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312A - 블록 퍼즐 조립구조 및 블록 완구 - Google Patents

블록 퍼즐 조립구조 및 블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312A
KR20180127312A KR1020187021480A KR20187021480A KR20180127312A KR 20180127312 A KR20180127312 A KR 20180127312A KR 1020187021480 A KR1020187021480 A KR 1020187021480A KR 20187021480 A KR20187021480 A KR 20187021480A KR 20180127312 A KR20180127312 A KR 20180127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vable
base
spring
st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둔헹 롱
유안 예
리헤 카이
Original Assignee
광동 닥터 럭 에듀케이션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닥터 럭 에듀케이션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광동 닥터 럭 에듀케이션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127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3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wires, springs, suction cups, telescopic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퍼즐 조립구조 및 블록 완구를 개시하였다. 블록 퍼즐 조립구조는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를 포함하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탄성부품에 의해 스터럭쳐 베이스위에 받쳐지며, 탄성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에 작용하는 외부압력의 작용에 의해 압축되어,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가 서로 접근되게 하며, 외부압력이 없어지면 탄성부품은 예압력에 의해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을 원래 위치로 회복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하기 쉽고 원가가 저렴하며, 창조적으로 가장 간단하고 가장 안전하고 믿음직하며 호환성이 가장 좋은 디자인으로 블록 분야에서 지금까지 해결되지 못했던 난제를 해결하였으며, 사용에 아주 편리하고 거의 “마음대로” 조립하고 쉽게 떼어낼 수 있어, 블록 완구의 취미성을 더욱 높혀 준다.

Description

블록 퍼즐 조립구조 및 블록 완구
본 발명은 블록 완구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블록 퍼즐 조립구조 및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 블록 분야에 있어서, 블록 베이스(조립 베이스)는 통째로 된 이동 불가 단일 목제 베이스로서, 이동이 안되기 때문에 여러개의 블록 퍼즐이 베이스에 끼워 질 때 블록간에 간격이 없거나 간격이 너무 작아 그중 하나의 블록이 기타 블록에 둘러 싸일때, 블록 퍼즐이 끼워진 후 주위가 다 붙어 있기 때문에, 중간에 위치하는 블록을 떼내려면, 변두리로부터 블록을 하나하나씩 떼내야만이 중간의 것을 떼낼 수 있고, 이러한 분해방법은 사용하기 불편하고, 본 출원이 개시되기 전까지 기존 기술에는 관련 설명이 없고,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아무런 보도도 없었다. 이는 블록 분야에 있어서 오랫동안 해결되지 못한 문제로서, 현재 국내외에서도 이 문제가 해결된 블록제품이 없으며, 본 출원자는 다년간의 연구를 거쳐, 여러 가지 방안을 시험해 보았으나, 상기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으며, 특히 저렴한 원가 및 고효율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으며, 번잡한 구조로 분해문제를 해결할 경우, 창조적인 노동이 필요하지 않을 수는 있지만, 원가가 높아져, 대량생산에 불리하며, 심지어 번잡한 구조는 어린이 등 사용자에게 불안전하여 보급하기 어렵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의 관건은 교묘하게 창조적으로 가장 간단하고 믿음직하며 가장 안전하고 호환성이 가장 좋은 디자인으로 블록 분야에서 지금까지 해결되지 못했던 난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출원이 개시되면 아주 간단하다고 여겨지겠지만, 본 출원이 개시되기 전까지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훌륭한 해결안을 찾아 내지 못했으며, 본 출원자도 훌륭한 해결안을 찾아 내지 못했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인정 받고 칭찬을 받는 발명창조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장 간단하고 믿음직하며, 가장 저렴한 원가의 기술수단으로 지금까지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 기술에 존재하는 상기 결함을 극복하고, 블록 퍼즐 조립구조 및 블록 완구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을 둔다.
본 발명은 적어도 아래 기술수단중의 하나에 의해 실현된다.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를 포함하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탄성부품에 의해 스터럭쳐 베이스위에 받쳐지며, 탄성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에 작용하는 외부압력의 작용에 의해 압축되어,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가 서로 접근되게 하며, 외부압력이 없어지면 탄성부품은 예압력에 의해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을 원래 위치로 회복된다.
