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092A -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092A
KR20180133092A KR1020170069598A KR20170069598A KR20180133092A KR 20180133092 A KR20180133092 A KR 20180133092A KR 1020170069598 A KR1020170069598 A KR 1020170069598A KR 20170069598 A KR20170069598 A KR 20170069598A KR 20180133092 A KR20180133092 A KR 20180133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heet portion
sheet
excre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916B1 (ko
Inventor
박준상
박영진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주)크레이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이더스 filed Critical (주)크레이더스
Priority to KR102017006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916B1/ko
Priority to PCT/KR2018/006212 priority patent/WO2018225977A1/ko
Priority to CN201880037541.8A priority patent/CN110709039A/zh
Priority to EP18813083.5A priority patent/EP3636234A4/en
Priority to JP2020517269A priority patent/JP2020524063A/ja
Priority to US16/619,783 priority patent/US20200163805A1/en
Priority to SG11201911739WA priority patent/SG11201911739WA/en
Publication of KR2018013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23Partitioning bat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64Transferring, feeding or handling devices;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6Wetness-indicators or colou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6Moisture sensitive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는 배설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배설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비닐 재질의 제1 시트부; 상기 사용자에 대면되는 상기 제1 시트부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배설물이 통과되는 제2 시트부; 상기 제1 시트부와 상기 제2 시트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전기가 소통되는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출된 배설물을 받아내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는 고령자나 신체 장애자 등이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실금용 팬츠 등이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은, 어느 것이나 착용자의 생활 습관이나 간호 레벨에 따라 구별되어 쓰여지고 있다.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는, 고령자나 신체 장애자 등과 같이 자력으로의 배설 행위가 곤란한 사람에 대해 그 배설물을 누설하지 않고 유지 흡수함으로써, 배설 등을 위한 보조구로서 또는 간호용 위생품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소변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고 관리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6464호에는 남성의 주요 부위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고 있으나, 소변을 관리하는 방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6464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제공하는 동시에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흡수 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는 배설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배설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비닐 재질의 제1 시트부; 상기 사용자에 대면되는 상기 제1 시트부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배설물이 통과되는 제2 시트부; 상기 제1 시트부와 상기 제2 시트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전기가 소통되는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은 사용자의 배설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비닐 재질의 제1 시트부의 일면에 전기가 소통되는 패턴부를 연속해서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프린팅 단계; 상기 패턴부가 프린팅되거나 코팅된 상기 제1 시트부의 일면에 상기 배설물이 통과되는 제2 시트부를 연속되게 접합시키는 접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에 해당하는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설물을 받아내는 흡수 용품은 일회성을 가지므로, 비용적인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고성능 센서를 흡수 용품에 추가한다고 하더라도 비용적인 문제로 인해 현실적으로 사용되기 어렵다. 