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956A -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956A
KR20210055956A KR1020190142384A KR20190142384A KR20210055956A KR 20210055956 A KR20210055956 A KR 20210055956A KR 1020190142384 A KR1020190142384 A KR 1020190142384A KR 20190142384 A KR20190142384 A KR 20190142384A KR 20210055956 A KR20210055956 A KR 20210055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substrate
conductive
absorbent article
co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1676B1 (ko
Inventor
김종휘
고유석
정직교
이의철
Original Assignee
나노캠텍주식회사
(주)크레이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캠텍주식회사, (주)크레이더스 filed Critical 나노캠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6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3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e.g. by ni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배설 감지를 위한 전도성 패턴의 전기적 특성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과 이를 사용하여 흡수 용품 내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ELECONDUCTIVE COATING COMPOSITION FOR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배설 감지를 위한 전도성 패턴의 전기적 특성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과 이를 사용하여 흡수 용품 내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는 고령자나 신체 장애자 등이 사용하는 흡수 용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실금용 팬츠 등이 있다. 이들 흡수 용품은 어느 것이나 착용자의 생활 습관이나 간호 레벨에 따라 구별되어 쓰여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는, 고령자나 신체 장애자 등과 같이 자력으로의 배설 행위가 곤란한 사람에 대해 그 배설물을 누설하지 않고 유지 흡수함으로써, 배설 등을 위한 보조구로서 또는 간호용 위생품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소변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고 관리하는 수단 및 해당 수단을 제조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46464호에는 남성의 주요 부위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고 있으나, 소변을 관리하는 수단, 해당 수단을 제조하는 방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46464호
상술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배설 감지를 위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은 전기 전도성을 기반으로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변화되는 전기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배설을 감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이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요인뿐만 아니라 이외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상기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의 저항값이 상승하는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의 변화가 생길 경우, 부정확한 감지 결과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요인뿐만 아니라 이외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상기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흡수 용품 내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상기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의 전기적 특성 변화가 최소화됨에 따라 높은 정확성 및 신뢰성을 가진 배설 감지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 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가교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면에 따르면,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흡수 용품 내 전도성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는 기재와 상기 전도성 패턴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요인뿐만 아니라 이외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상기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설물의 통과가 적어도 일부 제한되는 기재의 일 표면에 배설물의 감지가 가능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도성 패턴을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흡수 용품 내 전도성 패턴을 형성할 경우, 일반적으로 소수성의 표면을 가지는 흡수 용품용 기재의 표면에 대한 전도성 패턴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요인뿐만 아니라 이외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상기 기재로부터 전도성 패턴이 분리됨에 따라 부정확한 감지 결과가 초래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할 경우, 기재의 소수성 표면의 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처리(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등) 없이도 기재에 대한 전도성 패턴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조 공정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요인뿐만 아니라 이외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배설 감지를 위한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전기적 특성 변화가 최소화됨에 따라 높은 정확성 및 신뢰성을 가진 배설 감지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흡수 용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이 수행되는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이 수행되는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상기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흡수 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설물의 통과가 적어도 일부 제한되는 기재의 일 표면에 배설물의 감지가 가능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도성 패턴을 전도성 코팅 조성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흡수 용품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흡수하기 위한 용품으로서, 사용자의 배설물이란 대변, 소변, 땀, 생리혈, 눈물 또는 침 등일 수 있다. 상기 배설물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 용품은 대소변을 흡수하기 위한 기저귀 또는 패드, 신체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땀을 흡수하는 패치, 생리혈을 흡수하는 생리대, 눈물을 흡수하는 안대 또는 침 등을 흡수하는 마스크와 같이 다양한 사용 양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 용품은 사람용뿐만 아니라 반려 동물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흡수 용품에 사용되는 기재의 일 표면에는 대변, 소변, 땀, 생리혈, 눈물 또는 침 등과 같은 배설물의 감지가 가능한 전도성 패턴이 형성됨에 따라, 배설물 흡수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배설물의 흡수 여부를 자동(예를 들어, 전산 시스템)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흡수 용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정의 두께(t1)를 가지는 상기 기재(110)의 일 표면에는 소정의 높이(t2)를 가지는 엠보 패턴(11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엠보 패턴(111)은 소정의 간격(t3)을 두고 매치될 수 있다.