또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는 일대일의 조립관계를 가지며, 하나의 스터럭쳐 베이스의 크기는 하나의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을 받쳐줄 수 밖에 없고, 이때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는 하나의 모듈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스터럭쳐 베이스의 맨 밑바닥 표면의 구조는 블록과 같이 상기 모듈이 블록의 기능을 가지게 하며,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윗면은 블록의 패턴 또는 블록의 밑부분이 끼워지는 구조(블록을 끼워 넣는 기둥을 설치하는 등 기존 퍼즐 블록 베이스와 같은 구조를 사용할 수 있음)를 가진다.
또한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는 다대일의 조립관계를 가지며, 즉 여러개의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을 하나의 스터럭쳐 베이스위에 조립하여 스터럭쳐 베이스를 일체화한 성형구조를 이루고, 모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각기 단독으로 상기 탄성부품에 의해 스터럭쳐 베이스위에 받쳐짐과 동시에, 모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외부압력의 작용에 의해 스터럭쳐 베이스 가까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여러개의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동일한 높이로 상기 하나의 스터럭쳐 베이스위에 배열되고, 여러개의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윗면은 여러개의 블록과 끼워 맞춰 퍼즐을 완성하는 구조를 형성함에 사용되며,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윗면 구조는 하나의 블록 밑부분과 끼워 맞춰지는 구조를 이룬다(블록을 끼워 넣는 기둥을 설치하는 등 기존 퍼즐 블록 베이스와 같은 구조를 사용할 수 있음).
또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에는 상리밋 부품이 설치되어, 스터럭쳐 베이스에 설치되는 하리밋 부품과 함께 스냅핏 연결과 리밋 역할을 하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가 맞물린 후, 상대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탄성부품의 예압력의 작용에 의해 상호간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상리밋 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바깥쪽벽 또는 안쪽벽 )에 설치할 수 있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하리밋 부품은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바깥쪽벽 또는 안쪽벽 )에 설치할 수 있고, 스터럭쳐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상리밋 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 바깥측면의 볼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리밋 부품은 스터럭쳐 베이스 안쪽 측면에 설치되는 볼록으로서,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에 작용하는 외부압력은 2개의 볼록이 서로 압축되면서 스쳐지나간 후 스냅핏 연결되게 하며, 탄성부품이 튕겨 나올때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가 서로 이탈(본 출원에서의 상기 이탈은 스프링이 리셋 또는 리셋과정중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이 스터럭쳐 베이스로부터 이탈됨을 말한다)되지 않게 제한한다.
또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상기 상리밋부품과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 사이에는 틈새를 두며, 즉 상리밋부품은 단독으로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안쪽 윗면에 설치된다. 스터럭쳐 베이스의 상기 하리밋부품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 사이에는 틈새를 두며, 즉 하리밋부품은 단독으로 스터럭쳐 베이스의 안쪽 밑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안쪽에 설치되는 상리밋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안쪽에 측벽과 분리되게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측벽으로 구성되고, 스터럭쳐 베이스의 안쪽에 설치되는 하리밋부품은 측벽과 분리되게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측벽으로 구성되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직사각형의 옆벽이 스터럭쳐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직사각형 측벽에 끼워 질 때,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에 설치되는 상기 직사각형 측벽과 스터럭쳐 베이스에 설치되는 상기 측벽중의 적어도 하나의 볼록은 끼워질 때 스냅핏 연결을 실현함과 동시에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상호간 이탈을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에 설치되는 상리밋 부품과 스터럭쳐 베이스에 설치되는 하리밋 부품이 상호간 압축되면서 스쳐지나가 스냅핏 연결을 실현한 후,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 사이의 이동은 스터럭쳐 베이스의 밑면과 평행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 상리밋 부품과 하리밋 부품중의 하나 이상의 제한을 받는다(즉 이 평행방향에서 이동할 수 없거나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연결 및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짧은 거리의 이동만이 가능하며, 끼워 넣을 때 될 수 있는 한 안정하게 하기 위하여, 이 방향에서의 이동을 될 수 있는 한 줄여야 한다).