왜냐하면, 센서의 추가로 인해 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또한, 흡수 용품 생산 공정과 별도로 센서 설치 공정, 센서와 감지 단말기를 연결하는 연결 단자 설치 공정 등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대량 생산과 고속 생산에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흡수 용품의 고속 대량 생산이 용이하므로, 패턴부가 포함된 흡수 용품의 구입 가격을 현실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흡수 용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절단면 및 B-B'의 절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제1 시트부에 패턴부를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제1 시트부와 제2 시트부를 접합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제1 시트부와 제2 시트부가 접합된 접합물의 절단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은 제1 시트부(110), 제2 시트부(120), 흡수부(150), 제3 시트부(130), 패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부(110)는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는 배설 영역에 배치되고, 배설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배설물은 대변, 소변, 땀, 생리물, 눈물, 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배설물을 받기 위해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은 대소변을 받는 기저귀 또는 패드, 사용자 신체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고 땀을 받는 패치, 생리물을 받는 생리대, 눈물을 받는 안대, 침 등을 받는 마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부(110)는 사용자의 신체를 기준으로 흡수 용품의 반대면을 형성하는 요소로, 사용자로부터 받아낸 배설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비닐, 필름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부(110)는 사용자의 착용 위치 등을 고려하여 일부 형상이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많은 배설물을 받아내기 위해 판 형상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제2 시트부(120)는 사용자에 대면되는 제1 시트부(110)의 일면에 적층되고, 배설물이 통과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부(150)는 사용자에 대면되는 제2 시트부(120)의 일면에 적층되고, 배설물이 흡수되는 솜, SAP(Super Absorbtion Polymer), 티슈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솜 등의 흡수는 비닐 재질의 제1 시트부(110)에 미끄러지기 쉽다. 이때의 미끄러짐으로 인해 흡수부(150)를 구성하는 솜 입자, SAP 입자, 티슈 입자가 위치 변동되어 배설 영역의 어느 한쪽은 흡수부(150)가 텅 비고 다른 쪽은 흡수부(150)가 몰리는 기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흡수부(150) 입자의 위치 변동을 막기 위해 비닐 재질의 제1 시트부(110)에 용이하게 접합되는 제2 시트부(120)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솜에 접촉되는 상기 제2 시트부(120)는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솜의 위치 변동을 제한하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시트부(130)는 사용자에 대면되는 흡수부(150)의 일면에 적층되고, 배설물이 통과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시트부(130)는 제1 시트부(110) 또는 제2 시트부(120)에 대해 흡수부(150)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3 시트부(130)는 흡수부(150)를 구성하는 솜 입자, SAP 입자, 티슈 입자가 사용자의 신체에 묻거나, 흡수부(150)에 기흡수된 배설물이 사용자의 신체에 되묻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흡수부(150) 및 패턴부(200)는 배설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시트부(110), 제2 시트부(120), 흡수부(150), 제3 시트부(130)는 배설 영역을 커버하는 크기로 보다 크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비용 절감을 위해 흡수부(150)는 배설 영역의 크기에 맞춰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흡수부(150)는 제1 시트부(110), 제2 시트부(120), 제3 시트부(13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흡수부(150)의 크기가 작다면, 제3 시트부(130)의 가장자리를 제2 시트부(120)의 가장자리에 용이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시트부(110), 제2 시트부(120), 흡수부(150), 제3 시트부(130)가 순서대로 적층된 흡수 용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시트부(120), 제3 시트부(130)가 배설물이 통과되는 재질을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배설 영역에 배설한 배설물은 사용자에 대면되는 제1 시트부(110)의 일면으로부터 제3 시트부(130)까지 존재할 수 있다.
패턴부(200)는 배설 영역으로 배설된 배설물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설물이 존재할 수 있는 제1 시트부(110)로부터 제3 시트 까지의 구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턴부(200)는 높은 배설물 감지 성능을 유지하면서 원가 절감을 위해 제1 시트부(110)와 제2 시트부(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패턴부(200)는 전기가 소통되는 두 가닥의 라인에 해당하는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200)는 사용자에 대면되는 제1 시트부(110)의 일면에 프린팅 또는 코팅된 전도성 잉크(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잉크(10)는 전기가 소통되는 카본 등의 금속 산화물을 등을 포함하는 물질들과 전도성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카본계, 폴리머계, 금속 산화물, PEDOT 등의 전도성 물질), 카본계, 폴리머계, 금속 산화물, PEDOT 등의 전도성 물질을 묽게 만드는 용제, 전도성 폴리머의 용매에 해당하는 물 및 아세틸을 포함할 수 있다.
PEDOT는 poly(3,4-ethylenedioxythiophene)이다.
고분자를 크게 나누면 성능성 고분자와 기능성 고분자로 나눌 수 있다. 성능성 고분자는 고분자의 성질에 유래하는 것으로 기계적 성질 또는 열적 성질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이다. 기능성 고분자란 고분자에 존재하는 작용기에 따라 특수한 성질이 발현되거나, 기능성 물질을 폴리머에 블렌딩함으로써 기능성이 발현되는 고분자이다.
