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884A -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 Google Patents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884A
KR20180131884A KR1020170068570A KR20170068570A KR20180131884A KR 20180131884 A KR20180131884 A KR 20180131884A KR 1020170068570 A KR1020170068570 A KR 1020170068570A KR 20170068570 A KR20170068570 A KR 20170068570A KR 20180131884 A KR20180131884 A KR 20180131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uel
silo
blowe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908B1 (ko
Inventor
김승익
Original Assignee
김승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익 filed Critical 김승익
Priority to KR102017006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90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2Pneumatic feeding arrangements, i.e. by air b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002Feeding devices for steam boilers, e.g. in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20Feeding/conveying devices
    • F23K2203/201Feeding/conveying devices using pneum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은, 연료하역장(1)에서 발생되는 더스트를 흡입하는 하역장용 집진부(10); 상기 하역장용 집진부(10)에 의해 흡입된 더스트를 집진하는 하역장용 사이클론(20); 상기 하역장용 사이클론(20)에 의해 집진된 더스트를 송풍하는 하역장용 송풍기(30); 하역된 연료를 선별 저장하는 연료선별부(2)로부터 발생되는 더스트를 흡입하는 선별부용 집진부(40); 상기 선별부용 집진부(40)에 의해 흡입된 더스트를 집진하는 선별부용 사이클론(50); 상기 선별부용 사이클론(50)에 의해 집진된 더스트를 송풍하는 선별부용 송풍기(60);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와 선별부용 송풍기(60)에 의해 송풍된 더스트를 저장하는 더스트용 사일로(70);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를 보일러(3)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Boiler Input System of Dust}
본 발명은 공정에서 발생된 더스트를 공기를 이용하여 더스트를 저장하는 더스트 사일로로 보내져 저장되도록 하고 저장된 더스트는 보일러에 보내지도록 하여 연료로 사용되도록 하여 연료의 낭비를 줄이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연료이송시 발생되는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 등에는 연료를 하역하고 하역된 연료를 선별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연료를 보일러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하역에서부터 이송, 선별 및 저장하는 과정에서 많은 더스트가 발생되게 되며 이러한 더스트를 지속적으로 처리해야만 하므로 공정 곳곳에 다수의 집진기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에는 연료를 이송하는 공정에서 발생된 더스트를 폐기처분 하든지, 일부를 다시 컨베이어에 실어 이송을 하였다. 이에 따라 이송구간 주변이 더스트에 의해 오염되고 이송장비의 빈번한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더스트에 의한 오염은 수질오염, 대기오염, 토양오염 등을 유발시키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더스트를 집진하여 필터에 의해 제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필터의 수명이 짧아 유지비용이 많게 소요되며, 집진된 더스트는 폐기처리하게 되므로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에서 발생된 더스트를 공기를 이용하여 더스트를 저장하는 더스트 사일로로 보내져 저장되도록 하고 저장된 더스트는 보일러에 보내지도록 하여 연료로 사용되도록 하여 연료의 낭비를 줄이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연료이송시 발생되는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은, 연료하역장(1)에서 발생되는 더스트를 흡입하는 하역장용 집진부(10); 상기 하역장용 집진부(10)에 의해 흡입된 더스트를 포집하는 하역장용 사이클론(20); 상기 하역장용 사이클론(20)에 의해 포집된 더스트를 송풍하는 하역장용 송풍기(30); 하역된 연료를 선별 저장하며 저장된 연료를 보일러(3)로 투입되도록 하는 연료선별부(2)로부터 발생되는 더스트를 흡입하는 선별부용 집진부(40); 상기 선별부용 집진부(40)에 의해 흡입된 더스트를 포집하는 선별부용 사이클론(50); 상기 선별부용 사이클론(50)에 의해 포집된 더스트를 송풍하는 선별부용 송풍기(60);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와 선별부용 송풍기(60)에 의해 송풍된 더스트를 저장하는 더스트용 사일로(70);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 하부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를 보일러(3)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는, 더스트가 저장되며, 상부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와 선별부용 송풍기(60)로부터 송풍된 더스트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74)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부(74) 상부에 공기를 