또한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상대이동에 의한 가장 접근할 때의 거리는 각자의 측벽, 상리밋 부품, 하리밋 부품중의 하나 이상의 제한을 받거나, 별도로 설치되는 누르기 리밋 부품의 제한을 받으며, 상기 누르기 리밋 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와 스터럭쳐 베이스의 내부 등 양자중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품은 스프링(압축된 후 튕겨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부품,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등)으로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와 스터럭쳐 베이스의 내부의 양자중 적어도 하나에는 높이가 스프링의 길이보다 작은 스프링의 비 신축방향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부품(스프링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위치하는 중공 컬럼)이 설치되며, 또는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의 양자중 하나에 의해 스프링의 비 신축방향에서의 위치이동이 제한되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외형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룬다.
본 발명은 상기 퍼즐 조립구조를 가지는 블록 완구를 제공하며, 이 완구에는 상기 블록 퍼즐 구조와 블록을 포함하고, 블록은 끼워넣기 방식으로 상기 블록 퍼즐 조립구조의 이동식 스트럭쳐 블록에 조립된다.
본 발명의 구조는 이동식 블록 구조로서, 블록 퍼즐(블록)을 끼워 넣은 후, 각 퍼즐은 모두 아래로 눌러 이동시킬 수 있고, 탄성부품의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리셋할 수 있어, 오락효과를 높혀 줄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퍼즐을 떼려 할 때에는 임의로 주변의 인접하는 2개의 퍼즐을 눌러 떼내려는 블록의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변두리가 노출되게 함으로써, 퍼즐을 쉽게 떼낼 수 있어, 사용상 아주 편리하다. 그리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는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며, 단일 모듈의 스터럭쳐 베이스의 밑바닥은 표준 블록 구멍의 구조로 할 수 있어, 이동식 스터럭쳐 베이스의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재래식 블록 밑바닥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고, 사이즈의 제한을 받지 않아, 유저는 자기가 원하는 퍼즐 사이즈로 마음대로 즐길 수 있으며, 제품에 더욱 많은 사용의 가능성을 부여 할 수 있다.
한마디로 말하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하기 쉽고 원가가 저렴하며, 창조적으로 가장 간단하고 가장 안전하고 믿음직하며 호환성이 가장 좋은 디자인으로 블록 분야에서 지금까지 해결되지 못했던 난제를 해결하였으며, 사용에 아주 편리하고 거의 “마음대로” 조립하고 쉽게 떼어낼 수 있어, 블록 완구의 취미성을 더욱 높혀 준다. 보편적으로 인정 받고 칭찬을 받는 발명창조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장 간단하고 믿음직하며, 가장 저렴한 원가의 기술수단으로 지금까지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이 발명은 꼭 널리 보급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면1a~도면1c는 본 발명 실시예중의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다대일의 경우 전체 구조의 부감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2는 도면1b에 제시된 블록 퍼즐 조립구조의 국소 단면도이다.
도면3은 한 실시예의 블록 퍼즐 구조의 변화상태 약도이다.
도면4a, 도면4b는 실시예중 블록 퍼즐 조립구조에 블록을 끼워 넣은 후의 효과 부감도와 정면도이다.
도면5는 실시예중 블록 퍼즐 조립구조로부터 블록을 떼낼 때의 약도이다.
도면6은 실시예중 단일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트럭쳐 베이스로 구성되는 하나의 모듈의 구조 약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도와 실시예에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 한층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와 보호범위는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1a~도면1c는 블록 퍼즐 조립구조의 실례로서, 하나의 스터럭쳐 베이스1에는 여러개의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2가 조립되고, 상기 이동식 스트럭쳐 블럭과 스터럭쳐 베이스 사이는 다대일의 조립관계를 이루며, 스터럭쳐 베이스는 일체화 성형 구조로서, 스터럭쳐 베이스는 수요에 따라 각기 부동한 크기로 만들 수 있다. 모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각기 단독으로 상기 탄성부품에 의해 스터럭쳐 베이스위에 받쳐짐과 동시에, 모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외부압력의 작용에 의해 스터럭쳐 베이스 가까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여러개의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동일한 높이로 상기 하나의 스터럭쳐 베이스위에 배열되고, 여러개의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윗면은 여러개의 블록과 끼워 맞춰 퍼즐을 완성하는 구조를 형성함에 사용되며,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윗면 구조는 하나의 블록 밑부분과 끼워 맞춰지는 구조를 이룬다(블록을 끼워 넣는 기둥을 설치하는 등 ). 또 하나의 실례에 있어서, 윗면의 구조는 기존 퍼즐 블록의 밑바닥과 같은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1a~도면1c와 같이, 블록 기둥201는 기존 블록을 끼워넣는데 사용된다.