전도성 고분자의 용도를 보면 전도성 성형재료 및 전도성 필름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IC의 운반용, 투명 전극용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 분야는 폴리머에 전도성 부여제를 블렌드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폴리머는 폴리아세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잉크(10)는 초기에 액체 또는 분말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액체 또는 분말 상태의 전도성 잉크(10)가 연속적으로 연장되기 위해서는 미세 구멍이 없는 매끈한 면에 프린팅 또는 코팅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의 제1 시트부(110)는 배설물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 구멍이 없는 비닐 또는 필름 등과 같이 매끈한 면을 가지므로, 전도성 잉크(10)의 프린팅 대상 또는 코팅 대상으로 매우 적절할 수 있다. 배설물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미세 구멍이 없는 매끈한 면만 가진다면, 제1 시트부(110)의 일면에는 엠모싱 등의 양각 문양이 일부 포함되어도 무방하다.
제1 시트부(110)의 일면에 전도성 잉크(10)를 고속으로 프린팅 또는 코팅하더라도, 전도성 잉크(10)는 연속적으로 프린팅 또는 코팅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제1 시트부(110)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부(200)에 배설물이 접촉되도록, 패턴부(200)를 덮는 제2 시트부(120)는 배설물이 통과하는 미세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흡수 용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절단면 및 B-B'의 절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흡수 용품은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채워지고 대소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각 구성은 생리대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흡수 용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기저귀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테이프 파스너(190)가 설치될 수 있다. 테이프 파스너(190)의 테이프는 기저귀의 타측 가장자리에 붙을 수 있다.
기저귀의 가운데 양 사이드에는 상측으로 기립되게 형성된 한 쌍의 누설 방지용 커프스(17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제1 시트부(110)의 일면에 프린팅되거나 코팅된 패턴부(200)가 제1 시트부(110)의 타면측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제1 시트부(110)는 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부(110)의 타면측에서 패턴부(200)의 존재 유무, 패턴부(200)의 위치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1 시트부(110)의 타면측에서 패턴부(200)가 확인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패턴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감지 단말기를 손쉽게 정렬시키고 흡수 용품에 착탈시킬 수 있다.
기저귀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기 위해, 실제의 배설 영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생산성 및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흡수부(150)는 배설 영역에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배설 영역이 포함된 기저귀의 가운데 부위는 제1 시트부(110), 패턴부(200), 제2 시트부(120), 흡수부(150), 제3 시트부(130)가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패턴부(200)는 두꺼운 흡수부(150)에 의해 가려지므로, 사용자에 대면되는 제1 시트부(110)의 일면측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배설 영역이 비포함된 기저귀의 가장자리 부위는 제1 시트부(110), 패턴부(200), 제2 시트부(120), 제3 시트부(130)가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2 시트부(120) 및 제3 시트부(130)는 배설물이 통과하는 미세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 구멍을 통해 사용자에 대면되는 제1 시트부(110)의 일면측에서 사용자는 패턴부(20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패턴부(200)는 제1 시트부(110)의 길이 방향 상으로 제1 시트부(110)의 일측 끝에서부터 제1 시트부(110)의 타측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시트부(110)와 제2 시트부(120)는 동일한 규격을 갖고 서로 합지될 수 있다. 제2 시트부(120)는 패턴부(200)를 사이에 두고 제1 시트부(110)와 대면될 수 있다. 이때, 패턴부(200)의 말단은 제1 시트부(110)의 말단 및 제2 시트부(120)의 말단과 일치할 수 있다.
패턴부(200)가 서로 이격된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을 포함할 때, 제1 패턴(210)의 말단 및 제2 패턴(220)의 말단은 서로 일치되며, 제1 시트부(110)의 말단 및 제2 시트부(120)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패턴부(200)의 양단부는 흡수부(150)로부터 도피되어 제1 시트부(110)의 일면측에서 확인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시트부(120) 또는 제3 시트부(130)의 미세 구멍을 통해 제1 시트부(110)의 일면측에 노출된 패턴부(200)는 감지 수단의 전극이 쉽게 파고들어 접촉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흡수 용품에서 제1 시트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패턴부(200), 패턴부(200)의 양단부를 가리지 않게 제1 시트부(110)의 가운데에만 형성된 흡수부(150), 배설물이 통과하는 미세 구멍이 형성된 제2 시트부(120) 또는 제3 시트부(130)에 따르면, 흡수부(150)로부터 도피된 패턴부(200)의 전 구간이 감지 수단의 전극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가 될 수 있다.
