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005A -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005A
KR20180131005A KR1020170067438A KR20170067438A KR20180131005A KR 20180131005 A KR20180131005 A KR 20180131005A KR 1020170067438 A KR1020170067438 A KR 1020170067438A KR 20170067438 A KR20170067438 A KR 20170067438A KR 20180131005 A KR20180131005 A KR 20180131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chucking
plate
b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220B1 (ko
Inventor
김문기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정공
Priority to KR102017006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22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코너(corner) 영역에 핸들링 고리가 각각 마련되고 판면에 다수의 베이스 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두껍게 제작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다수의 측면 통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휠을 구비하는 측정용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 통공들에 선택적으로 위치별로 결합되는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 및 상기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통공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가 위치된 영역에서 서로 협동하여 대상물을 척킹하는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Universal setting jig apparatus for block type}
본 발명은,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MM 측정을 요하는 여러 대상물에 대하여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세팅시간 역시 감소시킬 수 있어 CMM 측정에 따른 전반적인 로스(loss)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CMM(Co-ordinate Measurement Machine, 3차원 측정기)는 대상물, 예컨대 자동차 부품처럼 다양한 형태의 물건이나 부품(이하, 이들을 통틀어 대상물이라 함)에 대한 치수를 3차원으로 측정하는 기기를 일컫는다. 최근에 대상물에 대한 정밀 측정을 위해 CMM 측정이 널리 활용되는 추세이다.
CMM 측정을 위해서는 우선, 대상물을 위치에 맞게 또한 그 기울기를 고려해서 측정용 베이스 상에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단순한 대상물, 예컨대 상자 형태처럼 외관이 단순한 형상을 갖는 대상물에 대하여 CMM 측정을 진행할 때는 특별한 지그 없이도 대상물의 고정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복잡한 형상의 대상물인 경우에는 그에 적합한 지그 없이 측정용 베이스 상에 대상물을 고정시키기가 어렵다. 때문에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제조사 등에서는 여러 형태의 지그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처럼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그에 적합한 지그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준비하는 것은 여간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 지그는 범용적이지 않고 대상물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지그라서 그 구조상 세팅에 소요되는 시간이 수 시간 이상 걸리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대상물마다 그에 대응되는 지그를 개별적으로 제작해야 해서 지그의 제작에 따른 로스(loss) 발생이 클 수밖에 없으며, 또한 세팅시간 역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2835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0741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0832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0933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CMM 측정을 요하는 여러 대상물에 대하여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세팅시간 역시 감소시킬 수 있어 CMM 측정에 따른 전반적인 로스(loss)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코너(corner) 영역에 핸들링 고리가 각각 마련되고 판면에 다수의 베이스 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두껍게 제작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다수의 측면 통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휠을 구비하는 측정용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 통공들에 선택적으로 위치별로 결합되는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 및 상기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통공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가 위치된 영역에서 서로 협동하여 대상물을 척킹하는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는, 다수의 지그 통공이 형성되는 지그 상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하여 지지되되 상기 지그 상판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지그 플레이트; 상기 지그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통공과 장공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 통공에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서 상기 축부의 가로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헤드 바아를 구비하는 다수의 고정용 핀; 상기 지그 플레이트와 상기 지그 상판 사이에 박스(box) 형상으로 마련되되 각 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대면하는 양측에 지그 손잡이 고리가 형성되는 박스형 지그 바디; 상기 고정용 핀이 배치되지 않은 반대편에서 상기 박스형 지그 바디에 결합되는 ㄴ자형 고정 브래킷; 및 상기 ㄴ자형 고정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지그 플레이트 사이의 절개홈에 배치되되 단부에 V홈이 형성되고, 측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지지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1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1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1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1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1 보강대;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하부 물림부; 상기 제1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1 상부 물림부; 상기 제1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1 척킹 바아; 및 상기 제1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1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1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2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2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2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2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2 보강대; 상기 제2 측벽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아암; 상기 제2 연장 아암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단부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 바아; 상기 제2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물림부; 상기 제2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2 상부 물림부; 상기 제2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2 척킹 바아; 및 상기 제2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2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2 척킹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3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3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3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3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3 보강대; 상기 제3 측벽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 아암; 상기 제3 연장 아암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단부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3 끼움 바아; 상기 제3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하부 물림부; 상기 제3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3 상부 물림부; 상기 제3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3 척킹 바아; 및 상기 제3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3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3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4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4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4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4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4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4 