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959A -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 - Google Patents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959A
KR20180133959A KR1020170067546A KR20170067546A KR20180133959A KR 20180133959 A KR20180133959 A KR 20180133959A KR 1020170067546 A KR1020170067546 A KR 1020170067546A KR 20170067546 A KR20170067546 A KR 20170067546A KR 20180133959 A KR20180133959 A KR 20180133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anel
edge surface
paint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filed Critical 이상호
Priority to KR1020170067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3959A/ko
Publication of KR20180133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8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wooden surfaces, leather, or linole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2Machine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for drying pri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2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e.g. decalcomani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가구용 패널의 엣지면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도장할 수 있고, 작업 환경 및 제작 원가를 낮추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엣지면에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도장패널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엣지면에 연마, 도료도포 및 건조를 연속적으로 자동생산되는 가구용패널 엣지면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엣지면에 1차도장가공 후 각종 색상 및 무늬가 포함된 열전사지를 엣지면에 부착시키고, 2차도장가공을 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도장가공에 따른 작업 환경 개선 및 제작 원가를 줄여 제작비용을 낮추며, 상기 열전사지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 및 무늬의 엣지면을 갖는 패널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기호성이 상승과 함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Edge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for a furniture panel}
본 발명은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에 전사지부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작업 환경 개선 및 제작 원가를 낮추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엣지면에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실크스크린 방식의 도장법을 도입함으로써, 엣지면의 모양 및 형상에 상관없이 도장할 수 있으며, 파티클보드, 집성 목재 등의 저밀도 가공 목재의 엣지면에 도료를 주입하여 평탄화하는 도료주입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목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엣지면을 도장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이나 사무용 또는 주방용 가구 등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가구용 패널은 중밀도섬유판재(MDF: Medium Density Fiberboard)나 파티클보드(PB: Particle Board, 원목으로 목재를 생산하고 남은 폐 잔재를 부수어 작은 조각으로 만들고 접착제를 섞어 고온 고압으로 압착시켜서 만든 가공 목재), 집성 목재(laminated timber, 목재의 널 또는 작은 각재를 섬유 방향으로 집성, 접착하여 각재나 두꺼운 판재로 한 것.)등과 같은 가공 목재나 원목 등으로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MDF나 파티클보드, 집성 목재 등의 가공 목재로 된 가구용 패널(이하, 피도장패널이라 함) 들의 모서리 측 테두리의 전체 면(이하, 엣지면이라 함.)에는 패널의 절단된 면을 외관상 미려하게 마감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강도보강, 광택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을 갖는 도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피도장패널의 엣지면에 도장을 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샌드페이퍼 또는 핸드 샌딩기를 사용하여 둘레부를 따라 이송하면서 피도장패널의 엣지면을 연마한 후, 연마된 다수의 피도장패널을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적층한 다음 엣지면에 작업자가 직접 스프레이건으로 도료를 도장(1차도장, 하도)한 다음 도장된 도료가 경화되도록 건조실 등으로 옮겨 소정 시간 건조하여 제작 완료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은 연마, 도장, 건조 방법 및 순서를 따라 반복적으로 2차 도장(중도), 3차 도장(상도)을 수행하여 제작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피도장패널의 엣지면을 연마한 후, 연마된 다수의 피도장패널을 일일이 적층한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도장하고, 도장된 피도장패널을 별도의 건조실로 옮겨 건조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제작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도장패널의 엣지면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연마함에 따라 평활하게 연마되지 못하는 등 불량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작업자가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폭이 좁은 엣지면에 도장을 하게 되므로, 엣지면에 분사되는 도료의 사용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환경 문제가 대두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796274호(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의 선행 기술이 제안된 바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에 수작업으로 피도장패널의 엣지면을 연마, 도료도포, 건조 작업에서 벗어나 자동화함으로써, 작업 환경 개선 및 제작 원가를 낮추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자동화에 따라 일괄적인 생산함에 있어서, 엣지면의 다양한 색상 및 무늬에 대한 표현과 굴곡 모양의 엣지면에 도장처리 및 중밀도 가공 목재로 제작된 피도장패널의 엣지면에 도장처리는 자동화 생산이 매우 어려워 현재가지도 종래 수작업으로 도장하는 등 제작 원가 상승이 불가피 했으며, 또한, 구매자의 기호성 및 취향에 따른 구매욕구를 충족할 만한 가구용패널을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6274호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등록일자 2008년01월14일)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도장패널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엣지면에 연마, 도료도포 및 건조를 연속적으로 자동생산되는 가구용패널 엣지면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엣지면에 