도면2~4와 같이,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2는 탄성부품에 의해 스터럭쳐 베이스1위에 받쳐지며, 탄성부품은 압축된 후 튕겨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부품, 예를 들어 스파링, 판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3을 사용하고, 탄성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에 작용하는 외부압력의 작용에 의해 압축되게 하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가 서로 접근되게 하며, 외부압력이 없어지면 탄성부품은 예압력에 의해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을 원래 위치로 회복된다.
하나의 실례로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에는 상리밋 부품4가 설치되어, 스터럭쳐 베이스에 설치되는 하리밋 부품5와 함께 스냅핏 연결과 리밋 역할을 하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가 맞물린 후, 상대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탄성부품의 예압력의 작용에 의해 상호간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상리밋 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바깥쪽벽 또는 안쪽벽 )에 설치할 수 있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도면2, 도면3), 상기 하리밋 부품은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바깥쪽벽 또는 안쪽벽 )에 설치할 수 있고, 스터럭쳐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2와 같이, 상기 하리밋 부품은 스터럭쳐 베이스의 안쪽벽에 설치된다.
상기 상리밋 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 바깥측면의 볼록으로 구성되고(볼록은 갈고리 모양을 취할 수 있음), 상기 하리밋 부품은 스터럭쳐 베이스 안쪽 측면에 설치되는 볼록으로서(볼록은 갈고리 모양을 취할 수 있음),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에 작용하는 외부압력은 2개의 볼록이 서로 압축되면서 스쳐지나간 후 스냅핏 연결되게 하며, 탄성부품이 튕겨 나올때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가 서로 이탈되지 않게 제한한다(도면3).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상기 상리밋부품과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 사이에는 틈새를 두며, 즉 상리밋부품은 단독으로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안쪽 윗면에 설치되며(도면2, 도면3), 같은 이치로, 스터럭쳐 베이스의 상기 하리밋부품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 사이에는 틈새를 두며, 즉 하리밋부품은 단독으로 스터럭쳐 베이스의 안쪽 밑면에 설치되는 두가지 방식을 교차로 조합시킬 수 있다.
도면2, 도면3과 같이,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안쪽에 설치되는 상리밋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안쪽에 측벽과 분리되게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측벽으로 구성되고, 같은 이치로, 스터럭쳐 베이스의 안쪽에 설치되는 하리밋부품은 측벽과 분리되게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측벽으로 구성되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직사각형의 옆벽이 스터럭쳐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직사각형 측벽에 끼워 질 때,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에 설치되는 상기 직사각형 측벽과 스터럭쳐 베이스에 설치되는 상기 측벽중의 적어도 하나의 볼록은 끼워질 때 스냅핏 연결을 실현함과 동시에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상호간 이탈을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실례로서, 예를 들어,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에 설치되는 상기 직사각형 측벽에는 볼록이 설치되고, 스터럭쳐 베이스에 설치되는 상기 직사각형 측벽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볼록 또는 오목이 설치되어, 스냅핏 연결과 리밋을 실현함에 사용된다.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에 설치되는 상리밋 부품과 스터럭쳐 베이스에 설치되는 하리밋 부품이 서로 압축되면서 스쳐지나가 스냅핏 연결이 실현된 후(도면3) ,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 사이의 이동은 스터럭쳐 베이스의 밑면과 평행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 상리밋 부품과 하리밋 부품중의 하나 이상의 제한을 받으며, 본 실례에 있어서, 도면과 같이 상리밋 부품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을 사용하여 상기 평행방향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이 평행방향에서 이동할 수 없거나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연결 및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짧은 거리의 이동만이 가능하며, 끼워 넣을 때 될 수 있는 한 안정하게 하기 위하여, 이 방향에서의 이동을 될 수 있는 한 줄여야 한다.