보강대; 상기 제4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4 하부 물림부; 상기 제4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4 상부 물림부; 상기 제4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4 척킹 바아; 및 상기 제4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4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4 척킹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코너(corner) 영역에 핸들링 고리가 각각 마련되고 판면에 다수의 베이스 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두껍게 제작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다수의 측면 통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휠을 구비하는 측정용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 통공들에 선택적으로 위치별로 결합되는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 및 상기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통공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가 위치된 영역에서 서로 협동하여 대상물을 척킹하는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는, 다수의 지그 통공이 형성되는 지그 상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하여 지지되되 상기 지그 상판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지그 플레이트; 상기 지그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통공과 장공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 통공에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서 상기 축부의 가로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헤드 바아를 구비하는 다수의 고정용 핀; 상기 지그 플레이트와 상기 지그 상판 사이에 박스(box) 형상으로 마련되되 각 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대면하는 양측에 지그 손잡이 고리가 형성되는 박스형 지그 바디; 상기 고정용 핀이 배치되지 않은 반대편에서 상기 박스형 지그 바디에 결합되는 ㄴ자형 고정 브래킷; 및 상기 ㄴ자형 고정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지그 플레이트 사이의 절개홈에 배치되되 단부에 V홈이 형성되고, 측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지지용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1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1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1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1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1 보강대;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하부 물림부; 상기 제1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1 상부 물림부; 상기 제1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1 척킹 바아; 및 상기 제1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1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1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2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2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2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2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2 보강대; 상기 제2 측벽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아암; 상기 제2 연장 아암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단부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 바아; 상기 제2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물림부; 상기 제2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2 상부 물림부; 상기 제2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2 척킹 바아; 및 상기 제2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2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2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3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3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3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3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3 보강대; 상기 제3 측벽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 아암; 상기 제3 연장 아암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단부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3 끼움 바아; 상기 제3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하부 물림부; 상기 제3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3 상부 물림부; 상기 제3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3 척킹 바아; 및 상기 제3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3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3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4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4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4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4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4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4 보강대; 상기 제4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4 하부 물림부; 상기 제4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4 상부 물림부; 상기 제4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4 척킹 바아; 및 상기 제4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4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4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척킹 조작부 모두는 해당 척킹 바아에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회전 척킹부와, 제1 내지 제4 회전 척킹부의 조작을 위한 제1 내지 제4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MM 측정을 요하는 여러 대상물에 대하여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세팅시간 역시 감소시킬 수 있어 CMM 측정에 따른 전반적인 로스(loss)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조상 안전성과 정도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측정 시간 역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대상물의 변경되더라도 위치 변경만을 통해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에 대상물이 배치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측정용 베이스 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블록식 범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척킹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척킹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척킹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4 척킹 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에 대상물이 배치된 상태의 이미지,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도, 도 4는 측정용 베이스 유닛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블록식 범용 지그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제1 척킹 유닛의 사시도, 도 10은 제2 척킹 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제3 척킹 유닛의 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제4 척킹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100)는 CMM 측정을 요하는 여러 대상물에 대하여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세팅시간 역시 감소시킬 수 있어 CMM 측정에 따른 전반적인 로스(loss)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차량용 부품, 즉 대상물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대상물에 대한 CMM 측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CMM 측정을 위해서는 우선, 대상물을 위치에 맞게 또한 그 기울기를 고려해서 일정한 측정용 베이스(미도시) 상에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단순한 대상물, 예컨대 상자 형태처럼 외관이 단순한 형상을 갖는 대상물에 대하여 CMM 측정을 진행할 때는 특별한 지그 없이도 대상물의 고정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도 1처럼 복잡한 형상의 대상물인 경우에는 그에 적합한 지그 없이 측정용 베이스 상에 대상물을 고정시키기가 어렵다.