이 때, 서로 인접한 엠보 패턴(111) 사이의 간격(t3)를 나타내는 엠보 패턴(111)은 50 메쉬 이상 내지 300 메쉬 미만의 간격을 두고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엠보 패턴의 높이(t2)는 상기 기재의 두께(t1) 대비 0.10 내지 0.6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110)의 일 표면에 형성된 상기 엠보 패턴(111)은 상기 전도성 패턴(200)에 대한 상기 기재(110)의 접촉 면적을 넓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기재(110)의 일 표면에 대한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의 함침량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전도성 패턴(200)에 의한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엠보 패턴(111)의 간격이 50 메쉬 미만이거나 상기 엠보 패턴(111)의 높이(t2)가 상기 기재(110)의 두께(t1) 대비 0.10 미만일 경우, 상기 전도성 패턴(200)에 대한 상기 기재(110)의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며,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의 함침량을 증가시키기에 제한이 따름으로써,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저항값이 높아져 전기 전도성이 불충분할 우려가 있다.
반면에, 상기 엠보 패턴(111)의 간격이 300 메쉬 이상이거나 상기 엠보 패턴(111)의 높이(t2)가 상기 기재(110)의 두께(t1) 대비 0.66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의 함침량이 과도하게 많아짐에 따라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건조시켜 상기 전도성 패턴(200)을 형성하는데 요구되는 건조 시간이 불가피하게 연장되며, 이 경우 열에 의한 상기 기재의 수축이 발생되어 흡수 용품의 불량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수 용품의 제조 방법은 (a) 배설물의 통과가 적어도 일부 제한되는 기재가 감긴 소스 롤로부터 상기 기재를 푸는 단계, (b) 상기 소스 롤로부터 풀린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배설물의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전도성 코팅 조성물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재를 감아 권취 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 용품에 사용되는 기재는 일반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설물의 통과가 적어도 일부 제한되는 비닐 또는 필름(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필름) 등과 같은 소재로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통기성 필름 또는 비통기성 필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 필름은 소위 다이아퍼(diaper) 필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퍼 필름은 폴리에틸렌 70 내지 90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5 내지 30 중량부, 알켄(부텐, 헥센 및/또는 옥텐) 1 내지 30 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수득한 공중합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흡수 용품의 제조 방법은 흡수 용품의 연속적인 제조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롤-투-롤(roll-to-roll) 시스템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재는 소스 롤에 소정의 길이만큼 감긴 상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연속적으로 풀리는 기재는 상기 단계 (b)가 수행되는 전도성 패턴부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패턴부는 상기 소스 롤과 상기 권취 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풀린 기재의 일 표면에 대하여 상기 단계 (b)를 수행하기 전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코로나 방전 처리는 상기 소스 롤과 상기 전도성 패턴부 사이에 마련된 방전 처리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일 표면은 상기 방전 처리부에 의해 수행되는 코로나 방전 처리에 의해 표면 개질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로나 방전 처리에 의해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일 표면의 표면 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개질된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대한 전도성 코팅 조성물의 코팅성이 향상됨에 따라 상기 기재에 대한 상기 전도성 패턴의 부착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단계 (b)는 선택적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된 기재의 일 표면의 소정의 영역에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전도성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전도성 패턴은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구획된 영역에 특정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배설물이 상기 전도성 패턴에 접촉할 경우 전기적 신호(예를 들어, 전류값, 저항값 등)의 변화를 야기하며, 이를 통해 배설물의 흡수 여부가 자동(예를 들어, 전산 시스템)으로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소스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풀리고 있는 상태의 상기 기재는 상기 전도성 패턴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상기 전도성 패턴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상기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은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가교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은 전기 전도성을 기반으로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변화되는 전기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배설을 감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이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요인뿐만 아니라 이외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상기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의 저항값이 상승하는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의 변화가 생길 경우, 부정확한 감지 결과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 특히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에 포함된 전도성 고분자는 흡수 용품 내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요인뿐만 아니라 이외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상기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전도성 고분자로서 사용되는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하여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소재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소수성의 표면을 가지는 기재는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기 전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여도 이러한 전처리에 의한 상기 기재의 일 표면의 표면 장력(친수성)의 증가 효과는 일시적이기 때문에, 전도성 패턴 형성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전처리 효과가 감소하여 상기 흡수 용품의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전도성 패턴의 전기 전도성 및/또는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전도성 소재로서 사용할 경우,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 자체의 화학적 특성에 의해 상기 기재 표면의 화학적 특성과 무관하게 상기 기재의 표면에 대한 상기 전도성 