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754A -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754A
KR20180127754A KR1020170062888A KR20170062888A KR20180127754A KR 20180127754 A KR20180127754 A KR 20180127754A KR 1020170062888 A KR1020170062888 A KR 1020170062888A KR 20170062888 A KR20170062888 A KR 20170062888A KR 20180127754 A KR20180127754 A KR 20180127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ing
weight
parts
double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662B1 (ko
Inventor
박종규
최규하
오상덕
김영섭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2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66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필름 상에 하드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액은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무기입자, 광개시제, 유기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입자는 입자 직경이 다른 무기입자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의 안티블록킹성이 향상되었다.
상기 하드코팅액은 각종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레벨링제로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이 확보된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DOUBLE SIDE HARD COATING FILM FOR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정 범위의 평균 입경을 갖는 무기입자를 적정량 포함하는 하드코팅액이 기재필름의 양면에 도포되어 안티블록킹성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나 FDP(Flat Panel Display)용 기기에는 다양한 용도의 하드코팅 필름이 적용된다. 해당 기기의 전·후면에 적용되는 하드코팅 필름의 경우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펜과 같은 물체의 하중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표면의 스크래치 또는 찍힘이 발생하여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외부 자극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하드코팅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롤 주행 시, 롤과 기재필름 또는 롤과 하드코팅 필름 간의 블록킹 현상이 발생하여 롤과 상기 필름들간의 마찰로 인해 달라 붙거나 정전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양면 하드코팅 필름을 권취된 상태로 보관 시 층간 점착력 또는 화학적인 힘에 의해 활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블록킹을 야기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블록킹이 발생한 경우 층간 분리가 어렵고 무리하게 분리하고자 하면 코팅층에 손상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블록킹이 발생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면 표면 눌림이 다량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질과 기질 사이에 안티블록킹성을 필요로 한다.
종래 기술은 하드코팅 필름 제조 시 하나의 무기입자만을 사용하여 상기의 문제들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무기입자를 혼합 사용하여 안티블로킹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개선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748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과 FDP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후면에 적용 가능한 양면 하드코팅 필름으로 안티블록킹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양면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은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무기입자, 광개시제, 유기용매, 첨가제가 포함된 하드코팅액이 도포된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기재필름의 타면에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가 포함된 하드코팅액이 도포된 제 2 하드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입자는 하드코팅액 조성물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입자 직경 300 내지 500nm인 무기입자가 0.5 내지 2.0 중량부, 입자 직경 10 내지 300nm인 무기입자가 1.0 내지 1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이다.
상기 첨가제는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합물 중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가제는 제 1 하드코팅층을 구성하는 하드코팅액 조성물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가 1 내지 5 중량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가 0.01 내지 0.05 중량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 탈크,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중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성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멜라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크릴계 화합물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하드코팅층의 평균 조도는 2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하드코팅층의 수접촉각은 10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은 연필경도 1H 이상, 수접촉각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0.8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면 하드코팅 필름은 하드코팅액에 서로 다른 입자 직경을 갖는 무기입자를 혼합 사용하고, 레벨링를 첨가함으로써 안티블록킹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하드코팅 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은 기재필름의 양면에 하드코팅액이 도포된 하드코팅층이 존재한다.
(1) 기재필름
본 발명의 기재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알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시클로올레핀 수지 또는 아크릴스티렌 수지 등 투명성이 높은 재료가 좋으며, 특히 광선투과율은 높고 헤이즈 값은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기재필름의 전광선투과율은 가시광선 영역(400 ~ 700nm)에서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며, 헤이즈값은 3%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또한 상기 기재필름은 광학특성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할수록 바람직하다.
기재필름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산 및 코팅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첨가제, 예를 들면 염료 및 안료와 같은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및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코로나 방전 처리나 인라인 코팅 처리와 같은 다양한 표면 처리를 할 수 있다. 다만 표면에 인라인 코팅 처리를 하는 경우 코팅막의 굴절률은 기재필름의 굴절률(약 1.62)이나 하드코팅층의 굴절률(1.5 ~ 1.6)과 유사하도록 하여 계면에서 빛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는 적용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통상적으로 25 ~ 500㎛이며, 바람직하게는 25 ~ 200㎛이다.
