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076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076A
KR20180130076A KR1020170065582A KR20170065582A KR20180130076A KR 20180130076 A KR20180130076 A KR 20180130076A KR 1020170065582 A KR1020170065582 A KR 1020170065582A KR 20170065582 A KR20170065582 A KR 20170065582A KR 20180130076 A KR20180130076 A KR 20180130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ase
mode
engaging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920B1 (ko
Inventor
이상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5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920B1/ko
Priority to US15/879,932 priority patent/US10499515B2/en
Priority to CN201810408228.2A priority patent/CN108932012B/zh
Publication of KR20180130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3Stretcha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 장치는 유연한 표시 부재, 평면상에서 표시 부재와 중첩하는 고정 부재, 표시 부재의 일 측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부재, 및 표시 부재의 타 측을 수용하는 제2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 및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부재에 결합된 바디 부재, 바디 부재의 일 측과 제1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이동 부재, 및 바디 부재의 타 측과 제2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는 전기적으로 활성화된 액티브 영역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액티브 영역에 제공된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수용하거나, 액티브 영역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는 할당된 화면 내에서 정보를 표시하거나 외부 입력을 감지한다. 최근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이나 터치패널을 구비한 전자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패널은 평판 패널과 달리, 종이처럼 접거나 말거나 휠 수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플렉서블 패널은 기존의 화면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딩이 용이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유연한 표시 부재, 평면상에서 표시 부재와 중첩하는 고정 부재, 표시 부재의 일 측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부재, 및 표시 부재의 타 측을 수용하는 제2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 및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부재에 결합된 바디 부재, 바디 부재의 일 측과 제1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이동 부재, 및 바디 부재의 타 측과 제2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부재는 제1 모드에서 제1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시간에 동작하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이한 면적을 가진 제2 영역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이동할 때, 상기 바디 부재는 상기 평면상에서 회전 운동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각각은 상기 평면상에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각각은 대칭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평면상에서 직선 이동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각각의 이동 방향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각각의 이동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부재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막대 형상(rod shape)을 갖고,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각각의 이동 방향은 상기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각각의 이동은 단속적일 수 있다.
상기 바디 부재는 상기 모드에 따라 신축 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바디 부재를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시키는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이동 부재를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결합시키는 제2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를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결합시키는 제3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재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결합 부재를 관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를 결합시키는 제1 서브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를 결합시키는 제2 서브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모드들에 따라 평면상에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결합 부재 각각의 이동은 상기 제1 서브 결합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가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 서브 결합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이동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가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닛은 각각이 상기 고정 부재에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된 제1 힌지 유닛 및 제2 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 유닛의 바디 부재와 상기 제2 힌지 유닛의 바디 부재는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전자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모드에서 제1 영역이 활성화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제2 영역이 활성화되는 전자 패널, 상기 전자 패널과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고정 부재, 상기 전자 패널 및 상기 고정 부재를 수용하고, 일 방향을 따라 각각 직선 이동하는 제1 케이스 부재 및 제2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 및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고 평면상에서 회전 이동하는 바디 부재, 상기 바디 부재의 일 측과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바디 부재의 타 측과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는 평면상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중심으로 대칭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이동할 때, 상기 바디 부재는 평면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바디 부재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고,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바디 부재가 연장된 방향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각각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바디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부재, 상기 바디 부재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 및 상기 바디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를 결합하는 제3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톱니 형상의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기어부에 맞물리는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바디 부재의 상기 일 측과 상기 제1 이동 부재를 결합하는 제1 서브 결합 부재, 및 상기 바디 부재의 상기 타 측과 상기 제2 이동 부재를 결합하는 제2 서브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결합 부재 각각의 상기 제1 모드에서의 평면상에서의 위치는 상기 제2 모드에서의 평면상에서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고정 부재,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는 평면상에서 모두 중첩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고정 부재,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평면상에서 모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유연한 전자 패널, 평면상에서 상기 전자 패널과 중첩하는 고정 부재, 상기 표시 부재의 일 측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표시 부재의 타 측을 수용하는 제2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 및 상기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된 바디 부재, 상기 바디 부재의 일 측과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고정 결합된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바디 부재의 타 측과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고정 결합된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부재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고정된 회전축을 갖고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한 바디 부재와 직선 이동이 가능한 이동 부재들을 포함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모드에 따라 상이한 액티브 영역들을 제공하기 위한 기구적 이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휴대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유닛의 모드에 따른 상태들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결합 단면도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평면도들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평면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a에는 전자 장치(EA)가 제1 모드일 때의 전자 장치(EA)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1b에는 전자 장치(EA)가 제2 모드일 때의 전자 장치(EA)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였다.
제1 모드 및 제2 모드는 서로 다른 시간에 존재할 수 있고, 전자 장치(EA)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일 때 서로 다른 액티브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에 있어서, 제1 모드에서의 액티브 영역(AA1)과 제2 모드에서 액티브 영역(FAA)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진다.
액티브 영역은 전자 장치(EA)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영역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EA)는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는 화소 어레이(pixel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어레이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표시 소자를 포함한다. 표시 소자는 액정 커패시터, 유기발광 다이오드, 전기영동소자, 또는 전기습윤소자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액티브 영역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영역일 수 있다. 터치 입력은 접촉 및 인접을 포함하며, 광학 터치, 전도성 터치, 및 압력 터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EA)는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는 터치 어레이(touch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액티브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EA)는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는 화소 어레이 및 터치 어레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영역(FAA)은 다양한 상태로 활성화된 영역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는 제1 모드일 때 제1 액티브 영역(AA1)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액티브 영역(AA1)은 비교적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한 손 조작을 통해 전자 장치(EA)를 제어할 수 있고, 전자 장치(EA)는 용이한 휴대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는 제2 모드일 때 제2 액티브 영역(FAA)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액티브 영역(FAA)은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넓은 면적을 통해 전자 장치(EA)를 사용할 수 있고, 전자 장치(EA)는 향상된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는 사용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전자 장치(EA)는 사용자의 다양한 의도에 부합되도록 변형된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전자 장치(EA)의 분해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EA)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는 전자 패널(100), 하우징 유닛(200), 고정 부재(300), 및 힌지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패널(100)은 유연한(flexible) 패널일 수 있다. 전자 패널(100)은 모드에 따라 하우징 유닛(200)내에 수용된다. 이때, 전자 패널(100)의 일 부분은 소정의 굴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전자 패널(100)은 다양한 형상으로 수용되고 형상의 복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연성 패널일 수 있다.