패턴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코팅된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는 여전히 표면 카테콜 작용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전도성 소재와의 부착 특성을 통해 보다 견고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 상기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이외 전도성 소재로서 투명 전도성 산화물, 탄소질 전도성 소재, 전도성 고분자(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제외) 및 금속성 소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투명 전도성 산화물로는 ITO (Indium Tin Oxide), ICO (Indium Cerium Oxide), IWO (Indium Tungsten Oxide), ZITO (Zinc Indium Tin Oxide), ZIO (Zinc Indium Oxide), ZTO (Zinc Tin Oxide), GITO (Gallium Indium Tin Oxide), GIO (Gallium Indium Oxide), GZO (Gallium Zinc Oxide), AZO(Aluminum doped Zinc Oxide), FTO (Fluorine Tin Oxide) 또는 ZnO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탄소질 전도성 소재로는 그래핀 또는 카본나노튜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성 소재로는 금속(metal) 나노 와이어, Au/Ag/Cu/Mg/Mo/Ti와 같은 다층 구조의 금속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로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싸이오펜, 폴리-[비스(4-페닐)(2,4,6-트리메틸페닐)아민](PTAA), 스파이로-미오타드(Spiro-MeOTAD) 또는 폴리아닐린-캄포설폰산(PANI-CS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에 개질 가능한 카테콜아민계 화합물로는 폴리도파민(polydopamine), 폴리에피네프린(polyepinephrine), 폴리노르에피네트린(polynorepinephrine) 및 키토산-카테콜(chitosan-catechol)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에 의한 전도성 패턴 형성을 위해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의 pH는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코팅 조성물의 pH 조정을 위해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에는 methyldiethanolamine, buthyldiehanolamine, dimethylaminoethanol, diehtylethanolamine 등과 같은 pH 조정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의 코팅성 및 부착성 향상를 위해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바인더,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가교 결합제, 용매(알코올 20 중량% 내지 50 중량%, 증류수 2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습윤제 0.01 중량% 내지 0.2 중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 결합제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 화합물, 카르보디라이트(carbodilite)계 화합물, 아지리딘계(aziridine)계 화합물 및 멜라민계(melamine)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 결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은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및 가소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조성의 전도성 코팅 조성물은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주요 전도성 소재로서 사용함으로써 흡수 용품 내 전도성 패턴을 형성할 경우,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요인뿐만 아니라 이외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상기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의 전기적 특성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패턴의 부착성 저하로 인해 상기 기재로부터 상기 전도성 패턴이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전도성 패턴은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마련된 상기 엠보 패턴 사이의 이격 공간 및/또는 상기 엠보 패턴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 기재 내 일부 함침됨으로써 형성된 상기 전도성 패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재 내 함침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재에 대하여 상기 전도성 패턴이 더욱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단계 (c)를 참조하면, 일 표면에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로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재는 연속적으로 상기 권취 롤에 의해 권취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재를 상기 권취 롤에 감기 전 후처리를 통해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기재에 대한 상기 전도성 패턴의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전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코팅한 후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0초 이내 건조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이 코팅되는 상기 기재는 고온에 취약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열처리할 경우, 열수축에 의해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온도 범위에서 건조된 상기 기재는 적어도 45℃,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후 상기 권취 롤에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재를 충분히 냉각시키지 않은 상태로 상기 권취 롤에 권취할 경우, 상기 권취 롤에 의해 상기 기재가 권취될 때의 압력에 의해 상기 기재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전도성 패턴이 맞닿는 상기 기재의 타 면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전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한 전도성 패턴에 대하여 레이저 조사를 통해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전기 전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배설에 의한 수분, 염분, 분비물 및 배설물 등과 같은 요인뿐만 아니라 이외 다양한 사용 환경 하에서 상기 배설 감지용 전도성 패턴의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배설물이 존재하더라도 이에 대한 민감한 감지가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성 패턴에 대한 레이저 조사를 통해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전기 전도성을 한층 증가시켜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전기 전도성 유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에 대한 레이저 조사량은 전도성 패턴의 두께, 레이저 파장 및 레이저 조사 시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이 수행되는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이 수행되는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흡수 용품의 제조 장치는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는 기재(110)가 반복적으로 감긴 상태로 존재하는 소스 롤(a), 상기 소스 롤(a)로부터 연속적으로 풀려나온 상기 기재(110)에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는 전도성 패턴부(310),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에 의해 전도성 패턴(200)이 형성된 상기 기재(110)를 건조하는 건조부(360) 및 건조된 상기 기재(110)를 연속적으로 권취하는 권취 