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890A -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890A
KR20180129890A KR1020187031585A KR20187031585A KR20180129890A KR 20180129890 A KR20180129890 A KR 20180129890A KR 1020187031585 A KR1020187031585 A KR 1020187031585A KR 20187031585 A KR20187031585 A KR 20187031585A KR 20180129890 A KR20180129890 A KR 20180129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rray
antenna
uplink signal
blocked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624B1 (ko
Inventor
장타오 황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2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공개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모두 차단되지 않은 것을 가리킴 -,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개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본 공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핸드폰 등 단말기의 응용이 점점 광범위해지고 있다. 단말기에는 통상적으로 안테나 어레이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안테나 어레이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당해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따라서 당해 기지국 또는 기타 단말기와 통신한다. 그러나 당해 단말기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당해 단말기에서의 일부 안테나가 차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당해 단말기의 안테나 어레이가 설치된 부분을 손으로 잡고 있을 경우, 사용자의 손은 일부 안테나를 차단할 수 있어, 이는 당해 안테나를 통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는 당해 단말기가 위치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통함으로써, 당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안테나가 차단된 것을 피면하고,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을 보장한다.
관련 기술에서 포함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공개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모두 차단되지 않은 것을 가리킴 -;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가 모두 차단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 -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된 안테나가 존재하는 것을 가리킴 -;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하는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제일 작은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될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안테나 개수의 역치보다 클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각 안테나 어레이에 대해,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모두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다를 경우,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장착된 제1 센서가 차단된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제1 센서의 위치를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장착된 제2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판단 모듈, 제1 선택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판단 모듈은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모두 차단되지 않은 것을 가리키고;
상기 제1 선택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모듈은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장치는 제1 결정 모듈, 제2 결정 모듈 및 제2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가 모두 차단?다고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된 안테나가 존재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하는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선택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제일 작은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장치는 제1 검출 모듈, 및 제3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 모듈은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선택 모듈은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될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장치는 제2 검출 모듈, 및 제4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출 모듈은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선택 모듈은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안테나 개수의 역치보다 클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판단 모듈은 제1 결정 서브 모듈, 판단 서브 모듈 및 제2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정 서브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판단 서브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각 안테나 어레이에 대해,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결정 서브 모듈은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모두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다를 경우,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결정 서브 모듈은 또한,
장착된 제1 센서가 차단된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제1 센서의 위치를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로 결정하고; 또는,
장착된 제2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모두 차단되지 않은 것을 가리키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적 수단은 하기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직접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만약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면 그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되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가 낮아지는 상황을 피면하며, 이른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을 향상한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공개를 한정할 수 없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나타냈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다른 하나의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도 2c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단말기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개략도이다.
도 2d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다른 하나의 단말기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여기서 상세히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고, 그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된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에 관할 것일 경우,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서로 같은 숫자는 서로 같거나 비슷한 요소를 표시한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서로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지 않는다. 반대로, 이들은 단지 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서로 일치한 장치와 방법의 예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를 상세히 해석하여 설명하기 전에, 본 공개의 실시예의 응용 정경이 먼저 소개되고,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따라서 기지국 또는 기타 단말기와 통신한다. 그러나 만약 당해 단말기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될 경우, 당해 단말기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비록 사용자는 당해 단말기가 위치한 위치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당해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된 것을 피할 수 있지만, 이는 통상적으로 당해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된 것을 빠르고 정확하게 피하기 어렵고, 따라서 당해 단말기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이 비교적 나빠지는 것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을 참조하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되고,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에서,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모두 차단되지 않은 것을 가리킨다.
단계 102에서,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될 경우,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한다.
단계 103에서,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직접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만약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면 그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되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가 낮아지는 상황을 피면하며, 이른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을 향상한다.