(2) 제 1 하드코팅층
본 발명에서 제 1 하드코팅층을 구성하는 하드코팅액 조성물은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무기입자, 광개시제, 유기용매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성 올리고머로는 자외선 경화가 가능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멜라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크릴계 화합물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3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 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이레트리톨트로(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로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 탈크,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등의 입자로, 콜로이드 상태인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의 우수한 안티블록킹성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코팅액 조성물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입자 직경 300 내지 500nm인 무기입자가 0.5 내지 2.0 중량부, 입자 직경 10 내지 300nm인 무기입자가 1.0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입자 직경이 300 내지 500nm인 무기입자가 0.5 중량부 미만이면 안티블록킹성이 저하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헤이즈(Haze)가 상승한다. 또한 입자 직경이 10 내지 300nm인 무기입자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안티블록킹성이 저하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헤이즈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 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 α,α-디메톡시-α-페닐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모포린일)페닐]-1-부타논, 2-메틸-1-[4-(메틸씨오)페닐]-2-(4-몰포린일)-1-프로판온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또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품으로는 Irgacure 184, Irgacure 500, Irgacure 651, Irgacure 369, Irgacure 907, Darocur 1173, Darocur MBF, Irgacure 819, Darocur TPO, Irgacure 907, Esacure KIP 100F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크실렌 등의 방향족 화합물, 에테르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용매의 양은 지나치게 적거나 많지 않도록 조절되어야 하며,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코팅액 조성물에는 자외선 흡수제, 윤활제, 레벨링제, 소포제, 종합촉진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적외선 흡수제, 계면활성제, 표면개질제 등의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드코팅액 조성물에 레벨링제를 1종 이상 혼합하여 표면에 우수한 슬립(slip)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벨링제는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합물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첨가제는 하드코팅액 조성물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5 중량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첨가제는 하드코팅액 조성물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0.0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0.8 내지 3㎛ 이다. 상기 제 1 하드코팅층이 0.8㎛ 미만이면 코팅성의 저하 및 최종 하드코팅 필름의 기계적 물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고, 3㎛를 초과하면 생산성 저하 및 코팅층 경화 과정에서 미경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 1 하드코팅층은 기재필름 상에 하드코팅액을 도포한 후 광경화에 의해 형성되며, 경화에 사용되는 활성선으로는 자외선, 전자선 및 방사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하드코팅층의 표면 조도는 2nm 이상이다. 표면 조도가 낮을수록 표면이 요철 없이 고른 상태인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표면 조도가 2nm 미만이면 안티블록킹 성능이 발현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하드코팅층의 수접촉각은 105˚ 이상이다. 수접촉각이 105˚ 미만이면 하드코팅 필름의 표면에 오염 방지 기능이 저하되어 디스플레이 전면용으로 부적합하다.
(3) 제 2 하드코팅층
본 발명에서 제 2 하드코팅층을 구성하는 하드코팅액 조성물은 무기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면 제 1 하드코팅층을 구성하는 하드코팅액 조성물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제 2 하드코팅층의 경우 표면의 연필경도 1H 이상, 수접촉각 8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필경도가 1H 미만이면 하드코팅 필름 표면의 내스크래치성과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수접촉각이 80˚를 초과하면 표면에너지가 낮아져 인쇄나 코팅이 불가능하여 추가 인쇄나 코팅이 필요한 디스플레이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혼합조에 하기 물질을 혼합하여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금호석유화학, G4230 수지): 100 중량부
- 평균입경이 10 ~ 300㎚인 실리카 무기입자(나노 레진 제품, 나노폴 C 모델): 5 중량부
- 평균입경이 300 ~ 500㎚인 실리카 무기입자(나노 레진 제품, 나노폴 C 모델): 1 중량부
-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첨가제(다이킨 공업 주식회사, DACHP): 2.5 중량부
- 메틸이소부틸케톤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1:1 혼합용제: 45 중량부