전자 패널(100)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상에서 액티브 영역(FAA) 및 주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FAA)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활성화된다.
전자 패널(100)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패널(100)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전기 영동 소자, 전기 습윤 소자, 액정 커패시터, 및 유기발광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전자 패널(100)은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패널일 수 있다. 센서들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패널(10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외부에서 인가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 센싱 패널,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싱 패널 등 다양한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패널(100)은 표시 패널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현하고자 하는 전자 장치 기능에 따라 다양한 전자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패널(100, 이하 표시 부재)은 액티브 영역(FAA)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액티브 영역(FAA)에 표시된 영상을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표시 부재(100)는 액티브 영역(FAA)에 인가되는 외부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액티브 영역(FAA)을 통해 표시 부재(100)에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FAA)는 평면상에서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은 각각 서로 다른 시간 동안 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은 서로 동일한 시간 동안 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은 동일 시간 동안 서로 다른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은 동일 시간 동안 서로 연관된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1 영역(AA1)은 제1 모드에서 전자 장치의 액티브 영역(이하, 제1 액티브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 중 제1 영역(AA1)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고,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은 하우징 유닛(20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2 모드에서의 액티브 영역은 표시 부재(100)의 액티브 영역(FAA, 이하, 제2 액티브 영역) 전체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액티브 영역(FAA)은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은 모두 활성화될 수 있다.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3 영역(AA3)은 모두 하우징 유닛(20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시인될 수 있다. 전자 장치(EA)는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액티브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변 영역(PA)은 제2 액티브 영역(FAA)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PA)은 제2 액티브 영역(FAA)을 에워쌀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서 외부에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주변 영역(PA)에는 제2 액티브 영역(FAA)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유닛(200)은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는 제1 방향(D1)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 각각은 바닥부(BP), 측벽부(WP), 지지부(SP), 및 핸들부(HP)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BP)는 평면상에서 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측벽부(WP) 및 핸들부(HP) 각각은 바닥부(BP)와 연결되어 바닥부(BP)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측벽부(WP)와 핸들부(HP)는 전자 장치(EA)의 측면들을 정의할 수 있다. 핸들부(HP)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EA)를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형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把指)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부(HP)는 측벽부(WP)보다 상대적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EA)는 사용자의 파지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핸들부(HP)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SP)는 바닥부(BP)와 평행할 수 있다. 지지부(SP)는 표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SP)는 바닥부(BP)로부터 이격되어 측벽부(WP)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SP), 바닥부(BP) 및 측벽부(WP)는 소정의 공간이 정의되도록 서로 연결되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터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지지부(SP)는 핸들부(HP)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일부는 지지부(SP)와 핸들부(HP)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들(210, 22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의 일부는 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들(210, 220) 내부에 수용되거나, 지지부(SP)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고정 부재(30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고정 부재(300)는 하우징 유닛(200)이 정의하는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300)의 일 측은 제1 케이스 부재(210)의 지지부(SP), 측벽부(WP), 및 바닥부(BP)가 정의하는 공간에 수용되고, 고정 부재(300)의 다른 일 측은 제2 케이스 부재(220)의 지지부(SP), 측벽부(WP), 및 바닥부(미도시)가 정의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힌지 유닛(400)은 고정 부재(300)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 유닛(400)은 고정 부재(300)에 결합되어 하우징 유닛(300)이 정의하는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힌지 유닛(400)은 하우징 유닛(200) 및 고정 부재(300)에 결합되어 하우징 유닛(2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힌지 유닛(400)은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전자 장치(EA)의 형상 변형을 일으키는 주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 유닛(400)은 바디 부재(410), 제1 이동 부재(420), 및 제2 이동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부재(41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바디 부재(410)는 제1 결합 부재(FX1)를 통해 고정 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와 제2 이동 부재(430) 각각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와 제2 이동 부재(430) 각각은 상기 일 방향에서 서로 이격 되어 바디 부재(4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는 바디 부재(410)의 일 측에 결합되어, 바디 부재(410)와 제1 케이스 부재(210)를 결합시킨다. 제2 이동 부재(430)는 바디 부재(410)의 타 측에 결합되어 바디 부재(4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를 결합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결합은 직접 결합 및 외부 결합 부재를 통한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부재(410), 제1 이동 부재(420), 및 제2 이동 부재(430) 각각의 다른 구성들과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부재(410)는 고정 부재(300)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 부재(410)는 고정 부재(300)와 결합된 상태로 평면상에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 및 제2 이동 부재(430) 각각은 바디 부재(41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부재(420) 및 제2 이동 부재(430) 각각은 바디 부재(410)와 연결된 상태로 바디 부재(4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 부재(410), 제1 이동 부재(420), 및 제2 이동 부재(430)는 각각 다른 구성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유닛의 모드에 따른 상태들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3a에는 힌지 유닛(400)의 제1 모드에서의 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 3b에는 힌지 유닛(400)의 제2 모드에서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디 부재(4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rod shape)을 가질 수 있다. 바디 부재(410)에는 제1 슬라이딩 홀(SH1), 제1 개구부(OP1), 및 제2 슬라이딩 홀(SH2)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1 슬라이딩 홀(SH1)과 제2 슬라이딩 홀(SH2)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바디 부재(410)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심에 정의될 수 있다. 