1차도장가공 후 각종 색상 및 무늬가 포함된 열전사지를 엣지면에 부착시키고, 2차도장가공을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도장가공에 따른 작업 환경 개선 및 제작 원가를 줄여 제작비용을 낮추며, 상기 열전사지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 및 무늬의 엣지면을 갖는 패널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기호성이 상승되어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실크스크린 방식의 도장법을 도입함으로써, 엣지면의 모양 및 형상에 상관없이 도장할 수 있으며, 파티클보드, 집성 목재 등의 저밀도 가공 목재의 엣지면에 도료를 주입하여 평탄화하는 도료주입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목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엣지면을 도장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패널이송수단(30)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20)의 입구 측에 피도장패널(10)을 투입하여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을 따라 이송되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에지면 연마수단(40), 도료도포수단(50), 건조수단(60), 미세 연마수단(45), 모서리 연마수단(62)을 통해 순차적으로 에지면 연마가공(S210), 에지면 모서리 연마가공(S220), 에지면 도료 도포가공(S230), 에지면 건조가공(S240), 에지면 도료 1차 연마가공(S250), 에지면 도료 2차 미세연마가공(S260), 에지면 모서리 도료연마가공(S27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제1도장단계(S200)와;
상기 제1도장단계(S2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분진을 제거(S310)하고, 전사지부착수단(70)을 통해 엣지면(12)에 다양한 색상 또는 무늬가 형성된 열전사지(71)를 부착(S320)하며, 스크래퍼(41)를 통해 엣지면(12)의 모서리에 잔류하는 스트립을 제거(S33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전사단계(S300)와;
상기 전사단계(S3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도료도포수단(50)을 통해 투명색의 도료를 엣지면(12)에 도포(S410)하고, 건조수단(60)을 통해 엣지면(12)에 도포 된 도료를 건조(S42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제2도장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방법을 제공한다.
또,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것으로, 후방 측 양단에는 서로 평행하도록 한 쌍의 지지포스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포스트의 단부에는 수평프레임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다수의 지지롤러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직 상부에 컨베이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로 이루어진 패널이송수단;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작업대에 설치되며, 상기 패널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피도장패널의 엣지면에 대해 연속적으로 연마수단, 도료도포수단 및 건조수단, 미세 연마수단, 모서리 연마수단을 포함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의 후단에는 상기 피도장패널의 엣지면에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표현할 수 있도록 열전사지를 전사하는 전사지부착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도장단계 전 도료주입수단을 통해 피도장패널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엣지면에 도료를 주입하는 도료주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전사단계 후 도료도포수단, 건조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도료도포, 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제2도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엣지면에 1차도장가공 후 각종 색상 및 무늬가 포함된 열전사지를 엣지면에 부착시키고, 2차도장가공을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도장가공에 따른 제작 원가를 줄여 제작비용을 낮추며, 상기 열전사지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 및 무늬의 엣지면을 갖는 패널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기호성이 상승되어 구매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크스크린 방식의 도장법을 도입함으로써, 엣지면의 모양 및 형상에 상관없이 도장할 수 있으며, 파티클보드, 집성 목재 등의 저밀도 가공 목재의 엣지면에 도료를 주입하여 평탄화하는 도료주입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목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엣지면을 도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의 제1실시예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의 제1실시예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사지 부착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구성에 따른 엣지 도장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의 제2실시예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2실시예에 따른 도료도포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2실시예에 따른 도료도포수단의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구성에 따른 엣지 도장방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의 제3실시예 평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3실시예에 따른 도료주입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3실시예에 따른 도료주입수단의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구성에 따른 엣지 도장방법의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패널이송수단(30)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20)의 입구 측에 피도장패널(10)을 투입하여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을 따라 이송되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에지면 연마수단(40), 도료도포수단(50), 건조수단(60), 미세 연마수단(45), 모서리 연마수단(62)을 통해 순차적으로 에지면 연마가공(S210), 에지면 모서리 연마가공(S220), 에지면 도료 도포가공(S230), 에지면 건조가공(S240), 에지면 도료 1차 연마가공(S250), 에지면 도료 2차 미세연마가공(S260), 에지면 모서리 도료연마가공(S27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제1도장단계(S200)와;
상기 제1도장단계(S2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분진을 제거(S310)하고, 전사지부착수단(70)을 통해 엣지면(12)에 다양한 색상 또는 무늬가 형성된 열전사지(71)를 부착(S320)하며, 스크래퍼(41)를 통해 엣지면(12)의 모서리에 잔류하는 스트립을 제거(S33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전사단계(S300)와;