이때, 감지 수단의 전극이 미세 구멍을 갖는 제2 시트부(120) 또는 제3 시트부(130)를 관통할 수 있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면, 별도의 연결 단자를 흡수 용품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별도의 연결 단자의 재료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연결 단자가 배제되면, 별도의 연결 단자를 패턴부(200)에 설치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배제되므로, 흡수 용품의 대량 고속 생산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패턴부(200)가 마련된 흡수 용품의 원가가 현실화될 수 있다.
배설물에 의해 패턴부(200)의 등가 저항이 달라지도록, 패턴부(200)는 배설 영역을 관통하며 서로 이격된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 단말기의 제1 전극이 제1 패턴(210)의 제1 지점 ①에 접촉되고, 감지 단말기의 제2 전극이 제2 패턴(220)의 제2 지점 ②에 접촉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감지 단말기는 제1 지점 ① 및 제2 지점 ②를 기준으로 패턴부(200)의 등가 저항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은 서로 이격된 상태이므로, 등가 저항값이 매우 높은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의 배설물이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 사이를 메우게 되면, 배설물의 일부 전도성으로 인해 패턴부(200)의 등가 저항값이 낮아질 수 있다.
이때, 감지 단말기는 패턴부(200)의 등가 저항값이 설정값 이하로 작아지면, 배설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패턴부(200)의 등가 저항은 배설물의 면적이 커질수록 줄어들게 되며, 감지 단말기는 패턴부(200)의 등가 저항값을 이용해 배설물의 면적을 파악할 수 있다.
만약, 감지 단말기가 흡수 용품의 단위 면적당 흡수율을 알고 있다면, 감지 단말기는 파악된 배설물의 면적과 단위 면적당 흡수율을 이용해서 배설량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은 평행한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의 사이에 미세하게 존재하는 배설물은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에 동시에 접촉되지 못하므로 등가 저항값의 변화가 설정값을 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 단말기는 배설물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각 패턴 사이에 존재하는 미세한 배설물을 감지하고 배설물 감지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제1 패턴(210)에는 제2 패턴(220)을 향해 돌출된 제1 날개(21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날개(211)와 유사하게 제2 패턴(220)에는 제1 패턴(210)을 향해 돌출된 제2 날개(22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시트부(110)에 패턴부(200)를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시트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패턴부(200)의 다른 효과로, 제1 시트부(110), 제2 시트부(120), 패턴부(200) 자체의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 역시 고속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소일 수 있다.
일 예로, 고속 대량 생산을 위해 제1 시트부(110)는 동그랗게 말린 롤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흡수 용품의 제조 과정에서 제1 시트부(110)가 말린 제1 롤 a가 회전하면서 제1 시트부(110)가 풀릴 수 있다.
이때, 패턴부(200)는 제1 시트부(110)가 풀리는 방향을 따라 제1 시트부(110) 상에 연속적으로 프린팅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일 예로, 그라비어(Gravure) 인쇄를 통해 제1 시트부(110)에 패턴부(200)를 프린팅 또는 코팅할 수 있다.
액체 또는 분말 상태의 전도성 잉크(10)가 수용된 잉크통(330), 외주면이 잉크통(330)을 통과하면서 회전하고 외주면에 패턴부(200)의 음각 형상이 형성된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에 대면 배치되는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에 대면되는 위치에 외주면에 묻은 전도성 잉크(10)의 두께를 조절하는 닥터 블레이드(340)(doctor blade), 제1 시트부(110)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압동 롤러(35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롤 a로부터 풀린 제1 시트부(110)는 각 윤전기의 사이로 입력되고, 각 윤전기의 사이에서 전도성 잉크(10)로 프린팅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제1 시트부(110)의 일면에 프린팅 또는 코팅된 전도성 잉크(10)는 패턴부(200)를 형성하며 자연 건조되거나 건조기(360)를 통해 건조될 수 있다. 전도성 잉크(10)가 건조된 제1 시트부(110)는 패턴부(200)를 갖는 제1 시트부(110)가 되며, 패턴부(200)를 갖는 제1 시트부(110)는 다시 롤 상태로 말릴 수 있다. 이때, 패턴부(200)를 갖는 제1 시트부(110)가 말린 롤을 패턴 롤 b로 지칭한다.