바디 부재(410)는 제1 개구부(OP1)를 중심으로 평면상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홀(SH1)과 제2 슬라이딩 홀(SH2) 각각은 바디 부재(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홀(SH1)과 제2 슬라이딩 홀(SH2) 각각은 바디 부재(410)의 끝 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바디 부재(410)는 단면상에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 부재(410) 내부의 공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디 부재(410)는 내부 공간에 제1 이동 부재(420)와 제2 이동 부재(43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와 제2 이동 부재(430)는 바디 부재(410) 내부에 구비된 공간에 수용되어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와 제2 이동 부재(430)는 바디 부재(410)가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는 바디 부재(4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이동 부재(420)는 바디 부재(4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 부재(420)는 제1 바디부(BP1) 및 제1 슬라이딩 부(S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BP1)는 바디 부재(410)의 내부 공간 중 제1 슬라이딩 홀(SH1)과 연결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부(SP1)는 제1 슬라이딩 홀(SH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부(SP1)는 제1 슬라이딩 홀(SH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부(SP1)는 제1 이동 부재(420)의 이동 방향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에는 제2 개구부(OP2)가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제1 이동 부재(420)의 끝 단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는 제2 개구부(OP2)를 통해 제1 고정 부재(210: 도 2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 부재(420)는 제1 슬라이딩 홀을 통해 바디 부재(410)와 결합하고, 제2 개구부(OP2)를 통해 제1 케이스 부재(21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이동 부재(430)는 제2 바디부(BP2) 및 제2 슬라이딩 부(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BP2)는 바디 부재(410)의 내부 공간 중 제2 슬라이딩 홀(SH2)과 연결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부(SP2)는 제2 슬라이딩 홀(SH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부(SP2)는 제2 슬라이딩 홀(SH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부(SP2)는 제2 이동 부재(430)의 이동 방향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이동 부재(430)에는 제3 개구부(OP3)가 정의될 수 있다. 제3 개구부(OP3)는 제2 이동 부재(430)의 끝 단에 정의될 수 있다. 제2 이동 부재(430)는 제3 개구부(OP3)를 통해 제2 케이스 부재(220: 도 2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 부재(430)는 제2 슬라이딩 홀을 통해 바디 부재(410)와 결합하고, 제3 개구부(OP3)를 통해 제2 케이스 부재(22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이동 부재(430)는 제2 케이스 부재(220)의 직선 이동을 반영하여 대응되는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에는 서로 다른 모드들에서의 고정 부재(300)와 힌지 유닛(400)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3b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 유닛(400)은 제1 결합 부재(FX1)를 통해 고정 부재(300)에 결합된다. 이때, 힌지 유닛(400)은 평면상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고정 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a에는 제1 모드에서의 힌지 유닛(400)과 고정 부재(300)를 도시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 유닛(400)은 제1 모드에서 고정 부재(300)에 대하여 평면상에서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었다. 이후, 힌지 유닛(400)이 도 4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 전자 장치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b에는 제2 모드에서의 힌지 유닛(400)과 고정 부재(300)를 도시하였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 유닛(400)은 제2 모드에서 고정 부재(300)에 대하여 평면상에서 제1 모드에서의 사선 방향과 다른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힌지 유닛(400)이 도 4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예를 들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 전자 장치는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유닛(400)은 고정 부재(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 부재(FX1)는 힌지 유닛(400)의 중심을 고정 부재(30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되, 회전 운동은 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 유닛(400)은 평면상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유닛(40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직선 이동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회전 이동을 통해 힌지 유닛(400)에 연결되는 하우징 유닛(200: 도 2 참조)의 이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5a에는 전자 장치(EA)의 제1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5b는 전자 장치(EA)의 제2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5a는 실질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전자 장치(EA)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실질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전자 장치(EA)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5a 및 도 5b에서 고정 부재(300) 및 힌지 유닛(400)은 실선 처리하여 도시하였고,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는 점선 처리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모드에서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는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300)는 평면상에서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힌지 유닛(400)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이 정의하는 평면상에서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힌지 유닛(400)가 연장된 길이 방향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대한 사선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FX1)는 고정 부재(300)와 바디 부재(410)를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 부재(410)는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한 정도로 고정 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이동 부재(420)는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한 정도로 제1 케이스 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부재(420)의 회전축은 제2 결합 부재(FX2)를 관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이동 부재(430)는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한 정도로 제2 케이스 부재(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 부재(430)의 회전축은 제3 결합 부재(FX3)를 관통할 수 있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모드에서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는 고정 부재(300)로부터 직선 이동(OMD)할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의 직선 이동(OMD) 방향은 각각 제1 방향의 반대 방향(D4) 및 제1 방향(D1)일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는 대칭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케이스 부재(220)는 제1 케이스 부재(210)가 제4 방향(D4)으로 직선 이동(OMD)한 만큼 제1 방향(D1)으로 직선 이동(OMD)할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가 고정 부재(300)로부터 직선 이동(OMD)함에 따라,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증가된다. 힌지 유닛(400)은 회전 이동 및 직선 이동을 통해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들(210, 220)의 직선 이동(OMD)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에서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바디 부재(410)는 제1 결합 부재(FX1)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이동 부재(420)와 제2 이동 부재(430) 각각은 바디 부재(410)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 각각에 고정된 제1 이동 부재(420)와 제2 이동 부재(430) 각각은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 각각의 직선 이동(OMD)에 따라 바디 부재(410)의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힌지 유닛(400)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300)에 고정된 바디 부재(410)는 평면상에서 회전 이동함으로써, 힌지 유닛(400)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스 부재(210) 제2 케이스 부재(220)의 직선 이동(OMD)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이동 부재(420)의 직선 이동 거리와 제2 이동 부재(430)의 직선 이동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스 부재(210) 제2 케이스 부재(220)의 대칭적인 직선 이동(OMD)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6a에는 전자 장치(EA-1)의 제1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6b에는 전자 장치(EA-1)의 제2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한편,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6a 및 도 6b에서 고정 부재(300) 및 힌지 유닛은 실선 처리하여 도시하였고,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는 점선 처리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5b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1)는 복수의 힌지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복수의 힌지 유닛들은 제1 힌지 유닛(400A) 및 제2 힌지 유닛(4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 유닛(400A)은 바디 부재(411), 제1 이동 부재(421), 및 제2 이동 부재(431)를 포함한다. 바디 부재(411)는 고정 부재(330)에 결합되어 평면상에서 회전 이동한다.
제1 이동 부재(421)와 제2 이동 부재(431)는 바디 부재(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한다. 제1 이동 부재(421)와 제2 이동 부재(431) 각각은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 각각에 결합되어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 각각의 직선 이동(OMD)에 대응하여 바디 부재(411)로부터 인출되거나 바디 부재(411)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힌지 유닛(400B)은 실질적으로 제1 힌지 유닛(400A)과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힌지 유닛(400B)은 바디 부재(412), 제1 이동 부재(422), 및 제2 이동 부재(432)를 포함한다.