상기 전사단계(S3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도료도포수단(50)을 통해 투명색의 도료를 엣지면(12)에 도포(S410)하고, 건조수단(60)을 통해 엣지면(12)에 도포 된 도료를 건조(S42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제2도장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도장단계(S200) 및 제2도장단계(S400)에서 도료도포수단(50)을 실크스크린방식의 구성을 적용하여 엣지면(12)의 형상에 따라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S225, S41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도장단계(S200) 전 도료주입수단(90)을 통해 피도장패널(10)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엣지면(12)에 도료를 주입하는 도료주입단계(S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의 제조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것으로, 후방 측 양단에는 서로 평행하도록 한 쌍의 지지포스트(2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포스트(21)의 단부에는 수평프레임(22)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22)에는 다수의 지지롤러(23)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20); 상기 베이스프레임(20)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31)와, 상기 컨베이어(31)의 직 상부에 컨베이어(3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32)로 이루어진 패널이송수단(30);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작업대(24)에 설치되며,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을 통해 이송되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대해 연속적으로 에지면 연마수단(40), 도료도포수단(50) 및 건조수단(60), 미세 연마수단(45), 모서리 연마수단(62)을 포함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60)의 후단에는 상기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표현할 수 있도록 열전사지(71)를 전사하는 전사지부착수단(70)과, 상기 전사지부착수단(70)에 의해 부착된 엣지면(12)의 모서리부분에 열전사지(71)를 커팅하는 스크레퍼장치(8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도료도포수단(50)은 도장롤러(51)를 따라 무한 궤도 형태로 구비되어 도료를 엣지면(12)에 도포하는 실크스크린(52); 상기 엣지면(12)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실크스크린(52)의 도료가 엣지면(12)에 도포 되도록 실크스크린(52)을 밀착하는 스크린밀착구(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의 입구 측에는 'ㄷ' 자 단면형상의 일정한 길이를 갖으며, 상기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을 수용하는 수용홈(9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91)의 타측 중앙에 연결되는 도료공급관(92)을 통해 수용홈(91) 측으로 도료가 토출되는 도료토출공(93)이 형성되며, 상기 도료토출공(93)의 선단에는 선택적으로 도료가 토출되도록 체크밸브(94)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91)을 따라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면서 엣지면(12)에 도료를 주입하는 도료주입수단(90)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의 제1실시예 평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의 제1실시예 정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사지 부착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구성에 따른 엣지 도장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의 제2실시예 평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2실시예에 따른 도료도포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2실시예에 따른 도료도포수단의 실시예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구성에 따른 엣지 도장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의 제3실시예 평면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3실시예에 따른 도료주입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3실시예에 따른 도료주입수단의 실시예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구성에 따른 엣지 도장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것으로, 후방 측 양단에는 서로 평행하도록 한 쌍의 지지포스트(2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포스트(21)의 단부에는 수평프레임(22)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22)에는 다수의 지지롤러(23)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2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0)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31)와, 상기 컨베이어(31)의 직 상부에 컨베이어(3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32)로 이루어진 패널이송수단(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수평프레임(22)은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이송되는 피도장패널(10)에 도장 되는 부분인 엣지면(12)의 반대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평프레임(22)은 피도장패널(10)의 크기에 따라 베이스프레임(20)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며, 자동화 시설에 따라 극히 일부분이 변경되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구성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작업대(24)에 설치되며,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의 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의 도입부 일 측에는 무한궤도로 운동하는 샌드페이퍼에 의해 엣지면(12)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는 연마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연마수단(40)의 후단에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료도포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도료주입수단(90)의 후단에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도포 된 도료를 건조하는 건조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패널이송수단(30)의 도입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연마수단(40), 도료주입수단(90), 건조수단(60)이 작업대(24)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도장패널(10)이 이송함에 따라 엣지면(12)을 순차적으로 연마, 도료도포,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건조수단(60)의 후단에는 도료가 도포된 에지면을 1차 연마가공하고, 상기 1차 연마가공된 에지면을 입도가 더 작은 샌드페이퍼를 사용해 에지면을 2차 미세연마가공하는 미세 연마수단(4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미세 연마수단(45)의 후단에는 엣지면(12)의 상하 모서리에 필요 이상으로 덧칠된 도료를 설정된 라운드 또는 모따기 값에 맞도록 연마하는 모서리 연마수단(62)이 구비된다.