<제조예 2>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혼합조에 하기 물질을 혼합하여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금호석유화학, G4230 수지): 100 중량부
- 평균입경이 10 ~ 300㎚인 실리카 무기입자(나노 레진 제품, 나노폴 C 모델): 5 중량부
- 평균입경이 300 ~ 500㎚인 실리카 무기입자(나노 레진 제품, 나노폴 C 모델): 1.5 중량부
-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첨가제(다이킨 공업 주식회사, DACHP): 2.5 중량부
- 메틸이소부틸케톤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1:1 혼합용제: 45 중량부
<제조예 3>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혼합조에 하기 물질을 혼합하여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금호석유화학, G4230 수지): 100 중량부
- 평균입경이 10 ~ 300㎚인 실리카 무기입자(나노 레진 제품, 나노폴 C 모델): 5 중량부
- 평균입경이 300 ~ 500㎚인 실리카 무기입자(나노 레진 제품, 나노폴 C 모델): 1 중량부
-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첨가제(다이킨 공업 주식회사, DACHP): 2.5 중량부
-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첨가제(BYK주식회사, UV3600): 0.03 중량부
- 메틸이소부틸케톤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1:1 혼합용제: 45 중량부
<제조예 4>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혼합조에 하기 물질을 혼합하여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금호석유화학, G4230 수지): 100 중량부
- 평균입경이 10 ~ 300㎚인 실리카 무기입자(나노 레진 제품, 나노폴 C 모델): 5 중량부
- 평균입경이 300 ~ 500㎚인 실리카 무기입자(나노 레진 제품, 나노폴 C 모델): 1.5 중량부
-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첨가제(다이킨 공업 주식회사, DACHP): 2.5 중량부
-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첨가제(BYK주식회사, UV3600): 0.03 중량부
- 메틸이소부틸케톤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1:1 혼합용제: 45 중량부
<제조예 5>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혼합조에 하기 물질을 혼합하여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금호석유화학, G4230 수지): 100 중량부
- 평균입경이 10 ~ 300㎚인 실리카 무기입자(나노 레진 제품, 나노폴 C 모델): 5 중량부
-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첨가제(다이킨 공업 주식회사, DACHP): 2.5 중량부
- 메틸이소부틸케톤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1:1 혼합용제: 45 중량부
<제조예 6>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혼합조에 하기 물질을 혼합하여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금호석유화학, G4230 수지): 100 중량부
- 메틸이소부틸케톤과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1:1 혼합용제: 45 중량부
구분 반응성 올리고머+반응성 모노머+광개시제 실리카 무기입자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첨가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첨가제
10~300nm 300~500nm
제조예 1 100 5 1 2.5 -
제조예 2 100 5 1.5 2.5 -
제조예 3 100 5 1 2.5 0.03
제조예 4 100 5 1.5 2.5 0.03
제조예 5 100 5 - 2.5 -
제조예 6 100 - - - -
표 1은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제조예 1 내지 6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5의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 1 하드코팅층
두께가 125㎛인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도레이첨단소재, 루미러)의 일면에 균일하게 혼합된 제조예 1의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80℃에서 2분간 건조하였다. 이후 고압 수은 자외선 램프의 적산광량 300mJ/㎠을 조사 후 경화 처리하여 제 1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제 2 하드코팅층
상기 기재필름의 이면에 균일하게 혼합된 제조예 6의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80℃에서 2분간 건조하였다. 이후 고압 수은 자외선 램프의 적산광량 300mJ/㎠을 조사 후 경화 처리하여 제 2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균일하게 혼합된 제조예 2의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균일하게 혼합된 제조예 3의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균일하게 혼합된 제조예 4의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균일하게 혼합된 제조예 5의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산술 평균 조도(Ra) 및 10점 평균 조도(Rz) 측정
제 1 하드코팅층의 표면상 거칠기를 조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산술 평균 조도(Ra) 및 10점 평균 조도(Rz)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2. 수접촉각 측정
제 1 하드코팅층 및 제 2 하드코팅층 필름의 방오성을 확인하기 위해 접촉각계(㈜쿄와, Drop Master 300)를 사용하여 하드코팅층 표면에 직경 2mm 정제수를 적하하고 하드코팅층 표면과 정제수의 접촉각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3. 안티블록킹(Anti-blocking)성 측정
하드코팅 필름을 3×10cm의 크기로 잘라내어 제 1 하드코팅층과 제 2 하드코팅층을 포개고 유리판에 끼워 200g/㎠의 조건에서 실온 24시간 방치 후 육안으로 안티블록킹 유무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안티블록킹성 평가는 육안으로 제 1 하드코팅층과 제 2 하드코팅층의 밀착된 정도를 관찰하여 밀착된 정도가 약할수록 우수한 것으로 본다.
※ 안티블록킹성 나쁨 ← X < △ < ○ < ◎ → 안티블록킹성 우수
4. 내스크래치성 측정
제 1 하드코팅층 위에 스틸울(steel wool, 강철솜)을 사용하여 1kg/㎠의 하중을 가하여 3,000회 왕복하여 상처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처의 개수에 따라 레벨을 평가하였다.