바디 부재(412)는 고정 부재(330)에 결합되어 평면상에서 회전 이동한다. 제1 이동 부재(422)와 제2 이동 부재(432)는 바디 부재(4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한다. 제1 이동 부재(422)와 제2 이동 부재(432) 각각은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 각각에 결합되어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 각각의 직선 이동(OMD)에 대응하여 바디 부재(412)로부터 인출되거나 바디 부재(412)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힌지 유닛(400A)과 제2 힌지 유닛(400B)은 하나의 제1 결합 부재(FX1)를 통해 고정 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 유닛(400A)과 제2 힌지 유닛(400B)은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한 상태로 고정 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힌지 유닛(400A)과 제2 힌지 유닛(400B)은 모드의 변경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힌지 유닛(400A)의 바디 부재(411)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될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힌지 유닛(400B)의 바디 부재(412)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될 때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1 힌지 유닛(400A)의 제1 이동 부재(421)와 제2 이동 부재(431)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될 때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에 대해 경사진 사선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제2 힌지 유닛(400B)의 제1 이동 부재(422)와 제2 이동 부재(432)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될 때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D4)과 제2 방향(D2)에 대해 경사진 사선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힌지 유닛(400A)의 제1 이동 부재(421)와 제2 이동 부재(431)의 직선 이동 방향과 제2 힌지 유닛(400B)의 제1 이동 부재(422)와 제2 이동 부재(432)의 직선 이동 방향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는 제1 힌지 유닛(400A)과 제2 힌지 유닛(400B) 모두와 결합되어 제1 힌지 유닛(400A)과 제2 힌지 유닛(400B) 모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1)는 복수의 힌지 유닛들(400A, 400B)을 포함함으로써, 제1 이동 부재(421)와 제2 이동 부재(431)의 직선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EA-1)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EA-1)의 형상 변형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전자 장치(EA-1)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7a에는 전자 장치(EA-2)의 제1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7b에는 전자 장치(EA-2)의 제2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한편,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7a 및 도 7b에서 고정 부재(300) 및 힌지 유닛(400-1)은 실선 처리하여 도시하였고,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는 점선 처리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6b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는 바디 부재(410-1), 제1 이동 부재(420-1), 및 제2 이동 부재(430-1)를 포함하는 힌지 유닛(400-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부재(410-1)는 고정 부재(300)에 결합되어 평면상에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바디 부재(410-1)는 제1 결합 부재(FX1)를 통해 고정 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 부재(410-1)는 제1 결합 부재(FX1)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한다.
제1 이동 부재(420-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1)의 일 측은 제2 결합 부재(FX2)를 통해 제1 케이스 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동 부재(430-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이동 부재(430-1)의 일 측은 제3 결합 부재(FX3)를 통해 제2 케이스 부재(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부재(420-1)는 제1 서브 결합 부재(SFX1)를 통해 바디 부재(410-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서브 결합 부재(SFX1)는 제1 이동 부재(420-1)의 타 측과 바디 부재(410-1)의 일 측을 결합시킨다.
제2 이동 부재(430-1)는 제2 서브 결합 부재(SFX1)를 통해 바디 부재(410-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서브 결합 부재(SFX2)는 제2 이동 부재(420-2)의 타 측과 바디 부재(410-1)의 타 측을 결합시킨다.
전자 장치(EA-2)의 모드가 변경될 때, 제1 서브 결합 부재(SFX1)와 제2 서브 결합 부재(SFX2)는 각각 평면상에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될 때, 제1 서브 결합 부재(SFX1)는 제2 방향(D2)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서브 결합 부재(SFX2)는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서브 결합 부재(SFX1)와 제2 서브 결합 부재(SFX2)는 각각의 평면상에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제1 이동 부재(420-1)와 바디 부재(410-1)가 이루는 각도 및 제2 이동 부재(430-1)와 바디 부재(410-1)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결합 부재(SFX1)를 중심으로 제1 이동 부재(420-1)와 바디 부재(410-1)는 제1 모드에서 제1 각도(θ1)를 이루고, 제2 모드에서 제1 변형 각도(θ1-C)를 이룬다. 제1 변형 각도(θ1-C)는 제1 각도(θ1)보다 클 수 있다. 제1 변형 각도(θ1-C)는 제1 케이스 부재(210)의 평면상에서의 면적 및 제1 케이스 부재(21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1 변형 각도(θ1-C)는 최대 180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제2 서브 결합 부재(SFX2)를 중심으로 제2 이동 부재(430-1)와 바디 부재(410-1)는 제1 모드에서 제2 각도(θ2)를 이루고, 제2 모드에서 제2 변형 각도(θ2-C)를 이룬다. 제2 변형 각도(θ2-C)는 제2 각도(θ2)보다 클 수 있다. 제2 변형 각도(θ2-C)는 제2 케이스 부재(220)의 평면상에서의 면적 및 제2 케이스 부재(22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2 변형 각도(θ2-C)는 최대 180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힌지 유닛(400-1)은 제1 이동 부재(420-1)와 바디 부재(410-1)가 이루는 각도를 변형시켜 제1 케이스 부재(210)의 모드에 따른 직선 이동(OMD)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유닛(400-1)은 제2 이동 부재(430-1)와 바디 부재(410-1)가 이루는 각도를 변형시켜 제2 케이스 부재(220)의 모드에 따른 직선 이동(OMD)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2)는 힌지 유닛(400-1)을 포함함으로써,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의 이동에 따른 전자 장치(EA-2)의 면적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힌지 유닛(400-1)의 바디 부재(410-1)의 길이, 제1 이동 부재(420-1)의 길이, 및 제2 이동 부재(430-1)의 길이를 다양하게 설계하는 것으로,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의 전자 장치(EA-2)의 다양한 면적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8a에는 전자 장치(EA-3)의 제1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8b에는 전자 장치(EA-3)의 제2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한편,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8a 및 도 8b에서 고정 부재(300) 및 힌지 유닛(400-1)은 실선 처리하여 도시하였고,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는 점선 처리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는 복수의 힌지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유닛들은 제1 힌지 유닛(400A-1) 및 제2 힌지 유닛(400B-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 유닛(400A-1) 및 제2 힌지 유닛(400B-1) 각각은 도 7a에 도시된 힌지 유닛(400-1)과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힌지 유닛(400A-1)은 바디 부재(411-1), 제1 이동 부재(421-1), 및 제2 이동 부재(431-1)를 포함하고, 제2 힌지 유닛(400B-1)은 바디 부재(412-1), 제1 이동 부재(422-1), 및 제2 이동 부재(4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 유닛(400A-1)과 제2 힌지 유닛(400B-1)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힌지 유닛(400A-1)과 제2 힌지 유닛(400B-1)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 유닛(400A-1)의 바디 부재(411-1)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교차하는 사선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힌지 유닛(400A-1)의 바디 부재(411-1)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형될 때, 평면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힌지 유닛(400B-1)의 바디 부재(412-1)는 제1 힌지 유닛(400A-1)의 바디 부재(411-1)와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2 힌지 유닛(400B-1)의 바디 부재(412-1)는 제4 방향(D4) 및 제2 방향(D2)에 교차하는 사선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힌지 유닛(400B-1)의 바디 부재(412-1)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형될 때, 평면상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제1 힌지 유닛(400A-1)의 제1 이동 부재(421-1)와 제2 이동 부재(431-1) 각각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형될 때, 바디 부재(411-1)와 이루는 각도가 증가되도록 각 서브 결합 