때문에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제조사 등에서는 여러 형태의 지그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처럼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그에 적합한 지그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준비하는 것은 여간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100)가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100)는 측정용 베이스 유닛(110),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140), 그리고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160~1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측정용 베이스 유닛(110) 상에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140)를 원하는 위치에 조립하고, 블록식 범용 지그(140)들에 미세하게 위치를 조절하면서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160~190)을 각각 조립해서 도 1과 같은 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팅에 소요되는 시간, 혹은 보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우선, 측정용 베이스 유닛(110)은 블록식 범용 지그(140)가 조립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측정용 베이스 유닛(110)은 코너(corner) 영역에 핸들링 고리(122)가 각각 마련되고 판면에 다수의 베이스 통공(121)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20)보다 두껍게 제작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다수의 측면 통공(131)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130)과,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13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5)와,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1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휠(138)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35)는 도 2에 확대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130)의 하단부에 지지되는 사각 헤드부(135a)와, 사각 헤드부(135a)에 연결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샤프트(135b)와,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에서 샤프트(135b)에 체결되는 너트부재(135c)를 포함할 수 있다. 사각 헤드부(135a)로 인해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130)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13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용 베이스 유닛(110)에 다수의 휠(138)이 마련되기 때문에 도 1처럼 대상물을 지지한 후, CMM 측정을 위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휠(138)에는 브레이킹 장치(138a)가 마련되어 휠(138)의 임의 이동을 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CMM 측정 시 대상체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블록식 범용 지그(14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베이스 통공(121)들에 선택적으로 위치별로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160~190)은 도 9 내지 도 12처럼 대상물을 지지하는 위치에 따라 구조가 상이하게 적용되는데 반해,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160~190)이 지지되는 블록식 범용 지그(140)는 동일하다.
따라서 세팅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즉 측정용 베이스 유닛(110) 상에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140)를 원하는 위치에 조립한 후, 블록식 범용 지그(140)들에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160~190)을 각각 조립하면 되기 때문에 세팅 작업이 매우 쉬워질 수 있다.
이러한 블록식 범용 지그(140)는 다수의 지그 통공(142)이 형성되는 지그 상판(141)과,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접하여 지지되되 지그 상판(141)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지그 플레이트(143)와, 지그 플레이트(14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통공(143a)과 장공(143b)으로 각각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베이스 통공(121)에 결합되는 축부(145a)와, 축부(145a)의 단부에서 축부(145a)의 가로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헤드 바아(145b)를 구비하는 다수의 고정용 핀(145)과, 지그 플레이트(143)와 지그 상판(141) 사이에 박스(box) 형상으로 마련되되 각 면에 관통공(147)이 형성되고, 대면하는 양측에 지그 손잡이 고리(148)가 형성되는 박스형 지그 바디(146)와, 고정용 핀(145)이 배치되지 않은 반대편에서 박스형 지그 바디(146)에 결합되는 ㄴ자형 고정 브래킷(149)과, ㄴ자형 고정 브래킷(149)에 연결되고 지그 플레이트(143) 사이의 절개홈(144)에 배치되되 단부에 V홈(151)이 형성되고, 측면에 손잡이(152)가 구비되는 지지용 블록(15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식 범용 지그(140)가 다수의 고정용 핀(145)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에 고정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세팅의 편의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물론, 고정용 핀(145)은 임시 체결용으로 사용하고, 최종적으로는 고정용 핀(145)을 빼고 그 자리에 볼트를 체결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160~190)은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140)의 지그 통공(142)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140)가 위치된 영역에서 서로 협동하여 대상물을 척킹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160~190)은 대상물을 척킹한다는 기능적인 면은 동일하지만 대상물의 서로 다른 위치를 지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구조는 서로 상이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척킹 유닛(160)은 블록식 범용 지그(140)의 지그 상판(141)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142)에 결합되는 제1 결합 