선택 가능하게,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가 모두 차단?다고 결정하는 단계 -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된 안테나가 존재하는 것을 가리킴 -;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하는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제일 작은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될 경우,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안테나 개수의 역치보다 클 경우,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각 안테나 어레이에 대해,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에 기반하여, 당해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
당해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모두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다를 경우, 당해 안테나 어레이를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장착된 제1 센서가 차단된 것이 검출될 경우, 당해 제1 센서의 위치를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장착된 제2 센서에 기반하여 당해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를 결정하고, 당해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에 기반하여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술한 모든 선택 가능한 기술적 수단은, 모두 임의의 결합에 따라 본 공개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고, 본 공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다시 일일이 서술하지 않는다.
도 2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다른 하나의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a를 참조하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되고,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서, 단말기가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가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될 경우, 단계 202를 실행하고,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단계 203을 실행한다.
단말기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일부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될 수 있기에,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은 통상적으로 매우 나쁘고, 따라서, 업링크 신호가 송신되는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당해 단말기는 핸드폰일 수 있고, 당연히, 실제 응용에서, 당해 단말기는 기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업링크 신호는 당해 단말기가 기지국에 송신한 신호일 수 있다. 당연히, 실제 응용에서, 당해 업링크 신호는 당해 단말기가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기타 기기(예를 들어 통신 위성 등)에 송신할 필요가 있는 신호일 수도 있다.
더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모두 차단되지 않은 것을 가리킨다. 상응하게,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된 안테나가 존재하는 것을 가리킨다.
여기서, 당해 단말기는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각 안테나 어레이에 대해,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에 기반하여, 당해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당해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모두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다를 경우, 당해 안테나 어레이를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로 결정한다. 당해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위치가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서로 같은 것이 포함될 경우, 당해 안테나 어레이를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단말기는 2개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고, 각각 안테나 어레이(1)와 안테나 어레이(2)이며, 안테나 어레이(1)는 당해 단말기의 배면의 상부에 설치되고, 안테나(11), 안테나(12), 안테나(13), 안테나(14), 안테나(15) 및 안테나(16)를 포함한다. 안테나 어레이(2)는 당해 단말기의 배면의 하부에 설치되고, 안테나(21), 안테나(22), 안테나(23), 안테나(24), 안테나(25) 및 안테나(26)를 포함한다. 당해 단말기는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위치(1)로 결정하고, 위치(1)는 안테나(15) 및 안테나(12)의 위치와 서로 같으며, 따라서, 당해 단말기는 안테나(12)와 안테나(15)를 차단된 안테나로 결정하고, 안테나 어레이(1)를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로 결정한다.
나아가, 당해 단말기는 하기의 2가지 가능한 구현 방식을 통해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은,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정확성을 향상하고, 더 나아가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정확성을 향상하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당해 단말기는 장착된 제1 센서가 차단된 것이 검출될 경우, 당해 제1 센서의 위치를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로 결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단말기는 사전에 각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안테나가 있는 위치에 제1 센서를 설치할 수 있고, 제1 센서는 응력 센서, 광 센서 또는 온도 센서 등 센서일 수 있다. 당연히, 실제 응용에서, 제1 센서는 기타 센서일 수 있다.