롤(b)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기재(110)의 일 표면에 배설물의 감지가 가능한 전도성 패턴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의 상류(upstream)에는 상기 기재(110)에 대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수행하는 방전 처리부(38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전 처리부(380)에 의해 수행되는 코로나 방전 처리에 의해 표면 개질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로나 방전 처리에 의해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기재(110)의 일 표면의 표면 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개질된 상기 기재(100)의 일 표면에 대한 전도성 코팅 조성물의 코팅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기재(110)에 대한 상기 전도성 패턴의 부착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스 롤(a)에 감긴 상태로 공급되는 기재(110)는 소스 롤(a)로부터 연속적으로 풀려나와 선택적으로 방전 처리부(380)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는 원통 형상의 그라비어 윤전기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의 하단에는 전도성 코팅 조성물(10)이 수용된 제1 저장 탱크(3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의 외주면에 상기 제1 저장 탱크(330)에 수용된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10)이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재(110)의 일 표면에 형성될 전도성 패턴(200)에 대응하는 트렌치(319)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10)은 상기 트렌치(319)에 선택적으로 함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10)이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의 외주면에 마련된 상기 트렌치(319)에 선택적으로 함침될 수 있도록,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의 외주면에 맞닿는 블레이드(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의 외주면은 상기 블레이드(340)에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트렌치(319) 이외의 영역에 묻은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10)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트렌치(319)에만 상기 전도성 코팅 조성물(10)이 선택적으로 함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와 대치되는 영역에 서브 그라비어 윤전기(3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110)는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와 상기 서브 그라비어 윤전기(320)를 연속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일 표면에 전도성 패턴(200)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일 표면에 전도성 패턴(200)이 형성된 상기 기재(110)는 복수의 롤러의 구동에 의해 상기 권취 롤(b)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으로,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와 상기 권취 롤(b)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압동 롤러 또는 익스펜더 롤러(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동 롤러 또는 익스펜더 롤러(350)는 상기 전도성 패턴(200)이 형성된 기재(110)를 신장시켜 이송 과정에서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의 하류(downstream)에는 상기 전도성 패턴(200)이 형성된 기재(110)의 일 표면에 표시선(300)을 형성하기 위한 표시부(410, 4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시선(300)은 배설물이 묻으면 변색됨으로써 육안으로 배설 감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표지로서, 상기 전도성 패턴(200)과 함께 상기 흡수 용품에 의한 배설 감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10, 420)는 원통 형상의 그라비어 윤전기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표시부(410)의 하단에는 표시선을 형성하기 위한 변색 잉크 조성물(20)이 수용된 제2 저장 탱크(4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표시부(4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410)의 외주면에 상기 제2 저장 탱크(430)에 수용된 상기 변색 잉크 조성물(20)이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표시부(4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재(110)의 일 표면에 형성될 표시선(300)에 대응하는 트렌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변색 잉크 조성물(20)은 상기 트렌치에 선택적으로 함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변색 잉크 조성물(10)이 상기 제1 표시부(410)의 외주면에 마련된 상기 트렌치에 선택적으로 함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표시부(410)의 외주면에 맞닿는 블레이드(4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410)의 외주면은 상기 블레이드(440)에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트렌치 이외의 영역에 묻은 상기 변색 잉크 조성물(20)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트렌치에만 상기 변색 잉크 조성물(20)이 선택적으로 함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부(410)와 대치되는 영역에 제2 표시부(4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110)는 상기 제1 표시부(410)와 상기 제2 표시부(420)를 연속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일 표면에 표시선(300)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기재(110)의 일 표면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200)의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전도성 패턴부(310)의 하류(downstream) 및 상기 건조부(360)의 상류(upstream)에는 레이저 조사부(3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370)는 상기 전도성 패턴에 대한 선택적인 레이저 조사를 수행하며, 상기 레이저 조사부(370)에 의한 레이저 조사량은 전도성 패턴의 두께, 레이저 파장 및 레이저 조사 시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도성 패턴(200)에 대한 레이저 조사량이 과도하게 높아질 경우, 오히려 전기 전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선택적으로, 레이저 조사 후 건조된 상기 기재(110)의 일 표면에는 전도성 패턴(200)과 표시선(3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권취 롤(b)에 의해 연속적으로 권취 되기 전 슬리팅부(390)에 의해 일정 길이만큼 제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전도성 코팅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Dopamine hydrochloride (2 mg/ml)를 10mM Tris-HCl (pH 8.5)에 용해시킨 후, 1.5wt% PEDOT:PSS 수용액과 혼합하여 polydopamine으로 개질된 PEDOT:PSS 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때, PEDOT:PSS (pH 2)로 인한 산성을 염기화시키기 위해 DMEOA (2-Dimethylaminoethanol)을 첨가하여, pH 8.5인 상태를 유지시켰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 용액 60 중량%에 아크릴-우레탄 공중합 바인더 6중량%, 습윤 웨팅제 0.05 중량%, 올레핀계 표면 슬립 조절 첨가제 0.3 중량%, 증류수 8 중량%, 이소프로필알코올 25.65 중량%을 혼합한 후 5분 동안 6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이어서, 카트리지 필터(폴리프로필렌 100%, 공극 1 μm)를 사용하여 상기 혼합 용액을 2 kg/cm2 차압으로 여과하였다.