통공(162)을 구비하는 제1 유닛 플레이트(161)와, 제1 유닛 플레이트(161)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1 측벽부(163)와, 제1 유닛 플레이트(161)와 제1 측벽부(163)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1 보강대(164)와, 제1 측벽부(163)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하부 물림부(165)와, 제1 하부 물림부(165)와 상호작용하는 제1 상부 물림부(166)와, 제1 상부 물림부(166)를 지지하는 제1 척킹 바아(167)와, 제1 척킹 바아(167)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제1 상부 물림부(166)가 제1 하부 물림부(165)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1 척킹 조작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척킹 조작부(168)는 제1 척킹 바아(167)에 연결되는 제1 회전 척킹부(168a)와, 제1 회전 척킹부(168a)의 조작을 위한 제1 레버(168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레버(168b)를 당기면 제1 회전 척킹부(168a)의 힌지 구동에 의해 제1 상부 물림부(166)가 이격되고 제1 레버(168b)를 밀면 제1 상부 물림부(166)가 제1 하부 물림부(165)에 물리면서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척킹 유닛(170)은 블록식 범용 지그(140)의 지그 상판(141)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142)에 결합되는 제2 결합 통공(172)을 구비하는 제2 유닛 플레이트(171)와, 제2 유닛 플레이트(171)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2 측벽부(173)와, 제2 유닛 플레이트(171)와 제2 측벽부(173)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2 보강대(174)와, 제2 측벽부(173)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아암(179)과, 제2 연장 아암(179)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단부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대상물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 바아(179a)와, 제2 측벽부(173)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물림부(175)와, 제2 하부 물림부(175)와 상호작용하는 제2 상부 물림부(176)와, 제2 상부 물림부(176)를 지지하는 제2 척킹 바아(177)와, 제2 척킹 바아(177)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제2 상부 물림부(176)가 제2 하부 물림부(175)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2 척킹 조작부(17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척킹 조작부(178) 역시, 제1 척킹 조작부(168)와 마찬가지로 제2 척킹 바아(267)에 연결되는 제2 회전 척킹부(268a)와, 제2 회전 척킹부(268a)의 조작을 위한 제2 레버(268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레버(268b)를 당기면 제2 회전 척킹부(268a)의 힌지 구동에 의해 제2 상부 물림부(266)가 이격되고 제2 레버(268b)를 밀면 제2 상부 물림부(266)가 제2 하부 물림부(265)에 물리면서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척킹 유닛(180)은 블록식 범용 지그(140)의 지그 상판(141)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142)에 결합되는 제3 결합 통공(미도시)을 구비하는 제3 유닛 플레이트(181)와, 제3 유닛 플레이트(181)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3 측벽부(183)와, 제3 유닛 플레이트(181)와 제3 측벽부(183)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3 보강대(184)와, 제3 측벽부(183)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 아암(189)과, 제3 연장 아암(189)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단부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대상물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3 끼움 바아(189a)와, 제3 측벽부(183)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하부 물림부(185)와, 제3 하부 물림부(185)와 상호작용하는 제3 상부 물림부(186)와, 제3 상부 물림부(186)를 지지하는 제3 척킹 바아(187)와, 제3 척킹 바아(187)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제3 상부 물림부(186)가 제3 하부 물림부(185)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3 척킹 조작부(188)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척킹 조작부(178) 역시, 제1 척킹 조작부(168)와 마찬가지로 제3 척킹 바아(367)에 연결되는 제3 회전 척킹부(368a)와, 제3 회전 척킹부(368a)의 조작을 위한 제3 레버(368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레버(368b)를 당기면 제3 회전 척킹부(368a)의 힌지 구동에 의해 제3 상부 물림부(366)가 이격되고 제3 레버(368b)를 밀면 제3 상부 물림부(366)가 제3 하부 물림부(365)에 물리면서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4 척킹 유닛(190)은 블록식 범용 지그(140)의 지그 상판(141)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142)에 결합되는 제4 결합 통공(192)을 구비하는 제4 유닛 플레이트(191)와, 제4 유닛 플레이트(191)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4 측벽부(143)와, 제4 유닛 플레이트(191)와 제4 측벽부(143)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4 보강대(194)와, 제4 측벽부(143)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4 하부 물림부(195)와, 제4 하부 물림부(195)와 상호작용하는 제4 상부 물림부(196)와, 제4 상부 물림부(196)를 지지하는 제4 척킹 바아(197)와, 제4 척킹 바아(197)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제4 상부 물림부(196)가 제4 하부 물림부(195)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4 척킹 조작부(198)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척킹 조작부(178) 역시, 제1 척킹 조작부(168)와 마찬가지로 제4 척킹 바아(467)에 연결되는 제4 회전 척킹부(468a)와, 제4 회전 척킹부(468a)의 조작을 위한 제4 레버(468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레버(468b)를 당기면 제4 회전 척킹부(468a)의 힌지 구동에 의해 제4 상부 물림부(466)가 이격되고 제4 레버(468b)를 밀면 제4 상부 물림부(466)가 제4 하부 물림부(465)에 물리면서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160~190)의 구조에서 제2 척킹 유닛(170)과 제3 척킹 유닛(180)에 제2 끼움 바아(179a) 및 제3 끼움 바아(189a)가 마련된다는 점에서 다른 것들과 상이하고, 또한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160~190)의 물림 각도와 사이즈가 다르다는 점에서 서로가 상이하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대상물을 용이하게 척킹하기에 유리하다. 