그밖에,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1 센서는 각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안테나가 있는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각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안테나의 가장자리 또는 부근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제1 센서는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직접 결정할 수 있음을 확보한다.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은, 당해 단말기에는 통상적으로 중력 센서 또는 광 센서 등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기에, 중력 센서 또는 광 센서를 통해 단말기가 위치한 자세, 예를 들어 수평되고 정면이 위로 향하며, 수평되고 정면이 아래로 향하며, 수직 등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원가를 낮추고,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응용 범위를 향상하기 위해, 당해 단말기는 장착된 제2 센서에 기반하여 당해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를 결정할 수 있고, 당해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에 기반하여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는 중력 센서와 광 센서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연히, 실제 응용에서, 제1 센서는 기타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당해 단말기가 수평되고 정면이 아래로 향할 경우, 당해 단말기의 정면이 차단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당해 단말기가 수평되고 정면이 위로 향할 경우, 당해 단말기의 배면이 차단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당해 단말기가 수직 자세에 있을 경우, 가능하게 사용자가 전화를 받고 있고, 사용자 전화를 받을 경우 통상적으로 당해 단말기 배면의 하부를 손에 쥘 펼요가 있으며, 따라서, 당해 단말기 배면의 하부가 차단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당해 단말기 현재 위치한 서로 다른 자세에 따라,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기타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202에서, 당해 단말기가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고, 단계 204를 실행한다.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므로, 당해 단말기는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당해 단말기는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당연히, 실제 응용에서, 당해 단말기는 기타 방식을 통해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능한 구현 방식은, 당해 단말기는 사전에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중의 각 안테나 어레이에 우선 순위를 설치하고,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할 경우,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각 안테나 어레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203에서, 당해 단말기는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가 모두 차단?다고 결정하고,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며, 단계 204를 실행한다.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가 모두 차단되고, 이른바,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비록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모두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지만, 각 안테나 어레이에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는 다를 수 있고, 차단된 안테나가 비교적 적은 안테나 어레이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은 통상적으로 차단된 안테나가 비교적 많은 안테나 어레이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정확성, 더 나아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당해 단말기는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하는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결정하고,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제일 작은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단말기는 2개의 안테나 어레이인 안테나 어레이(1)와 안테나 어레이(2)을 포함하고, 안테나 어레이(1)와 안테나 어레이(2)는 모두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당해 단말기가 안테나 어레이(1)에는 3개의 차단된 안테나를 포함하고, 안테나 어레이(2)에는 2개의 차단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며, 안테나 어레이(2)에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제일 작으므로, 당해 단말기는 안테나 어레이(2)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204에서, 당해 단말기가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당해 단말기는 이미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는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또는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제일 작은 안테나 어레이이며, 이른바,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은 통상적으로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기타 안테나 어레이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보다 우수하므로,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당해 단말기는 빔(beam)의 형태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당해 단말기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당해 단말기가 위치한 자세가 변화할 수 있고, 따라서,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도 변화할 수 있으며, 그래서 현재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안테나도 차단될 수 있음으로써,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이 낮아진다. 따라서, 당해 단말기가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을 더 확보하기 위해, 당해 단말기가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당해 단말기는 실시간으로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의 차단된 상황을 검출함으로써,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당해 단말기는 하기의 2가지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통해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당해 업링크 신호의 품질을 될 수 있는 한 확보하기 위해, 당해 단말기가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될 경우,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이른바,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되지 않으므로, 당해 단말기는 계속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른바,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임의의 차단된 안테나가 나타나기만 하면, 당해 단말기는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단말기는 상부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1)를 통해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안테나 어레이(1)에서의 안테나(11)가 차단된 것을 검출하고, 따라서, 당해 단말기는 다시 안테나 어레이(1)와 안테나 어레이(2)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인 안테나 어레이(2)를 선택하고, 하부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2)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하며,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 어레이를 전환하기에 당해 업링크 신호에 지연 또는 기타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고, 따라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효율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당해 단말기가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고,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안테나 개수의 역치보다 클 경우,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안테나 개수의 역치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당해 단말기는 계속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른바, 오직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너무 많아,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성공률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경우에만, 당해 단말기는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한다.
여기서, 당해 단말기는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안테나 개수 역치보다 큰 것을 결정하기 전에, 당해 안테나 개수 역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능한 구현 책략은, 당해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치를 수신하는 것을 통해 당해 안테나 개수 역치를 결정한다. 당연히, 실제 응용에서, 당해 단말기는 기타 방식을 통해 당해 안테나 개수 역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당해 안테나 개수 역치는 각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안테나 개수의 1/2일 수 있고, 당연히, 실제 응용에서, 당해 안테나 개수의 역치는 다른 값일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단말기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는 단계는, 단계 201 내지 단계 203에서 당해 단말기가 당해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와 서로 같을 수 있고, 본 공개의 실시예는 일일이 서술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당해 단말기가 안테나 어레이(2)를 통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안테나 어레이(2)에서의 안테나(21)와 안테나(22)가 차단된 것을 검출하고, 당해 안테나 개수의 역치가 3일 경우,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3보다 작으므로, 당해 단말기는 계속 안테나 어레이(2)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당해 단말기가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안테나(25)와 안테나(26)도 차단된 것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3보다 크므로, 당해 단말기는 다시 안테나 어레이(1)와 안테나 어레이(2)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우선,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당해 단말기는 직접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만약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면 그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되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가 낮아지는 상황을 피면하며, 이른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을 향상한다. 그다음, 만약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가 모두 차단되면, 당해 단말기는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제일 적은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을 더 확보한다. 그밖에, 당해 단말기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된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도 있고,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된 상황에 따라,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며, 업링크 신호가 발생하는 품질을 더 향상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당해 장치는 판단 모듈(301), 제1 선택 모듈(302) 및 송신 모듈(303)을 포함한다.