이상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제1 롤 a를 형성하는 제1 시트부(110) 전체 구간에 대해 패턴부(200)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 a를 형성하는 제1 시트부(110) 전체를 하나의 흡수 용품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해서 실사용자에 적용 가능한 복수의 제1 시트부(110)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각 제1 시트부(110)의 길이는 배설물의 종류, 적용 연령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시트부(110)를 고려할 필요없이 패턴부(20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충분하므로,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반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시트부(110)에 맞춰 패턴부(200)를 간헐적으로 인쇄할 경우, 제1 시트부(110)의 규격에 따라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생산성 저하가 예상된다.
도 5는 제1 시트부(110)와 제2 시트부(120)를 접합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 시트부(120)는 제2 롤 c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시트부(120)가 밀린 제2 롤 c가 회전하면서 제2 시트부(120)가 풀릴 때, 패턴부(200)가 프린팅 또는 코팅된 제1 시트부(110)는 제2 시트부(120)가 풀리는 방향을 따라 제2 시트부(120)에 연속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시트부(110)와 제2 시트부(120) 간의 접합은 열융착, 고주파 융착, 접착제를 통한 접착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시트부(110)와 제2 시트부(120)가 접합되면, 제1 시트부(110)의 일면에 프린팅 또는 코팅된 패턴부(200)는 제1 시트부(110)와 제2 시트부(120)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시트부(110)와 제2 시트부(120)를 접합시키는 접합 롤러(370, 380)에는 도 4의 건조기(360)를 거친 제1 시트부(110)가 곧바로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접합 롤러(370, 380)는 도 4의 건조기(360)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접합 롤러(370, 380)에는 패턴 롤 b 상태로 말린 제1 시트부(110)가 풀리면서 입력될 수 있다. 도 5에는 후자의 경우를 나타내었다. 이 경우, 접합 롤러(370, 380)는 도 4의 각 윤전기 또는 건조기(360)에 대해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제1 시트부(110)와 제2 시트부(120)가 접합된 접합물의 절단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접합 롤러(370, 380)에 의해 서로 접합된 제1 시트부(110)와 제2 시트부(120)는 배설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제1 시트부(110)와 제2 시트부(120)가 접합된 접합물 z는 롤 상태로 말려서 절단기(390)까지 운송되거나, 접합 롤러(370, 380)로부터 출력된 후 하류에 위치하는 절단기(390)로 곧바로 입력될 수 있다.
절단기(390)의 절단을 통해, 제1 시트부(110)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 패턴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절단기(390)에 의해 절단된 복수의 접합물 z는 흡수부(150), 제3 시트부(130)의 추가 적층 공정을 통해 도 2의 기저귀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의 공정들을 살펴보면, 제1 시트부(110)에 패턴부(200)를 프린팅 또는 코팅하고, 제2 시트부(120)를 접합시키고,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이 필요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고속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일반 흡수 용품과 비교할 때, 제1 시트부(110)에 패턴부(200)를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공정 시간만큼 전체 공정 시간이 증가하기는 하지만, 일단 하나의 흡수 용품이 완성된 시점부터는 일반 흡수 용품과 동일한 속도로 흡수 용품을 제조할 수 있다. 그 결과, 생산 설비 및 생산 속도로 인한 비용 절감이 일반 흡수 용품의 생산에 수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은 프린팅 단계, 접합 단계, 흡수부(150) 적층 단계, 커버 적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프린팅 단계는 사용자의 배설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제1 시트부(110)의 일면에 전기가 소통되는 패턴부(200)를 연속해서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린팅 단계는 상기 제1 시트부(110)가 감긴 제1 롤 a를 마련하고, 제1 롤 a를 회전시키면서 제1 시트부(110)를 푸는 단계는 포함할 수 있다. 프린팅 단계는 제1 롤 A로부터 풀린 제1 시트부(110)의 이동 경로 상에 마련된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320)와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를 이용해서 패턴부(200)를 제1 시트부(110)에 연속적으로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팅 단계는 제1 시트부(110)에 프린팅 또는 코팅된 패턴부(200)를 건조시키며, 건조된 패턴부(200)를 갖는 제1 시트부(110)를 감아서 패턴 롤 b를 형성할 수 있다.