비교예
실시예와 달리 Pristine PEDOT:PSS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별도의 pH 조정제를 사용하여 pH를 조정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 조성의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전도성 패턴의 내구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각각 45 μm 두께의 다이아퍼(DIAPER) 필름의 표면에 1 cm 너비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한 후 85℃에서 10초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한 직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도성 패턴에 대한 저항을 multi-meter (Fluke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다이아퍼(DIAPER) 필름을 각각 생리식염수(0.9% NaCl)에 5시간 및 10시간 침지한 후 꺼내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도성 패턴에 대한 저항을 multi-meter (Fluke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표 1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한 직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도성 패턴에 대하여 측정된 저항값을 나타내며, 하기의 표 2는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다이아퍼(DIAPER) 필름을 각각 생리식염수(0.9% NaCl)에 5시간 침지한 후 꺼내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도성 패턴에 대하여 측정된 저항값을 나타내며, 하기의 표 3은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다이아퍼(DIAPER) 필름을 각각 생리식염수(0.9% NaCl)에 10시간 침지한 후 꺼내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도성 패턴에 대하여 측정된 저항값을 나타낸다.
구분 저항값(kΩ)
비교예 실시예
5 cm 간격 35~50 45~55
10 cm 간격 80~95 100~110
15 cm 간격 120~140 140~170
20 cm 간격 160~180 180~220
구분 저항값(kΩ)
비교예 실시예
5 cm 간격 175~250 67~83
10 cm 간격 400~475 150~165
15 cm 간격 600~700 210~255
20 cm 간격 800~900 270~330
구분 저항값(kΩ)
비교예 실시예
5 cm 간격 595 ~ 850 90 ~110
10 cm 간격 1360 ~1615 200 ~ 220
15 cm 간격 2040 ~ 2380 280 ~ 340
20 cm 간격 2720 ~ 3060 360 ~ 440
상기 표 1 내지 표 3의 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전도성 패턴을 형성한 직후 측정된 저항값은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비교예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전도성 패턴의 경우, 생리식염수에 침지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도성 패턴의 저항이 증가하여 전기 전도성이 저하되는 한편,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전도성 패턴의 경우, 비교예 대비 상대적으로 전기 전도성의 저하가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재 표면에 형성된 엠보 패턴의 간격에 따른 특성 평가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서로 상이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엠보 패턴을 가지는 다이아퍼(DIAPER) 필름의 표면에 1 cm 너비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한 후 85℃에서 건조시켰다.