또한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상대이동에 의한 가장 접근 할 때의 거리는 각자의 측벽, 상리밋 부품, 하리밋 부품중의 하나 이상의 제한을 받거나, 별도로 설치되는 누르기 리밋 부품의 제한을 받으며, 상기 누르기 리밋 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와 스터럭쳐 베이스의 내부 등 양자중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도면3과 같이, 본 실례에서는 상리밋 부품으로 상기 가장 접근 할 때의 거리를 제한한다.
도면2, 도면3과 같이,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와 스터럭쳐 베이스의 내부의 양자중 적어도 하나에는 높이가 스프링의 길이보다 작은 스프링의 비 신축방향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부품6(스프링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위치하는 중공 컬럼, 본 실례에서는 전자를 채용)이 설치되며, 또는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의 양자중 하나에 의해 스프링의 비 신축방향에서의 위치이동이 제한된다(이때 스프링의 직경은 비교적 크다).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외형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스프링 바깥쪽 또는 안쪽에 위치하는 중공 기둥을 스프링 리밋 부품6으로 한다.
도면4는 블록401이 끼워진 효과도이다. 재래식 블록의 베이스는 블록 퍼즐이 끼워진 후 주위가 다 붙어 있기 때문에, 중간 또는 기타 위치의 어느 하나의 블록 퍼즐은 떼내려면 손으로 잡을 자리가 없어, 그중의 어느 하나의 블록 퍼즐을 떼내려면 특수한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도면5는 중간에 위치하는 블록을 떼낼 때의 누르는 방식과 방향을 표시한 약도로서, 양쪽의 인접하는 블록을 누르면 블록의 양쪽을 잡아 블록을 편리하게 뽑아낼 수 있다. 본 실례의 스프링의 탄력은 충분히 연하게 할 수 있으며, 블록과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을 지지할 수만 있으면 되며, 블록과 이동식 스처럭쳐 블록의 조합이 쉽고 편리하며, 어린이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전형적인 실례는 도면6과 같이,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 사이는 일대일의 조립관계를 이루며, 하나의 스터럭쳐 베이스의 크기는 하나의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을 받쳐 줄 수 밖에 없으며, 이때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는 하나의 모듈을 이룸과 동시에, 스터럭쳐 베이스의 맨 밑바닥 표면구조101은 블록의 밑 부분과 같아, 상기 모듈이 블록의 기능을 가지게 한다.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윗면은 패턴 또는 블록의 밑 부분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블록 구멍에 끼워지는 기둥을 사용하여 블록을 끼워 넣는 등 기존 퍼즐 블록의 밑판과 같은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구조는 마음대로 보통 블록의 스터럭쳐 베이스 또는 블록 관련 제품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단일 모듈의 스터럭쳐 베이스의 밑부분은 표준 블록의 구멍구조로 만들어,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장점을 가지데 할 뿐만 아니라, 재래식 블록 밑판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으며, 크기의 제한을 받지 않고, 유저는 자기가 원하는 퍼즐 크기로 마음껏 발휘할 수 있어, 제품에 더욱 풍부한 사용의 가능성을 부여한다.