- 상처가 없는 경우: 레벨 5
- 상처가 1~5개인 경우: 레벨 4
- 상처가 5~10개인 경우: 레벨 3
- 상처가 10개 이상인 경우: 레벨 2
- 전체면에 상처가 있는 경우: 레벨 1
5. 연필경도 측정
제 2 하드코팅층에 경도측정기(신토카가쿠사, Heidon)를 사용하여 JIS K-5400기준에 따라 연필경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제 1 하드코팅층 Ra 3.0 4.9 3.0 4.9 1.4
Rz 34 47 34 47 15
수접촉각 103 103 110 110 1.3
안티블록킹성
내스크래치성 3 3 5 5 3
제 2 하드코팅층 연필경도 H H H H H
수접촉각 65 65 65 65 6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의 내스크래치성 및 안티블록킹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특정 범위의 평균 입경을 갖는 무기 입자를 특정 범위 함량으로 첨가하여야 안티블록킹성이 향상되고, 플루오르 및 실리콘 첨가제가 혼합됨으로써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 … 제 1 하드코팅층
20 … 제 2 하드코팅층
30 … 기재필름

Claims (9)

  1.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무기입자, 광개시제, 유기용매, 첨가제가 포함된 하드코팅액이 도포된 제 1 하드코팅층;
    및 상기 기재필름의 타면에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가 포함된 하드코팅액이 도포된 제 2 하드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입자는 하드코팅액 조성물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입자 직경 300 내지 500nm인 무기입자가 0.5 내지 2.0 중량부, 입자 직경 10 내지 300nm인 무기입자가 1.0 내지 1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인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합물 중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제 1 하드코팅층을 구성하는 하드코팅액 조성물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가 1 내지 5 중량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가 0.01 내지 0.05 중량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 탈크,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중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멜라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크릴계 화합물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코팅층의 평균 조도는 2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코팅층의 수접촉각은 10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드코팅층은 연필경도 1H 이상, 수접촉각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0.8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KR1020170062888A 2017-05-22 2017-05-22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KR102107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888A KR102107662B1 (ko) 2017-05-22 2017-05-22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888A KR102107662B1 (ko) 2017-05-22 2017-05-22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754A true KR20180127754A (ko) 2018-11-30
KR102107662B1 KR102107662B1 (ko) 2020-05-07

Family

ID=6456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888A KR102107662B1 (ko) 2017-05-22 2017-05-22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6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40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77648A1 (ko) * 2020-03-06 2021-09-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윈도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721B1 (ko) * 2009-06-01 2011-12-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보호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KR20150113405A (ko) * 2014-03-28 2015-10-08 (주)엘지하우시스 안티블록킹 하드코팅층 조성물, 안티블록킹 하드코팅층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KR101664735B1 (ko) * 2015-08-13 2016-10-1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지문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문방지 하드코팅 필름
KR101725026B1 (ko) * 2016-12-06 2017-04-07 황중국 고강도 하드코팅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하드코팅 액정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721B1 (ko) * 2009-06-01 2011-12-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보호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KR20150113405A (ko) * 2014-03-28 2015-10-08 (주)엘지하우시스 안티블록킹 하드코팅층 조성물, 안티블록킹 하드코팅층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KR101664735B1 (ko) * 2015-08-13 2016-10-1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지문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문방지 하드코팅 필름
KR101725026B1 (ko) * 2016-12-06 2017-04-07 황중국 고강도 하드코팅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하드코팅 액정보호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40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77648A1 (ko) * 2020-03-06 2021-09-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윈도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662B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617B1 (ko) 하드코팅 필름
TWI527859B (zh) 硬塗膜
KR101686644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TW201634597A (zh) 硬塗覆組合物及使用其之硬塗膜
KR101463282B1 (ko)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KR101509266B1 (ko) 방현성 광투과성 하드코트필름
KR101496456B1 (ko) 하드코팅필름
JP6155346B2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10107542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反射防止フィルム
KR101432987B1 (ko) 투과도가 우수한 내지문성 방현코팅액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내지문성 방현필름
JP2001205179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て得られ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0694002B1 (ko) 저굴절률층을 갖는 반사방지필름
JP6163568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107662B1 (ko) 디스플레이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KR20140143388A (ko) 활성 에너지 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적층체 및 롤상 적층체
KR20140101954A (ko)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
WO2014208749A1 (ja) 紫外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
JP6133448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JP6364719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積層体、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KR10204505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209138A (ja) 光学積層体
KR20170108337A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KR102563350B1 (ko) 데코용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및 전자장치
KR102319306B1 (ko) 플라스틱 필름
CN116023692A (zh) 耐光性改善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