킬 수 있고, 배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접촉음이나 마찰음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기판(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접촉음이나 마찰음도 경감시킬 수도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이어폰에서는, 배선을 수납할 수 있지만, 배선에 신축성이 없고, 기판을 감는 기구를「안정」하게 시키는 힘이 없어, 운동시에 기판이나 감는 기구로부터 접촉음이나 마찰음이 여전히 발생하고, 그 때문에, 고음질인 음악이나 음성 재생이 실현 곤란하다. 제1 양태(실시예 1)(100)와 동일하게, 이어폰을 장착 후, 기판(부품)이 머리에 부여하는 압력이 0.1 hpa∼30 hpa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 hpa∼10 hpa이다.
[실시예 3]
도 2C는, 제3 양태(실시예 3)(300)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다. 본 예의 구성(300)은, 좌측 스피커(301), 우측 스피커(302), 신축성이 있는 배선(303)을 구비한다.
좌측 스피커(301)는, 좌측 귀에 장착하여, 그 스피커를 구동하는 회로를 갖고, 음악이나 음성 등을 재생하는 부품이며, 우측 스피커(302)는, 우측 귀에 장착하여, 그 스피커를 구동하는 회로를 갖고, 음악이나 음성 등을 재생하는 부품이다. 무선 통신 회로와 그 밖의 회로 또는 전지를 갖는 기판(부품)은 좌측 스피커(301) 혹은 우측 스피커(302)에 수납된다.
좌측 스피커(301)와 우측 스피커(302)는 신축성이 있는 배선(303)에서 접속된다. 신축성이 있는 배선(303)은 신축성이 있고, 5%∼300%의 신장률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00%이다. 또한, 배선을 10% 이상 신장시킨 후, 배선이스스로 줄어들어, 늘어나지 않을 때의 길이의 110%가 될 때의 응력은 2 N 이하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 N 이하이다.
음악이나 음성 등을 재생하는 경우, 좌측 스피커(301) 혹은 우측 스피커(302)는 스마트폰 등의 기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며, 그 음성 신호를 구동 회로에서 좌측 스피커(301) 또는 우측 스피커(302)로 전송한다. 신축성이 있는 배선(303)은 좌측 스피커(301)에 필요한 음성 신호나 제어 신호 혹은 우측 스피커(302)에 필요한 음성 신호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제3 양태(실시예 3)(300)의 이어폰에 관해서, 배선은 신축성이 있고, 배선을 조금 늘린 상태로 이어폰을 장착하면, 제1 양태, 제2 양태와 동일하게, 배선의 수축력에 의해, 배선을 머리에 밀착시킬 수 있고, 배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접촉음이나 마찰음도 경감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신축성이 있는 배선으로 구성한 본 예의 이어폰에 있어서는, 배선의 느슨함이 없고, 운동할 때, 배선의 흔들림이 없어, 배선이 의류나 인간에게 닿을 때에 발생하는 접촉음이나, 배선이 의류나 인체와 마찰할 때의 마찰음이 경감되고, 고음질인 음악이나 음성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이 느슨함에 의해 의류나 주위의 물건에 걸려, 이어폰이 끌어 당겨지고, 귓구멍에서 벗어나 떨어질 우려도 없어진다. 또한, 배선을 감는 기구가 불필요해져, 기판(부품)도 작고, 또한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이 있는 배선이 갖는 수축력 때문에, 운동할 때, 기판(부품)과 머리가 접촉할 때의 불유쾌나, 머리와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접촉음이나 마찰음도 경감되어, 쾌적하게 고음질인 음악이나 음성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많은 사람의 머리의 사이즈에 맞취어지는 것, 혹은, 최적인 배선의 줄어드는 힘으로, 기판(부품)을 머리 뒤 혹은 두정부 부근에 안정시키고, 기판(부품)이 머리에 부여하는 압력은 사람에게 불쾌감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2, 3은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구도 제공한다.