본 출원에 개시된 방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분야에 속하는 기술자는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해 리밋 부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등 변경과 수정을 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위에 제시 및 설명된 실시 형태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해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서 치환 또는 간단한 증감 등으로 인해 이루어지는 방안도 본 발명의 청구항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를 포함하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탄성부품에 의해 스터럭쳐 베이스위에 받쳐지며, 탄성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에 작용하는 외부압력의 작용에 의해 압축되어,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가 서로 접근되게 하며, 외부압력이 없어지면 탄성부품은 예압력에 의해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을 원래 위치로 회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퍼즐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는 일대일의 조립관계를 가지며, 하나의 스터럭쳐 베이스의 크기는 하나의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을 받쳐줄 수 밖에 없고, 이때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는 하나의 모듈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스터럭쳐 베이스의 맨 밑바닥 표면의 구조는 블록과 같이 상기 모듈이 블록의 기능을 가지게 하며,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윗면은 블록의 패턴 또는 블록의 밑부분이 끼워지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퍼즐의 조립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는 다대일의 조립관계를 가지며, 즉 여러개의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을 하나의 스터럭쳐 베이스위에 조립하여 스터럭쳐 베이스를 일체화한 성형구조를 이루고, 모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각기 단독으로 상기 탄성부품에 의해 스터럭쳐 베이스위에 받쳐짐과 동시에, 모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외부압력의 작용에 의해 스터럭쳐 베이스 가까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여러개의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은 동일한 높이로 상기 하나의 스터럭쳐 베이스위에 배열되고,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윗면 구조는 하나의 블록 밑부분에 끼워 맞춰지는 구조를 이루며, 여러개의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윗면은 여러개의 블록과 끼워 맞춰 퍼즐을 완성하는 구조를 형성함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퍼즐의 조립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에는 상리밋 부품이 설치되어, 스터럭쳐 베이스에 설치되는 하리밋 부품과 함께 스냅핏 연결과 리밋 역할을 하고,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가 맞물린 후, 상대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탄성부품의 예압력의 작용에 의해 상호간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상리밋 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 또는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하리밋 부품은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 또는 스터럭쳐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퍼즐의 조립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상기 상리밋부품과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 사이에는 틈새를 두며, 즉 상리밋부품은 단독으로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안쪽 윗면에 설치되며, 스터럭쳐 베이스의 상기 하리밋부품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 사이에는 틈새를 두며, 즉 하리밋부품은 단독으로 스터럭쳐 베이스의 안쪽 밑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퍼즐의 조립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리밋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안쪽에 측벽과 분리되게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리밋부품은 측벽과 분리되게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측벽으로 구성되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직사각형의 옆벽이 스터럭쳐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직사각형 측벽에 끼워 질 때,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에 설치되는 상기 직사각형 측벽과 스터럭쳐 베이스에 설치되는 상기 측벽중의 적어도 하나의 볼록은 끼워질 때, 스냅핏 연결을 실현함과 동시에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상호간 이탈을 제한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퍼즐의 조립구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리밋 부품과 하리밋 부품이 상호간 압축되면서 스쳐지나가 스냅핏 연결을 실현한 후,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 사이의 이동은 스터럭쳐 베이스의 밑면과 평행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 상리밋 부품과 하리밋 부품중의 하나 이상의 제한을 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퍼즐의 조립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상대이동에 의한 가장 접근할 때의 거리는 각자의 측벽, 상리밋 부품, 하리밋 부품중의 하나 이상의 제한을 받거나, 별도로 설치되는 누르기 리밋 부품의 제한을 받으며, 상기 누르기 리밋 부품은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와 스터럭쳐 베이스의 내부 등 양자중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퍼즐의 조립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품은 스프링으로서,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내부와 스터럭쳐 베이스의 내부의 양자중 적어도 하나에는 높이가 스프링의 길이보다 작은 스프링의 비 신축방향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부품이 설치되며, 또는 상기 이동식 스터럭쳐 블록의 측벽과 스터럭쳐 베이스의 측벽의 양자중 하나에 의해 스프링의 비 신축방향에서의 위치이동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퍼즐의 조립구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퍼즐 구조와 블록을 포함하고, 블록은 끼워넣기 방식으로 상기 블록 퍼즐 조립구조의 이동식 스트럭쳐 블록에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블록 퍼즐 조립구조를 가지는 블록 완구.