즉 도 1의 대상물이 아니더라도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160~190)의 배치 방식에 따라 다양한 대상물을 척킹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MM 측정을 요하는 여러 대상물에 대하여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세팅시간 역시 감소시킬 수 있어 CMM 측정에 따른 전반적인 로스(loss)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세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조상 안전성과 정도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측정 시간 역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대상물의 변경되더라도 위치 변경만을 통해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세팅 지그장치 110 : 측정용 베이스 유닛
120 : 베이스 플레이트 121 : 베이스 통공
130 :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 131 : 측면 통공
135 : 고정부재 138 : 휠
140 : 블록식 범용 지그 141 : 지그 상판
142 : 지그 통공 143 : 지그 플레이트
143a : 원형통공 143b : 장공
144 : 절개홈 145 : 고정용 핀
145a : 축부 145b : 헤드 바아
146 : 박스형 지그 바디 147 : 관통공
148 : 지그 손잡이 고리 149 : ㄴ자형 고정 브래킷
150 : 지지용 블록 151 : V홈
152 : 손잡이 160 : 제1 척킹 유닛
161 : 제1 유닛 플레이트 162 : 제1 결합 통공
163 : 제1 측벽부 164 : 제1 보강대
165 : 제1 하부 물림부 166 : 제1 상부 물림부
167 : 제1 척킹 바아 168 : 제1 척킹 조작부
170 : 제2 척킹 유닛 179 : 제2 연장 아암
179a : 제2 끼움 바아 180 : 제3 척킹 유닛
189 : 제3 연장 아암 189a : 제3 끼움 바아
190 : 제4 척킹 유닛

Claims (5)

  1. 코너(corner) 영역에 핸들링 고리가 각각 마련되고 판면에 다수의 베이스 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두껍게 제작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다수의 측면 통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휠을 구비하는 측정용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 통공들에 선택적으로 위치별로 결합되는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 및
    상기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통공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가 위치된 영역에서 서로 협동하여 대상물을 척킹하는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는,
    다수의 지그 통공이 형성되는 지그 상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하여 지지되되 상기 지그 상판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지그 플레이트;
    상기 지그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통공과 장공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 통공에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서 상기 축부의 가로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헤드 바아를 구비하는 다수의 고정용 핀;
    상기 지그 플레이트와 상기 지그 상판 사이에 박스(box) 형상으로 마련되되 각 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대면하는 양측에 지그 손잡이 고리가 형성되는 박스형 지그 바디;
    상기 고정용 핀이 배치되지 않은 반대편에서 상기 박스형 지그 바디에 결합되는 ㄴ자형 고정 브래킷; 및
    상기 ㄴ자형 고정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지그 플레이트 사이의 절개홈에 배치되되 단부에 V홈이 형성되고, 측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지지용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1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1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1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1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1 보강대;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하부 물림부;
    상기 제1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1 상부 물림부;
    상기 제1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1 척킹 바아; 및
    상기 제1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1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1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2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2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2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2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2 보강대;
    상기 제2 측벽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아암;
    상기 제2 연장 아암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단부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 바아;
    상기 제2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물림부;
    상기 제2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2 상부 물림부;
    상기 제2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2 척킹 바아; 및
    상기 제2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2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2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3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3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3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3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3 보강대;