배출되도록 하는 백필터(71)와, 하부에 저장된 더스트를 배출되도록 하여 보일러(3)로 투입되도록 하는 더스트 연료배출구(75)가 구비된 사일로 본체(72); 상기 사일로 본체(72)의 상부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부(74)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백필터(71)를 통한 공기 배출시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에 걸리는 부압을 소멸시키도록 공기를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압력댐퍼부(7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압력댐퍼부(73)는, 상기 사일로 본체(72)와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덕트(73a)와, 상기 공기유입덕트(73a) 내부에 구비되며 상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댐퍼판(73b)과, 상기 댐퍼판(73b)의 하부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의 부압 소멸시 상기 댐퍼판(73b)이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공기유입덕트(73a)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중추(7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료공급부(80)는, 상기 사일로 본체(72)의 하단부위 중앙에 설치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며 회전에 의해 상기 사일로 본체(72)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를 외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추부(81)와, 상부에 상기 원추부(81)가 고정되는 원통부(82)와, 상기 원통부(82)의 외주연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사일로 본체(72)에 저장된 더스트를 파쇄하여 상기 더스트 연료배출구(75)로 유도되도록 하며 2개 내지 4개로 구비되고 동일각도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블레이드(83)와, 상기 사일로 본체(72) 외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원통부(82)에 결합되어 상기 원통부(82)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84)과, 상기 더스트 연료배출구(75)로 배출된 더스트 연료를 보일로()로 이송배출하는 이송배출부(8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추부(81)의 외주연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나선형 블레이드(8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83)는 설치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은, 공정시 발생되는 더스트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질오염, 대기오염, 토양오염 등의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저장된 더스트가 폐기되지 않고 보일러에 보내지도록 하여 연료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낭비를 줄여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더스트용 사일로 및 연료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압력댐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더스트용 사일로 및 연료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더스트용 사일로 및 연료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압력댐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의 더스트용 사일로 및 연료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하역장용 집진부(10); 하역장용 사이클론(20); 하역장용 송풍기(30); 선별부용 집진부(40); 선별부용 사이클론(50); 선별부용 송풍기(60); 더스트용 사일로(70); 연료공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역장용 집진부(10)는 연료하역장(1)에서 발생되는 더스트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역장용 집진부(10)는 연료하역장(1)에서 연료 이송 등의 공정을 통해 발생되는 더스트를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하여 더스트가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된 흡입기구를 사용한다.
상기 하역장용 사이클론(20)은 상기 하역장용 집진부(10)에 의해 흡입된 더스트를 포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지된 사이클론을 사용한다.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는 상기 하역장용 사이클론(20)에 의해 포집된 더스트를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에 의해 송풍된 더스트는 후술할 더스트용 사일로(70)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선별부용 집진부(40)는 하역된 연료를 선별 저장하며 저장된 연료를 보일러(3)로 투입되도록 하는 연료선별부(2)로부터 발생되는 더스트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별부용 집진부(40)는 하역된 연료를 선별하여 이송, 저장 등의 공정을 통해 발생되는 더스트를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하여 더스트가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된 흡입기구를 사용한다.
상기 선별부용 사이클론(50)은 상기 선별부용 집진부(40)에 의해 흡입된 더스트를 포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지된 사이클론을 사용한다.