도 4A는, 기판(부품)의 신축 배선의 길이의 조정예(1)(6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구가, 기판(부품)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기판(부품)(601)에는, 번갈아서 배치된 복수의 돌기부(602)가 설치되어 있고, 신축 배선(603)은 똑바르게 배치되지 않고, 배선을 사행시키면서 돌기부에 건너지름으로써, 똑바른 배선보다 길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은 최후의 2개의 배선 고정용 돌기부(604)를 통과함으로써 배선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배선을 건너지르는 돌기부(602)의 수에 의해,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좌우 대칭을 생각하여, 기판(부품)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3개 이상(합쳐서 6개 이상)의 돌기부가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 대신에 복수의 홈부를 설치하고, 배선을 사행시키면서 홈부에 건너지름으로써도 동일하게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홈부의 수는, 기판(부품)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3개 이상(합쳐서 6개 이상)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선(603)을 배선 고정 링형 부품(605)에 통과시키고, 링형 부품(605)은 배선을 협지함으로써 배선을 고정시키고, 배선은 링형 부품(605)을 통과하는 길이에 의해 배선의 길이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구에 의해, 좌측 스피커의 좌측단과 우측 스피커의 우측단과의 거리에 의한 배선의 길이를 3 종류 이상 가질 수 있다.
도 4B는, 스피커의 신축 배선의 길이의 조정예(2)(7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구가, 스피커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신축 배선(702)은, 스피커 본체(701)에 권취될 수 있고, 권취되는 횟수에 의해 배선의 길이가 조정된다. 또한, 스피커에는 배선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간극(703)도 마련되어 있다. 배선을 그 간극에 통과시킴으로써, 권취된 배선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러한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구에 의해, 좌측 스피커의 좌측단과 우측 스피커의 우측단과의 거리에 의한 배선의 길이를 3 종류 이상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의 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당업자에 있어서는 명백하다.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이하, 발명한 이어폰의 장착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장착 방법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따른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장착 방법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방법의 조합의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할 수 없다.
도 5A는, 이어폰의 장착 방법(1)(80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어폰을 장착후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스피커(802)는 귓구멍의 안에 배치되고, 신축성이 있는 배선(801)은 이륜과 주상와의 사이의 홈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선은 스피커와 기판(부품)과의 사이에 결선되고, 혹은 좌우의 스피커의 사이에 결선되며, 신호 또는 전력을 스피커로 전송한다. 상기 장착 후의 측면도에 있어서, 좌측 귀와 우측 귀 모두 대응한다.
도 5B는, 이어폰의 장착 방법(2)(900)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1 양태(실시예 1)의 구성의 이어폰을 장착한 경우를, 후두부측으로부터 본 도면(900)이 도시되어 있다. 기판(부품)(903)은 후두부에 배치되고, 좌측 스피커(904)는 좌측 귀에 들어가 있고, 우측 스피커(905)는 우측 귀에 들어가 있다. 좌측 스피커(904)와 기판(부품)(903)의 사이, 우측 스피커(905)와 기판(부품)(903)의 사이는, 각각 신축성이 있는 배선(90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 배선은 좌측 귀 또는 우측 귀의 이륜과 주상와의 사이의 홈에 배치되어 있다.
재빠르게 제1 양태(실시예 1)의 구성의 이어폰을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단계 1) 이어폰의 기판(부품)(903)을 머리 뒤 혹은 두정부 부근에 둔다.
단계 2) 양 스피커를 들면서, 머리 뒤 혹은 두정부 부근으로부터 머리의 전방으로, 신축성이 있는 배선을 귀와 머리와의 홈을 따라서 배선한다.
단계 3) 양 스피커를 양 귓구멍에 넣는다.
이상과 같이, 신축성이 있는 배선으로 구성한 본 예의 이어폰 구성의 장착 방법에 의해, 재빠르게 이어폰을 장착 가능해지고, 능숙하게 신속하게 장착할 수 없는 초조감을 없앨 수 있다.