KR1020187021480A 2017-04-28 2017-11-15 블록 퍼즐 조립구조 및 블록 완구 KR201801273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295914.9 2017-04-28
CN201710295914.9A CN107008018B (zh) 2017-04-28 2017-04-28 一种积木拼图装配结构及积木玩具
PCT/CN2017/111072 WO2018196343A1 (zh) 2017-04-28 2017-11-15 一种积木拼图装配结构及积木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312A true KR20180127312A (ko) 2018-11-28

Family

ID=5944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480A KR20180127312A (ko) 2017-04-28 2017-11-15 블록 퍼즐 조립구조 및 블록 완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205726A1 (ko)
EP (1) EP3412352A4 (ko)
JP (1) JP2019514445A (ko)
KR (1) KR20180127312A (ko)
CN (1) CN107008018B (ko)
AU (1) AU2017393411A1 (ko)
SG (1) SG11201806444QA (ko)
WO (1) WO2018196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8018B (zh) * 2017-04-28 2021-09-14 广东乐博士教育装备有限公司 一种积木拼图装配结构及积木玩具
CN114984593A (zh) * 2021-03-02 2022-09-02 傅勗航 电子积木弹性连接件
KR102656930B1 (ko) * 2021-06-25 2024-04-12 김정수 로드형 조립식 완구에 사용되는 연결기구
DE102022100400A1 (de) * 2022-01-10 2023-07-13 Doubleeagle Industry (China) Limited Klemmbaustei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46475B2 (de) * 1974-09-28 1978-05-03 Peter 4006 Erkrath Cioptia Spielzeug-Steckbaustein
DK167379B1 (da) * 1990-12-04 1993-10-25 Lego As Legetoejsbyggeelement med affjedringsmekanisme
DK200202017A (da) * 2002-12-30 2004-07-01 Lego As Byggesæt med vibrator og vibrationssensor
US20110086573A1 (en) * 2007-12-31 2011-04-14 Fertig-Stubenfoll Design Group L.L.C. Toy systems with separate accessory pieces engageable by part of a plaything
KR200448919Y1 (ko) * 2009-08-07 2010-06-07 임삼복 락타입 푸쉬버튼을 이용한 퍼즐 완구
JP2011067386A (ja) * 2009-09-25 2011-04-07 Shinko Yamada 電気配線用ブロック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EP3041592B1 (en) * 2013-09-08 2019-04-10 Brixo Smart Toys Ltd. Selectively conductive toy building elements
WO2016162403A1 (en) * 2015-04-08 2016-10-13 Lego A/S Game system
CN205461017U (zh) * 2015-12-30 2016-08-17 龙门县佳茂聚氨酯橡胶有限公司 具有片状电连接件定位结构的高透光发光积木
CN106267810A (zh) * 2016-08-26 2017-01-04 宁波傲宇光电科技有限公司 玩具、灯具或装饰物变形构件及变形组合体
CN107008018B (zh) * 2017-04-28 2021-09-14 广东乐博士教育装备有限公司 一种积木拼图装配结构及积木玩具
CN207012572U (zh) * 2017-04-28 2018-02-16 广东乐博士教育装备有限公司 一种积木拼图装配结构及积木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8018A (zh) 2017-08-04
WO2018196343A1 (zh) 2018-11-01
AU2017393411A1 (en) 2018-11-15
US20210205726A1 (en) 2021-07-08
EP3412352A4 (en) 2019-07-10
SG11201806444QA (en) 2018-12-28
EP3412352A1 (en) 2018-12-12
CN107008018B (zh) 2021-09-14
JP2019514445A (ja)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7312A (ko) 블록 퍼즐 조립구조 및 블록 완구
KR102046698B1 (ko) 밀봉 가능한 덮개를 갖는 용기
US9564745B1 (en) Replaceable panel structure and socket, switch and humidity sensor with replaceable panel
CN202120790U (zh) 键盘开关
JP2013521463A5 (ko)
KR101261015B1 (ko) 완구용 조립블록 세트
CN203134634U (zh) 一种带缓冲机构的开关按键
CN204242945U (zh) 风压开关
CN104409277B (zh) 风压开关
CN103452232B (zh) 一种墙板块
CN105336520A (zh) 智能电气开关
CN207012572U (zh) 一种积木拼图装配结构及积木玩具
TWM575353U (zh) 積木拼圖裝配結構及積木玩具
CN202721058U (zh) 轻触开关
CN204806798U (zh) 用于冰箱的箱胆组件及具有其的冰箱
CN202282267U (zh) 一种新型带灯轻触开关
CN204857532U (zh) 一种恢复力均匀的长按键
JP3196674U (ja) スイッチ
CN105050351A (zh) 一种钣金外壳与电路板的安装结构
CN204218054U (zh) 一种纽扣件
US7055836B2 (en) Immobilizing mechanism of a baby-walker
CN205194574U (zh) 连动式单开复位开关
CN204088766U (zh) 带杠杆结构的紧固端子
CN204596112U (zh) 一种无线控制器
CN202443874U (zh) 双手柄主令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