부재들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힌지 유닛(400B-1)의 제1 이동 부재(422-1)와 제2 이동 부재(432-1) 각각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형될 때, 바디 부재(412-1)와 이루는 각도가 증가되도록 각 서브 결합 부재들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 유닛(400A-1)의 제1 이동 부재(421-1) 및 제2 이동 부재(431-1), 제2 힌지 유닛(400B-1)의 제1 이동 부재(422-1) 및 제2 이동 부재(432-1) 각각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므로,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이동 시, 제1 힌지 유닛(400A-1)의 서브 결합 부재들과 제2 힌지 유닛(400B-1)의 서브 결합 부재들은 서로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힌지 유닛(400A-1)의 서브 결합 부재들은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힌지 유닛(400B-1)의 서브 결합 부재들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힌지 유닛(400A-1)의 형상 변형과 제2 힌지 유닛(400B-1)의 형상 변형은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3)는 복수의 힌지 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제2 케이스 부재(220)의 변형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향상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9a에는 전자 장치(EA-4)의 제1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6b에는 전자 장치(EA-4)의 제2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한편,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9a 및 도 9b에서 고정 부재(300) 및 힌지 유닛은 실선 처리하여 도시하였고,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는 점선 처리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8b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4)는 제1 결합 부재(FX1-1)에 의해 결합되고, 바디 부재(410-2), 제1 이동 부재(420-2), 및 제3 이동 부재(430-2)를 포함하는 힌지 유닛(400-2)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유닛(400-2)의 거동은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힌지 유닛(400)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 부재(410-2)는 제1 결합 부재(FX1-1)를 중심으로 평면상에서 회전 이동하고, 제1 이동 부재(420-2) 및 제2 이동 부재(430-3)는 바디 부재(410-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제1 이동 부재(420-2) 및 제2 이동 부재(430-2)는 바디 부재(410-3) 내부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2) 및 제2 이동 부재(430-2) 각각은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부재(420-2)는 제1 부분(P11), 제2 부분(P12), 및 돌출 부분(R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 부재(430-2)는 제1 이동 부재(420-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 부재(430-2)는 제1 부분(P21), 제2 부분(P22), 및 돌출 부분(RP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들(P11, P21) 각각은 제2 부분들(PP12, PP22) 각각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들(P12, P22) 각각에 대한 제1 부분들(P11, P21) 각각의 두께 차이들은 제1 결합 부재(FX1-1)의 크기와 대응될 수 있다.
돌출부들(RP1, RP2)은 제2 부분들(P12, P22)의 상면들에 정의될 수 있다. 돌출부들(RP1, RP2) 각각은 후술하는 제1 결합 부재(FX1-1)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FX1-1)는 중심부(CP) 및 휠 부(WL)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CP)는 바디 부재(410-2)를 관통하여 고정 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중심부(CP)는 힌지 유닛(400-2)을 고정 부재(3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중심부(CP)는 바디 부재(410-2)의 회전 이동의 회전축이 정의되는 부분일 수 있다.
휠 부(WL)는 바디부(BD) 및 기어부(GR)를 포함한다. 바디부(BD)는 평면상에서 중심부(CP)를 에워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어부(GR)는 바디부(BD)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어부(GR)는 바디부(BD)와 연결되어 바디부(BD)와 일체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기어부(GR)는 바디부(BD)와 구분되는 독립적인 부분으로 제공되어 바디부(BD)에 조립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어부(GR)는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어부(GR)는 제1 이동 부재(420-2)의 돌출부(PR1) 및 제2 이동 부재(430-2)의 돌출부(PR2) 각각에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4)는 기어부(GR)를 포함하는 제1 결합 부재(FX1-1)와 돌출부들(PR1, PR2)을 포함하는 힌지 유닛(400-2)를 포함함으로써, 힌지 유닛(400-2)의 이동을 단속적으로 구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부(GR), 제1 이동 부재(420-2)의 돌출부(PR1), 및 제2 이동 부재(430-2)의 돌출부(PR2)는 바디 부재(410-2)의 회전 이동을 단속적인 회전 이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제1 이동 부재(420-2)의 직선 이동 및 제2 이동 부재(430-2)의 직선 이동을 단속적인 이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의 직선 이동(OMD)이 단속적인 이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의 직선 이동(OMD) 정도가 단계적으로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고, 소정의 직선 이동(OMD)이 이루어진 특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드에 따른 형상 변형의 기계적인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전자 장치(EA-4)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결합 단면도들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11a에는 전자 장치(EA-5)의 제1 모드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11b에는 전자 장치(EA-5)에는 제2 모드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4)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9c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5)는 표시 부재(100), 하우징 유닛(200-1), 고정 부재(300-1), 및 힌지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EA-4)는 하우징 유닛(200-1)과 고정 부재(300-1)를 제외하고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EA)와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부재(100)와 힌지 유닛(40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우징 유닛(200-1)은 제1 케이스 부재(210-1)와 제2 케이스 부재(22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10-1)는 제1 케이스(211) 및 제2 케이스(212)를 포함하고, 제2 케이스 부재(210-2)는 제1 케이스(212) 및 제2 케이스(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10-1)는 고정 부재(300-1)의 일 측을 수용한다. 제1 케이스 부재(210-1)의 제1 케이스(211)는 도 2에 도시된 제1 케이스 부재(210)와 지지부(SP: 도 2 참조)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211)는 측벽부(WP), 핸들부(HP), 및 바닥부(BP)를 포함한다. 측벽부(WP)는 바닥부(BP) 중 서로 마주하는 두 변들에 연결되고, 핸들부(HP)는 측벽부(WP)와 바닥부(BP)에 연결된다. 측벽부(WP), 핸들부(HP), 및 바닥부(BP)는 서로 연결되어 소정의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측벽부(WP)는 소정의 단차부(ST)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ST)는 측벽부(WP)의 내측에 정의될 수 있다. 단차부(ST)는 후술할 고정 부재(300-1)와 맞물리고, 고정 부재(300-1)의 일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10-1)의 제2 케이스(212)는 측벽부(WP), 핸들부(HP), 및 바닥부(BP)가 정의하는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10-1)의 제2 케이스(212)는 일 측이 오픈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케이스(212) 중 오픈된 일 측에는 후술하는 고정 부재(300-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10-1)의 제2 케이스(212)는 표시 부재(100)의 일부를 지지한다. 제1 케이스 부재(210-1)의 제2 케이스(212)의 상부는 도 2에 도시된 지지부(SP)와 대응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 부재(210-1)의 제2 케이스(212)는 제1 모드에서 표시 부재(100)의 제1 영역(AA1)의 일부를 지지하고, 제2 모드에서 표시 부재(100)의 제2 영역(AA2)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케이스 부재(220-1)는 고정 부재(300-1)의 타 측을 수용한다. 제2 케이스 부재(220-1)는 제1 케이스 부재(210-1)와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2 케이스 부재(220-1)의 제1 케이스(221)는 제1 케이스 부재(210-1)의 제1 케이스(211)와 대응되고, 제2 케이스 부재(220-1)의 제2 케이스(222)는 제1 케이스 부재(210-1)의 제2 케이스(212)와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케이스 부재(220-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케이스 부재(210-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 부재(300-1)는 제1 고정 부재(310)와 제2 고정 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부재(310)와 제2 고정 부재(320)는 힌지 유닛(4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310)는 중간부분(MP), 플랫부분(FP), 제1 높이부(HP1), 및 제2 높이부(HP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분(MP)과 플랫부분(FP)은 제1 고정 부재(310)의 상측부를 정의하고, 제1 높이부(HP1)와 제2 높이부(HP2)는 제1 고정 부재(310)의 측부를 정의할 수 있다.