상기 선별부용 송풍기(60)는 상기 선별부용 사이클론(50)에 의해 포집된 더스트를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는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와 선별부용 송풍기(60)에 의해 송풍된 더스트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료공급부(80)는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 하부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를 보일러(3)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보일러(3) 내에 투입된 연료는 연소되어 열을 발생시키게 되며 그 열로 증기를 발생시키고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하역, 연료선별 등의 공정시 발생되는 더스트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질오염, 대기오염, 토양오염 등의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저장된 더스트가 폐기되지 않고 보일러에 보내지도록 하여 연료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낭비를 줄여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아울러, 연료하역 및 연료선별의 공정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연료 혼합 등과 같은 다른 공정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 및 선별부용 송풍기(60)에 의해 송풍된 더스트는 공기와 함께 덕트를 통해 이송되어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에 저장되게 되는데, 이때 공기와 더스트가 함께 더스트용 사일로(7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공기는 더스트용 사일로(70)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는, 공기배출을 위한 백필터(71)가 구비된 사일로 본체(72)와, 사일로 본체(72)로부터 공기배출시 사일로 본체(72)에 걸리는 부압을 제거하기 위한 압력댐퍼부(73)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사일로 본체(72)는, 더스트가 저장되며, 상부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와 선별부용 송풍기(60)로부터 송풍된 더스트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74)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부(74) 상부에 공기를 배출되도록 하는 백필터(71)와, 하부에 저장된 더스트를 배출되도록 하여 보일러(3)로 투입되도록 하는 더스트 연료배출구(75)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댐퍼부(73)는, 상기 사일로 본체(72)의 상부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부(74)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백필터(71)를 통한 공기 배출시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에 걸리는 부압을 소멸시키도록 공기를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와 선별부용 송풍기(60)로부터 송풍된 더스트와 공기가 상기 유입부(74)로 유입되게 되면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로 유입되는 상부부위에서는 와류가 발생되게 되며 공기는 상기 백필터(7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더스트는 하강하여 상기 사일로 본체(72)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백필터(71)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될 때 사일로 본체(72) 내부에는 부압이 걸리게 된다. 이 부압을 소멸시키기 위해 상기 백필터(71)를 통한 상기 사일로 본체(72)로부터 공기를 외부를 배출하게 될 때 외부 공기를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상기 압력댐퍼부(73)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압력댐퍼부(73)는, 사일로 본체(72) 내에 부압이 걸리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부압이 소멸되면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댐퍼부(73)는, 도 6에서와 같이, 공기유입덕트(73a)와, 댐퍼판(73b)과, 중추(73c)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유입덕트(73a)는 상기 사일로 본체(72)와 연통되며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에 부압이 발생되면 외부의 공기를 사일로 본체(7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댐퍼판(73b)은 상기 공기유입덕트(73a) 내부에 구비되며 상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에 부압이 걸리게 되면 상기 댐퍼판(73b)은 부압에 의해 회동되어 공기유입덕트(73a)를 개방시키게 되며 사일로 본체(7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부압이 소멸되면 상기 댐퍼판(73b)은 자중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덕트(73a)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중추(73c)는 상기 댐퍼판(73b)의 하부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의 부압 소멸시 상기 댐퍼판(73b)이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공기유입덕트(73a)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와 선별부용 송풍기(60)로부터 송풍된 더스트가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에 적층되어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 하부부위에서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를 보일러(3)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를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의 하부부위에서 보일러(3)로 공급하게 되므로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의 하부부위에서 더스트 연료가 하부로 낙하되지 않아 돔 형태의 공동이 생기는 브리징(Bridging)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료공급부(80)는, 원추부(81)와, 원통부(82)와, 블레이드(83)와, 회전수단(84)과, 이송배출부(85)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원추부(81)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사일로 본체(72)의 하단부위 중앙에 설치되고 일정높이를 가진다. 상기 원추부(81)는 회전에 의해 상기 사일로 본체(72)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를 사일로 본체(72) 외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진다.
상기 원통부(82)는 상부에 상기 원추부(81)가 고정된다.
상기 블레이드(83)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원통부(82)의 외주연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사일로 본체(72)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를 파쇄하여 상기 더스트 연료배출구(75)로 유도되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83)는 2개 내지 4개로 구비되고 동일각도를 이루도록 방사형으로 구비된다(도 5 및 도 7 참조). 도면에서는 상기 블레이드(83)가 2개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블레이드(83)는 상기 원통부(82)의 외주연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고정될 때 상기 블레이드(83)의 고정부위는 플랜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원통부(82)에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수단(84)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사일로 본체(72) 외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원통부(82)에 결합되어 상기 원통부(8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수단(84)은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구조를 채택한다.