상기 모서리 연마수단(62)의 후단에는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이송되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표현할 수 있는 열전사지(71)를 부착할 수 있는 전사지부착수단(70)이 구비된다.
상기 전사지부착수단(70)은 열전사지(71)가 권취되는 두 개의 권취롤(72)이 구비되며, 상기 권취롤(72) 사이로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이송되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가압 및 가열하는 가압롤러(73)와 전사지 구김 방지 강판을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 연마수단(62)과 전사지부착수단(70)의 사이에는 연마수단에 의해 도료가 분진가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롤 형태로 형성된 면사 브러시가, 상기 엣지면(12)의 도포층에 잔류하는 먼지를 털어 줌으로써, 후단에 구비된 전사지부착수단(70)의 열전사지(71)가 엣지면(12)에 접착이 잘 되도록 엣지면(12)의 표면을 매끄럽게 정리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면사 브러시의 굵기에 따리 2 ~ 3단계 별로 구성하여 엣지면(12)에 잔류하는 분진을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전사지부착수단(70)의 후단에는 2차로 도료주입수단(90)과 건조수단(60)을 순차적으로 더 설치하여, 상기 엣지면(12)에 전사 부착된 열전사지(71)가 벗겨지지 않도록 투명색의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엣지면(12) 가공을 마무리한다.
더불어, 상기 전사지부착수단(70)과 도료주입수단(90) 사이에 스크래퍼(41)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엣지면(12)의 상하 모서리에 잔류하는 열전사지(71)를 다듬는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에 대하여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을 도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패널이송수단(30)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20)의 입구 측에 피도장패널(10)을 투입하여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을 따라 이송되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에지면 연마수단(40), 도료도포수단(50), 건조수단(60), 미세 연마수단(45), 모서리 연마수단(62)을 통해 순차적으로 에지면 연마가공(S210), 에지면 모서리 연마가공(S220), 에지면 도료 도포가공(S230), 에지면 건조가공(S240), 에지면 도료 1차 연마가공(S250), 에지면 도료 2차 미세연마가공(S260), 에지면 모서리 도료연마가공(S270)하는 과정으로 제1도장단계(S200)를 이룬다.
상기 제1도장단계(S2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분진을 제거(S310)하고, 전사지부착수단(70)을 통해 엣지면(12)에 다양한 색상 또는 무늬가 형성된 열전사지(71)를 부착(S320)하며, 스크래퍼(41)를 통해 엣지면(12)의 모서리에 잔류하는 스트립을 제거(S330)하는 과정으로 전사단계(S300)를 이룬다.