서로 상이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엠보 패턴을 가지는 다이아퍼(DIAPER) 필름에 각각 전도성 패턴을 형성한 후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건조 직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도성 패턴에 대한 저항을 multi-meter (Fluke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건조 직후 다이아퍼(DIAPER) 필름의 너비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건조시 가해진 열에 의한 수축 여부를 확인하였다. 건조 전후 다이아퍼(DIAPER) 필름의 너비 변화량이 5% 이상인 경우, 열 수축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엠보 간격 30 100 130 160 300
10 cm 간격
(kΩ)
270 ~ 330 100~125 80~95 65~80 50~60
20 cm 간격
(kΩ)
370 ~ 450 205~235 160~180 130~150 100~120
85℃
건조 시간
3초 6초 8초 10초 20초
열 수축 불량 수축 없음
(양호)
수축 없음
(양호)
수축 없음
(양호)
수축 없음
(양호)
수축 발생
(불량)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고하면, 상기 다이아퍼(DIAPER) 필름에 형성된 엠보 패턴의 간격이 300 메쉬 이상인 경우, 전도성 패턴의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림에 따라 건조시 가해진 열에 의한 수축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이아퍼(DIAPER) 필름에 형성된 엠보 패턴의 간격이 50 메쉬 미만인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을 가져 전도성 패턴의 전기 전도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재 엠보 패턴의 높이에 따른 특성 평가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서로 상이한 높이의 엠보 패턴을 가지는 다이아퍼(DIAPER) 필름의 표면에 1 cm 너비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한 후 85℃에서 건조시켰다.
서로 상이한 높이의 엠보 패턴을 가지는 다이아퍼(DIAPER) 필름에 각각 전도성 패턴을 형성한 후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건조 직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도성 패턴에 대한 저항을 multi-meter (Fluke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건조 직후 다이아퍼(DIAPER) 필름의 너비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건조시 가해진 열에 의한 수축 여부를 확인하였다. 건조 전후 다이아퍼(DIAPER) 필름의 너비 변화량이 5% 이상인 경우, 열 수축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메쉬 크기 130 130 130 130
엠보 패턴 높이 0 10~15 μm 20~25 μm 30~35 μm
엠보 패턴 높이/
기재 두께
0 0.22~0.33 0.44~0.56 0.67~0.78
10 cm 간격(kΩ) 160~190 80~95 64~76 48~57
20 cm 간격(kΩ) 320~360 160~180 128~144 96~108
85℃ 건조 시간 4초 8초 11초 20초
열 수축 불량 수축 없음
(양호)
수축 없음
(양호)
수축 없음
(양호)
수축 발생
(불량)
상기 표 5의 결과를 참고하면, 상기 다이아퍼(DIAPER) 필름에 형성된 엠보 패턴의 높이가 다이아퍼(DIAPER) 필름의 두께 대비 0.66을 초과한 경우, 전도성 코팅 조성물의 함침량이 과도하게 많아져 전도성 패턴의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에 따라 건조시 가해진 열에 의한 수축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이아퍼(DIAPER) 필름에 엠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소정의 높이의 엠보 패턴이 형성된 경우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을 가져 전도성 패턴의 전기 전도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에 따른 전도성 패턴의 전기적 특성 변화 평가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을 각각 45 μm 두께의 다이아퍼(DIAPER) 필름의 표면에 1 cm 너비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한 후 85℃에서 10초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한 직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도성 패턴에 대한 저항을 multi-meter (Fluke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다이아퍼(DIAPER) 필름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에 1070 nm 파장의 레이저를 10초 동안 조사한 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도성 패턴에 대한 저항을 multi-meter (Fluke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저항값(kΩ)
레이저 조사 X 레이저 조사 O
5 cm 간격 35~50 18~25
10 cm 간격 80~95 40~47
15 cm 간격 120~140 60~70
20 cm 간격 160~180 80~90
상기 표 6의 결과를 참고하면, 상기 다이아퍼(DIAPER) 필름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에 소정의 레이저를 조사할 경우, 상기 전도성 패턴의 전기 전도성이 한층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카테콜아민(cathecholamine)계 화합물로 개질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가교제; 및
    용매;
    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아민계 화합물은 폴리도파민(polydopamine), 폴리에피네프린(polyepinephrine), 폴리노르에피네트린(polynorepinephrine) 및 키토산-카테콜(chitosan-catechol)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의 pH는 7.0 이상인,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 화합물, 카르보디라이트(carbodilite)계 화합물, 아지리딘계(aziridine)계 화합물 및 멜라민계(melamine)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 결합제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탄소질 전도성 소재, 전도성 고분자(PEDOT:PSS 제외) 및 금속성 소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소재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6. 배설물의 통과가 적어도 일부 제한되는 판 형상의 기재의 일 표면에 배설물의 감지가 가능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도성 패턴을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엠보 패턴이 마련되며,
    상기 엠보 패턴은 50 메쉬 이상 내지 300 메쉬 간격을 두고 배치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은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마련된 상기 엠보 패턴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상기 엠보 패턴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두께 대비 상기 엠보 패턴의 높이는 0.10 내지 0.66인,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은,
    (a) 배설물의 통과가 적어도 일부 제한되는 기재가 감긴 소스 롤로부터 상기 기재를 푸는 단계;
    (b) 상기 소스 롤로부터 풀린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배설물의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도성 코팅 조성물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재를 권취 롤에 권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소스 롤과 상기 권취 롤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패턴부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기재는 상기 소스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풀리면서 상기 전도성 패턴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전도성 패턴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는 상기 전도성 패턴부에 의해 상기 전도성 패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패턴부를 통과함에 따라 일 표면에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재는 상기 권취 롤에 연속적으로 권취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전 상기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상기 기재의 일 표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전도성 패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재 내 함침되도록 수행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전 상기 전도성 패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용품은 기저귀, 패드, 패치, 생리대, 안대 또는 마스크인,
    흡수 용품 제조 방법.