    상기 제3 측벽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 아암;
    상기 제3 연장 아암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단부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3 끼움 바아;
    상기 제3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하부 물림부;
    상기 제3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3 상부 물림부;
    상기 제3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3 척킹 바아; 및
    상기 제3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3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3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4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4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4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4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4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4 보강대;
    상기 제4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4 하부 물림부;
    상기 제4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4 상부 물림부;
    상기 제4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4 척킹 바아; 및
    상기 제4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4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4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5. 코너(corner) 영역에 핸들링 고리가 각각 마련되고 판면에 다수의 베이스 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두껍게 제작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다수의 측면 통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용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휠을 구비하는 측정용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 통공들에 선택적으로 위치별로 결합되는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 및
    상기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통공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블록식 범용 지그가 위치된 영역에서 서로 협동하여 대상물을 척킹하는 제1 내지 제4 척킹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는,
    다수의 지그 통공이 형성되는 지그 상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하여 지지되되 상기 지그 상판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지그 플레이트;
    상기 지그 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통공과 장공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베이스 통공에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서 상기 축부의 가로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헤드 바아를 구비하는 다수의 고정용 핀;
    상기 지그 플레이트와 상기 지그 상판 사이에 박스(box) 형상으로 마련되되 각 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대면하는 양측에 지그 손잡이 고리가 형성되는 박스형 지그 바디;
    상기 고정용 핀이 배치되지 않은 반대편에서 상기 박스형 지그 바디에 결합되는 ㄴ자형 고정 브래킷; 및
    상기 ㄴ자형 고정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지그 플레이트 사이의 절개홈에 배치되되 단부에 V홈이 형성되고, 측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지지용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1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1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1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1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1 보강대;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하부 물림부;
    상기 제1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1 상부 물림부;
    상기 제1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1 척킹 바아; 및
    상기 제1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1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1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2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2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2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2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2 보강대;
    상기 제2 측벽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아암;
    상기 제2 연장 아암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단부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 바아;
    상기 제2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물림부;
    상기 제2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2 상부 물림부;
    상기 제2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2 척킹 바아; 및
    상기 제2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2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2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3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3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3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3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3 보강대;