상기 전사단계(S3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도료도포수단(50)을 통해 투명색의 도료를 엣지면(12)에 도포(S410)하고, 건조수단(60)을 통해 엣지면(12)에 도포 된 도료를 건조(S42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제2도장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2>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상기 도료주입수단(90)은 도장롤러(51)를 따라 무한 궤도 형태로 구비되어 도료를 엣지면(12)에 도포하는 실크스크린(52)과; 상기 엣지면(12)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실크스크린(52)의 도료가 엣지면(12)에 도포 되도록 실크스크린(52)을 밀착하는 스크린밀착구(5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밀착구(53)는 유압 또는 공압 방식의 피스톤(53a)과;
상기 피스톤(53a)의 작동에 따라 인출되어 왕복작동되는 로드(53b)와;
상기 로드(53b)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크스크린(52)을 엣지면(12)에 밀착하는 밀착구(5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장롤러(51)에 감겨지는 실크스크린(52) 위에 도료분사기(54)를 통해 도료를 분사한 후 타측에 구비된 도료컷터(55)를 통해 일정두께의 도료가 실크스크린(52)에 면착되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실크스크린(52)에 도료가 포함된 롤이 접촉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밀착구(53c)는 엣지면(12)에 대응되는 접촉부를 갖는 고무재질의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엣지면(12)에 대응되는 둘레면을 갖는 롤러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크스크린(52)은 도료의 성분과 성질에 따라 100 ~ 500 mach의 집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료주입수단(90)이 설치되는 두 곳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실시예1의 도료주입수단(90)과 병행하여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료도포수단(50)을 적용한 엣지 도장방법을 설명한다.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패널이송수단(30)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20)의 입구 측에 피도장패널(10)을 투입하여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을 따라 이송되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에지면 연마수단(40), 실크스크린 방식의 도료도포수단(50), 건조수단(60), 미세 연마수단(45), 모서리 연마수단(62)을 통해 순차적으로 에지면 연마가공(S210), 에지면 모서리 연마가공(S220), 엣지면(12)의 형상에 대응되는 실크스크린 방식의 도료도포가공(S235), 에지면 건조가공(S240), 에지면 도료 1차 연마가공(S250), 에지면 도료 2차 미세연마가공(S260), 에지면 모서리 도료연마가공(S270)하는 과정으로 제1도장단계(S200)를 이룬다.
상기 제1도장단계(S2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분진을 제거(S310)하고, 전사지부착수단(70)을 통해 엣지면(12)에 다양한 색상 또는 무늬가 형성된 열전사지(71)를 부착(S320)하며, 스크래퍼(41)를 통해 엣지면(12)의 모서리에 잔류하는 스트립을 제거(S330)하는 과정으로 전사단계(S300)를 이룬다.
상기 전사단계(S3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도료도포수단(50)을 통해 투명색의 도료를 엣지면(12)의 형상에 대응되는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도료를 도포(S415)하고, 건조수단(60)을 통해 엣지면(12)에 도포 된 도료를 건조(S42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제2도장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3>
도 9 내지 도 11에 시도된 바와 같이, 파티클보드나 집성 목재로 이루어진 피도장패널(10)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의 입구 측에 'ㄷ' 자 단면형상의 일정한 길이를 갖으며, 상기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을 수용하는 수용홈(9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91)의 타측 중앙에 연결되는 도료공급관(92)을 통해 수용홈(91) 측으로 도료가 토출되는 도료토출공(93)이 형성되며, 상기 도료토출공(93)의 선단에는 선택적으로 도료가 토출되도록 체크밸브(94)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91)을 따라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면서 엣지면(12)에 도료를 주입하는 도료주입수단(9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도료주입수단(90)의 수용홈(91)에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면, 상기 피도장패널(10)이 체크밸브(94)를 가압하여 도료가 도료토출공(93)을 통해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크밸브(94)는 일반적으로 스프링(94a)과 볼스위치(94b)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홈(91)에는 도료토출공(93)을 중심으로 상하로 주입홈(95)이 형성되어 상기 도료주입과정에서 도료가 엣지면(12)의 전체면적에 고르게 도포하며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료주입수단(90)은 파티클보드나 집성 목재로 이루어진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도료를 주입함으로써, 피도장패널(10)로 사용되는 가공목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도장가공이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료주입수단(90)을 적용한 엣지 도장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패널이송수단(30)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20)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파티클보드 또는 집성 목재로 이루어진 피도장패널(10)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도료주입수단(90)을 통해 엣지면(12)에 방수기능이 포함되도록 사전에 배합된 도료를 주입하여 눈 메움 하는 도료주입단계(S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도료주입수단(90)을 통과한 피도장패널(10)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을 따라 이송되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에지면 연마수단(40), 도료도포수단(50), 건조수단(60), 미세 연마수단(45), 모서리 연마수단(62)을 통해 순차적으로 에지면 연마가공(S210), 에지면 모서리 연마가공(S220), 에지면 도료 도포가공(S230), 에지면 건조가공(S240), 에지면 도료 1차 연마가공(S250), 에지면 도료 2차 미세연마가공(S260), 에지면 모서리 도료연마가공(S270)하는 과정으로 제1도장단계(S200)를 이룬다.