KR1020190142384A 2019-11-08 2019-11-08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KR102261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384A KR102261676B1 (ko) 2019-11-08 2019-11-08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384A KR102261676B1 (ko) 2019-11-08 2019-11-08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956A true KR20210055956A (ko) 2021-05-18
KR102261676B1 KR102261676B1 (ko) 2021-06-07

Family

ID=7615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384A KR102261676B1 (ko) 2019-11-08 2019-11-08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6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492B1 (ko) * 2005-03-21 2006-12-15 주식회사 잉크테크 도전성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형성방법
KR101246464B1 (ko) 2006-09-27 2013-03-2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CN105153418A (zh) * 2015-09-30 2015-12-16 华南理工大学 一种聚苯乙烯磺酸分散聚多巴胺—聚3,4-乙撑二氧噻吩复合导电聚合物的制备与应用
JP2016181502A (ja) * 2015-03-23 2016-10-13 ヒュンダイ・モービ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照明装置
KR20180133092A (ko) * 2017-06-05 2018-12-13 (주)크레이더스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
JP2019001739A (ja) * 2017-06-14 2019-01-10 日新製糖株式会社 サイクロデキストランおよびその誘導体の用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492B1 (ko) * 2005-03-21 2006-12-15 주식회사 잉크테크 도전성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형성방법
KR101246464B1 (ko) 2006-09-27 2013-03-2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JP2016181502A (ja) * 2015-03-23 2016-10-13 ヒュンダイ・モービ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照明装置
CN105153418A (zh) * 2015-09-30 2015-12-16 华南理工大学 一种聚苯乙烯磺酸分散聚多巴胺—聚3,4-乙撑二氧噻吩复合导电聚合物的制备与应用
KR20180133092A (ko) * 2017-06-05 2018-12-13 (주)크레이더스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
JP2019001739A (ja) * 2017-06-14 2019-01-10 日新製糖株式会社 サイクロデキストランおよびその誘導体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676B1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8505B2 (en) Letterpress application of elastomeric compositions
JP6193391B2 (ja) チャネル及びシグナルを備えた吸収性物品
AU2012203498B8 (en) Wearable articles with wetness sensing
JP4050232B2 (ja) 可変伸縮性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US10821034B2 (en) Garment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84853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ferring solid material
CZ204097A3 (cs) Elastomerní absorpční jádro
JP2017509447A (ja) ゾーン処理部を有する基材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20150140314A (ko) 흡수성 폼 복합재
KR20090054972A (ko) 용품의 유연성 기재를 통한 전도
TWI648037B (zh)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136380B2 (ko)
JP2005508222A (ja) 伸縮性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WO2007078501A1 (en) Articles comprising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KR102261676B1 (ko) 흡수 용품용 전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CN114324502B (zh) 一种电容式传感膜及相关的智能纸尿裤与检测系统装置
US6685686B2 (en) Absorbent article
US20200246500A1 (en) Moisture detector using water-soluble conductor
US9572724B2 (en) Printed wetness and health indicators on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10709039A (zh) 吸收用品的制造方法
KR102121923B1 (ko) 흡수 용품 제조 방법 및 패턴 롤
US20240058180A1 (en) Arrangement for detecting liquid
Singh et al. A review on designing viral barrier fabrics with monolithic films
CN217828239U (zh) 带有腿部衬圈系统的吸收制品
KR20180133092A (ko)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