1 : 무선 이어폰, 11 : 하측 덮개, 22 : 상측 덮개, 50 : 이어폰 코드, 51 : 스피커부, 100 : 제1 양태, 101 : 좌측의 스피커, 102 : 우측의 스피커, 103 : 기판, 104 : 신축성이 있는 배선(1), 105 : 신축성이 있는 배선(2), 200 : 제2 양태, 201 : 좌측의 스피커, 202 : 우측의 스피커, 203 : 기판 1, 204 : 기판 2, 205 : 신축성이 있는 배선(1), 206 : 신축성이 있는 배선(2), 300 : 제3 양태, 301 : 좌측의 스피커, 302 : 우측의 스피커, 303 : 신축성이 있는 배선, 400 : 신축성이 있는 배선의 신축 특성예(1), 500 : 신축성이 있는 배선의 신축 특성예(2), 600 : 기판(부품)의 신축 배선의 길이의 조정예(1), 601 : 기판, 602 : 돌기부, 603 : 신축 배선, 604 : 배선 고정용 돌기부, 605 : 배선 고정 링형 부품, 700 : 스피커의 신축 배선의 길이의 조정예(2), 701 : 스피커 본체, 702 : 신축 배선, 703 : 배선 고정용 간극, 800 : 이어폰의 장착 방법(1), 801 : 신축성이 있는 배선, 802 : 스피커, 900 : 이어폰의 장착 방법(2), 903 : 기판, 904 : 좌측 스피커, 905 : 우측 스피커, 906 : 신축성이 있는 배선

Claims (15)

  1. 좌우 한쌍의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회로에 더하여,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및/또는 전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상기 좌우의 스피커끼리를 연결하는 배선, 또는 상기 좌우의 스피커와 기판을 따로따로 연결하는 배선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배선이 신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스피커는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이며,
    상기 좌측 스피커와 상기 기판이 제1 배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우측 스피커와 상기 기판이 제2 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이 신축성을 갖는 이어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좌측 기판과 우측 기판을 갖고,
    상기 좌측 스피커와 상기 좌측 기판이 제1 배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우측 스피커와 상기 우측 기판이 제2 배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좌측 기판과 상기 우측 기판이 제3 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이 신축성을 갖는 이어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좌측 스피커 또는 상기 우측 스피커에 수납되고,
    이 좌측 스피커와 이 우측 스피커는, 신축성이 있는 배선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이어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10% 이상의 신축성을 갖고, 그 배선을 10% 이상 신장시킨 후, 배선 스스로 줄어들어, 늘어나지 않을 때의 길이의 110%가 될 때의 응력은 2N 이하인 이어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측 스피커의 좌측단과 우측 스피커의 우측단과의 거리에 의한 배선의 길이를 3 종류 이상 갖는 이어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또는 상기 스피커는, 상기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갖는 이어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을 상기 기판 또는 상기 스피커에 권취하거나 또는 사행(蛇行)시킴으로써,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이어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6개소 이상의 돌기부를 마련하고, 상기 배선을 상기 돌기부에 통과시키며, 배선이 통과되는 돌기부의 수에 의해 배선의 길이가 조정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돌기부에 고정되는 기구를 갖는 이어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좌측 스피커 및 상기 우측 스피커에 권취되는 횟수로 이 배선의 길이가 조정되고, 상기 배선은 양 스피커에 마련되어 있는 간극에 고정되는 기구를 갖는 이어폰.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을 머리에 장착한 경우, 상기 기판이 머리에 부여하는 압력이 0.1 hpa∼30 hpa이 되도록, 상기 배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이어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을 머리에 장착한 경우, 상기 기판이 머리에 부여하는 압력이 0.1 hpa∼30 hpa이 되는 이어폰의 장착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을 좌우의 귀와 두부와의 홈의 사이에 장착하는 이어폰의 장착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기판, 부품 또는 배선의 흔들림이 없고, 청취하는 음성에 있어서 타격음이나 마찰음이 경감된 이어폰의 장착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배선의 줄어드는 힘으로 기판, 부품을 후두부 혹은 머리의 위에 고정시킴으로써, 인간이 움직이여도, 머리를 움직여도, 기판, 부품이 움직여지지 않는, 이어폰의 장착 방법.