상기 제1도장단계(S2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분진을 제거(S310)하고, 전사지부착수단(70)을 통해 엣지면(12)에 다양한 색상 또는 무늬가 형성된 열전사지(71)를 부착(S320)하며, 스크래퍼(41)를 통해 엣지면(12)의 모서리에 잔류하는 스트립을 제거(S330)하는 과정으로 전사단계(S300)를 이룬다.
상기 전사단계(S3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도료도포수단(50)을 통해 투명색의 도료를 엣지면(12)에 도포(S410)하고, 건조수단(60)을 통해 엣지면(12)에 도포 된 도료를 건조(S42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제2도장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포함하여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도장가공에 따른 제작 원가를 줄여 제작비용을 낮추며, 열전사지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 및 무늬의 엣지면을 갖는 패널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기호성이 상승되어 구매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엣지면의 모양 및 형상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도장할 수 있으며, 저밀도 가공 목재의 엣지면 또한 자동으로 도장할 수 있다.
10: 피도장패널 12: 엣지면
20: 베이스프레임 21: 지지포스트
22: 수평프레임 23: 지지롤러
24: 작업대 30: 패널이송수단
31: 컨베이어 32: 이송롤러
40: 연마수단 41: 스크래퍼
45: 미세연마수단 50: 도료도포수단
51: 도장롤러 52: 실크스크린
53: 스크린밀착구 60: 건조수단
62: 모서리 연마수단 70: 전사지부착수단
71: 열전사지 90: 도료주입수단
91: 수용홈 92: 도료공급관
93: 도료토출공 94: 체크밸브

Claims (7)

  1.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패널이송수단(30)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20)의 입구 측에 피도장패널(10)을 투입하여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을 따라 이송되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에지면 연마수단(40), 도료도포수단(50), 건조수단(60), 미세 연마수단(45), 모서리 연마수단(62)을 통해 순차적으로 에지면 연마가공(S210), 에지면 모서리 연마가공(S220), 에지면 도료 도포가공(S230), 에지면 건조가공(S240), 에지면 도료 1차 연마가공(S250), 에지면 도료 2차 미세연마가공(S260), 에지면 모서리 도료연마가공(S27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제1도장단계(S200)와;
    상기 제1도장단계(S2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분진을 제거(S310)하고, 전사지부착수단(70)을 통해 엣지면(12)에 다양한 색상 또는 무늬가 형성된 열전사지(71)를 부착(S320)하며, 스크래퍼(41)를 통해 엣지면(12)의 모서리에 잔류하는 스트립을 제거(S33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전사단계(S300)와;
    상기 전사단계(S300) 후 상기 패널이송수단(30)에 의해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는 중에 도료도포수단(50)을 통해 투명색의 도료를 엣지면(12)에 도포(S410)하고, 건조수단(60)을 통해 엣지면(12)에 도포 된 도료를 건조(S42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제2도장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장단계(S200) 및 제2도장단계(S400)에서 도료도포수단(50)을 실크스크린방식의 구성을 적용하여 엣지면(12)의 형상에 따라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S225, S4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장단계(S200) 전 도료주입수단(90)을 통해 피도장패널(10)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엣지면(12)에 도료를 주입하는 도료주입단계(S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방법.