중간부분(MP)은 제1 방향(D1)에서의 제1 고정 부재(310)의 중간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부분(MP)은 플랫부분(FP)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중간부분(MP)은 표시 부재(100)의 중간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부분(MP)은 제1 결합 부재(FX1)가 조립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부분(MP)은 제1 결합 부재(FX1)를 수용하기 위해 정의된 소정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높이부(HP1)와 제2 높이부(HP2)는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이 정의하는 단면상에서 플랫부분(FP)을 사이에 두고 비 정렬(misalign)될 수 있다. 제1 높이부(HP1)와 제2 높이부(HP2)의 비 정렬은 제1 고정 부재(310)의 측부에 소정이 단차를 정의한다.
제1 높이부(HP1)와 제2 높이부(HP2)가 정의하는 단차는 하우징 유닛(200-1)에 정의된 단차부(ST)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높이부(HP1)와 제2 높이부(HP2)가 정의하는 단차에 의해 제1 고정 부재(310)는 하우징 유닛(200-1)의 단차부(ST)에 안정적으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유닛(200-1)은 단차부(ST)를 통해 제1 고정 부재(310)로부터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320)는 하우징 유닛(200-1)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 부재(320)의 일 측은 제1 케이스 부재(210-1)의 제2 케이스(212)가 정의하는 공간에 수용되고, 제2 고정 부재(320)의 타 측은 제2 케이스 부재(220-1)의 제2 케이스(222)가 정의하는 공간에 수용된다.
제2 고정 부재(320)는 제1 모드일 때 하우징 유닛(200-1)에 의해 커버되고, 제2 모드일 때 하우징 유닛(200-1)으로부터 노출되어 전자 장치(EA-4)의 외측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부재(320)는 제2 모드에서 힌지 유닛(400)을 외부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320)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부재(3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 부재(3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5)는 제1 모드에서 제1 액티브 영역(AA1)을 외부에 노출시킨다. 표시 부재(100) 중 제1 액티브 영역(AA1) 이외의 영역, 예를 들어, 제2 액티브 영역(AA2) 및 제3 액티브 영역(AA3)은 하우징 유닛(300-1)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모드에서 제공되는 제1 액티브 영역(AA1)은 실질적으로 플랫 부분(FP)과 중첩하는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 및 중간부분(MP)과 중첩하는 제3 영역(AR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액티브 영역(AA1)의 제1 방향(D1)에서의 측정된 너비는 두 개의 플랫 부분들(FP) 및 중간부분(MP)의 제1 방향(D1)에서의 측정된 너비들의 합과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힌지 유닛(400)이 평면상에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도 11a 및 도 11b에는 단면상에서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에 중첩하는 부분만 도시하였다.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결합 부재(FX1)는 바디 부재(410)를 관통하여 바디 부재(410)와 중간부분(MP)을 결합시킨다. 제3 결합 부재(FX3)는 제2 이동 부재(430)와 제2 케이스 부재(220-1)의 제2 케이스(222)를 결합시킨다.
이후,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5)가 제2 모드로 변형됨에 따라, 노출되는 액티브 영역은 제2 액티브 영역(FAA)으로 확대된다. 제2 액티브 영역(FAA)은 실질적으로 확장된 제1 영역(AR1-E), 확장된 제2 영역(AR2-E), 및 제3 영역(AR3)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된 제1 영역(AR1-E) 및 확장된 제2 영역(AR2-E)은 제1 케이스 부재(210-1) 및 제2 케이스 부재(220-2)의 이동에 의해 도 11a에 도시된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으로부터 확장된 영역들일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 부재(430)의 길이는 도 11a의 제2 이동 부재(430)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증가된 것처럼 도시되었다. 제2 이동 부재(4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 변화에 따라 바디 부재(410) 내부로 삽입되거나 바디 부재(410) 외부로 인출되는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힌지 유닛(400)은 제2 이동 부재(430)의 직선 이동을 통해 제1 방향(D1)에 대한 사선 방향에서의 길이가 변화되고, 실질적으로 제1 방향(D1)에서의 길이도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스 부재(210-1)와 제2 케이스 부재(220)의 제1 방향(D1)에서의 직선 이동에 대해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평면도들이다. 도 12a에는 전자 장치(EA-6)의 제2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12b에는 전자 장치(EA-6)의 제1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한편,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12a 및 도 12b 각각에는 일부 구성들만을 도시하였고,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는 점선 처리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6)는 제1 케이스 부재(210-2) 및 제2 케이스 부재(220-2)를 포함한다. 도 12a 및 도 12에서 고정 부재(300) 및 힌지 유닛(400)은 점선 처리하여 도시되었다. 고정 부재(300) 및 힌지 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부재(300) 및 힌지 유닛(400)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 부재(210-2)와 제2 케이스 부재(220-2)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 부재(210-2)의 평면상에서의 면적은 제2 케이스 부재(220-2)의 평면상에서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케이스 부재(210-2)와 제2 케이스 부재(220-2)는 제2 모드에서 제1 방향(D1)과 나란한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EA-6)는 확장된 액티브 영역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 유닛(4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제1 케이스 부재(210-2)와 제2 케이스 부재(220-2)는 제1 모드에서 제1 방향(D1) 및 제4 방향(D4)으로 각각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스 부재(210-2)와 제2 케이스 부재(220-2)는 각각 고정 부재(300)와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스 부재(210-2)와 제2 케이스 부재(220-2)는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케이스 부재(220-2)는 제1 케이스 부재(210-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6)는 제1 모드에서 실질적으로 제2 모드에서의 크기의 1/3에 대응되는 크기로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EA-5)는 향상된 휴대성과 향상된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평면도들이다. 도 13a에는 전자 장치(EA-7)의 제1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13b에는 전자 장치(EA-7)의 제2 모드에서의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13a 및 도 13b에서 고정 부재(300-2) 및 힌지 유닛(400-3)은 실선 처리하여 도시하였고,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는 점선 처리하여 도시하였으며, 표시 부재(100: 도 1 참조)는 생략되었다. 이하,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7)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12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7)의 고정 부재(300-2)_는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300-2)는 중심 부분(310_M), 제1 사이드 부분(320_S), 및 제2 사이드 부분(330_S)을 포함한다.