상기 이송배출부(85)는 상기 더스트 연료배출구(75)로 배출된 더스트 연료를 보일러(3)로 이송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원추부(81)가 일정높이를 가지고 회전을 하게 되므로 더스트 연료가 하부로 낙하되지 않아 돔 형태의 공동이 생기는 브리징(Bridging)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원추부(81)의 회전에 의한 브리징(Bridging) 현상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나선형 블레이드(8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86)는 상기 원추부(81)의 외주연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원추부(81)가 회전되면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86)에 의해 사일로 본체(72)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가 굴착되는 형태로 작용하게 되므로 브리징(Bridging) 현상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일로 본체(72)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가 상기 원추부(81)의 회전에 의해 하부로 낙하되면 상기 블레이드(83)의 회전에 의해 더스트 연료를 파쇄하게 되는데 더스트 연료의 파쇄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83)는 설치높이가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83)는 설치높이가 서로 다르게 하면 상부에 위치한 상기 블레이드(83) 및 하부에 위치한 상기 블레이드(83)의 회전에 의해 더스트 연료의 파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된 더스트 연료의 배출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더스트 연료배출구(75)는, 상기 원통부(82)의 외측에 2개로 장방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원통부(82)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더스트 연료배출구(75)가 2개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면 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83)의 회전에 의해 더스트 연료가 상기 더스트 연료배출구(75)로 유도될 때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배출부(85)는, 외주연에 스크류(85a)가 구비된 회전축(85b)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85a)는 더스트 연료 유입측에서 배출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점 더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85a)는 더스트 연료 유입측에서 배출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점 더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상기 스크류(85a)는 더스트 연료 유입측에서 배출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점 더 커지게 되면 많은 양의 더스트 연료가 낙하되더라도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배출하는 정량배출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83)의 고정부위는 플랜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원통부(82)에 볼트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원통부(82)는 상기 블레이드(83)의 고정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83)를 볼트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미도시됨)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83)를 볼트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미도시됨)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됨으로써 더스트 연료의 응집력, 수분함량 등의 성상에 따라 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83)의 높이차를 조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더스트 연료의 파쇄를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연료하역장 2 : 연료선별부
3 : 보일러 10 : 하역장용 집진부
20 : 하역장용 사이클론 30 : 하역장용 송풍기
40 : 선별부용 집진부 50 : 선별부용 사이클론
60 : 선별부용 송풍기 70 : 더스트용 사일로
80 : 연료공급부

Claims (6)

  1. 연료하역장(1)에서 발생되는 더스트를 흡입하는 하역장용 집진부(10);
    상기 하역장용 집진부(10)에 의해 흡입된 더스트를 포집하는 하역장용 사이클론(20);
    상기 하역장용 사이클론(20)에 의해 포집된 더스트를 송풍하는 하역장용 송풍기(30);
    하역된 연료를 선별 저장하며 저장된 연료를 보일러(3)로 투입되도록 하는 연료선별부(2)로부터 발생되는 더스트를 흡입하는 선별부용 집진부(40);
    상기 선별부용 집진부(40)에 의해 흡입된 더스트를 포집하는 선별부용 사이클론(50);
    상기 선별부용 사이클론(50)에 의해 포집된 더스트를 송풍하는 선별부용 송풍기(60);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와 선별부용 송풍기(60)에 의해 송풍된 더스트를 저장하는 더스트용 사일로(70);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 하부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를 보일러(3)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용 사일로(70)는,
    더스트가 저장되며, 상부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역장용 송풍기(30)와 선별부용 송풍기(60)로부터 송풍된 더스트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74)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부(74) 상부에 공기를 배출되도록 하는 백필터(71)와, 하부에 저장된 더스트를 배출되도록 하여 보일러(3)로 투입되도록 하는 더스트 연료배출구(75)가 구비된 사일로 본체(72);