KR1020187034305A 2016-06-13 2017-06-12 배선 신축성이 있는 이어폰 및 장착 방법 KR201801350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7295 2016-06-13
JPJP-P-2016-117295 2016-06-13
PCT/JP2017/021677 WO2017217374A1 (ja) 2016-06-13 2017-06-12 配線伸縮性のあるイヤホン及び装着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069A true KR20180135069A (ko) 2018-12-19

Family

ID=6066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305A KR20180135069A (ko) 2016-06-13 2017-06-12 배선 신축성이 있는 이어폰 및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314530A1 (ko)
EP (1) EP3471431A4 (ko)
JP (1) JP6595713B2 (ko)
KR (1) KR20180135069A (ko)
CN (1) CN109314811B (ko)
AU (1) AU2017285622B2 (ko)
CA (1) CA3021124A1 (ko)
WO (1) WO2017217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0075B2 (ja) * 2018-03-13 2022-01-2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ステレオヘッドセット
USD976870S1 (en) * 2020-10-13 2023-01-3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USD1003870S1 (en) * 2022-03-16 2023-11-07 Shanxi Jonter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Set of earphones and charging cas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070U (ja) * 1995-08-28 1996-03-12 有限会社ヴィ・オ・ジェイコーポレイション 耳掛け式集音器
JP2970639B2 (ja) * 1998-02-13 1999-11-02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JP2001045586A (ja) * 1999-08-02 2001-02-16 Kubota Corp イヤホンケーブル
JP2001169382A (ja) * 1999-12-10 2001-06-22 Zaza International:Kk イヤホン装置
US7494216B2 (en) * 2002-07-26 2009-02-24 Oakely, Inc. Electronic eyewear with hands-free operation
CN2884762Y (zh) * 2006-03-08 2007-03-28 江辉 帽子耳机
JP4269181B2 (ja) * 2006-09-06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JP2009105554A (ja) * 2007-10-22 2009-05-14 Sony Corp ヘッドホン
JP4705187B1 (ja) * 2010-03-30 2011-06-22 玉城 達朗 イヤホンコード巻き付け収納装置
KR101159795B1 (ko) * 2011-06-08 2012-06-26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헤드셋
CN203659472U (zh) * 2013-11-22 2014-06-18 东莞市瀛通电线有限公司 一种弹性耳机线
KR101365926B1 (ko) * 2013-11-25 2014-02-24 주식회사 블루콤 넥밴드 및 헤드폰 겸용 블루투스 오디오 장치
CN203563178U (zh) * 2013-11-25 2014-04-23 刘建兵 可伸缩耳机线
US9825356B2 (en) * 2014-03-09 2017-11-21 Minnesota Wire and Cable Elastomeric and flexible cables
JP6217539B2 (ja) * 2014-06-24 2017-10-2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耳掛け式イヤホン,耳掛け式ヘッドセット,及び耳掛けハンガ
CN104853270A (zh) * 2015-05-07 2015-08-19 袁静 一种可伸缩耳机
SE538538C2 (en) * 2015-05-15 2016-09-13 Zound Ind Int Ab A headset with a pair of listening devices and a behind the head resilient cord
CN205029824U (zh) * 2015-07-07 2016-02-10 肖殿清 一种基于蓝牙耳机的心电监护器
CN205726301U (zh) * 2016-06-17 2016-11-23 厦门广开电子有限公司 一种耳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14811A (zh) 2019-02-05
CA3021124A1 (en) 2017-12-21
JPWO2017217374A1 (ja) 2018-11-01
EP3471431A1 (en) 2019-04-17
AU2017285622A1 (en) 2018-11-15
JP6595713B2 (ja) 2019-10-23
US20200314530A1 (en) 2020-10-01
EP3471431A4 (en) 2019-06-26
AU2017285622B2 (en) 2019-11-28
CN109314811B (zh) 2020-06-19
WO2017217374A1 (ja)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2940B (zh) 用于颈部背面的感官刺激或监视装置
US9621978B2 (en) Headset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10349177B2 (en) Wireless stereo sleep mask
US5303426A (en) Sweatband - earphone system
US6233345B1 (en) Personal earphone assembly for mounting upon eyeglasses
US6690808B2 (en) Personal earphone assembly for mounting upon eyeglasses
KR20170080575A (ko) 음향 출력 장치 및 음도 장치
KR20180135069A (ko) 배선 신축성이 있는 이어폰 및 장착 방법
RU2611215C1 (ru) Внутриушной наушник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х ношения
JP2009055252A (ja) ヘッドホン装置
US5728027A (en) Biofeedback system for training abdominal muscles
WO2007079479A2 (en) Headphones with detachable headband
JPWO2005053800A1 (ja) 骨伝導スピーカー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KR20180009689A (ko) 뇌 전체부위로 측정부위 조절이 용이한 2채널 뇌파 측정 장치
KR100808734B1 (ko) 엠피쓰리 플레이어 장착용 모자
CN210168190U (zh) 一种视唱练耳用的多功能训练耳机
US9049514B2 (en) Audio headset
KR20120001104U (ko) 귀덮개형 이어폰
JP2015095868A (ja) スピーカー装置
CN207835718U (zh) 一种耳机
WO2002007476A3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ound reproduction and recording
JP6865126B2 (ja) 音声発生装置
RU27161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слушивания аудио
CN209330348U (zh) 一种组合式智能语音耳机
CN205320248U (zh) 新型骨传导蓝牙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