중심 부분(310_M)은 힌지 유닛(400-3)이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 유닛(400-3)은 제1 결합 부재(FX1)를 통해 중심 부분(310_M)에 결합된다.
중심 부분(310_M)은 표시 부재(100)의 제1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제1 액티브 영역(AA1: 도 1a 참조)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중심 부분(310_M)은 제1 모드에서 제1 케이스 부재(210) 및 제2 케이스 부재(220)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제1 사이드 부분(320_S) 및 제2 사이드 부분(330_S)은 제1 모드에서 중심 부분(310-M)에 전면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이드 부분(320_S)의 일 변(320E)과 제2 사이드 부분(330_S)의 일 변(330-E)은 제1 방향(D1) 또는 제4 방향(D4)에서 서로 마주하며 평면상에서 중심 부분(310-M)에 중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사이드 부분(320_S) 및 제2 사이드 부분(330_S) 각각의 면적은 중심 부분(310_M)의 면적의 반 보다 작도록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1 사이드 부분(320_S) 및 제2 사이드 부분(330_S) 각각의 면적은 중심 부분(310_M)의 면적의 반과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1 사이드 부분(320_S)의 일 변(320E)과 제2 사이드 부분(330_S)의 일 변(330-E)은 제1 모드에서 서로 맞닿을 수 있다.
제1 사이드 부분(320_S) 및 제2 사이드 부분(330_S)은 제2 모드에서 중심 부분(310-M)의 외측으로 직선 이동(OMD)되어 중심 부분(310-M)으로부터 노출된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300-2)는 직선 이동(OMD)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폭)를 가질 수 있다. 연장된 고정 부재(300-2)의 면적은 전자 장치(EA)의 제2 모드에서의 액티브 영역(FAA: 도 1b 참조)과 대응될 수 있다.
힌지 유닛(400-3)은 복수의 부분들로 구분되는 바디 부재(410-4), 제1 이동 부재(420), 및 제2 이동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420), 및 제2 이동 부재(43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1 이동 부재(420) 및 제2 이동 부재(430) 각각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디 부재(410-4)는 중심부(410_M), 제1 연장부(410_S1), 및 제2 연장부(410_S2)를 포함한다. 중심부(410_M)는 고정 부재(300-2)의 중심 부분(310_M)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결합 부재(FX1)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중심부(410_M)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디 부재(410: 도 5a 참조)와 대응될 수 있다.
제1 연장부(410_S1) 및 제2 연장부(410_S2)는 중심부(410_M)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연장부(410_S1) 및 제2 연장부(410_S2)는 중심부(410_M)의 일 측 및 타 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410_S1)는 중심부(410_M)와 제1 고정 부재(4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모드에서 중심부(410_M)에 삽입되고, 제2 모드에서 중심부(410_M)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부재(420)는 제1 모드에서 제1 연장부(410_S1)에 삽입되고, 제2 모드에서 제1 연장부(410_S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연장부(410_S2)는 중심부(410_M)와 제2 고정 부재(43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모드에서 중심부(410_M)에 삽입되고, 제2 모드에서 중심부(410_M)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 부재(430)는 제1 모드에서 제2 연장부(410_S2)에 삽입되고, 제2 모드에서 제2 연장부(410_S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제1 연장부(410_S1) 및 제1 고정 부재(420)는 제1 모드에서 중심부(410_M)에 모두 삽입되고, 제2 모드에서 중심부(410_M)로부터 모두 인출된다. 또한, 제2 연장부(410_S2) 및 제2 고정 부재(430)는 제1 모드에서 중심부(410_M)에 모두 삽입되고, 제2 모드에서 중심부(410_M)로부터 모두 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유닛(400-3)은 모드에 따라 신축 가능한 바디 부재(410-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EA-7)는 제2 모드에서 더 넓은 액티브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액티브 영역을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고, 액티브 영역이 특정 면적 내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어 전자 장치의 다양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A: 전자 장치 100: 표시 부재
200: 하우징 유닛 300: 고정 부재
400: 힌지 유닛

Claims (20)

  1. 유연한 표시 부재;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부재와 중첩하는 고정 부재;
    상기 표시 부재의 일 측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표시 부재의 타 측을 수용하는 제2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 및
    상기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된 바디 부재, 상기 바디 부재의 일 측과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바디 부재의 타 측과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는 제1 모드에서 제1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시간에 동작하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이한 면적을 가진 제2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이동할 때,
    상기 바디 부재는 상기 평면상에서 회전 운동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각각은 상기 평면상에서 직선 운동하는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각각은 대칭 이동하는 전자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평면상에서 직선 이동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각각의 이동 방향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각각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막대 형상(rod shape)을 갖고,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각각의 이동 방향은 상기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전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각각의 이동은 단속적인 전자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는 상기 모드에 따라 신축 가능한 길이를 가진 전자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를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시키는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이동 부재를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결합시키는 제2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를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결합시키는 제3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재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결합 부재를 관통하여 정의되는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를 결합시키는 제1 서브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를 결합시키는 제2 서브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모드들에 따라 평면상에서 위치가 이동되는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결합 부재 각각의 이동은 상기 제1 서브 결합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가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 서브 결합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이동 부재와 상기 바디 부재가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유닛은 각각이 상기 고정 부재에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된 제1 힌지 유닛 및 제2 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 유닛의 바디 부재와 상기 제2 힌지 유닛의 바디 부재는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전자 장치.