프린팅 단계는 사용자의 배설물에 의해 패턴부(200)의 등가 저항이 달라지도록,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는 배설 영역을 관통하는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을 서로 이격시켜 제1 시트부(110)에 프린팅 또는 코팅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접합 단계는 패턴부(200)가 프린팅되거나 코팅된 제1 시트부(110)의 일면에 배설물이 통과되는 제2 시트부(120)를 연속되게 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접합 단계는 제2 시트부(120)가 감긴 제2 롤 c를 마련하고, 제2 롤 c를 회전시키면서 제2 시트부(120)를 풀 수 있다. 접합 단계는 제2 롤 c로부터 풀린 제2 시트부(120)를 패턴부(200)가 프린팅 또는 코팅된 제1 시트부(110)와 함께 접합 롤러(370, 380)로 진입시키고, 접합 롤러(370, 380)를 이용해서 제1 시트부(110)와 상기 제2 시트부(120)를 접합시킬 수 있다.
흡수부(150) 적층 단계는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는 배설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부(150)를 제2 시트부(120) 상에 적층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적층 단계는 흡수부(150) 상에 배설물이 통과되는 제3 시트부(130)를 적층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접합 단계의 완료 후, 흡수부(150) 적층 단계의 완료 후, 커버 적층 단계의 완료 후 중 적어도 하나에 도 6의 절단기(390)를 이용한 절단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절단 단계는 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제1 시트부(110), 패턴부(200), 제2 시트부(120)의 접합물 z를 설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전도성 잉크 110...제1 시트부
120...제2 시트부 130...제3 시트부
150...흡수부 170...커프스
190...파스너 200...패턴부
210...제1 패턴 211...제1 날개
220...제2 패턴 221...제2 날개
310...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 320...평판 그라비어 윤전기
330...잉크통 340...닥터 블레이드
350...압동 롤러 360...건조기
370, 380...접합 롤러 390...절단기

Claims (17)

  1.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는 배설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배설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제1 시트부;
    상기 사용자에 대면되는 상기 제1 시트부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배설물이 통과되는 제2 시트부;
    상기 제1 시트부와 상기 제2 시트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전기가 소통되는 패턴부;
    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면되는 상기 제2 시트부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배설물이 흡수되는 흡수부;
    상기 사용자에 대면되는 상기 흡수부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배설물이 통과되는 제3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부는 상기 배설 영역에 형성된 흡수 용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솜을 포함하고,
    상기 솜에 접촉되는 상기 제2 시트부는 상기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상기 솜의 위치 변동을 제한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면되는 상기 제1 시트부의 일면에 프린팅 또는 코팅된 전도성 잉크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잉크는 카본계와 전도성 폴리머와 금속 산화물과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물질, 용제, 물 및 아세틸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부가 말린 제1 롤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시트부가 풀릴 때,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1 시트부가 풀리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시트부 상에 연속적으로 프린팅되거나 코팅되고,
    상기 제2 시트부가 말린 제2 롤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2 시트부가 풀릴 때,
    상기 패턴부가 프린팅 또는 코팅된 상기 제1 시트부는 상기 제2 시트부가 풀리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시트부에 연속적으로 접합되며,
    서로 접합된 상기 제1 시트부와 상기 제2 시트부는 상기 배설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절단되는 흡수 용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1 시트부의 길이 방향 상으로 상기 제1 시트부의 일측 끝에서부터 상기 제1 시트부의 타측 끝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흡수 용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부와 상기 제2 시트부는 동일한 규격으로 서로 합지되고,
    상기 제2 시트부는 상기 패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시트부와 대면되며,
    상기 패턴부의 말단은 상기 제1 시트부의 말단 및 상기 제2 시트부의 말단과 일치되는 흡수 용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서로 이격된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의 말단 및 상기 제2 패턴의 말단은 서로 일치되며, 상기 제1 시트부의 말단 및 상기 제2 시트부의 말단에 위치하는 흡수 용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에 의해 상기 패턴부의 등가 저항이 달라지도록,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배설 영역을 관통하며 서로 이격된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배설 영역을 관통하며 서로 이격된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에는 상기 제2 패턴을 향해 돌출된 제1 날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2 패턴에는 상기 제1 패턴을 향해 돌출된 제2 날개가 마련된 흡수 용품.