판단 모듈(301)은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모두 차단되지 않은 것을 가리킨다.
제1 선택 모듈(302)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될 경우,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송신 모듈(303)은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당해 장치는 제1 결정 모듈, 제2 결정 모듈 및 제2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1 결정 모듈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가 모두 차단됐다고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된 안테나가 존재하는 것을 가리킨다.
제2 결정 모듈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하는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선택 모듈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제일 작은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당해 장치는 제1 검출 모듈, 및 제3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1 검출 모듈은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선택 모듈은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될 경우,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당해 장치는 제2 검출 모듈, 및 제4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2 검출 모듈은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선택 모듈은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안테나 개수의 역치보다 클 경우,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당해 판단 모듈은 제1 결정 서브 모듈, 판단 서브 모듈 및 제2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제1 결정 서브 모듈은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판단 서브 모듈은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각 안테나 어레이에 대해,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에 기반하여, 당해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결정 서브 모듈은 당해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모두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다를 경우, 당해 안테나 어레이를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당해 제1 결정 서브 모듈은 또한,
장착된 제1 센서가 차단된 것이 검출될 경우, 당해 제1 센서의 위치를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로 결정하고; 또는,
장착된 제2 센서에 기반하여 당해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를 결정하고, 당해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에 기반하여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직접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만약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면 그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되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가 낮아지는 상황을 피면하며, 이른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을 향상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장치에 관하여, 여기서 각 모듈의 실행 조작의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관련된 당해 방법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4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400)는 휴대 전화, 메시지 송수신 기기, 태블릿 기기, 피디에이 등일 수 있다.
도4를 참고하면, 장치(400)는 처리 어셈블리(402), 메모리(404), 전원 어셈블리(406),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408), 오디오 어셈블리(4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412), 센서 어셈블리(414)와 통신 어셈블리(416)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402)는 통상적으로 장치(4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된 조작을 처리한다. 처리 어셈블리(402)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4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 중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어셈블리(402)는 처리 어셈블리(402)와 다른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티브에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어셈블리(402)는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408)와 처리 어셈블리(402) 사이의 인터랙티브에 편리하도록 멀티 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04)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400)에서의 조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데이터의 예시로는 장치(400)에서 조작되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인 데이터, 전화 통신록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404)는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 램(SRAM), 이이피롬(EEPROM), 이피롬(EPROM), 프롬(PROM), 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이다.