  13. 제1 모드에서 제1 영역이 활성화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영역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제2 영역이 활성화되는 전자 패널;
    상기 전자 패널과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고정 부재;
    상기 전자 패널 및 상기 고정 부재를 수용하고, 일 방향을 따라 각각 직선 이동하는 제1 케이스 부재 및 제2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 및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고 평면상에서 회전 이동하는 바디 부재, 상기 바디 부재의 일 측과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바디 부재의 타 측과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는 평면상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중심으로 대칭 이동하는 전자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이동할 때, 상기 바디 부재는 평면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바디 부재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고,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전자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가 연장된 방향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각각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전자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부재;
    상기 바디 부재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 및
    상기 바디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를 결합하는 제3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톱니 형상의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각각은 상기 기어부에 맞물리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의 상기 일 측과 상기 제1 이동 부재를 결합하는 제1 서브 결합 부재; 및
    상기 바디 부재의 상기 타 측과 상기 제2 이동 부재를 결합하는 제2 서브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결합 부재 각각의 상기 제1 모드에서의 평면상에서의 위치는 상기 제2 모드에서의 평면상에서의 위치와 상이한 전자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고정 부재,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는 평면상에서 모두 중첩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고정 부재,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평면상에서 모두 중첩하는 전자 장치.
  19. 유연한 전자 패널;
    평면상에서 상기 전자 패널과 중첩하는 고정 부재;
    상기 표시 부재의 일 측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표시 부재의 타 측을 수용하는 제2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 및
    상기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된 바디 부재, 상기 바디 부재의 일 측과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고정 결합된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바디 부재의 타 측과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와 고정 결합된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한 전자 장치.
KR1020170065582A 2017-05-26 2017-05-26 전자 장치 KR102471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582A KR102471920B1 (ko) 2017-05-26 2017-05-26 전자 장치
US15/879,932 US10499515B2 (en) 2017-05-26 2018-01-25 Electronic device
CN201810408228.2A CN108932012B (zh) 2017-05-26 2018-05-02 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582A KR102471920B1 (ko) 2017-05-26 2017-05-26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076A true KR20180130076A (ko) 2018-12-06
KR102471920B1 KR102471920B1 (ko) 2022-12-01

Family

ID=6440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582A KR102471920B1 (ko) 2017-05-26 2017-05-26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99515B2 (ko)
KR (1) KR102471920B1 (ko)
CN (1) CN108932012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191A1 (ko) * 2020-04-08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2054977A1 (ko) * 2020-09-09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2114753A1 (ko) * 2020-11-26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81380B2 (en) 2020-05-25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rollable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4789A (ja) * 2016-12-30 2020-05-21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サポー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KR102369212B1 (ko) * 2017-07-28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9189B1 (ko) * 2017-11-29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458690B1 (ko) * 2018-04-04 2022-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모듈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5940A (ko) * 2019-03-29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1646030S (ko) * 2019-04-10 2021-11-08
JP1654799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1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802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JP1654795S (ja) * 2019-04-10 2020-03-09 携帯電話機
CN111835893A (zh) * 2019-04-22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以及伸缩机械部件
CN110475001A (zh) * 2019-08-12 2019-11-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11910549B2 (en) * 2019-09-11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liding
CN110687967B (zh) * 2019-09-24 2021-07-16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控制方法
CN211118419U (zh) * 2019-12-04 2020-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支撑结构
TWI726651B (zh) * 2020-03-11 2021-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折疊式螢幕與可攜式電子裝置
CN113434010B (zh) * 2020-03-23 2023-05-30 宏碁股份有限公司 折叠式屏幕与可携式电子装置
US11315447B2 (en) * 2020-05-26 2022-04-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KR102256042B1 (ko) * 2020-10-13 2021-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력을 유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3204518A1 (ko) * 2022-04-19 2023-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경 화면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872A (ko) * 2010-08-10 2012-02-2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99664A (ko) * 2012-02-29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828A (ja) * 2004-03-01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USD585444S1 (en) 2007-01-26 2009-01-27 Polymer Vision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KR101751883B1 (ko) * 2010-11-19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 연결구조를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9493A (ko) 2010-12-23 2012-07-13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WO2013062224A1 (ko) * 2011-10-26 2013-05-02 Song Min Seob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KR20140054498A (ko) 2012-10-28 2014-05-09 임유섭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2381657B1 (ko) * 2015-05-27 2022-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힌지 모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872A (ko) * 2010-08-10 2012-02-2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99664A (ko) * 2012-02-29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191A1 (ko) * 2020-04-08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245781B2 (en) 2020-04-08 2022-02-0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581380B2 (en) 2020-05-25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rollable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WO2022054977A1 (ko) * 2020-09-09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347271B2 (en) 2020-09-09 2022-05-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22114753A1 (ko) * 2020-11-26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920B1 (ko) 2022-12-01
US20180343754A1 (en) 2018-11-29
CN108932012A (zh) 2018-12-04
US10499515B2 (en) 2019-12-03
CN108932012B (zh)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0076A (ko) 전자 장치
KR102641514B1 (ko)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160087435A (ko) 표시모듈
US11134579B2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20050083644A1 (en) Portable computer
KR20180025358A (ko) 롤러블 표시 장치
JP2011061692A (ja) 電子機器
KR20160027625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WO2007015461A1 (ja) 折畳み機器
KR20230047023A (ko) 변위 변경 힌지 및 대응하는 시스템들을 갖는 힌지식 전자 디바이스
JP2018508806A (ja) フレキシブルスクリーン拡張構造、フレキシブル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及び端末
JPH0327412A (ja) 小型電子機器
JP2020113040A (ja) 電子機器
JP2023512852A (ja) ヒンジ構造物を含む電子装置
KR20190048384A (ko) 더블힌지 모듈 및 이동 단말기
KR20180138494A (ko) 교차힌지 및 이를 이용한 폴딩장치
JP2016169767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用情報機器
CN111885859B (zh) 可折叠壳体组件和可折叠电子设备
US11287854B2 (en)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JP2020053001A (ja) 折畳み可能な表示装置及びヒンジ装置
US11983047B2 (en)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220115380A (ko)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020034664A (ko)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스
TW201351016A (zh) 投影裝置
KR20210086853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