  12. 사용자의 배설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제1 시트부의 일면에 전기가 소통되는 패턴부를 연속해서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프린팅 단계;
    상기 패턴부가 프린팅 또는 코팅된 상기 제1 시트부의 일면에 상기 배설물이 통과되는 제2 시트부를 연속되게 접합시키는 접합 단계;
    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는 배설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부를 상기 제2 시트부 상에 적층시키는 흡수부 적층 단계;
    상기 흡수부 상에 상기 배설물이 통과되는 제3 시트부를 적층시키는 커버 적층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상기 제1 시트부, 상기 패턴부, 상기 제2 시트부의 접합물을 설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에 의해 상기 패턴부의 등가 저항이 달라지도록,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는 배설 영역을 관통하는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서로 이격시켜 상기 제1 시트부에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단계는,
    상기 제1 시트부가 감긴 제1 롤을 마련하고,
    상기 제1 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 시트부를 풀며,
    상기 제1 롤러부터 풀린 상기 제1 시트부의 이동 경로 상에 마련된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와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를 이용해서 상기 패턴부를 상기 제1 시트부에 연속적으로 프린팅 또는 코팅하고,
    상기 제1 시트부에 프린팅 또는 코팅된 상기 패턴부를 건조시키며,
    건조된 상기 패턴부를 갖는 상기 제1 시트부를 감아서 패턴 롤을 형성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단계는,
    상기 제2 시트부가 감긴 제2 롤을 마련하고,
    상기 제2 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2 시트부를 풀며,
    상기 제2 롤러부터 풀린 상기 제2 시트부를 상기 패턴부가 프린팅 또는 코팅된 상기 제1 시트부와 함께 접합 롤러로 진입시키고,
    상기 접합 롤러를 이용해서 상기 제1 시트부와 상기 제2 시트부를 접합시키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KR1020170069598A 2017-06-05 2017-06-05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 KR102121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98A KR102121916B1 (ko) 2017-06-05 2017-06-05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
PCT/KR2018/006212 WO2018225977A1 (ko) 2017-06-05 2018-05-31 흡수 용품 제조 방법
CN201880037541.8A CN110709039A (zh) 2017-06-05 2018-05-31 吸收用品的制造方法
EP18813083.5A EP3636234A4 (en) 2017-06-05 2018-05-31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PTION PRODUCT
JP2020517269A JP2020524063A (ja) 2017-06-05 2018-05-31 吸収用品の製造方法
US16/619,783 US20200163805A1 (en) 2017-06-05 2018-05-31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ption product
SG11201911739WA SG11201911739WA (en) 2017-06-05 2018-05-31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ption 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98A KR102121916B1 (ko) 2017-06-05 2017-06-05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92A true KR20180133092A (ko) 2018-12-13
KR102121916B1 KR102121916B1 (ko) 2020-06-11

Family

ID=6467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598A KR102121916B1 (ko) 2017-06-05 2017-06-05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956A (ko) * 2019-11-08 2021-05-18 나노캠텍주식회사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7128U (ko) * 1988-11-09 1990-05-21
US5266928A (en) * 1992-05-29 1993-11-30 Johnson Lonnie G Wet diaper detector
JP2002515975A (ja) * 1996-05-07 2002-05-28 ノツクス セキユリテイ エンジニア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ヨン オムツ等用の湿り検出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を有するオムツ
JP2007205428A (ja) * 2006-01-31 2007-08-16 Sumitomo Metal Ind Ltd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ディスク
JP2008520399A (ja) * 2004-11-23 2008-06-19 ピレス,エッチ.,ジョージ 衛生的発信器付きの賢い使い捨ておむつ
JP2008261443A (ja) * 2007-04-13 2008-10-30 Akebono Brake Ind Co Ltd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ディスク付車輪
JP2011502614A (ja) * 2007-11-13 2011-01-27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吸収性物品用の誘導コイル濡れセンサ