전원 어셈블리(406)는 장치(4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어셈블리(4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및 장치(400)를 위해 전원을 생성, 관리 및 할당하기 위한 다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408)는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장치(400)와 사용자 사이에서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 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한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액션의 경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조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과 압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408)는 전치 카메라 및/또는 후치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4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인 경우, 전치 카메라 및/또는 후치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치 카메라 및/또는 후치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으며, 또는 초점거리와 광학 초점 변경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4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장치(4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인 경우, 카메라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404)에 진일보로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416)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인터페이스(412)는 처리 어셈블리(4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들 버튼은 홈페이지 버튼, 볼륨 버튼, 부팅 버튼과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장치(400)에 대해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진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414)는 장치(400)의 켜짐과 닫힘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적 포지셔닝을 검출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어셈블리는 장치(400)의 디스플레이와 키패드이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장치(400) 또는 장치(400)의 하나의 어셈블리의 위치 변경, 사용자와 장치(400)의 접촉의 포함 여부, 장치(400)의 방위 또는 가속 및 감속, 장치(400)의 온도 변화도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는 경우에 근처 물체의 포함하는 것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결상 응용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414)는 가속 센서, 자이로 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416)는 장치(400)와 기타 다른 기기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에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400)는 통신 표준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3G, 4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접속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416)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거쳐 외부 브로드캐스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오는 브로드캐스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4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인식(RFID) 기술, 국제적외선통신데이터협회(IrDA) 기술, 초광대역 통신(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과 기타 다른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4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다른 전자 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404)를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은 장치(400)의 프로세서(420)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램(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픽 디스크 및 광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저장 매체에서의 명령이 모바일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당해 방법은,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모두 차단되지 않은 것을 가리킴 -;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될 경우,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당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가 모두 차단됐다고 결정하는 단계 -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된 안테나가 존재하는 것을 가리킴 -;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하는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제일 작은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에,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될 경우,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에,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
현재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안테나 개수의 역치보다 클 경우,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당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각 안테나 어레이에 대해,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에 기반하여, 당해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
당해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모두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다를 경우, 당해 안테나 어레이를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장착된 제1 센서가 차단된 것이 검출될 경우, 당해 제1 센서의 위치를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장착된 제2 센서에 기반하여 당해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를 결정하고, 당해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에 기반하여 당해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직접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만약 당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면 그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가 차단되어 송신하는 업링크 신호가 낮아지는 상황을 피면하며, 이른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품질을 향상한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를 고려하고 및 여기에서 개시한 발명을 실천한 후, 본 개시에 따른 기타 실시 형태를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개시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는 것을 취지로 한다.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며, 본 개시에 개시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 기술 또는 관용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이며, 본 개시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나타낸다.
이해되어야 하는 바로는, 본 개시는 위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수정되고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3)

  1.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모두 차단되지 않은 것을 가리킴 -;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가 모두 차단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 -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된 안테나가 존재하는 것을 가리킴 -;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하는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제일 작은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될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안테나 개수의 역치보다 클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각 안테나 어레이에 대해,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모두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다를 경우,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장착된 제1 센서가 차단된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제1 센서의 위치를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장착된 제2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7.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판단 모듈, 제1 선택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 모듈은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모두 차단되지 않은 것을 가리키고;
    상기 제1 선택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모듈은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결정 모듈, 제2 결정 모듈 및 제2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가 모두 차단됐다고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차단된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된 안테나가 존재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하는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선택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제일 작은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검출 모듈, 및 제3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 모듈은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선택 모듈은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차단된 안테나가 포함될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10.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2 검출 모듈, 및 제4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출 모듈은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선택 모듈은 현재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된 차단된 안테나의 개수가 안테나 개수의 역치보다 클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다시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모듈은 제1 결정 서브 모듈, 판단 서브 모듈 및 제2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정 서브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판단 서브 모듈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각 안테나 어레이에 대해,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결정 서브 모듈은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의 위치가 모두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와 다를 경우,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로 결정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서브 모듈은 또한,