    상기 사일로 본체(72)의 상부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부(74)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백필터(71)를 통한 공기 배출시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에 걸리는 부압을 소멸시키도록 공기를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압력댐퍼부(7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댐퍼부(73)는,
    상기 사일로 본체(72)와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덕트(73a)와,
    상기 공기유입덕트(73a) 내부에 구비되며 상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댐퍼판(73b)과,
    상기 댐퍼판(73b)의 하부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사일로 본체(72) 내부의 부압 소멸시 상기 댐퍼판(73b)이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공기유입덕트(73a)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중추(7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80)는,
    상기 사일로 본체(72)의 하단부위 중앙에 설치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며 회전에 의해 상기 사일로 본체(72)에 저장된 더스트 연료를 외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추부(81)와,
    상부에 상기 원추부(81)가 고정되는 원통부(82)와,
    상기 원통부(82)의 외주연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사일로 본체(72)에 저장된 더스트를 파쇄하여 상기 더스트 연료배출구(75)로 유도되도록 하며 2개 내지 4개로 구비되고 동일각도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블레이드(83)와,
    상기 사일로 본체(72) 외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원통부(82)에 결합되어 상기 원통부(82)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84)과,
    상기 더스트 연료배출구(75)로 배출된 더스트 연료를 보일로()로 이송배출하는 이송배출부(8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부(81)의 외주연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나선형 블레이드(8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83)는 설치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현상방지용 정량 배출장치.
KR1020170068570A 2017-06-01 2017-06-01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KR101937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570A KR101937908B1 (ko) 2017-06-01 2017-06-01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570A KR101937908B1 (ko) 2017-06-01 2017-06-01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884A true KR20180131884A (ko) 2018-12-11
KR101937908B1 KR101937908B1 (ko) 2019-01-11

Family

ID=6467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570A KR101937908B1 (ko) 2017-06-01 2017-06-01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4651A (zh) * 2019-07-04 2019-11-05 国能绿色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保障煤粉制备过程的安全系统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433B1 (ko) 2015-02-11 2015-10-06 김선길 포터블형 시멘트 하역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4651A (zh) * 2019-07-04 2019-11-05 国能绿色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保障煤粉制备过程的安全系统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908B1 (ko)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729B1 (ko) 미분탄 복합 집진 장치
KR102254790B1 (ko) 분쇄기 및 분쇄기의 운용 방법
KR101937908B1 (ko)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JP6057146B2 (ja) 粉砕システム
CN107694229A (zh) 一种带有灰尘处理的袋式除尘器
CN107416373B (zh) 一种垃圾焚烧飞灰自动储存卸灰库
CN211359147U (zh) 破碎机除尘出料装置
CN210699195U (zh) 一种用于布袋除尘器的防漏风装置
TW202102306A (zh) 用於處理散料之設備、配套工件組與方法
CN208661742U (zh) 一种瘪麦智能识别分离器
CN206358956U (zh) 用于面粉在线负压气力输送的脉冲除尘卸料器
CN220501868U (zh) 一种熟料库用输送除尘装置
CN206172546U (zh) 一种物料提升装置
RU2149715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сепаратор
CN218530444U (zh) 干法脱硫系统及其排灰装置
CN110745558A (zh) 一种送料装置及其送料方式
CN211812405U (zh) 一种原煤除尘输送装置
CN207605806U (zh) 一种用于立式辊压磨机的外排管
JPS604597Y2 (ja) 竪型ミル
CN114210654B (zh) 一种用于井下旋回破碎机破碎作业的除尘系统及除尘方法
CN217732003U (zh) 一种垃圾焚烧电厂的输灰系统
CN219232621U (zh) 一种燃煤电厂固态干渣磨细装置
US20220380147A1 (en) Blow-through rotary valve
CN107314381B (zh) 一种卸灰库内腔壁结板飞灰清理方法
CN219563703U (zh) 一种用于混凝土搅拌站的骨料中间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