    상기 제3 측벽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 아암;
    상기 제3 연장 아암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단부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3 끼움 바아;
    상기 제3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하부 물림부;
    상기 제3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3 상부 물림부;
    상기 제3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3 척킹 바아; 및
    상기 제3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3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3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척킹 유닛은,
    상기 블록식 범용 지그의 지그 상판에 형성되는 지그 통공에 결합되는 제4 결합 통공을 구비하는 제4 유닛 플레이트;
    상기 제4 유닛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제4 측벽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제4 측벽부 사이에 보강되게 마련되는 제4 보강대;
    상기 제4 측벽부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4 하부 물림부;
    상기 제4 하부 물림부와 상호작용하는 제4 상부 물림부;
    상기 제4 상부 물림부를 지지하는 제4 척킹 바아; 및
    상기 제4 척킹 바아와 연결되며,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상부 물림부가 상기 제4 하부 물림부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일측을 척킹하는 제4 척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척킹 조작부 모두는 해당 척킹 바아에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회전 척킹부와, 제1 내지 제4 회전 척킹부의 조작을 위한 제1 내지 제4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KR1020170067438A 2017-05-31 2017-05-31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KR10193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438A KR101932220B1 (ko) 2017-05-31 2017-05-31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438A KR101932220B1 (ko) 2017-05-31 2017-05-31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005A true KR20180131005A (ko) 2018-12-10
KR101932220B1 KR101932220B1 (ko) 2018-12-24

Family

ID=6467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438A KR101932220B1 (ko) 2017-05-31 2017-05-31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2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8601A (zh) * 2018-12-28 2019-05-03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行自动控制研究所 一种基于磁力的壳体类零件测量用快速装夹装置
CN110196007A (zh) * 2019-05-07 2019-09-03 天津市百利电气有限公司 塑壳断路器轴承支架的检具
KR102065884B1 (ko) * 2019-07-02 2020-01-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저압 전동기 무부하 시험 장치 및 방법
CN112697009A (zh) * 2020-12-17 2021-04-23 芜湖普威技研有限公司 一种能检测单件的新型检测检具
KR20220080505A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엘앤씨코퍼레이션 3차원 측정용 고정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039B1 (ko) * 2009-12-09 2010-05-31 김정배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 및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의 베이스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8601A (zh) * 2018-12-28 2019-05-03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行自动控制研究所 一种基于磁力的壳体类零件测量用快速装夹装置
CN110196007A (zh) * 2019-05-07 2019-09-03 天津市百利电气有限公司 塑壳断路器轴承支架的检具
KR102065884B1 (ko) * 2019-07-02 2020-01-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저압 전동기 무부하 시험 장치 및 방법
KR20220080505A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엘앤씨코퍼레이션 3차원 측정용 고정 지그
CN112697009A (zh) * 2020-12-17 2021-04-23 芜湖普威技研有限公司 一种能检测单件的新型检测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220B1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220B1 (ko) Cmm 측정용 범용 블록 타입 세팅 지그장치
US8122834B2 (en) Suspension type robot whose robot body runs along traveling rail
EP2813447B1 (en) Clamping devices
CN103192208B (zh) 用于定位和组装轴套的泵车底架工装夹具
JP2007111776A (ja) パネル部品の把持装置
CN205380385U (zh) 叉车转向桥支架拼焊工装
WO2019078203A1 (ja) ワークを下部金型に対して奥行方向に適切に位置決めすることが可能なプレスブレーキ用のフロントテーブル装置
KR102016344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검사구
CN211305569U (zh) 金属牙齿加工夹具
ITVE20130039A1 (it) Morsetto perfezionato per macchina duplicatrice di chiavi.
KR101034668B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20170062922A (ko) 차량 부품 조립용 지그 및 상기 지그의 장착 방법
JPS6024763Y2 (ja) 本体ア−ムへのアタツチメント連結構造
JPH0645842Y2 (ja) 測長装置
FI118039B (fi) Menetelmä modulaarisen kokoonpanolinjan säätämiseksi ja modulaarisen kokoonpanolaitteen paikoitusyksikkö
JP4098657B2 (ja) バキューム吸着アーム用のアームホルダ
CN216730715U (zh) 固定装置
JPH0248200Y2 (ko)
CN210689562U (zh) 用于三坐标测量仪的测量夹具
JP4076641B2 (ja) 机における後面板取付装置
CN208262154U (zh) 一种摩托车后货架的工装
JPH07227793A (ja) ツール保持機構
JP4327471B2 (ja) 構造体の取付構造
JP2009192305A (ja) グロメット検査治具
JP2747828B2 (ja) 組立ラインのワーク移載装置及びワーク移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