  4.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것으로, 후방 측 양단에는 서로 평행하도록 한 쌍의 지지포스트(2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포스트(21)의 단부에는 수평프레임(22)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22)에는 다수의 지지롤러(23)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20); 상기 베이스프레임(20)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31)와, 상기 컨베이어(31)의 직 상부에 컨베이어(3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32)로 이루어진 패널이송수단(30);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작업대(24)에 설치되며,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을 통해 이송되는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대해 연속적으로 연마수단(40), 도료도포수단(50) 및 건조수단(60), 미세 연마수단(45), 모서리 연마수단(62)을 포함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60)의 후단에는 상기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에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표현할 수 있도록 열전사지(71)를 전사하는 전사지부착수단(7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도포수단(50)은 도장롤러(51)를 따라 무한 궤도 형태로 구비되어 도료를 엣지면(12)에 도포하는 실크스크린(52);
    상기 엣지면(12)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실크스크린(52)의 도료가 엣지면(12)에 도포 되도록 실크스크린(52)을 밀착하는 스크린밀착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송수단(30)의 입구 측에는 'ㄷ' 자 단면형상의 일정한 길이를 갖으며, 상기 피도장패널(10)의 엣지면(12)을 수용하는 수용홈(9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91)의 타측 중앙에 연결되는 도료공급관(92)을 통해 수용홈(91) 측으로 도료가 토출되는 도료토출공(93)이 형성되며, 상기 도료토출공(93)의 선단에는 선택적으로 도료가 토출되도록 체크밸브(94)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91)을 따라 피도장패널(10)이 이송되면서 엣지면(12)에 도료를 주입하는 도료주입수단(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91)에는 도료주입과정 중 도료가 엣지면(12)의 전체면적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상기 도료토출공(93)을 중심으로 상하로 주입홈(95)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KR1020170067546A 2017-05-31 2017-05-31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 KR20180133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546A KR20180133959A (ko) 2017-05-31 2017-05-31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546A KR20180133959A (ko) 2017-05-31 2017-05-31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959A true KR20180133959A (ko) 2018-12-18

Family

ID=6495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546A KR20180133959A (ko) 2017-05-31 2017-05-31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3245A1 (it) * 2020-02-18 2021-08-18 Omac Srl Macchina per la colorazione di manufatt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3245A1 (it) * 2020-02-18 2021-08-18 Omac Srl Macchina per la colorazione di manufatt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60326A1 (en) Tile edge systems and methods
CN109604128A (zh) 一种家具油漆涂装工艺
RU267839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ированных плит на основе древес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изготовленная из плиты на основе древесного материала панель, прежде всего половая панель, а также применение изготовленной этим способом плиты на основе древес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469085Y1 (ko) 판넬용 벨트구동식 도막연마장치
KR20180133959A (ko) 가구용 패널의 엣지 도장장치 및 그 도장방법
KR101297217B1 (ko) 목재패널 도색장치
KR101495864B1 (ko) 다중도색 및 에나멜코팅이 가능한 가죽 원단 도색 설비 및 방법
CN107774488A (zh) 一种具有烘干功能的高效木门喷漆设备
KR101322667B1 (ko) 각재목 도색장치
KR100932067B1 (ko) 판재 상에 롤러를 이용한 입체무늬의 도장공법 및 이에 의해 입체 무늬가 도장된 판재
CN202162115U (zh) 一种木地板涂装设备
JP2844439B2 (ja) バレル研磨機を用いた漆器の加飾方法
KR101495858B1 (ko) 롤페이퍼 도색 기재를 이용한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CN212888084U (zh) 一种胶合板快速涂胶装置
KR101758062B1 (ko) 전사 보드판넬 제조장치
KR100791357B1 (ko) 표면도장방법
KR101495861B1 (ko)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KR101866856B1 (ko) Mdf 합판의 시트 합지시스템
KR20160033974A (ko) 패널용 도장장치
CN218365463U (zh) 一种石材加工的高质量涂布机构
KR102163781B1 (ko) 가구 제조 방법
KR20190107991A (ko) 내외장재 보드판넬용 전후 각면 및 양측면 각면까지 전사가능한 판넬 제조장치
WO2021109273A1 (zh) 一种石料处理装置
KR101734778B1 (ko) 표면에 요철형상을 가지는 판재의 절단면 마감 처리방법
KR200343205Y1 (ko) 프린팅 패널의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