    장착된 제1 센서가 차단된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제1 센서의 위치를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로 결정하고; 또는,
    장착된 제2 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자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의 차단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13.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송신 대기하는 업링크 신호가 검출될 경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 어레이이며,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는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모두 차단되지 않은 것을 가리키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되지 않은 안테나 어레이 중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KR1020187031585A 2017-01-20 2017-07-10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26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40962.3A CN108337025B (zh) 2017-01-20 2017-01-20 发射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
CN201710040962.3 2017-01-20
PCT/CN2017/092418 WO2018133341A1 (zh) 2017-01-20 2017-07-10 发射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890A true KR20180129890A (ko) 2018-12-05
KR102126624B1 KR102126624B1 (ko) 2020-06-25

Family

ID=6100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585A KR102126624B1 (ko) 2017-01-20 2017-07-10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352383B1 (ko)
JP (1) JP6559248B2 (ko)
KR (1) KR102126624B1 (ko)
CN (1) CN108337025B (ko)
RU (1) RU2690687C1 (ko)
WO (1) WO2018133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7347A1 (zh) * 2018-11-29 2020-06-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波束扫描范围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547084B (zh) * 2019-01-03 2023-12-22 上海龙旗科技股份有限公司 确定目标天线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2436876A (zh) * 2019-08-26 2021-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5g天线控制方法和装置、5g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153194B (zh) * 2020-09-25 2022-05-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512828A (zh) * 2020-11-16 2022-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屏下天线的管理方法及装置
CN113783582A (zh) * 2021-08-27 2021-12-10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毫米波天线的信号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6073869A (zh) * 2021-10-29 2023-05-05 华为终端有限公司 天线的选择方法、终端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499A (ko) * 2007-08-27 2010-06-07 램버스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무선 장치를 위한 연성 상호 접속부를 갖는 안테나 어레이
JP2011082806A (ja) * 2009-10-07 2011-04-21 Nec Saitama Ltd 通信端末
JP2013110702A (ja) * 2011-11-24 2013-06-06 Ntt Docomo Inc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プログラム
KR20160148032A (ko) * 2014-05-28 2016-12-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배향 기반 빔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224B2 (ja) * 2001-01-26 2006-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それを利用した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
WO2006042399A1 (en) * 2004-10-18 2006-04-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internal antenna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627296B2 (en) * 2004-10-18 2009-12-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internal antenna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123595B1 (ko) * 2006-12-11 2012-03-2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아이솔레이션 엘리먼트를 갖는 다중 안테나 디바이스
US8159399B2 (en) * 2008-06-03 2012-04-17 Apple Inc. Antenna diversity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6312461B2 (ja) * 2014-02-26 2018-04-1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CN104752832B (zh) * 2015-03-02 2018-08-1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自对准方法和电子设备
US9641229B2 (en) * 2015-06-30 2017-05-0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a reconfigurable over-indexed antenna array
US20170110787A1 (en) * 2015-10-14 2017-04-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Millimeter Wave Antennas And Metal Housings
JP6689366B2 (ja) * 2016-03-30 2020-04-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
WO2017169010A1 (ja) * 2016-03-30 2017-10-0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131329B (zh) * 2016-06-30 2019-08-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工作模式选择方法
KR20190027929A (ko) * 2016-09-23 2019-03-1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통신 단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499A (ko) * 2007-08-27 2010-06-07 램버스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무선 장치를 위한 연성 상호 접속부를 갖는 안테나 어레이
JP2011082806A (ja) * 2009-10-07 2011-04-21 Nec Saitama Ltd 通信端末
JP2013110702A (ja) * 2011-11-24 2013-06-06 Ntt Docomo Inc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プログラム
KR20160148032A (ko) * 2014-05-28 2016-12-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배향 기반 빔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37025B (zh) 2019-12-27
WO2018133341A1 (zh) 2018-07-26
JP6559248B2 (ja) 2019-08-14
CN108337025A (zh) 2018-07-27
KR102126624B1 (ko) 2020-06-25
RU2690687C1 (ru) 2019-06-05
EP3352383A1 (en) 2018-07-25
JP2019511134A (ja) 2019-04-18
EP3352383B1 (en) 2019-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9890A (ko)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838883B2 (en) Transmissio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US11350394B2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05163355A (zh) 一种移动终端切换网络的方法及装置
CN104731472A (zh) 一种图标快速整理方法及装置
US11641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nel occupancy information
CN105704282A (zh) 摄像头检测方法及装置
US1101874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antenna
US20210345443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CN104793867A (zh) 移动终端及其虚拟边框区域的滑动识别方法
US11540214B2 (en) Timer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US118642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base station
WO2020223931A1 (zh) 小区切换方法及装置、切换配置方法及装置和用户设备
US1130406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porting and determining optimal beam,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210306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tenna module, and storage medium
US2023018012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terminal
CN10510049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4935734A (zh) 一种移动终端应用切换的方法及移动终端
EP3952370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1785541B2 (en) Method for executing BFR process, device, terminal,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US20220110093A1 (en)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US114962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transmission direction
CN106331324A (zh) 移动终端的熄屏控制方法及控制装置
WO2017117863A1 (zh) 移动终端及其屏幕解锁方法
US11076367B2 (en) Power headroom repor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