KR20110088174A (ko) * 2010-01-28 2011-08-03 (주)아이티헬스 다수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는 대소변 감지 센서
KR20110107330A (ko) * 2008-12-31 2011-09-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용품용 원격 탐지 시스템
JP2012507338A (ja) * 2008-11-03 2012-03-29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シャーシ構造を有しているパンツ型用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該方法に従って製造されたパンツ型用品
KR101246464B1 (ko) 2006-09-27 2013-03-2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7128U (ko) * 1988-11-09 1990-05-21
US5266928A (en) * 1992-05-29 1993-11-30 Johnson Lonnie G Wet diaper detector
JP2002515975A (ja) * 1996-05-07 2002-05-28 ノツクス セキユリテイ エンジニア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ヨン オムツ等用の湿り検出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を有するオムツ
JP2008520399A (ja) * 2004-11-23 2008-06-19 ピレス,エッチ.,ジョージ 衛生的発信器付きの賢い使い捨ておむつ
JP2007205428A (ja) * 2006-01-31 2007-08-16 Sumitomo Metal Ind Ltd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ディスク
KR101246464B1 (ko) 2006-09-27 2013-03-2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JP2008261443A (ja) * 2007-04-13 2008-10-30 Akebono Brake Ind Co Ltd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ディスク付車輪
JP2011502614A (ja) * 2007-11-13 2011-01-27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吸収性物品用の誘導コイル濡れセンサ
JP2012507338A (ja) * 2008-11-03 2012-03-29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シャーシ構造を有しているパンツ型用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該方法に従って製造されたパンツ型用品
KR20110107330A (ko) * 2008-12-31 2011-09-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용품용 원격 탐지 시스템
KR20110088174A (ko) * 2010-01-28 2011-08-03 (주)아이티헬스 다수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는 대소변 감지 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956A (ko) * 2019-11-08 2021-05-18 나노캠텍주식회사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916B1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4386B (zh) A diaper with a sensing func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pad, the replacement sheet and the absorbent pad
JP6710091B2 (ja) センサー付き着用物品
EP3638179A1 (en) Smart absorbent article and components
CN102325513B (zh) 内裤型吸收性物品
MX2015006704A (es) Sistema de deteccion de liquido que tiene un dispositivo de señalizacion y un articulo absorbente con graficos.
JP6232216B2 (ja) 吸収性物品
CN105455954A (zh) 吸收性物品的伸缩结构的形成方法和吸收性物品的伸缩结构
KR102303488B1 (ko) 흡수성 물품의 신축 구조, 그 신축 구조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의 신축 구조의 형성 방법
CN211741148U (zh) 一种排泄物传感器
US2024000062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aper with moisture sensors
TW201813604A (zh) 拋棄式穿著用物品的伸縮結構及其形成方法
WO2021088761A1 (zh) 一次性吸收用品吸收状态监测传感器及相关制品与方法
EP3143975B1 (en) Smart nursing consumable, rollable sensor modul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713286A (zh) 吸收性物品、及其製造方法
US20220287888A1 (en) Double-sided directional weighted and quantified wet state sensor and related products and methods
JP2011255116A (ja) 吸収性物品
KR20180133092A (ko)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
JP2019187741A (ja) センサー付き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024567A1 (zh) 一种基于感应膜及内置式口袋的智能吸收用品及相关装置
US2019024008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aper with moisture sensors
CN204839961U (zh) 一种尿湿探头及应用该尿湿探头的纸尿裤
KR20110127725A (ko)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EP3993691B1 (en) Substrate,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wetness monitoring
KR102121923B1 (ko) 흡수 용품 제조 방법 및 패턴 롤
US2020016380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ption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